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보일러 전기세 정확히 알려드림 누진세폭탄 조심하세요

แชร์
ฝั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4

  • @user-ct6mm5jd2g
    @user-ct6mm5jd2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o4805
    @o480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보 감사합니다

  • @jongkim8386
    @jongkim8386 ปีที่แล้ว

    아주 감사합니다, 자세하고 친절한분석에 많은 도움이 되었읍니다

  • @user-nv3en9iz8b
    @user-nv3en9iz8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kw태양광 설치했고, 약10평만 전기보일러로하려고하는데 태양광발전을 제외한 사용량으로 누진세가 적용되나요? 아니면 태양광이발전한 발전량도 포함을해서 누진세가 나오나요?
    5kw 태양광설치한 주택도 전기보일러는 비추천인가요? 평소 태양광없을시 전기세가10만원정도 나왔어요

  • @user-fk8hm2zj7u
    @user-fk8hm2zj7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꼼꼼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저는 직장 때문에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데, 강원도 횡성에 8.4평 원룸을 하나 마련했습니다. 주로 여름방학 때 귀국하여 1-2달 정도 이용하는 상황입니다. 현재는 LPG에 일반습식보일러가 설치되어 있는데, 빈집이라 동파 염려 때문에 출국 때마다 난방파이트의 에어랑 물을 빼느라 한바탕 난리를 핍니다. 동파 염려가 항상 따르고요. 그래서 이번 겨울방학에 귀국해서 전기보일러로 바꾸면 어떨까 생각중입니다. 7년 정도 후면 영구귀국을 하게 되는데 그때 태양열을 설치하면 난방비 걱정은 덜하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최부장님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우선 여름에 사용하는데 왜 난방파이프에 물을 빼는 고생을 하는지요?
      여름이면 난방을 안하므로 보일러에 난방 메인배관에 밸브를 달아 막으면 됩니다
      우선 영구 귀국후 태양광설치 여부를 물어 보셨는데 원룸이 주택이신가요?
      우서 3kw는 별로 의미가 없을듯 하고 6kw정도 설치 하셔야 요금을 어느정도 세이브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중요한점이 태양광 설치비인데 3kw당 500만원대이면 의미가 없을듯 합니다.
      최대한 지원을 받아 설치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user-zl4gk8nl7b
    @user-zl4gk8nl7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보일러도 좋지만.. 집에 단열처리부터 해야 함. 보온병이 좋으면 뜨거운물이 오래가는 것 처럼~~
    단열안되는 집은 보일러 계속 돌아갈꺼고,, 그럼 폭탄 맞는 것임.~(바닥,벽,천장,문,창문.. 단속 해야함.)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습니다.
      난방에 가장 기본은 단열입니다.
      단열만 잘되면 난방비는 무조건 줄어듭니다

  • @user-gg5rz8fo1i
    @user-gg5rz8fo1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번에 심야전기보일러 쓰는 집으로 이사 와서 궁금한게있는데요... 이게 심야에 전기로 물을 뜨겁게 해서 보일러를 돌려 따뜻 하게 하는원리인건 알겠는데, 낮에도 그물을 순환시켜서 난방을하는거잖아요? 낮에 보일러 돌리는것도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건지? 아님 심야에 물뜨겁게 할때만 전기세가 나오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우리집 방 거실 해서 4군데 인데 전부 열어놓는거랑 안쓰는방은 닫아 놓는거랑 전기세 차이가 많이 나는지 도궁금하네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심야전기보일러는 밤에 안쓰는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데워 놓은뒤 낮에도 그물을 가지고 난방을 하는것이라 낮에는 전기를 소모하지 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안쓰는 방은 문을 닫아 놓고 동파 방지를 위해 조금만 열어 놓는것 난방비에 절감이 되나 심야전기보일러는 어차피 큰 물통에 물을 방새 데워 낮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기요금에는 큰 차이가 없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 @kan6444
      @kan644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낮에는 순환펌프 전기만 쓰지요

  • @nsang61
    @nsang61 ปีที่แล้ว +1

    6평, 3평 난방을 주방 온수와 화장실 샤워기를 같이 사용하려면 어느 방식이 유리할까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ปีที่แล้ว

