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다큐] 공부하는 인간 4부 - 최고의 공부 | 토론 대화 질문 유태인 학습법 (KBS 130321 방송)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6 ก.ย. 2020
  • KBS 대기획
    “공부하는 인간 4부 - 최고의 공부” (2013.3.21 방송)
    영국 옥스퍼드 대학을 중심으로 서양과 유태인의 토론식 공부를 들여다보고, 인류가 추구해야 할 최선의 공부는 무엇인지 고민해본다. 서양의 여러 문화권 중 특히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공부법을 집중 조명한다. 매일 저녁 7시에 치러지는 저녁 만찬의 전통, 20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토론 클럽, 중세 대학의 전통을 이은 튜터링 시스템 등 자신의 의견을 적극 피력하고 타인과 치열하게 토론하며 소통하는 방식을 통해 서양 공부가 추구해 온 가치를 확인한다.
    ※ “공부하는 인간” 전편 다시보기
    1부 - 오래된 욕망 • [명작다큐] 공부하는 인간 1부 - 오래...
    2부 - 공자의 후예 (1/2) • [명작다큐] 공부하는 인간 2부 - 공자... (2/2) • [명작다큐] 공부하는 인간 2부 - 공자...
    3부 - 질문과 암기 • [명작다큐] 공부하는 인ᄀ...
    4부 - 최고의 공부 • [명작다큐] 공부하는 인ᄀ...
    5부 - 다시 공부를 말하다 • [명작다큐] 공부하는 인ᄀ...
    #옥스포드 #토론 #튜터링 #공부법 #유승호 #질문 #공부하는인간 #김희정 #유태인학습법 #대치동 #하버드 #도쿄대 #칭화대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8

  • @KBSDocumentary
    @KBSDocumentary  3 ปีที่แล้ว +14

    ★ “공부하는 인간” 5부작 전편 다시보기 ★
    1부 - 오래된 욕망 th-cam.com/video/cnzP-zSKuXw/w-d-xo.html
    2부 - 공자의 후예 (1/2)th-cam.com/video/17b-CuPT730/w-d-xo.html (2/2)th-cam.com/video/vHix9uL4gQw/w-d-xo.html
    3부 - 질문과 암기 th-cam.com/video/Rt2qNlG8suM/w-d-xo.html
    4부 - 최고의 공부 th-cam.com/video/kRsxxLphGTM/w-d-xo.html
    5부 - 다시 공부를 말하다 th-cam.com/video/rWMQXP6yiTw/w-d-xo.html

  • @blairlee2709
    @blairlee2709 3 ปีที่แล้ว +102

    한국은 공유하고 토론하는 걸 두려워해요. 지식도 일종의 자산으로 여겨서 빼앗기지 않으려하고 자기 실력도 들키지 않으려해요. 그러니 경쟁만이 심화되고 갈등이 커질 수 밖에 없고 성인이 되어도 답이 자신이 아는 그 하나인 것처럼 남의 말을 듣지 않아요. 우린 일방적으로 주입식 교육을 받기 때문에 답이 중요하지 유도 방식이 중요치 않으니까요

    • @user-rf7rp8ej7o
      @user-rf7rp8ej7o 3 ปีที่แล้ว +7

      그게 다 조선 500년의 잔재입니다.....그건 없애기 너무 힘들어요.........

    • @blairlee2709
      @blairlee2709 3 ปีที่แล้ว +4

      그런데 코로나 확산 이후로 해외에서의 교육도 마찬가지네요. 소통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어요. 전 교육은 토론과 소통이라고 생각하는데.. 이젠 어딜가도 일방적 수업이 주를 이루네요 슬퍼요

    • @JHeKIM
      @JHeKIM ปีที่แล้ว +6

      한국의 모든분야에서 나오는 한국인의 습성이네요 빨리 버려야 하는 데... ㅠㅠ

    • @dhkim5609
      @dhkim5609 ปีที่แล้ว +3

      많이 변하고 있습니다^^

    • @dojinp
      @dojinp ปีที่แล้ว +3

      사실 말하면 뺏기는게 아니라 더욱 풍성해지는 것인데 그걸 뺏긴다고 생각한다니ㅜㅠ아수비네요
      공부가 그냥 선생님 말,책을 듣고 이해하는 주입식만 되고
      혼자서만 공부하는 것이 되버리니 너무 외롭고 힘들것 같네요ㅜㅜ 효율면에서도 안좋고
      비단 교육에서뿐만이 아니라 전체 문화,시스템에 팽배해져잇지만요 진짜 바꿔나가고 싶네요

