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Western blot 2/6] 단백질용 젤 만들기(Polyacrylamide gel)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9 พ.ค. 2022
  • #연세대학교​​ #임상병리학과​​ #대학원생​​ #웨스턴블랏​​ #Western blot​ #단백질​​
    2022.05.31. 지난 번 Western blot 영상의 인기가 엄청 나서 새로 영상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샘플을 만드는 첫번째 과정부터 전부 총망라하는 영상을 올릴 예정입니다. 지난 영상들이 석사 초기에 만든 영상들이라 설명, 영상퀄리티 등 많이 부족하기도 하고 해서 새로 제작했어요! 🥰 재밌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
    이번 영상은 지난 번 세포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을 크기 별로 분리하는 SDS-PAGE라는 과정입니다. :)
    연세대학교 임상병리학과 면역및조직병리학 연구실에서 재학 중입니다.
    궁금하신 점은 아래로 ㅎㅎ
    I am currently studying at
    Yonsei University at MIRAE Campus, College of Software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Immunohistopathology lab.
    If you have any questions, see below.
    [Instagram] / ​​
    [E-mail] redberry1245@naver.com
    [BGM]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참새 - • [Royalty Free Music] 참...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Naptime in Spring - • [Royalty Free Music] N...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꼬물꼬물 - • [브금대통령](귀여운/단순/Lovely)...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A Boring Day - • [브금대통령](귀여운/Lazy/Cute)...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BunnyHoney - • [Royalty Free Music] B...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뚱땅뚱땅 - • [Royalty Free Music] 뚱...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2

  • @jojojo2301
    @jojojo230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nhaepark4566
    @inhaepark4566 2 ปีที่แล้ว +2

    SDS page 실험 준비하고 있었는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2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ㅎㅎ 2부도 빠르게 올려보겠습니다 ㅠㅠ🥲

  • @user-hk6qu7rq2n
    @user-hk6qu7rq2n 2 ปีที่แล้ว +2

    마침 최근에 western blot 시작했는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다음 영상도 빠르게 올려보겠습니다! 🧑‍⚕️

  • @user-wq9tz6eu1b
    @user-wq9tz6eu1b ปีที่แล้ว +1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ddang0
    @ddang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관련 내용이 전공과목인대요.. 1도 몰루갯어서 찾아보니까 이런 귀한 영상이.ㅜㅜ 감사합니다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ㅠㅠ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어 다행입니다.

  • @euuuz3751
    @euuuz3751 2 ปีที่แล้ว +2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ㅎㅎ 혹시 Running gel, stacking gel를 청소해줬을 때와 안해줬을때 차이가 큰가요?? 저는 계속 워시를 안하고 했었거든요ㅠㅠ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2 ปีที่แล้ว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 워싱을 안해주면 웰 안 바닥이 간혹 찌꺼기 때문에 U 자모양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워싱을 제대로 깔끔하게 해주면 바닥이 |_| 이렇게 네모나게 돼서 조금 더 이쁜 밴드가 나오더라구요.
      둥글둥글한 밴드냐, 직사각형의 깔끔한 밴드냐 그 차이라 큰 차이는 아닙니다만, 논문 쓸때 아시죠 그거 ㅋㅋ 아 피규어 좀만 더 이뻤음 좋겠다, 아 웨스턴 좀만 깨끗했으면 좋겠다 이런마음에서 하는거죠 ㅎㅎ
      저도 석사 1년동안은 워싱하지도 않았습니다 ㅋㅋㅋ 괜찮아요

  • @d.v.m
    @d.v.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편에 이어 2편도 정말 잘보고 갑니다. 회사다니는 대학원생인데, 큰 도움되는 것 같아요^^ 혹시... 아직 5편까지 가지도 않았지만, 6편은 원래 어떤 내용 만드실예정이었나요. (그부분은 따로공부하려고요)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편은 멤브레인을 찍고, 사진을 편집하고,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까지 총망라해서 만드는 중입니다. 다만 실험과 해외출장 때문에 편집이 밀려있네요 ㅠㅠㅠ 죄송합니다.

