양자 혁명 1분 만에 이해하기 | 채은미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부교수 | 세바시 shorts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1 ม.ค. 2023
  • ✻ 풀버전 강연보기 👉🏻 • (ko)나를 꿈꾸게 한 양자컴퓨터 | 채...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bit.ly/2odEydm
    📭 세바시 '인생질문 레터' 구독하기! 세바시 강연 콘텐츠를 월 2회 소개해드려요! 👉🏻 page.stibee.com/subscriptions...
    ⭐️ 세바시가 만든 배움 커뮤니티 플랫폼, 세바시랜드 ⭐️
    지금 다운로드 하세요 👉🏻 sebasiland.page.link/TH-cam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www.sebasi.co.kr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apply.sebasi.co.kr
    페이스북 페이지 | / sebasi15
    인스타그램 | / sebasi15
    카카오스토리 | 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80

  • @user-tx3wv3jq4s
    @user-tx3wv3jq4s 18 วันที่ผ่านมา +8

    눈에 보이는 현상에 집중하는것이 아니라 현상을 넘어 미래의 가능성에 집중한다라는 말이 가슴에 와닿네요 그것은 인류학에도 맞겠네요

  • @user-ig7yr1pb4q
    @user-ig7yr1pb4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보이지 않는 나의 미래는 이미 나의 상상속에 존재한다. 과연 어떠한 미래를 상상하는가? 그것이 바로 나의 미래다.

    • @user-lg4qw5xx5w
      @user-lg4qw5xx5w 23 วันที่ผ่านมา

      ㅎ, ...글~쎄 이미 20세기 전반에 나왔던 양자역학 자체가 아직도 반쪽짜리 역학(?) 아닌가? 솔까 더욱 웃기는 것(?)이 얽힘'이라는 개념이다. 학자도 얘기하듯이 양자역학 자체가 모순(?) 덩어리다. 거기에 명징한 해석이 없으면서 끝없이 가능성만을 믿어야 한다는 것도 모순 아닌가? ...이것은 과학이 아니라 신학의 범주라고 생각된다!!!!!!!!!!!!

  • @kpop-vw8xz
    @kpop-vw8x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자랑스럽다
    이렇게 훌륭한 분이 많았으면

  • @user-mw9xr5ly1t
    @user-mw9xr5ly1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채은미교수님 짱 짱이다

  • @ABC-kx5gy
    @ABC-kx5g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질문있습니다. 1. 전자가 얽혀 있어야 저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했는데 모든 전자 는 반드시 쌍으로 얽혀있나요? 그 쌍은 누가 정하죠? 만약 전자가 홀수로 존재한다면 짝이 없는 전자는 뭘 하죠? 2. 아무리 먼 거리라도 발생한다고 하는데, 그걸 어떻게 알죠? 실험을 했다면 어떻게 했죠? 3. 빛보다 빠르게 결정된다고 하는데 그건 또 어떻게 알수있죠? 4. 조금 막연하게 신기한 설명을 하기 보다는 좀더 구체적인 원리나 이유를 알 수 없나요?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나는 거죠? 5. 전자나 광자만 저런 현상이 있나요? 어느 정도 크기의 물질까지만 가능한 거죠? 6. 왜 분자나 더 큰 물질에서는 저런 현상이 없죠? 7. 양자 단위에서 저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뭐죠? 8. 님은 왜 스티브 잡스 비슷한 분위기로 강연을 하죠?

    • @user-zj4xz4ko6u
      @user-zj4xz4ko6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공부를해라 질문하지말고 ㅌ

    • @3eo500
      @3eo500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스스로 빡대갈인걸 왜 유튜브에 자랑하죠????

  • @NIS007
    @NIS007 ปีที่แล้ว +8

    YangJa All Kim 👍

  • @Kevin-re7kt
    @Kevin-re7k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양자 컴퓨터는 양자얽힘 보다는 양자 수퍼포지션.. 중첩현상을 유지하여 0과1이 공존하여 엄청나게 빠른 연산이 가능한 큐비트기술이 필수 아닌가;; 양자얽힘이 진짜 위력을 발휘하는 분야는 앞으로 다가올 다행성시대에 빛의 속도의 한계를 뛰어넘는 양자통신.. 그리고 더 나아가 워프같은 기술이고..

