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적인 사막의 변신.. 최근 "75 배" 커졌다는 사우디의 초록색 농경지 ㅎㄷㄷ..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6 เม.ย. 2023
  • #사우디아라비아 #농사 #사막
    - 비즈니스메일 : jisikcell@gmail.com
    - 욕설, 혐오, 가짜뉴스, 공격성 발언, 무허가 링크 등이 포함된 댓글은 삭제됩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35

  • @7asnabae
    @7asnabae ปีที่แล้ว +796

    전 사우디 살고있는데 가끔 아이들 데리고 농장으로 견학을 가요. 수경재배, 아쿠아 포닉스, 분무 수경재배 기술등도 적용해서 사막농업을 발달시키고 있어요. 2030 비전 중의 하나라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사막농업을 서포트 해준다고 들었어요. 특히 이번년도는 비가 엄청 많이 내려서 사막 송로버섯도 풍년이었고 페스티발도 열렸죠. 십년 넘게 살고 있는데 비는 일년에 한번정도 왔었는데 이번년도는 적어도 10번 넘게 소나기가 온것 같아요.. 주변에서는 cloud seeding 했다고도 하더라구요.

    • @chickengod9191
      @chickengod9191 ปีที่แล้ว +10

      송로버섯은 어떻게 먹나요? 전 튀기거나 구워먹는 걸 좋아하는데 ..요

    • @nsjee6804
      @nsjee6804 ปีที่แล้ว +89

      녹지가 많아질수록 강수량이 늘어나서 그런 것 같네요

    • @davidkim3443
      @davidkim3443 ปีที่แล้ว +31

      네옴시티와 함께 다방면으로 미래를 만들어 가고 있군요! 현지 인사이트를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stom1004
      @stom1004 ปีที่แล้ว +13

      돈만 많으면 모든게 해결

    • @user-xm5vd5uw1e
      @user-xm5vd5uw1e ปีที่แล้ว +10

      @@chickengod9191송로버섯이 트러플입니다

  • @DGLee7229
    @DGLee722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9

    시우디가 진정미래를 대비하는것, 물, 농업. 둘다 강력한무기이자. 국민의 삶에 근본이 되는 자원.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사우디의 해수담수화시설에 가장 큰 공을 하고 있는 것은 한국기업입니다.

    • @yoyoyout
      @yoyoyou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경제성이 없는데 어떻게 저걸 계속해. 빚인데. 외화가 필요한데 외화를 벌어오는 석유를 소비해서 외화로 사와야하는 채소를 만든다?

    • @sergio-xs1wq
      @sergio-xs1wq 27 วันที่ผ่านมา

      박정희가 녹화사업, 정화조사업 다 발전시켯지

    • @user-eu4xx6iy1k
      @user-eu4xx6iy1k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사우디 지하에 묻혀있는 자원때문에 대수층 오염정도가 심각한 수준.....

    • @user-dp6tz1kc7q
      @user-dp6tz1kc7q 17 วันที่ผ่านมา

      저건 그냥 현재 사우디가 자금이 넘처나니 가능한거고 미래는 별로 밝지 않다는거

  • @user-ie7ro4cl2y
    @user-ie7ro4cl2y ปีที่แล้ว +73

    구글맵 보다가 사막에 저건 뭔가 했었는데 농경지였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backgu34
    @backgu34 ปีที่แล้ว +57

    물을 아끼는면에서는 스프링클러보다 점적이 더 좋을것 같아요.
    수입에만 의지하여 농산물을 해결하면 식량위기가오니 농지를 늘리는것 같네요

    • @kangbitcoin
      @kangbitcoi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점적 사용해야될정도로 물이 부족하지는 않는듯
      관리적인 측면까지 따지면 회전살수가 마진이 더 좋아서 그런거

    • @backgu34
      @backgu3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kangbitcoin 그렇다면 다행이죠 손으로 주면 100리터로 충분한거 스프링클러는 1톤으느 부족하거든요

    • @user-uw4pm2xz6h
      @user-uw4pm2xz6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점적은 주로 과수(혹은 채소)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곡물은 면적도 넓고 밀식되어 적합하지 않지요.
      점적(點滴)은 밀식(密植)보다는 과수(과일나무)같은 종류에 적합합니다.

  • @user-yk6sx3go4c
    @user-yk6sx3go4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1

    몽골이나 아프리카쪽 나가서 현지인들 농업을 돕는 한국 사람들 유튜브 영상을 눈여겨보던 편인데 의외로 물만 해결되면 사막이 농사가 쉬운 편이라고 하더라고요. 먼저 일조량이 초월적이고 일교차가 커서 농작물들이 맛이 대단히 좋은 편이라고 하고, 사막이라 잡초나 해충이 거의 신경쓰지 않아도 될 정도라고 하더군요. 물을 대는 것 자체가 힘들지만 그것만 해결하면 대체로 한국보다 농사짓기 좋다고 하더라고요. 흙에서 양분을 뽑아내는 식물이 없다 보니 비료를 쓰지 않아도 이미 양분이 상당히 많은 상태인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열대우림 지역이 오히려 비에 씻겨나가는 것 때문에 양분이 모자라다고요. 물론 꽤 많은 사막 지역은 땅 자체에 염도가 높아서 어려움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네덜란드에서 고염도 고온 저수분 지역에 적합한 감자를 개발하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로 알고 있어요.
    그리고 사막지역 농사를 보면 재미있는 것이 좀 있던데 우리나라는 고랑을 파고 이랑에 농작물을 심어서 장마철에 물이 잘 빠질 수 있게 조치하는데 사막지역에서는 오히려 고랑에 작물을 심어 최대한 수분을 보존하는 식으로 변형해서 지도하시더라고요. 생각지 못했던 부분이라 신선했습니다.

