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라이트] 영국의 해가 지는 이유가 수학 때문이다? (어예진 해담경제연구소장)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5 ก.พ. 2025
  •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13

  • @YeahKhan-hc5zh
    @YeahKhan-hc5zh ปีที่แล้ว +76

    꼭 이공계에 진학하는 것 아니더라도 추상적으로 사고 할 수 있는 능력이랑 과제에 집중할 수 있는 힘을 기르기 위해 누구나 다 배워야 함.

    • @litchig8015
      @litchig8015 ปีที่แล้ว +4

      나는 이렇게 불특정 다수에게 ~을 해야한다는 강박관념이 한국 사회를 병들게 하는것 같음
      모두가 해야하고 게다가 잘해야하고 그래서 못하는 사람은 무시당하는 문화가 고여서 현재의 평균올려치기에 도달해버림
      수학 좀 못하면 어때 수학과 관련없는 일 하면 되고 아니면 관련있는 일 할때 배우면 되지
      나도 인서울 나왔지만 어차피 서연고 아니면 인정받지도 못하고 상위10%지만 평균취급받는게 당연한 시대에 행복 하기는 너무 어렵다

    • @todietfordietbydiet3814
      @todietfordietbydiet3814 ปีที่แล้ว +1

      똑같은 논리로 경제 등 문과학문도 필요하다. 추상적 사고를 수학만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건 그만큼 지능 낮다는 증거니까

  • @controlmyselfj463
    @controlmyselfj463 ปีที่แล้ว +28

    수학은 유형별 접근을 해서 수학문제만풀려고 존재하는 학문이 아닙니다. 어떤 정의에 입각해서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추론하는 연습을 하는 학문이고 더 나아가서 새로운 정의를 세우고 그 정의에 입각하여 논리적으로 새로운 것을 찾는 학문이에요. 이걸 알고 철저히 수학에 재능있고 관심있는 사람들이 어릴때부터 이렇게 사고훈련을 할수있게 교육시스템을 만들어야해요.

  • @재성김-r8n
    @재성김-r8n ปีที่แล้ว +1

    수고많으셨읍니다!!!짝짝짝😀😀😀😀😀😀😀😀😀😀😀😀😀😀😀😀😀😀😀😀😀😀😀😀😀😀😀😀😀😀😀😀😀😀😀😀😀😀😀😃😃😃😃😃😃😃

  • @WON-v8l
    @WON-v8l ปีที่แล้ว +43

    우리나라도 선택과목제로 인해 수포자가 많아지고 점점 비슷해질듯 합니다

    • @BP-ui6bv
      @BP-ui6bv ปีที่แล้ว +7

      선택과목이 좀 이상한거 같긴함

    • @userganada
      @userganada ปีที่แล้ว

      우리나라가 식민지가 있음? 뭐가비슷해? ㅋㅋ

    • @jmree76
      @jmree76 ปีที่แล้ว +5

      걱정 안하셔도 되요 .이제수1수2 확통이 공통입니다.

    • @jihojio2118
      @jihojio2118 ปีที่แล้ว

      그래서 바뀜 ㅋㅋㅋㅋ

  • @호두마루-b6x
    @호두마루-b6x ปีที่แล้ว +132

    18살 때 처음으로 통신사에 직접 핸드폰을 맞추러 갔었음
    그때 폰 반납+할부 계약+기존 통신사 해지 지원금 등등등 떠들면서 계약서를 쓰라고 줬는데
    폰팔이는 나한테 바꾸는 게 무조건 이득이라는 식으로 쉴 새 없이 떠들었음
    그래서 나는 서술형 수학문제 풀듯이 계산서를 공식으로 바꿨음
    문자를 다 걷어내고 공식으로 만들어 보니 내 손실이 마이너스 100만이었음
    특히 할부 원금과 기존 폰 가격 염가 측정, 가족 결합 해제, 필수로 가입해야 하는 5g 요금제, 사실상 대여가 되는 폰 반납이 주 원인 이었음
    수학이 어른 대면 쓸 일이 없다는 건 개소리라고 생각하게 됨
    수학을 알면 적어도 폰팔이한테 사기 당할 일은 없어짐 그것 만으로 인생에 존나 의미 있음
    숫자로 보면 진실이 보임 그러니까 우리 애들도 수학을 포기 안했으면 좋겠음
    수학적 사고도 문제풀이 능력도 삶에 정말 큰 힘이 되어줄 수 있으니까
    어렵다고 포기하기에는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너무 큼

    • @민트랑-l4m
      @민트랑-l4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유-s1u 직접 계산한거보면 그 감성까지 포함해서 본인에게는 이득이 아니란 거죠

    • @sunnym296
      @sunnym29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유-s1u 일부로 x(전체의 부분으로 라는 의미) 일부러 ○ (생각해서, 의도적으로 라는 의미)

    • @유니스-v6g
      @유니스-v6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이렇게 지적이신 양반이 존나‘ 라는 말 좀 빼면 안되나? 수학만 사랑하지말고 국어도 사랑해줘요

    • @user-ml1ux1hl3g
      @user-ml1ux1hl3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논점에서 벗어난 얘기

    • @_chobi3248
      @_chobi324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유-s1u
      내가 물건의 가치를 인정하고 비싸더라도 사겠다는 것과
      계산 능력이 안돼서 사실상 손해인 걸 이득인 줄 알고 속는 것의 차이를 구분 못하세요?
      정말 저 글의 맥락이 뭔지 안 짚히세요?
      글을 읽고 요지를 파악하는 능력도 교육의 결과인데..

  • @ponydog-i8y
    @ponydog-i8y ปีที่แล้ว +9

    재미있게 설명하는 어예진소장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Kk8rmot
    @Kk8rmot ปีที่แล้ว +1

    어예진은 사랑입니다

  • @regandamien
    @regandamien ปีที่แล้ว +26

    한국에서 학교를 다니고 미국에서 대학에 진학해서 수학과에 들어갔는데 졸업반이 되어서야 '아, 수학이 이런거구나' 하고 어렴풋이나마 감이 조금 오더군요.. 뭔거 헛 살아온 느낌어었습니다.

    • @jac256
      @jac256 ปีที่แล้ว +7

      한국은 기초를 가르치지 않아요
      응용을 잘할까봐

    • @득키-i7w
      @득키-i7w ปีที่แล้ว +6

      그건 님이 재능이 없어서..

