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전지 양산, 이제 가능합니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4 ม.ค.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08

  • @구르는짱돌
    @구르는짱돌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주워들은 것으로 말씀드리면 wip가 큰 bottle neck이 될것 같습니다
    첫째로 높은 압력으로 인해 셀 구조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음양극의 크기가 다를테고 아무리 등방가압이라고 해도 오일과 직접 맞닿을 수는 없으니 무언가로 감싸야 할텐데 불균일한 가압력을 발생시킬테고 구조가 무너지겠죠 한두 스택이면 상관없는데 고스택일수록 매우 불리할것입니다
    두번째로 wip공정 자체를 매우 오랫동안 해야하고 장비자체도 엄청 큰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싸이클타임이 매우 길어지고 양산하기위한 설비 규모 및 면적이 너무 거대해질 것 같습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구르는짱돌 코멘트 감사합니다~
      저도 제가 직접 경험한 것이 아니고 논문과 특허 찾아보고 배터리 업계에 있는 사람들의 생각도 넣은 것입니다.
      그러나 틀릴 수있다는 점 인정합니다~
      아직 제품도 없으니까요~
      지적하신 점 중에서 제가 답변 할 수 있는 일부를 말씀드리자면 WIP 공저은 배터리를 파우치나 알루미늄 캔에 밀봉 후 진행합니다. (물론 내부에는 다수의 스택이 병렬로 포함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활물질이나 전해질은 액체와 접촉하지 않습니다. 오일이 아니고 주로 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차이는 없으나).
      그러므로 이런 공정 순서에서는 등방 압력이 크리티컬하며 그래도 과정 중, 일부 층이 삐져 나와서 단락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턴된 insulator 층을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WIP 이전에 각층 제조시 건식 공정을 사용하므로 이미 상당한 압격이 (~250 MPa) 가해졌으므로 습식 공정에 비하여 shrinkage가 in-plane에서 미미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공정 시간은 최대 30분/cycle로 알고 있으며 이것은 장비 operation이 전고체전지에 특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더 짧아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자면 10(.-7)의 초고진공을 사용하는 OLED도 진공참버 내에서의 기판 흐름이 인라인 같이 흐르듯이 고압 장비 역시 그런 식으로 가능할 것 같은데요... 오크릿지 국립연구소의 simulation 결과도 상당히 긍정적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영상에서는 일체 언급하지 않고 조만간 다른 영상을 통하여 언급하려 하는데, 필요 압력이 많이 내려 올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WIP를 하더라도 100MPa 이하, 혹은 롤로도 충분히 제조 할 수 있는 길이 활짝 열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업체들이 늦지 말아야 할텐데, 삼성전기의 최근 "세계최초전고체"발표를 듣자면 이 사람들이 제정신인지 헷깔립니다...
      의미있는 댓글이라 고정 시켜 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tk-so3sg
    @tk-so3s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매번 고급 강의 듣는것에 감사드립니다. 어려워 2`3번 돌려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k-so3sg 감사합니다~
      혹시 이해 어려우부분 있으면 알려주세요~

  • @dodoit-tn3xo
    @dodoit-tn3x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드디어 폭발하지 않는 안전한 전기차가 나올수 있다니 감격이네요.
    하이브리드 차량에 먼저 들어갈줄 알았는데 전고체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 상용화가 멀지 않았군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dodoit-tn3xo 가속도가 붙을 것입니다-

  • @가을바람-i9q
    @가을바람-i9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늘도 감사합니다

  • @허니버터-g5p
    @허니버터-g5p 2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애니메이션도 직접 만드시는건가요? 애니메이션 덕에 이해하기가 훨씬 쉬워지네요 잘 봤습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28 วันที่ผ่านมา

      네~ Blender라는 3d animation 제작 프로그램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좀 빡쎈 작업입니다~

  • @scy8790
    @scy879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파나소닉과 삼성sdi가 전고체를 만들겠군요..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tateandrew231
    @tateandrew23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가까운 시일 내에 상용화는 어렵겠지만, 정말 멀지 않은 미래라 느껴지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ateandrew231 건식공정 + 전고체전지는 꼼의 조합입니다~