  • @ye6178
    @ye6178 3 ปีที่แล้ว +40

    이영상을 7년이 지난 하필 이시점. 지금이라도봐서 정말 유익했고 다행이라는 생각이든다. 근데 이걸촬영하고 방영한시간까지 다한다면 10년전에 일어난 일이군.. 아직 늦지않았다 나도할수있고 여러분도할수.있습니다 무엇을 할수있느냐 라고 묻는다면 나의 답은 뭐든지라고 말하고싶다. 10년전이라.. 참 세월빠르다.ㅎㅎ 하지만 슬프지 않다 살아온시간보다 앞으로 살날이 더많으니까. 지금까지 살았던 지난 옳고 그른 세월들이 밑거름이되어 지금부터라도 지난세월을 후회하며.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할지 깨닫고 고치고 즐기며.인생을 살면돼니까 영상감사합니다 많은부분 다시한번 인생의 울림을 느끼고 댓글 흔적만 남기고 갑니다ㅎㅎ 세상은 아름답고 인생은짧지만 앞으로 남은생은 길다! 다들 코로나때문에 이것저것 힘드실텐데 힘냅시다! 파이팅~~~~!

  • @dcshin762
    @dcshin762 3 ปีที่แล้ว +27

    저 릴리라는 아가씨는 친부모복은 없었어도 미국의 좋은양부모님 만나서 훌륭한 환경에서 잘 자랐네요

    • @dojinp
      @dojinp ปีที่แล้ว

      구글 입사..ㄷㄷ멋잇죠

  • @sungkeunkwak6030
    @sungkeunkwak6030 3 ปีที่แล้ว +58

    동양의 공부는 답이 정해졌고 질문이 필요없는 지식형성 위주, 서양의 공부는 토론과 생각하는 방법 위주의 지혜형성 교육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동양도 그를 통해 지혜를 형성하고 서양도 지식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므로 동서양의 차이는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일 뿐이지만 그 차이는 작지 않습니다.
    일단, 서양은 전달받은 지식에 대한 호기심과 질문을 통해 보편성이 확보된 생각의 틀을 얻게 되고 동일한 소통을 통해 지식과 지혜가 업데이트 되고 깊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 교육통해 체화되는 것으로 보이고, 동양은 지식으로 쌓인 높은 수준의 지식을 자기성찰이라는 과정으로 해석해 내고 자기화 하는 과정에서 깊이는 있지만 편견과 독단에 빠질 가능성이 높고 한번 형성된 후에는 업데이트에 매우 방어적인 사람이되는 것 같습니다. 2020년을 사는 요즘의 한국 사니어분들을 보면 나이와 함께 지혜가 아니라 고집과 적개심이 쌓인듯한 것이 증거입니다.
    산업혁명 이후 서양에 한참 뒤진 동양이 다시 역전하기 위해 서양의 지식을 암기식으로 받아들여 상당한 성과를 거뒀고 서양을 당황스럽게 만들어 어느 정도의 균형을 회복했으므로 동양의 지식교육이 열등하다 볼 수는 없으나, 그런 방식으로는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기에는 무거운 한계를 태생적으로 갖게되어 최신 학문과 기술은 서양에 밀릴 수 밖에 없습니다. 즉, 이등문화일 뿐입니다.
    요즘 한국의 성과가 고무적이기는 하나, 국민 행복도를 한참 희생한 댓가를 치룬 것이므로 모범적이지 못하다는 반성을 잊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래도 우리 수준이 아시아에서는 탑급으로 서양문화의 장점을 취한듯은 합니다.