    • @김혜영-j2k7i
      @김혜영-j2k7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국도 대학 수학과의 수학은 고등때까지의 수학과는 다르다고 하더라구요 수학점수 높은 학생들이 수학과에 진학했다가 이탈하거나 적응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 @dalliimkim9427
    @dalliimkim942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어예진소장님 ❤❤❤

  • @alu3019
    @alu301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5

    미적분학을 영국인인 뉴튼이 만든건데 뉴튼이 들으면 개탄할 일😢

    • @user-op4ds1np9x
      @user-op4ds1np9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뉴튼이 나뻣음 후배들 수학지식도 다가지고 가서 천재가 되서 후손들이

    • @alu3019
      @alu301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op4ds1np9x ㅋㅋㅋ

    • @파크냐아수투아루
      @파크냐아수투아루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뉴턴이겄지.. 아이작 뉴턴

    • @바캉스-o3y
      @바캉스-o3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뉴턴이 그정도 했으니 후대가 이럴게 잘살2ㅣ

    • @_chobi3248
      @_chobi324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파크냐아수투아루
      영국과 미국에서는 뉴튼이라고 발음 합니다.
      동남아, 일본식 발음은 뉴턴이라고 발음 하죠.
      우리나라도 일본식의 영향으로 공식 한글 표기는 뉴턴이라 되어있긴 한데..
      그렇다고 뉴튼이라 하는걸 틀렸다고 말 하는 건 ..
      정작 뉴튼이 살아나서 들으면 뉴턴은 뭐지? 할텐데 말입니다.

  • @user-justdoit79
    @user-justdoit79 ปีที่แล้ว +269

    수학의 핵심은 숫자나 계산에 있는게 아니라 사고방식에 있음
    수학적 사고는 인생에서 꼭 필요함

    • @jenniferturbulence
      @jenniferturbulence ปีที่แล้ว +39

      동감합니다.
      미적분 배워서 어따쓰냐고 할 수 있지만 미적분을 배우면서 길러지는 수학적 사고력, 논리력, 추상적 사고력, 수학문제들을 끙끙 풀어내면서 길러지는 문제해결능력 등이 더 중요한 거죠.
      또한 수리 능력을 기름으로써 전두엽을 발달시킬 수 있고 전두엽이 발달된 사람은 학습 능력도 우수합니다. 다른 학문들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거죠. 이때문에 한국의 상위권 대학들도 수능 수학 반영 비율이 높은 거구요.
      그런데도 수학이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본인이 수학을 못했기 때문에 하는 정신승리에 불과합니다. 수학 잘하는 사람들은 수학으로 얻을 수 있었던 효용을 알기 때문에 수학의 중요성을 역설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수학과 관계 없는 사람들이 외려 수학의 가치를 깎아내리기 바쁩니다.
      뿐만 아니라 선진국일수록 일자리가 더 고도화되기 마련인데 웬만한 고소득 직업들은 수학적인 배경이 있어야 합니다. 인공지능, 금융, 빅데이터, 반도체, 바이오 등등.

    • @pluto4614
      @pluto4614 ปีที่แล้ว +6

      Yacht dice 할 때 학통 좀 도움됨

    • @김동현-n7b5v
      @김동현-n7b5v ปีที่แล้ว

      @@pluto4614 야추요 ㅋㅋ

    • @user_historia_magistra_vitae
      @user_historia_magistra_vitae ปีที่แล้ว +9

      산수와 수학을 동일시 하는 인간들이 너무 많죠ㅎ

    • @yhpdoit
      @yhpdoit ปีที่แล้ว +2

      하지만 그걸 가르치는 수학 과정은 어디에도 없는걸.

  • @djpeter1Y
    @djpeter1Y ปีที่แล้ว +19

    시험,성적따위보다 답을 맞히는 것보다 답을 찾는 과정이 중요하다

  • @samac_suninjang
    @samac_suninjang ปีที่แล้ว +12

    하이라이트 좋아요...늘 1시간넘는걸 봐야했는데...핵심포인트로 맥을 짚어주니 너무 좋네요~

  • @김정-g6q
    @김정-g6q ปีที่แล้ว +37

    수학 잘하는 법은 원리를 가르치고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가능한지 예를 들어서 풀고 자꾸 흥미를 일으키는게 중요합니다. 수학에 재미들면 정말정말 그 원리를 깨우칠때마다 자꾸 빠져들게 되는데 문제는 문제를 풀기용으로 배배꽈서 지치게하는데 있다고 봅니다. 한마디로 질려버리고 공포감을 일으키는 고약한게 문제입니다.

    • @AA-ty5zq
      @AA-ty5zq ปีที่แล้ว +1

      님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건 수학이 아닙니다.
      그냥 IQ 테스트

    • @김정-g6q
      @김정-g6q ปีที่แล้ว +2

      @@AA-ty5zq 그렇군요^^
      그런데 저는 중고등학교를 수학에 야무리 공부해도 안되더군요.수학성적도 꼴찌 어느쯤.. 공포감을 느끼고 거의 포기했다가 졸업후 한참 나중에 시간많이 났을때 심심풀이로 서점에 가니 생활수학이 있더군요. 문과졸업 기사자격증 몇개 취득한 선배에게 물어보니 조언을 하더군요. 기초도 부족하고 그래서 중학교 참고서를 수학정석을 천천히 보니 원리가 궁금하고 재미 있더군요. 그래서 공업수학등 대학수학에까지 공부하게 된겁니다.

