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듣는 학생들은 고작 20%뿐.. 아이들은 왜 교실을 외면하게 된 걸까?ㅣ아이들이 말하는 교실에서 잠자는 이유ㅣ다큐프라임ㅣ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ก.ย. 2023
  • ※ 이 영상은 2020년 1월 21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다시, 학교 8부. 잠자는 교실>의 일부입니다.
    ‘잠자는 교실’은 왜 아이들이 교실에서 잠을 자게 되는지, 소중한 시간을 허비하고 있는 학생들의 진짜 이야기를 들어본다. 학교가 의미 없다고 말하는 아이들의 고백은 실로 충격적이지만, 보다 좋은 교실과 수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의 고군분투는 또한 눈물겹다. 수업 개선 솔루션을 통해 교수법을 바꾸고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을 응원하고 자는 아이들이 학교에서 꿈을 찾고 행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본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다시, 학교 8부. 잠자는 교실
    ✔ 방송 일자 : 2020.01.21
    #골라듄다큐 #다큐프라임 #학교 #교실 #선생님 #수능 #수업 #학원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4K

  • @liberty325
    @liberty32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961

    그냥 학생도 선생도 불쌍한거야. 비정상적인 입시체제에서 서로 놀아나고 있는거지. 선생들이 수능으로 대학가려는 학생들한테 학교 수업, 내신까지 바라는건 이미 과한 욕심이 되어버린지 오래 됐고 학생들에겐 도저히 학교 수업까지 들을 수 있는 체력과 정신이 남아돌질 못하는거야... 서로 불쌍해 그냥

    • @user-eu9uy6dg6g
      @user-eu9uy6dg6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09

      인정.. 저런 환경에서 선생에 대한 존경심이 어떻게 생기겠나.. 이거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너무 큰 손실인듯..

    • @PETBOY
      @PETBO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부모들 때문에 교육이 이모양 이꼴인거임 아직도 모르시나 30년전부터 옛날신문 기사로도확인가능, 줄세우기 시험 그만해야한다고, 교육부는 부모들 따라갈뿐이고. 부모들 때문에 교육은 바뀔일 없으니 꿈깨셈 ㅋㅋㅋ 어릴적부터 컴퓨터가 가장 잘하는걸 사람한테 시키고 있으니 정작 크면 뭘 할지 모르고 흥미가 떨어지고, 나름 고위직 오르면 부패만 저지르는 구조. 부모 교육이 가장 큰문제로 한구사회를 보여준다고 보면됨, 저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줄세우기 수능 옹호하는 학생들 있는거 보면 교육 절대 안바뀜, 사람이 잘하는게 다 다른데, 암기달달해서 일부러 어렵게내서 솎아내는게 정상이러고 보냐? 창의성 자 죽이는 교육, 전부 보통학생으로 만드는 교육

    • @cleo1251
      @cleo125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79

      교육제도 개혁만이
      대한민국이 살길이다
      경쟁교육은 야만이다

    • @user-gk2dq2rb7l
      @user-gk2dq2rb7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6

      선행을 미리하는 학생이 대부분
      사교육을 줄이게 해야한다

    • @izumiaco5079
      @izumiaco507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0

      최근 몇년동안 고등학교 자퇴가 엄청나게 증가했다는 점이 말해주죠. 의무교육인 중학교까지 끝나고 하면 고등학교 굳이 다닐필요가 없다는 걸..

  • @user-rk9vc4wz8j
    @user-rk9vc4wz8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33

    학생은 크게 3부류임
    1. 수능으로 대학갈 놈들
    어차피 학교수업으로는 수능준비 못함
    ->학교 수업 들을 이유가 없음. 베스트는 수업시간에 자기가 따로 수능공부를 하거나 차라리 그 시간에 잠이라도 보충하는게 이득임
    2. 수시로 대학갈 놈들
    학교 선생님이 출제자다 보니까 뭘 강조하는지 확인하는 용도 정도로 수업을 듣지 내용은 학원에서 배움
    심지어 수업은 공부 못하는 애들 눈높이도 맞추느라 어려운 내용은 잘하지도 않는데 시험은 또 변별력 갖춘다고 어렵게내서 얘네들한테도 수업이 전혀 도움이 안됨
    ->선생님이 생기부를 잘써줘야하니까 수업을 잘 듣는 ‘척’을 함
    3. 공부할 생각이 없는 놈들
    얘네는 예나 지금이나 수업 안듣고 걍 쳐자는 놈들임
    ->수업 안들음
    1, 2, 3 모두 학교 선생님 수업이 별로 안중요함

    • @Ping_Bot
      @Ping_Bo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안타깝지만 시대가 바뀌였습니다…

    • @user-iu1gj8fp6u
      @user-iu1gj8fp6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0

      ​@@user-es3vd2wl4h 학교 수업 안듣고 학원 다녔으면 더 좋은 결과가 나왔을 겁니다.

    • @skmidc1124
      @skmidc112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es3vd2wl4h네 그쪽이요..

    • @PP-nl2rs
      @PP-nl2r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선생은 있으나마나네 그럼ㅋㅋㅋ

    • @chotnt
      @chotn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7

      정확한 분석임..

  • @cheesebee6736
    @cheesebee673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67

    4년차 고등학교 영어 교사입니다. 올해 고1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가장 많이 들은 학생들의 원성은 “시험 문제가 너무 어렵다”는 것입니다. 중학생때까지 공부 좀 했다 하던 학생들도 고등학교에 올라와 몇번의 시험을 겪으면서 자신감을 잃고 좌절과 무력감에 빠져 하나둘 “영포자”가 되어갑니다. 그걸 지켜보는게 너무나 안타깝고 슬펐습니다. 저 역시 수업에서 가르치고 배운 내용만으로는 풀 수 없는 시험 문제를 출제하면서 이것이 올바른 평가인가 의문이 들었습니다. 노력해도 성취감을 느낄 수 없는데 어떤 아이가 수업을 열심히 듣고 공부를 할까요. 그럼에도 많은 학교와 선생님들이 ‘과정 중심의 수업’을 포기하고 ’변별도가 최우선인 내신 시험‘을 선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현행 교육제도에서는 대학 입시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대학 입시는 결국 성적 경쟁이고, 변별과 효율, 공정성이 가장 강조됩니다. 일례로 시험 난이도가 쉬워서 최상위권 학생들을 변별하지 못하고 1등급 컷이 너무 높아지면 교사에게 민원이 빗발칩니다. 시험 난이도가 어려워 만점자가 없고 등급컷이 낮을때에는 민원이 들어오지 않습니다. [경쟁에서 앞서기 위한 사교육과 선행학습 - 상위권 학생들의 실력 향상 - 상위권 학생들을 변별하기 위해 내신 시험 난이도 상승 - 중상위권 학생들의 학원 의존도 심화/하위권 학생들의 학업 포기]의 악순환을 도저히 끊을 수가 없습니다. 학교 수업과 평가는 점점 분리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학생들은 수업은 학원에서 듣고, 학교에서는 잠을 잡니다. 학교는 50분간 자다가 쉬는 시간 10분 동안 친구들과 놀고, 시험 보고, 졸업장을 받고 떠나는 곳이 되었습니다. 아이들이 받는 스트레스도 어마어마 하겠지요. 아이들은 늘 지쳐있고 피곤하고 아프고 불안하고 답답하고 짜증에 차있습니다.
    이런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 역시 무력감과 좌절감을 느낍니다. 교사가 학원 강사보다 실력이 없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리지 않고 월급을 꼬박꼬박 받는다는 댓글들을 보았습니다. 제 생각에는 자신의 교과를 사랑하고 더 나은 수업을 하기 위해 고민하는 선생님들이 아직 많이 계십니다. 교수법에 대한 연수를 듣고, 중하위권의 학생들을 포기하지 않으려고 수업 자료와 방법 연구를 계속하는 선생님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러나 현재의 교육 제도와 업무 구조에서 너무나 많은 벽에 부딪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교사는 ‘수업도 하는 공무원’ 정도의 지위인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 내내 행정 업무를 하다가, 퇴근 후에야 집에서 수업 준비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업에 들어가면 온몸으로 수업을 거부하는 학생들을 마주치게 됩니다. 시험범위가 아닌 수업 내용이나 활동에 대해서는 “그거 시험에 안 나오잖아요”라는 반응이 돌아옵니다. 시험 진도가 끝나면 아이들은 쓰러지듯 엎드립니다.
    수업 시간에 학생들의 웃음과 반짝이는 눈빛 한 번 보는 것이 모든 선생님들의 소원입니다. 학생들과 교감하고, 학생들이 성장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 교사의 존재 이유입니다. 학교 교육이 정상화 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교사도 더 노력하겠습니다.

    • @tprino
      @tprin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7

      진짜 선생님들께서 고생이 많으십니다 독일이야기를 많이 해주시는 김누리 교수님의 외침대로 우리나라가 바뀔 수 있을지 … 어른들이 세상을 더 좋은 곳으로 바꿔줘야하는데 그러지 못한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외 학원 등 사교육 전면 금지로 교육 혁명을 한 전두환 대통령처럼 사교육 전면 금지를 해야 학교 공교육이 바로 섭니다 !!!!

    •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사교육 전면금지와 함께 학교 교원의 가르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르치는 능력 없는 교원은 매년 10~20%는 평가를 통해 퇴출 시키고 능력 있는 교원을 매년 충원시키고 능력 있는 교원에 대해서는 적절한 보상을 해줘야 진정한 학교 정상화가 이루어 집니다 !!!!

    • @user-dq6rn4mw2i
      @user-dq6rn4mw2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

      @@user-yi9mm6so4u사교육 전면 금지가 말이 되나… 공포 정치하던 80년대에도 택시 과외하고 그러던 시대였는데….

    • @dhyun8346
      @dhyun834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말 마음이 쓰라리네요.
      고생이 많으십니다 ㅠㅠ

  • @user-mi3sm7iv1j
    @user-mi3sm7iv1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60

    나도 선생님께 죄송했지만.. 학교에서 일부로 자고 학교끝나고부터가 진짜 하루가 시작이였음..학교에서 자야 그 이후를 감당할수 있었음

    • @tkdals659
      @tkdals65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5

      학교에서 조금이라도 안자면 몸 못버팀 ㄹㅇ

    • @kiky_witch
      @kiky_witc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솔직히 말하자면 그냥 1학년 1학기 3~4뜨고 내 목표는 인서울이다 싶으면 자퇴도 하나의 방법인듯.

    • @cheesekiller
      @cheesekill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나이쳐먹고 일부로 일부러도 구별못해 쓸 정도면 헛노력이였던거 같은데… 😂
      또 오타드립이나 치겠지 😅

    • @user-gj8vj5uz8v
      @user-gj8vj5uz8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heesekiller 그게 뭔 관련이야 진지충아😅😅 공부 잘 해도 맞춤법 틀리는 애들 있어

    • @user-Griezman
      @user-Grie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10대때는 성장기에 잠을 푹자야하는데 10대때부터 6시에 기상시켜서 12시까지 눈뜨고 살게하는지
      군대보다 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어릴때 아버지가 6시출근이었는데 어머니 5시에 일어나서 밥할쯤 나랑 친형 5시30분에 깨워서 90도로 인사시킴
      지금은 부모님이랑 남남처럼 지냅니다. 어릴때부터 아버지 출근 인사시키는게 그리 중요한가? 무슨 혼자 왕족인줄 암

  • @prime1941
    @prime194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75

    아이가 고3인데 선생님들께서 하시는 수업은 자습서 읽는 수준으로 가르치시고 시험문제는 수능수준으로 내심.. 학교가 사교육에서 배운걸 테스트 하는 기관으로 전락하다보니 아이들도 선생님을 평가하게되고 자연스럽게 권위도 떨어지는것 같습니다 학부모들과 아이들이 사교육보다 공교육을 더 신뢰하지 못하는게 심각한 문제입니다 그리고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아무리 수업을 듣는다해도 절대 도움이 안되니 수업시간이 고통스러울 따름이죠..

    • @ddaraddara99
      @ddaraddara9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4

      맞아요 수업수준은낮게 해놓고 시험은다른레벨로 줌

    • @user-tx3ix4kz8z
      @user-tx3ix4kz8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 @lailac2724
      @lailac272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0

      완전100프로공감합니다!!! 교사문제라기보다는 시간이없어요 범위는 겁나 넓고 수행 빼고나면 그렇게 자습서읽듯이 진도 빡빡빼는 수업이 될수밖에없는 현실입니다
      이러니 선행을 할수밖에 없구요
      20년전 수능쳤던 세대와는 너무나 다릅니다

    • @chocopia13
      @chocopia1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선생님들 잡무가 너무 많음. 수업에 더 충실해야하는데.