    • @user-yk6sx3go4c
      @user-yk6sx3go4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prostaff5234 어슬렁어슬렁 아프리카 채널입니다 몽골쪽은 저도 떠서 본 거라 채널명을 모르겠어요

    • @tarve4824
      @tarve482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열대우림이 생물과 기후 면에서는 과도하게 활성화된 상태라 안정적으로 쌓이는 게 별로 없어 척박하다고 하더군요.
      대신 물이 흘러나온 평지에 영양이 쌓이면 농사짓기 괜찮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tarve4824
      그건 아입니다. 결론적으로는 무기물 특히 인이 과포화되어서 결국 농지로 쓸 수 없게 됩니다.
      대표적인 곳이 메소포타미아죠.
      특히 메소포타미아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어 놓고 쓰기까지 했습니다.
      물을 가져다가 계속 같은 땅에 뿌리다 보니. 흙에 무기물이 포화되며 쓸 수 없는 땅이 되었죠.
      우림이 좋은 게 오염된 흙을 걷어내거나 그 위에 새로운 흙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다는 거죠.

    • @tarve4824
      @tarve482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ohnbillon7757 제가 잘못 알아들었을수도 있는데, 제 말은 열대우림은 농업에 유리하지 않으나 비에 씻긴 영양이 흘러와 모인 곳은 농사를 지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arve4824
      그 영양이 흙에 누적되면 결국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땅이 된다는 겁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그렇게 망했구요.
      반대로 이집트가 나일 문명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대규모 홍수로 새로운 흙을 계속 공급해서라고 알고 있습니다. 영양이 아니라 새로운 흙이요. 물론 이 흙이 영양분을 품고 있기도 하지만, 새로운 흙이 계속 투입되며 과영양화를 피할 수 있었기에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망한 후에도 이집트 문명은 번성했죠.

  • @ororico
    @ororico ปีที่แล้ว +63

    리비아 사하라 사막에도 저런 밀농장이 있습니다.
    현장에 가서보고 입이 다물어 지지않았습니다.

    • @General-Daegal-of-Yongsan
      @General-Daegal-of-Yongsan ปีที่แล้ว +11

      80년대부터 시작한 대수로 사업으로 물공급이 가능해져서 그런 것이죠. 지금은 없어진 한국의 기업이 시공을 했지요

    • @user-ln7bb7xk7p
      @user-ln7bb7xk7p ปีที่แล้ว +9

      ​@@General-Daegal-of-Yongsan 동아건설이죠. 리비아대수로공사 주시공사.

  • @user-uc4ym8oq6p
    @user-uc4ym8oq6p ปีที่แล้ว +25

    뭐든 소중하게 여겨야 하는데 넘쳐나다보니 귀한줄 모르는거죠 막상없어지면 불편하고 뭐든 아껴써야 합니다

  • @Lee_Sanha
    @Lee_Sanh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어릴적부터 지리에 관심이 많아서 구글지도 들어가서 전세계에 지도를 돌아다니며 구경하곤 했는데요. 미국의 사막지역이나 영상에나온 사우디같은 지역에 저런 초록색 동그랗던 지역이 무수히 많이 있는걸 보고 저건 대체 뭘까 왜 저렇게 땅을 개간했을까 엄청 궁금해했었거든요 이후에 그게 농경지라는 사실만 알았을 뿐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몰랐었는데 이 영상으로 옛날부터 갖고있었던 궁금증이 해결되었네요. 지식세포 고마워요!

  • @user-eq4xh3ub3j
    @user-eq4xh3ub3j ปีที่แล้ว +74

    담수아 시설은 우리나라 두산이 세계 최고기술을 가지고 있고 사우디 담수 시설도 공사 해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Amolang991
      @Amolang991 ปีที่แล้ว +3

      그건 몰랐네요

  • @twopersimmons
    @twopersimmon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미국에서 농사를 짓는 방법도 같습니다 캘리포니아 야채밭이나 중부의 밀밭 옥수수밭도 이런 방식으로 농사를 짓는 곳이 많죠 물론 비가 알맞게 오고 땅이 비옥한 5대호 주위의 위스콘신 미네소타 같은 지역은 자연강우로 짓는경우가 더 많지만요. 이렇게 지으면 품질이 좋고 균질의 농산물 수확이 가능합니다. 15년전 사우디가 밀 수출국이라는 사실을 알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습니다

  • @user-jc9hm4qm7l
    @user-jc9hm4qm7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저곳은 잡초가 하나없어서 좋겠네요
    저넓은곳에 물을 준다는게 참 대단하네요 👍

  • @sorry_earth
    @sorry_earth ปีที่แล้ว +58

    확실히 뭘 하든 효율화가 정말 중요하네요. 효율적인 방식 하나로 물 절약을 90%나 할 수 있다니 완전 획기적이네요.

  • @alala4290
    @alala4290 ปีที่แล้ว +249

    기술과 발상만으로 환경을 이렇게 180도 바꿀 수 있다는 게 대단함
    우리도 이런 혁신이 필요한데

    •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ปีที่แล้ว +4

      🇰🇷🇰🇷🇰🇷

    • @user-iu8wk2y
      @user-iu8wk2y ปีที่แล้ว +16

      사막에 키울수 있도록 한국의 벼농사 기술,새우 양식 기술 전수해줬어 이미 키우고 있더라고요 ㄷㄷㄷ

    • @samayulhyultv
      @samayulhyultv ปีที่แล้ว +35

      박정희 대통령시절 허허벌판 민둥산 나무엄청심어서 푸르게 바뀌었습니다 우리나라가 사우디보다 먼저 녹화성공했구요

    • @mena8289
      @mena8289 ปีที่แล้ว +38

      @@samayulhyultv 원래부터 산 이었던 곳에 다시 나무를 심는거랑 원래부터 사막이었던 곳을 푸르게 하는 거랑 다르죠. 사우디의 경우는 녹화가 아니라 그냥 농경지 개발이죠. 애초부터 사막기후라서 유지를 하려면 무조건 인공적으로 물 공급을 해야 되니까 자연환경을 바꿨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음.

    • @sung94132
      @sung94132 ปีที่แล้ว +5

      혁신을히자면 소위 한국의 환경론자들이 반대하지 않을 까요..^^

  • @DaddyBrownbr
    @DaddyBrownb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회전살수 기법은 사우디가 개발한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몇십년전부터 해 온 농경방식 되겠습니다. 전세계에 이미 퍼져있고, 물 보다 노동력을 절감하는데 더 큰 의미가 있어요. 물 뿐아니라 비료 농약을 살포하기도 하고, 파종 관리와 수확도 기계로 자동화 됩니다.