    • @user-kq2wq7gk1q
      @user-kq2wq7gk1q 3 ปีที่แล้ว +3

      와우. . .댓글보고 한번더 생각하게되어 감사합니다 교육에 관심이생기는 유아엄마로 큰도움이되네요 저의인생공부아이공부 고민입니다

    • @user-kq2wq7gk1q
      @user-kq2wq7gk1q 3 ปีที่แล้ว +1

      예 주입식교육바뀌고자 유치부 누리과정이 올해부터사라지는 시도는 보이는데 한국사람의전반적인 전체변화는
      다시 백년이 걸리지않겠나싶어요. .제가 중요시하는 교육핵심이 생각하는힘 표현하는창의력 자신인생을위한 호기심과 공부습관 상상력 소통과토론 이런거라서 차라라 영어유치원이 그접근방식은 낫지않을까 고민되더라구요 단지영어언어때문에 보내고싶자않았는데 수업진행하는 선생님과 그안에서 소통방식이 자유로히이루어지는영향이 큰거같아서 심히 고심중이네요. . ㅠ맹모삼천지교 ㅡ마음실감중입니다

    • @user-um3pd1si9y
      @user-um3pd1si9y 3 ปีที่แล้ว

      좋은 정리 잘 읽었습니다.

    • @KIM_Handle
      @KIM_Handl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덕분에 좋은 생각 하게 되었습니다

  • @user-xb9qe7bb6n
    @user-xb9qe7bb6n ปีที่แล้ว +7

    역쉬 다큐는 kbs!!
    인종을 넘어 각 문화권 속에서
    열공하는 모습이 진짜 감동입니다 너무 재미나게 보고 또한 느끼고 갑니다 😁👍

  • @user-ff8ox7qn2v
    @user-ff8ox7qn2v 3 ปีที่แล้ว +17

    마따호쉐프?. What do you think?. 네 생각은 무엇이니? (생각) 을 하는것 그것이 공부다. 수신료가 아깝지않은 다큐 감사합니다.

  • @hyooon9504
    @hyooon9504 3 ปีที่แล้ว +29

    개인적 의견은
    동양은 어릴때 방대한 양의 지식을 주입하여 지식 비만상태를 만든 다음 남은 세월동안 이것을 resource 로 이용하게끔하고,
    서양은 지식은 적당량만 주입하고, 대신 스스로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힐수 있도록 하여, 남은 인생동안 계속 필요한 답을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어느 한쪽의 공부 방법이 훨씬 더 우월하다면 아마 현시대에 확연한 문명의 불균형이 일어났겠지만,실제적으로 그런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한쪽의 공부 방법이 훨씬 더 우월하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식비만형 공부 방법이 younger generation 의 quality of life (QoL)를 엄청나게miserable 하게 만든다고 생각하면 그들의 교육방법을 논할때 과연 교육 자체만 중점을 두는 것이 옳은 일인지, 아니면 교육과 그들의QoL를 함께 생각해야하는지 잘 생각해 볼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pp2rz2mh3f
      @user-pp2rz2mh3f 3 ปีที่แล้ว +5

      개인적인 의견은 잘 봤습니다. 좋은 의견입니다. 다만 문명의 불균형에 대해서 설명한 부분은 동의 못하겠네요. 이유는 실제로 동양의 문명이 서양으로부터 전파되었으며 그것을 모방하는데에 그쳤다는것입니다. 사이트를 좁혀 한국으로 한정짓자면 노벨상이 없다는게 현실이죠. 한국을 비하하는것이아니라 더 나은 한국이 되기위해서 현실을 바로 직시했으면합니다.

    • @user-kq2wq7gk1q
      @user-kq2wq7gk1q 3 ปีที่แล้ว

      와우 배우고갑니다

  • @user-dm3uh3vb6v
    @user-dm3uh3vb6v 3 ปีที่แล้ว +74

    한국인은 토론으로 시작해서 말싸움으로 끝남

    • @single5603
      @single5603 3 ปีที่แล้ว +14

      감정도 상함

    • @jangkwanson8780
      @jangkwanson8780 3 ปีที่แล้ว +39

      국민 전반적으로 논리성이 부족하고 토론 문화가 후진적이라 그럼. 어떤 논리에 대한 반박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많고, 그 대부분은 논리적 반박을 할 능력이 없으니 결국 논리 이외의 것 (감정, 나이 혹은 권위)를 앞세우며 논점을 흐트려버리고 말싸움이 되는 양상이 많음.