    • @user-pn3vj8sq6g
      @user-pn3vj8sq6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8

      ​@@chocopia13솔직히 잡무 없다고 수업퀄이 올라갈것 같지 않음... 학원 선생이랑 크게 다른점은 일단 열심히 안해도 짤리지 않음

  • @user-fz9cl2zi6y
    @user-fz9cl2zi6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25

    05년생 현역고3입니다. 저는 내신과 생기부를 열심히 챙긴 수시러라서 학교 수업도 듣고 수행평가도 꼬박꼬박 챙겼는데요... 솔직히 학교 수업은 의미가 크게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제 경험을 토대로 그 이유를 꼽아 보자면
    첫째로, 내신 시험과 수능의 간극이 큽니다. 문제 유형부터 시작해서 문제의 퀄리티나 개수도 차이가 나니 만약 학교가 '수능' 을 대비하는 역할을 한다고 치면 별로 의미가 없는 것이죠.
    둘째로, 내신 시험은 대부분 암기형이라서 실질적인 지식을 쌓는다는 생각도 잘 들지 않습니다. 국어 지문도 학교 선생님의 해석을 외워야 합니다. 영어 지문도 사소한 것을 바꿔서 내니 영어 지문도 외워야 합니다. 문과 친구들은 또 사회탐구 내용도 다 외워야 하더군요. 이런 상황에서 학교 공부는 그저 암기일 뿐, 굳이 수업 시간에 해야 하는 것이라고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학교에서는 학생들 간 수준 차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습니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을 위해 심화 문제를 주고, 개념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설명을 더 해주신다던가... 그런 배려가 없습니다. 그러니 선생님이 타겟으로 잡은 수준대의 학생들만 수업이 좀 들을 만 해지게 되는 거죠. 이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학교 수업을 듣고 내신을 챙기는 학생들은 20% 안에 들어가는 상위권 학생들이거든요. 3등급 안에 들어가지 못하면 수시로 원하는 대학 가기는 거의 불가능하니까요. 그런데 수업 타겟은 중하위권에 맞추어져 있으니 열심히 듣다가도 어느 순간 수업이 필요 없다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저는 학교의 목적이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고등학교는 대학을 보내기 위한 곳인가요? 선생님들도 매일 대학 가려면 공부해야 한다고 말씀하시니 고등학교의 목적은 대학을 가는 것일까요? 그렇다면 이미 망친 수시 대신 정시로라도 대학을 가겠다는 학생들을 응원하고 지원해 줘야 할 테니 고등학교의 목적이 대학 보내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럼 지식 함양인가요? 그렇다기에는 모든 선생님들이 학교에서 수업 잘 듣고 성적 잘 받아서 대학 가라는 말씀을 하시니 딱히 학교의 목표가 학생들의 지식을 함양하기 위함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럼 사회생활을 배우기 위함인가요? 그렇다면 학생들이 수업을 듣지 않는 것은 그렇게까지 큰 문제가 아니지 않을까요, 본 목적에서 벗어난 부가 활동에 잘 참여하지 않는다는 말일 테니 말입니다.
    진정한 교육 개혁이 이루어지려면 사교육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의 목적에 맞는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수업을 듣게 만들고 싶다면 학생들이 가고자 하는 방향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진행하면 됩니다. 제도가 문제이지 제도를 따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lailac2724
      @lailac272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2

      멋진 학생이군요 크게 되실분 같아요 어른으로서 빨리 바르게 바꾸지 못해 미안하구요..

    • @YangGE_J
      @YangGE_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5

      학생의 생각 잘 읽었습니다.
      훌륭한 지적입니다.

    • @user-gm9ce1cq7u
      @user-gm9ce1cq7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6

      냉정하게 잘 판단했구만.초점을 평등이냐 차별이냐 어느곳에 맞추냐에따라 싫은소리가 나올수밖에없겠지만 교육부는 필드상황을 고려하여 현실적인 대책을 강구했으면 좋겠음.

    • @chronic6441
      @chronic644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이거 다아는데 윗대가리 교육부부터 꼰대력이 적용되니까 지금 젊은 선생님들도 어쩔수없이 그렇게 하는거죠 요즘식으로 하려하면 하지마라고 압박놓고 잘라버리니까
      학생들도 좀 알아줫으면 하네요

    • @wisemank9904
      @wisemank990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너무 현실적인 지적이라 공감합니다.

  • @user-cb8xo6cz4b
    @user-cb8xo6cz4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0

    현 고1로서 너무 공감돼요
    사교육없이 공교육만으로는 절대 따라갈 수 없습니다.
    학교 수업은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교과서 읽기 수준이고 시험은 모의고사만큼 어렵게 냅니다.

    • @user-hp1lg9ji9w
      @user-hp1lg9ji9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혹시 왜 공교육으로 인서울하기 힘든가요?

    • @user-vz8vj8un6w
      @user-vz8vj8un6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user-hp1lg9ji9w학원에서 미친듯이 선행하고 학원에서 주는 자료며 정보로 공부하는 애들이 수두룩 빽빽인데 공교육만으로는 인서울이 불리하죠
      당장 서울 대치동만 가도 몇백, 몇천명이 이미 공교육 수준을 뛰어넘은 문제를 풀고 배우는데... 그런 아이들이 있어서 상대평가에선 변별력이 있게 하기위해 시험(내신)문제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결국 공교육만으로는 불가능 수준이 된거예요 물론 사교육이 맞는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그렇답니다
      이미 대부분 학교 분위기는 아이들이 이미 선행을 나갔다는 기반에서 수업을 진행할겁니다
      특히 수학은 선행이 필수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수업시간에 대놓고 진도 나가지도 않은 부분 얘기를 하더라구요 이러니 사교육없이 공교육으로만 공부를 하고 인서울은 불가능이죠

    • @user-hp1lg9ji9w
      @user-hp1lg9ji9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vz8vj8un6w 저도 공교육만으로 대학 왔는데 부모님께 공교육으로 인서울은 힘들다고 말씀드렸는데 핑계라고 하네요 부모님이 꼰대인거죠?ㅠㅠ

    • @user-no8kw9hr3r
      @user-no8kw9hr3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hp1lg9ji9w공교육만으로 대학교 가는게 불가능한건 아닙니다.
      다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미숙한 존재고, 또 교사들의 강의력이나 지식 등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그게 가능했단거는 운이좋게 좋은선생 만난거죠 뭐.
      아니면 애초에 본인이 공부쪽으로 재능있어서 수능의 원리를 스스로 터득했다던가죠.
      수능특강 책 그대로 리딩하는 교사한테 배워서 수능시험을 만점받으란 소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외우는 공부가 아니라 원리를 이해하는 공부에 독학을 요하는 건 성인들도 힘들잖아요.

    • @user-tj2ty6uy6i
      @user-tj2ty6uy6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hp1lg9ji9w 가능함

  • @user-zl4qb3bq8j
    @user-zl4qb3bq8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

    공부 포기한 애들은 자율학습실을 따로 마련해서 자격증 공부라도 하게 해 줬으면 하네요

    • @user-pj1cm1oj2g
      @user-pj1cm1oj2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ㅋㅋ 맞아요. 학교에 스터디룸 있던데 거기나 가라고 하지

  • @annyeom04
    @annyeom0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75

    어휴.. 저 시간이 선생님도 학생들도 얼마나 힘들까... 아 제발 공교육이 바로섰으면 좋겠다....

    • @predictionary
      @predictionar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onekiss4662뽀각

    • @pth541
      @pth54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절대 그럴일 없다ㅋㅋㅋㅋㅋ 대한민국이 어떤나란데ㅋㅋㅋㅋㅋ 망해서 새로운 나라가 다시 세워져야 가능함

    • @user-mo7sx8ks8n
      @user-mo7sx8ks8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ㅇㅈ사교육 폐지네 뭐 사회불평등이네 따지지말고 공교육의 질을 높여야 함

    • @ironnotgiven-gh6qs
      @ironnotgiven-gh6q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질이 ㅈ도 안 변하고 오히려 퇴화하고 있는데 문제는 점점 어려워짐. 서울 일반고인데 반에서 반은 자는듯

    • @jarangsruun
      @jarangsruu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학교에서 공부할 의지있는 학생들 중 수업안듣고 자율로 공부할 학생들은 성적관계없이 면밀하게 진중성 검사해서 따로 자율시간 주게하는 제도도 만들었으면 좋겠음

  • @jennys7613
    @jennys761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35

    선생님들 고생 많으십니다. 비정상적인 이런 평가제도가 어서 개선되기를..학생들도 선생님들도 행복한 교육현장이 되길..

    • @user-bq2mv2zq2r
      @user-bq2mv2zq2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닥쳐.

    • @pmj924
      @pmj92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공교육에서도 수준별 수업해야합니다. 다 섞어두면 중간에 맞춰야해서 잘하는 아이들은 시간버리고 못하는 아이들을 자버립니다. 체육 미술 음악 재능 있는 아이들 특기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하듯, 국영수사과 자기들 재주에 맞는 수준별 수업을 듣게 해줘야 공교육이 살아납니다.

    • @user-rg1oc4kp4e
      @user-rg1oc4kp4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2

      수업 개같이하는 월급루팡 교사도 차고 넘친다 ㅋㅋ

    • @User11737
      @User1173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능인고 자는이유: 저기 대구 수성구(전국에서 강남8학군 만큼 의대 많이 보내는곳)에서도 거진 톱3임. 수성구에 대륜, 능인, 경북, 정화, 경신고 있는데 경신고는 의대사관학교고 매년 몇십명 의대진학하는 괴물들 있는 학교고 정화는 여고고 그럼 남고에서는 경북 대륜 능인 쓰리톱임. 저기 애들 학원 ㅈㄴ다녀서 이미 선행 ㅈㄴ나가있음. 20년전 00년대 초반에도 지금 뉴스에서 다뤄지는 초등의대반, 초등 수학의 정석반 이미 그때 수성구에 ㅈㄴ많았고 공부 좀 한다고 끄덕거리는애들 초4부터 저런 학원 많이 다님. 민사고도 ㅈㄴ많이 갔고. 당연히 자는애들 중 ㅂㅅ도 있겠지만 그중엔 진짜 ㄹㅇ 굇수들도 있음. 다른 학교는 몰겠네

    • @user-pi6yf2sd7j
      @user-pi6yf2sd7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rg1oc4kp4e이거 ㄹㅇ임

  • @user-tw6cg4vj2j
    @user-tw6cg4vj2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0

    대강 자는 이유
    1. 이미 다 학원에서 배운내용
    2. 학년이 높아질수록 내신으로 대학가기가 멀어짐 즉 상위권 아니면 내신에서 잘하는애들 깔아주는 밑밥수준임
    3.퀄리티 낮은 수업 (이건 케바케) 주로 학생관리 시험출제 수업준비 상담 ... 등등 해야할 일들이 너무 많음 당연히 수업만 전문으로 하는 사교육보다 질이 떨어질수밖에 없음
    4. 좁은 공간에 많은 학생을 밀폐된 몰아넣다보니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로 뇌에 산소공급 부족 (환기 무조건 해야됨)

    • @user-tw6cg4vj2j
      @user-tw6cg4vj2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결론적으로 시스템 문제임

    • @user-es3vd2wl4h
      @user-es3vd2wl4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3번이ㄹㅇ임

    • @elly243
      @elly24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4번은 생각도 못했는데 그럴 수도 있겠네...환기 자주해야지

    • @user-ol3qe1br9k
      @user-ol3qe1br9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3번 같습니다
      우리 학교는 쌤들이 수준이 높고 대부분 공부하는 애들이라 아무도 안 잡니다

    • @user-vi1so4fc2v
      @user-vi1so4fc2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과중학교인데 과탐 쌤 빼고 특히 영어나 국어는 쌤이 그냥 읽어주니만 하거 설명 제대로 안함 ㅋㅋ

  • @reptiletv3314
    @reptiletv331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제발 이런 방송만으로 그치지말고 개선이 되기를 바랍니다. 바꿀수 있는 위치에 계신분들이 이런 프로그램 많이 보셨으면 좋겠어요.

