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 도대체 시간이란 무엇인가? _ by김상욱|2019 가을 카오스강연 '도대체 都大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 ธ.ค. 2019
  • [강연] 도대체 시간이란 무엇인가? _김상욱|2019 가을 카오스강연 '도대체 都大體'
    ◆연사: 김상욱 _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패널: 정애리 _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모더레이터: 송민령 _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강연개요◆
    시간은 존재하는가? 시간은 연속적인가? 시간은 한 방향으로 흐르는가? 시간은 본질적인 것인가? 아니면 보다 본질적인 것의 부산물인가? 이런 질문을 던지는 동안에도 시간은 흐르고 있다. 아니 정말 흐르기는 하는 걸까?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많은 시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패널토의◆
    1. 도대체 도대체 시간이란 무엇인가?
    2. 천문학과 시공간
    강연 자료는 카오스재단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bit.ly/38B5rwT
    (하단 강연자료 참고)
    -
    과학의 신세계♥카오스재단
    ~ 홈 ikaos.org (가입시 강연 행사 안내)
    페 북 kaosfoundation
    유튜브 / kaosscience
    인스타 kaosfoundation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7K

  • @user-vm5qg6lp5t
    @user-vm5qg6lp5t 4 ปีที่แล้ว +8171

    시간은 존재 하지 않는거 같습니다. 여러 여자들에게 물어봤는데 다 시간이 없다고 합니다.

    • @user-wo1xg9ho4c
      @user-wo1xg9ho4c 4 ปีที่แล้ว +244

      ㅎㅎㅎ

    • @user-wo1xg9ho4c
      @user-wo1xg9ho4c 4 ปีที่แล้ว +770

      그녀들이 바보네요ㅎㅎ이렇게 센스쟁이신 분을 못알아보다니 ㅎㅎ

    • @SamuelSmith1221
      @SamuelSmith1221 4 ปีที่แล้ว +190

      내생에는 잘 생긴 얼굴로 태어나길..아니 여자로 태어나시길..

    • @user-pq6ow4ml5t
      @user-pq6ow4ml5t 4 ปีที่แล้ว +148

      귀얍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NDREW_BIKE
      @ANDREW_BIKE 4 ปีที่แล้ว +467

      시간에 대해 물어보는 순간 여자가 입자가 되었군요.

  • @user-rw4mt2tw5u
    @user-rw4mt2tw5u 3 ปีที่แล้ว +115

    초등학생때 빨리 주말이 왔었으면 좋겠다고 매일 생각했다
    그래서 주말만 기다렸고 기다리다 보니 중학생이 됐고 고등학생이됐고
    웃긴건 한학년 올라갈때마다
    공부의 양이 많아지고 어려워져서
    그전 학년이 좋았지 라고
    생각하게됀다
    문뜩 생각났다
    내가 지루하게 기다리고 기다렸던
    시간인데 현재 나는 지나간 시간을 그리워하고 있다
    갑자기
    현재살고 있던시간이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미래를 기다리기 위해서살고있는 시간인가
    지나간 과거를 그리워 하며 살고있는 시간인가
    그래서 나는 그냥 하고싶은걸 하기로 했다
    왜냐하면 지금에 하고있는 시간이 어차피 나중엔 그리워하고 돌아가고 싶어한다는 걸 알았기때문이다

    • @user-yy2gm2ov5v
      @user-yy2gm2ov5v 3 ปีที่แล้ว

      ㅠㅠ

    • @happiness4560
      @happiness4560 3 ปีที่แล้ว +8

      제가 수년동안 가져왔던 의문들, 깨달아온 것들을 문장으로 표현해주셨네요. 또 많은 생각을 하고 갑니다. 감사해요.

    • @jwchoi2395
      @jwchoi2395 3 ปีที่แล้ว +2

      !

    • @book6076
      @book6076 3 ปีที่แล้ว +7

      우와 이런 철학적 생각을... 감사합니다

    • @kisungcho9114
      @kisungcho9114 2 ปีที่แล้ว +4

      지난 과거가 고통스러웠거나 즐거웠거나 그것이 과거가 되고 기억이 되어 버리면
      그 기억 속에서 벗어날수만 있다면 그것이
      속박이 되지 않으면 기억에 집착하지 않으면
      현재는 평화로운 시간이 되는것 같습니다
      현재가 평화로우면 과거나 미래에 구속되지 않는 안정이 있겠죠

  • @user-nq8bi3sd5y
    @user-nq8bi3sd5y 3 ปีที่แล้ว +40

    자금 자기전에 몇개월째 듣고 있는데 늘 처음듣는거 같아요 내일 밤에도 또 올거에요~~잘자요

  • @user-jk5ti5dg3t
    @user-jk5ti5dg3t 19 วันที่ผ่านมา +3

    이틀 연속으로 꿀잠잤읍니다.... 오늘밤도 이거 틀어놓고 잘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ko6fc2dx5z
    @user-ko6fc2dx5z 2 ปีที่แล้ว +12

    엔트로피의 증감이 빅뱅 이론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감탄이 절로 나왔습니다. 학창 시절 배웠던 수학 과학의 각종 공식은 저에게 문제를 풀기 위한 수단에 불과했고, 막연하고 추상적으로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수학 과학을 싫어했는지도 모릅니다. 본 강연을 통해 공식이 등장하게 된 배경이나 그 공식이 정확히 무엇을 구하는 것인지 알게 되니 물리학이 매력적으로 다가오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시간에 대해 사유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세상을 보는 눈이 한층 넓어진 것 같네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Mathetraveling
    @Mathetraveling 4 ปีที่แล้ว +34

    v(dt)=v(0)+adt 를 우주의 지금 순간과 다음 순간에 대한 점화식이라고 읽어내시네요.. 수학 공식이 아름답다는 말을 하시는 분들은 어쩌면 식을 이렇게 읽어내시는 건가...진짜 엄청난 내공이시다..

  • @user-vk4si8cv1p
    @user-vk4si8cv1p 3 ปีที่แล้ว +47

    항상 생각해보던 주제였는데 소중한 강의 감사힙니다.
    저에게 시간은 '에너지에 흐름? 이나 변화?' 이런 거 아닐까 생각합니다.
    강의 다시 한번 감사힙니다.^^

  • @soso-gb5ht
    @soso-gb5ht 2 ปีที่แล้ว +4

    좋은 강연을 유튜브로 볼수있다는게 너무 좋아요

  • @BBLENDERBB
    @BBLENDERBB 4 ปีที่แล้ว +24

    드디어 업로드 되었군요!! 감사합니다 잘 보겠습니다~~

  • @ILoveJungSungHa
    @ILoveJungSungHa 4 ปีที่แล้ว +26

    카를로 로벨리 의
    [시간은흐르지 않는다]읽고
    아하~했던 사람들 다시 여기로 모일듯 ~ 아니면
    그반대로 이 강의 보고
    책 찾아볼까 암튼!