    • @bellzero_k
      @bellzero_k 3 ปีที่แล้ว +9

      @@jangkwanson8780 맞는 말이네요 토론의 중요성이 얼마나 큰 지 보여주는 거 같아요. 우리나라도 토론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알면 생각을 공유한다는 것에 열린마음을 갖지 않을 까요. 물론 현실은 더 힘들겠지만요.

    • @sungkeunkwak6030
      @sungkeunkwak6030 3 ปีที่แล้ว +11

      토론이 안되는 이유중 가장 큰 것이 '질문 두려움'과 '귀차니즘'인 것 같아요. 질문은 자기 수준을 드러내는 것이어서 두렵고, 이미 답이 정해져있거나 답이 없는 경우에 질문해 봐야 시간만 더 끈다는 점에서 빨리빨리 습성에 위배되기에 질문자는 귀찮게하는 자가 되는듯요.

    • @user-nk3se1mt2q
      @user-nk3se1mt2q 3 ปีที่แล้ว +6

      완전 공감해요 게다가 감정까지 상하게 되서 인간관계까지 영향이 미쳐요. 얼굴도 안보게 되는 일이 생기는 슬픈 한국 교육 현실....

  • @user-gd4gi4ub5g
    @user-gd4gi4ub5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유승호님 감사합니다 나레이터해주어서 고맙습니다

  • @g.yrichardkim5048
    @g.yrichardkim5048 3 ปีที่แล้ว +30

    한국은 함게하는 공부가 아닌 혼자만의 공부를 하기 때문에.. 이해와 판단력이 좁다... 그래서 자기중심적인 사람이됀다.. 이런 한국 교육 시스템을 바꿔야 더 빠른 강한 발전하는 한국이 됄것이다,,

    • @dahyeoonii04
      @dahyeoonii04 3 ปีที่แล้ว

      맞춤법만 잘 고치면 되엘 것이다,,,이해력과 판단력은 대화를 통해 책을 통해 기를 수 있고 사람과의 교제를 통해 기를 수 있는 것이다..그렇기에 고립된 바보가 위원직을 하는 것이고 그것이 더 고립을 심화시키는 사회현상을 만든다..어쩌면 대한민국이 이렇게 된 것도 필연성일 것이다,,

  • @sweetpotatoesyun5001
    @sweetpotatoesyun5001 ปีที่แล้ว +7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다시 세월도 흘렀고 사조도 변했을 테니 최근작도 만들어 주세요.

  • @user-uf6my9nc3b
    @user-uf6my9nc3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항상 선생님에서 학생으로의 일방향 전달에만 익숙해져 있고, 질문을 그저 꾹 참고 넘긴적이 많았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 나니까 교과서적인 소통과 협력에 정체되 있는 학교가 보이네요. 또한 저의 공부를 돌아볼 수 있는 좋은 새로운 인식과 용기를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 @tv6107
    @tv6107 3 ปีที่แล้ว +12

    지금 일상하브루타를 하고 있는 유튜버입니다. 이 다큐멘터리를 아기낳기 전에 보고 꼭 아이를 키울때 참고해야고 결심한 후, 차근차근 해나가는 중이고요. KBS다큐에 감사드립니다.

  • @simsimhada360
    @simsimhada36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에선 토론이 무섭다...말문 막히는게 너무 무서움...내가 졌다는 패배감ㅜ

