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어딘가에서 봤는데 디스트리뷰터로만 탱핑하시는 바리스타 참피온님께서 헤드스페이스 차이를 일관시키기 위해 디스트리뷰터의 유격을 최대한 빼서 사용했다고 하더라구요 그분말씀을 나름 해석해보면 바스켓 안에 들어있는 커피의 간극을 줄이는 목적이기에 같은 깊이(탬핑 혹은 디스트리뷰터 사용)의 헤드스페이스라면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는 말로 이해했거든요 그래서 탬핑의 강도가 중요하지 않다라고 생각했는데 커피탐구소 영상을 보니 또 아리송하네요~
디스트리뷰터는 템핑에 비해 채널링이 덜 발생하고 (그래서 추출시간 비슷) 고르게 추출. 템핑은 힘을 가했지만 채널링이 발생하여 채널링부위가 상대적으로 더 과다추출되어 쓴맛이 좀 더 가미되고 이것을 좀 더 풍부한 바디감이라고 느끼시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이 경우라면 분쇄도를 살짝 더 곱게 하고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하여 전반적으로 고르게 추출하며 풍미를 높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우선 제가 커피 맛을 봤을 땐 과다추출로 인해서 발생되는 맛은 아니였던 것 같습니다. 또한 디스트리뷰터를 사용한다고 해도, 전체적으로 원두를 고르게 추출 하긴 어렵습니다. 또한, 디스트리뷰터를 사용 방법 (툴의 깊이)에 따라서 다른 상황을 연출 할 수 있는데요.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디스트리튜터를 사용하면 커피퍽에 더 많은 저항이 생겨서 분쇄도 설정을 얇게 할 수 없습니다. 정상적인 추출 시간을 만들려면 아주 더 굵게 맞춰야됩니다.. ㅎㅎ 디스트리뷰터에 관련해서는 다시 한번 영상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th-cam.com/video/qlLfZa8Ghxs/w-d-xo.html 위 영상도 한번 참고해주세요 !
템핑 강도와는 좀 관련이 없는 질문인데요..궁금한점이 있어요... 영상의 1번잔에 원두양 20g강도 14kg추출시간 28초 추출양 38ml 이렇게 하셧는데요. 혹시 바스켓이 더블바스켓 아닌가요?저는 더블바스켓에 원두 18g 샷잔을 2개로 나눠서 30ml 로 내렸거든요...합치면 60ml라서...제가 2배로 많이 추출하고 있는건가요...?ㅜ퀘스트빈님 영상 보고 기존에 하던 방식에서 저울을 이용해서 72g을 추출하니...추출시간이 30초를 넘어 가더라구요...ㅠㅠ제가 잘못 추출하고 있는지좀 알려주세요..ㅠㅠ
퀘스트빈 : 커피탐구소 물론 원두 그라인더 머신에 따라 변수는 많겟지만..전 이때까지..추출구가 2개라서 각각의 샷잔에 1:2비율로 추출하는줄 알앗는데..그게 아니엇던 건가요??ㅠㅠ갑자기 너무 혼돈 스럽네요...ㅠ(1:2가 아니라 1:4의 비율로 추출하고 잇엇다는거죠??ㅠㅠ)
ㅎㅎㅎ.....아주 간단한데요. 실제로 테스트해보시면 됩니다. 저는 약하게 강하게 탬핑 없이, 모든 방법으로 테스트를 마쳤습니다. 그쪽에서 자신에게 제일 잘 맞는 방법을 택하시면 됩니다 ㅎㅎ 그래도 더 궁금하시면 th-cam.com/video/qlLfZa8Ghxs/w-d-xo.html 이 영상을 한번 참고해주세요.
아. 그렇군요ㅠ 일단 th-cam.com/video/q7Ed_5TvN1k/w-d-xo.html 이 영상을 한번 더 참고해주시고요 ! 현 지점에서 가장 좋은건 양을 줄이고 분쇄도를 얇게한다. 또는 동일 레시피를 유지하면서 트리플 바스켓을 구매한다! 설득이 안되면 어쩔 수 없죠.. ㅎㅎ
원두 담는 양은 이미 영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확인 해보시면 좋습니다. 그라인딩을 할 때 분쇄 오차 범위는 조금씩 있습니다! 0.1그램 저울을 사용하셔서 정량을 체크하셔야됩니다. 원두를 똑같이 넣었다고 해서 추출 시간이 완벽하게 똑같이 나오진 않습니다. 어느 정도 큰틀 25-30초 사이로 추출 되게 하시면 괜찮습니다 !