  • @user-xu3xi9iz9u
    @user-xu3xi9iz9u ปีที่แล้ว +66

    내용이 너무 좋아서 잘보고 있습니다.
    매번 머리가 굳어있다고 생각이 들때 마다
    자극을 주는영상이예요 사업에 도움이 됩니다

    •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ปีที่แล้ว +1

      🇰🇷🇰🇷🇰🇷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우디의 해수담수화시설에 가장 큰 공을 하고 있는 것은 한국기업입니다. 그 점을 이 영상을 만든 유튜버는 모르는 지 소개를 안 하네요....

  • @user-ys4nv8xc5g
    @user-ys4nv8xc5g ปีที่แล้ว +11

    좋은 정보항상 잘듣고 있습니다ㅡ 줄기세포에 대해서도 방송해주세요ㆍ

  • @KoreanAjumma_inGermany
    @KoreanAjumma_inGermany ปีที่แล้ว +57

    회전살수기법이라는 장치를 올해 독일에서 여러 번 봤습니다. 이렇게 좋은 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기쁩니다. ^^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우디의 해수담수화시설에 가장 큰 공을 하고 있는 것은 한국기업입니다.

    • @KoreanAjumma_inGermany
      @KoreanAjumma_inGerman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ce9mc1zi2d 기분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

  • @medicalvoice5010
    @medicalvoice501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거 보고 위성지도 봤는데 생각보다 규모가 어마어마하네요;; 멀리서 그냥 부스러기로 보였던게 다 농경지였다니

  • @shinex_car
    @shinex_car ปีที่แล้ว +133

    지구에 녹림이 많아지는 건 좋은 현상입니다. 아마존이 사막화 된다는 데, 다행히 사우디는 녹림화 되서 다른 사막보유국도 다 따라 하면 좋겠어요

    • @user-kl7sh7nw4m
      @user-kl7sh7nw4m ปีที่แล้ว +30

      사막이 숲이 되면 지구의 다른 곳이 사막이 된 다고 합니다. 농사 짓는 이상 으로 일부러 녹지화 시킬 필요는 없을 거 같습니다.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ปีที่แล้ว +27

      간단히 생각해봐도, 지구 내의 물의 총량은 줄면 줄었지 늘진 않습니다.
      어딘가가 녹화되거나 물이 차오른다면, 다른 곳이 사막화되거나 물이 빠지고 있는 겁니다.

    • @brienkim8471
      @brienkim8471 ปีที่แล้ว +6

      @@user-uw4gn6ut5k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서
      해수면 상승..
      사우디가 막아주는 거네요.
      일본, 인도네시아 가라앉고 있기도 하구요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ปีที่แล้ว +17

      @@brienkim8471 어.. 온난화로 높아지는 해수면, 즉 사용가능한 담수량의 증가에 비할 바는 아닙니다.
      사우디는 지하수 끌어올리기와 해수 담수화로 사용할 물을 이동시킬 뿐입니다.
      이는 복합적인 문제에요.
      그 과정에서 소진되는 에너지가 온난화에 기여해 또 다시 빙하 침식속도를 높일테니까요.

    • @pathesiar
      @pathesiar ปีที่แล้ว +19

      @@user-uw4gn6ut5k 별 상관 없음.
      비가 오는건 바다의 영향임. 문론 내리는 비의 양도 바다에 내리는게 훨신 많고.
      바다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바람을타고 가다 육지에서 비가 내림. 그래서 바다에서 멀면 멀 수록 비가 적게옴.
      문제는 사우디 같은경우. 바다 옆에 있긴 하지만.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이 대륙쪽임.
      비 내릴거 다 내리고 건조한 바람이 사우디 쪽으로 분다는 말.
      총량은 아무 상관 없음.
      바다에서 생긴 수증기 가득한 바람이 어느쪽으로 부느냐에따라 다를 뿐.

  • @footstep002
    @footstep002 ปีที่แล้ว +95

    사우디도 나름 여러모로 짱구를 굴렸지만 결과적으로 그동안 자국 지하수를 이미 너무 많이 소모해버린 상태라고 관련 문제가 언급된 다큐를 봤던 기억이 있네요. 그게 별써 몇년전이었으니 지금은 상황이 더 안좋아졌겠죠.

    • @user-fw6bz8nd7m
      @user-fw6bz8nd7m ปีที่แล้ว +1

      이스라엘처럼 근처에서 물 수입하게되려나요

    • @mmdaddy1
      @mmdaddy1 ปีที่แล้ว +11

      해수담수화시설 계속 늘리는중입니다 ^^

    • @pachondeck
      @pachondeck ปีที่แล้ว +10

      그 담수화로 인한 폐해가 더 크다는게 문제입니다.

    • @rein8510
      @rein8510 ปีที่แล้ว +18

      해수담수화의 단점은 해수에서 식수를 만들고 난 잔여해수의 소금기가 너무 짙어서 죽음의 바닷물을 만들기 때문에 문제입니다. 지금의 오염수 방류와 비슷한 방식이기 때문에( 뭉쳐진 물덩어리는 풀어지지 않습니다)

    • @sung94132
      @sung94132 ปีที่แล้ว +6

      @@rein8510 그래도 물이 필요하니 물을 포기하기보단 그 염분처리방법을 개발해야겠지요

  • @dj2001shin
    @dj2001shin ปีที่แล้ว +173

    해수담수화는 한국이 전기도 얻고 민물도 얻는 기술력(세계최고수준보다 2배)으로 독보적인 1위인대 대부분 모르더라구요.

    • @oe1118
      @oe1118 ปีที่แล้ว +5

      우리가 많이 진출하면 좋을텐데

    • @user-lu5pb1fy6l
      @user-lu5pb1fy6l ปีที่แล้ว +42

      돈이안됩니다.. 그래서 투자도 안해요.. 그리고 돈이 안되니 경쟁자도 없어요.. 그냥 계속 1등임..