    • @mauviel763
      @mauviel76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아이고........ 한참을 잘못 알고있네
      이래서 영상 하나 본 놈이 제일 위험하다니깐

    • @Kevin-re7kt
      @Kevin-re7k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auviel763 븨엉싄 내가 다른 댓글에 끝까지 물어봐도 대답못하길래 다 설명해줬다 ㅎ 내가 이해를 못해서 물어보는거 같냐? 넌 책한권도 안읽은 삽초딩 같은데 진짜 버러지같은 무식쟁이들이 책한권드립하는거 왜케 역겹냐

    • @user-wz2tq5tz7v
      @user-wz2tq5tz7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양자얽힘이든 양자 중첩이든 그것을 어떻게 이용해야 양자 콤퓨터가 되는지 그 메카니즘을 설명 좀 해 주면 좋겠다. . . 쯥!

    • @dr.klim7
      @dr.klim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으어... 대중들이 전부 오해한다. 앞면 앞면이 아니라 앞면이 나오면 반대쪽은 뒷면~! ㅜ그리고 빛의 속도를 능가하는 것은 세상에 없어요 ㅜ 전문영상 찾아보면 알겠지만 양자파동함수가 깨지는 건 속도랑 상관없이 정보의 해소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속도랑 상관없이 고정질량에 대한 정보를 아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말입니다.

    • @Kevin-re7kt
      @Kevin-re7k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dr.klim7 얽혀있는 양자의 스핀정보는 빛의 속도를 아득히 뛰어넘는거 몰라? 그래서 수백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도 실시간 양자통신이 이론상 가능한거고. 그리고 초기 우주팽창 속도도 빛의 속도를 뛰어넘음. 뭐 공간의 개념이라 가능한거지만 벌써 2개나 있네? 양자정보랑 공간팽창? 풋 그리고 파동함수가 깨지는건 관측 혹은 다른 양자와의 상호작용인데 속도가 뭔 상관인데??

  • @Niche1419
    @Niche1419 9 วันที่ผ่านมา

    중성미자 모든생명체 에너지 의식 우주

  • @rush_dark1788
    @rush_dark1788 ปีที่แล้ว +18

    어떤 경우에 두 동전이 양자 얽힘 상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 @js2540
      @js254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입자와 입자간의 얽힘 현상을 동전에 비유한겁니다.
      양자학 중 얽힌 입자와 입자는
      서로 연관되어 움직입니다. 예를들자면..
      a입자가 업스핀이라면 b입자은 다운스핀
      이런식이죠.
      근데 정보가 전달되는것도 사실 속도가 있을진대,
      놀랍게도 즉각 반응합니다.
      빛의속도도 아니고 그 즉시 반응합니다.
      우리의 상식과는 맞지 않는 내용이지요.
      거리와 관계없이 공간을 이격하듯
      입자의 정보가 상대입자에게 즉각적으로 전달됩니다
      그 이유는 모릅니다
      그저 그런 것을 발견 했을 뿐 입니다
      양자컴퓨터란, 양자학을 이용한 기술인데
      현재 컴퓨터는 0비트와 1비트의 조합으로 이뤄지죠
      미로를 문제로 내면 길을 찾을때까지
      1개씩 가볼겁니다. 그게 현재의 컴퓨터지요
      양자컴퓨터는 0비트와 1비트가 공존하기에
      모든 미로의 길 전부를 향해 출발하고
      출구에 도달하는 속도는 비교불가겠지요?
      그걸 만들겠다는겁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해봤습니다

    • @user-wg3vl9gm6i
      @user-wg3vl9gm6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js2540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Ann11455
      @Ann1145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cr8md6ri4f처음부터 모든 경우의 수를 가본다는 겁니다. 예를 들면 미로에 9개의 갈림길이 있다고 치면, 일반컴퓨터는 1개씩 가보지만 양자컴퓨터는 9개의 길 전부를 동시에 간다는거죠.