    • @d.v.m
      @d.v.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죄송하긴요. 전혀요ㅎㅎ정말 감사합니다~!!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v.m 감사합니다 ㅎㅎ 좋은 밤 보내세요 🥰

  • @user-pc5qi1dy6m
    @user-pc5qi1dy6m ปีที่แล้ว +1

    자세한 설명 너무 감사해요ㅠㅠ 이해가 잘 됩니다!
    조직을 잘라서 얼려둔 상태인데, 나중에 웨스턴 블랏을 한다는 이야기는 이 조직을 어찌 처리하고 웨스턴 블랏을 하게 되는 걸까요?!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ปีที่แล้ว +1

      웨스턴 블랏은 세포나 조직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정성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조직에서 샘플이 되는 단백질 추출을 먼저 하셔야 할거에요.
      조직을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해 세포 단위로 쪼개신 다음, 그 세포 덩어리에 lysis buffer를 처리하면 제가 영상에서 사용하는 단백질과 똑같은 걸 얻으실 수 있어요! 😁

    • @user-pc5qi1dy6m
      @user-pc5qi1dy6m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ปีที่แล้ว +2

      @@user-pc5qi1dy6m 넵 화이팅입니다 ☺️ 또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주세요 🥰

  • @choigoyam
    @choigoyam ปีที่แล้ว +1

    아가로스젤은 만들기 진짜 쉬운데
    웨스턴 블랏용은 상당히 복잡하네요..
    곧 실험하게 될 예정이라 많이 반복해서 봐야겠어요ㅠ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ปีที่แล้ว

      네네 단백질 용이 많이 까다롭죠 ㅠㅠ 단백질이 붕괴되기 쉽고 크기가 작으니 그만큼 섬세해야하는 거 같아요 ㅠㅠ 화이팅입니다!! 🙆😊

  • @yerganat.h2497
    @yerganat.h2497 2 ปีที่แล้ว +3

    Wow awesome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2 ปีที่แล้ว +1

      Oh, good to see you again, Yerganat. I hope you and your wife to satisfy this video. I will upload next video as soon as possible.
      Best, thanks 😊👍

    • @yerganat.h2497
      @yerganat.h2497 2 ปีที่แล้ว +1

      @@ThisIsGraduateStudent thank you, I will wait you for next good video.

  • @user-kn6bm3nl1v
    @user-kn6bm3nl1v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안녕하세요 이번에 웨스턴 블롯 실험을 배웠는데요 도무지 이해가 안가는게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1. 로딩 과정에서 전압의 차이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2. 로딩 시작후 기포가 생기는데 이 기포는 어떤 원소이며 역할이 무엇인지 너무 궁금합니다-!ㅜㅜ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안녕하세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ㅎㅎ
      1. 전압의 차이는 전압이 셀수록 단백질을 빨리 분리가 가능하고 전압이 약할수록 단백질을 천천히 분리할 수 있습니다. 전압이 높을수록 단백질을 빨리 분리해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지만, 발열이 많이 생겨 단백질이 변성될 수 있습니다. Bio Rad사에서 권장하는 전압과 시간은 200 V, 35 min이지만, 단백질들마다 적절한 전압과 시간은 전부 다르니, 직접 실험해보시면서 기준을 잡아가시면 됩니다. :)
      2. 기포는 용액에 전기가 흐른다는 의미입니다! 전해질 용액(버퍼)은 전기가 흐르면 그 안에 있는 공기가 기포 형태로 바뀝니다. 전압을 걸어주고 기포가 생기는걸로, 아 전류가 잘 흐르고 있구나 라는걸 알 수 있죠.
      만약에 파워서플라이에서 run을 눌렀는데, 기포가 안 생긴다?? 그러면 전기가 흐르지 않고 있다는걸 의미하니, 뚜껑을 재결합하거나 전선이 끊겨있진 않은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

    • @user-kn6bm3nl1v
      @user-kn6bm3nl1v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ThisIsGraduateStudent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4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kn6bm3nl1v 행복한 실험 되세요 😆

  • @user-wq4nh5jp1e
    @user-wq4nh5jp1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실험은 언제쯤 잘하게 될까요...기기 하나하나 다루는것부터가 너무 긴장되고 망가뜨릴까봐 조마조마해서 인턴하는게 넘 쉽지가 않아요...사고칠까봐 넘 걱정이 많은 학부생인턴입니다..ㅠㅠㅠㅠ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이쿠야 알람이 뜨지 않아서 이제 답을 드리네요 ㅠㅠ 인턴 생활 많이 힘드시죠? 학부생이라 아직 잘 모르겠는 것도 많고, 뭔가 조심스러워지고... 여기 학부참여생들도 비슷하게 얘기하더라구요. 제가 겪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 왈가왈부 드리기 참 어렵지만, 인턴이나 실험실 참여활동이든 무언가를 도전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항상 기회와 보상이 주어진답니다. 지금 방학때 놀면서 허송세월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우리 챔취님처럼 열심히 일하며 건강한 걱정을 하는 노력파들도 있는 것처럼, 챔취님 학부인턴쉽 끝날때쯤엔 분명 노력하신만큼 얻어가시는게 존재할겁니다.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걱정하시는 마음 잘 이해합니다. 그래도 너무 긴장마시고 안전하게 실험, 인턴쉽 모두 잘 마치시길 바랍니다 😊