  • @user-xn4dz7os1r
    @user-xn4dz7os1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0

    3:35 동석이 이 때부터 진짜 웃겨죽음 자는 건 같이 자고 왜 아무도 안 깨워주고 갔어ㅠㅠㅠㅋㅋㅋㅋㅋㅋㅋㅋ 이렇게 재밌는 쌤들과 학생들이 교실에선 무능해진다는 현실이 마음아프네요 ㅜ

  • @user-pl3es6nx4l
    @user-pl3es6nx4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9

    현재 서울 자사고 다니는 고3학생인데… 솔직히 요즘은 수업 방식을 바꾼다고 하면 애들이 오히려 싫어해요……그냥 쉬거나 다른 공부하고싶은데 필수적으로 수업에 참여해야하니까 더 귀찮아지는거죠. 반감도 더 높아지구요. 실제로 저희 학교에서 수업 방식을 새롭게 도입하는 선생님들의 수업을 좋아하는 아이들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놓고 말하자면 수업을 재밌게 ‘잘’하시는 선생님 수업, 그리고 단순히 무서운 선생님의 수업 이외에는 다른 과목의 공부를 하거나 자는게 더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뿐만 아니라 모든 친구들이요. 모두가 잠든 교실에서 혼자 수업하시는 선생님이 안타깝고 죄송한 마음도 들지만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는거죠. 저희는 대학을 가야하니까요

    • @user-of7oz8di2f
      @user-of7oz8di2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9

      이게 진짜 맞는 말. 학교 선생님들 수업 듣는 것 보다 한 계단이라도 높은 대학을 가는게 훨씬 더 이득이니까…

    • @nogo0212
      @nogo021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자사고도 자나요?ㅜ

    • @johnrado1760
      @johnrado176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user-gy4ug2cw9lㅋㅋㅋㄹㅇ팩폭

    • @widely9254
      @widely925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저도 작년에 자사고 졸업했는데 일반고는 학생들 태도자체가 많이 다르네요.. 반이상 자는거보고 깜짝놀랐음

    • @hiimm3
      @hiimm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widely9254여기 자사고에요^^;;;

  • @user-zu7oh1cl6j
    @user-zu7oh1cl6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이렇게 노력해주시는 선생님들이 계신다는 사실에 기분이 좋습니다. 학생들을 진심으로 생각하는 그 어른들의 마음가짐에 감탄합니다.

  • @qlsl_15
    @qlsl_1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문제는 독특한 수업, 학생들이 졸지 않는 참여형 수업을 하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함. 진도는 정해져 있는데 매번 일방적인 수업이 아닌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시도한다는 건 진짜 어려움.

  • @user-nx6oh3wy3k
    @user-nx6oh3wy3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88

    박재경 선생님께서 김천고등학교에 근무하실 때 과학 수업을 들었던 학생이었습니다. 저는 비록 과학과는 거리가 먼 진로를 택했지만, 선생님께서 하셨던 과학 수업이 재미있었고, 노력하시는 선생님이었음을 기억합니다. 지금도 그런 선생님이시라는 것을 깊이 느낍니다. 건강하시기를 바라고, 좀 더 많은 학생들에게 선생님의 노력이 통하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 @user-jm6cl3we5o
      @user-jm6cl3we5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몇기세요??

    • @user-nx6oh3wy3k
      @user-nx6oh3wy3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m6cl3we5o 79기입니다

    • @user-jm6cl3we5o
      @user-jm6cl3we5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user-bn1tg8gq5e 김천고 전국단위자사고라 발바닥은 무슨 학원선생님들보다 대부분 학벌 좋으심

    • @homehome-fx3ht
      @homehome-fx3h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90기입니당 박재경선생님 수업은 안들어봣지만 김고선생님들은 다 열심히하시는거 같아 좋네요 그래도

  • @user-zz5cw3rl7m
    @user-zz5cw3rl7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56

    우리나라 교육제도가 하루빨리 개선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user-vb4ut2nc6n
      @user-vb4ut2nc6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0

      이런말이 못해도 20년째 했던 말인데 안되는거 보면 답이 없다

    • @David-nu8gx
      @David-nu8g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개선 될거라 생각하세요? 천만해요……
      기득권들 자식들이 각계 각 분야 점령해야 하는데, 그것을 평범한 사람들 자녀들에게 효율적인 성공적인 교육을 제공하게 하지는 않겠지요.
      기득권 자녀들은 해외에서 학교다니거나, 입시전략 정보 다 빼내서 좋은 대학갑니다.
      그 밑에 하층민들 자녀들만 멍청하게 교육시키는 겁니다.

    • @David-nu8gx
      @David-nu8g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대한민국이 계급이 없을거라 생각하시지요? 보이지는 않지만 계급있습이다. 최상위층의 기득권들….

    • @minzokielizabeth3830
      @minzokielizabeth383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개선 안되죠 어차피 국회의원씩이나 하는 사람들이 기득권이거나 기득권 테두리 페밀리 그룹에 속해 있는 사람들임. 돈있고 빽있는 사람들에게 유리한 이 체계를 더 곤고히 할려고 머리 굴리겠죠.

    • @user-ze3cx7cl3e
      @user-ze3cx7cl3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솔직히 수행평가를 없애야됨
      지금 고2인데 수행땜에 좆같음
      그냥 아예 시험만 치면 거기에만 집중할텐데 수행을 한달에 10개 넘게 치고 그거 못하면 바로 수시 ㅈ되는건데 존나 피곤함

  • @user-oh6ls8pw6v
    @user-oh6ls8pw6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아이들을 위해서 변화하려고 노력하는 선생님들 넘 존경스럽습니다♡

  • @user-gn6rq5lh6o
    @user-gn6rq5lh6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진심 이해간다..졸업한 사람입장에서 보면 다 잘하는 친구도 있지만 다 잘 하지 못하는 친구도 있어요 사람마다 이해력이 천차만별이라구요 특히 수학..아무튼 그 시간은 정말 시간이 아까웠어요 공통과목은 정말 사람이 살아가면서 힘들지 않을정도로만 배우고 나머지는 자기가 관심있는 분야를 배우게 해줬으면 좋겠어요ㅠ

  • @cooouna
    @coooun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08

    자신의 모습을 오픈해주신 선생님들 멋집니다.
    어떤 환경만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도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좋은 방향을 생각하며 고군분투하시는 모습에 괜시리 마음이 뜨거워집니다.
    화이팅!!

    • @minzokielizabeth3830
      @minzokielizabeth383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미 인성 쓰레기는 넘쳐나고 고등학교가면 입시준비 기계가 되고 대학은 의대만 살아남는 기이한 편중현상. 교대도 무너지고 공무원직에 대한 기대도 무너지고 그나마 안전망으로 생각했던 직업군들도 무너지니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꿈도 희망도 좁아져가니 출산률은 세계 최악이고. 한국을 망치는건 정치인들이지만 그런 정치인을 뽑은게 국민수준이니.. 국운이 다한 느낌임

  • @user-hw1qe5tf7w
    @user-hw1qe5tf7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5

    교사는 지적 능력보다 교수법..즉 전달능력이 더 중요해요 그런데 교사들이 시간이 많이 없습니다 전 교사로서 수업에 대한 칭찬을 참 많이 받고 지금도 아이들이 선생님 수업 최고에요 라고 합니다 그말을 듣기위해 학교업무만으로도 벅찬 일상을 끝내고 집에와서 새벽 3시까지 교재연구와 수업아이디어를 고민합니다 그렇게 10년을 살고 암이 와서 3년 휴직했어요…학교에서 하등 필요없는 잡다한 업무만 좀 줄여줘도 공교육교사의 잠재능력이 드러날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교사의 수준이 낮다기보다 교사에게 강요된 각종 업무들로 교육에 대한 의무가 뒷전으로 밀리고 있는 현장암을 이해해야 합니다 10년전 이런식으로는 교육현장이 붕괴될거다 했지만 아무도 새겨듣지 않았지요..교사는 아이들을 통해 미래를 보는 사람입니다..이대로는 교사도 아이들도 다 망가집니다…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애들도 교사들이 수업준비할때 스타강사 자료 바탕으로 준비하는거 다알아요.... 솔직히 교육학 학사 vs 해당과목 전공의 석박사하고 차이가 날수밖에 없습니다 .. 수준이 낮은건 사실입니다...

    • @Victoriasmith7
      @Victoriasmith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user-jm8km6zl4d월급도 차이가 나니까 비교가 불가능 하지 일타강사는 수백억 버는데 교사는 고작 몇천? 호봉 봐봐라 일반 공교육 교사랑 기업이 운영하는 스타강사랑 비교 하는 자체가 웃기다

    • @user-tb7wm2ty3l
      @user-tb7wm2ty3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Victoriasmith7ㄹㅇㅋㅋ 스타강사랑 일반교사랑 비교하면 수준 차이가 나는 건 당연하죠 스타강사랑 비교한 걸 교사의 수준이 낮다고 일반화하는 건 아닌 것 같아요.. 대학에서 해당 과목에 대한 고등교육을 이수하시고, 임용 합격한 것부터 이미 전문성이 인증된 건데ㅋㅋ

    • @Victoriasmith7
      @Victoriasmith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user-jm8km6zl4d 석박사 하면 뭐하러 교사함 ㅋㅋㅋ 대기업들어가지

    • @user-er9ie1yj8i
      @user-er9ie1yj8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Victoriasmith7대기업을왜감?

  • @FTL3RR
    @FTL3R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가장 중요한 건 배움의 목표 아닐까요. 우리들은 우선 아이들이 흔히 우리가 말하는 "필수 교육 과정"을 정말 필수라고 생각하도록 설득했는지 생각해야 합니다. 왜 배워야 하는지 납득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시간 낭비라 생각하겠죠. 성인들은 나름 배움의 의미를 알게 됩니다. 사회 생활 하면서 이런 저런 공적인 자리를 거치다 보면 상식이라는 것의 기준을 자연스레 알게 되거든요. 하지만 아이들은 당연히 성인에 비해 그러한 것을 알게 될 기회가 적습니다. 각 과목 별로 생각해보죠.
    국어는 올바른 맞춤법이나 상황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들을 기르기 위해 배운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공문서를 작성할 때 정확한 용어와 양식, 맞춤법을 지키지 않는다면 의미가 다르게 받아들여져 큰 문제가 생길 수 있죠. 단어를 모르거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해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구요. 성인들은 사회생활 하며 알게 되지만, 학생들은 어떻습니까? 학교에서 또래와 구두로 대화하는데 맞춤법이 문제가 될까요? 큰 자본이 움직이는 중요한 거래를 할 일이 있을까요? 언어는 점점 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간편화/간략화 되고 이미지/영상 미디어에 의해 의미 전달이 쉬워지는데 굳이 아이들이 어려운 용어를 사용할 필요성을 느낄까요?
    수학은 어떤가요. 공학을 전공하지 않는 이상 성인이 되어 미적분 수준의 수학을 배워야 할까요? 저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지만 일상생활에서 고등 수학 수준의 지식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기껏 해봐야 경제 관련일까요? 저야 전공 분야 때문에 이런저런 수학 과목을 공부했지만, 명확한 꿈이 없던 고등학생 때의 저조차 수학에는 흥미가 없었습니다. 아이들은 어떻습니까. 당장 본인들의 꿈도 정확히 결정하지 못한 아이들이 수열 미적분 행렬 벡터 같은 것을 배워야 할 필요성을 느낄까요? 이러한 과정이 정말 상식일까요? 당장 길 가는 사람 아무나 붙잡고 근의 공식만 물어봐도 절반은 정확히 대답하지 못할 겁니다. 일상 생활에서는 방정식을 사용할 일이 거의 없으니까요. 그리고 그 정도의 문제는 현대 기술로 쉽게 해결 가능하니 굳이 본인이 시간을 들여 풀 이유도 없죠. 스스로 배움의 동기를 찾은 아이들은 알아서 잘 공부합니다. 가령 게임 개발자가 꿈인 아이는 기초 알고리즘을 공부하며 수열, 방정식, 대수학, 확률 및 통계 등을 자연스레 접할 것이고, 좀 더 나아가 그래픽스와 렌더링을 알게 되면 행렬과 벡터, 미분방정식 마저도 흥미를 갖겠지요. 다른 예로 온라인 마켓을 운영하는 것에 흥미가 있는 아이라면 통계, 경제학, 미분 방정식, 그리고 저조차 모르는 이론들에 흥미를 보이겠지요. 요점은 배움의 동기입니다.
    과학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솔직히 저희가 지금 하는 일을 떠나서 그냥 생활하는데 상대성 이론, 분자 구조와 화학 반응식 같은 것이 크게 도움이 되나요? 지구과학이나 생물 과목이 더 많은 선택을 받는 것도 이러한 이유 아닐까요. 적어도 아이들의 삶에 있어선 그나마 가장 실용적인 내용일 테니까요. 저는 고등학생 때 물리학, 화학, 지구과학을 배웠었지만 지금 가장 도움이 되는건 지구과학이라고 생각합니다. 일기예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자연 재해에 대해 조금이나마 더 아는게 있으니 여러 모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니까요. 이런 것들이야말로 상식이고 지식 아닌가요?
    영어는 또 어떻습니까. 요즘 들어서야 해외 관광객들과 기업들이 국내에 진출하면서 주변에서 외국어를 들을 일이 많아졌지만요. 아이들은 어떤가요? 하루에 일어나있는 시간의 절반 이상을 또래 친구들과 보내는데, 다들 한국어만 사용하는데 굳이 영어를 배울 필요성을 크게 느낄까요?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의 익명성의 가면 뒤에서 본인들은 영어에 능통하고 영어를 못하는 사람들을 무시하는 반응을 보입니다. 하지만 제가 현실에서 본 많은 사람들은 영어를 잘 못합니다. 정말 간단한 길 안내조차 두려워하며 제대로 못합니다. 성인들도 이 지경인데 아이들은요? 영어를 접할 기회가 많나요? 해봤자 길거리 간판이나 유튜브 정도 아닌가요? 그 마저도 자막을 보면 큰 의미가 없습니다. 요즘 번역기 퀄리티도 좋은데 말이죠.
    저는 우리 사회가 아이들에게 배움의 동기를 부여하는데 크게 실패했다고 생각합니다. 공부에 큰 뜻이 없던 사람도 성인이 되면 알아서 공부를 찾아 합니다. 그것이 생존에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죠. 청소년들은 부모의 아래에서 그나마 의식주를 보장 받기 때문에 배움이 생존에 직결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잔혹한 약육강식의 사회에 나선 성인들은 어떻게든 본인의 가치를 올리기 위해 공부합니다. 그것이 배움의 동기이지요. 배움의 동기가 생존일 수도 있지만, 인생의 목표가 있다면 그것 또한 배움의 동기가 되겠지요. 저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들이 순서가 잘못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아이들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알게 해줘야지요. 그러기 위해선 세상에 할 수 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줘야 합니다. 그렇지 못했기 때문에 많은 아이들은 그것을 본인이 찾아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있는 가상세계로 눈길을 돌리는 것입니다. 스마트폰, PC가 있으면 당장 넓은 세상을 간편하고 빠르게 접할 수 있으니까요. 이것을 학교에서 했다면 지금 대한민국은 다른 모습이었을 것입니다. 넓은 바깥 세상에 무엇이 있는지 모르는 채로, 답답한 교실에 이유도 모른 채 앉아 왜 배워야 하는지도 모르는 지식을 강제로 시청하니 당연히 졸리고 힘들고 괴롭겠지요. 여러분들은 그렇지 않으셨나요? 학교에서는 그저 상식이라며 아이들을 납득시키지 않고 곧장 무한 경쟁 사회로 밀어넣기만 합니다. 여러분들은 정말 고전 문학을 이해하는 것, 미분과 적분을 이해하는 것, 상대성이론을 이해하는 것, 원어민도 독해하기 어려워하는 글을 읽는 것이 상식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학교에선 아이들에게 지식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 무엇이 있는지 충분히 경험시켜 주는 것을 우선해야 할 것입니다. 그렇게 아이들이 흥미가 생기고 동기가 부여된 후, 납득을 시킨 후 학습을 시켜야 하는 것입니다. 점점 출산율도 바닥을 치는데 이젠 정말 바뀌어야 할 때입니다. 어른이라는 사람들이 정말 어른스럽지 못하게 서로 헐뜯고 싸우는 데만 혈안이 되어 미래의 일을 나몰라라 하는 작금의 사태가 개탄스럽습니다. 이러한 사회를 살아가는 아이들이 커서 본인들의 아이를 낳고 싶어 할까요? 지금이라도 개혁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합니다...