    • @AA-ty5zq
      @AA-ty5zq ปีที่แล้ว +1

      ​@@김정-g6q 수학의 본질은 공리에서 부터 시작합니다. 약속에서 시작한다고 하죠. 한국 학생들에게 실수에서 1+0=1이 왜 성립하냐고 물어본다면 어떻게 대답할까요. 대부분 당연하다며 설명 못 합니다.
      field 에서는 덧셈에 대한 항등원이 존재하고(공리) 실수에서는 그 항등원이 0 인 겁니다. 그래서 1+0 =1 인 겁니다. 수학은 전부 이렇게 이루어져 잇습니다. 공학 수학이라고 말하는 것도 수학은 아닙니다. 공학 산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학생들이 왜 수학을 못할까요.
      애초에 우리 처럼 산수로써 수학을 배우지 않는다라는 점이 크게 작용합니다. 매우 어렵거든요. 한국 학생들 대부분 대학 와서 그 쉬운 선형대수학에서 무너집니다. 이것만 봐도 얼마나 한국 학생들이 수학을 못하는지 알 수 있죠.
      뭐 그렇습니다. 이 이야기를 왜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 @김정-g6q
      @김정-g6q ปีที่แล้ว +1

      @@AA-ty5zq 선형대수학에서 무너지는 학생 많은가보네요. 저는 서점에서 선형대수학 구매해서보니 재미있던데요. 요점은 수학이든 산수든 원리를 깨우치고 흥미를 가지게하는게 수포자 양산하는것 보다 월등히 좋다고봅니다.

    • @ragnaheil
      @ragnahei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김정-g6q
      데이터학부생 입니다.
      솔직히 복소해석학 위상수학 실해석학 미분기하학 같은 학부3학년 과목부터 어려워지기 시작하지 선대나 다변수미적분은 할만합니다. ㅎㅎ

  • @samsungrobotics
    @samsungrobotics ปีที่แล้ว +10

    ♥♥♥ 어예진 소장님 사랑해요! ♥♥♥

  • @나베쥴리
    @나베쥴리 ปีที่แล้ว +2

    하루를 기분 좋게 만들어 주는 이예진님^^

  • @김한기-u7d
    @김한기-u7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예쁘고 유능한 어예진 소장님 넘 멋져요^^

  • @극단적다이어트
    @극단적다이어트 ปีที่แล้ว +19

    상식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개발에 수학이 필요하죠.

  • @당근-z6k
    @당근-z6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수학을 잘 하면. 삶의 많은 이익 사고력 인내 세상을 보는 시야가. 넓게보는 안목 🎉❤ 공부 합시다

  • @jw1174
    @jw117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우리가 7위인게 놀랍고 영국이 저 수준인데 17위라는것도 놀랍

  • @과연니말이
    @과연니말이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수학의 핵심은 논리이나, 애초에 우리나라식으로 하는 교육으로는 논리 사고방식이 직접적으로 뛰어나지거나 발전하진 않음, 또한 단순 산수라도 쓸모 없거나 하지 않음, 전 국민적 레벨에서 산수를 일정 수준 한다는 것도 분명 메리트가 있음

  • @jgk4127
    @jgk412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영국은 수학 때문에 망해 가는게 아니라 금융계 같이 쉽게 돈을 많이 벌수 있는 곳이 많이 있어서 제조업으로 똑똑한 사람이 오지 않기 때문이다

  • @정재성-c1l
    @정재성-c1l ปีที่แล้ว +3

    어떤 계층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지가 의문입니다. 일반인들이 수학을 못하는 것과 공대진학하고 공부하는 엔지니어가 될 사람들이 수학을 못하는 것은 엄연히 다르죠.

  • @jdmdj2012
    @jdmdj2012 ปีที่แล้ว +37

    국민이 똑똑하면 정치가들이 피곤하니까. .. 우민화 정치의 선두국가.... 영국

    • @verace-d5j
      @verace-d5j ปีที่แล้ว +6

      +일본

    • @tepliche
      @tepliche ปีที่แล้ว +1

      그럼 중국은 머임?

    • @user-op4ds1np9x
      @user-op4ds1np9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똑똑하면 국가에 반항하면 불이익받는다는걸 알아서 아닐까요

  • @jeongbaepark9512
    @jeongbaepark9512 ปีที่แล้ว +59

    수학은 돈계산하기 위하여
    배우는게 아니고
    사고력 생각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배우는 것이므로
    대학까지 필수로
    해야합니다!!

    • @MrSeungseung
      @MrSeungseung ปีที่แล้ว +3

      사실 수학도 암기과목임. 사고력? 수능점수 앞에 무력화됨.

    • @vanivenii
      @vanivenii ปีที่แล้ว +2

      쓸데없는짓임

    • @sagupalgu
      @sagupalgu ปีที่แล้ว +2

      돈 계산이 제일 중요해 이 양반아

    • @MrSeungseung
      @MrSeungseung ปีที่แล้ว +1

      @@sagupalgu 그건 산수

  • @nationalgigugraphic
    @nationalgigugraphic ปีที่แล้ว +3

    뉴튼이 울고갈 현재의 영국이네요..

  • @user-골드메리부동산TV
    @user-골드메리부동산TV ปีที่แล้ว +14

    이프로가 리시수낙이 스마트하고 교활하다 (캬~)는 평가가 참 재미있어요,언더스텐딩을 보는 재미죠

  • @몰리나르
    @몰리나르 ปีที่แล้ว +11

    진짜 수학이 전혀 안되는 아이는
    이 원인으로 해서 이 결과가 나오고
    또 이게 원인이 되어 이 결과로 이어진다는걸 이해를 못해요.
    그래서 있던것을 이유없이 없애고
    근거 없이 새로운게 튀어나오죠.
    모든 현상을 이해하는데는 필요한 인과를 가장 심플하게 이해시키는게 기초수학의 원리이죠.

    • @장재혁-i4f
      @장재혁-i4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몰리나르 대화 안되는사람도 그런 논리가 없더라고요

  • @초보엠엘비
    @초보엠엘비 ปีที่แล้ว +1

    어소장님 입은 티셔츠가 언더스탠딩에서 파는 옷인가요?

  • @graycain
    @graycain ปีที่แล้ว +134

    나도 수포기자지만 공대 출신이고 수학은 수학자체만으로 논리적 사고에 도움을 준다. 그래서 대학까지 기본 교양으로 대수학까지는 필수로 해야 된다고 봄.

    • @smilekyung8043
      @smilekyung8043 ปีที่แล้ว

      ,

    • @godio2
      @godio2 ปีที่แล้ว +1

      공대도 대수학을 배우나요??

    • @jac256
      @jac256 ปีที่แล้ว +11

      수학을 잘하고 과학이 발달하면? 집권자가 사기를 치거나 착취를 못하죠
      중세시대

    • @graycain
      @graycain ปีที่แล้ว +8

      @@godio2 선형대수 미적분학 교양으로 배웠네요. 전공으로 공업수학 들었고.