  • @junlee9397
    @junlee939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 완충 시, 아노드리스 배터리의 부피증가 크기 때문에, 900Wh/L 달성이 굉장히 어려우며 (방전 시 900이라도 완충기준 부피당 밀도로 공간설계 필요)
    2. 기존 세퍼레이터/z스태킹같은 방식 아닌 단순적층 방식에선, WIP이후 수율 굉장히 낮을 듯하며
    3. WIP이후 모든 레이어의 두께 줄어들기에 알루미늄캔에 넣고 WIP는 불가 예상
    4. 음극전극에서 두께방향 균일하게 리튬메탈 형성됏다가(충전) 없어졋다가(방전) 어렵기에, 셀 완성 후 전극 면 위치별 음양극 이온이동 불균일로 인한 수명제어 어려움 예상.
    5. 파우치셀로 최대한 많은 스태킹 후, 파우치뜯고, 다시 알루미늄캔에 넣든지 해야할텐데. 자동화도 쉽지 않고/ 900Wh/L은 훨씬 정말 어려움.

  • @jinyumin99
    @jinyumin9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트립님😮 영상은 언제나 소중합니다.
    전고체가 자동차에 적용됐다 하여. 바로 재래식 잠수함 까지 집어넣는건 쉬운일은 아닐까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inyumin99 겸둥님, 오랜만입니다~
      무기체계는 가격에 둔강하므로 작고 가볍고 강한 놈이 최고죠~

    • @jinyumin99
      @jinyumin9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트립님! 죄송한데요! 전고체 전지는 줄여서 약칭이 무엇인가요? 예를 들어 리튬배터리는 LIB로 알고있습니다. 전고체의 경우 찾아보면 여러개가 나와서요!@@techtripkorea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inyumin99 All Solid State Battery, 줄여서 ASSB라고 합니다~

    • @jinyumin99
      @jinyumin9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echtripkorea

  • @ELSAD-u1h
    @ELSAD-u1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삼성 SDI가 업체에 요구하는 고체전해질 단가가 5달러 수준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의 샘플B도 가격이 억대인 것을 볼때 60불 수준이라고 해도 일반적인 전기차에 적용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개인적은 NTO 음극재가 전고체보다 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는데, NTO음극재에 대해서도 리뷰해주실수 있을까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LSAD-u1h 그 가격을 불렀다면, 그럴리 없겠지만, 담당자 짤라야지요~
      양극재 원재료인 탄산리튬 가격보다 싸게 원한다?
      그리고 정확한 수치는 기억이 나지 않치만 중국산 흑연 음극재와 유사한 가격대일 것 같은데요?
      짤라야겠죠???? ㅎㅎ

    • @ELSAD-u1h
      @ELSAD-u1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echtripkorea 하지만, 국내 고체전해질 개발 기업에 제시한 로드맵상의 납품단가 목표는 5달러가 맞습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ELSAD-u1h 현재 미국 내에서 사용되는 윽재재용 흑연 가격음 $5.3/kg입니다.
      그 가격을 삼성으로부터 직접 전달 받으신게 아니라면 뭔가 오류가 있는 것입니다.
      영상에사 언급했듯이 $50/kg를 요구했을 가능성이 크며, 사실 그 가격도 절하면서 가져다 써야지요~

    • @AsAs-jn6wo
      @AsAs-jn6w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황화리튬 기준 50불입니다 ...확인 한번 해보세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코멘트 감사합니다~

  • @피아뉴김
    @피아뉴김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고체 전지 양산 과정에서 cost가 매우 상승할 수 있는 요소가 이제 없어질 수 있다니 너무 경이로워요... 삼성의 무음극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지만 그 이외 cost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는 요소가 더 있는지 알고싶네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피아뉴김 고체전해질이 중기적으로 바뀔 가능성도 있습니다. 가격은 ~$10/kg.
      미친 가격이지요..
      추후에 정리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 @limminsup
    @limminsu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에부터 잘보고 있습니다 문서로만 보던것을 애니메이션으로 보니 이해가 쉽습니다 예전부터 느끼는거지만 음성을 듣고 있으면 연식이 느껴지십니다 ㅎㅎ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ㅎㅎ 세월의 덧없음을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 @swordlife
    @swordlif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이없는 가격의 벽이 고순도황화리튬 생산가격 때문이라고 하셨는데, 규모의 경제 원리로 하락하든 대체물질 개발로 하락하든 거기서 판가름 날 것 같네요.
    영상을 보기 전까지는 빨라야 10년, 늦으면 수백년을 생각했는데 영상을 보고 나니 빠르면 5년 이후에는 가능성이 보일 수도 있겠네요.
    물론 상용화를 위한 나머지 기술들이 모두 성공적일 경우에 적용될 얘기가 되긴 할 거구요.
    응원합니다. 터무니없는 기술이라고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하는 모든 분들이 우리의 미래를 밝혀줄 것입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wordlife 넵, 황화리튬 가격을 많은 사람들이 걸림돌로 꼽아왔었습니다~
      문제는 중국이 엄청난 돈을 쏟아 붓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 @김명현-s2g
      @김명현-s2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레이크머티리얼즈가 저비용 대량양산할수있는 특허를 등록했는데 알아봐주시면 좋겠네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wordlife 중국은 성능은 떨어지지만 상대적으로 쉬운 반고체전지를 이미 생산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도 액션이 필요합니다~