퀘빈님~~~저 어제 사장님께 디스트리뷰터 사용이 잘못 된것같다고 말씀드렸는데...본인도 사용에 대해 잘모르고 계셨더라구요. 예전에 본인이 일을 배울때 카페사장이 레벨링이 움푹하게 되는게 맛이 더 좋더라는 이야기를 들어 괜찮은 줄 아셨다고 ...전 탬핑을 레벨링하고 핸들탬퍼로 하고 싶은데 사장님은 레벨러만 사용하니....제가 내리는 커피와 사장님이 내리는 커피 맛이 그때그때 달라질것같아 걱정스럽더라구요. 진짜 커피맛을 아시는 분들이 알면 어쩌나 싶어 일단 저도 레벨러로만 탬핑을 해서 커피내리고 있네요.ㅋㅋ (8년동안 그자리에서 장사를 하셔 단골들이 있다보니) 사장님이 로스팅만 하실줄 알지 실질적으로 커피 추출에 대한 이런 미세한 차이는 못 느끼시는것같아요.ㅋㅋ
tmi 사실 탬핑의 강도보다 중요한 것이 필터바스켓에 담긴 원두의 분포도이다. 원두의 밀도에 따라서 탬핑시 커피배드에 가해지는 압력이 다르기 때문에 완벽히 고른 추출이 어렵다. 따라서 탬핑 전 도징된 원두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고, 디스트리뷰터를 통해 평탄화를 할 수 있으면 더 좋다. 아래 링크는 남자커피님이 바리스타 챔피언 김사홍 바리스타님과 카페쇼에서 인터뷰한 것으로, 평소처럼 탬핑한 것과 커스터마이징한 디스트리뷰터를 통해 추출한 영상이 담겨있으니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th-cam.com/video/U1qMxv0GvVM/w-d-xo.html
✓ 퀘스트빈 원두 구매 & 샘플 신청하기!
questbean.com
✓ 원두 납품 상담하기!
031-797-2990 / 010-6480-2990
ㅎㅎ 여기 실험 컨텐츠 맛집이네영 ㅎㅎ 계속 진지모드로 갈 수는 없겠지만, 이런 무겁지 않은 실험 컨텐츠 재밌네요 ㅎㅎ
아.. 과거 영상.. ㅋㅋㅋ 선 넘었네요.. 지금도 실험 컨텐츠는 계속 하고 있습니다 !
탬핑강도가 궁금했는데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탬핑의 강도에 따른 영향력에 대하여 아주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하나하나 큰 배움 감사드립니다^^
네 ㅎㅎ 생각 보다 재미있는 실험이였어요 !
템핑 시리즈 잘 봤습니다!
템핑을 잘 못해 고민이었는데 영상으로 확인하고 배워서 정말 도움됬습니다!
내용도 알찬데 인트로도 굉장히 재밌었어요ㅋㅋㅋㅋㅋ
진짜 이불킥이네요..
흥미로운 실험 감사드립니다
저도 예전에 강도 본다고 저울에 탬핑했던 적이 있었는데..ㅎ좋은 영상 잘 봤어요
Kwanjassi 저랑 비슷한 결과가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ㅎㅎ
큰 도움이 되는 영상입니다
필드 경험 없이 카페에 취직되어서 고민 되었는데요 . 동영상을 보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좋은 자료 꾸준히 많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번 커피는 향미 부분에서 더해진것도 없었나요?
예전에 영상 봤었는데 지금에서야 이해할 수준이 돼서 보고있네요 ㅎㅎ
하나하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블라인드테스트(탬핑의 차이에 대한 정보 미제공)를 다수의 사람들과 했으면 더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아.. 제가 쭈구리라서.. ㅋㅋㅋ 맨날 사무실에 박혀 살아서 .. 주변에 같이 마실 사람이 없네요 ..ㅠㅠ 나중에 여유가 되면 계측 장비를 좀 더 구매하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조언 감사합니다 !
