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실천 철학 (feat. 향연, 동굴의 비유, 국가, 영혼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7 เม.ย. 2024
  • 플라톤은 '어떻게 하면 잘 살 수 있는가?'를 집요하게 물은 철학자입니다. 이 질문 하나로 목적론, 이데아론, 이원론, 국가론, 영혼 불멸설 등이 무수히 쏟아졌는데요. 이 영상에서 이 모든 것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2

  • @user-by8cm3bt8d
    @user-by8cm3bt8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긴 영상에 자막까지 너무 감사합니다. 늘 잘 보고 있습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긴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subing8691
    @subing8691 6 วันที่ผ่านมา

    고퀄에 목소리도 정말 좋으세요. 많은 도움 받고있어요 제일 좋아하는 채널 중 하나입니다❤

  • @goforit77777
    @goforit7777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배경음악이나 효과음없이 만들어 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 @sungminpark8376
    @sungminpark837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찐입니다!! 한번 듣고 넘어갈 영상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듣고, 책도 찾아 읽으면서 현실에서 앎을 찾아가야겠어요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공부를 응원합니다.

  • @user-bv2ft8we5g
    @user-bv2ft8we5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요즘 철학재생목록 편하게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철학 파트를 즐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n3wn3jw1d
    @user-en3wn3jw1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따봉 플라톤아 고마워~

  •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기쁨중에 앎의 기쁨이 최고 입니다.
    철학이 깨어나야지 우리는 바로 달리는 것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이 알아짐에 기쁨을 돈으로 환산할수 있겠습니까?
    정신이 십리 백리 마구 자라는 것은 어떤 가격도 메길수가 없습니다.
    그저 감사하고 감사할 따름 입니다.
    정신이 자란다는 것은 진정한 자유를 얻는것 이며 정해진 바가 없는 크고 넓은 정신을 갖는것 입니다. 백억짜리 집이 이 앎의 공간에 비교 할수가 있겠습니까? 우리는 성인을 자주 만나야 합니다.
    너무 행복 합니다.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마르크스를 봐도 그런 생각이 듭니까?
      유시민이르 봐도 그런 생각이 듭니까?
      김용옥이를 봐도 그런 생각이 듭니까?
      인간들이 종교에 유혹당하드시 철학에도 유혹당합니다.
      철학이 해결해 준 것아 하나라도 있습니까?
      철학보다는 차라리 종교가 낫습니다.
      행복했던 철학자가 있습니까?
      있다 해도 그는 철학을 밥벌이로 한 가짜 철학자입니다.
      인류문명 8천년간 철학이 한 일은 없습니다.

  • @user-dq3oy8wt8g
    @user-dq3oy8wt8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이 키우니 티비는 점령 당했고
    매일 보는건 뽀로로..
    저에게 이 채널은 오아시스 입니다
    부디 힘드시겠지만 힘내세요
    한번은 눈으로 한번은 귀로
    그리고 수없이 반복하면서 너무 잘 보고 듣고 하고 있습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힘이 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아기가 커서 함께 보실 수 있는 날까지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 @user-ki3fs9fp8n
    @user-ki3fs9fp8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기다렸습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늦어서 죄송합니다.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HiHi-ew8qo
    @HiHi-ew8q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오래 목빠지게 기다려온 보람있는 퀄리티
    출퇴근 할때마다 들어요
    라디오 같고 좋습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출퇴근 하실 때마다 함께 할 수 있어 기쁘네요.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Mum-Lover
    @Mum-Love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 @chanyoungkang5602
    @chanyoungkang560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정도 플라톤 철학을 쉽게 설명하시다니... 엄청 노력을 하셨겠습니다. 일반인들 플라톤 철학책 10페이지도 못읽고 덮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 재미없는? 철학을 쉽게 풀으시다니
    감사합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쉽게 다가오셨다니 노력한 보람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 @user-ls7le1ht1p
    @user-ls7le1ht1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소크라테스부터 플라톤까지 단편적으로만 이해한던것이 쉽게 연결지어지며 이해되었어요 그로인해 그시절의 역사도 같은 관점에서 생각해보게되는너무나도 감사한 채널입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채널을 제대로 즐겨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ellas2087
    @ellas208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진짜 감사합니다 기다리고 있었어요!😂😂
    이렇게 긴영상이라니 넘나 좋습니닷!!❤❤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항상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wo3uh4xz6g
      @user-wo3uh4xz6g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나를 아는 것이 최고의 지식이다. 이 말은 100번 넘게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2. 신이 있나 없나는 개인의 생각과 신념에 달려있다.
      3. 학교폭력은 녹음기로 녹음해서 고소하면 된다.
      4. 운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엄청 몰입해서 노력해도 결과가 엄청 안좋을 수도 있다.,
      5. 공부 습관이 잡혀있지 않다면 그냥 포기하라. 공부 습관을 잡는 데만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6. 책 출간하면 어디 대학이든지 가능하다.
      7. 내신(학교 시험)이 수능의 기초다. 내신 절대 포기하지 말라! 해외대학에 갈 때, 쓰이는 바탕 자료가 학교 시험이기 때문이다.
      8. 몇 년간 다른 사람 페이스북 프로필을 계속 보고 있었다. 참고로 그 이전에 과거에 막 심하게 괴롭히고 학교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막 때리기도 했었었다. 그렇게 내가 말을 걸었다. OO야, 너 나 괴롭혔던 거 반성하니?