  • @짱부자-t8k
    @짱부자-t8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할수 있겠죠. 그런데 가격이...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짱부자-t8k 28년 경에는 크게 비싸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싼 값어치 할것 같은데요~

  • @sajada00
    @sajada0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고체 맛집 테크트리~❤ 기다리고 있었어요 ㅎㅎ✨🫧🥹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user-trewqfe
    @user-trewqf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도요타가 최근에 자체 생산 배터리 공장 증설 계획들을 발표하던데 완성차업체가 전고체 배터리를 직접 생산하게 되면 엄청난 경쟁력 아닌가요?? 전기차 지각생 도요타가 큰 그림이 있었던건지 아님 폭스버겐처럼 위기를 맞이할지 지켜봐야겠군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건식공정과 무음극 공정을 동시에 확보해야만 하므로 여기서 차별화를 반드시 달성해야 합니다~

    • @Oyster_Perpetual
      @Oyster_Perpetua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요즘 필살기의 나라가 기모으다가 성공하는 걸 본 적이 없네요 기모으다 버로우 탈거라 봅니다

  • @comment-breaker
    @comment-breake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삼성 sdi 뿐이군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게 되기를~~~

  • @harulong-j9f
    @harulong-j9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금 실버 가격이 계속오르고 있는중입니다.
    현재 실버는 지금도 생산량의 40프로가 산업에 쓰이고 있습니다.
    이번 전고체 배터리에 쓰이게 되는 실버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 날 수 있는 양일까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arulong-j9f 특허상으로는 실버와 탄소 비율이 1:3~1:4 쯤 됩니다. 층 두게는 1~1.5 마이크론 쯤으로 보이구요.
      Silver 대체 물질도 특허상에 존재하는데 성능은 모르겠습니다.실제 양산하려면 실버 양 더 줄여야 합니다~
      아니면 다른 방식의 무음극 유도 층을 사용하겠죠.

  • @junyong1102
    @junyong110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는 감독인데요?

    • @junyong1102
      @junyong110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echtripkorea 많이 배우고있습니다 교수님🙃

  • @mahasuri63
    @mahasuri6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만약에 중국이 한국,일본 전고체전지 특허기술을 활용해서 제작이 가능한 기술 수준인가요?
    수출은 안하더라도 군사 무기체계에 적용하면 매우 난감한 상황이 될것 같은데...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ahasuri63 중국은 주로 고분자전해질과 약간의 전해액을 첨가하는 방식으로합니다.
      제조는 훨씬 수월하나 에너지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여전히 폭발 위험성은 있습니다. 비록 낮기는 하지만,,,

  • @모리스-b3b
    @모리스-b3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분리막은 정말 필요없을까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모리스-b3b 액체 전해액 사용 안하면 필유 없습니다~ 단락이 일어나도 폭발 안하니까요~

  • @hskim3077
    @hskim307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연구 결과 발표가 시생산으로 돌입한 경우는 매우 희귀합니다. 확률 1% 정도? 배터리 특성 상 생산에 돌입한 후에도 양산 가능한 수율 확보는 또 다른 난제가 됩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합니다~
      그러나 전고체가 밀리면 끝입니다~
      그리고 가능합니다~
      제가 딱 30년전, OLED 시작할 당시, CEO부터 모든 분들이 그런 기솔은 안된다고 했었습니다~
      무려 10년 동안~
      전고체도 이젠 현실화의 막바지 단계일 것 같습니다~

    • @limminsup
      @limminsu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즘은 연구결과 발표가 파일럿 보다 늦을때도 있습니다 이미 업체들은 파일럿 단계에 들어가고 있고 현재는 생산 프로세스 개발단계인 상황이죠
      그래서 초기 양산시기를 다들 2~5년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바로 대규모 양산으로 가지는 못할겁니다 그래도 어느정도 제품화 들이 선보이기 시작할겁니다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어떤 공학 전문 유튜버가 전고체는 제조가 불가능하다고 했던거 같은데 나오긴 나오나 보군요.