  • @user-tp6mc2dm5o
    @user-tp6mc2dm5o ปีที่แล้ว +1

    gel 만들 때 선이 보이고 층이 나뉘는게 보이는간 자연스러운 현상인가용??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ปีที่แล้ว

      네 맞습니다. 먼저 굳고 그 위에 젤을 부으면, 경계 부분에 덜 굳은 젤, 울퉁불퉁한 표면 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경계라인이 생깁니다. 성분 차이 보다는 시간 차이에 의해 생기는 자연스런 현상이며, running gel을 먼저 굳히고, 그 위에 또 같은 성분의 running gel을 부어서 굳혀도 똑같히 선이 보입니다 ㅎㅎ

  • @ryuviavii2867
    @ryuviavii286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연구실에서 처음으로 인턴하게 됬는데... 피펫으로 버퍼 옭일때... 버퍼가 들어있는 통 뚜껑을 안채워서... 둘쩻날 출근에... 사고를 크게친 3학년 대학생입니다.... 코로나때문에 연구실에 한번도 들어가본적이없던 절... 받아주신 교수님께... 너무 쬐송하네요...곧 Western Blot도 알러주신다는데.... 많이 봐야겠어요... 실수... 절때하면 안된다아아 ㅠㅠ...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이구야...토닥토닥 ㅠㅠ🥲 앞으로 실험은 잘 되시길 바랄게요 화이팅!!👍👍

    • @ryuviavii2867
      @ryuviavii286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hisIsGraduateStudent 감사합니다아 ㅠㅠ... 혹시... 렙에서 초심자가 알면 좋은 팁같은게 있을까요? 영상보면서... 웰청소하시는 노련함을 보고... 눈이 쩌억....!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ryuviavii2867 꿀팁은 카톡이 더 낫지 않겠습니까 선생님 😆 메일 하나만 보내주세요! redberry1245@naver.com 선생님을 한번 알잘딱으로 개조해보겠습니다.

    • @ryuviavii2867
      @ryuviavii286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hisIsGraduateStudent 허억.... 감사합니다!!!! ㅠㅠ

  • @user-tx7ve9ru9u
    @user-tx7ve9ru9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영상을 몇번이나 반복해서 봤지만 너무어렵네요...프로토콜을 공유 받을수있을까요....😢?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네네👌 redberry1245@naver.com으로 메일 하나만 주세요 😊

  • @yeonju00
    @yeonju0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Isopropanol 대신 DW나 PBST 써도 되나요..??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Isopropanol은 resolving gel보다 밀도가 낮아서 gel 위에 뜨기 때문에 눌러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DW나 PBST는 gel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위에 떠서 층이 생기는 대신 아마 젤과 섞여버릴 겁니다. Gel의 용매가 DW이니까, 좀더 묽은 젤이 만들어지는 결과만 나올겁니다...!

    • @yeonju00
      @yeonju0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아 그럼 메탄올은 될까요..??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eonju00 연주님 딱 대...세요
      지금 이소프로판올이 없으신거죠??? 급하게 대체품 찾으시는거죠????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메탄올은 젤 내에 있는 SDS를 없애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절대 사용하시면 안 되고 알코올은 될지 모르겟네요 ㅠㅠ

    • @yeonju00
      @yeonju0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앗,,,맞습니다,,ㅠㅠㅠ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Abcd88377
    @Abcd8837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DS전에 BCA는 진행하지않으시나요?

    • @ThisIsGraduateStudent
      @ThisIsGraduateStuden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보통은 잘 하지 않고 특수한 경우에만 합니다. BCA가 그렇게 정확한 기법이 아니기도 하고, 웨스턴 상에서 BCA 결과와 다르게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거든요. 🤔 게다가 저는 한 종류의 단백질을 주로 보는 편이라 이미 단백질 농도를 알고 있어서 더욱 하지 않는 편입니다.
      세균에서 단백질을 정제하거나, 새로운 단백질을 탐색할때만 가끔씩 하는 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