      도시가스가 들어오면 도시가스용 보일러를 설치하시고 그렇지 않고 전기를 원하신다면 난방용 보일러 설치와 온수기를 따로 분리해서 설치 하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겸용으로 쓰실려면 최소한 12kw이상 되는 전기보일러를 설치하셔야 하거든요

  • @jinwoolee8647
    @jinwoolee864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경기도 양평에 전원주택 30 평짜리 방2개 ,거실, 부억,에
    심야전기보일러가설치되어있읍니다
    지금 집이 비어있고, 1년에 3,4 개월 사용하려고합니다
    겨울에 동파 방지 하려면 어떤 조치를 해야 할가요
    또한 휴대폰으로 온도를 원격조정할수있는 방법도 있는지요
    좋은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터넷에 잘찾아보면 보일러 원격제어 제품이 있습니다.

  • @user-cy8sm2xk4h
    @user-cy8sm2xk4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가보일러 전기세 관련 유투브 설명 잘보았습니다.
    바쁘실턴데 문의드려도 될까요?
    저는 동두천의 왕방산 밑에 45m2 근린시설(사무소) 건축허가를 받고 시공직전에 있습니다.
    이곳은 외딴곳이라 가스, 기름 등을 배달 받기가 불편하기에 건축업자는 전기필름에 온수기 정도를 권하는데 저는 전기온수난방을 하고 싶습니다. 겨울도 긴 지역에다 연중 거주할수도 있고 해서요.
    시공비 차이가 많은가요,
    근생이라 전기료누진도 없는것 같아서요
    시간 나실때 자문 좀 부탁드립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선으로 상담해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선으로 상담해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dp2ju1gj8w
    @user-dp2ju1gj8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리모델링 하면서 다용도실로 쓰던 방에 전기보일러를 설치할까 고민중이었는데 영상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궁금한 게 다용도실 방을 침실로 만들려는데 습식난방 전기보일러는 괜찮을까요?
    2평 조금 넘고 난방배관이 현 보일러와 별도로 되어있어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주 쓰지 않는다면 가능합니다

  • @yoonsehyeon
    @yoonsehyeo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시골에 심야전기보일러를쓴지 20년되어가는데 최근 겨울심야전기 사용료가 한달 80만원정도 나옵니다. 평수가30평대인데
    히트펌프나 기름보일러가 나은건지? 현실적으로 절약하는방법이 뭐가있을지 궁금하네요 확실히 예전보다 전기값이 너무비싸져서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제가보기에는 아직 심야전기가 더 저렴할것 같습니다.
      현재 심야전기가 그정도이면 기름값은 더 나올듯 차라리 단열에 투자 하심이 더 나을듯 합니다.

    • @yoonsehyeon
      @yoonsehyeo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zt7po2nq3y 보일러 데워지는데 좀 오래걸리고 배관청소나 관리는 해준적이없는데 확실히 해주는게 효율적으로 좋나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oonsehyeon 해주면 좋기는 하나 엄청난 효과는 볼수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10만원 내외 가격이면 할만하나 그이상은 아니다 싶으며 노후된 배관이라면 괜히 잘못하면 배관이 파손 될수 있으니 잘 알아보고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심야전기보일러가 오래 되셨으면 보일러를 교체하시는것도 고려해보세요 보일러교체 하면서 배관에 물도 다빼달라고하면 배관청소도 된것입니다

    • @yoonsehyeon
      @yoonsehyeo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zt7po2nq3y 감사합니다 잘알아봐야겠네요