    • @LL_SIPS
      @LL_SIP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영상 주제에 대한 우문현답 입니다.

    • @user-wt1xx2my5q
      @user-wt1xx2my5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게 길게 쓰면 아무도 안 읽습니다

    • @FTL3RR
      @FTL3R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wt1xx2my5q 읽을 사람만 읽으면 되지요

    • @hardrocker4636
      @hardrocker463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내용에 동의합니다.

    • @user-es9fw6tx5i
      @user-es9fw6tx5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읽고 동의합니다.

  • @user-dw3em9pb9c
    @user-dw3em9pb9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선생님들께 너무 감사하네요~
    감동입니다. 그리고 힘내세요!!
    그리고 아이들아~ 너희들은 뭐든 할 수 있어!! 너희들 모두를 응원한다!💪

  • @user-rx1fv9ub3t
    @user-rx1fv9ub3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2

    존나 불쌍한거지 하고싶은게 많을 나이인데 저러고 갇혀서 공부나하고있는데 얼마나 힘들어

    • @user-lo2mh8xy1i
      @user-lo2mh8xy1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ㅜㅠㅠㅠㅠㅜㅠ 그러게요 저도 제가 하고싶은거만 공부하고싶어요ㅠㅠㅠㅠㅠ

    • @userSong0404
      @userSong0404 18 วันที่ผ่านมา

      안녕하세요,사학과 대학생입니다.
      저는 '공부'라는 게 우리의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한 무언가를 배우고 습득하고,일종의 삶의 교훈을 얻는 거라고 생각하는데 지금 저희가 늘 입에 달고 말하는 공부는 책상에 앉아 그저 책만 보면서 필기를 하는 이론적인 공부로만 변질되어 버린 것 같아 안타까워요...
      물론 '책'과 '독서'는 중요하죠.그런데 "가르치는 방식이 잘못된 거죠."

  • @user-xe2vf2xw2f
    @user-xe2vf2xw2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9

    고민이 많으신 선생님들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습니다.
    자책하지 마세요.
    아이들이 저렇게 된것은 입시제도, 학벌위주의 사회. 학생들의 습관화된 무기력. 교사들의 매너리즘. 되지도 않는 인성교육 지향 등 총체적 난관때문입니다.
    김누리교수님의 교육혁신 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루 빨리 우리나라 교육제도가 바뀌길 바랍니다.

    • @sky79-
      @sky7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아무짓도 안했으면 지금이런 사태까지 오지않았을것입니다
      전 정부의 문제중가장 큰 사건이지요
      북한과 같은 현실로 끌고가려다 이 지경이 된것입니다
      그 전까지는 우리나라가 이렇게곳곳에서 힘들어하지 않았습니다

    • @stoneparty371
      @stoneparty37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sky79-2010년대에 졸업한 나도 저런 학교생활 했는데 뭔소리여

    • @user-dfg44fh653dfh
      @user-dfg44fh653df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일단 교사 철밥통부터 깨야함. 못해도 안짤리니 발전이 없음

    • @xoeshron
      @xoeshro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sky79-그 놈에 전 정부타령 ㅋㅋ

    • @user-eb2vd8jz9x
      @user-eb2vd8jz9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 학력고사시절 이엇지만 지금 입시제도가 정말 잘못되엇다 생각합니다 학교 내신성적 무조건 반영하면 저렇게 잘수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둘 학부형이지만
      선생님들은 아무 죄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때는 선생님들이 밀대자루로 매일 빠따치고 폭력과 폭언이 난무해도 부모들이 따지지 않앗습니다 뭔가 잘못됫습니다.

  • @ybshin3872
    @ybshin387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내신 5등급 이하는 현실에 대한 자신의 포지션에 대한 객관화가 가장 빠르고 정확합니다 그들 입장에서 자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책일둣

  • @junover999
    @junover99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공교육이 망한 이유는 딱 하나임. 가르침에 있어 차별을 하지 않는다는 명목으로 수준별 교육을 하지 않은 것.

    • @1cePia
      @1cePi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뭔 개풀 뜯어먹는 소리야 가르침에 있어서는 차별 하면 안된다 그리고 영재들 보년 중 고 하이패스하고 어린 나이에 대학교 가는 케이스도 있고 공교육이 나라에서 운영하는건데 사교육 처럼 따로 교육해라? 미친거 아니냐? 국민들 세금으로 만들어서 차별을 해야하나? 존나 얼탱이 없겠네 ㅋㅋㅋㅋ 공교육이 망한건 차별이 아니라 니 처럼 생각을 하는 부모같지 않는 부모들이 공부해서 의사, 변호사, 검사 이딴거 시킬러고 하니깐 공부에 재능 없는 애들도 학원 쳐 보내고 성적 안좋다고 뭐라 하고 그러는거 아니야 청소년 자살률이 한국이 1위다 자살 이유는 공부고 뭔 공교육 차별을 안해서 망해 어처구니가 없네 ㅋㅋㅋㅋㅋㅋ 차라리 나처럼 한국 교육문화가 창의성을 안기르고 쓸데없이 주입성 교육으로 교육 개판으로 만들어놨다고 해라 그냥 공교육 차별이니 엠병이니 하지말고

    • @user-qo2ms4jq4l
      @user-qo2ms4jq4l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초중에서는 점수낮으면 하교후 수업이 따로 있긴 하던데 그거도 학교별로 다른가보네요

    • @starbroom
      @starbroom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하나 때문에 망할거면 망하지도 않았음

    • @user-rb9ke5ki4e
      @user-rb9ke5ki4e 9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러면 또 심화반..일반반..더 난리남

  • @kyr5805
    @kyr580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8

    난 전사고 학생이었는데 특히 3학년 때 쌤들이 수특 풀어주면서 스킬도 알려주시고 하셔서 학교 수업을 수특 문제 이해하는 역할도 활용했었음! 나중에 들어보니까 과탐 쌤들은 함께 대성마이맥 결제해서 인강도 듣고 연구하셨다는데 쌤들이 실력이 있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들을 알려주시면 수능 준비하는 학생도 듣는 듯! 수학도 수능 문제 준킬러 2개 킬러 1개 구성해오셔서 풀 시간 주시고 문풀 해주셨는데 도움 많이 받았음!

    • @user-wb1io9vc1e
      @user-wb1io9vc1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8

      참선생이네요

    • @user-zn9nz1id5w
      @user-zn9nz1id5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우리도 자사곤데 그런거 없음 ㅋㅋㅋ

    • @siu0616
      @siu061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5

      전투사관학교 ㄷㄷ

    • @user-jw4gk4iq4z
      @user-jw4gk4iq4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siu0616ㅋㅋㅋㅋㅋㅋㅋ

    • @user-gx7gd9cc3i
      @user-gx7gd9cc3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user-zn9nz1id5w 전사고 자사고는 아무래도 좀 다르지 ㅋㅋ...

  • @sbh87062521
    @sbh8706252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4

    요즘은 공부도 공부지만 솔직히 학생들이 뭘 하고싶은지 꿈이 무엇인지 찾아주는게 학교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가서 꿈을 찾는건 늦은거라고 생각함 그래서 전문교육의 선생들이 필요합니다. 기술을 가르쳐 줄 수 있는 그런 선생님들

    • @user-iz1ix8nq2m
      @user-iz1ix8nq2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그게 맞죠.

    • @user-vh6eh6xm3x
      @user-vh6eh6xm3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꿈이라는건 재능이나 취미의 영역과 영향이있는건데 어린시절엔 부모의 재산능력과 영향이 큼.
      부모가 재산능력이 있어야 자녀에게 이것저것 시켜보고 경험을 쌓게해줄수있으니까
      그래서 학교교육이 가성비가 큰거임. 공부는 그런거과는 관계없이 자신만의 실력이니까.
      그리고 학창시절때의 공부가 앞으로의 인생살면서 굉장히 큰 상식을 키워주는거임.
      기본적인 문장문법이나 과학상식 지리 역사등등 이런게 부족하면 누구와 만나도 단편적인 대화밖에안됨. 수준있는 대화가 안되는거임.
      꿈을 찾아주는건 정말 힘든거임. 그건 살면서 자신이 개척해나갈수밖에없는 영역임.
      교육자는 기본적인 사회교육을 시켜주는정도인거임.

    • @theanointed9901
      @theanointed990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더불어 학교 공간 구성도 변화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 @user-akdkdnenakdkdks
      @user-akdkdnenakdkdk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게 팩트인데 10년전 20년전부터 말해왔어도 변화가 딱히없는거보면 높으신분들 돌아가시기 전까진 변하는건 딱히 없을듯 ㅋㅋ

    • @cocomo218
      @cocomo21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맞음. 그런데 학교에 그런 과목이생긴다한들. 수능이나 내신에 필요없을뿐더러 일주일에 한두번정도?해봤자1~2시간밖에 하지않을게 뻔히보임

  • @user-ek5cp6vl7v
    @user-ek5cp6vl7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현재 학생으로서 저런 선생님분들은 정말 학생을 키우려는 욕망이 있으신 분으로 보이네요.. 요즘 학생뿐만 아니라 수업 의욕이 없으신 분들이 많은데 저 선생님들에게 정말 감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 @user-mc1sg9wv4l
    @user-mc1sg9wv4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8

    현고3인데 이거 ㄹㅇ임ㅠㅜ 고3 1학기부터 예체능이나 공부포기한 애들은 아예 자거나, 정시 준비하는 애들은 귀막아놓고 전부다 인강봄.. 무엇보다 2학기되면 재수지망 아닌 이상 수시생들까지도 생기부 따로 채울 필요가 없어서 학교측에서도 수능공부 알아서들하라고 진도안나가고 전부 자습시키는데..이와중에 내신시험은 또 봄,, 나도 공부하면서 이게 무슨 시스템인가 싶고 회의감 들더라,,

  • @user-mv6qm5ht1o
    @user-mv6qm5ht1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9

    고등학교는 입시가 사라지지 않는 이상 수업 방법을 바꾸더라도 어려움. 학생 참여형 수업은 기본적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함. 그런데 입시는 효율이 중요함. 지금 교육시스템에선 학생입장에선 정말 쉽지 않음.