    • @이희법
      @이희법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제조가 양산을 의미하나요?
      제조는 진작에 했었죠
      양산은 단가가 너무 높았습니다.

  • @박신화-z1l
    @박신화-z1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피엔티 롤투롤 장비 전고체배터리 적용.

  • @yarn75
    @yarn7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진짜 특별한 노화우면 특허 신청 안할수도
    특허가 기술공개는 아니라도 다른 회사들에게 힌트는 줄수 있다는
    현재 잘 나가는 2차 전기업체들이 현재 설비 투자비 생각하면 속도 조절 할수도 있고요.
    1세대 전고체 필드 마루타로 문제점들이 모이면 이것 해결되고 코스트 다운 기술 개발되는 단계가 진짜 전기차 폭발적인 생산 시기라고 업체들도 볼것 같다는...
    현재 배터리 자동차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좀 위험성이 없다고 할수도 없고
    전고체 배터리는 덴드라이트 현상은 필드 테스트에서 진짜 문제가 발견되면...리콜하면 회사 망할수도

  • @둥개뿡따
    @둥개뿡따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연히 알게 된 선생님 채널은 제게 마치 봄 날의 햇살 같습니다.
    이번 동영상 매우 관심있게 봤고, 얼추 4회독 정도 한 듯합니다.
    그런데 이번 동영상을 보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이번 동영상을 보니 어쩌면 음극제에 관한 기술 경쟁은 무의미한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조차 들게 되었습니다.
    특히 작년 케리에서 발표한 그라핀 코팅 실리콘 음극제 기술 개발을 무척 의미 깊게 봤는데, 막상 오늘 영상을 접하고 보니 어쩌면 케리의 그라핀 코팅 실리콘 음극제 연구 성과는 무의미한게 아닌가 라는 의문마저 듭니다.
    선생님 고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고견을 접할 수 있길 학수고대 해 봅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합니다~
      질문에 대한 제 주관적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고체는 아무래도 시간이 필요합니다.
      2030 가서도 30%를 넘기도 벅찰 것입니다.
      일단 무조건 가격이 기존 2차전지 대비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과거의 예상치 보다 전고체 예상 생산 가격이 많이 내려 오겠지만 초기에는 적어도 1.5배 이상일 것입니다. 물량, 인프라 다 고려하면 그럴 수 밖에 없으며 시행착오를 거치게 됩니다.
      그리고 그 과정중에 인천 아파트 화재 같은 것이 반복되면 전고체 니즈가 점점 커지면서 확대될 것입니다.
      그러한 전고체 확대 이전에는 실리콘 음극자가 가장 뛰어난 에너지 밀도 향상 방법입니다.
      다만 Si를 그래핀으로 싸는 방식은 이미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었습니다.
      KERI의 방식이 기존 그래핀 사용 방식에 비하여, 그리고 이미 상용화된 SWCNT에 비하여 어떤 장점을 저공할 수 있는지는 면밀히 봐야합니다.
      중국 폰이 삼성 폰에 비하여 얇게 만들 수 있던 이유도 Si이 함유된 음극재를 사용한 것이며 요즘 트랜드는 Si 투입 양을 증가 시키는 것입니다.
      다만 가격 상승과 수명 저하는 피할 수 없습니다.
      에너지 밀도 상승을 고려하여 최적량을 넣는 것이 인더스트리에서 하는 작업이며 실리콘 업계는 더 안정한 실리콘 만들기 경쟁 중이며 사로운 회사들이 속속 출현 중입니다.
      그러므로 Si 음극재는 이재야 가화 중이며 적어도 10년은 지속될 것입니다~

  • @jwsangyun
    @jwsangyu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관련분야의 현직 기술자도 아니고, 관련회사의 투자자도 아닌.....
    절대다수의 일반인들은 광고하는 신기술들을 믿지말고....
    걍 실제로 현실화되면 대충 1년간은 실험체이니 1년후에나 사용할까 말까 고민하면 정답임....

  • @jinjan-qd9si
    @jinjan-qd9s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필요가 생기니 그 어려워 보이는것도 현실화가 되는군요.