  • @bellzero_k
    @bellzero_k 3 ปีที่แล้ว +40

    대학교 4학년.. 물론 지방대지만 다른 사람들처럼 평범하게 취업에 대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득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공부를 하는 최종 목적은 무엇인지 스스로에 대한 질문을 하면서 이 동영상을 스스로 찾아보면서 시청하게 되었습니다. 보면서 느낀점이 참 많지만 가장 크게 느낀것을 동양과 서양의 공부의 목적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동양은 보편적인 지식을 아는 것이고 서양은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시작하여 동양은 교육열이 엄청나지만 그 그림자는 학벌주의라는 악습이 남게 되고 서양은 학구열이 그렇게 뛰어나지 않지만 개인의 생각을 존중하고 질문을 두려워 하지 않으며 생각을 공유하며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배우고 있다고 합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서양의 교육방식이 좀 더 살아가는데 나은 방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들도 그렇지만 다들 학창시절 떠올려보면 등수를 매기고 경쟁을하고 이겨야 된다는 심리를 가지며 교육을 받아왔죠. 참 안타깝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실을 받아드리고 그래서 어떻게 할 것 인지를 생각해본다면 각자의 생각을 존중해주는 토론학습이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개선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한국은 사람이 너무 많고 보편적인 가치가 너무 대중화 되어있어 각자가 생각하는 것을 존중해주는 문화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영상을 보면서 교육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갖게 되네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

    • @creator7706
      @creator7706 3 ปีที่แล้ว +2

      문과세여? 어디취업준비하시나요

    • @bellzero_k
      @bellzero_k 3 ปีที่แล้ว +2

      생각 혁명Creator 전공이 무역이라 무역회사 쪽 준비하고 있어요 ㅋㅋ

    • @creator7706
      @creator7706 3 ปีที่แล้ว +1

      @@bellzero_k 코로나인데..어떡해요 ㅠ

    • @bellzero_k
      @bellzero_k 3 ปีที่แล้ว +2

      생각 혁명Creator 그래도 forgive 하지 않고 keep going해야죠 ㅎㅎ

    • @creator7706
      @creator7706 3 ปีที่แล้ว +1

      @@bellzero_k 혹시 부산지역이시면 같이고민나눠보고싶네용 ㅎㅅㅎ

  • @stene5450
    @stene5450 3 ปีที่แล้ว +21

    하브루타로 수업받았었는데 갠적으로 공부에재미도붙고 기억에잘남았습니다

    • @dojinp
      @dojinp ปีที่แล้ว

      어디서 어떻게 교육을 받앗나요 무엇을주제로? 궁금하네요

  • @sallyhan3081
    @sallyhan3081 3 ปีที่แล้ว +2

    47:03 MIT Media Lab 의 tangible media가 인상적이네요. 이런 아이디어 technology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많이 만들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 @user-cq5to2eo1q
    @user-cq5to2eo1q 3 ปีที่แล้ว +1

    와 영화속과 비슷하네요.식사예절 중요하죠.음식을 입에 넣고 입을 다물고 씹어야하죠.입속에 음식이 없을때 대화하고.대화를 많이 하는편이고 듣기를 잘하는 습관이 형성되네요.

  • @user-me5ky8fc9w
    @user-me5ky8fc9w 3 ปีที่แล้ว +16

    서양인의 암기방법은 대화 토론하면서 학습하고
    동양인은 혼자 해결하며 묵상과 혹독한 암기로 학습하는것 같은게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 @junwonkim5770
      @junwonkim5770 3 ปีที่แล้ว +2

      서양인(영국 또는 미국)이 암기한다고 생각하시나?... 대화를 통해 사고의 폭을 넓히는 것 같은데...

    • @user-ls7wl9vz8j
      @user-ls7wl9vz8j 3 ปีที่แล้ว +3

      ​@@junwonkim5770 의도적으로 암기하지는 않지만, 대화와 토론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레 머리에 새겨지는 거겠죠?

    • @user-pp2rz2mh3f
      @user-pp2rz2mh3f 3 ปีที่แล้ว

      @St Kim 언어의 모양새도 잘보면 절대로 이해를 위한 언어가 아닙니다. 얇고 넓게 지식을 습득하는데 최적화 되어있죠. 자극적이고 영양가는 부족합니다. 참담하네요. 언어를 아예 새롭게 창조하는것이 이 미친 레이스를 가장 빨리 끝내는 방법일것 같습니다.

