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산에듀입니다. 해당내용에 관해서 댓글로는 빠른 답변이 어렵습니다. 학습 중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 다산에듀 홈페이지 → 다산공부방 → 교재질문방/자유게시판 ]을 이용해 주세요. 게시판 권한이 없으시다면 [ 전기기사 한번에 합격하기 카페 ]를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다산에듀입니다. 해당내용에 관해서 댓글로는 빠른 답변이 어렵습니다. 학습 중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 다산에듀 홈페이지 → 다산공부방 → 교재질문방/자유게시판 ]을 이용해 주세요. www.e-dasan.net/board.php?id=explain&cate= 게시판 권한이 없으시다면 네이버카페 [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카페 ]를 이용해 주세요. cafe.naver.com/dasanpass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다산에듀 입니다. 해당내용에 관해서 댓글로는 빠른 답변이 어렵습니다. 학습 중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 다산에듀 홈페이지 → 다산공부방 → 교재질문방/자유게시판 ]을 이용해 주세요. www.e-dasan.net/board.php?id=explain&cate= 게시판 권한이 없으시다면 다음카페 [ 전기기사 한번에 합격하기 카페 ]를 이용해 주세요. cafe.daum.net/skilldadan 이재현원장님 채널에 가시면 더 많은 강의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th-cam.com/channels/XuvonJCnIku0sJK65zuFSg.html 감사합니다!
이재현 원장님 예전 영상 보니 풋풋하시네요. 원장님 덕분에 필기 합격했습니다.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원장님 강의는 뭔가 쏙쏙 머리에 박힙니다.
이런 정확한 설명 듣고싶어서 재밌다던 강의 포기하고 기술사 군단 이니하는 비싼 강의 들었는데 걍 외우라고만해서 스트레스였는데 우연히 본 유튜브에서 진짜 내가 원하던 강사들 찾았네요...다산에듀 진작에 알았더라면...
응원합니다. ^^ 화이팅
정말 과장아니라 비율차동계전기 결선 때문에 정말 짜증나고 고생했는데 이런 좋은 영상이 올라오네요!!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비율차동계전기 설명은 여기가 최고네요
감사합니다😊
1차측 델타결선의 전류방향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이 되는건 dot convention(코일 감는 방향)에 따라 결정 되는듯.
lagging 입니다. laging은 사납게 날뛰는 격렬한 극심한의 뜻이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델타결선에서 전류의 순환방향(시계방향, 반시계방향)에 따른 변류기 결선방법을 설명해 주셨는데
제가 궁금한 것은 외부의 어떤? 경우가 있을 경우 델타결선에서 전류가 시계방향으로 도는지 궁금합니다. 또 전류가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상황은 어떤 외부의 경우가 있을 경우인가요?
안녕하세요~ 다산에듀입니다.
해당내용에 관해서 댓글로는 빠른 답변이 어렵습니다.
학습 중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 다산에듀 홈페이지 → 다산공부방 → 교재질문방/자유게시판 ]을 이용해 주세요.
게시판 권한이 없으시다면
[ 전기기사 한번에 합격하기 카페 ]를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실제결선에서 1차 2차결선이 빠르고 느린경우 두가지로보여주니 혼동만 더 되네요 단순히 델타는 선전류가 30도 느리다는 사실로만각인된채로 배워왔는데 이런 강의를보니 혼동만더되네요
기사수준에서는 혼동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출제경향에서 위상각에 따른 차이까지 캐치해내야할 정도로 심도깊게 나오는지는 모르겠네요. 하지만 실무에서는 YNd1 과 YNd11 결선 모두 사용하므로 알아야하는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우와... 신기하다 ㄷㄷ 1, 2차 간에 위상이 빠를 수도 있고 느릴 수도 있는 거군요 ㅋㅋㅋㅋ
원장님! Ct pt2차측은 접지해야한다고 알고있는데
델타결선한 ct 2차측은 왜 접지하지 않은건가요??
델타결선이라서 접지안한건가요?
1차측이 y결선, 2차측이 델타일 경우에는 어떤식으로 적용되는겁니까?
제가 알기로 차동 계전기 결선은 그와 반대로 1차에 델타, 2차에 Y로 결선합니다.
벡터도 그릴때 시계방향으로 Ia, Ic, Ib 가 아닌가요?
맞습니다. 그런데 델타 결선의 경우 벡터의 위상각에 의한 회전방향을 잘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그림상으로는 전류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나올수 있습니다.
Ct common방향에대한 강의영상도 부탁드립니다
확인후 준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극성이므로 1차측상전류와 2차측 상전류가 동상인것은 맞지만 크기는 다른데
1차측 델타결선의 선전류의 크기가 2차측 와이결선의 선전류보다 루트3배 크다고 하셨는데
이것은 1차와 2차의 상전류가 같을때 입니다.
1차와 2차의 상전류의 크기가 다르지 않나요? 물론 상전압도 다르고요.
변압기가 아니라 변류기결선인가요?
안녕하세요~ 다산에듀입니다.
해당내용에 관해서 댓글로는 빠른 답변이 어렵습니다.
학습 중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 다산에듀 홈페이지 → 다산공부방 → 교재질문방/자유게시판 ]을 이용해 주세요.
www.e-dasan.net/board.php?id=explain&cate=
게시판 권한이 없으시다면
네이버카페 [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카페 ]를 이용해 주세요.
cafe.naver.com/dasanpass
감사합니다!
강의 초반에 단순화시키기 위해 변압기 결선수 비율을 1:1로 가정했습니다.
델타 결선에서 오른쪽 아래를 B상이랑 연결한건 왜그런건가요 ?? 왼쪽아래랑 연결하면 안되는건가요 ?ㅠㅠ
일반적으로 상순을 a, b, c 라고 하였을 때, 시계방향으로 하고 있습니다. (벡터)
많은도움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그냥 막 그리는건줄 알았는데 차이가 있었네요 큰일 날 뻔했네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dasan_lee 다산에듀덕에 이번 19년도 3회차 전기기사 합격을 바라보고 있고 4회차 공사기사도 준비중입니다. 항상 감사해요~
동작코일 좌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외부요인에 따라 서로 다르면 (CT비 차이나 변압기 권수비 차이,외부 고장전류 유입 등등) 서로 동작코일 쪽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흘러서 동작코일쪽으로 그 전류의 차가 흐르는게 되는 원리로 이해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다산에듀 입니다.
해당내용에 관해서 댓글로는 빠른 답변이 어렵습니다.
학습 중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 다산에듀 홈페이지 → 다산공부방 → 교재질문방/자유게시판 ]을 이용해 주세요.
www.e-dasan.net/board.php?id=explain&cate=
게시판 권한이 없으시다면
다음카페 [ 전기기사 한번에 합격하기 카페 ]를 이용해 주세요.
cafe.daum.net/skilldadan
이재현원장님 채널에 가시면 더 많은 강의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th-cam.com/channels/XuvonJCnIku0sJK65zuFSg.html
감사합니다!
kcl을적용하면 이런말을하시는대 것도알려주시면 앙기모치입니다
KCL은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전류법칙) 입니다.
들어오는 전류의 합은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다.
이상합니다
둘다 똑같은 델타-와이결선을
가지고 설명을 하는데
이해가 안 됩니다
A상을 기준으로 잘보세요. 30도 lead와 lag는 각 상 전류의 방향이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