    • @박해민-f6z
      @박해민-f6z ปีที่แล้ว +7

      @@jac256 ㅇㅇ 수학엔 기분나쁘고 싫고는 들어가지 않기에 청자의 감정적인 태도를 전제로 해야하는 선동행위는 줄어들거같음

  • @shingundon
    @shingundon ปีที่แล้ว +14

    그리고 수학은 일상생활에 쓸모가 분명히 있죠.

    • @ForeverEomthx
      @ForeverEomthx ปีที่แล้ว +4

      일상생활이 아니라 인류가 이루어논 모든 과학문명의 기초가 수학임. 그냥 수학자체가 인류자체라고 봐야됨.

    • @hyunsookim6096
      @hyunsookim609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ForeverEomthx그건 맞는데, 일상생활에서는 그닥 쓸모없죠...

    • @DaddijjossEverybody
      @DaddijjossEverybod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ForeverEomthx 일상생활에 필요 없는건 맞지. 카드안쓸때 거스름돈 받을때나 필요했는데 이젠 카드결제만 하니 그것도 필요 없지.

  • @jayj9999
    @jayj9999 ปีที่แล้ว +3

    16:40 리시 수낙 총리가 지금 무슨 짓을 해도 다음 선거에서 보수당이 이기기는 힘들 겁니다. 지금 영국 보수당은 10년 넘게 집권했는데 그동안 민심 잃는 마일리지를 차고 넘치게 쌓아서 내년 선거에서 노동당으로의 정권 교체는 거의 확정적이라는 게 일반적 예상. 아마 지금 두 당간의 지지율 격차가 역대급일 겁니다. 물론 노동당 우세. 애초에 수낙이 땜빵 총리가 된 것도 보수당 입장에서는 어차피 정권 잃을 거 더이상 큰 사고 치지 말고 정권 말기를 안정적으로 운영해보자 뭐 그런 의미가 강했죠. 전임 보수당 총리들(보리스 존슨, 리즈 트러스)이 줄줄이 개인적인 대형사고를 치고 나간 게 너무 치명적.. 영국 보수당의 수준이 이렇게 떨어진 건 브렉시트를 둘러싼 갈등, 포퓰리즘의 문제 등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얘기고요.

  • @snrkqkqh
    @snrkqkqh ปีที่แล้ว +27

    수학교사 이민으로 받으면 갈 사람들 많을 것 같은데.. 대한민국 연구비도 줄었는데 대한민국 이공계 인력들은 과외 경험도 많아서 잘 가르칩니다..
    그런데 이진우 기자님과 안승찬 기자님 두 분 모두 '가르켜'라고 하시네요. 기자님들이 그러시면 안돼요.

  • @스카벨
    @스카벨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수학은 상상,응용,이해,독해력등을 키워주는 기본이다

  • @kssxssk
    @kssxssk ปีที่แล้ว +1

    썸네일에 있는 음수 계산은 우리나라에서도 중1에 처음 배웁니다~

  • @kgcm-st9lj
    @kgcm-st9lj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찌보면 정말 살기좋은 나라구나..걱정없이 살아도 경쟁없이 살아도 되는 나라인 증거인가 행복지수가 높겠지

  • @행주아찌
    @행주아찌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한국의 중3학생들은 이 시험을 제대로 풀지 않습니다! 이 시험성적이 다른 시험처럼 생활기록부에 등재하지 않아서 대충풀고 자는 학생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순위가 낮습니다!

  • @junname.1600
    @junname.1600 ปีที่แล้ว +44

    수능 수학 같이 어떻게든 꼬이서 못 풀게 만든 문항들이 문제지 수학수업 자체는 진짜 생각을 하게 만들어주는 과목임

    • @chaostar88
      @chaostar88 ปีที่แล้ว +1

      생각은 개뿔.... 공식 외워서 기계적으로 문제 푸는데 무슨 생각

    • @이무성-h8j
      @이무성-h8j ปีที่แล้ว +3

      @@chaostar88 너 공부 못하는구나 ㅋㅋㅋ

    • @몽쿠르제
      @몽쿠르제 ปีที่แล้ว +6

      88년생 형님, 세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수학적 개념을 깊이있게 이해 못하면 1등급은 커녕, 2등급도 어려워요.
      그시절에서 사고가 멈춰계시지 마시고 좀 알아보세요.

    • @jaeyonglee296
      @jaeyonglee296 ปีที่แล้ว +2

      @@몽쿠르제 현실은 그런 문제도 유형별로 외어서 빨리 풀기 때문에 창의적 사고를 할 시간이 없습니다.
      또한 깊이 있게 풀어야 하기에 미적분에 올인한다는 것입니다. 기하, 확률, 대수 등 타 분야에 대한 학습 내용이 영미 수준보다 떨어집니다.

    • @myungmyungsiuuu
      @myungmyungsiuuu ปีที่แล้ว +4

      ​@@jaeyonglee296무슨소리입니까?
      미적분 뿐만 아니라 따른 단원도 수능 수학에 한해서는 단순히 유형을 외우는 것만으로 풀 수 없습니다.

  • @Ggg-iw9xg
    @Ggg-iw9xg ปีที่แล้ว +1

    그래서 무서운거야 수학을 찐 좋아하는 사람이 수학을 하게 된다는거야!!!

  • @지선이닷
    @지선이닷 ปีที่แล้ว

    말도 이쁘게 하네

  • @kyoung-minkim1693
    @kyoung-minkim1693 ปีที่แล้ว

    참 아이러니 한 것이 시험과 성적이라는 틀에서 벗어나니 수학 할만하더군… 이제 와서 정석 푸는 나를 보며 스스로 놀라워 하고 있음

  • @무허공-z7n
    @무허공-z7n ปีที่แล้ว +1

    수학은 아주 못했는데, 나름 명문대 공대 기계공학과에 갔고, 그걸로 밥먹고 살았음.
    공대는 수학을 잘 못해도, 학문을 하는 게 아니고 만들어진 공식을 쓰는 거라서 잘 만들어진 공식만 풀 수 있으면 별 문제는 없음.
    공학은 새로운 공식을 만드는 게 아니고, 만들어진 공식을 쓰는 거고, 그 공식을 풀어내는 수학이 필요한데, 그건 푸는 방법만 잘 외워도 별 문제없음.