  • @user-bb3nx7bq1j
    @user-bb3nx7bq1j 3 ปีที่แล้ว +3

    제가 생각했을때는 한자의 표의문자와 영어의 표음문자가 문화의 많은 영향을 준거같습니다 영어에 비하면 한자는 외워야할 단어가 어마무시하게 많으니까요...

  • @junhoko8956
    @junhoko8956 ปีที่แล้ว +5

    조선시대 말기 빼고는.원래는.토론문화가 강했습니다. 왕도 신하와 매번 평등하기 의견을 주고받고 강연 했조. 일제를.지나면서 획일화교육이 자리잡앗죠

  • @lisapark6458
    @lisapark6458 3 ปีที่แล้ว +24

    한국대학이 배워야 할점이다

  • @mutemono
    @mutemono ปีที่แล้ว

    10년전 영감을 줬던 웰메이드 다큐인데 지금 우리는 바뀌고 있나요? 마따호쉐프?

  • @user-jd6zo7py3m
    @user-jd6zo7py3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공부는 신성하고 아름다운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 @forach9066
      @forach906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tudying is reflection of early human being's feeling awe for creation of god. By studying, we can feel god's love for us, creation

  • @Lilimeihua
    @Lilimeihua ปีที่แล้ว +2

    마따 호쉐프? :
    니 생각은 무엇이니?
    100명의 유태인에게
    100개의 다른 생각이 있다
    💖최고의 공부는 각자의
    생각과 성공적인 자기표현
    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협력과 교류~

  • @user-fq8zd5mn4v
    @user-fq8zd5mn4v ปีที่แล้ว

    상대 의견 듣기부터 공부해야죠 ㅎ

  • @hanun114
    @hanun114 2 ปีที่แล้ว +1

    최고의 공부!
    우리(인류)가 공부하는 이유는 하나(Oneness, Hana) 되기 위함이 아닐까 조심히 추측해봅니다.
    콘텐트 고맙습니다.
    ♥♥♥

  • @FunkyXtreme
    @FunkyXtreme 3 ปีที่แล้ว +7

    5:04 해리포터? 안경 왜 벗었니

  • @user-uu9yj8oh3q
    @user-uu9yj8oh3q 3 ปีที่แล้ว +1

    한국은 언제바뀌나~~부럽

  • @saralee8938
    @saralee8938 ปีที่แล้ว +2

    한국의 교육에는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있겠지만,
    무엇보디도 선생들부터 교육시켜야 됩니다, 기본이 안되있어요
    어떻게 아이들 앞에서 누가 백점을 맞았는지 손을 들라는 등,
    아이들한테 더 바보가 되라는 방법이군요,

  • @sdh1244
    @sdh1244 2 ปีที่แล้ว +2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우리와 반대되는 공부방법

  • @user-uj5lf7zu2c
    @user-uj5lf7zu2c 3 ปีที่แล้ว

    사회적 정의는 배분적 정의라고 주장됩니다.그러나 그것을 생산하는 생산적 정의 없이 무조건 사회적 정의인 배분적 정의만을 내세우면 모두가 자신들의 필요성만을 내세우고 생산적 정의를 만든 생산자들을 내쫒거나 생산을 아무도 하려고 하지 않으니까 칼 마르크스의 (능력에 따라서 일하고 필요에 따라 배분한다.)는 사회적 빈곤을 부르는 것이 됩니다.
    아무리 재능있고 실력이 있는 인물이 어느 옥스포드 학생의 말처럼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 바이올린을 주어야 한다지만 그것을 가질 능력이 서로 다르고 사람의 차이나 국민성의 차이 또는 컨디션의 차이등등으로 서로 댜른데 일률적으로 판단해서 누가 더 능력이 있는지 마치 전지한 신처럼 따져서 자신이 모든것을 알고 능력을 비교 평가해서 바이올린을 주는것이 과연 옳은지를 아는것처럼 하는 것을 배분적 정의로 내세우면 바이올린을 만든자의 소유권이나 노력이 또는 잠재적인 신동이 나타나면 줄수도 있는데 왜 생산적 정의는 생각하지 못하고 분배만 정의롭게 이루어지면 다 정의에 부합한다고 보는지를 알수는 없는 평등의 원칙에도 어긋나고 맙니다.
    金渡憲 兀淋 폭스바겐자동차 보험 최고야 현대 자동차 최고야 독일 자동차 최고也
    P.S. 생산적 정의없이 분배적 정의는 신기루일뿐이다.