    • @blackjoy315
      @blackjoy31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cr8md6ri4f 좀 더 정확히 설명드리자면, 관측을 하지 않은 상태면 전자간 얽힘이 유지 되잖아요. 얽혀있는 상태에서 자석을 갖다 대는 행위를 통해 연산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연산이 끝났을 때 관측을 하면 짠하고 결과가 나온다는게 기본적인 양자알고리즘이죠. 자세하게 알고 싶으시면 유튜브에 언더스탠딩을 검색해보세요김갑진 교수님이 친절히 설명해주십니다.

    • @ccmt2568
      @ccmt256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s2540어떤경우에 얽히냐니깐 왜 딴대답임?

  • @warden5055
    @warden505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앞면이면 뒷면이고 뒷면이면 앞면이라는게 맞는 설명이겠죠

    • @blackjoy315
      @blackjoy31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님말도 맞고 저분 말도 맞음. 어차피 예시라서 뭐가 됐든 그게 본질이 아님. 결국 전자 스핀의 운동량의 합이 1인게 핵심임

    • @user-gr5gx3cf8i
      @user-gr5gx3cf8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blackjoy315아닌데 관측이라는 행동이 더 핵심인데

    • @blackjoy315
      @blackjoy31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gr5gx3cf8i 저 위에 말한 앞면과 뒷면의 예시는 스핀에 대한 예시이기 때문에 뒷면인지 앞면인지 중요한게 아니라 는 거죠. 견지망월이시네요 ㅋㅋㅋ 님말 처럼 양자역학에서 관측을 하지 않으면 얽힘상태가 유지되는 것도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죠

    • @Circularop1
      @Circularop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뭔소리여

    • @user-jn3er2os7d
      @user-jn3er2os7d 25 วันที่ผ่านมา

      ​@@Circularop1자기도 잘 모르는 소리

  • @user-nf7gz8lt183
    @user-nf7gz8lt18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독과좋아요 더 좋은 소식전해주세요
    우주의비밀까지도 ❤❤❤

  • @user-nm2ki2sg3z
    @user-nm2ki2sg3z ปีที่แล้ว +45

    한쪽 정보를 알게 되면 거리에 상관없이 즉시 반대쪽 정보가 알게 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되겠죠.

    • @saedaegari
      @saedaegar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즉시는 아니고 전달속도가 있습니다. 빛보다 더 빠를뿐

    • @shkim1232
      @shkim123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saedaegari제가 알기로는 전달속도 없이 즉시 결정되며, 빛보다 빠른 것은 없습니다. 정보전달이 되는게 아니라 한쪽이 결정되면 그 결과 다른 한쪽에 영향을 미치는거죠

    • @saedaegari
      @saedaegar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shkim1232 즉시 결정 = 속도가 무한대라는 의미입니다. 그게 빛보다 빠른거구요.. 물리학에서 무한대라니 글쎄요.. 이론적으로는 그렇지만 실험적으로는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이론상 블랙홀 부피가 0이지만 실제로는 0이 아닐거라 예상하듯이요.

    • @david-ji8tw
      @david-ji8t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aedaegari 이게 전달로 결정이 난건가? 그런 협의가 없었을텐데 단정짓네. 연결되어 있을수도 있지. 전달일지 연결일지 물리학자들도 협의가 안된걸 결정짓네 노벨상 수상하쇼

    • @saedaegari
      @saedaegar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avid-ji8tw 상호작용이라고 적을걸 그랬나요? 조정할 수 있는 정보의 전달이 빛보다 빠를 수 없다는거지 세상 그 어떤 것도 빛보다 빠를 수 없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어떤 연결을 말씀하시는지요. 당신이 말하는 그 연결도 상호작용이 되어야하는건데 그게 실제로 시공간을 뛰어넘어서 무한대의 속도로 전달된다고 생각하시는건가요? 정답은 저도 모릅니다. 물리학에서 무한대의 물리량은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 @user-wh3lw8ni2t
    @user-wh3lw8ni2t 18 วันที่ผ่านมา

    근데 양자얽힘이 서로 전하는 속도는 빛보다 빠른데 빛보다 빠른 것은 없지 않나요?