  • @daheecho6844
    @daheecho684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영국 지배층의 국가전략입니다.
    피지배층 즉, 중산층 이하가 무지해야 지배층이 이들을 쉽게 통치할 수 있으므로
    교육 등에서 상당한 제약을 주는 거. 글이나 가까스로 읽고 덧셈뺄셈 정도 할 수있게 교육 시키는 거.
    마치, 일제 강점기 시절 일제의 교육 정책과 일치하는 정책인데,
    영국은 식민지 국가들을 이런 식으로 교육시켰죠... 그 정책을 영국 스스로 지난 세기동안 시행해온 결과물입니다.

  • @jamescunard1545
    @jamescunard1545 ปีที่แล้ว +19

    만 16세는 중학교 과정을 마치는 나이가 아니고 우리나라로 치면 고둥학교 2년과정을 마치는 것이 며 이것이 영국의 고등학교 과정을 마치는 과정입니다.

  • @WNANF주물
    @WNANF주물 ปีที่แล้ว +1

    교육의 질은 교육열을 이기지 못한다. 의지만 있으면 거꾸로 매달아 놔도 공부 하거든... 근데 시스템이 아무리 좋아도 공부 안 하겠다는 인간 답 없다.

  • @마오쩌둥장제스차이잉
    @마오쩌둥장제스차이잉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의 수포자는 영국의 수포자에 비하면 수학을 훨씬 잘 하는 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 수학 교육에 문제가 없는 건 아닙니다. 한국 교육계는 정치인들이 사걱세라는 아마추어 시민(?)단체에 휘둘려서 수학 범위를 너무 줄였죠. 범위를 줄인다고 수포자가 덜 생기는 게 아닌데 말입니다. 범위를 줄이면 문제 하나하나를 꼬아서 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가지게 되는 지식의 양은 적어지면서 문제만 어려워지게 되죠. 학생들은 지식의 양이 많아서 수학을 어려워하는 게 아니라 지식이 문제 해결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학을 어려워 하는 것입니다. 수학 범위를 늘려도 모든 과목 가운데 지식의 양은 가장 적은 과목이 수학입니다. 수학 범위를 원래대로 돌려놔야 합니다. 한국 수학교육은 영국에 비하면 훨씬 낫지만 마냥 수학 범위를 줄이는 게 능사는 아닙니다. 정치인들 제발 아마추어들 말에 휘둘리지 말고 수학 교수나 수학 교사들이 하는 말을 경청하세요.

  • @ringstar9348
    @ringstar9348 ปีที่แล้ว

    텃밭에 물주기도 끝에가서는 미적분이 나옵니다. 그 수준까지 가지 않으니 미국의 농업과 차이가 나지요.
    미국은 황무지에서도 작물을 잘 키웁니다.

    • @godio2
      @godio2 ปีที่แล้ว

      농업 차이는 수학의 차이라기 보다 토양의 차이인것 같습니다.

  • @salsaong
    @salsaong ปีที่แล้ว +18

    미적분을 풀다 대학을 나와도
    자신의 퇴직금 계산을 못하는게 문제 인듯...

  • @이븐할둔-t3o
    @이븐할둔-t3o ปีที่แล้ว +3

    옥스포드 대학에서 수학은 문과 소속이라던데요. 문제적 남자에 김지석씨 형이 나왔을 때 그러더라구요. 세상을 이해하는 언어라나? 😭

  • @안녕-k8r5c
    @안녕-k8r5c ปีที่แล้ว +3

    대학생 수학능력은 우리나라보다 높을텐데.....
    우리나라는 계산 능력만 뛰어나고
    영국은 사고력으로 수학을 풀고
    확실히 주입식 교육은 평균치를 올려주는 데는 일가견이 있는듯 하지만
    랭킹 높은 대학 수학과에는 우리나라 사람이 별로 없다는 사실도 좀 이야기 해주시지...

  • @왕곰곰이-y6g
    @왕곰곰이-y6g ปีที่แล้ว +4

    주식을 하면서 또다시 수학적 사고의 중요성을 또 느끼고 있음 기초 확률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해 도박처럼 감만 믿고 투자하는 사람들이 태반임...

  • @baaraam1048
    @baaraam1048 ปีที่แล้ว +25

    한국도 남말할 상황은 아닌 것 같음. 초중등 학생들을 보면 성적에 대한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 없다 보니 자신이 똑똑한지 멍청한지, 공부를 잘하는 것인지 못하는 것인지 구분을 못하는 경우가 허다함. 그러다 보니 공부를 더 하고 싶어도 기준 자체가 없어서 자신이 똑독한 줄 알고 노는 애들이 엄청 많지요. 교육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라면 지금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알고 있으리라고 봅니다.

    • @wrwsxf
      @wrwsxf ปีที่แล้ว +1

      성적이 안나오나요? 그꼴을 부모들이 용인하나요?

    • @baaraam1048
      @baaraam1048 ปีที่แล้ว +7

      @@wrwsxf 중학교 1학년 까지는 전국적으로 평가하는 시험 자체가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식이 잘하는지 못하는지 알 방법이 없음.

    • @몽쿠르제
      @몽쿠르제 ปีที่แล้ว +1

      중1까지만 공부하나. 그 이후로 고3까지 하는 것만으로 배우는건 충분합니다.
      그리고 교육에 조금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알아서들 준비하겠죠.재무재표 보니까 초등 사교육비가 더 커졌더만.
      부모세대보다는 똑똑할테니 걱정마셔요.그보다는 마인드셋과 태도가 말아먹은걸 걱정해야할테지만요.

    • @ganadarago
      @ganadarago ปีที่แล้ว

      내 조카 초등6학년이 학원다니는데 영어를 잘하는지 모른데서 다른거 필요없고 이번 고 3 9월 풀려 그랬더니 83점나옴 걍 고등학교꺼 풀려보면 답나옴 어려울거 없음 왜냐면 학원 다니는 목적과 학없 성취도 평가하고 싶은거니 대학진학과 직결된 문제 풀려보면됨 간단하잖음?

