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을 느끼라고 하는 이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9 ก.พ. 2025
  • 혜라님은 늘 "아픔을 느껴라"라고 말씀하시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질문해 보았습니다.
    현실에서 아픈 일이 생겼을 때, 아픔을 피하고 싶고 느끼기 싫은 고집이 올라왔을 때 보면 도움이 되는 영상입니다.
    #아픔 #고통 #깨달음 #받아들임 #수용 #마음공부 #이혜라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8

  • @산책-h7r
    @산책-h7r 3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참 많이 배웁니다.감사합니다

  • @씀바귀-c9i
    @씀바귀-c9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밝음, 긍정, 사랑에 집착했던 것 같습니다.

  • @영-f7g7i
    @영-f7g7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네.맞는말씀입니다.잘시청합니다

  • @GinaQueen
    @GinaQuee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픔은 순종🙏

  • @여왕-y2l
    @여왕-y2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생 본질은
    아픔이다.

  • @benejoon
    @benejoo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모든 마음을 느껴줘야 하기 때문에 아픔도 느껴야 한다는 가르침이시지요? 아픔만이 아니라 모든 마음 힘든마음, 아픈 마음, 슬픈 마음, 수치스런 마음, 모든 아픈 마음을 느끼란 가르침으로 이해 하겠습니다.
    그런데 이런 아프고 힘든 마음을 누군가에게 위로 받거나 힘을 얻으려 하지 말고 직시해서 그 고통과 아픔을 느끼란 말씀이실까요? 맞다면 아픔니다. 아파서 위로 받고 싶어서 혜라님 강의도 듣게 되었는데, 그 아픈 마음을 느껴야 비로서 해방되는 거라고 가르쳐 주시는거 같습니다. ❤

  • @박윤환-s7p
    @박윤환-s7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ㅎ 아픔을 느껴야 아푼마음을 이해할수 있습니다 기독인이지만 여사님 영상보면서 배워갑니다

  • @Achsantom
    @Achsanto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멘ㆍ감사합니다😢😢😢😢😢

  • @씀바귀-c9i
    @씀바귀-c9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는 고집 그 자체였던 거 같습니다.

  • @씀바귀-c9i
    @씀바귀-c9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산만한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씀바귀-c9i
    @씀바귀-c9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혜라님, 정신병 고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 @박서진-x7x7f
    @박서진-x7x7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생.노.병.사..
    라고 하잖아요

  • @여왕-y2l
    @여왕-y2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짐승성의 인간은
    타인의 아픔을 못느낀다.
    이건 진리임.
    혜라 스승님
    그럼 짐승성의 인간은
    자신의 아픔도 못느끼는지요?
    짐승성으로 평생을
    산 사람은
    인생이 폭망하는 겁니다.

  • @넉넉-h5c
    @넉넉-h5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픔은 사랑인건가요?

    • @내마음의행복
      @내마음의행복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제가 느끼기에,
      아픔을 받아들이고 치유할 때, 그때에 비로소 아픔이 치유된 그곳에서 따뜻한 사랑이 피어오르는 것 같습니다♡

  • @Serendipitys2
    @Serendipitys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픔이 싫고 피하는건 본능이지않나요

    • @여왕-y2l
      @여왕-y2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인생의 문제에서
      피할수록
      더 아파집니다.
      현실도피는 해결책이 아닙니다.

    • @부자-d2m
      @부자-d2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본인이 감옥갈 짓을 했는데
      감옥가기 싫다고 피하면
      안잡혀 갑니까
      피한다고 싫다고 거부한다고
      되는게 아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