  • @user-mc3qu1wn8c
    @user-mc3qu1wn8c 25 วันที่ผ่านมา

    너무 유익한 채널😊😁

  • @stehen02
    @stehen0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 저희 학교 교수님보다 더 이해가 잘되는 설명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vb8sf6mu2v
    @user-vb8sf6mu2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요런 퀄리티로 제자백가 춘추전국 설명해주면 개꿀일거 같음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도 그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user-se4sj1rj1r
    @user-se4sj1rj1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소크라테스 철학에서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을
    좋아하는데 자신을 알고
    사는것은 매우중요 하다고
    생각해요 ❤ 감사합니다
    😂😂😂 덕분입니다❤

  • @ziptory6782
    @ziptory678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합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dg2zi4vy6p
    @user-dg2zi4vy6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문학이랑님 너무 잘보고 있습니당ㅎㅎ 작년에 대학 교양 수업 공부를 위해 영상을 찾다가 채널을 알게되었는데 너무 맘에 드는 채널이라 두고두고보고 있습니다ㅎㅎㅎ 혹시 나중에 알베르 카뮈의 시지프 신화와 관련된 영상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네용❤❤❤

  • @user-wh7rf7op8d
    @user-wh7rf7op8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봉밥 감사합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넉넉히 담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f2tp6yy7y
    @user-bf2tp6yy7y 23 วันที่ผ่านมา

    맞아요 🍀 해피풀 옴마니반메훔 해피풀 🎉복덕구족복록축원기원 해피풀 🍀 😂 😂🎉🏜💐🦉🍀🍀🍀🍀🍀🍀🍀🍀🍀

  • @osd1012
    @osd1012 26 วันที่ผ่านมา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근데 마지막에 영상제작자 의견이 너무 들어가 김이 좀 새는 것 같아요~

  • @user-do2dc2tf2h
    @user-do2dc2tf2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굿

  • @user-wj4wo5ky8b
    @user-wj4wo5ky8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왜이렇게 안올라오지 하면 달래듯 하나 올려줌 ㅎㅎ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SSBBSG
    @SSBBS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대단한 사람이었네 ㅋㅋㅋ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유의 범위와 독창성이 놀랍지요.

  • @user-dt8hr4cb1l
    @user-dt8hr4cb1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 가를 알고 배우려면
    사실 서양 철학보다는 동양 철학을 들여다봐야 합니다
    공자의 논어만 읽어도 더 많은 통찰과 지혜를 느낄 수 있죠
    우리는 유교의 불필요한 것은 취하거나 실행하고 있고
    유교에서 가르친 근원적인 가르침들은 배우거나 실천하지 못하는 게 많습니다
    이건 기독교나 불교 같은 종교도 마찬가지죠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동서양 철학을 함께 들여다보면 더욱 유익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거에는 사람들이 종교에 유혹당했고,
    살 줄 모르는 사람들이 철학을 했다.
    현대에는 그런 사람들의 철학에 유혹당하고 있다.

  • @user-pk6qx5ik6n
    @user-pk6qx5ik6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3:01 "아테의 단일성" 오타인가요?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네. 오타입니다. ㅠ

  • @inmojung2779
    @inmojung277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운영자가 똑똑한 사람이라고 생각랍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찬이십니다. 감사합니다.

  • @user-es6sx9ye3q
    @user-es6sx9ye3q 23 วันที่ผ่านมา

    ❤❤

  •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언가를 제대로 알게 되더라도 본인에게 이롭지 않거나 오히려 불편함이 생기면 제대로 실천하지 않고
    남에게 피해를 주는 것도 서슴치 않을 수도 있죠
    예를 들어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있는데 초록볼이 들어와야 보행자이던 운전자이던 통행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빨간불이 들어온 상황에서 보행자나 운전자가 없는 상황이 생기면 과연, 얼마나 참고 오래 기다릴 수 있느냐 입니다.
    모두의 안전을 위해서 룰을 만들고 서로 지키게금 하더라도 자신의 편의만을 위해서 그 룰을 얼마든지 어길 수 있는 게 사람 입니다.
    즉 무언가를 안다 라는 건 자기 만족에 불과하고 아무리 많은 것을 알아도 누구보다 똑똑해도 그 사람이 반드시 도덕적이고 항상 합리적이고
    객관적이다 라고 볼 수 없는 거죠. 인간은 얼마든지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 취사 선택할 수 있는 존재 라고 봅니다 .