    • @jihojio2118
      @jihojio2118 ปีที่แล้ว +1

      @@baaraam1048내년부턴 중1 셤쳐요

  • @JangSaengKIM
    @JangSaengKIM ปีที่แล้ว +1

    어릴때 많은 경험을 할수있게 해야 합니다. 그래야 자기에게 맞는 분야를 찾을수 있죠....예제로 야구 재능 전 세계 일등이라도 야구를 모르면 그냥 평범한 사람이 되는것이죠.
    영국도 선택하면 할수있는것이니 문제 없다고 봅니다... 그냥 정치인의 정치 행위 일뿐이죠.

  • @wongkalee5832
    @wongkalee5832 ปีที่แล้ว +9

    한국은 국어가 폭망중인데 곧 따라가겠네요 우린 해가 뜬적도 없는데ㅋㅋㅋ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ปีที่แล้ว

      애초에 국립국어원 표기 자체 설명 논리가 엉터리에요. 애들이 엉터리 수업을 어떻게 소화하겠어요.

  • @romancepower1200
    @romancepower1200 ปีที่แล้ว

    어~~~
    예진이 이뻐
    진짜 이뻐

  • @goooooooooooooooooooooooooooo
    @gooooooooooooooooooooooooooo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썸넬보고 놀래서 들어왔다 ㄷㄷ

  • @석양에물든강나루
    @석양에물든강나루 ปีที่แล้ว +1

    수학공부하다보면 은근 잼있어. 근데 그걸 꼭 해야되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 @Xiang-Ba-La
    @Xiang-Ba-La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머리 태움
    가장 혈기 왕성 함으로 반항 할 나이니, 수학으로 머리를 태워야 관리하기 쉽지

  • @apexphoenix5978
    @apexphoenix597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16세 이상인 아이들이 하는 에이레벨에서 수학을 선택한 아이들은
    수준이 높아요. 16세 이하 아이들은 기본만 하면 됩니다. 에이레벨에서 수학을 선택하려면 지씨에스이 성적도 높아야 선택이 가능합니다. 결국은 수학을 해야 하는 아이들은 수준 높게 공부를 하고 안해도 되는 학생은 안해도 되는 구조입니다. 대학의 과마다 과목을 요구하는게 다릅니다. 수학이 필요없는 과를 선택한다면 수학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 @jaehyouklee8765
      @jaehyouklee876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예.... 통계없이 학문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이 있나요? 하다못해 철학도 명제는 배워야 할 거 같은데....

  • @paraisoan8491
    @paraisoan8491 ปีที่แล้ว

  • @Jabdahan1
    @Jabdahan1 ปีที่แล้ว

    이거 봤던건데 다시 올린건가 ???

  •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 ปีที่แล้ว +17

    영국이 저물게 된 배경엔 수학저하도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
    그러나 개인적으론 세계사적 패러다임의 대전환에 기반한다고 생각한다 .
    영국이 세상을 지배했던 200여년 전후엔 영국은 지리적으로 매우 유리한 상황이었다.
    우선 다양한 자원을 수탈할 수 있는 식민지역인 이프리카가 배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서양으로 연결돼 있었고 과학발전을 선도했었고 . . .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식민지배도 어려워졌고 첨단과학분야도 중국과 미국이
    주도하게 됐고 . . .
    그나저나 어예진소장님 예쁘십니다 ^^

  • @celestynkuon4588
    @celestynkuon4588 ปีที่แล้ว

    이번 수능 지켜보자!

  • @효경김-n4g
    @효경김-n4g ปีที่แล้ว +4

    영국은 어릴때 부터 자기가 좋아하는걸 깊게 파고들게 하는 교육방식,

  • @고장난컴
    @고장난컴 ปีที่แล้ว +2

    넘 많이 해도 문제고, 너무 안하면 망하는거나!

  • @mercutio4846
    @mercutio4846 ปีที่แล้ว +12

    만약 중국이 넘버원이 된다면 인구, 국토, 자원이 아니라 교육때문일 거라고 100% 확신.
    중국의 중고생들의 수학 물리 어문 화학의 학습량이 비교가 불가... 부모들의 교육열도 장난이 아니고..
    지역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중국학생이 중. 고등학교를 공립학교에서 살아 남는 게..
    한국에서 인서울정도의 수준임.. 여기서 밀리면 직업학교 사립학교나 유학을 가야 함.

    • @심재혁-v2u
      @심재혁-v2u ปีที่แล้ว +5

      인도가 대박임
      수학이랑 과학 두과목

    • @나니-v4w
      @나니-v4w ปีที่แล้ว +3

      늦었음! 엄청난 교육열에 의한 학습은 앞으로 AI때문에 효용성이 많이 떨어지는건 정해진 일~
      높은 교육열에 의한 효과는 우리나라가 시기적으로 가장 좋았다고 볼수 있을듯~

    • @제로-g7k
      @제로-g7k ปีที่แล้ว +3

      ​@@홍길동-c1i7b비율이 낮은건 맞지만 중국은 비율이 낮아도 그 자체로 인구가 많아서 네이처나 사이언스나 중국이 미국다음으로 엄청 많이 내고 있고 특히 양과 질의 수준이 엄청높아 졌음

    • @alphacentauri6761
      @alphacentauri6761 ปีที่แล้ว

      모르는 사람이 아는체 하면 안됨...

    • @하냐하-e6w
      @하냐하-e6w ปีที่แล้ว

      여기 중국본토 pisa결과는상해 베이징 장수등에서 선별적으로 학생들을 모아 나온결과 입니다. 본토를 대변한다고 할수는 없죠. 다만 imo ipho등에선. 최상위권이나 이정도 레벨은 선천적인 면이 중요해서 공부많이한 결과라기 보단 많은 인구중 비율에서나온 천재나 수재의 힘이라 볼수 있겠죠.

  • @Rachel-v9e
    @Rachel-v9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이들의 이해력 수준과 GCSE, A-LEVEL의 수학 수준은 정반대.
    개념위주로 가르칠려는 우리나라와 달리 계산위주의 영국식 수학교육도 수포자 양성과 관련있어 보입니다. 영국식 교육을 받는 아이들은 따로 과외를 받아야할 지경이예요.