😂😂😂 구름다리 잼나겠당
원수는 구름다리에서 만난다.
저 궁금한점이 커피 도징 양과 커피 추출 양의 비율을 알고 싶어요. 커피빈은 중간배전 입니다. 1:3 아니면 1:2 어느 것이 좋을까요? 커피 추출 사간은 25 초 요!! 꼭 알려주세요!!!
수련ㅋㅋㅋㅋㅋ👍👍👍
ㅋㅋㅋㅋ 클라이밍 많이하시니 탬핑 잘 하시겠어요
템핑이 너무 강하면 커피가 아예 안나올수도 있나요? 조금만 힘줘서 눌러도 원액이 안나와서요 ㅠ
2번이 플랫한 원인은 뭐라고 생각하세요?
탬핑의 강도로 차이때문에 퍽의 밀도차이도 있지만 이로인한 헤드스페이스의 차이로 인해 머신에서 실제로 퍽에 걸리는 압력의 차이도 있습니다. 그로인한 맛의 차이도 포함되어 알고계시면 더 좋을거 같습니다!
Coffee Jeju 조언 감사합니다 ~^^
저도 어딘가에서 봤는데 디스트리뷰터로만 탱핑하시는 바리스타 참피온님께서 헤드스페이스 차이를 일관시키기 위해 디스트리뷰터의 유격을 최대한 빼서 사용했다고 하더라구요 그분말씀을 나름 해석해보면 바스켓 안에 들어있는 커피의 간극을 줄이는 목적이기에 같은 깊이(탬핑 혹은 디스트리뷰터 사용)의 헤드스페이스라면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는 말로 이해했거든요 그래서 탬핑의 강도가 중요하지 않다라고 생각했는데 커피탐구소 영상을 보니 또 아리송하네요~
Don S 아마 김사홍바리스타님의 DT툴을 말씀하신거같네요ㅎㅎ
디스트리뷰터는 템핑에 비해 채널링이 덜 발생하고 (그래서 추출시간 비슷) 고르게 추출.
템핑은 힘을 가했지만 채널링이 발생하여 채널링부위가 상대적으로 더 과다추출되어 쓴맛이 좀 더 가미되고 이것을 좀 더 풍부한 바디감이라고 느끼시는 것 같은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이 경우라면 분쇄도를 살짝 더 곱게 하고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하여 전반적으로 고르게 추출하며 풍미를 높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우선 제가 커피 맛을 봤을 땐 과다추출로 인해서 발생되는 맛은 아니였던 것 같습니다.
또한 디스트리뷰터를 사용한다고 해도, 전체적으로 원두를 고르게 추출 하긴 어렵습니다. 또한, 디스트리뷰터를 사용 방법 (툴의 깊이)에 따라서 다른 상황을 연출 할 수 있는데요.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디스트리튜터를 사용하면 커피퍽에 더 많은 저항이 생겨서 분쇄도 설정을 얇게 할 수 없습니다. 정상적인 추출 시간을 만들려면 아주 더 굵게 맞춰야됩니다.. ㅎㅎ 디스트리뷰터에 관련해서는 다시 한번 영상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th-cam.com/video/qlLfZa8Ghxs/w-d-xo.html
위 영상도 한번 참고해주세요 !
편집이 보기 편하네요~~
잘 보고 갑니다~~그래도 3초면 차이 큰 것 같습니다..맛도 그렇고..
과유불급..뭐든 적당히..