  • @formyfaterland
    @formyfaterlan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5:20 무식한 생각으론 페스츄리 처럼 고압 롤러로 다같이 밀어서 밀착시키면 되는거 아닌가? 밀고 절연체 커터로 잘라내서 모양 만들면 되지 했었는데
    뭔가 다른 이유가 있나보네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formyfaterland 그런 방식이 가장 저렴합니다만, 계면이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그리고 롤로 압착시 두께방항은 줄고 멃이는 증가합니다. 그래서 서로 다른 팽창을 할때 단락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 @배고파요-j3b
    @배고파요-j3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반고체 배터리가 해답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의 중간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상대적으로 쉽죠~ 액체 전해질을 일절 사용하지 않는다면 폭발 위험성도 낮아지구요.
      그래도 고분자 전해질을 이미 사용했던 반고체전지를 탑재한 전기 버스의 연쇄 폭발 이력이 있어서 찜찜한 것은 사실입니다~

  • @taenggu7454
    @taenggu745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1기압 10만 파스칼
    500mpa ???
    대략 5000기압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렇습니다~

  • @문건송-b4j
    @문건송-b4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포스코 전고체 때문에 큰 손실은 물 보듯 뻔하네 이제 어쩌나 ?

  • @문건송-b4j
    @문건송-b4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고체 배트리가 양산이 되면 리툼 이제 똥값은 시간 문제네 ?

  • @곽진환-h5e
    @곽진환-h5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주인장은 언제나 신기술에 대한 갈증을 해소 시켜주시고...
    과학적으로 해석하여 그 문제점을 바라보는 관점을 다각적이고 경제적인 부분까지 배경을 넣어서 왜 그런지 알게 해주시는군요.
    그 옛날에 180°c/10 atm 20h autoclave에 넣고 알루미노 실리케케이트 토버모라이트 결정 (10.3 옹스트롬 ) 보드 합성하던 시절을 생각케 하는군요.
    Cracking 때문에 참 어려웠는데... 그때 WIP 가 있었다면 ???
    늘 그러하듯이 감사를 드립니다.
    선선해진 날씨가 살만하고 낚시 갔다오니 주인장의 영상을 보는
    즐거움도 좋읍니다.
    좋은 저녁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곽진환-h5e 오늘의 댓글도 감사드립니다~
      공대출신이섰군요~
      Crack 이슈는 여전히 존재하는 듯 합니다~
      누가 어떻게 막냐의 차이겠죠~

    • @곽진환-h5e
      @곽진환-h5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echtripkorea
      순도 높은 원료가 없고 커다란 땅이 없는 우리 조국이 참 불쌍하다라고 많이 불평 했었는데...
      그나마 요즈음은 과학 분야에 동량지재라도 많이 있으니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 @bradyoon7148
    @bradyoon714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덴트라이트는 해결되었나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bradyoon7148 전고체전지도 덴드로이트가 발생한다는 보고도 종종 나오고 있으나 무음극에서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 @warden5055
    @warden505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온이 못움직이는데 어떻게 축전이 된다는 건지 설명은 없는 삑소리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warden5055 ?

    • @코인스
      @코인스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2mS 의 이온전도도로 액체전해질과 동일한 수준인데 어떻게 못움직이나요

    • @warden5055
      @warden505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코인스 그럼그게 고체인가요 액체인가요?

    • @warden5055
      @warden505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코인스 전기공학을 제대로 배웠다면 전고체배터리가 태생적으로 불가하다는거 쯤은 알아야 정상인데 그래서 언제 제품 언제 나온답니까? 곧 이딴소리는 말고요

    • @jhlee261
      @jhlee26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warden5055 전기공학을 배웠다면 그건 일반 적인 상태이고 일반적인 상태에서도 온도가 오르면 이온전도가 가능하다는 것을 배웠을 텐데? 나는 컴공이라도 앎. 고체 상태에서도 이온 전도가 일어나니 고체전해질이지... 이건 국어 문제 아님? 그러나 뭔 의도인지 모르겠음. 이런 영상에 일일이 국어 풀이라도 해줘야 함?

  • @Bonk77777
    @Bonk7777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삼성과 도요타중 전고체개발 가능성 높은 기업이 어디일지.. 배팅하신다면 어디에 거시겠습니까?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Bonk77777 아주 흥미로운 질문이네요~
      제 답은요...Panasonic일 것 같습니다..ㅜ ㅜ

    • @jhlee261
      @jhlee26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echtripkorea 제길 역시 로드맵 대로 파나소닉 이군가 보군요...