  • @atjzero
    @atjzer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42

  • @user-rs1zf3dp5b
    @user-rs1zf3dp5b ปีที่แล้ว

    고대 로마라면... 종이가 없었으니 책을 통해 배우지 않은 건 당연... 종이의 발명이 토론 문화를 저해한 건가....

  • @forach9066
    @forach906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실과 다르면서 옳을 수 있는가? 세상에 절대적인 진리라는 것이 있을까? 있다면, 사실과 다르면서 옳을 수 있는 것은 없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다는 사실은 진리이므로, 이것과 다른 것으로 올바르게 될 수 있는 사실은 없다.

  • @user-uv7iv8yd4e
    @user-uv7iv8yd4e 3 ปีที่แล้ว +4

    53:32 획일화된 정답, 시인이 자기가 쓴 시의 해석을 틀리는 한국교육에서는 필요없는 말이다.

  • @atjzero
    @atjzer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00

  • @jasonshin4220
    @jasonshin4220 ปีที่แล้ว

    아담 스미스가 옥스포드 동문이냐? ㅋㅋ 후덜덜하네.

  • @user-do6no1eh3m
    @user-do6no1eh3m 2 ปีที่แล้ว

    대학생이면 20대 초반일텐데 옥스포드 대학생들 무슨 산전수전 공중전 다 겪은 부장들 느낌이냐 왜

  • @tjdghks626
    @tjdghks626 3 ปีที่แล้ว +1

    이 동영상이 말 하고자 하는 것은, 학습이란 무엇인가? 이다. 명백하게 대한민국 미래는 성공적으로 실패 할 것이다.

  • @user-hs2yo8jy5q
    @user-hs2yo8jy5q 2 ปีที่แล้ว +3

    우리조선시대에학자들과 강론하는방법이다

  • @user-cy6rw9nd7g
    @user-cy6rw9nd7g 3 ปีที่แล้ว +1

    니 생각은 무엇이냐

  • @user-yu6cc6zc2r
    @user-yu6cc6zc2r 3 ปีที่แล้ว +16

    이거보고 수능이 필요없다느니 이딴 소리나올까 걱정이다. 공부의 방법은 동양식/서양식 공부로 다양하고 존중받을만하다. 정보의 습득을 위해 암기, 이해, 응용력 등 정보습득 역량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을 위한 동양식 공부는 필수다. 그리고 교류와 소통을 위한 지적 교류가 필요한거다. 동양식 교육이 서양식 교육을 위한 충분조건인 것이다. 여기 동영상에서도 하버드, 옥스포드와 같은 일류명문대 애들만 조명받는데 이들은 기본적인 학습역량이 다 갖춰진 상태에서 철학적 사유와 토론, 자기를 표현하는 방식을 '대학'에서 배우는 것이다. 한국 '대학' 시스템이 부족한게 유태인학습법인거지(어쩌면 교수가 귀찮아서..), 기본적으로 책을 통한 '정보의 습득 과정'은 반드시 함양되어야하는 필수 조건이다. 물론 고등학교때부터도 하면 좋다. 그렇게 바뀌어 나가도 있다고 믿지만, 쉽지 않아보인다. 수시, 학종이 대화/토론/질문 역량을 길러주는건 아닌 듯하다.

  • @qwerrtyui4037
    @qwerrtyui4037 3 ปีที่แล้ว

    5:47

  • @user-hd2cz6uz6y
    @user-hd2cz6uz6y 2 ปีที่แล้ว

    대한민국 은개혁이피료하다
    주입식노노ㆍ
    안철수 같은진보가 이끌어야
    한다ㆍ 정신챙겨라

  • @ansiknam5488
    @ansiknam5488 ปีที่แล้ว

    ㅓㅓㅓ

  • @sulimulo5084
    @sulimulo5084 ปีที่แล้ว

    이 다큐의 궁극적 의도는 유태인 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