ㅎㅎ 그렇죠. 탬핑 압력이 더 강해도, 추출 시간이 탬핑 압력이 약할 때 보다 더 빠르게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템핑 강도와는 좀 관련이 없는 질문인데요..궁금한점이 있어요... 영상의 1번잔에 원두양 20g강도 14kg추출시간 28초 추출양 38ml 이렇게 하셧는데요. 혹시 바스켓이 더블바스켓 아닌가요?저는 더블바스켓에 원두 18g 샷잔을 2개로 나눠서 30ml 로 내렸거든요...합치면 60ml라서...제가 2배로 많이 추출하고 있는건가요...?ㅜ퀘스트빈님 영상 보고 기존에 하던 방식에서 저울을 이용해서 72g을 추출하니...추출시간이 30초를 넘어 가더라구요...ㅠㅠ제가 잘못 추출하고 있는지좀 알려주세요..ㅠㅠ
아 제가 사용한 바스켓은 20g전용 트리플 바스켓입니다. 보통 저도 더블 바스켓에는 17~18g 정도 담아요 ㅎㅎ
퀘스트빈 : 커피탐구소 아 그럼 더블 바스켓 18g 에 추출량은 72g이 맞는건가요?ㅠ(샷잔 하나당 32g 샷잔 2개분)
상훈 다소 많이 추출 하시는 것 같긴 한 것 같아요 :) ㅎㅎ 보통 저는 18g이면 45g 이상은 잘 추출 하진 않아요
상훈 그런데 원두에 따라서 그게 맞을 수도 있으니깐요. 레시피란 모든 원두에 똑같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비교해서 마셔보는 방법 뿐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퀘스트빈 : 커피탐구소 물론 원두 그라인더 머신에 따라 변수는 많겟지만..전 이때까지..추출구가 2개라서 각각의 샷잔에 1:2비율로 추출하는줄 알앗는데..그게 아니엇던 건가요??ㅠㅠ갑자기 너무 혼돈 스럽네요...ㅠ(1:2가 아니라 1:4의 비율로 추출하고 잇엇다는거죠??ㅠㅠ)
어렵네요..누구는 지그시 누르는 정도로 탬핑해야한다그러고 누구는 래벨링툴로만 탬핑없이 한다그러고 여기서는 15kg의 무게로 탬핑해야한다그러고..다들 각자 경험에 의해 깨달은 방법일테니 누가 틀렸고 누가 맞았다고 할수는 없지만 정말 정보가 너무 많은것도 문제네요..
ㅎㅎㅎ.....아주 간단한데요.
실제로 테스트해보시면 됩니다.
저는 약하게 강하게 탬핑 없이, 모든 방법으로 테스트를 마쳤습니다.
그쪽에서 자신에게 제일 잘 맞는 방법을 택하시면 됩니다 ㅎㅎ
그래도 더 궁금하시면
th-cam.com/video/qlLfZa8Ghxs/w-d-xo.html
이 영상을 한번 참고해주세요.
헤드스페이스라고 하나요. 저희 카페에서 바스켓에 들어가는 원두 양이 많은지 샤워기의 볼트자국이 퍽에 남는데 공간이 많이 부족한거같아요. 저는 알바라서 기계세팅에 뭐라 할 짬이 안되는데 원두 양이 많이 나오는거 같아요.
아. 그렇군요ㅠ
일단 th-cam.com/video/q7Ed_5TvN1k/w-d-xo.html
이 영상을 한번 더 참고해주시고요 !
현 지점에서 가장 좋은건 양을 줄이고 분쇄도를 얇게한다.
또는 동일 레시피를 유지하면서 트리플 바스켓을 구매한다!
설득이 안되면 어쩔 수 없죠.. ㅎㅎ
에스프레소 분쇄양을 얼마 갈아야 적당한지 궁금하고 분쇄양을 낼때마다
양이 틀린건같아서 양을 똑같이하고싶고 추출양은 어는정도 받아야되는지랑
추출시간을 똑같이하고싶은데
가르켜주세요^^
원두 담는 양은 이미 영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확인 해보시면 좋습니다. 그라인딩을 할 때 분쇄 오차 범위는 조금씩 있습니다!
0.1그램 저울을 사용하셔서 정량을 체크하셔야됩니다.
원두를 똑같이 넣었다고 해서 추출 시간이 완벽하게 똑같이 나오진 않습니다.
어느 정도 큰틀 25-30초 사이로 추출 되게 하시면 괜찮습니다 !