  • @user-ps2jo2yv3p
    @user-ps2jo2yv3p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단열이 제일 중요 합니다 .단열 좋은 집은 난방 약하게 틀어도 훈훈 합니다/반대로 단열 약한집은 보일러 많이 때도 바닥만 따뜻하고 우풍 심해서 추음/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가장 중요한것은 단열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te8ni5xz3x
    @user-te8ni5xz3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재 43평형주택입니다. 단열은 잘되는 편입니다.
    얼마전 태양광을 추가설치 해서 18키로 입니다.
    요즘은 날씨좋을때는 하루 발전량이 100키로가 넘을때도 있습니다. 이정도면 전기보일러 사용해도 되는지요? 고민이 됩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필난방입니다
      43평형이면 대략 난방면적만 해서 보일러가 15kw정도 필요하다고 하면 하루 10시간 가동이면 150kw이며 한달 4500kw입니다.
      다만 6시간 사용시 하루90kw이므로 한달 2700kw 사용으로 태양광으로 가능할수도 있습니다.
      18kw태양광 정도면 일부 전기료 내신다고 생각하시면 전기보일러 설치도 가능하실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jhb498
      @jhb49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습식이든 건식이든 일정온도를 설정하고 살면 그온도에 맞춰서 보일러가 가동되니 하루에10시간씩 가동되며 사는집은 우리나라에는 없다.기껏해야 하루5시간도 안된다.다만 설정온도에 도달해서 보일러가동이 멈췄는데 춥다고 또 온도를 올리게된다면 가동이되겠지.정답은 실내온도 24도든26도든 설정해놓고 난방하면 하루 보일러 실제 가동시간은 몇시간 안된다는거다.이분은 덥다고 보일러를 끄고 춥다고 키는 시간을 얘기하는것같다.우리가 추운겨울에 야외에서 캠핑하면서 모닥불을 피울때도 처음만 장작을 많이집어넣고 태우는거지 불이활활타오르는데 장작을 계속 밀어넣지는 않을것 아닌가.너무많이 불이커지면 장작을 빼기도하고 다들 뒤로 물러나앉아있잖나.보일러는 자동조절되니까. 적당한온도에 맞춰놓고 그대로살면 큰걱정안하고삽니다.다만난방비가 많이 나오는 결정적요인은 온수를 많이사용할때입니다.온수사용할땐 보일러는 무조건 가동됩니다.보일러전문가 아니고 일반인입니다.제 주변에 보일러쟁이들 많이있는데 다 같은생각일겁니다.

    • @judas2300
      @judas230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zt7po2nq3y 이런 말도 안되는 계산법이 어디있어요? 누가 보일러를 10시간씩 가동 한다고 초가집에 사시나? 요즘 아파트나 주택들은 단열기준이 좋아서 한두시간만 가동해도 하루종일 훈훈한데 그리고
      등유가 리터당 8790kcal
      도시가스(LNG) m3당 10430cal
      전기가 1kw당 2300kcal ...4500kw=10,350,000kcal
      전기4500kw=1,572,530원
      칼로리를 등유로 환산하면 1177리터*1400원= 1,647,000원
      도시가스 992m3 *1400원=1,036,000원
      에너지효율 전기 95% 등유 80%는 없는샘 쳐도 누가 한달에 등유를 5드럼씩 난방합니까?

  • @user-dl2do9ff8w
    @user-dl2do9ff8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소형주택 8평에 실난방 7평 전기 건식난방 괜찮나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기요금은 쓰시는 만큼 나오며 누진세로 매일 생활하시는 공간이시라면 사용하시는 시간을 잘 계산해보셔야 합니다

  • @user-kd6nf8xn3g
    @user-kd6nf8xn3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단 방온도가 올라가면 전기가 켜졋따 꺼졋다 하게될 거고 연속 돌진 않으니 실제 환경에서 실제 데이타가 있었으면 하네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실제 데이터를 측정할수가 없습니다.
      각각 집안 단열상태가 다 다른데 어느 한곳에서 측정을 한듯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 영상은 그냥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 @scarlet-vl3dg
    @scarlet-vl3d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기. 보일러는 물을끓여서 돌리는데 전기료가 많이나오나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네 에어컨 보다 난방이 전기를 훨신더 많이 먹습니다

  • @SleepingSounds-vs4bx
    @SleepingSounds-vs4b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거생각나네요. 4연통 히터라고 전기로 봉을 데우는 그거 10만원언더로 샀었는데
    딱 한달때고 갔다버림 전기요금만 50만원넘게 나옴 그때 알았음 사람들이 버리는이유를.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기로 하는 난방은 편리는 하지만 비용이 쓰는것에 비해 많이 나온경우가 많아 잘써야 합니다^^

  • @aven8382
    @aven838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까스비나 전기비나. 난방비가 많이 나오니 적게 나오는 난방용품 발명이 필요함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개발은 많이 되어 있으나 가격이 비싸서 못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비자가 모르시는 난방설비가 많습니다.
      설비가 비싸면 난방비가 절감되고 설비가 싸면 난방비가 비싼거죠

