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최고의 천재화가 - 레오나르도 다빈치 - 미술사 이야기 24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9 มี.ค. 2020
  • 최고의 천재화가 다빈치의 삶과 예술에 대해서 생각해봅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7

  • @martmonroe3601
    @martmonroe3601 4 ปีที่แล้ว +6

    선생님 덕분에 이렇게 대가를 만날수 있습니다. 너무 너무 감사 드립니다.

  • @user-fh7yf6wp9c
    @user-fh7yf6wp9c 4 ปีที่แล้ว +4

    오늘도 풍성한 이야기 잘 들었습니가. 너무 재밌어요~~ ^^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ann_2651
    @ann_2651 4 ปีที่แล้ว +6

    좋은강의 잘보고있습니다. 간단하게 만들어 이해하기 쉽고 말씀하시는 속도마저 👍
    감사합니다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2

      좋아해주시니, 제가 힘이 납니다 ^^

  • @user-wf7jv1qt9g
    @user-wf7jv1qt9g 4 ปีที่แล้ว +6

    좋은 강의 매번 잘 듣고 있어요. 고맙습니다.

  • @user-ir4cl2yg2g
    @user-ir4cl2yg2g 4 ปีที่แล้ว +2

    하루에 한 동영상씩 보고 있어요.좋은 동영상 감사합니다^^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 많이 만들게요^^

  • @user-pb8ff2vd1f
    @user-pb8ff2vd1f 4 ปีที่แล้ว +5

    융합형 인재.
    천재네요~~
    재미있게 들었습니다.고맙습니다♡

  • @user-xm3gy1gf3t
    @user-xm3gy1gf3t 4 ปีที่แล้ว +14

    다빈치 천재ㆍ다방면 재능 있네요ㆍ

  • @user-qu3es6vi9m
    @user-qu3es6vi9m 4 ปีที่แล้ว +16

    요즘 선생님의 유익한 강의로 출퇴근 길에 공부하고 있어요ᆢ
    너무 감사드려요ᆢ
    설명 완전 짱입니다ᆢ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앞으로도 좋은 강의 많이 제작해서, '미옥'님의 출퇴근 시간에 친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yh0863
    @yh0863 3 ปีที่แล้ว +2

    오늘도 정말 재밌었습니다

  • @user-kx1fu7rl9q
    @user-kx1fu7rl9q 4 ปีที่แล้ว +6

    노마드님의 맥을 짚어주는 강의는 최고 감동의 예술입니다.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을 올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fbvkd
    @fbvkd 4 ปีที่แล้ว +6

    감사합니다 ^^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정말 최고입니다

  • @user-iy4vu6dw2y
    @user-iy4vu6dw2y 4 ปีที่แล้ว +7

    너무 감사합니다

  • @user-hl1zx8kz7k
    @user-hl1zx8kz7k 4 ปีที่แล้ว +1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 @user-xm3gy1gf3t
    @user-xm3gy1gf3t 4 ปีที่แล้ว +6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저두요 ^^

  • @user-or8bw7ri4t
    @user-or8bw7ri4t 4 ปีที่แล้ว +4

    대단한 관찰력 그위에 또 대단한 상상력 ...
    좋은설명 감사합니다.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oq3th4mf4d
    @user-oq3th4mf4d 2 ปีที่แล้ว +1

    이게 벌써 2년전 올려주신 영상이네요 다시 정주행중입니다~~

    • @nomad-art
      @nomad-art  2 ปีที่แล้ว +1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greenLaVitameadows
    @greenLaVitameadows 4 ปีที่แล้ว +1

    매우 재미있는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hyunjupark6227
    @hyunjupark6227 4 ปีที่แล้ว +8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세상 그 어느 지식도 부럽지 않습니다. ^^*♡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2

      더 큰 기쁨 드리도록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 @yongxu3335
      @yongxu3335 ปีที่แล้ว