  • @yessssss759
    @yessssss75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소크라테스가 생각하는 good life를 한줄로 표현하면 어떨까요?

  • @tongso2584
    @tongso258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user-xi2bd6pv4b
    @user-xi2bd6pv4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음을 알맞음으로 해석하는건 어떨까요?

  • @AppleKiwi27
    @AppleKiwi2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지금 보니까 썸네일에 플라톤 따봉하고 있었네 ㅋㅋㅋ

  • @harenochikoo
    @harenochiko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rete 리는 것은 산스크리트어의 Artha 아르타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는 인도철학에서는 사물이 그 사물이게 하는 근본이라는 뜻임
    하지만 인도에서는 Artha 뿐 아니라 진리에는 kama 와 brahma 라는 것도 알아야 한다고 함
    그중 소크라테스의 또다른 제자였던 antisthenes는 kama의 길을 이야기했고
    그 길은 견유학파와 스토아로 이어졌음
    brahma의 길은 서양이나 인도나 비슷한 길로 가서
    서양에서는 3위일체의 크리스트교에 합류되고
    인도에서는 3신주의의 힌두교에 합류됨

  • @user-pk6qx5ik6n
    @user-pk6qx5ik6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배부른 소크라테스가 되고 싶습니다😢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소크라테스가 실제 배가 나왔었다고 하니 우리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철학은 생각이다.
    생각은 언어로 하는 것이다.
    언어는 단어의 조합이다.
    단어에는 결코 진실을 담을 수 없다.
    그런 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언어로써는 세상을 그려낼 수 없다.
    말할 것도 없이 진리에 접근할 수도 없다.
    소크라테스가 자신은 아무것도 모른다고 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부처도 마지막에는 자신은 아무말도 안 했다고 했다. 염화시중의 미소도 모르는가?
    노자도 결국은 아무 말 하지 않고 산으로 들어가고 말았다.
    배운 철학을 모두 씻어버리고 침묵으로 들어가라.
    철학하는 시간으로 가만히 차나 한잔 해라.
    무념으로 가라.
    필요한 철학이 있다면 그것은 그대를 침묵시키는 철학이다.
    그 철학은 철학이 아니라 대뇌를 씻어내는 세재다.
    워즈워스는 아이는 어른의 아버지라 했다.

  • @asherwasherify
    @asherwasherif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44분 컨텐츠 ㄷㄷ

    • @humanitieserang
      @humanitieser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시간도 하필 44네요.. 피할 수 없다면 즐겨주시기 바랍니다.

  • @C__U
    @C__U 14 วันที่ผ่านมา

    백범 김구 선생님 연설
    플라톤 사상은 같은 이념
    인가?명언 밑줄 쫙~돼지
    꼬리 땡땡~😂역사 철학은
    정치적,종교적...많아보임

  • @LeeSeungChan1
    @LeeSeungChan1 26 วันที่ผ่านมา

    그건 업계 사람 일방적 주장이구요.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철학하지 않는 것, 즉 알지 아니하는 것, 다시 말하면 무념이 정답니다.
    철학은 명상의 대척점에 있다.
    명상상태가 바로 지혜다.
    명상상태에서 만이 직관이 작동한다.

  • @user-ui2cc1iy6g
    @user-ui2cc1iy6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실론적 시대에~이데아 철학은 쓰레기다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부사,사람,도덕, 좋고,문제,앎,담배,상위,하위,효과,변증법,반대,개별적, 등! 이 이상 강의를 듣고싶지 않사옵니다. 이상 예는 이 유명하신 한국 철학자의 틀린 발음 실 예입니다. 장음인 단어의 첫 자를 짧게 잘못 발음하신 실 예입니다. 심하게는,철학자께서, "사람"을 바르게 발음하시지 못 하셨ㅇ.니!! "사람의"사"는 "길게" 발음해야지요. 1967년에 고국을 떠난 이 늙은 이가 고국에 살 때는, 하교라곤 문턱에도 가 본적이 없으셨던 우리 할머니들도 이 "사람"을 올바르게 발음하셨더이다. 이렇게 타락한 한국 문화를 생가하면 한숨을 쉴뿐입니다. 고국 동표 여러 분!! "한국 어문을 고발함"이라는 책을 조용히 읽어 주시옵소서. 미국 변 완수 드림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류문명 8천년간 철학이 해놓은 일은 없다.
    기껏해야 철학자들 밥먹여 준 것 밖에 없다.
    행복한 철학자 나와 봐라.
    그런 철학자가 있으면 철학이 밥벌이 수단인 사람이다.
    쓸데 없이 시간낭비 하지 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