    • @---lb4cz
      @---lb4c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zt7po2nq3y

  • @kangsungho1752
    @kangsungho175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혹시 전기온수기도 전기세 많이 나오나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기온수기는 3kw내외로 전기용량을 많이 먹는 편은 아니나 뜨거운물을 계속 사용하면 그만큼 전기를 계속 사용함으로 가정용이시면 누진세가 나올수 있습니다

    • @kangsungho1752
      @kangsungho175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zt7po2nq3y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만약 더운물을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온수기 안의 물이 식어서 설정 온도로 데우기 위해 계속 작동을 하지는 않나요?

  • @user-rf6sx1ko9h
    @user-rf6sx1ko9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새 가스비나 기름값도 만만치 않아서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죠 하지만 가정용은 3kw기본이라 방하나 정도 가능하니 용도에 따라 잘 생각해봐야 합니다.

  • @tv-fw4re
    @tv-fw4r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하루에 10시간이 가동? 그럼 10시간동안 보일러가 가동된다는말?
    보통 아파트 겨울기준 가스보일러는 3시간에20분가동해서 하루에 20분씩5회~7회 하면 1시간40분 2시간 정도 가동하는데....
    하루열시간이면......가스보일러도 100만원이상 나올듯.....
    계산방식이 문제가있는 영상인데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제 계산이 이상하다? 그래서 가스보일러보다 전기보일러가 더 좋다고 생각하시면 본인 생각대로 설치 하시면 됩니다.
      제가 전기보일러 판매하는것도 아니고 광고도 아닌 정보를 알려 드리고자 제작한것이니 틀리다고 생각하시면 본인 생각대로 하시면 됩니다

    • @tkc1595
      @tkc1595 20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zt7po2nq3y 10시간 켠다고 10시간 돌아가는게 아니에요. 이런 계산을 가르치면 안되요.

  • @mankyulee1839
    @mankyulee183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층 합해서 46평 정도 전원주택입니다. 현재 월 평균 소비전력은 220kw, 난방은 LPG를 사용 (현재 도시가스 X) 추운겨울 방, 거실등 대부분은 동파방지를 위해 외출모드로 설정하고, 상담손님이 오실때나 간헐적으로 난방하고, 거실은 주로 장작 난로를 병행함에도 불구하고 겨울철 기준 난방비 LPG 가스값만 30만원, 이 경우 태양광 6KW + 전기 보일러 사용하면 의미있는 절약효과를 불수 있을까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보기에는 태양광 설치비 대비 의미 없을것 같습니다.

    • @erickyee4198
      @erickyee419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제일 먼저 단열상태를 체크하고 단열공사를 철저히 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특히 철콘이나 경량철골인 경우는 밀폐와 단열상태를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은 일반적인 전원주택을 건축할 때 단열재를 정해놨는데 문제는 이 단열재들이 얼마나 정확하게 설치가 되었는가 입니다.
      떠한 창호틀들이 벽체와 정확히 밀폐가 되었는지도 중요합니다.
      남향의 46평이라면 30만원의 가스비는 너무 많다고 봅니다.

    • @user-sampkak
      @user-sampka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희는 잘때만 예약모드2~3시간 가스 쓰는데 루베당 4400원 가량되니 20만원 기본입니다, 가스 업자왈 조금 따뜻하게 지낼려면 60만원이상 쓰셔야 한다는데...참 울며 겨자먹기입니다. 따뜻하다면 전기가 나을것도 같은데요.