    • @Light_ysh
      @Light_ysh ปีที่แล้ว +36

      돈이 안되서 그런거지 막상 개발나서면 우리나라가 뒤로 쭉쭉밀림. 연구단지, 인재, 자원, 교육등 선진국들이 압도적임.
      우리나라도 원전기술이 압도적인것도 선진국들이 원전 개발 및 투자중단+ 탈원전을 추구해서 경쟁상대가 떨어져나가서 그렇지.
      그냥 우리나라는 남들이 개발안하는거 주워다가 거기서 1등먹는게 전부임.

    • @Light_ysh
      @Light_ysh ปีที่แล้ว +12

      국가단위로 연구개발비용으로 몇십조씩 지원되는 국가들에 비해 우리나라는 많이 지원해줘봐야 1000~3000억 단위임.
      반도체하고 조선업만 조단위로 투자하지.

    • @bonbonjovi
      @bonbonjovi ปีที่แล้ว +30

      원래 남들 안한는거 찾아서 하는게 경제이론에서 부자되는 제일 좋은 방법인데요. 굳이 나보다 잘하는거 비집고 들어가서 출혈경쟁하며 이겨야 한민족의 우수성을 대변하는건가요? 굳이 그런거 찾고싶음 반도체 자동차 이런거 있음. 남들 수십년간 엄청 잘하고 있던거 들어가서 세계 최고등급에 올라감. 독보적 세계 최고라고는 안했음 누군가 딴지 걸가봐서

  • @user-sy8qp1gq6u
    @user-sy8qp1gq6u ปีที่แล้ว +8

    정말 유익한 내용이네요!!

  • @user-mg2zm1ku6m
    @user-mg2zm1ku6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uf3np4vt4r
    @user-uf3np4vt4r ปีที่แล้ว +21

    참으로 인류가 발전시켜온 기술들을 앞으로는 지구환경을 파괴하는 공멸의 길로 가지말고...환경을 보호하고 인류가 오랫동안 존속할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합니다

  • @prococonut
    @prococonut ปีที่แล้ว +56

    해수 담수화 문제는 고농도 염수입니다.
    소금 농도가 너무 높아서 그걸 바다에 그냥 보내면 해양 생물이 살수 없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결국 사우디는 소금을 해결하는 문제를 찾아야 해요.

    • @user-ce8xy5me9h
      @user-ce8xy5me9h ปีที่แล้ว +25

      그래서 최근에는 막공정으로 남는 농축수에서 필요한 광물질과 미네랄을 따로 걸러내서 사용하는 기술도 개발되고있습니다 소금도 정제염으로 활용이 되고요

    • @user-xg3vz2yd6w
      @user-xg3vz2yd6w ปีที่แล้ว +4

      베터리 소재

    • @angeallenges9463
      @angeallenges9463 ปีที่แล้ว +2

      남는땅에 호수 하나 파서 증발시키면 그만일듯

    • @reonk5901
      @reonk5901 ปีที่แล้ว +8

      고농도 염수 문제는 연안 바다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매우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로 담수가 주는 이점이 훨씬 크기에 큰 문제로까지는 여겨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 @user-gi7rf5py1d
      @user-gi7rf5py1d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ngeallenges9463 씹천재네

  • @user-ux4wq4py3d
    @user-ux4wq4py3d ปีที่แล้ว +3

    정말 대단하네요

  • @user-jogakbedongdong
    @user-jogakbedongdong ปีที่แล้ว +7

    사우디도 오일머니가 끝날때를 대비하네요. 결국 식량자원도 무기니까요. 우리나라도 미래에 대한 대비가 충분한지....

  • @user-oy2lh2xu2h
    @user-oy2lh2xu2h ปีที่แล้ว +23

    그니까 우리가 집에서 씻을 때처럼, 물을 받아놓고 바가지로 끼얹는 것보다, 샤워기를 틀어서 씻는게 더 효율적거랑 같은거군요

  • @user-ru5bk2ez9n
    @user-ru5bk2ez9n ปีที่แล้ว +6

    구글로 확인해 보면 원형 농경지 엄청나게 많던데 대단하긴 하네요 ;; 석유 있는것도 부러운데 이제 농업도 ;;;

  • @user-dg6ig5zs8c
    @user-dg6ig5zs8c ปีที่แล้ว +19

    저렇게 지속적으로 농사를 지으면 땅도 변한다고 들었는데 워낙 비가 안내리는 지역이지만 그래도 녹지화가 진행되면 환경도 바뀌지않을까요??

    • @mena8289
      @mena8289 ปีที่แล้ว +9

      저 해수담수화시설 수백개 만들어서 사막 전체에 10년이상 뿌리면 가능 할 수도

    •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ปีที่แล้ว

      그렇겠죠

    • @hl2dus1
      @hl2dus1 ปีที่แล้ว +10

      나무 자라면 비가 더 온다고 해요..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ปีที่แล้ว +7

      비가 오고 말고는 바다와 산맥의 영향이 지배적이라 저걸로 기후 바꾸는 건 힘들 듯

    • @user-ur5rb1dk6y
      @user-ur5rb1dk6y ปีที่แล้ว +3

      ​@@user-ok4zf6hj7h그게...신기하게도 녹지로 변하면 기후가 바낍니다.

  • @user-jb2lz9ei3w
    @user-jb2lz9ei3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랜만에 고향을 보듯합니다.
    저 농사짓는 곳을 직접보고 나도 놀랐었는데 여기서 보내요.

  • @hj-ku1bd
    @hj-ku1bd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제일 바깥쪽은 거쳐지나가는 속도가 빠를텐데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모래폭풍은 괜찮은가요?

  • @galaxybearkim693
    @galaxybearkim693 ปีที่แล้ว +4

    돈이면 안되는거 없다, 돈이면 뭐든 다 된다
    를 확실히 보여줌

  • @user-pz7vs7me6y
    @user-pz7vs7me6y ปีที่แล้ว +36

    처음 피봇스프링쿨러를 봤을때는 신기했는데, 사실 저 시설도 물낭비가 심합니다. 대형 농장을 가꾸기위한 거죠. 생각해보면 우리 농촌에서 사용하는 점적관수가 휠씬 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 @big_2440
      @big_2440 ปีที่แล้ว +10

      저기는 기온이 높아서 증발이 빨리되니까 저런 방식이 기존보다 효율적이라고요.,

    • @INQ1246
      @INQ1246 ปีที่แล้ว

      관은 거저 깔림?