  • @shinchristina5652
    @shinchristina5652 ปีที่แล้ว

    공간 이동 가능

  • @Myunglee-vd7ul
    @Myunglee-vd7u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말로하지 말고 보여 줘야지.😢 그냥 그렇다고만 하면 그결과는 어디서 확인 합니까

  • @watchdog2167
    @watchdog216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파동이였던 빛이 슬롯을 지날때 지났다는 걸 직접 보지 않아도, 지났다는 정보만 알아도 파동은 입자로 변한다

  • @daeunkim9922
    @daeunkim992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rr kim씨 대단하네요.

  • @FaranSae-eo5eh
    @FaranSae-eo5e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1분만에 이해한다고? 님도 못하고 있는거 같은데? 유명해지고 싶은건가..돈이 필요한건가

  • @user-rt2zz7pf4p
    @user-rt2zz7pf4p 24 วันที่ผ่านมา

    아직은요😢😢😢

  • @CheriYoon5871
    @CheriYoon587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과학이 아무리 발전하여도 인류를 구원할 수 없습니다

  • @user-jo8do5pq3r
    @user-jo8do5pq3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동전이 앞면이면 나머지 동전은 뒷면이라고 해야 맞지 않나?

  • @user-ui5bs1ef1j
    @user-ui5bs1ef1j 18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래구나

  • @coingames
    @coingame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설명이 틀렸는데??? 양자얽힘 이해를 못했네요???????

    • @dr.klim7
      @dr.klim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ㅇ 딱 대중들이 오해하기 쉽게 설명되었음

  • @user-gr5gx3cf8i
    @user-gr5gx3cf8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한쪽이 업스핀이면 반대쪽은 다운스핀되는거 아님? 왜 동전은 앞면 앞면 뒷면 뒷면임?

    • @ccmt2568
      @ccmt256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걍 서로간에 영향준다는걸 저리표현한듯

  • @user-ky7dg3to9x
    @user-ky7dg3to9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종교와 과학이 점점 가까워 지는걸 느낍니다.

    • @user-cf4mz5gb2g
      @user-cf4mz5gb2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어디 종교를 갖다 붙이노 ㅋ

    • @user-ky7dg3to9x
      @user-ky7dg3to9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cf4mz5gb2g 니 생각의 공간은 원자보다 좁구나. ㅉㅉ

    • @user-gr5gx3cf8i
      @user-gr5gx3cf8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혀다른데

    • @dr.klim7
      @dr.klim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사람들이 파동이니 다중우주이니 말하니 이건 뭐 과학을 초월한 무언가로 착각하는데... 현실은 종교보다 더 놀라운 사실을 품고 있습니다. 현실은 폰노이만엔트로피(양자정보) 즉, 정보가 본질이란 사실이죠. 그렇다고 여기가 시뮬레이션이란 말은 아닙니다. 현실은 원래 해소된 불확실성으로되어 있다는 겁니다.

    • @na5430
      @na543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종교아니고 철학이겠지

  • @user-fr4ut1wg4d
    @user-fr4ut1wg4d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아직 그 어떤 누구도 양자역학에 대한 이론만 설명할 뿐 그 의미나 뜻을 이해하거나 아는 사람이 없군요.

  • @jinyoungkim8916
    @jinyoungkim891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고대에 저런 인재가...

    • @user-qp7vw9ps7n
      @user-qp7vw9ps7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학수고대 했는데...
      이제야..

    • @coca_putla5660
      @coca_putla566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대는 거르는게 맞음

    • @AssociazioneCalcio
      @AssociazioneCalci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대의 인재는 피타고라스

  • @user-ok2ds8jd1k
    @user-ok2ds8jd1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양자얽힘 이라는 자체를 모르겠음~
    왜? 얽히는지? 양자가 서로 튕겨져나가 멀리있게 되는 상태가 어떨때 일어나는지?
    어떤물체가 흩어져 양자가 무수한 공간에서 돌다 다시 결합될수있다는 말인가?