  • @user-ww3qc6md6c
    @user-ww3qc6md6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정집은 안맞습니다. 전기세올라서..!!!
    ☆단열잘하시고 가스보일러가 가장적합.♡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시가스가 들어오는 곳은 무조건 도시가스 입니다

  • @paviang
    @pavian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기보일러 겨울에 한번틀었는데ㅣ그것도 매일아니고 며칠 틀었는데요금이 엄청 나오더라구요
    절대전기보일러는 아닙니다 온수도 겨울에 샤워하다봄 금방 차가워짐 젤 높게 온도올렸는데도요
    추워서 샤워도 제대로 못합니다
    내가사는데 한방에 여러명 사는 사람들있었는데 그사람들 어떻게 씃었는지
    혼자 샤워해도 춥던데 일용직 외국노동자들인데 어떻게 한겨울에 차가운물에 다 씻었는지
    참 안타깝더라구요
    주인은 절대 딴걸로 안바꾸네요
    동네서 소문난 구두쇠로 소문난 사람이라
    지만 생각하고 세입자 생각안하네요
    전기보일러 주거할데 아닙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정집에서는 전기보일러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온수도 가스보일러나 기름 보일러 처럼 용량이 있습니다
      온수기 50리터는 손씻고 설거지 정도 100리터는 1~2명 샤워 정도 가능합니다
      무조건 안좋은건 없습니다.
      사용방법을 모르거나 설치를 잘못해서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전문가가 확실하게 시공을 해야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 @paviang
      @pavian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zt7po2nq3y 최고온도해도 빨리 차가워지더라구요 샤워시간도 길게안하는데두요
      심야전기 난방도 밤11시돼야 작동하니 그전에 추워도 따로 난방시설하나 켜야되니
      이중돈입니다
      설치시공 문제가 많네요 주인도 문제네요 그럼 관리감독도 안해서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paviang 글로만 이해하기 힘든지만 이상한 부분이 많네요 심야전기보일러도 밤 11시 이후에만 사용하는 보일러가 아닙니다. 원래는 11시 이후에 전기를 이용하여 밤새 큰 저장탱크에 물을 데운 것을 낮에도 사용하는 것이 정상이라 낮에도 난방이 가능하고 온수도 계속 나오는 것이 정상 입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시공비를 줄이기 위해 시공을 이상하게 하거나 고장이 난것 같네요

    • @paviang
      @pavian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zt7po2nq3y 낮엔 아예 안되요 심야전기시공도 시공비줄일수있나요
      온수도 10분안해도 냉수로되요
      주인이 좀 개또라이라 건물도 억수로 부실하거든요
      건축쪽으로도 잘아시나봐요

    • @lifewest9012
      @lifewest901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입주 하루만에 전기보일러의 실체를 작성자님이 말씀하신대로 겪어서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서 집주인과 싸우고 위약금을 좀 물고 손해를 보더라도 집을 나오기로 했습니다. 알고보니 샤워실에 창문도 없고 좁은데 월세는 비싸더군요.

  • @user-mr5te1gl4c
    @user-mr5te1gl4c 8 วันที่ผ่านมา

    태양광설치하면 돼지않나 ...??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6 วันที่ผ่านมา

      생각보다 태양광 발전이 얼마$ 안됩니다 ^^

    • @user-ij5km2ef4d
      @user-ij5km2ef4d 5 วันที่ผ่านมา

      태양광 9키로 정도 설치하면 한달에 1100정도 생산합니다
      보통 3키로 설치해서는 답이 없습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5 วันที่ผ่านมา

      네 맞습니다. 9키로 12키로 등 높게 설치하면 확실히 도움되긴합니다

  • @pdong5579jjkad
    @pdong5579jjkad ปีที่แล้ว

    주택에 심야전기보일러를 설치해야죠
    누가 일반전기보일러를설치하나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ปีที่แล้ว +1

      의외로 일반 전기보일러 설치 많이 합니다
      옥탑방이나 보일러 설치가 어려운곳이 생각보다 많기 때문입니다

  • @user-wi6wd1tw8k
    @user-wi6wd1tw8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기보일러 심야보일러 설치를 반대합니다 기름보일러 사용을 권장합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심야전기보일러 요금이 많이 올라 저도 그렇게 생각이 들면서도 기름 값도 장난 아니라 잘생각해 보셔야 할듯