    • @NEOEASYMAX
      @NEOEASYMAX ปีที่แล้ว +3

      가로수는 그렇게 키우긴 하던대...쟁기질이나 추수할때..망가지니까 그런가 보지요..인건비 비싼 나라라..

    • @Vesperado0131
      @Vesperado013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INQ1246 사우디와 비슷한 기후대인 이스라엘이 실제로 사용합니다.

    • @Soooo-ht8ck
      @Soooo-ht8c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Vesperado0131맞아요. 점적관수 기술 자체가 이스라엘에서 시작된거기도 하고요

  • @user-gs1cj3pp5y
    @user-gs1cj3pp5y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좋으네요 ^^ 먹거린데
    누구나 풍족하고 신선한걸 먹어야지요

  • @sodori6312
    @sodori631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 대수층이 한계가 있어서 몇 년후 고갈되면 다시 사막화 된다고 합니다.
    또 해수담수화는 에너지 사용이 극대화 되고 바다를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지속불가능한 방법이랍니다.

  • @feel_so_shower
    @feel_so_shower ปีที่แล้ว +8

    회전살수는 미국 서부랑 이스라엘에서도 많이 쓰던 거긴 함

  • @user-hk2ug3nr6p
    @user-hk2ug3nr6p ปีที่แล้ว +4

    해수담수화 설비도 결국 석유를 활용하는거라서
    태양을 활용한. 해수담수화 설비로 전환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담수화로. 만들고 남은 물을 다시 바다로 내보내는데 그게. 염분 농도가 아주 높아서 주변 환경 바다 환경을. 오히려 악화 시키는 문제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슈퍼카 살돈으로 환경 보호에도 투자하는. 사우디가 되길 ^>^

    • @user-ni7mz3vd9v
      @user-ni7mz3vd9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 염분을 소금으로 만들수 있다면..

    • @user-st1oc4sy2f
      @user-st1oc4sy2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미 소금으로 팔고있음 😊

  • @foolishman2586
    @foolishman2586 ปีที่แล้ว +1

    해수담수화 플랜트에서 담수를 만들고
    생성된 남은 농축염수는 다시 방류 하는 건가요?
    그렇다면 그게 바다에 괜찮은건가?;;;

  • @jerrykw3839
    @jerrykw383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막에서 농사짓는게 정말 신기하고 기적같아보이는데 문제는 생산된 농산물 가격이 굉장히 비싸겠네요. 그래도 자급자족하니깐 수입보다는 저렴할련지도 모르겠군요

  • @cruz2767
    @cruz2767 ปีที่แล้ว +34

    고비사막이나 중국 서쪽지방에도 이런거 널리 퍼졌으면 좋겠네요

    • @gamespot3843
      @gamespot3843 ปีที่แล้ว +7

      해수 담수화가 마냥 좋은 기술은 아님. 그 농축된 물은 그냥 바다로 버리게 되는데 그러면 바다 생태계와 기후가 망가짐.

    • @sung94132
      @sung9413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gamespot3843 이해가 안됩니다. 민물이 세계각지에서 바다로 흘러들어가는데 생태계라니요? 생태계는 멈춰있는게 아니고 계속 변하는겁니다. 지구의 자연이 살아 있기떄문인거지요. 섣불리 생태운운 하면 4대강반대악몽이 연상됩니다.

    • @gamespot3843
      @gamespot384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ung94132 지능이 모자름? 민물이 어디서 오는데? 바다가 증발에서 생긴 구름에서 오는데 바다에서 나온 물이 다시 바다로 간다고 바뀜? 생태계가 변해서 괜찮다고 하는거면 금어기, 그린벨트 이딴건 왜 있다고 생각함? 물고기 다 잡아버리고 산 싹다 밀어버려 뭐 어때 생태계는 계속 변하는데 그 빈자리 누군가가 채우겠지.

    • @sung94132
      @sung9413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gamespot3843 허허 지능 없는자가 지능얘기를? 생태가 뭔지도 모르는 인간이 반말까지? 한 200살 되셨오? ㅉㅉ

    • @Tr-ep9fu
      @Tr-ep9f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gamespot3843 이 넓은 바다에 그 물 담수화한다고 바닷물 농도 올라간다는 짧은 생각은

  • @IslamChatKo
    @IslamChatKo ปีที่แล้ว +29

    기술의 발전으로 예전에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일들이 가능하군요. 요즘에 사우디 비도 많이 오고 다시 초록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 @user-hk3eu5ss4j
      @user-hk3eu5ss4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시'라니 수천년간 사우디는 초록이었던 적이 없는데요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우디의 해수담수화시설에 가장 큰 공을 하고 있는 것은 한국기업입니다. 그 점을 이 영상을 만든 유튜버는 모르는 지 소개를 안 하네요....

    • @pintgillespie7401
      @pintgillespie740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hk3eu5ss4j현재 사막지역 대부분은 원래 밀림이나 초원지대 였기 때문에 '다시'라는 말을 쓴 것 같습니다. 언젠가는 기후 변화로 '다시' 초록지대로 변한다고 합니다. 남극대륙도 야자나무가 울창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 @tacon4441
    @tacon444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발전입니다.

  • @user-fg2ix2dx3e
    @user-fg2ix2dx3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국 라스베가스에 공원가면 놀라실듯... 거기도 사막을 공원으로 만들었더라구요. 비도안오는데 역시 돈이많으면 못하는게 없다고느꼈음.

  • @atrry4604
    @atrry4604 ปีที่แล้ว +3

    00:23 오류인게 실제사막은 우리가생각하는 모래만있는지역은 일부분이고 대부분은 모래없는 암석으로되어있음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ปีที่แล้ว +13

    해수담수화는 사람이 쓰는 용도라도 살짝 비싼편인데 농업용수로는 지금으로서는 비현실적입니다 전기료가 100배 저렴해진다거나 하면 가능하겠죠.

    • @joyyoung8696
      @joyyoung869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래서 빈 살만 형님이 석유 안쓰고,신재생 에너지로만 전기 만든다고 하네요. 조만간 석유는 박물관에서만 볼 것 같음.