퀘빈님~~~저 어제 사장님께 디스트리뷰터 사용이 잘못 된것같다고 말씀드렸는데...본인도 사용에 대해 잘모르고 계셨더라구요. 예전에 본인이 일을 배울때 카페사장이 레벨링이 움푹하게 되는게 맛이 더 좋더라는 이야기를 들어 괜찮은 줄 아셨다고 ...전 탬핑을 레벨링하고 핸들탬퍼로 하고 싶은데 사장님은 레벨러만 사용하니....제가 내리는 커피와 사장님이 내리는 커피 맛이 그때그때 달라질것같아 걱정스럽더라구요. 진짜 커피맛을 아시는 분들이 알면 어쩌나 싶어 일단 저도 레벨러로만 탬핑을 해서 커피내리고 있네요.ㅋㅋ (8년동안 그자리에서 장사를 하셔 단골들이 있다보니)
사장님이 로스팅만 하실줄 알지 실질적으로 커피 추출에 대한 이런 미세한 차이는 못 느끼시는것같아요.ㅋㅋ
오 !! ㅋㅋ 후기 감사합니다 ! ㅋㅋㅋㅋㅋㅋㅋ
15g에 27초 25초 정도가나오는게 괜찮을까요?
저시간에맞춘다고 입자를 곱게하는데 맛이 제가원하는맛이 아니에요ㅜㅜ
원두의 성향을 모르는 상태에서 레시피 가지고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확인하긴 어렵습니다 ^^;; 그냥 대충 봤을 땐 15그램이라는 원두양이 조금 적어보이긴 하는데요.
원두 구매처와 상담하시는게 좋습니다 !
tmi
사실 탬핑의 강도보다 중요한 것이 필터바스켓에 담긴 원두의 분포도이다. 원두의 밀도에 따라서 탬핑시 커피배드에 가해지는 압력이 다르기 때문에 완벽히 고른 추출이 어렵다. 따라서 탬핑 전 도징된 원두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고, 디스트리뷰터를 통해 평탄화를 할 수 있으면 더 좋다.
아래 링크는 남자커피님이 바리스타 챔피언 김사홍 바리스타님과 카페쇼에서 인터뷰한 것으로, 평소처럼 탬핑한 것과 커스터마이징한 디스트리뷰터를 통해 추출한 영상이 담겨있으니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th-cam.com/video/U1qMxv0GvVM/w-d-xo.html
네. 저도 위 영상 보았어요 ! 오랜만에 참신한 내용이였어요 ! 그쪽에 제 댓글로 있습니다 :) 그래서 저도 한번 실험 영상 찍어볼려구요 !
스파웃 뿌러지꺼가타요 무셔엉
감사합니다! 빨강 탬핑매트 구입처 알 수 있을까요?
렉바바 라고 인터넷에 검색하면 구매하실 수 있을겁니다 !
@@퀘스트빈 감사합니다!
추출빠르면 쎄게
추출느리면 약하게
9~13kg정도
원두20-20kg-추출시간26
20-500kg-25초
500KG 면.. 탬퍼가 부셔지던 ㅋ 포타필터가 부셔지던 할 것 같네요.
그리고 500KG의 압력이면 추출 시간에 변화가 생길 것 같아요 ㅋ
그럼 탬핑 강도에 따라 추출시간이 다르게 나오지는 않나요? 추출시간이 비교적 짧게 (20-24초) 나오는건 어떤 이유때문인지, 추출 결과에선 어떤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추출 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들은 생각 보다 요소가 많습니다. 제 영상 중 에스프레소 추출 변수 관련 영상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퀘스트빈 : 커피탐구소 네. 저는 힘이 약해서 짧게 나오는지 알았는데 영상들이 넘 도움이 되는 내용이에요. 감사함니다!
오히려 탬핑을 안하고 레벨링만 하는게 커피맛을 제일 균등하게 만들수 있는 방법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탬핑 강도가 항상 같을순 없으니까요 ㅠ
ㅎㅎ 적절한 압력만 잡아주신다면 괜찮습니다. 탬핑을 하지 않고 레벨링만한다면 좋은 커피를 맛을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제 영상 중 탬핑, 레벨링 등을 테스트한 영상이 있으니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드라마 찍나
좋은 실험이었어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