    • @ssopa2043
      @ssopa204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멀리 튕겨서 각자의 상태를 결정짓는다는 말는 그냥 양자얽힘으로 해당 입자의 상태가 시공간을 초월해서 일어난다는 것을 일반인분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것이구 무한한 공간에서 양자얽힘되면 즉 양자상태가 왜 유한한 광속을 뛰어넘어 결정되는 것인지 정말 모릅니다,, 물리적인 상식으로 해당 사실만 제외하면 수식적으로나 실험적으로나 증명됐구요,, 그래서 요즘은 관측의 철학적 의미 패러다임을 바꾸려는 것도 있고 다시 말하자면 아직 인간이 양자를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지식이 많습니다. 현상을 수학적으로 완벽하게 기술할수있고 실제 우주도 이렇게 돌아가고있지만 인간의 상식선에서는 이해하지못하죠 당연합니다,, 양자역학의 탄생 이후 물리에 평생을 바친 천재소리들은 무수한 물리학자들도 혀를 끌끌 차며 이해하지못했지만 결국 우주의 이치이므로 받아들일수밖에 없었죠,, 우주의 이치를 이해하지못하는건 당연한 것입니다. 다만 양자얽힘이 무엇인지 교양수준에서 알고싶다면 현대물리의 양자상태 파트를 먼저 읽어보세요

    • @user-ok2ds8jd1k
      @user-ok2ds8jd1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설명감사합니다🙏
      어렵군요 ㅠ

    • @user-gr5gx3cf8i
      @user-gr5gx3cf8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윗분 말 진짜 좋은데 여기서 관측이 진짜 중요한 키워드가 중요한다.
      관측이란 아주 오래전으러 가면 우리가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정보가 관측중 하나가 되겠죠. 이때 관측을 하기 위한 빛이 입자를 방해 할 수 있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다. 이걸 불확정성의 원리의 기초적인 내용인데 이걸 정확히 얘기하는것이 슈뢰딩거의 고양이 입니다. 이건 대략 아시겠지만 "우리가 이 고양이를 관측 하기 전까지는 이 고양이가 살아있는지 죽어있는지 모른다." 입니다. 슈뢰딩거는 양자역학을 부정하기 위해 가져온 이론이 양자역학을 정확히 설명해 버렸습니다.
      그럼 이 양자얽힘이란 두입자를 일정한 양자 상태에서 하나는 업스핀이 나오면 다른 하나는 다운스핀이 나오게 하자 입니다. 그럼 우리는 하나의 입자를 관측해서 업스핀이 나오면 얽혀 있는 다른쪽 스핀은 다운스핀이 된다는 뜻입니다. 그렇게 되면 정보가 한계에서 다른 한계로 이동한듯한 모습이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입자를 100광년 떨어진 곳에서 관측을 한다하면 빛의 속도로 관측하기전 입자의 스핀이 반대로 바뀌었을까요? 이게 양자 얽힘입니다.
      양자역학을 더 쉽게 이해 하시려면 관측!! 이란 행동을 아주 잘 이해하셔야 합니다.

    • @ABC-kx5gy
      @ABC-kx5g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걸 제대로 설명할 줄 알면 노벨상 탈 겁니다. 현재 과학자들은 전자의 특이한 성질을 발견하고 조금 이용하는 걸음마 단계죠.

  • @user-dr4ct4zg5k
    @user-dr4ct4zg5k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망원경으로 천만광년 떨어진 별을 관측하는순간 그 별이 존재한다는거지 렌더링모르냐? 양자컴퓨터는 그런거까지 예상해서 그림을 그린다는거다 우리가 게임속 캐릭터라고 생각하면된다

  • @bitf9372
    @bitf937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게 무슨 말이냐고

  • @buimnam8735
    @buimnam8735 ปีที่แล้ว +5

    그래도 모르겠는디요

  • @karinaforever8654
    @karinaforever865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교수님이 양자컴퓨터 안만들어주면 안믿을것임

  • @user-ms7zv6uf6n
    @user-ms7zv6uf6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관측하니 문과가 되어버렸다.

  • @user-ls6lu5dr2p
    @user-ls6lu5dr2p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인슈타인이 이 영상을 싫어합니다.

  • @user-ew2mg6dt7g
    @user-ew2mg6dt7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설명이 잘못된거같은데,...