    • @molchangi
      @molchang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술은 점점 발전하죠

  • @newday7486
    @newday7486 ปีที่แล้ว +1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tw6hd5gr1u
    @user-tw6hd5gr1u ปีที่แล้ว +1

    인공구릉지를 만들어서 비구름이 모이도록 하는 방법을 옛날 잡지에서 본 기억이 나네요

  • @user-we6wv2hk7u
    @user-we6wv2hk7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회전살수기법을 도입했다는 변화만으로 사우디의 농경지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이 참 신기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해수담수화 시설이 사우디에 있는 등 사우디의 놀라운 발전 뉴스가 흥미로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정보를 전달해 주시길 응원합니다.

  • @user-lg6mz2fu3n
    @user-lg6mz2fu3n ปีที่แล้ว +7

    나무도 심지 숲이 울창해야 땅속에 물도 저장하고 산소도 만들고 ..

  • @BMW_YUPS
    @BMW_YUPS 18 วันที่ผ่านมา

    완전 아싸라비아 콜롬비아입니다. 좋은 지식 감사합니다!
    구글맵으로 보니 정말 엄청 많네요 ㅎㅎ
    미래준비가 탄탄하네요

  •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ปีที่แล้ว

    화이팅입니다

  • @no3arch387
    @no3arch387 ปีที่แล้ว +5

    사막이기 때문에 평지가 크다라는게 큰 장점이 되겠네요

    • @sean5091
      @sean509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근데 주변 사막으로부터 바람에 실려오는 사막모래등은 농작물에 피해를 줄듯

  • @Ima184mm
    @Ima184mm ปีที่แล้ว +1

    결국 이렇게 혁신을 하는 국가들만이 미래에 계속 지속될수 있을 겁니다.

  • @blackjein
    @blackjei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우디가 미래를 준비하는 모습을 보니 저 나라는 빈 살만의 주도 아래 앞으로도 잘 나갈 거 같네요.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우디의 해수담수화시설에 가장 큰 공을 하고 있는 것은 한국기업입니다. 그 점을 이 영상을 만든 유튜버는 모르는 지 소개를 안 하네요....

  • @user-xo4cf4dx6f
    @user-xo4cf4dx6f ปีที่แล้ว +30

    사우디 농지가 대한민국의 2배라니ㄷㄷㄷㄷ

    • @supermansunny787
      @supermansunny78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토가 20배 이상인데 농지는 고작 2배 ㄷㄷ

  • @vincent5202
    @vincent5202 ปีที่แล้ว +4

    해수담수화로 인한 환경영향도 알고 싶습니다.

  • @workoutpa
    @workoutpa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궁금한게 들어가는 전력이 어마어마 할 것 같은데.... 국토 대부분이 사막이라, 농업을 키우기위해 값싸게 국가에서 전기를 공급해서 저런 방식이 가능한거겠죠????? 아니면 태양광이나 풍력등의 친환경 에너지가 쓰이는 걸까요?....

  • @user-if8bb7br4k
    @user-if8bb7br4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공부 했습니다

  • @user-wl9pc5rx8j
    @user-wl9pc5rx8j ปีที่แล้ว +3

    어, 저거 예전에 내가 농장을 만들면 쓰려고 생각해봤던 관리방식과 비슷하네..

  • @sgchoe4806
    @sgchoe4806 ปีที่แล้ว +9

    지하수 자원은 한정적인 만큼 해수담수화장치가 스케일이 빨리 커져서 경제성이 있어져야 할텐데

    • @user-ne3uh9lo8k
      @user-ne3uh9lo8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나라 수풀림을 보면 답이 나옵니다.
      예를들어 우리나라엔 옛 세종 때부터 저수지 담수화를 만들어 물을 웅덩이에 담아서 농경지때 쑬수 있게 하였고 지금도 사용 하는게 농경지에 물을 담는 저수지 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 반전이 있지요.
      우리나라 국토 70프로 산악이 있는 굴곡지로 되어 있어서
      다행히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서 산림화가 되었는데
      그 비밀이 바로 숲을만든 나무에 의해서 물 보존량을 지니게 하고 계곡으로 물이 흐르게 한 비밀이 담겨 있죠.
      또한 우리나라 수풀림이 우거져 생긴 현상은 어느정도 습기를 유지하게 하여 비 바람을 불러 온다는 것입니다.
      이 자연적 생태계의 비밀을 알고 했던 안 했던 얼마나 다행인지 세계인 들은 깨우쳐야 합니다.
      더군다나 사막화나 열대화를 막는데 있어선 전 세계가 동참해야 하고요.
      특히나 아랍 매리트 같은곳은 이것을 시행해야 하고 한다면 생활 자체도 바퀴고 좀 더 풍요로워 질것인데 학자들은 왜 가만히 있고
      그 나라의 정부는 이것을 깨우치지 못하는 것인지 ㅠ

  • @tedchoi8488
    @tedchoi848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궁금한게 피벗포인트를 기점으로 가까운곳은 물 분사에 상대적으로 오래 노출되고 먼곳은 짧게 노출될텐데 면적당 물 분사량이 균일하게 될수 있는걸까

  • @marco6670kimminsu
    @marco6670kimmins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혹시 사우디는 해수를 이용해 천일염을 만드는 사업은 생각이 없을까 싶어요. 바람에 방향에 따라 그 증발된 물로 습도도 저절하고 비를 뿌릴수도 있을건데요. 더불어 소금도 얻고 수출도 가능할건데요.

  • @user-uw4pm2xz6h
    @user-uw4pm2xz6h ปีที่แล้ว +14

    저런 방식으로 관개하면 물에 녹아있던 염류(소금)이 축적되어 땅을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끔이라도 비가 오는 지역이라면 비가 올 때 염류를 녹여서 씻어내려가지만, 거의 비가 오지 않는 지역은 염류가 자꾸 쌓여서 농지를 버리게 됩니다.