    • @user-jm5ge1qo2d
      @user-jm5ge1qo2d 4 ปีที่แล้ว +4

      읽었는데 ....ㅋㅋ어렵더라구요 ...우주에다가 양자개념을 도입 ...시공간도 양자화적인 특성을 보인다...우리들의 희미한 시각😊

  • @user-ds6pj4qx8e
    @user-ds6pj4qx8e 2 ปีที่แล้ว +11

    덕분에 어제도 잘 잤습니다. 계속 틀어놨는데 목소리가 얼마나 나긋나긋하신지 한번도 안깼네요. 오늘도 잘 부탁드립니다♡

  • @user100b
    @user100b 3 ปีที่แล้ว +70

    30:00 엔트로피, 시간의 방향
    1:22:54 빛과 시간의 관계

  • @user-ku3wd8ym5e
    @user-ku3wd8ym5e 4 ปีที่แล้ว +33

    와 정말 기다렸습니다... 밤마다 자기 전에 꼭 보겠습니다~~

    • @user-xl9ox7ef1x
      @user-xl9ox7ef1x 4 ปีที่แล้ว +3

      수면제로 쓰기엔 양 100마리 세는것보다 훨신 효과가 좋소..

    • @dkargo2245
      @dkargo2245 4 ปีที่แล้ว

      ㅇㅈ....

    • @dkargo2245
      @dkargo2245 4 ปีที่แล้ว

      ㄹㅇ ㄲㅈ

    • @user-kd4wo9si3s
      @user-kd4wo9si3s 3 ปีที่แล้ว

      왜?잘라고?

    • @wlfkfakgk
      @wlfkfakgk 2 ปีที่แล้ว

      ???

  • @0000007n
    @0000007n ปีที่แล้ว +7

    진짜 똑똑 하게 질의를 해주시니 나름 공부가 많이 됐네요

  • @user-pr5qz1hg2z
    @user-pr5qz1hg2z 2 ปีที่แล้ว +47

    학문이 깊으신 자연과학자들의 담백하고 솔직한 토론 재미있게 봤어요. 감사합니다.

  • @joannelee4582
    @joannelee4582 2 ปีที่แล้ว +4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반복 청취를 해야 그나마 전체를 볼수있을 거 같아요.

  • @shs3406
    @shs3406 4 ปีที่แล้ว +91

    너무나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물리학자는 아니지만 도대체 시간은 뭔가를 다시한번 되뇌이며 들을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카오스 강연때 직접 현장에서 들었는데 다시한번 유트브에서 보니 새롭고 좋습니다.

    • @user-rw7gh5sp9b
      @user-rw7gh5sp9b 2 ปีที่แล้ว +3

      그래서 시간이 뭔지 요약좀요..

    • @yukihyde1
      @yukihyde1 2 ปีที่แล้ว +6

      @@user-rw7gh5sp9b 실재하지 않는 무엇이며 물리적 계산을 위한 도구이다. 끝.

    • @mirr660
      @mirr660 ปีที่แล้ว +3

      @@user-rw7gh5sp9b 현재로서는 물리학자들도 명확히 설명하지는 못하고 다만 비유를 들자면 현실에 -3 -2 -1 0 1 2 3 4 5 6…같은 숫자가 존재하는지와는 관계없이 이데아의 개념으로 수를 도입하면 물질 현상계를 설명하는데 아주 유용한 것처럼 시간도 실재하느냐 마느냐를 떠나 그 시간 개념을 도입하면 물리학으로 물질 현상계를 더욱 깊이있게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된다고 보는 선에서 일단 타협을 보게 되는군요..

    • @user-mt7kc6we1y
      @user-mt7kc6we1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더 본질적이고 쉽게 설명해줌. 물질이나 물체, 상호작용으로 인해 운동에 의한 변화가 시간이란 개념임. 물리학에서는 실재성이 중요한데 시간을 관측할 방법은 없고 오직 운동에 의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현상만 관측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시간이 실재하는지 알 수 없어요. 시공간은 그저 x,y,z,t 방향 좌표, 운동->변화=엔트로피 증가. 수학적 계산할때 매우 유용함. 여기서 당신은 증명되지 않은 시간을 믿는 것은 자유입니다.

    • @user-ik8qq6vq6t
      @user-ik8qq6vq6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mt7kc6we1y 더 어려운것 같은데요..

  • @user-gp8lp4md5l
    @user-gp8lp4md5l 4 ปีที่แล้ว +112

    '과학은 논쟁이다', '떨림과 울림' 등 교수님의 여러 책들을 읽고 교수님을 존경하게 되었습니다. 잃어버린 제 꿈도 찾아주시고 그 간에 궁금했던 것을 이렇게 강연으로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toppick-today
      @toppick-today ปีที่แล้ว +3

      아주 오래전 읽은 어느 물리학책에서 시간은 동작의 연속이다라고 정의 되어 있더군요. 동작의 연속을 통해서 사람들은 순서(시간)을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stand_in_awe
      @stand_in_awe ปีที่แล้ว +3

      @@toppick-today ㅁㅁ

    • @stand_in_awe
      @stand_in_awe ปีที่แล้ว +1

      @@toppick-today ㅁㅁㅁ

    • @kangjake9390
      @kangjake939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oppick-today😂😂

  • @user-uy8su5su8d
    @user-uy8su5su8d 2 ปีที่แล้ว +71

    경이적인 500만뷰 기록을 기념하기 위해 다시 시청하러 왔습니다 여러번 반복해서 들을수록 가치있는 강의입니다 500만뷰 추카추카🎈🎉🎈🎉🎊

  • @godot7992
    @godot7992 2 ปีที่แล้ว +2

    학교다닐때는 재미없었는데, 강의를 잘 하셔서그런가 우주를 바라보면 생기는 호기심이 다시금 생겨나는 느낌입니다!!

  • @bizworld70
    @bizworld70 4 ปีที่แล้ว +95

    믿고 보는 김상욱 교수님, 수십번씩 반복해도 재밌어요~~

    • @skyinthe908
      @skyinthe908 4 ปีที่แล้ว +23

      물리학계의 아이돌이신듯

    • @mrgoodheaven3047
      @mrgoodheaven3047 4 ปีที่แล้ว +2

      만번 들어도 쉬운 문제하나 풀기 어려울걸요
      강연과 강의가 다르기 때문에요 한번 듣고 책을 보세요

    • @rebelion_official
      @rebelion_official 4 ปีที่แล้ว +21

      @@mrgoodheaven3047 문제 풀려고 들으세요?? 교양이죠.

    • @user-is6lv8ju9e
      @user-is6lv8ju9e ปีที่แล้ว +1

      @@mrgoodheaven3047 평생 그렇게 고지식하게 사십쇼

  • @user-um5yy6uv7l
    @user-um5yy6uv7l 4 ปีที่แล้ว +1305

    우주영상틀고 잠들었는데 눈뜨니까 여기

    • @user-dq3yj2rq5y
      @user-dq3yj2rq5y 4 ปีที่แล้ว +60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pe5lx8tm5q
      @user-pe5lx8tm5q 4 ปีที่แล้ว +29

      저두ㅋ

    • @woosiki
      @woosiki 4 ปีที่แล้ว +14

      ㅋㅋㅋㅋ

    • @jlee3361
      @jlee3361 4 ปีที่แล้ว +65

      시간의 흐름을 경험하셨네요

    • @user-ls5ko8vq5v
      @user-ls5ko8vq5v 3 ปีที่แล้ว +29

      타임머신을 타신겁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간단에 웃었네요)

  • @albedobond3827
    @albedobond3827 3 ปีที่แล้ว +99

    와 이거 내가 찾아서 봤을 때만 해도 조회수 2천이 채 안 됐었는데 ㅁㅊ 320만회가 넘었다고…….? 대중들이 코로나로 인해 집에만 있으니까 형이상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구나

    • @user-xx1no8fj5n
      @user-xx1no8fj5n 2 ปีที่แล้ว +9

      그게 아니라 김상욱 교수가 여러 예능에 출연하기 시작하면서 유명세를 타서 검색해서 들어오시는 분들이 많으신걸수도

    • @TomboKopoli
      @TomboKopoli 2 ปีที่แล้ว +2

      들으면 잠이 잘와서 수면용 ASMR 로 쓰다 보니...