  • @user-sd5xo2se6x
    @user-sd5xo2se6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2

    솔직히 오프라인강의보다 온라인강의가 더 쉽다고 느낌 학교에서 배우면 교과서를 읽어주는 것밖에 느껴지지않지만 유튜브나 검색을 통하면 더 자세히 설명해주고 또 다시볼수 있어서 메리트가 있음

    • @user-ns9ng7ek2i
      @user-ns9ng7ek2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학교 수업을 과감히 폐지 하고 EBS온라인 강의로 통일 시켜야 한다.

    • @user-uf9sx7mo6d
      @user-uf9sx7mo6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1

      학교 선생님들은 사교육을 전면폐지해야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사교육보단 공교육이 폐지될 판임...

    • @user-ox3tw6do4c
      @user-ox3tw6do4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user-mx9tf8rp5y 혼자 상상 오지네.. 임고가 그렇게 만만하냐? 그리고 사교육자들은 수업만하지. 학교는 업무,생활지도,상담 기타등등 업무때문에 수업연구할 시간은 택도 없고 강사처럼 조수도 없다.

    • @ys6ge-ox2ub
      @ys6ge-ox2u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user-ox3tw6do4cㅇㅇ 그니까 학생들 입장에서는 같은 시간을 투자하는데 더 퀄리티 높은 수업을 듣고싶지않을까?

    • @khtbtv
      @khtbtv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user-ox3tw6do4c힘들게 임고 합격하면 뭐합니까 그 다음 더이상 본인 발전을 위한 노력을 하지도 않고 할 필요도 없는게 현실인데,,
      수업의 질이 낮으니 어쩔수 없이 돈내고 추가로 학원가는거죠

  • @user-bl9rz6kk3v
    @user-bl9rz6kk3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저는 현재 고3인데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학교 시험이 수능 기조를 많이 따라갔으면 좋겠어요 난이도까지 안 바라고 형태라도 비슷했으면 하는 마음… 솔직히 수능이랑 수시 둘다 챙기고 있는 입장에서 제일 힘들었던 건 학교 수업 혹은 시험이 수능이랑 너무 동떨어져있다 마음이 들었을 때에요 특히 수능과 비교해서 구차하고 작은 디테일로 오답 걸러내고 하는 거… 선생님들도 등급 내셔야 하니까 그런거겠죠…?

    • @user-nl7mk9go3d
      @user-nl7mk9go3d 26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럼 민원받아서 안됨

  • @user-xf3fc7ex4p
    @user-xf3fc7ex4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렇게 학생들을 위해 노력하시는 쌤들이 계시기에 미래는 희망이 있다고 봅니다. 진정한 박수를 보냅니다. 선생님의 변화가 아이들의 변화를 가져옵니다. 존경합니다. 진정한 스승님~~!^^

  • @user-db1km4ms1s
    @user-db1km4ms1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4

    우리나라 학생들이 체력이 부족한것도 100%고 그렇다고 체육시간을 늘려도 다음시간에 다들 풀잠때려서 그냥 우리나라가 너무 많은 공부시간을 요구하는게 문제라고 생각함 지금같은 수준의 문제를 계속 출제하면서 좋은 학생의 태도를 요구하려면 웬만한 기초는 초중딩에 다 때야되고 고등학교의 수업의 질을 높일 필요가있음 우리 학교만해도 좋은 선생님 수업은 진짜 ebs 인강 수준인데 못 가르치는 선생님은 그냥 수특을 읽기만함 그러니 자는 학생이 생기는거임

    • @cocomo218
      @cocomo21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체육하고나면 땀에절어서 피곤함...

    • @user-ox2bu5uh3g
      @user-ox2bu5uh3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솔직히 국제학교 다니는 학생으로써 동의해요. 제가 다니는 학교는 한 교시가 1시간 20분으로 하루에 4교시인데 그럼 체육이 있는 날은 최소 1시간은 운동을 한다는 소리고, 실제로도 강도가 엄청 높아요. 국제학교 가기전에 다녔던 한국학교랑 비교하면 오히려 한국의 체육교시는 그냥 노는 것 같아요. 그래도 저희학교에서는 자는애들 진짜 한명도 없거든요, 댓글에 말씀하신 것처럼 한국은 너무 많은 공부시간을 요구하는게 맞는거 같아요.

  • @kihirigal2562
    @kihirigal256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8

    10여년 전 고딩때 난 수업시간/야자시간에 잔적이 1번도 없음
    항상 수업도 열심히 듣고 수행평가 열심히 해서 항상 수행평가는 거의 만점이었음
    근데 내신시험성적이랑 모의고사 성적은 낮았음.
    학교선생은 분명히 학교 수업 듣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는데
    맨날 잠자고 딴짓하는 학생들이 다 상위권 차지하더라.
    어떻게 공부했냐고 물어보면 다들 학원해서 이미 배운거라고만 대답함.
    나도 학원다녀야 하는건가 싶어서 부모님한테 학원보내달라 말했더니
    우리집은 학원 다닐 형편 안 된다면서 못 가게 했음;;
    학원가 근처라 그런지 우리학교가 모의고사 평균등급이 높다고 함.
    그래서인지 그 수준에 맞춰서 변별력을 위해 내신 문제를
    어렵게 출제할거라고 선생들이 직접 언급했음.
    (참고서 같은 곳에서 어려운 문제를 약간 변형해서 낸걸로 알고 있음)
    근데 그렇게 출제하는 문제는 학교 수업만으론 절대 못 맞춤.
    다른 학생들은 학원에서 다 배워 오지만
    나같이 가난한 학생은 독학으로 그걸 다 공부해야 하는데
    그게 너무 어려웠음
    그나마 수학, 물리는 내가 관심있는 과목이라 상위권 유지를 했는데
    다른 관심 없는 과목들은 어케 독학으로 해야 하는 지 모르겠더라.
    물론 학원 아예 안 다니고 상위권인 학생도 분명히 있었는데
    그런 학생은 극소수고, 대다수 상위권은 다 학원을 다녔음.
    하필 그 극소수에 해당하는 학생이 엄마친구 아들이라서
    나는 맨날 비교대상이 되었고, 더욱더 학원을 보내지 않게 하려고 했던 듯.
    맨날 수업시간에 자면서 나보다 성적 높은 놈이
    "너는 맨날 앉자서 공부하고 있는데 왜 성적 안나옴?ㅋ"
    이러는 게 정말 자존심 상했고, 나는 빡대가리인가? 싶을 정도로 자존감도 많이 낮아졌음.

    • @izumiaco5079
      @izumiaco507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

      그렇게 혼자해서 수능 만점이니 뭐니 이러던 시절도 있었지만 그건 진짜 옛날 얘기가 되어버렸죠. tv화질이 SD도 안되던 시절의 얘기니까..

    • @user-jx9pv8wx8b
      @user-jx9pv8wx8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맞긴 함. 자사고나 유명한 학교 교사들조차 강사들한테 실력이 안되는데 평범한 인문계에서 학교수업 듣는다고 모고 잘 나올거면 원리를 터득한 경우외엔 많이 없음.
      요즘은 인강 1년 끊으면 100만원이면 다 해결해서 지방에 있거나 좀 가난한 친구들도 인강으로 다 해결가능해서 ㅍ평균수준이 올라간 듯

    • @nanakim9051
      @nanakim905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고등학교 입학했는데 상위권애들이 선행이 이미 많이 되어있던것에 놀랬어요. 무슨 화학 물리까지 다 배우고 오다니 나로서는 깜놀이었죠. 사교육 뭐했다고 말은 절대안하는데 딱보면 알겠더라고요. 학교선생님이 기본 딸랑 설명했는데 문제를 너무 다 잘맞춰...내가 이해력이 낮은게 아니고 애들이 공부하고왔구나를 그때 알았네.

    • @benedicti0us
      @benedicti0u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9

      이게 가장큰 문제입니다.
      수업내용을 벗어나서 “변별력”을 위해서 문제를 출제하는거..
      시험은 내가 배운 내용을 되새기고 피드백을 위해서 실시해야하는데, 우리나라는 점수를 위해서, 서열을 나누기 위해서 하지요

    • @ys2163
      @ys216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학교의 기능은 대입을 위한 내신성적 산출입니다. 줄세워 등급 매기기, 그것만 남았어요.ㅠ

  • @user-vz4qm6ye6m
    @user-vz4qm6ye6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여기 출연하신 선생님들 너무 멋지시네요. 참된 어른이십니다 ㅜㅜ
    한국 교육이 잘못된거에요..에휴 고등학교는 대학의 수단, 대학교는 취업의 수단
    이런 현실을 어떻게 바꿔야할지 모르겠네요..
    제 다음세대는 하고싶은 일을 하며 살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철학이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철학을 공부하고, 순수미술이 하고 싶은 사람은 순수미술을 해도 돈을 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왜 대학가면 필요없는 것들을 고등학교에서 배우고.. 사회에서 쓸모없는 것들을 대학에서 가르치는지..대학까지 졸업해도 사회나가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게 참 막막하기만 합니다.

  • @swj8489
    @swj848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어떻게 보면 중학교 고등학교는 대학 넓게로는 사회생활로 나가기전 자신의 교우관계 능력을 발전시켜야 되는 가장 중요한 곳이라고 생각이 든다. 중점인 교과목 수업은 학원이라는 보다 뛰어난 대체재가 있고 , 여러 사람들과의 교우관계를 넓히면서 자신의 단점과 장점을 명확히 파악하면서 단점을 어떻게 보완하고 장점을 더욱 살릴것인가에 생각을 하고 발전시켜나가는것이 현재 학교가 가지고 있는 진정한 의미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 @daraeshim9713
    @daraeshim971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5

    마지막에 교사와 학생의 역할에 대해서 말씀해주신 부분이 인상깊고, 학교란 교사와 학생의 상호 소통을 통해서 배움을 이어나가는 장이라는 것을 다시 느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런 배움의 장으로 학교가 바로설 수 있기를 모두가 노력하는 사회가 되면 좋겠네요.

    • @gogogo587
      @gogogo58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응 현실은 교육 망하고 다 퍼질러 자~

  • @user-br1mx5dm7w
    @user-br1mx5dm7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3

    솔직히 고등학교때 선생님중 가장 기억에 남는 선생님이 딱 한명 있는데 화학선생님 정말 무서우셨는데 죽자사자 시험지20 문항 있는거 가져오셔서 주구장창 풀어주심 나중에 지겨워서 그냥 외워질정도였음 근데 그게 기출문제여서 수능봤는데 화학 너무 쉬웠음 지금 보니 진짜 훌륭한 쌤

  • @loyjoy3195
    @loyjoy319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노력하시는 선생님들이 존경스럽습니다
    용기있으신 선생님들과 용기있는 학생들이네요

  • @user-vg7po1pd9q
    @user-vg7po1pd9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현실과동떨어진 교육을 받으려하니
    잠이오는것이고 나름 사연이 있을수도 있으니 서로 인정해주는것도 괜찮을듯 하네요.

  • @saeron310
    @saeron31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9

    현 고3으로서 일단 극소수 쌤들말곤 수업을 너무 못함. 어떤 쌤은 수업하기 싫다고 대놓고 말하거나 애들한테 알아서 모둠활동하라거나 등 거의 월급루팡 수준임. 그러니 애들이 “ㅇㅇ쌤 시간에는 자야겠다.”라고 말하는 수준애 일렀고 다들 영단어 외우거나 몰래 에어팟 꼽고 인강듣거나 수학문제 풂. 그게 대한민국 고등교육의 현실임. 나도 수업시간에 자습하고 인강들으면서 수능 준비했고 그 결과 수업 열심히 듣는 애보다 이번 9월 모의고사 성적을 좋게 받았음.

    • @user-ms3xy9zu2w
      @user-ms3xy9zu2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ㄹㅇ수업시간에 어떤 에가 질문했는데 대답도 못하시고 심지어 여러번 ㅋ…수업은 그냥 알아서 읽고 모둠활동 시킨담에 학습지 답만 불러주고 중간중간 사담 하시는데 정밀 아무 도움도 안됨…재미도 없고 교휸도 없고…그런데 다른 좋은 쌤 들어가는 반은 다르더라 평군도 그 쌤 들어가는 반이 더 높다는데 ㅋㅋㅋ정말이게 맞나?