    • @musictopia6409
      @musictopia6409 ปีที่แล้ว +3

      해수 담수화 공장을 아시고 하는 얘긴가요 미량의 염분은 농작물을 건강하게 하기도 합니다

    • @joyyoung8696
      @joyyoung869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소금은 모아서, 수출

    • @gooholee2504
      @gooholee250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usictopia6409 그 미량의 염분이란게 물 10톤에 소금 1그램 정도 입니다.

  • @user-mk8zx2so5m
    @user-mk8zx2so5m ปีที่แล้ว +4

    와.
    사우디 땅 밑에 기름만 있는게 아니구나..

  • @sanha7007
    @sanha7007 ปีที่แล้ว +1

    1989년 리비아 대수로공사에쓰는 관만드는공장이 지중해에서
    500Km안 사막가운데 있는데 사방팔방둘러보아도 모래사막인데 일요일 밀밭에놀러간다고가더군요.
    물론 차타고가지만
    지하수이용해서
    직경1km원으로된밀밭에 빙빙도는 바퀴달린 스프링쿨러로
    물을주며 농사를짓는데 구글지도를 확대해보면 영상에나오는
    원이보이고 사진도나옵니다!
    밀밭에서 술먹고 놀다 사막에 차쳐박혀
    사상자나고 인근(1시간반달려야함)작은도시의 북한병원에입원해 치료도했는데
    임수경 북한간화보를
    주고 교대로 간병도가고했는데!

  • @jihojio2118
    @jihojio2118 ปีที่แล้ว +2

    스페인도 저렇게 동그라미 농경지가 있던데 같은 원리인지 궁금하네요

  • @user-dn9gz7fo4s
    @user-dn9gz7fo4s ปีที่แล้ว +13

    사우디가 농사를짓다니 그것도 우리나라2배, 이란사막에 스키장있다는것 다음으로 놀랍네요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우디의 해수담수화시설에 가장 큰 공을 하고 있는 것은 한국기업입니다. 그 점을 이 영상을 만든 유튜버는 모르는 지 소개를 안 하네요....

  • @user-wh9kb7xh3c
    @user-wh9kb7xh3c ปีที่แล้ว +3

    넓은 평야에서는 가능하겠네요

  • @user-jy9hw9xl8x
    @user-jy9hw9xl8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caprabit
    @caprabi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원형으로 회전하는 살수기면 회전의 중심점으로 갈수록 더 좁은 면적을 회전하게 되고 그럼 동일한 물의 양이 분사될경우 중심점에 가까울수록 더 많은 물이 동일 면적에 뿌려지지 않나요? 물론 그부분도 해결했겠죠?

  • @bluenike
    @bluenike ปีที่แล้ว +3

    고비사막에도 저거 있으면 좋겠는데……

  • @jaehoonhan707
    @jaehoonhan707 ปีที่แล้ว +3

    원래 미국처럼 농경지가 넓은 곳에서 많이쓰고 있는 방식임.

  • @user-kh5bu7mo2o
    @user-kh5bu7mo2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담수하게 되면은 염분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 @user-mz4kj7rj2o
    @user-mz4kj7rj2o ปีที่แล้ว

    이런기술 어느나라에서 설치하고
    전수한건가요? 다른거는 궁금
    하지 않아요. ㅎㅎ

  • @user-zi5qv4sx3h
    @user-zi5qv4sx3h ปีที่แล้ว +3

    바닷물 담수화사업 100% ,1000% 환영하고 박수쳐 드립니디...바다는 앞으로 인류가 살아갈 모든 에너지원의 원천이 될 것입니다....그리고 더 많이 바닷물을 끌어들여 점점 올라가는 수위도 낮출수 있기를 바랍니다

  • @-ian-xd4eq
    @-ian-xd4e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해수담수화 플랜트 기술은 우리나라가 1등이죠

  •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단하군요

  • @chanelchanel4317
    @chanelchanel431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사우디에게 정말 꼭 필요한 나라네

  • @user-wd2kz5uy4o
    @user-wd2kz5uy4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30년 후의 사우디는 엄청난 선진국이 되어 있을것같다..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우디의 해수담수화시설에 가장 큰 공을 하고 있는 것은 한국기업입니다. 그 점을 이 영상을 만든 유튜버는 모르는 지 소개를 안 하네요....

  • @ohjay6636
    @ohjay663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한국도 이제 대기업이 농업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할 때가 된거 아닐까요

  • @kookistar
    @kookistar ปีที่แล้ว

    해수잠수화 시설 옆에 소금 공장도 있겠네요.

  • @user-qu6tp8ho9c
    @user-qu6tp8ho9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래를 대비해야 합니다.

  • @jkk5232
    @jkk5232 ปีที่แล้ว +10

    중국사막 몽골사막에 도입해서 황사가 줄어들면 좋겠네요

  • @S.J.523
    @S.J.523 ปีที่แล้ว +4

    부럽다.. 일단 땅이 커야 황무지를 개간하든 할텐데

  • @333movie
    @333movie ปีที่แล้ว

    아이디어. 굿..
    이렇게 만들면.사실.
    실제잭으로 크게만 만들면 100키로도. 1000키로도.한 바퀴만 돌면.갈수 있죠. 바르면 1분안에.늦으면 한시간안에
    예전에 생각 했었죠.

  • @ddw6851
    @ddw6851 ปีที่แล้ว +1

    우리의 소중한 농경지는 ᆢ해마다 도시화 산업화되어 없어지고 있는 상황 ᆢ나중에 식량을 자원화 하면 큰 일 인데 ᆢ우리도 진심 농업에 투자해야.