    • @winpengu9698
      @winpengu9698 2 ปีที่แล้ว +2

      전 th 발음 때문에 왔어요 노홍철 이후 제일 달게 발음하셔서요

    • @winpengu9698
      @winpengu9698 2 ปีที่แล้ว +3

      노홍철님은 트뜨 계열파라면 교수님은 쯔쓰 계열파세요

    • @yoyuyuk
      @yoyuyuk 2 ปีที่แล้ว +1

      @@user-xx1no8fj5n 그 사람 여기 있습니다🙋🏻‍♀️

  • @super-etendard
    @super-etendard 2 ปีที่แล้ว +11

    이거 보다가 한100번은 잠든거 같으니 제가 100뷰 이상 한겁니당 ㅋㅋㅋ

  • @uglyfafa
    @uglyfafa 4 ปีที่แล้ว +318

    저 엄청 똑똑한 사람이 보통사람이 이해하게 강의하는 능력이 대단하네요..

    • @xgfreedom
      @xgfreedom 3 ปีที่แล้ว +39

      아인슈타인이 말했죠 If you can't explain it simply, you don't understand it well enough. 저 분은 자기 분야를 이해하려 끝없이 노력하시는 분 같군요

    • @user-rb2jo7hb8o
      @user-rb2jo7hb8o 3 ปีที่แล้ว +5

      @@xgfreedom 그러고선 아인슈타인의 교수평가는 F...

    • @xgfreedom
      @xgfreedom 3 ปีที่แล้ว +8

      ​@@user-rb2jo7hb8o 교수평가가 무슨상관인지;; 그리고 아인슈타인이 1점만 받은 과목들은 아인슈타인이 출석을 하지 않아서였죠.

    • @user-kRyan
      @user-kRyan 3 ปีที่แล้ว +30

      그래야 진짜 똑똑한 사람 입니다. 자기보다 모르는 사람에게 이해를 시키는 사람

    • @user-oi6fg6sn5l
      @user-oi6fg6sn5l 3 ปีที่แล้ว +13

      어떤 이론을 어린아이도 알아들을만큼 설명할수 있음이 능력.

  • @user-eg5op4vi2n
    @user-eg5op4vi2n 4 ปีที่แล้ว +11

    김상욱 교수님 썸네일 만 보고도 두근두근 구독시작합니다 ^^~♡

  • @sarahlee8838
    @sarahlee8838 3 ปีที่แล้ว +141

    엄청난 공부와 준비를 하셔서 강의를 하셨다는걸 보는 내내 느겼습니다.
    대단히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user-mf6qr7to5p
    @user-mf6qr7to5p 3 ปีที่แล้ว +51

    시간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에 대해서 구체화 시켜주는 좋은 강연이네요!!!

  • @provider1963
    @provider1963 3 ปีที่แล้ว +51

    어려운 주제지만 시간 가는 줄 모르게 들었을 정도로 쉬운 설명으로 많은 것을 전달 받았던 시간 이었습니다.

  • @deusexmachina2472
    @deusexmachina2472 4 ปีที่แล้ว +518

    과거는 기억이고
    현재는 오감이고
    미래는 상상속에 있다

    • @user-kt8my1zm5k
      @user-kt8my1zm5k 4 ปีที่แล้ว +42

      아 맞네요.. 정말 인간의 기억만없다면
      시간은 없습니다

    • @user-ry8fn3xd5j
      @user-ry8fn3xd5j 4 ปีที่แล้ว +14

      명언이네여

    • @user-yb7vr2it9z
      @user-yb7vr2it9z 4 ปีที่แล้ว +33

      그래서 시간은 인간의 환상이라고 하죠

    • @user-co6gn9kd6y
      @user-co6gn9kd6y 4 ปีที่แล้ว +13

      와...진짜 정리 제대로 하셨네요

    • @iii8006
      @iii8006 4 ปีที่แล้ว +18

      공감합니다. 신학적 철학적 과학적? 으로 최초의 그리고 가장 정확?하다고 볼수 있는 사유를 한 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도 비슷한 설명을 합니다 아마 "과거= 기억 현재=인식 미래=기대" 라고 했던가...

  • @miu7928
    @miu7928 3 ปีที่แล้ว +231

    03:12 강연시작

  • @eunhyepark7971
    @eunhyepark7971 3 ปีที่แล้ว +222

    ㅋㅋㅋㅋ김상욱 박사님 개그 취저
    천문학자: 별 볼 일 있는 사람
    물리학자: 별 볼 일 없는 사람

    • @user-lw7ku5ut9y
      @user-lw7ku5ut9y 3 ปีที่แล้ว +7

      고로 물리학자는 영원불변의 천재? ㅎ

    •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ปีที่แล้ว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pf1jf6mx7f
      @user-pf1jf6mx7f 3 ปีที่แล้ว +8

      세상에.. 과연 배운사람의 농담은 다르다 ㅋㅋㅋ

    • @user-ui2sc5qv9i
      @user-ui2sc5qv9i 3 ปีที่แล้ว +1

      당신 누군데

  • @user-ch6jy7hs1e
    @user-ch6jy7hs1e 4 ปีที่แล้ว +26

    너무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기회에 질량에 대해서도 강의해주세요

  • @user-vc5mi4hw5e
    @user-vc5mi4hw5e 3 ปีที่แล้ว +103

    멋진 강연입니다 훌륭한 분들이 이렇게 많다니ㆍ 사회자 분의 목소리는 어느 아나운서 보다 듣기좋고 내용도 알차고매력적이고 강연자는 더 멋짐 패넬분도 짱 이구요
    잘 들었어요 감사하구요

  • @user-cr4jp4ts1j
    @user-cr4jp4ts1j ปีที่แล้ว +47

    정말 좋은 강연입니다.
    다시 대학 시절로 되돌아간 느낌이랄까..
    우리나라는 과학분야를 경시하는 풍조가 있어요. 미래는 수학, 과학의 시대인데...
    이런 훌륭한 강의를 편하게 집에서 들을 수 있는 것도 과학의 발달로 인함이죠...훌륭한 강의..감사드립니다.

  • @user-ht2vp5kp1t
    @user-ht2vp5kp1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얕게나마 시간과 물리학에 대해 접할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의미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 @user-rl7wq7bd3g
    @user-rl7wq7bd3g 4 ปีที่แล้ว +12

    김상욱님 응원합니다 ^^

  • @sh-kr
    @sh-kr 4 ปีที่แล้ว +37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김상욱 교수님 그리고 카오스 여러분.

  • @wupark79
    @wupark79 2 ปีที่แล้ว +2

    500만회 축하드립니다~

  • @lyg61
    @lyg61 3 ปีที่แล้ว +8

    멋진 강좌입니다.쏙쏙 이해 됩니다

  • @user-gr5hx7nv9f
    @user-gr5hx7nv9f 4 ปีที่แล้ว +33

    오우 김상욱교수님!!
    일단 댓글달고 몇번을
    시청할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g8xy6pk3c
    @user-hg8xy6pk3c 4 ปีที่แล้ว +58

    어렵지만 잼있다!!!