  • @user-cr6sh2be2g
    @user-cr6sh2be2g 23 วันที่ผ่านมา

    세계적 천재 물리학자파인만이 말하길 "양자역학을 이해하는 사람은 1명도 없다"라고 말함.우리의 정신세계로는 양자의 세계를 이해할 수 없다하네요

  • @food_assistant
    @food_assistan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거 넷플 삼체에서 통신하던 거랑 관련이 있는건가..

  • @jbw-oh4xr
    @jbw-oh4xr 2 วันที่ผ่านมา

    소폰

  • @user-yq6cr9jb1d
    @user-yq6cr9jb1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PR 패러독스군...

  • @user-yb2qd7hx9l
    @user-yb2qd7hx9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디서 부터 잘 못 됐을까.

  • @oh-yes2207
    @oh-yes220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뭔소리지? 연구비달라는건가?

  • @amator8468
    @amator8468 24 วันที่ผ่านมา

    아 삼체의 지자가 양자 얽힘이었구나

  • @user-sb1yk8ot6j
    @user-sb1yk8ot6j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관심없는 사람들은 이해안됨. 걍 주식 추천이나 하지. 아이온큐라고.....

  • @sebasi15
    @sebasi15  ปีที่แล้ว +1

    풀버전 강연보기 👉🏻 th-cam.com/video/ujBdITl6iCs/w-d-xo.html

  • @SW-J
    @SW-J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양자 얽힘이 안되는 경우도 노벨물리학상용으로 논문제출이 가능합니다. 두개의 동전으로 상태를 알지만 일치 하지도 일치하기도 하는 불규칙이 존재하면. 노벨상은 이제 제가 받겠네요.

  • @user-lg6fw6kj5q
    @user-lg6fw6kj5q ปีที่แล้ว

    뭘 이렇게 많이 건너 뛰냐?

  • @werun8300
    @werun830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 얽힘 양자는 어디서 구해오는지 신기허네..
    그 양자는 컴퓨안 어디에 넣어두는거지??

    • @user-gr5gx3cf8i
      @user-gr5gx3cf8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양자컴퓨터는 중첩된 양자를 이용하는거에요.
      이걸 큐비트라 하죠.

    • @ABC-kx5gy
      @ABC-kx5g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컴퓨터 안에 전기가 흐르고. 곧 전자가 있다는 얘기죠. 양자라는 단어 속에는 전자, 광자 등이 포함되죠. 사람 몸 속에도 전자가 있는 건 아실테고. 양자컴퓨터는 공짜가 아니라 영하 270도로 낮춰야 합니다.

  • @Smari24
    @Smari2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설명을 이렇게 어렵게할 수도 있구나......

    • @Smari24
      @Smari2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예를 들어 1광년이 떨어진 두 동전이 얽힘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면
      A 동전이 앞면이 나오면 나머지 B 동전이 무조건 뒷면이 나온다고 할 때
      정보를 1광년을 지나야 알 수 있는게 아니라
      시공을 초월해서 정보가 바로 전달이 된다는 뜻이쥬?

    • @dr.klim7
      @dr.klim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mari24 정보가 전달되는게 아닙니다..ㅜ 빛이 가려져서 그림자 생기는게 속도랑 상관없듯이 양자중첩이 깨지는 것도 정보의 공백 즉, 고정질량의 정보를 아는 정도에 따라서 바뀌는 겁니다. 단지 비국소적(거리상관없이)으로 변하는 건 맞습니다. 전달되는 속도랑은 상관없어요...

    • @ABC-kx5gy
      @ABC-kx5g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mari24 그렇죠. 박사들의 강연에 의하면 아무리 거리가 멀어도 즉시. 빛 보다 빠르다... 근데 그건 어떻게 알았을까요? 어떻게 증명하죠?

  • @ququdas
    @ququda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예상된 댓글이 있어서 ㅈㄴ 웃기네 ㅋㅋ
    한쪽이 앞면이면 한쪽은 뒷면 아닌가?? ㅇㅈㄹㅋㅋㅋㅋ

    • @js2540
      @js254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양자중첩에서 A업스핀이면 B다운스핀입니다. 앞면앞면 적으면 F학점 받아요~

  • @punchb2310
    @punchb2310 ปีที่แล้ว +4

    한쪽이 앞이면 다른쪽은 뒷쪽 아닌가???