  • @dstfox
    @dstfox ปีที่แล้ว +11

    몽골은 내륙국가라 물 끌어올곳이 없네;;;
    몽골의 녹지화가 진짜 필요한데

    • @Zorig_2916
      @Zorig_2916 ปีที่แล้ว +4

      몽골은 물 끌어 올곳은 없지만 강이나 호수가 많고 강우량도 많은 편입니다 그러나 고비사막 같은 곳은 아무래도 강우량도 적고 강이나 호수하고 멀리 떨어진 곳이고 여기에 더해서 기술적인 문제도 있어서 녹지화가 안되고 있긴 하죠 몽골경제도 좋지 않기 때문에 이런 녹지화 사업에 투자하기 도 힘듭니다

    • @naeiouy
      @naeiouy ปีที่แล้ว

      @P_ickled_ G_inger_ 중국이 사막이랑 더 가까워서 황사피해 더 심하게 당하니 본인들이 급해서도 물끌어와서 농경지 만들려고 할지도

  • @user-zw2qq1jk7r
    @user-zw2qq1jk7r ปีที่แล้ว +10

    담수화 기술 우리나라에서 지어준 걸로 알고있는데 대단하네요

    • @user-bf9zj7hk8o
      @user-bf9zj7hk8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담수화 기술 그자체는 한국이 만든게 아님

  • @ohku9497
    @ohku949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 영상보고 구글 지도로 찾아보니 미쳤네요 농장이 막 100km씩 뻗어있고 넓이가 대충 경기도 넓이쯤 되보임 길이 30-50km 이런 건 나라 곳곳에 겁나 많음

  •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남들은 전근대적인 군주제가 사우디의 낙후함을 얘기한다고 해도
    이런 혁신이 일어나는 것 자체가 강력한 중앙집권화가 밑바탕이 되지 않고서는 설명이 안 된다
    빈 살만 임기 내 사우디가 얼마나 발전할지 지켜보는 게 흥미롭다

  • @heesuryu9983
    @heesuryu9983 ปีที่แล้ว +3

    과연 회전 살수가 효과적인 걸까요?
    전 회의적이네요...

    • @user-ol5qz3ub8f
      @user-ol5qz3ub8f ปีที่แล้ว

      넓은땅에서 사람관리안할수있어서 좋아요 미국은 많고 우리나라도 종종있음

  • @puwazatza
    @puwazatza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게 마냥 좋은것만은 아닌것이..모래바람을 타고 사막에서 날아온 모래들이 다른 지역에 공급하는 각종 성분들이 있어서...지금은 미미하겠지만, 사막지대가 만약 대부분 농경지로 바뀐다면 다른 지역에 어떠한 형태로든 변화가 일어날 것입니다.

  • @diamolee559
    @diamolee559 ปีที่แล้ว

    사막이다 보니 비도 안 내리는 것이 아니죠...
    비가 하도 안 오니 사막이 된 것이죠.

  • @user-rl9jr4io1x
    @user-rl9jr4io1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년 전에 읽었던 책이 있는데 세계가 발전 할 수록 사우디가 세상을 지배 할수 있다는 문구가 생각나네, 그때는 단순히 자원이 많아서 인가 생각했는데 요즘 세계 기술력보면 진짜 사우디가 세상을 지배할듯 ;;

  • @kongkongkong782
    @kongkongkong78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고비사막에도 적용해서 우리나라에 황사 날아오지 않게 해주세요😢

  • @user-zb9yo3uv7l
    @user-zb9yo3uv7l ปีที่แล้ว +6

    사우디가 농업에 힘쏟는건 맞는데 해수담수화로 농업을 지속하지는 못할겁니다. 해수 담수화가 만드는 환경 파괴로 인해 지속적으로 하기 어려울겁니다. 해수를 민물로 만들면 남는 해수의 염분량이 엄청 높아집니다, 이는 농축수라고 하는데 해수담수화시설의 농축수는 결국 바다로 흘려 보냅니다,. 그러면 인근 바다의 해양생물은 높아진 염분량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됩니다,. 즉 해양생태계에 문제가 생겨 해수담수화도 지속적으로 하기는 어려울겁니다. 미국이나 일부 선진국들은 농축수 농도를 제한하고 있는데 사우디는 그렇질 않아요.
    그리고 사우디 지하수 앞으로 15년안에 고갈된다는 해수 담수화로 저 농업이 지속 가능할까요?
    전 실패한다고 봅니다..
    저런 농장이 만들어진 이유가 식량안보라고 하는데 저기에서 과연 몇%나 자급자족할수 있을까요?
    식량 안보를 하더라도 어느 정도 경제성이 보장되어야 지속 가능합니다, 저렇게 돈을 퍼붓고 바다 생태계 교란하는 식량 안보가 지속 가능할까요? 엄청난 농업 보조금과 밀을 생산하기만 하면 정부에서 전부 사주는 구조인데 저 밀밭 때문에 표층 지하수 고갈되고 바다 생태계 교란되고 돈은 돈대로 잃고..............
    사우디가 그걸 왜 할까요? 파하드 국왕이 좋아하기 때문에 밀어붙이는거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학자들은 표층수 문제로 반대하는데 정부에서 밀어붙인다고 합니다. 국왕이 시킨거니......참....
    사막 국가 왕족들이 푸른 잔디밭을 엄청 좋아하거든요. 돈 많으니 한번 해보는거 같긴한데 부작용이 커서 지속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

    • @user-oi5hc6ic7b
      @user-oi5hc6ic7b ปีที่แล้ว +1

      농축수를 증발시키면 소금이 나올텐데 소금생산까지 가능하다면 정말 최고겠구나 싶었더니만 농축수 활용을 안하나보군요. 애초에 활용이 불가능한 건가요?

    • @user-zb9yo3uv7l
      @user-zb9yo3uv7l ปีที่แล้ว

      @@user-oi5hc6ic7b 먹을수없는 소금입니다 생산단가도 높고

  • @jjjung-xn2vd
    @jjjung-xn2vd 12 วันที่ผ่านมา

    이런좋은영상을
    이제서야 보네요

  • @samuelgrand4893
    @samuelgrand489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산하는 농작물은 어떤건지 아시는붙 계신가요?

  • @yongyong390
    @yongyong39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7

    똑같은 말을 세번 네번씩 어휴

    • @zommer2
      @zommer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꺼져

    • @user-lk5cf2iv8k
      @user-lk5cf2iv8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ㅆㅇㅈ

    • @user-dc1vp6rf4c
      @user-dc1vp6rf4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진짜 듣고있는데 똑같은 소리 오라지게 반복함.. 앵무샌가?

    • @hanjhood5305
      @hanjhood530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니 본론으로 들어가는데 2분걸림

    • @card_capture_cherry
      @card_capture_cherry 28 วันที่ผ่านมา +2

      ㅋㅎㅋㅎㅋㅎㅎㅋㄹ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