  • @VanillaEnglishReading
    @VanillaEnglishReading 2 ปีที่แล้ว +3

    좋은강연 감사해요!

  • @user-px6ox4mn5n
    @user-px6ox4mn5n 2 ปีที่แล้ว +2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하면 덕볼일이생긴다네요^^ 덕되는일들이 많이있으시길 바랍니다 ~^^
    빛나는 인생되세요 ~"

  • @user-qj9of1bj7d
    @user-qj9of1bj7d 4 ปีที่แล้ว +4

    측정되었기 때문에 의미를 가지는 개념인 것 같네요. 현대에 와서는 시계와 시간을 구분해서 봐야 할것도 같네요

  • @zasz7776
    @zasz7776 4 ปีที่แล้ว +194

    김상욱님 최근 유튜브에서 접해 뵈고 몇개의 영상만으로 깊은, 선한 영향력을 받은 고등학생입니다ㅎㅎ 평소 독서를 그리 즐기지도 않는 평범한 학생이지만 단번에 김상욱 교수님이 쓰신 책을 주문했어요ㅎㅎ 배송까지의 하루하루가 설렙니다 감사합니다😊

    • @user-nx2bv8dy3k
      @user-nx2bv8dy3k 4 ปีที่แล้ว +22

      이렇게 물리학도의 꿈을 갖게 되는 건가요~? 응원합니다~!

    • @user-jb7gw8mh1g
      @user-jb7gw8mh1g 4 ปีที่แล้ว +3

      @tangs Goos 글쎄요... 책을 읽은 독자로써 그 책에는 근거가 다 나와있고 일반인을 상대하는 것이므로 세세하게 다 안말한 것같네요. 양자역학에 관련된 책을 한번 읽고 말씀해주세요. 양자역학을 못믿으시다면 양자역학과 관련된 모든 것을 끊고 말하는건 어떤가요 너무 역설인 것 같아서요...양자역학없이살아야한다면 아마 당신은 인터넷없이 살아야 할겁니다.수고하세요^^

    • @user-jb7gw8mh1g
      @user-jb7gw8mh1g 4 ปีที่แล้ว +3

      @@tangsgoos4455 저도 양자역학에 대해 잘 모르고 책1권밖에 안읽었는데ㅜㅜ 님도 책1권 읽고말하세요.. 남보고 말하라고 뭐라하지말고ㅎ

    • @user-jb7gw8mh1g
      @user-jb7gw8mh1g 4 ปีที่แล้ว +3

      @@tangsgoos4455 양자역학이 어디가 어떻게 잘못되었는지 알려주세요ㅠㅠ 저건 강의에도 안나온거라서 궁금해요!

    • @jikhyeonham5482
      @jikhyeonham5482 4 ปีที่แล้ว +4

      tangs Goos 인스타 같은데 떠도는 거 들고와서는 어디 박사까지 딴 척 교수인 척 다 아는 척하고 실험이 다 잘못되었다는 건지 결합의 사슬에 의해 튕겨져 나올 확률? 그럼 당신 몸뚱아리 구성하는 원자 결합도 막 뚝뚝 끊기고 당신도 흩어지겠네 ㅋㅋㅋㅋㅋㅋ 더 공부하고 오세요

  • @minaperry553
    @minaperry553 3 ปีที่แล้ว +10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정확한 정보 최고의 유튜브 방송 수고 많이
    하세요, 다음 방송 기다리겠습니다
    건강챙기시고 조심 하세요🙏

  • @ssinghyeon
    @ssinghyeon ปีที่แล้ว +1

    와....큐브에서 시간의 역전과 시간의 방향을 동시에 설명하시는 부분에서 소리질렀습니다ㅠㅠ

  • @sh-pv6id
    @sh-pv6id 4 ปีที่แล้ว +64

    나무를 태울때 한순간 튀는 불꽃도 하나의 우주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주 찰나의 순간에 사라지는 빛이지만, 한편으론 빅뱅과 같은 것은 아닐런지...
    우리가 느끼는 시간 역시 상대적일 뿐이니, 시간을 무한대로 느리게 볼 수 있다면 그 불꽃 안에서는 무수한 우주가 생겨나고 우리 인류 같은 존재들이 나타났다가 사라질 수 있는 시간일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마찬가지로 어마어마하게 느리게 움직이는 시간을 가진 우주에서 우리의 우주를 본다면, 아주 찰나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불티에 불과한 존재일 수 있겠지요.

    • @user-wz1mf4sh4f
      @user-wz1mf4sh4f 4 ปีที่แล้ว

      리셉션..

    • @user-cv6eu3tq3z
      @user-cv6eu3tq3z 4 ปีที่แล้ว +4

      다중우주이론이네요 저도 오래전부터 그것을 상상해왔습니다. 그러나 상호간에 소통은 불가능하니 상상만 할수밖에 없겠죠.

    • @user-ou6pu2nz2c
      @user-ou6pu2nz2c 3 ปีที่แล้ว

      와 진짜 개소름

    • @user-jh1vy6vv5z
      @user-jh1vy6vv5z 3 ปีที่แล้ว

      심오하네요..

    • @ablack1897
      @ablack1897 3 ปีที่แล้ว +4

      같은 지구 안에서 우리와 매우 비슷한 중력을 받는 불꽃의 시간이 우리와 다를 수 없음. 질량이 인간보다 작고 속도는 눈에 보일만큼 느리니 우리가 보는 불꽃의 찰나는 불꽃한테도 찰나임

  • @user-cd4pd9xj2q
    @user-cd4pd9xj2q 4 ปีที่แล้ว +9

    그냥 내가 느낀 관점 시간..
    돈보다 소중한 시간.. 한번 생각해 보기는 하게 되지요..
    작은 방안에서 눈을 감고 생각하고 느낀 것은... 시계의 변하는 숫자들을 들여 봤습니다. 이것은 시간이 아닙니다. 들리는 수 많은 소리들 차소리 사람소리 등등등... 이것을 저는 사건이라고 본다면 각각 사건의 집합체는 바로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과거의 사건의 집합체는 추억 과거가 되는 것이고 지금 오감으로 느끼는 사사로운 사건의 집합체는 현재가 되는 것이겠지요..
    즉 현재의 시간= 현재 내가 모든 오감으로 느끼는 각각 사건들의 집합체라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 @soonyoungkim5
    @soonyoungkim5 3 ปีที่แล้ว +22