      ​@@nomad-art 😊

  • @user-ck8cj6rm1f
    @user-ck8cj6rm1f 4 ปีที่แล้ว +12

    소실점 원근법 천재 만능 다빈치 모든사람들이 정면 원근법을 생각할때 다빈치는 측면을 생각해내고 그림으로 완성했다니 감동이네요 항상감사드려요

  • @user-ho1qf5xz5d
    @user-ho1qf5xz5d 4 ปีที่แล้ว +3

    감사합니다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저두 감사!!^^

  • @user-xf4fv8wb2x
    @user-xf4fv8wb2x ปีที่แล้ว +1

    노마드 선생님 감사 합니다

  • @user-hn6wm8ff4e
    @user-hn6wm8ff4e 4 ปีที่แล้ว +4

    헤파이스토스, 다이달루스, 다빈치...^^^
    "노마드"에서 이 셋을 만납니다.
    심장이 쿵쿵거려요~~~^^^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2

      신비한 조합이네요^^

  • @user-wc3jn4eo6b
    @user-wc3jn4eo6b 3 ปีที่แล้ว

    네이처가 바라보는 인류역사가 얼마나 협소한가도 보이네요
    앎의 쾌감을 느끼게 해주시는
    선생님 감사합니다ㆍ

    • @nomad-art
      @nomad-art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기쁨 넘치는 한 해 되시길 소망합니다 ^^

  • @user-vh2yy9kz1v
    @user-vh2yy9kz1v 3 ปีที่แล้ว +3

    고맙습니다
    다빈치와 미켈란젤로 책 보며 들으니 얼마나 유익한지요

    • @nomad-art
      @nomad-art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bayonjung9886
    @bayonjung9886 4 ปีที่แล้ว +2