    • @myaaaong
      @myaaao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선생님들 제발 이 댓글좀 보길...

    • @user-ik7ft6sg9j
      @user-ik7ft6sg9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쓰레기같은 선생? 선생도 아깝지 빨리 좀 꺼지길. 아니면 그냥 사직서

    • @saeron310
      @saeron31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 물론 모든 고등학교 선생님을 폄하하며 일반화하는 것은 아님. 필자는 질문을 많이 하는 편인데 어떤 쌤은 “그런 걸 왜 물어보냐”며 무시하는 반면, 어떤 쌤은 논문까지 찾아서 알려주는 쌤도 계셨음. 격 떨어지는 좋은 학교더라도 한명쯤은 인격적으로 훌륭하신 참 선생님이 계실테니 너무 한탄만 하진말고 각자도생하자!

    • @user-es3vd2wl4h
      @user-es3vd2wl4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aeron310멋있는 청년

  • @user-kt2kt8xq1s
    @user-kt2kt8xq1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5

    애초에 모든 학생들이 각자의 관심사와 잘하는게 다른데 선생님들이 노력하면 모든 과목에서 다 흥미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부터 고치고 어릴 때부터 각자 원하는 공부로 나눠져서 교육하는게 맞지 않나 싶다

    • @field_snow
      @field_sno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뭐 그냥 하기싫으면 안하면 되지 뭘 억지로 관심사를 맞춰줘 사화나가면 거의 필요없는것인데 ㅋㅋㅋㅋㅋㅋㅋ

    • @donghunhaha
      @donghunhah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인구가 줄어서 학생 대비 선생님 숫자가 많아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학생을 개개인 단위로 케어하기는 역부족이라는 현실적 제약이 있습니다. 원하는 공부를 적절하게 시키려면 노하우가 필요하고, 실력도 필요한데 현실적으로 그런 형식의 교육을 시키려면 가정교육이 가장 가까운 대안이죠. 그런데 가정교육으로 아이의 잠재력과 흥미를 일깨우는 교육을 한다는건... 간단히 되지 않을 겁니다. 밥먹는 시간에 밥 먹게 하는 것조차 잘 되지 않는 것이 육아인데 하물며 '교육'을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울 것입니다.

    • @user-kr3ky2pc4w
      @user-kr3ky2pc4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나도 그렇게 생각했지 어릴 때는 그런데 하기 싫은 것도 하고 오히려 하기 싫은 것을 더 해야 자신이 균형았게 발전하는 것 레임이나 하니 생각이 깊이가 없고 단순함

    • @user-wu5xb4jq4n
      @user-wu5xb4jq4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oreanTeacher_JPNㅋㅋㅋㅋ 그냥 정치권이 문제임 서로 싸우기바쁜데 교육개혁하겟음?

    • @izumiaco5079
      @izumiaco507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게 말은 쉽죠. 말은..

  • @user-bi3cc3ex8v
    @user-bi3cc3ex8v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런걸 보면 중등이후 교육이 실제적으로 필요한지 의문이 생긴다.
    고등학교던 대학교던 이론 수업뿐만 아니라 살아가는 삶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을 배우는 장소 였으면 좋겠네요.
    입시위주의 수업? 대학교 들어가고 그에 해당되는 학과가 아니면 하등 쓸모가 없더라고요. 졸업후의 삶도 마찬가지고 학과 나온대로 진로를 결정하면 좋겠지만 일부에 가깝고 거의 대부분 학과와 상관없는 직종에 종사하게 됩니다..😢

  • @user-akdkdnenakdkdks
    @user-akdkdnenakdkdk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외국가보면 고딩들도 10시-12시사이에 잠... 그래서 일찍일어나도 학교에서 그렇게 야자끝나고 독서실가서 새벽까지 공부... 근데 이런 생활을 일반 인문계고등학교 학생중 80퍼센트이상이 하고있다는거임... 하루에 3-4시간밖에 안자는 애들도 많은데 안졸린게 이상하지.

  • @user-py6ek1sg3k
    @user-py6ek1sg3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학원은 사실 한반에 많아야 15명이내가 가장 많은 인원인데,학교는 많은 학생수대비 선생님이 너무 적어요.이게 가장 큰 문제네요..ㅠ 참여하는 수업이 되야하는데, 일방적인 수업이 되고..자신이 원하는 과목, 관심분야의 과목이 선택이 되야하는데....그래야 서로가 윈윈할것 같은..
    학교에선 아이들에게 선택지를 많이 줘야할것같습니다. 수능은 더 세분화되서 각자 관심분야에 맞는 맞춤형 선택과목으로 전문인재를 양성할수 있게 바꿔야하지 않는지...전부 다양한데 일률적으로 똑같은걸 똑같이 강요하니까....시간만 낭비되고ㅠ

    • @cksskr
      @ckssk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ㄹㅇㅠㅜ

  • @saengkim5110
    @saengkim511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99

    학원이 메인이니, 어쩔수 없이 자게 된다. 학원이 주도권을 가진게 언제 적인데. 학원을 안가는 극소수 빼고는 잘 수 밖에 없다. 십년도 전에 미국서 이런 한국학교 실태를 취재한 적도 있다. 이제서야 이런 방송이라니....

    • @gracemir2
      @gracemir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8

      이런 방송을 이제야 하는게 문제가 아니라, 이 사태를 알고도 가만히 두는 정책을 주도하는 교육부가 학교가 문제인 거임. 책임추궁을 왜 엉뚱한 곳으로 하나

    • @dbwodjwofbejbf
      @dbwodjwofbejb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

      학원이 퀄리티가 더 좋으니까

    • @lifeissooofun
      @lifeissooofu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김대중이 만든 사교육 활성화

    • @saengkim5110
      @saengkim511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책임추궁으로 읽혔나요?@@gracemir2

    • @PETBOY
      @PETBO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부모들 때문에 교육이 이모양 이꼴인거임 아직도 모르시나 30년전부터 옛날신문 기사로도확인가능, 줄세우기 시험 그만해야한다고, 교육부는 부모들 따라갈뿐이고. 부모들 때문에 교육은 바뀔일 없으니 꿈깨셈 ㅋㅋㅋ 어릴적부터 컴퓨터가 가장 잘하는걸 사람한테 시키고 있으니 정작 크면 뭘 할지 모르고 흥미가 떨어지고, 나름 고위직 오르면 부패만 저지르는 구조. 부모 교육이 가장 큰문제로 한구사회를 보여준다고 보면됨, 저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줄세우기 수능 옹호하는 학생들 있는거 보면 교육 절대 안바뀜, 사람이 잘하는게 다 다른데, 암기달달해서 일부러 어렵게내서 솎아내는게 정상이러고 보냐? 창의성 자 죽이는 교육, 전부 보통학생으로 만드는 교육

  • @joyjeju
    @joyjeju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이들 아끼고 노력하시는 선생님들 덕분에 희망이 있네요

  • @user-ft6lq7hy8x
    @user-ft6lq7hy8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보면서 가슴도 아팠지만 선생님들의 노력에 아이들도 답을 해주었네요.
    노력해주시는 선생님들 감사하고 힘내세요!!!!

  • @user-pi7tc2yb8d
    @user-pi7tc2yb8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6

    참... 쉽지않네요. 학생이나... 선생님이나...
    각자의 이유가 있기는 하겠지만...
    부디 좋은 방향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로
    컸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전국에 계신 선생님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sx9cu3lc3x
    @user-sx9cu3lc3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8

    이런프로 정말좋아요! 선생님도 학생들 마음도 조금은 이해가 됬네요! 다양한 방법들 찾아서 적극적으로 학생들과 소통하려는 열정 의지가 느껴져 뿌듯합니다! 선생님들 고생많으십니다!

  • @user-jd7wl9ns6l
    @user-jd7wl9ns6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난 고등학교 체육 시간이 일주일에 한 시간인 거에 이 나라 답이 없단 걸 깨달았음

  • @user-hu8gk3yf5i
    @user-hu8gk3yf5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1

    학생들이 인강을 하나 들을때에도 수많은 커뮤니티에 찾아보고 질문하며 다양한 선택의 이유가 되는 강의의 가치들이 존재합니다. 당장 일타강사도 학생들에게 선택받기 위해 애쓰는데 상대적으로 준비가 부족한 고교 교사의 수업을 선택하지 않는것이 현 학생들의 당연한 선택아닐까요? 자신의 시간을 투자해서 수업을 듣게 하려면 ‘50분 동안 선생님 수업듣는게 강사수업 듣는거 보다 효율적이네?’라는 생각을 하게끔 수업준비를 해오셔야죠. 매일 건성으로 와서 대충 수능특강,완성 지문만 읽고 가면 끝입니까? 그럼 시험수준도 그렇게 내야지. 시험문제 만드는것도 사설문제집, 기출 숫자만, 단어만, 유형만 바꿔서 내고 하는게 뭔지 모르겠네요. 현 고3으로써 학교에 너무 환멸나서 강하게 적어봅니다.

    • @user-ne5sd4pt7e
      @user-ne5sd4pt7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이게 현실이지만 절대 인정 못하지 너무 많은 희생이 따르니까 현 상황에서 자기들이 변화할 생각은 없이 사교육 탓만 하면서 권위 세우는 교사들을 너무 많이 봤다

    • @lancelot_2020
      @lancelot_202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근데 선생한테도 그 월급으로 그렇게까지 하라고 하기 힘듬. 그냥 교육 구조자체가 너무 기형적이라 방법이 없는듯

    • @user-tj2wm8oc9i
      @user-tj2wm8oc9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진짜 이게맞지 인강회사들이나 시대 강대 이런곳 보면 입결실적을 더 올리고 더 많은 학생들을 끌어모으게 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인원과 자본이 투입되냐 그런데 맨날 그냥 들어와서 지문 읽어주고 자습서랑 비슷한 코멘트 달아놓고 필기라 하고있고 이러면 누가 듣고싶어함 그런데 이 구조를 바꾸기에는 너무 많은 강을 건너와서 되돌아 갈 수 없을듯 이 문제를 바꾸려면 15년 20년 전에 사교육 붐이 시작할때쯤 바꿨어야 하는데

    • @user-ji2yd2zx7l
      @user-ji2yd2zx7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여기에 문제가 사교육은 그렇게 끌어들여야 수익이 오르니까 하는데
      공교육은 열심히 해도 안오르고 열심히 해도 내려가지 않는다는거임 근데 그와중에 시간은 사교육이 투자하는 시간의 절반이고 ㅇㅇ 행정업무가 반임
      고3이라서 환멸나는거 어쩔 수 없는데 몰라서 하는 소리임 님말이 맞는말이긴 한데 그것만 볼게 아니라는 소리

    • @user-bg4zd4im5o
      @user-bg4zd4im5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고3 수준이 이따위니 ㅉㅉ

  • @user-tq7el6md9j
    @user-tq7el6md9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6

    어두운 현실을 선생님들의 노력으로 우리 대한민국의 미래가 좀더 긍정적이고 밝았으면 합니다.
    고등학생들도 덩치만 크지 선생님들의 칭찬에 좋아하는 모습을 보니 기분이 좋아지네요. 바뀐 수업에 친구들끼리 서로 의견을 나누고 소통하는 모습이 그래도 인상적입니다.
    첨엔 작은 변화이지만 시간이 갈 수록 서로의 노력은 헛되지 않고 기억에 남을 것입니다.
    다시 응원하고 응원합니다~~😊😊

  • @user-cx6gw6oj1c
    @user-cx6gw6oj1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6

    40:06 각 눈높이에 맞춘 칭찬 시스템 너무 좋네요!아이들은 역시 순수함이 있어요!
    선생님의 역할은 이런거라 생각해요
    아이들 하나하나 장점을 찾아주는거요!