  • @doslrnt
    @doslrn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선진국이 오래된 나라들의 공통점이긴 함. 결국은 딱히 경쟁하지 않아도 부자는 안 되지만 먹고 살만한 사회적 시스템이 갖춰져 있으니 소수 엘리트 빼곤 대부분 공부를 안 하는거고 조상 잘못 만나서 밑바닥에서 급성장해야했던 신흥국들은 갑자기 많은 인재들이 필요했고 경쟁이 치열해야 나라가 발전하니 모든 국민들에게 고등교육과정을 주입식으로 가르쳐왔던거고
    물론 정답은 없음. 후발주자의 방법이 성공적일수도있고 기초학문으로 수많은 노벨상을 갖고 있는 선진국들의 소수엘리트 교육이 더 효율적일수도 있는거고

  • @mchoi6764
    @mchoi6764 ปีที่แล้ว +1

    16살 까지 배우고 17살 부터는 선택입니다. 16살까지도 의무로 가르치는데 수준이 떨어져요. 인도나 아시아인들은 영국에서 어느정도 수학이 되는데 영국 학생들은 안하고 싶으면 기본레벨만 하면되요. 대학준비 과정에는 선택해도 되고 안해되 되요. 다들 선택안하고요.

  • @2je0jagga
    @2je0jagga ปีที่แล้ว +1

    그 수학적 사고가 경제를 망가뜨린 경우가 바로 PF 의문제라는 거다. 수학에서 미래의 문제을 가정리하는 단계까지 성급하게 가버리면 힘든 사람이 너무나 많아 진다~그래서 건설사도 은행도 돈빌려서 아파트 구매한 영끌족들도 수학때문에 방하게 된 케이스일 수 있어~
    수학적인 문법이 억지스러운 약속된 기호(문자)가 싫은 사람들이 많다. 나도 그런 종류다~
    그 약속된 기호는 함수부터는 그 대화가 싫어지는 거야~ 그 약속을 쉽게 해야지 조금이라도 수학하게 된다~
    악속된 기호를 이해를 충분히 받아드리는 인간들은 수학 잘 하게 되지~ 그 기호를 다 알지도 모하는데 다른 단계로 넘어가면 포기하는 사람이 점점 많아진다~ 수학을 잘 이해하는 사람이 언어적인 문법에 잘안 맞아지면 서로 싫어진다~ 수학과 문학이 잘 융합돼야 수학이 더 잘 된다~
    수학을 싫어하는 사람은 "~라고 치고 ~라면' 하는 가정의 단계에서 산수에서 수학의 기호에서 부터 싫어지는 사람이 반정도 된다~

  • @asyncronize
    @asyncroniz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나라 수학은 그냥 산수라고 보면 돼죠. 암기해서 답을 도출하는…이런 공식이 왜 나오나 풀이를 해보고 해야하는데 그런 건 전혀 없죠. 수학적 사고가 길러져야하는데 암기 능력만 기르죠. 이게 전부 변별력을 높인다고 문제는 많고 시간은 없기 때문에 문제의 유형을 기억하고 공식 기억해서 대입해서 풀도록 만들죠. 대학가서 심화는 커녕 취업준비로 바쁘니…..

  • @MrHyde-yr5vr
    @MrHyde-yr5vr ปีที่แล้ว +1

    수학이 사는데 딱히 직접적이진 않겠지만 인간의 논리적 사고력에 직빵이라 필수로 배워야 한다고 봄
    단순히 그냥 잘 살고 먹고 사는데 별문제 없지 않느냐? 라고 한다면 할말이 없음

  • @니자신을알라-w9g
    @니자신을알라-w9g ปีที่แล้ว +2

    대한민국은 수학천재 과학천재들도 다 의사 되는 나라

  • @정규태-k7r
    @정규태-k7r ปีที่แล้ว +1

    영국은 수학은 못하지만 나라는 유지한잖냐?
    남한은 인구감소로 나라가 사라지게생겼잖냐?, 예진아!.....ㅋㅎㅎㅎㅎ

  • @홍차왕자-f7k
    @홍차왕자-f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대한민국도 많은 진보진영 교육자님들이 그렇게 교육하자고 해욤

  • @happyhappy-e6e
    @happyhappy-e6e ปีที่แล้ว +4

    영국은 철저히 엘리트 중심사회입니다. 중학교 졸업시험 GCSE 성적부터 평생 따라 다닙니다. 기본 성적이 안되는 학생들은 고등학교, 대학교 진학하지 말고 일찌감치 직업학교로 진학하라는 것입니다. A-LEVEL 과정부터는 대학선수과목 과정이라 갑자기 난이도가 엄청 어려워집니다. 1, 2학년 레벨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대신 과목은 4개 전후로 깊게 공부합니다. 법대, 상대, 공대, 자연대를 가고자 하는 학생들은 대체로 수학을 하지만 기타 인문사회계 학생들은 전공관련 과목을 합니다. 좁고 깊게 공부하는 체계입니다. 그래서 대학은 3년 과정이고 오직 전공과목만 합니다. 원래 귀족들만 공부했던 나라라서 우리나라하고는 완전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happyhappy-e6e
      @happyhappy-e6e ปีที่แล้ว

      @@CH_Sudal 현재도 왕족, 귀족이 존재하는 사회라는게 다르죠.

  • @홍주원-q5d
    @홍주원-q5d ปีที่แล้ว +19

    성인되고 나서야 수학이 재미있더라구요~
    학창시절엔 왜 그리 재미가 없었는지 ㅠㅠ

    • @bibi77lee10
      @bibi77lee10 ปีที่แล้ว +4

      맞아요 잘 안풀리는 문제 고민하다보면 1시간 훌쩍 지나가요

    • @jihojio2118
      @jihojio2118 ปีที่แล้ว +3

      성인이 되고 나서 사고 능력이 발 하신게 아닐까요? 대기 만성형

  • @bdaddy5790
    @bdaddy5790 ปีที่แล้ว +1

    영국은 중학교 부터 계산기로 계산할 수 있게 계산기를 준다.

  • @메존일각고다이
    @메존일각고다이 ปีที่แล้ว

    수학 잘한다고 돈을 더 벌지는 못하는 건 맞는 말이나. 그런나 수입이 일정한 상황에서 지금 당장 수입을 올리는 건 같은 수입을 지출을 잘 통제해서 줄이는 것보다 훨씬 힘들다.
    한마디로 실현 가능성이라는 현실적 측면을 고려하면 계획을 잘세워서 자신의 재정상테를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운영하는게 맞는 말이다.