    감사해요~ 시간을 찾는 사람들의 노력의 역사가 참 감동이네요

  • @ziodin
    @ziodin ปีที่แล้ว +3

    강의 진짜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전 과학자도 아니고 물리학자도 아닌 그냥 생각이 많은 일반사람인데요, 사실 제가 평상시에 생각했던 개념이라 시간이 정말 후딱 지나갔네요. 여기다가 이런말 써도 되는지 모르겠는데, 시간은 존재했고 앞으로도 존재하겠지만 시간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개념화한건 인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간도 마찬가지 입니다. 공간도 존재하지만 그걸 공간이라고 부르고 개념화 한건 인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시간의 시작이 있다고 생각하고 공간의 시작과 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우리가 만들어 놓은 개념에서 그것의 시작과 끝이 있다라고 생각하고 그것에 대해 연구하는 것 자체가 전 인류최대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합니다. 굉장히 건방진 생각일수도있으나 아무래도 잘 모르는 일반인이라서 이렇게 생각할수도있겠죠.
    하지만 시간을 인간이 만들어낸 개념이라는 걸 인정하고 모든 물리학적 연구와 증명에서 시간의 시작과 끝. 그리고 공간을 어떻게 한정할 것인지를 이야기한 후에 연구와 증명을 시작한다면, 우리는 엔트로피가 1인순간도 알수있고, 그것이 어디에서 끝나는 지도 알수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시작과 끝은 있으니까요. 실제로 시간의 시작과 끝은 있습니다. 아기가 태어나는 순간이 그 사람의 시간이 시작되는 순간이고, 그 아기가 늙어서 죽는 순간이 그 사람의 시간이 끝나는 순간일 것입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 제가 생각하는 질문은 정의 혹은 한정되어지지 않은 시간과 공간이 과연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인거 같습니다. 그래서 전 조금 건방진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우주의 끝을, 우주의 시작을 찾는건 허상을 쫓는 것이라는 생각이 좀 더 강합니다. 물리학이나 양자역학이라는 것이 세상의 이치를 숫자를 이용해서 증명하고 알아가는 과정이라는 건 맞는 것 같지만 거기에서 시간이라는 개념이 모호하고 공간이 상대적이라는 것 때문에 증명되지않고 부정되는 수많은 것들이 만약, 증명 전에 시간을 언제부터 언제까지, 그리고 공간을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인지 한정한 후에 그리고 그 법칙이 다른 시간대에서도 가능한지를 증명하는 방식으로 해야 좀 더 시간이라는 개념을 정확하게 이용하는 과학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뻘 소리 일수도있지만 한번 던져봤습니다. ㅎㅎ

  • @user-wb6tg5jb1m
    @user-wb6tg5jb1m 3 ปีที่แล้ว +68

    와~! 김상욱 교수님 강의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p8go3qc2z
    @user-np8go3qc2z 4 ปีที่แล้ว +18

    김교수님 잘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AD_official
    @MAD_official 3 ปีที่แล้ว +2

    [강연] 도대체 시간이란 무엇인가? _김상욱|2019 가을 카오스강연 '도대체 都大體'

  • @user-rd2fm3uv5t
    @user-rd2fm3uv5t ปีที่แล้ว +2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상욱교수님.

  • @user-kt8my1zm5k
    @user-kt8my1zm5k 4 ปีที่แล้ว +5

    대박 감사합니다

  • @mrniihow
    @mrniihow 4 ปีที่แล้ว +13

    후반부 패널토론 코너도 재밌네요ㅋㅋㅋㅋ잘봤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gl9yz2ww7z
    @user-gl9yz2ww7z 3 ปีที่แล้ว +3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두고두고 볼 명강의가 생겨서 참 행복합니다.

    • @user-vv8mh7sx8s
      @user-vv8mh7sx8s 3 ปีที่แล้ว

      정말로 명강의 였습니다

  • @mh657
    @mh657 2 ปีที่แล้ว +3

    저에게 시간은 "변화의 양과 방향"이 가장 맞는 느낌이네요.
    관찰자가 모든게 정지한 도시를 바라보고 있다고 상상하면, 관찰자는 어떻게 시간의 흐름을 느낄까요?
    제 생각에는 자신의 사고, 호흡, 움직임 등 "변화"를 느끼기 때문에 대상이 정지해 있다고 느끼는게 아닐까 싶어요.
    되감기를 하는 영상의 시간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변화의 방향과 반대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거꾸로 가고 있다고 느끼고,
    되감기중이라는 것을 인지하는 순간 되감기하는데 정상적인 시간이 걸린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요.
    나 자신과 내 주변의 모든 현상이 내가 인식하고 있는 변화의 방향과 반대로 움직인다면 과연 반대로 움직인다고 생각할지 아니면 인식이 방향을 따라가기에 그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느낄지 생각해봐야할 것 같네요. 저는 후자라고 생각해서 결국 시간은 "변화의 양과 방향"이 아닐까 싶네요.

  • @ginik5984
    @ginik5984 3 ปีที่แล้ว +11

    짧게 지나가셨지만 우주를 객체와 주체로 나누는 행위가 시간을 만든다는 내용이 굉장히 새롭고 영감을 주네요. 제겐 설득력있게 들려요

    • @liliroi9048
      @liliroi9048 2 ปีที่แล้ว

      무슨말인가요 ㅠㅠ

    • @DIABLO-xy3jq
      @DIABLO-xy3jq ปีที่แล้ว

      @@liliroi9048 나와 당신. 행성과 행성처럼..
      서로 상대가 있어야만 생기는게 시간이다.. 라는뜻인듯.

    • @illusion3192
      @illusion3192 ปีที่แล้ว

      관찰자(주체)와 관찰대상(객체)를 (명확히) 나누어서 정의할 수 있어야먄, 관찰자가 관찰대상에 대해서 느끼는 시간이 있을 수 있다는 뜻 아닐까요?

  • @user-ol2lo3fu9c
    @user-ol2lo3fu9c 3 ปีที่แล้ว +3

    전 그냥 일반인인데~ ㅋ 학회 영상이었나요? ㅋ 잠이 안 올 때 우연히 발견해서 결국 잠못들고 새벽까지 들었네요. ㅋ 어릴 때 물리 개념을 이런식으로 배웠더라면~ 물리학을 전공하고 싶었을 것 같아요^^

  • @watermoredrink
    @watermoredrink 3 ปีที่แล้ว +56

    이 영상을 끝까지 보고나서 다시 강의 앞으로 돌려 고대 철학자, 과학자 들이 시간에 대해 했던 말들을 다시 새겨보면 이 사람들이 과학적 옳음을 떠나서 얼마나 대단하고 위대한 사람들인지 다시금 느낄 수 있음 ㅋㅋㅋㅋ 수천년이 흐른 오늘날 지금의 물리학자들이 하는 시간에 대한 본질적인 말을 기원전, 수백년 전에 하고 느끼고 답을 냈다는 거.... ㅋㅋ

  • @womynalwaysright_
    @womynalwaysright_ ปีที่แล้ว +31

    와… 중고등학교 때 과학에서 물리는 화학이랑 같이 가장 젬병인 과목이었는데.. 이 강의 들으면서는 귀가 쫑긋 세워지고 너무도 재밌게 들려서 놀랐습니다. 정말 강의를 잘 하시네요. 유익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정애리 교수님의 고견도 참으로 인상적이네요.