    • @jhlee261
      @jhlee26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echtripkorea 파나 소닉는 올해 4분기에 나올꺼라 예상 하신다는 의미?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jhlee261 아뇨~ 그런 의미가 아닙니다.
      일단 도요타가 양산하겠다는 전고체는 파나소닉과 공동개발한 것이니 그런 의미에서는 도요타와 출시시기가 같겠지만, 파나소닉 단독으로 추진하는 방식이 따로 있을 것 같습니다.
      삼성과 도요타는 삼성이 아무래도 시기적으로 앞서갰죠.
      그런데 2029에 출시 선언한 파나소닉 전고체는 삼성과 도요타에 비하여 완성도 면에서 앞설 것 같습니다.
      이유늠 추후에 영상을 통해 설명하려 합니다.
      이상은 제 뇌피셜이였습니다~

  • @현무변-l1p
    @현무변-l1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제는 양산임 테슬라가 한달에 10만대 이상 만드는데 테슬라 모델3 한대에 7000개 이상 배터리 드감 그게 최저고 그럼 한달에 7억개 이상의 배터리가 필요한데 그걸 어디서 가져오누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현무변-l1p 7000개는 1860 기준이고요, 2170은 3000개, 4680을 넣는다면 600개 쯤 필요하게 됩니다.
      전고체는 에너지 밀도 높고 안전하니까 4680 크기로 한단면 300개 필요합니다.

    • @ecoprob
      @ecopro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echtripkorea전고체기준으로 크기키우는건 기술적으로 금방가능하다고 보시는건지요?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coprob 아마도 각 증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건식공정의 uniformity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건식공정의 두께가 일정해야 하는데 그것을 얼마나 키울 수있는지에 달려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런 제약 마저 몇년 내로 해제 될 겨 같습니다.
      다양한 기술들이 빠르게 올라오고 있습니다.

  • @Vector2030
    @Vector203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안녕하세요, 배터리 전문가로서 항상 훌륭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주셔서 깊이 감사드립니다. 구독자로서 귀하의 콘텐츠를 통해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 전고체 배터리와 금양의 그래핀 전해질을 사용한 하이 니켈 97% 단결정 건식양극제 배터리 사이의 기술적 차이점을 비교해 주실 수 있을지 여쭙고자 합니다. 각각의 배터리 기술이 가진 장단점과 실제 응용 가능성에 대해 전문가님의 깊이 있는 분석을 듣고 싶습니다.
    항상 수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귀한 정보와 통찰을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그런데 말씀하신 부분은 에스엠랩의 ipo와 금양의 주가와 관련되어 있어서 안건드리고 있습니다.
      민감해서요~
      주식은 귀신도 모르니까요,,,
      양해바랍니다~

    • @곽진환-h5e
      @곽진환-h5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echtripkorea
      참고만 하십시요.
      금양 - 즁국 리튬 광산이 괜찮으런지 ?
      정제 가공이 - 만약에 내몽고 지역 또는 중국 광물국 허가증이 있는 업체에서 해줄수 없다면 - 그렇게 만만하지 않을 수도 있울 듯 합니다. 그리고 중국에서 해외로 내보내는 광물국의 쿼터량 배정 확보에 포함되어야 가능한데
      그것도 확보가 쉽지않을 듯 ...

  • @hockey_doraappa
    @hockey_doraapp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양산을 향한 수율. 레시피가 그라 쉬울까. 한참 멀었습니다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hockey_doraappa ㅎㅎ 초기 수율은 물론 그렇겠죠~
      그런데 수율 레시피 확보에 가장 크걸림돌을 구체적으로 알려 주시겠습니까? 뇌피셜이라도~

    • @sajada00
      @sajada0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echtripkorea무조건 안된다고만 하는게 넘 웃기네여 ㅎㅎ 안되길 바라는게 아닌지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ajada00 현재는 과거에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 만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회사에서 보면 반대하던 사람들이 나중에 숟가락 하나 얹으려고 달랴들더라구요~ 허다하게 많이 봤습니다~

  • @bboguni
    @bbogun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ㅋㅋ 아직멀엇다 양산? 얼마나걸릴지 모른다

  • @URoKorea
    @URo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이디어를 주마. 배터리 필요없는 무한동력장치. Seg를 상용화해라.
    기술은 온라인상에 다 공개되었으니 선점하는자가 전세계. 에너지시장을 장악 할 것이다.
    Searl Effect Generaterㅡ문명의 패러다임이 대전환될 최후병기.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날씨가 많이 더웠나요?

    • @hsj3573
      @hsj357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한동력장치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합니다만..

  • @jamesy9279
    @jamesy927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퀀텀스케이프 2025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 @techtripkorea
      @techtripkore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amesy9279 QS배터리는 전고체가 아닙니다~ 그들도 그냥 고체전지라고 부릅니다~
      양극재 층에는 고체전해질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