  • @freef2715
    @freef271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20년전에도 그냥 비슷했어요.. 빠따질이 있었느냐 없었느냐의 차이일뿐
    감정적 폭력이 일상이던 시절이었는데 능력있는 선생님은 거의 못본듯..
    다들 학원가서 개념원리 배우고 학교에선 언수외는 들어봤자 단순암기수준이라 아무 도움도 안되었고..
    원리는 안가르쳐주고 그냥 외워 교과서보고 여러번 써봐 이러고 결국 수십번 쓰기만 하고 이해는 안가고 결국 포기속출 ㅜ

  • @user-jx1gg5ym4j
    @user-jx1gg5ym4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아이들이 동네 내신 어려운 고등학교로 진학하고 보니 정말 수업은 쉽고 시험은 어렵게 내고요 그 갭이 정말 크네요
    사교육 없이 내신 잘 받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워요

    • @user-akdkdnenakdkdks
      @user-akdkdnenakdkdk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저도 내신 빡센 고등학교 나왔는데 알려준것도 없으면서 시험범위를 여태껏출제된 영어 모의고사에 영어교과서에 별의별... 그것마저 다외우는 애들이있어서 그걸 또 변형한다하고.. 학원에선 학교맞춰서 찝어주니까 학원다니는애들이 유리할 수 밖에 럾더라고요. 학원안다니는 개인이 하긴 정말 힘든 환경😢

    • @bbase290
      @bbase29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akdkdnenakdkdks내신문제 ㅈㄴ괴랄함ㅋㅋ

    • @user-jf6tg5qi5b
      @user-jf6tg5qi5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akdkdnenakdkdksㄹㅇ영작변형 진짜 미친거

    • @user_timinyong
      @user_timinyo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본인고등학교는 내신50퍼때 후반까지 컷트라인으로 잡히는고등학교였는데 반 30명중 많아야 5명제외하고 다 풀집중모드라 경쟁심이나 위기심때문에 열심히는 하게 되는데 그만큼 좌절감도 많이 느껴봄 ㅋㅋ

  • @user-fx2lo8so8f
    @user-fx2lo8so8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공교육이 살아있는 학생.교사 가 행복한 학교가 되었으면 좋겠다. 공교육에 투자를 많이 해서 사교육을 안받아도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그런 사회가 되길~~

  • @sanim747
    @sanim74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고민하시고 애써주시는 모든 선생님들 감사합니다

  • @lIll206
    @lIll20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는 학생들에게 질문을 너무 안해 학생참여도 너무 적고 호기심을 자극해야함
    좋은 프로그램이네요 이런 프로그램 너무 좋습니다.

  • @user-pr2ly5kb9j
    @user-pr2ly5kb9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학교도 이제는 선택이 되면 좋겠다. 공부하고 싶은 아이는 가고 다른 길을 원하는 아이는 다른 방식으로 원하는 길을 가게 하면 좋겠다.
    서로 역효과 뿐이다.

  • @user-jb1rs4rh9k
    @user-jb1rs4rh9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1

    잘 가르치면 다 들음 ㅋㅋㅋ 우리 반도 미적분쌤 엄청 잘 가르치셔서 그쌤 수업때는 다 깨어있는데 못가르치는 쌤 들어오면 많이 잠

    • @user-bh3yc7je2q
      @user-bh3yc7je2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잘 가르쳐도 자는 애들도 있어요. 삶을 포기한 아이들이죠.

    • @user-jb1rs4rh9k
      @user-jb1rs4rh9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user-bh3yc7je2q 제가 얘기한건 공부를 할 의지가 있는 학생 한정입니당

    • @Yoohue749
      @Yoohue74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user-bh3yc7je2q 예체능 아이들도 있는데 수업 안듣는다고 그렇게 말씀하시는건 좀 아니지 싶네요.

  • @user-rk1oo7hj7t
    @user-rk1oo7hj7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4

    여기서 학생탓을 하는 사람들은ㅋㅋㅋ 진짜 수업스킬 ㅈ도 없는 쌤 수업 7시간동안 듣게 시키고 싶다ㅋㅋㅋㅋ 알맹이 없는 수업 들어봤자 남는것도 없는데 자는게 훨씬 이득이지ㅋㅋㅋ 공부는 나중에 인강으로 해도 충분하고

    • @Gloria_Aria
      @Gloria_Ari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사법고시 합격한 사람은 교사 아님.. 임용고시겠죠.. 그리고, 사실 임용으로 들어오지 않은 교사들이 더 많음… 그냥 인맥으로 교사하고 있는 사람도 많아요.

    • @izumiaco5079
      @izumiaco507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립고하고 공립고는 케이스가 당연히 다르긴 하죠.

    • @Sej06
      @Sej0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izumiaco5079사립고 출신인데 교과서 복붙 하는건 똑같음 자사고는 모르겠는데 걍 인문계 고등학교 자체가 다 문제임

  • @user-vf2iy1im9o
    @user-vf2iy1im9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중3인데 수업 방식을 학생들이 참여형으로 바꾸는 추세인데, 솔직히 그런 수업 안 좋아하는 편임. 학교에서 그렇게 열심히 수업 들어도 학교에서만 공부하는 것도 아니고, 학원도 가고 인강도 듣고 집가서 자습도 하는데 학교에서 참여형 수업을 시키면 피곤하고 머리에 더 안 들어옴. 차라리 강의형 수업으로 하고 말을 조리있게 하시는 쌤 수업이 더 이해도 잘 되고 더 기억에 오래남음. 교육부랑 선생님들은 참여형이 더 좋은 수업 방식이라고 하지만 그 수업 방식이 더 좋은 방식이 되려면 정말 학교에서만 공부하는 환경이 되어야 할 듯. 그게 아닌 이상 더 피곤하기만 하고 더 사교육에 의존하게 되는 느낌임

  • @1004user_
    @1004user_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10여년 전 고등학교 자퇴 생각들 때 못 하고 꾸역꾸역 졸업한 그 시간이 제일 아까움.. 체력도 이 때 말아먹어서 병 걸렸었는데 후유증이 아직도 있음. 시간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손해 밖에 못 봄

  • @lilllililiiillilllililiiil
    @lilllililiiillilllililiii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

    학원 또는 인강 강사가 대부분 학교 교사보다 훨씬 퀄리티 좋으니까
    또 본인 난이도에 맞는 선생을 찾아서 들을 수도 있고
    내신이랑 달리 수능특화라 좋음
    사실 멀리갈것도없음 EBS강의가 앵간한학교 쌈싸먹는다
    외고 마저도 탐구만큼은 인강듣는게 이득이라고하는 지경인데 일반계 고등학교는 ㅋㅋㅋ

  • @jimmyk6952
    @jimmyk695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9

    학교가 수업이 너무 많고 타이트하고
    재미도 없고 이제는 바뀌어야 할것 같다
    하루에 3시간만 수업 하고 나머지 시간은
    자율적으로 원하는거 할수록 있게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외부 강사나 외부로 나가는 수업도 이제는 해야 한다
    입시위주의 수업을 도대체 언제까지 할거냐? 100년 할거야?

    • @user-iz5qf5mi8n
      @user-iz5qf5mi8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절대 안바뀔듯애초에 그럼 선생님은 어떻게 살라고 학교에서도 분별력있게 하는게 어쩔 수 없음 정 입시하려면 자퇴해야지

    • @user-ho3wx9kf3x
      @user-ho3wx9kf3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연 이 문제를 정부가 어떻게 바꿀지 모르겠네.. 나라에 문제는 갈수록 많아지고 해결책을 내도 달라지는게 크게 없는 상황에 무엇을 해야 되는지..

    • @user-jo8ls3wg4i
      @user-jo8ls3wg4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iz5qf5mi8n어떻게 살긴 어떻게 살아?
      학교에서 3시간 수업하면
      월급 못받아? ㅋㅋ

  • @lilykim4271
    @lilykim427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외고생인데 쌤들 수업이 너무 좋아요
    내신이랑 별개로 학교에 EBS강사도 있고
    쌤들이 다 수업준비를 엄청 열심히 해오셔서 애들도 조는 애들 거의 없이 수업들어요
    학교 수업이 도움이 되냐는 솔직히 선생님에 달린 일이죠. 쌤들이 다 수능까지 커버칠 수 있도록 수능 맞춤으로 수업해주시고 과목별로 수능대비 방과후까지 따로 개설해 주셔서 본인 가르친 것만으로도 충분히 어렵게 낼 수 있으니 논란도 없이 깔끔하고. 괜히 특목고 오는게 아니라니까요 정말...
    쌤들이랑 애들 사이도 굉장히 좋아서 쌤별로 팬클럽도 있고...세계지리같이 수능 연계 과목도 다들 열심히 듣지만 심화영어독해같은 수능 안나오는 과목도 다 열심히 들으면 도움이 되겠지라는 마인드로 수업듣고 있습니다😊

  • @user-st9bf3rc1r
    @user-st9bf3rc1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지나가는 고딩인데, 사탐같은 경우는 사교육 많이 안함 + 선생님 강조가 시험에서 중요함 + 암기과목이다 보니까 터무니없는 난이도로 나오진 않음 때문인지 9할 정도가수업 들음. 이런거 보면 선행이랑 사교육이 문제되는 것 같기도 해....

  • @user-jx9pv8wx8b
    @user-jx9pv8wx8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인강때문 아닐까요.
    전국 어디든 인강으로 1타 강사 자료와 수업을 들을 수 있어서 눈높이가 높아졌는데 중학생도 아니고 고2면 모고랑 수능 준비를 시작하는 시기인데 쎈수학스러운 내신문제보단 보는 눈을 길러주는 풀이에 익숙하다보니 학교수업하곤 잘 안 맞을 듯..
    얘기 많이 들었는데 학원에서 배운대로 하면 3분만에 풀릴 걸 학교쌤은 10분 동안 풀이한다고.. 슥 읽고 슥삭 풀 문제를 매우 힘들게 푼다고.. 그런 모습을 보일수록 거르게 되는거죠..
    요즘 인강도 이거 듣다가 별로다 싶으면 다른 쌤으로 갈아타는 마당에

  • @mrj9713
    @mrj971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고등학교 기준 하루 8-9시간 수업.
    (본인 고교시절 0.8교시는 보충수업)
    이것만하기에도 빡빡합니다.
    학교수업도 빡센데 사교육까지 하면
    체력이 버티질못합니다.

  • @user-by1zv6bx5u
    @user-by1zv6bx5u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유익한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jykim6049
    @jykim604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많이 느끼고 갑니다. 교육제도가 나아지면 좋겠네요

  • @sunshine-up
    @sunshine-up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노력해주신 선생님,감사합니다.

  • @Freestylelook
    @Freestyleloo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한번 따라가지 못하면 집중해서 들어도 무슨얘기인지 알지 못하게 되고 결국은 자포자기하고 잠을 자게 되는것 같네요.제가 학생시절때 얘기인데.결국은 공부하는 방법이나 재미 또는 흥미를 스스로 느낄수있도록 가정에서나 학교에서나 인도를 해주고 결국은 스스로 배울의지와 공부하는 방법등을 학습할수 있냐가 중요한거 같아요.최근 영상으로 본 공부하는 방법인데 한글자씩 정독하면서 빠르게 읽어나가는 방식을 반복해서 주입함으로써 그장면 장면들이 기억에 남는 방식이래요.저는 이런 방법들을 전혀 몰랐었거든요.다시 학생시절로 돌아간다면 도움이 될것 같네요

  • @user-hj4fx7ds6h
    @user-hj4fx7ds6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곡정고 우리 아파트 단지 안에 있는 학교인데 반갑기도 하고, 선생님 고생이 많으시네요..

  • @user-rl1el4yq8x
    @user-rl1el4yq8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리고 진짜 힘든 시절인데 대외활동같은것좀 많이 만들어줬으면 좋겠음 저 때 얼마나 힘든시절인데..나도 학교 억지로 다니다가 수업 따라가지도 못하고 지금 우울증 생겼음 ㅡㅡ,,

  • @user-kl2ic7jl8n
    @user-kl2ic7jl8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영상처럼 노력해주시는 선생님들이 많아졌음 좋겠네요..세대차이를 조금 이라도 좁혀보려고 노력하시는 모습이 학부모입장에선 보기 좋아요~ 저희집 고등아이의 얘기를 들어보면 나이있으신 선생님들의 수업개선이 필요할것 같다하네요..담임맡으신 선생님조차 반아이들에게 관심없다는 얘기를 들으면 너무 맘이 씁쓸하더라구요..이런 영상을 모든 선생님들께서 꼭 보셨음 좋겠어요

    • @mrdarcy7188
      @mrdarcy718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찾고찾아서 포장한게 저정도입니다.
      열심히 노력하는 선생님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 @user-yg2hf8zg8c
      @user-yg2hf8zg8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리고 선생님이 수업만 잘하면 끝... 이게 아님 선생님들이 맡게 되는 일이 한두 개가 아님... 이거 자체가 문제
      인강 쌤들은 하루 종일 수업 준비를 해도 학교 교사들은 하루의 반절도 못 쓴다는 거임

    • @mrdarcy7188
      @mrdarcy718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yg2hf8zg8c 다른직장생활을 조금이라도 해보면 선생님들 업무가 아무것도 아니란걸 알게 될거에요.
      사회초년부터 교직생활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어지간해서 다른일에 적응을 못하는 이유죠. 너무 편하게 길들여진거에요.

    • @haasmanuel213
      @haasmanuel21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rdarcy7188
      지들만혼자일다하고 고생다하는 팔각모쎄무짝 빨간명찰이 또..