    • @user-zs6nh4mw9d
      @user-zs6nh4mw9d ปีที่แล้ว +2

      왜냐면 그걸 가르치는 교사들이 저 교수님 만큼의 깊이있는 이해가 없기 때문. 그냥 교육과정에 있는데로, 정해진 규칙과 이론, 그걸 나타내는 방정식과 계산방법만 가르치기 때문임

    • @DIABLO-xy3jq
      @DIABLO-xy3jq ปีที่แล้ว +2

      ​@@user-zs6nh4mw9d 그것보다 시험없는 지식은 원래 재밌습니다.^^

    • @user-zs6nh4mw9d
      @user-zs6nh4mw9d ปีที่แล้ว +2

      @@DIABLO-xy3jq 글쎄요, 저는 학창시절 시험성적에 신경쓰지 않은 과목 - 도덕이나 기술가정, 선택계열 반대 탐구과목 등을 배울 때도 수업이 재미가 없었거든요.
      반면 수업 잘하기로 소문난 선생님들이 가르치시는 과목이나 방과후 수업은 굉장히 재밌게 들었습니다.
      대학에서 교양수업도 마찬가지구용

  • @kjyshawn
    @kjyshawn 4 ปีที่แล้ว +51

    원래 생명체의 의식은 지금 보이는(들리고 감지되는..등등) 것 밖엔 없는 세계입니다. 인간도 그렇게 시작했어요. 우리가 말하는 시간은, 인간이 몸과 감각기관의 체험에 대한 기억을 배열할 수 있게 되면서 만들어 진 관념입니다. 배열의 간격이 시간의 간격입니다. 그 관념은 인간의 의식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존재방식과 융합하는 식으로 교육되고 전수 되어 왔어요. 지금은 붙박이 되어 고도화된 존재적 자아탐구 노력 없이는 (개체관념으로는) 실체를 간파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소개하신 위인들 중 뉴턴 말고는 모두 실체를 보신 듯 합니다. 뉴턴이 절대적 틀과 기반에 집착하는 것은 당연한 것 같습니다. 시간을 이해하려면 아인슈타인처럼 상대적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 시간이 뭔지를 알기 위해서는 관점이 사라져야 합니다. 그 자리는 우리가 흔히 들었던 ' 앞 뒤가 끊어지고 안 밖이 합쳐지는 자리입니다. 관점이 사라지는 상태에서는 시간이 없음을 알 수 있고 개체관점이 살아나면서 동시에 시간도 살아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관점이 생기기 위해서는 '물질과의 동일시'가 필요한데 이 '물질과의 동일시'가 발생하면 그 물질 입장의 관점이 생기고 물질은 변화해 가므로 그 기억을 배열하는 의식은 '시간(관념)'을 만들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의식을 가진 물질에게 기억력(뇌)이 발달하게 되면 발생하는데 그게 인간의 몸입니다. 시간은 우리 인간에게나 있는 거지 다른 동물에겐 잘(?) 없습니다. 너무나 관심가는 주제라 두서 없이 적게 되었네요. 김상욱교수님 언제 봐도 너무나 훌륭하세요. 감사합니다.

    • @jonghopark4274
      @jonghopark4274 3 ปีที่แล้ว +3

      그래서 나이먹으면서 새로운 경험이 점점 없어지면 시간이 빨리가는군요. 어릴때보다

    • @kjyshawn
      @kjyshawn 3 ปีที่แล้ว +2

      @@jonghopark4274 시간관념이 기억배열로 만들어지는 과거관념이므로 기억배열 사이 사이에 다양한 컨텐트가 없으면 시간이 빨리가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 타당한 것 같습니다 ^^

    • @dannyk2690
      @dannyk2690 3 ปีที่แล้ว

      뭐가 뭔지 잘 아시는 분이시네요 최고!!

    • @user-zx3wu4kx1j
      @user-zx3wu4kx1j 3 ปีที่แล้ว +1

      저는 교수님의강의에서 시간은 인간이 만들어낸 관념이라는 말도 이해하지 않았습니다. 굳지 인간이 아니더라도 삽엽충이나 원자라도 2개 이상 존재 해야 발생하는 사건이 시간이라는 것으로 이해 했습니다. 즉,시간은 상호작용 혹은 물질간의 괸계가 생기면서 당연히 발생하는 실체 하는 물리량 같습니다.

  • @laven119
    @laven119 3 ปีที่แล้ว +81

    꼭 물리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참 마음수양에 도움이 됩니다. 이 세상에는 알고나면 재미있는 것이 이렇게 많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니까요. 감사합니다!

  • @user-yamaejisik
    @user-yamaejisik ปีที่แล้ว +5

    양자역학적으로 표현해야할 것 같습니다. 가령 여자들은 시간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지만, 내가 물어보는 순간 결정되더군요. "시간 없어요."

  • @user-im2jx1qz9n
    @user-im2jx1qz9n 3 ปีที่แล้ว +50

    時間 시간
    '때와 때의 사이'라는 뜻의 한자말로 그냥 쉽게 받아들이고 싶네요.
    과학이 시간을 이해하기위해 저렇게 많은 연구와 정의를 내렸었다는것에 일반인으로서 잼있게 잘들었습니다.
    특히 과거 고대에 비해 중세를지나 산업혁명 부터 오늘날까지
    시간개념이 변화되어지는 이야기도 흥미로웠네요^^

    • @user-dt8hr4cb1l
      @user-dt8hr4cb1l 2 ปีที่แล้ว +16

      우리는 때를 노린다고 하고 이것은 기회를 엿본다는 뜻이죠
      즉, 더 쪼개면 '시' 라는 개념도 결국 본다는 개념입니다.
      결국 보는 것과 보는 것 사이에 차이가 시간이 되는 것이죠
      보통 인간에게는 기억과 기억의 차이가 시간이 되고
      과학자들에게는 물질을 관측해서 변화된 차이를 규정하는데 활용하는 개념이 시간이라는 겁니다.

    • @user-xq2tg2fk5s
      @user-xq2tg2fk5s 2 ปีที่แล้ว +2

      @@user-dt8hr4cb1l 지리네요..

    • @ssinghyeon
      @ssinghyeon ปีที่แล้ว +1

      때가 뭐죠 결국 시간 순환논리긴하네요

    • @myparks2k
      @myparks2k ปีที่แล้ว +2

      때 자체에 시간 개념이 들어가지 않나요? 도대체 때가 뭐냐는거죠

    • @beatmoon79
      @beatmoon79 ปีที่แล้ว +1

      @@myparks2k 김상욱 선생님이 그것의 본질은 모르지만 그것을 측량하는 것이 물리학이라고 하였으니깐, 때라는 게 뭔지 아무도 모르지만, 보는 것과 보는 것 사이를 측량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겠네요. 결론은 때라는 건 아무도 모르는 영역이겠네요

  • @SilverStarDaddy
    @SilverStarDaddy 4 ปีที่แล้ว +28

    누구나 피하고 싶은 주제를 정면으로 맞닥뜨린 그 모습이 참 멋지네요!!

  • @epikue
    @epikue 3 ปีที่แล้ว +7

    문외한에게 이렇게 이해할수있게 노력해주신것 감사합니다.

  • @user-vr5lm7vq2c
    @user-vr5lm7vq2c ปีที่แล้ว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을 주제로 설명한다는 것이 참으로 어려운 일인데..시간이 무엇인지 현재로선 명확한 정의를 내릴 수 없다고 하셨이만 이해를 돕는 설명을 잘 해주셔서 우리가 그것의 정확한 실체는 알 수 없지만 어렴풋이나마 윤곽이라도 잡을 수 있지않았을까 생각됩니다.우주를 주체와 객체로 나눔으로해서 시간이라는 것이 생겨난다는 것과 절대적인 시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일어난 사건의 순서가 시간이라는 것 등등 평소와 다른 시각으로 시간이라는 개념에 접근해 볼 수 있었던매우 흥미로운 시간이었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hm1nu3qg5g
    @user-hm1nu3qg5g 3 ปีที่แล้ว +1

    일반 상대성과 양자역학에서 시간의 개념이 충돌하면서 이해가 되지 않아 공원에서 한두시간 종이와 팬을 들고 끄적이다 혹시 괜찮은 영상이 있을까 싶어서 들어왔는데 명쾌하네요...사실 저는 좀 더 나아가곤 싶긴 합니다 그래도 감사합니다 이렇게 매끄럽게 조화로운 정보들을 나열해서 보는건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일이니까요

  • @jyp6017
    @jyp6017 4 ปีที่แล้ว +3

    시간과 기억의 연결성.. 그리고 .. 시간의 축은 어쩌면.. 내가 살아있는 순간에만 느끼는 현상인가? 재미있군!!! 역사는 흐르지만, 역사는 지금, 지금일뿐 인가? 그냥 있는거!