    • @cmj7260
      @cmj7260 ปีที่แล้ว +7

      앞 뒤가 중요한 게 아니라 하나의 정보를 알면 얽혀있는 다른 하나의 정보가 바로 결정된다는 게 중요한거임.

    • @punchb2310
      @punchb231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mj7260 지구 자전 방향이 반대가 아니냐고 물었더니 지구는 둥글다는게 중요한겁니다??

    • @cmj7260
      @cmj726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punchb2310 애초에 지구 모양 얘기하고 있는데 자전 방향 질문한 사람이 잘 못 이해를 못한 겁니다.

    • @cmj7260
      @cmj726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punchb2310 앞뒤고 나발이고 핵심은 A의 정보가 정해지면 동시에 B도 정해진다는 거임. "반대"의 개념을 양분하는 게 아님.

    • @punchb2310
      @punchb231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mj7260 얄자얽힘이 발생할때 그 현상에 있어 얽혀있는 양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타나는게 아니냐는 질문인데 동시에 일어나는게 중요한겁니다? 누가 뭐래나 ㅋㅋ 동문서답 해놓고 어이가 없네

  • @dbstjrdufrotpRl
    @dbstjrdufrotpR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줌마 양자 얽힘의 기본은 동전이 반대가 되는거에요. 빛 보다 빠르게 시간차 없이. 그래서 아인슈타인도 동의하지 않았던 유일한 이론이었죠.

    • @user-pn6ox4vc8e
      @user-pn6ox4vc8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보를 즉시 파악 가능하다는걸 설명하는건데... 요지가 파악이 안되니 이런 댓글을 달 것 같긴한데 상대가 말하고자 하는바가 뭔지 파악하려고 노력을 해보고 말을하면 좋겠네요. 자기가 아는거 나왔다고 태클걸 생각만 하지말구요. 전자 스핀의 운동량 합값이 1이어야 한다는게 팩트인건 맞지만 쉽고 와닿게 설명하기 위해서 즉시 정보를 알 수 있다는 부분을 강조한 것이죠.

    • @user-ii8ec2wy1z
      @user-ii8ec2wy1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애초에 제대로 설명할려고 했으면 앞면, 뒷면이 아니라 동전의 스핀 방향으로 설명했겠지...
      대중들에게 설명하는 비유에서 그 요지를 생각 못하는 그 능지니 타인에게 아줌마라고 비하하는 거겠지

    • @dr.klim7
      @dr.klim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ㅋ 저 교수 설명 잘못한건 맞음. 근데 빛 보다 빠르게가 아니라 속도랑은 관계없이가 맞음. 속도랑 상관없이 비국소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아인슈타인이 빡쳤던거. 양자얽힘이 중첩상태가 깨지는걸 상대가 알기 위해서는 무조건 빛의 속도 이하를 거쳐야됨.

    • @ccmt2568
      @ccmt256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차피 동전이 아니라 전자고 앞뒤가 아니라 스핀인데 뭐 그거 하나 더 틀린다고... 앞과 뒤, 뒤와 앞이라 해도 어차피 맞는비유 아님

  • @user-px5wf5jv4h
    @user-px5wf5jv4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양자어r킴

  • @user-kl3bu5it8l
    @user-kl3bu5it8l 24 วันที่ผ่านมา

    얽힘 발음 이상하네

  • @user-zh4jw6zj9k
    @user-zh4jw6zj9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즘은 고대에서 교수들이 연구를 많이 합니다. 아주 좋은 현상이죠. 발전하는 학교죠

    • @AssociazioneCalcio
      @AssociazioneCalci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좌고우면 하지말고 고대로만 하면 됩니다!

  • @leezweb
    @leezweb ปีที่แล้ว

    둘 다 모지리들이여.

  • @user-ug7zo4hc8e
    @user-ug7zo4hc8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방송에 나와서 돌아디니지 말고 연구실에서 연구를 해라

  • @narabreeze9388
    @narabreeze938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황우석 같은데?

  • @user-ui9om6sr5d
    @user-ui9om6sr5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 교수님 섹시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