  • @자유인-t6f
    @자유인-t6f ปีที่แล้ว +1

    한국도 학교 가보면 수포자가 절반이 넘으니 영국 걱정할건 아니라고 봅니다~

  • @yp-gt5di
    @yp-gt5di ปีที่แล้ว

    영국 수학를 걱정할 게 아니라 우리나라의 수학을 걱정해야 할 듯 합니다. 우리나라 수학과 교수와 학생들의 수준을 영국과 비교도 해 주세요.

  • @hempenful
    @hempenfu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졸업시험 제도는 마음에 든다.

  • @happyhappy-e6e
    @happyhappy-e6e ปีที่แล้ว +3

    영국에서 어릴때부터 교육 받아보신 분이 강의했으면 더 좋았을것 같습니다.

  • @fdk2881
    @fdk2881 ปีที่แล้ว +2

    이분 영국 너무 모르시네.. GCSE 수학은 foundation 이랑 higher 나뉘고 수학에 더 관심 있으면 further math 도 할 수 있는데.
    수포자용인 foundation 가지고 이런 예기 하시네..ㅎㅎ
    수학 점수가 평균 이하여도 기회가 더 많은 영국이 교육시스템상 한국보다는 더 좋은 것 같은데요. ㅎㅎ

  • @azzinny
    @azzinny ปีที่แล้ว

    9:14 인도가 안보이네요

  • @kokoro33250
    @kokoro33250 ปีที่แล้ว +1

    미적분 만들어놓은 뉴톤이 통곡하겠네!

  • @JHS-gu4lw
    @JHS-gu4lw ปีที่แล้ว

    우리나라도 한번 조사해봐야 하지 않나요?
    우리나라도 수포자가 많다고 하니...
    그래야 비교가 제대로 될듯....

  • @anhaa8186
    @anhaa8186 ปีที่แล้ว +1

    안 배우고 쉰거 푸는 것과 , 외워서 어려운거 푸는 것의 결과는 같습니다.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ปีที่แล้ว +1

    국가경쟁력엔 기초수학 능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리시 수낵이 아예 틀린말은 한건 아닌데 그동안 영국이 그렇게 방치한 이유는 기초수학을 배운 사람과 기초수학을 배우지않는 사람들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기본적 연산 능력이 떨어지니 국민들이 냉정한 분석 능력의 유무임. 국민들이 똑똑해질 수록 계산적으로 생각하게되서 정치에서 누굴 찍어야 좋아지고 안좋아지를 명확하게 판단이 가능해짐. 이는 영국이 신자유주의 국가에서 유럽 같은 복지국가로 전환할지도 모른다는걸 의미함. 그래서 영국 기득권인 보수당 입장에선 국민들의 연산능력을 높이는걸 지금까지 방치한 이유는 자신들의 이익때문이라는거죠...... 우리나라 노인들이 독재향수를 그리워하며 비논리적이게도 묻지마 국민의 힘당을 지지하는것이랑 같은 흐름이라고 볼수있습니다.. 그래서 영국의 이익에 배반되는 브렉시트를 노인들이 밀어붙인거고요..
    우민화 정치의 산물이라는거죠....

  • @5Delly5
    @5Delly5 ปีที่แล้ว

    14:45 수포자야 그렇다 치지만 이게 굉장히 충격이네요
    나라에 수학전공자가 아닌 사람을 수학을 가르친다라... ㄷㄷㄷㄷ
    마치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수학은 패턴이다 외치던 그 선생과 다를 게 없지 않습니까?

  • @kimalonzo280
    @kimalonzo28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 = -2 다보기 힘들어서 이거말고 다른답있나요?

  • @iliillliili6401
    @iliillliili640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리나라도 애들 수학 어려워한다고 수학 어려운부분을 자꾸 빼자고 얘기나옴.
    어려운걸 배우려고 학교 다니고 수업듣는거지. 쉬운것만 공부할거면 의무교육 왜하냐. 앞으로 it시대 살아남으려먼 수학은 필수인데, 그걸 의무적으로 애들 가르치겠다고 세금 들여가며 초중고 교육시키는건데 말야

  • @whl6676
    @whl667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느나라던지 끌어가는 것은 소수 엘리트집단이죠.
    수학기준만으로 하면 울나라 싱가포르가1등이겠지만
    수식보다도 창의력이 더 중요하구요.

  • @JK-kp7gw
    @JK-kp7gw ปีที่แล้ว

    수학은 자연의 언어다. 과거 순수문돌이였던 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ปีที่แล้ว +2

    세상에 수학이 선택과목이었다니ㄷㄷ

  • @참사랑-j9s
    @참사랑-j9s ปีที่แล้ว +1

    일단 영어 안하고 수학만 하면 되니깐 얼마나 좋을까?

  • @네버다이유
    @네버다이유 ปีที่แล้ว

    나는 영국이 걱정 되는게 아니라 한국이 걱정됩니다 한국이 소멸하지 않을까 장기 저성장은 극복못할 과제입니다 앞으로 살아갈 아이들 한국에서 태어나게될 수많은 아이들은 고통을 짊어지고 살게 될것이고 노인 부양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의 자아 실현을 위해서 한국을 많은 사람들이 떠나게 될것입니다 정말로 고민이 많아요

  • @크흠-u2y
    @크흠-u2y ปีที่แล้ว

    pisa 통계는 지원자의 평균이라 전국민의 통계하고는 동떨어지기 때문에 주제하고는 동떨어진 통계 같아요. 실제로 영국 순위 17등인거 봐도 그렇고

  • @마리아노매덕스
    @마리아노매덕스 ปีที่แล้ว +8

    뉴턴이 웨스트민스터 사원 무덤에서 일어나겠다.

    • @김진수-j9j7k
      @김진수-j9j7k ปีที่แล้ว

      스티븐 호킹, 앨런 튜링도 같이 일어날듯 합니다. 세계 최고의 수학 , 과학자들이 즐비한 영국을 우리가 걱정하다니

  • @아이자올튼
    @아이자올튼 ปีที่แล้ว +1

    수학 교사에 돈을 따블로 줘봐 바로 해결된다. 학생들도 수학배우고 싶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