  • @user-jf7dk1pv3g
    @user-jf7dk1pv3g 4 ปีที่แล้ว +4

    진실은 불편하다.
    사실에 묶여 버리면 ,, 익숙해 버리면,, 진실은 낯설고 어색하다.
    김상욱님.... 님의 생각은 빛보다 빠르다오..

  • @user-gc7mv1tl3p
    @user-gc7mv1tl3p 2 ปีที่แล้ว +13

    이런주제를 다뤄주셔서 시간이 너무 감사해할 것 같아요^-^

  • @eulerluver
    @eulerluver 3 ปีที่แล้ว +2

    예전에 실강으로 봤었는데ㅋㅋ 다시보니 재밌네용

  • @user-op3dz6mh3v
    @user-op3dz6mh3v 4 ปีที่แล้ว +172

    진짜 천재들은 상상을 구체화시킬수있구나
    아주옛날 사람들도 다궁금해했던걸
    누구는 구체화시키고...대단해

    • @santa3756
      @santa3756 3 ปีที่แล้ว +2

      375산타 열청중!

  • @user-ih6rf8fh3b
    @user-ih6rf8fh3b 3 ปีที่แล้ว +78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우리가 절대적이라고 알고 믿었던 것들은 다 우리의 착각

  • @user-kq8cd2oo6t
    @user-kq8cd2oo6t 3 ปีที่แล้ว +65

    이런걸 보면 과학이 참 대단하다고 느끼는게, 우리의 감각 기관을 속여왔던 허상을 의심하고 , 서로 지식을 공유하면서 진리를 날카롭게 파헤쳐나가는 분야인거같음

    • @user-fj2pt1xu4c
      @user-fj2pt1xu4c 3 ปีที่แล้ว +4

      한번도 속인적이 없음 그냥 인간이 편의를 가지고 생각을 해왔을 뿐 그러한 편의에 대해서 객관적인 입장에서 떨어져서 진실을 찾는 학문인거같음

  • @user-sl1qh5kc6d
    @user-sl1qh5kc6d 2 ปีที่แล้ว +3

    조회수 400만 명 축하드립니다

  • @jslee3528
    @jslee3528 4 ปีที่แล้ว +18

    시간은 변화의 흐름인것 같아요..
    시간을 피해가면 젊음을 유지하고 폭탄을 맞으면 폭삭 늙음.

    • @user-dy7zg3qk1s
      @user-dy7zg3qk1s 3 ปีที่แล้ว +1

      그건 당신이 vr을 혼자 쓴거나 마친가지에요
      한마디로 망상이죠.
      아기는 그시간동안 변화가 많이 없죠

    • @user-dy7zg3qk1s
      @user-dy7zg3qk1s 3 ปีที่แล้ว

      느끼든 못느끼든 깨닫든 모르든
      시간은 동일하게 갑니다.

  • @mahleryun7862
    @mahleryun7862 4 ปีที่แล้ว +7

    김 교수님 강연을통해 초등학교 5학년 아들과 시간의 본질에 흥미롭게 접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질문 하나 하겠으니 고견 부탁드립니다. 우주가 양자로 되어있어 측정이 안될때는 중첩을 통한 여러 경우의 수로 있다가 측정 되면 하나의 상태로 수렴하는데 이때는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 아닌가 생각합니다.

    • @icedac
      @icedac 4 ปีที่แล้ว +2

      관측하기전에는 하나의 상태였는데 (한가지 경우만 있어서 엔트로피가 가장 작음), 관측을 하면 2가지 경우의 수가 생겨서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 @mahleryun7862
      @mahleryun7862 4 ปีที่แล้ว +1

      @@icedac
      네, 의견 감사합니다. 그러면 관측전 이것도 저것도 아닌 중첩 상황은 하나의 경우. 관측 후 둘중 하나로 수렴했다하더라도 두가지 경우일 수 있던니까 두 가지 경우. 그래서 엔트로피는 증가한다는 건가요? 관측 후 한 가지 경우의 수만 있을텐데 하나가 더 있으려면 휴 에버릿을 소환해서 다세계 이론으로 가야하지 않을까요? 갑자기 다세계 이론도 엔트로피 법칙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 @joheungkon
    @joheungkon 3 ปีที่แล้ว +24

    교수님 강의 끝까지 들으면서 '시간'이란 정의를 내릴 수 없고 절대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는 것. 그렇게 할 수 있다면 그것은 물리나 과학의 영역이 아니라는 점이 와 닿는다. 누군가가 측정할 수 있고 정의할 수 있는 아이디어만 제공해도 노벨상감이라는..
    시간이 정의할 수 없는 관념 추상적이라면, 내가 3차원 지구에 살고 있지만 시간(time)속에 사는 것이 아니라 물질(인간 포함)이 흥망성쇠되는 현상을 지켜볼 뿐 그것은 내가 생각하는 시간이 흐르는 것이 아니다. 시간을 떼어서 일직선상에 흐르는 것으로 두지않고 시공간으로 묶어 놓은 것도 인간을 포함한 온 우주가 존재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과학도 철학처럼 화두를 던지고 답을 구하는 진행형의 학문인 것 같다. 솔찍 담백 강의 감사하다.

    • @user-mt7kc6we1y
      @user-mt7kc6we1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만약 시간을 관측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노벨상으로도 부족함. 인류 최고의 과학자로 꼽힐거임 우리가 볼 수 있는건 물질이나 물체, 상호작용들에 의해 생기는 운동량에 의한 변화 뿐이라서 시간을 수학적인 개념으로 볼 수는 있지만 실재한다고 정의하기가 어렵습니다

    • @user-mt7kc6we1y
      @user-mt7kc6we1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물리학에서는 시간이 뭔지 모릅니다. 물리학=실재성이 매우 중요. 시간의 의미는 x,y,z,t 방향 좌표 그리고 엔트로피 증가. 수학 계산할때 매우 유용해요

  • @user-nl1rx7qf1g
    @user-nl1rx7qf1g 2 ปีที่แล้ว +2

    꿀잠 잘잤습니다^^

  • @user-od1sx9ky2y
    @user-od1sx9ky2y 4 ปีที่แล้ว +18

    시간을 인식하는 존재가 없다면 시간은 그냥 있었더라도 시간이라는 개념은 없었겠지요. 남은 일은 존재란 무엇인가에서 존재의 의미는 무엇인가로 이어지겠지요.

    • @user-lw7ku5ut9y
      @user-lw7ku5ut9y 3 ปีที่แล้ว

      시간은 물과 같아 형제도 색깔도 내음도 없지만 상대성의 의해 절대로 잡히지않은
      완전체!