  • @user-wr4qk8nc9w
    @user-wr4qk8nc9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저런 참여형 수업을 하려면 어마어마한 연구와 준비가 필요한데 공문 및 업무가 차고 넘쳐 저걸 할 시간이 없어…

    • @myaaaong
      @myaaao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참여형 수업 애들이 제일싫어합니다
      그냥 강의만 잘해주세요
      질가르치는 시간은 안잡니다

    • @ppa_jju
      @ppa_jj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myaaaong 진짜 그래요... 현재 고3인데 항상 참여형 수업있으면 '귀찮게 이런걸 왜해!,' '걍 인강스타일로 해주는게 더 나은데...'이런반응이 대부분이었습니다ㅠ

  • @Miss-Lee-from-South-Korea
    @Miss-Lee-from-South-Kore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어렸을 때 가고 싶은 대학이 국영수과사만 내신 성적 반영해서 주요 과목만 ‘수’ 만들어 놓고, 제 2외국어 같은 마이너 과목 수업 시간엔 주구장창 잤던 제 모습이 떠오르네요;;;; ㅠㅠㅠ 20년전인데;;; 입시 방법은 다양해지고 세부적인것이 많이 바꼈을진 모르겠지만 근본적인 것은 전혀 변한게 없다니 너무 안타깝습니다 😭 입시만을 위한 공부를 해왔던 저도 불쌍했고 지금 학생들도 불쌍하고 선생님들껜 한없이 죄송할 뿐입니다 😭

  • @user-gk6xw6zc4g
    @user-gk6xw6zc4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는 수업을 열심히 들으려 노력은 하지만 선행, 중학교 때 배운 내용이 잘 안 들어와 있다 보니까 수업 따라가기가 힘들고 이해가 안되니 재미도 없어지고.. 결국 졸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돼요ㅜ

  • @21winter79
    @21winter7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학교쌤들 수업 안 하고 인강 틀어주면서 꿀빨던데ㅋㅋㅋ 그리고 수능기출 가져가면 못 품ㅋㅋㅋㅋㅋ이걸 나한테 왜 가져오냐고 학원에 물어보라고 함… 수준 진짜… 하..

  • @ssangdog
    @ssangdo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출연하신 샘들 노력 하시는 모습 너무 멋집니다.

  • @user-rw8sh5kj1s
    @user-rw8sh5kj1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선생님 수업 잘하시고 좋은 분 같네요. 자괴감 안 느끼셔도 됩니다.

  • @user-hg4xe1wl6j
    @user-hg4xe1wl6j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용기있는선생님들 응원합니다~~~

  • @user-fi2fk3xo4n
    @user-fi2fk3xo4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3

    학생들 맘이 저도 이해가 갑니다
    학교 다닐때 왜다니는지도 모르겠고 공부도 하기 싫어서 늘 자기만 하고 선생님께 혼도 많이 났는데 결국 성인되고 공부해서 대학 오기는 왔네요
    공부 관심없는 학생들이 꼭 인문계 가야하나 싶습니다.
    어렸을때부터 다양한 직업체험을 하고 전인교육을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spop7061
      @spop706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근데 학부모들이 꼭 인문계 보내려는게 대학때문만은 아님...
      진짜.. 이건 너무 안타까운 현실인데, 실업계에 문제있는 학생이 훨씬 많고, 학폭이나 기타 사건사고도 훨씬 많이 일어나는게 사실임...
      우리 형 학교전담 경찰관인데, 지역에서 공부 젤 잘하는 인문계와 공고 맡고 있는데, 인문계는 신경쓸 필요도 없는 반면에, 공고는 3일에 한번이상 일 안터지는게 이상하다 함

    • @user-ti2yp9ml5e
      @user-ti2yp9ml5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spop7061 그건 맞는 거 같아요 모든 실업계 학생들이 문제가 있는 건 아니지만, 꼭 사건사고 터지는 곳 보면 대부분 실업계더라구요

    • @User11737
      @User1173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걍 너무 낭만임 ㅋㅋ 울나라는 뒤질때까지 블루칼라(기술) = 개 ㅂㅅ 하꼬바리 취급임. 지금 20대도 그렇게 생각하고, 지금 애엄마 30중후반도 그렇게 생각함. 그리고 지금 20대들이 결혼해서 낳을 애들도 실업계 = 하꼬바리 ㅈ병신 공부만이 살길이라고 생각할 가능성 ㅈㄴ높음 ㅋㅋ 그들 기준 자기네들 할머니, 할아버지/ 아빠엄마도 실업계 ㅈ이라하는데 왜가겠음? 걍 이나라는 멸망 예정임 ㅋㅋ

    • @user-fr8nf6lg8u
      @user-fr8nf6lg8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뭔 ㅋㅋㅋ 공부 관심 없어서 자는게 아니라 공부해서 자는건데 논리가 안 맞습니다 일단

  • @amond---------
    @amon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작년에 강도렬 선생님의 수업을 들은 학생으로써 선생님이 밝고 엄청 재밌으셔서 장담하건데 단 한번도 수업에서 잔 적이 없습니다.. 이 영상을 찍은지는 좀 오래 된 것 같지만 작년에 제가 참여한 수업은 이런 수업이 아니였습니다. 반에서 자는 애를 꼽자면 1명? 많으면 2명 정도였습니다. 이런 수업을 만들기 까지 이러한 노력이 있었다는 것을 몰랐는데 이런 모습을 볼 수 있다는게 좀 다르게 다가오는것 같네요. 선생님 존경합니다. 다시 선생님 수업을 듣고 싶습니다!

  • @pebble2013
    @pebble201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수능/내신의 2중체제 때문에 그런듯. 수업이 수능을 위한 수업이 되던지 아니면 수업>중간기말시험을 수능틱하게 만들어서 입시의 기준으로 삼던지 해결이 필요할듯. 근데 애들이 잘됨보다 잘안됨을 경험하니 실패감에서 오는 스트레스때문에 밤에 핸드폰게임하고 쇼츠보고 이러다 밤새서 조는것도 많을듯

  • @user-op7ko2yi8y
    @user-op7ko2yi8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정원 선생님!! 처음 교직에 오셨을 때 저희 중학교로 오셨어요ㅎㅎ 감사하게도 저희가 첫 제자네요. 그때도 역할놀이나 수업 엄청 열심히 준비하셨고 항상 재미있는 수업이었던 기억이 나요. 그덕에 저는 역사가 제일 재밌었어요. 근 10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열정 넘치시네요. 존경스럽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저도 선생님처럼 좋은 선생님들을 많이 만나면서 자연스레 교사의 길을 걷게 되었고 이번에 시험도 봤습니다. 면접 준비하며 본 다큐에 선생님이 계셔서 놀랍고 반갑기도 해요ㅎㅎ
    선생님께서 행복한 수업만 하셨으면 좋겠는데.. 참 이게 쉽지 않네요.. 그럼에도 개선하려 노력하시고 그에 따라 바뀌는 아이들의 모습은 역시 학교에서만 볼 수 있는 장관이 아닐까 싶어요. 그러나 아이들의 변화의 대부분을 교사의 수업으로 이루어낼 수 있다는 의견에는 완전 동의하기 어렵지만요. 자칫 이 영상이 의도하지 않았지만 교사 책임주의로 비추어질 것 같아 우려스렵네요.
    비정상적인 입시체제속 제 존재에 대한 의구심이 들지만, 그럼에도 저 또한 선생님처럼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조금의 변화라도 이끌어낼 수 있게 노력하는 삶을 살아보고자 합니다. :)

  • @navieA
    @navie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8

    이거 2년 전 다큐임. 코로나가 지나고 교권붕괴가 교실을 지배한 지금 에렇게 교사의 노력으로 해결하라는 건 시대착오적이라고 본다.

    • @user-bj5rd7yc3w
      @user-bj5rd7yc3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코로나 직전이네요 ㄷㄷ

    • @predictionary
      @predictionar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뒤에 시스템적 문제가 근본원인이라는 말을 덧붙였으면 오해살만한 글은 아니었을 텐데

  • @2wez961
    @2wez96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9

    학교가 다양한 교수법을 제시하고 적용하려는 시도로 학생들의 흥미를 끌려고 하지만, 오히려 공부를 원하는 아이들이 다니는 학원은 가장 보수적이라는 강의식 수업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애초에 교수법의 문제가 아니다. 학생 스스로가 학교를 공부하는 곳이 아니라 교우 관계를 맺고, 내신을 받기 위해 다니는 곳으로 생각한다. 국어, 수학, 영어를 제외하면 학생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과목이 없다. 다양한 교과 중 단 3과목에 학원을 통한 거의 모든 에너지를 쏟고, 그외 수능과 관련된 과목에서 살짝 집중 하는 것 외에 학생들은 학교가 공부하는 곳이라는 생각을 잘 하지 않는다. 그리고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진행되는 차시가 아니라 아닌 오직 "수능"을 위해 공부를 하는 목적성이 학원과 학교의 차이다. 모든 문제는 수능에 있고, 수능 중심의 대입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의 대입이 전환되지 않으면 이 상황은 해결이 안 된다. 냉정하게 학교 교육은 수능 중심의 대입에서 학원에 밀릴 수 밖에 없다. 학교의 보편적 가치 때문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것은 요란한 교수학습법이 아니라 대입을 위한 훈련이고, 학원은 그 니즈에 부합하는 곳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원을 선호한다. 대입 끝나고 입학하면 대학 전공 수업 잘 안 들어오는 놈들은 스펙 쌓느라 대외활동이나 자격증 따려고 공부한다. 취업이 목적이다. 그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보면 된다. 학생들은 대입, 스펙, 취업에 관심이 있지 전인적 교육과정에서 말하는 교육에는 관심이 없다.

    • @user-od2hb3ol3d
      @user-od2hb3ol3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게 정말 근본적인 문제인 것 같습니다ㅜ 결국 공부를위한 공부가 아닌 대입,취업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버렸다는 것..

    • @myaaaong
      @myaaao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공감합니다 이게 현실입니다

    • @dayspring3536
      @dayspring353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뭐 학생들만 그런가요 부모도 학교 선생님들도 다 입시에 집중하지. 뭔 전인적 교육...
      결론은 대입과 취업이라는 결과가 중요하잖아요.
      학교 선생님들도 자기 자식은 어릴때부터 사교육 가열차고 빡세게 시킴

    • @user-dv1se4fz6u
      @user-dv1se4fz6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학교도 좀더 대입 수능만 생각하도록

    • @user-dv1se4fz6u
      @user-dv1se4fz6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차피 무한경쟁사회 출산율만 봐도 답은 정해져있다

  • @user-ww8ry2bi6p
    @user-ww8ry2bi6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렇게 학교쌤 각자 한분씩.. 교육부에서 수업컨설팅을 좀 해주면 좋겠네요. 학원의 경우엔 학원만의 시스템과 노하우가 쌓이는 반면에, 공교육 선생님들은 각 한분마다의 노하우가 끝이니.. 비교가 안될꺼같아요. 컨설팅을 통해 노하우나 수업자료도 과목마다 통합해서 공유해주면 선생님들도 좋아하실듯

  • @user-od8ur3ti6v
    @user-od8ur3ti6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도 노력하는게 느껴지는 선생님이 계시면 깨어있으려고 하는 편인데 그게 참 어렵더라구요... 이미 아는거라도 두세번 더 들으면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하면서 깨어있으려고 노력하는데 며칠내내 새벽에 잠들면 안졸기가 너무 힘들어요,, 그렇게 잠드는게 습관화되면 노력해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전에 일어나면 수업 끝나있더라구요 항상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주변애들 자는거 보면 나도 의욕이 떨어지고...

  • @noich31
    @noich3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수업의 문제보다도 학교의 목적부터 사회적으로 정립되어야할 문제같다.. 세상에 다양한 길이 보이고, 효율을 중시하니까 더 심화되는거같음.

  • @user-xe7ud4gd9g
    @user-xe7ud4gd9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학생들 입장에서, 공부 안하는 학생들은 그냥 수업에 관심이 없고요. 공부 하는 학생들도 수시파이터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시 공부에 매진하는데 사실 요즘처럼 일타강사들이 많고, 일타강사들이 학교 교육을 완전히 대체할 정도로 좋은 자료와 설명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고등학생이라는 조급해지는 시점에서 학교선생님 수업보다는 학원 숙제를 하거나 인강을 듣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학교선생님들이 일타강사들처럼 하루에 몇시간씩 수업 준비를 하거나 조교진들과 회의까지 해가면서 교재내용을 검토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학생 입장에서도 선생 입장에서도 충분히 입장이 헤아려지긴 합니다..

  • @TV-zi8ec
    @TV-zi8e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등학교졸업20년 되가는데 여전히
    똑같은 모습에 놀랍네요 변화하는 시대를 못 따라가는 학교의 모습에 씁쓸하네요

  • @user-zm5ny4ql7q
    @user-zm5ny4ql7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거대한 자본의 흐름의 구렁텅이에서 희생되는 학생들과 선생님들...대한민국 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