  • @user-fs3lr1kz2j
    @user-fs3lr1kz2j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참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가평에 전원주택을 짓고 있는데 고민이네요 전기 태양광 LPG 기름 보일러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지 아래 1층 30평 2층 30평 합이 60평입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필난방입니다
      도시가스가 들어오지 않는 이상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 밖에 답이 없습니다.
      지역마다 가격이 다르겠지만 가스통이 기름보다 비싼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가장 저렴한게 큰 가스통 설치해서 쓰는 것이 가장 저렴할듯하며
      전기보일러는 태양광으로 택도 없습니다.
      9kw,12kw이상 설치해도 60평은 무리 입니다.
      누진세가 많이 붙을것으로 예상 됩니다.
      제 전문은 아니지만 지열보일러도 있고 히트펌프보일러 등 다양한 보일러가 존재합니다
      다만 가격이 많이 비싸죠
      박람회 나 자료 찾아보시고 가겨과 고객님의 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선택하셔야 합니다.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g2dt1lu8f
    @user-ng2dt1lu8f ปีที่แล้ว

    전기가 세냐 요금이냐

  • @user-sb6rp8dg5e
    @user-sb6rp8dg5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평 이 1.5k 된다.
    전기세 엄청나온다.
    그냥 나 같으면 1인용 장판 사용한다.
    태양광 패널 발전기 사용해래.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기장판 추천합니다.
      단점은 공기를 못데우니 감안하셔서 사용하면 좋은 대안 입니다

  • @flexbonham6801
    @flexbonham680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양반아 요즘 누가 보일러를 10시간씩 때나? 일반 게스 보일러도 매일 10시간씩 때면 요금 염청나게 나와..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ㅋ 그럼 저녘8시부터 아침 8시까지 난방하면 12시간인데 집에 얼마나 안들어가면 하루에 10시간도 난방은 안한다고 하시나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봐 평균을 생각해야지 그렇게 따지면 하루에 1시간도 난방안하는 사람도 있고 24시간 난방하는 사람도 있음 동영상 내용좀 보고 댓글 달고 동영상에 상황마다 다르다고 그렇게 말했는데 ㅋ

    • @flexbonham6801
      @flexbonham680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zt7po2nq3y ㅋㅋㅋ 님 머리로 생각만 한거지? 보소 님 보일러 싸본적 없지? 주부들에게 물어봐 10시간씩 내리 때는 사람이 어디있나...10시간씩 연석으로 내리 때면서 잘약 운운 하다니 개 웃긴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flexbonham6801 내가무슨일을 하는줄 알고 말하시오 난방만 10년 넘게 공사하는 업자인데 당신보다 모를까? 혹시 전기보일러 만든일을 하시나 전기보일러를 까니까 마음에 안들어 시비거는 거라면 전화해서 따지세요 괜히 애들처럼 핸드폰으로 떠들지말고

    • @jaedokjon3760
      @jaedokjon376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확한 계산입니다. 잘 모르시면서 테클 하지마세요..

  • @jip3705
    @jip3705 ปีที่แล้ว

    전기보일러 사용시 태양광발전은 필수 아닌 필수가 되겠네요.. 3kw 설치시 한달 평균 300~400kw 생산한다고 하니 6kw정도만 설치해도 난방연료 및 전기 걱정은 사라지겠죠. .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ปีที่แล้ว

      아닙니다. 태양광이 어느정도 세이브가 되는건 확실하나 난방용으로 전기를 사용하면 한달 생산량으로 몇일 쓰지 못합니다.
      상황과 평수 건물 단열재등을 고려해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 @user-mk3vn7gz9k
    @user-mk3vn7gz9k ปีที่แล้ว +1

    전기 온수기 설치 하려다 포기해야겠네요.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ปีที่แล้ว +1

      온수기는 전기를 그렇게 많이 먹지 않습니다
      용량에 따라 다르니 구매하실 제품에 전기용량을 확인해 보세요

  • @user-gh3nw9zd6b
    @user-gh3nw9zd6b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기세 아니고 전기요금 누진세 아니고 누진제 입니다.

    • @user-zt7po2nq3y
      @user-zt7po2nq3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기세는 엄밀히 말하자면 세금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하게는 전기세가 아닌 전기료(또는 전기요금)이며, 누진세가 아닌 누진요금이라고 해야 한다. 그러나 국가에서 온 국민에게 부과하는 전기요금의 특성상 세금이 연상될 수밖에 없고 사전에도 전기세를 '전기료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로 정의해 놓았다. 따라서 전기요금이 누진세라는 말이 꼭 틀린 말은 아니다
      -네이버 사전에서 발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