  • @wabbakorea
    @wabbakorea 4 ปีที่แล้ว +6

    송민령님(박사과정), 정애리 교수님, 김상욱 교수님 세분다 최고의 명강의 아주 잘들었습니다^^ 👍👍👍👍
    "((인생))이란 물리적 에너지의 시간계와 생각이란 에너지의 시간계에 공존하며 그 속도상수는 가변적이다!!" by, 기인관장

  • @user-ho4ky1bc6n
    @user-ho4ky1bc6n ปีที่แล้ว

    교수님들은 실패한 강연이다 왜 내가 강의 했을까 후회하는영상이었지만
    막상 시청자는 희열을 느끼도록 재미있는 영상 이었습니다
    고리타분한 과학 채널에서 528만뷰 김상욱 정애리교수님도 훌륭했지만 송민령사회자님 궁금한 질문이 대박영상을 터트렸습니다

  • @user-gw6xe7pe6k
    @user-gw6xe7pe6k 2 ปีที่แล้ว +7

    50:00 이 강의를 보면서 새삼 00스님이 정말 대단하시다는 것을 다시 느꼈다. 00스님께서는 마음의 괴로움은 상대적이라고 하셨지. 이 세상에는 크고 작음이 없다고도 하셨지. 그런 것들은 모두 비교하는 대상과 비교 당하는 대상이 있기 때문이라고...광활한 우주 공간에 움직이는 물체가 하나만 존재한다면 그것이 움직이는지 움직이지 않는지 알 길은 없다. 그 물체가 움직이는 것을 증명하려면 또 다른 움직이지 않는 또는 다른 속도나 방향으로 움직이는 물체가 최소한 하나는 있어야 한다니...00스님께서는 우주의 근본을 정확히 이해하시고 깨달으셨구나. 생뚱맞게 이 강의를 보면서 그런 생각이 스쳤다.

    • @user-cr4jp4ts1j
      @user-cr4jp4ts1j ปีที่แล้ว

      부처님의 말씀은 전부 우주법계의 이치를 설명하는거고, 2500년전 부처님의 말씀을 모아놓은 불경을 깊이 파고 들어가면 물리학자들이 말하는 모든 과학적 이론이 녹아있습니다. 그러니 깨우침을 얻은 스님들의 말씀에서 우주법계의 이치가 고스란히 드러나고 바로 과학입니다. 즉 불경은 과학이지요. 불교는 무조건 '신이니까 믿어라'는 신앙이 아니고 '우주법계의 이치를 깨달아서 너도 어리석은 중생에서 벗어나 열반을 얻어라.' 인것 입니다.

  • @user-kt8my1zm5k
    @user-kt8my1zm5k 4 ปีที่แล้ว +311

    30:00 핵심내용

    • @user-ht4zv9es2h
      @user-ht4zv9es2h 4 ปีที่แล้ว +7

      th-cam.com/video/LcxUs-gCnKA/w-d-xo.html 엔트로피에 역행하는 건 부분적으로는 가능하다. 그것을 해낼 수 있는 자를 위버맨시라고 한다.

    • @knox9798
      @knox9798 4 ปีที่แล้ว +2

      @@user-ht4zv9es2h 큐브영상인디요?

    • @shk327
      @shk327 3 ปีที่แล้ว +2

      @@knox9798 큐브에서 엔트로피가증가하는 부조화에서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조화로운상태로 나아가는것은 위버맨쉬만 가능하다고 한겁니다.

    • @user-rc1vu2nb2o
      @user-rc1vu2nb2o 3 ปีที่แล้ว +1

      @@user-ht4zv9es2h 니체의 초인 개념인가요? 다른개념인가요

  • @Wlsalphaman
    @Wlsalphaman 3 ปีที่แล้ว +21

    이따분하다고 느낄 수 있는 강연을 본 사람이 9개월동안 140만이 넘는다는 것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참 배우고 익히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을 느껴서 참 뿌듯하다

    • @KR-KRANG
      @KR-KRANG ปีที่แล้ว

      몇번을 끌까 말까 고민했답니다 ㅎ

    • @DIABLO-xy3jq
      @DIABLO-xy3jq ปีที่แล้ว

      500만이 넘었지만 아마 다른거 켜놓고 자다가 알고리즘 받은 조회수가 거의 90%가 아닐까싶음.

  • @user-rh3nf3fm7n
    @user-rh3nf3fm7n 3 ปีที่แล้ว +3

    오늘 김교수님 강의 엄청 중요한 삶의 열쇠를 제공 해주셧네요.
    다른 교수님도 역시~ 우리 고대선조님들의 철학적수학적물리적
    천문학적 관심의 근거로 고서 한단고기 천부경자료에서 엿볼수 있는데
    누군가 우리의 과거 시간적 공간적 궤적을 추적해서 오늘 강의처럼 엮어주신다면
    더욱 참고가 되겟는데~ 탄생과 자람 늙음 죽음의 과정이 시간의 개념을 더욱 소중히
    햇고 서잇고 누워잇을때의 중력변화도 건강상의학적관점에서 유익할듯~

  • @gmh1053
    @gmh1053 2 ปีที่แล้ว +20

    선생님과 여러분들 좋으신분들 덕분에
    많이 배워요

  • @andmy8994
    @andmy8994 4 ปีที่แล้ว +10

    힘들겠지만 과거로 갈수는 있겠네요. 엔트로피가 확산되기전으로 물질을 전부 이동시키면 그게 원래 과거인지 조작된 과거인지 비교대상이 없을테니

    • @andmy8994
      @andmy8994 3 ปีที่แล้ว +1

      아마 팔이 잘린후 팔을 다시 붙히자는 말일겁니다. 잘리기전으로 시간을 돌리자는 게 아니고..

  • @nabox
    @nabox 3 ปีที่แล้ว +7

    시간은 원래 없는건데..
    항상 현재 만 존재할쁀
    시간은 기억에 있는 인식이
    순차적으로 나열해서 이해 할수 있는 시간이 있다고 해석하고 싶기 때문이 시간이있다고 믿을뿐

  • @Charmerrrrr
    @Charmerrrrr 2 ปีที่แล้ว +1

    강의 시간이 아쉽습니다. 같이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잘봤습니다.

  • @younghocho7389
    @younghocho7389 ปีที่แล้ว

    나도 여러분도 지구도 우주도 공기도 원자도 그어떤무엇도 변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흐른다고 볼 수 있을까요?
    강연초반 아리스토텔레스 의 문구가 저는 가장 와닿네요.

  • @ryanchangkorea
    @ryanchangkorea 4 ปีที่แล้ว +14

    박사님 등장하실 때 모니터앞에 앉아 박수쳤습니다. ㅋ

  • @saranghaedodelccayo
    @saranghaedodelccayo 3 ปีที่แล้ว +3

    4차원에대한질문엔 시공간을정의해본다면 쉬울텐데요.a가특정장소b에서c를 만난다고했을 때 필요한건 시간과 장소(위치좌표)잖아요.위치좌표는 물리학에서 x축 y축 z축으로기술할수있고 여기에 시간을 축으로삼아야겠죠.그래야 특정장소 b가 정확한 만남의 시공간이 될테니까요.

  • @user-pf4yh7by6f
    @user-pf4yh7by6f 3 ปีที่แล้ว +17

    시간을 시계로 달력으로 인간이 만들어놓은것도 대단
    과거사진 과거 비디오도 신기하고
    시간이지나면서 변화되는 인간도,,
    모든 자연도~~아~~경이롭다

  • @COMPILI4082
    @COMPILI4082 2 ปีที่แล้ว +4

    시간은 내가 살아서 눈이 떠있는날..이 시간이다. 내가느끼는 시간만이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