    👍👍👍

  • @user-gi2vc5xg5f
    @user-gi2vc5xg5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서관에 있는 책들 중에 저자가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된 책을 보면 그가 남긴 메모를 편집한 책인데 레오나르도가 왜 생전에 작품 30개도 못 남겼는지 대충봐도 공감이 가더라구요. 싫증을 잘 내고 끊기가 없다기 보다 게속 관련된 것들이 보이니깐 안그래도 호기심 많은 사람인데 마인드맵처럼 궁금한 것들이 뻗어나가고 그 중간중간에 깊게 파고들 수밖에 없는 것들이 생기니깐 영상 말씀처럼 완벽주의자라서 그랬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이 부분이 중요한데 그 사람에 대해서 찾아보지 않고 다른 사람의 말만 듣고 이게 맞겠거니 하면 안된다는 거죠. 특히 정치인들은 나라를 이끌어 가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더욱더 뒷조사를 잘한 후에 투표권 행사하셔야 합니다.
    또 하나 더!!! 공교육 과정 고등학교까지 12년입니다. 그 기간 안에 이수를 못하는 사람들도 반드시 있을텐데 포기하지 말고 학년마다 자기 수준에 맞게 수업과 별개로 차근차근 따로 공부하시고 학업 포기 안 하셨으면 합니다. 그렇게... 엄청나게 창의적이고 똑똑한 사람들이 기득권으로 올라가는 게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환경이 스스로 생각 못하게 하고 받아 먹기만 하는 수업 하고 있는 거라고 저는 보는데요. 무언가에 절대 늦다고 잘못된 것이 아니라 잘못하거나 대충하거나 안 하는 게 가장 정말 문제가 아닌지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인간을 인간으로 안 보는 사람이 권력을 가지고 돈을 많이 벌어서 다수를 힘들게 하는 것 만큼 참혹한 일은 없을 거라고 전 생각합니다.
    색을 섞지 않고 뇌가 색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덧칠하면서 그림을 그린 인상파 화가 클로드 모네 같은 경우는 수련만 생전에 250점을 남겼다고 알고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사람이 있어야 되겠지만 거의 모든 나라의 교육 환경이 레오나르도 다 빈치같은 사람이 나올 수밖에 없는 환경인데 그런 사람들이 거의 안 나오니깐 신기해서 한 마디해봤습니다.
    오만데 관심 다 가지고 있고 빛, 색, 인체 등등에 대해 진짜 깊게 이해하려 노력했구나 도서관에서 우연히 빌린 책을 그냥 훑어봐도 느낄 수 있었네요. 미술하시는 분들은 읽으면 정말 많이 도움되겠다 느꼈는데,
    위에도 말했지만 우리도 학교 들어가면 음악, 수학, 화학, 생물, 역사, 경제, 법, 체육, 기술, 윤리와 사상, 지구과학 등등 다 배우고 있는데 왜 융합해서 창조적인 모습은 안 보일까요??
    혹시 한 20년전에 걸어다니는 로봇 만드는 세계적인 대회를 열었는데 보시분 잇나요? 전 뉴스를 통해서 봤었는데 인간 모양의 로봇이 장애물을 넘을 때 다들 옆으로 넘어졌었습니다. 다빈치가 자연을 관찰하면서 박쥐의 날개를 비행기에 접목한 것 같던데 우리도 생물시간에 귀에 돌도 박혀있고 액체가 들어있어서 그걸로 평형을 유지한다는 걸 배웠고 그 돌이 빠지면 균형을 못잡는 것도 배웠는데 세계최고의 로봇공학자들이 그걸 응용 못해서 앞 뒤로는 잘가는데 로봇을 누가 툭 건드리면 옆으로 툭 쓰러져버리게 만드는 우스운 광경을 보기도 했었지요? 이게 불과 20,30년 전 일입니다.
    다들 교육에 문제 있다는 거 아셨으면 합니다. 사람은 안 아플 수 없기 때문에 의사는 진료 잘하면 먹고 살 수 있는데도 힘들다고, 지방이라고 진료를 거부하는 사람들로 넘쳐나고 국회의원은 국민이나 나라보다 기업과 정당. 개인을 위해서 정치를 하는 이상한 나라가 된 그 시작은 교육때문이 아닐까 싶어서 글 남깁니다.
    수능으로 상대평가해서 직업선택의 자유를 국가가 막고 있는 교육문제를 공부 잘하니깐 당연한 거고 억울하면 공부 잘하면 되지 식으로 간단하게만 생각하는 것 같아서요.
    우리는 고등학교 교과과정 들어가면 아이슈타인이랑 친구해도 될 정도로 현재 배우고 있는 것 같던데 왜 아인슈타인 같은 창의적인 발상은 안 나올까요??
    참고로 바사리 책은 한국어로 전권 번역되어서 5권인가 6권인데 도서관 가면 보실 수 있습니다. 르네상스시대 건축가, 화가, 조각가 다 만나실 수 있습니다. 알고 들어면 더 재미나지요.
    아!! 우리도 빈치마을에서 태어난 레오나르도 처럼 조상이 김해 출신이면 김해 김씨 같은 성씨를 현재도 쓰고 있습니다. 삼위일체는 석 三(삼), 자리 位(위), 하나 一(일), 몸 體(체)로 원래 존재하시는 하느님, 예수의 몸으로 오신 하느님, 유대인들에 의해 예수가 죽고 성령으로 우리 곁에 계시는 하나님 이 세 모습을 모두 하느님이라고 기독교에서 아주 먼 옛날에 모여서 정해서 한자말로 삼위일체라고 부른다고 알고 있습니다. 수태고지는 받다 受(수), 아이낳다 胎(태), 알리다 告(고), 알다 知(자)를 써서 천사 가브리엘이 마리아에게 임신했고 당신 뱃속에 예수가 있다고 알림을 말하는 한자어입니다.
    수태고지 해설 듣고 수태고지를 그리는 다빈치의 마음으로 정치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감동 먹고 갑니다. 천재성 창의력은 배려심에서부터 출발한다.ㅎㅎ

  • @user-lc3uj7xd4e
    @user-lc3uj7xd4e 4 ปีที่แล้ว +3

    옛날이 더 과학적이네요.
    요즘은 뭐가 뭔지도 모르겠어요.
    공부 많이 했습니다.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maryannbaek4328
    @maryannbaek4328 4 ปีที่แล้ว +5

    자세한 설명 대단히 감사합니다. 밀란에 있는 다빈치 뮤지엄에 가 보았습니다.그가 얼마나 대단한 천재인지 눈으로 확인 했습니다.

    • @ElleSunminLee
      @ElleSunminLee 3 ปีที่แล้ว +1

      우와.... 저도 언젠가 꼭 가서 보고싶네요......!!

  • @123wizard7
    @123wizard7 3 ปีที่แล้ว +1

    인류역사상 천재중에 천재 한명이 아닐까 생각한다. 정말 세상을 바꾼 사람들둥 하나다 아이작뉴턴 등등

  • @younjukang9246
    @younjukang9246 4 ปีที่แล้ว +2

    관심 분야가 다양할수 있었던 사회분위기가 존경스럽네요 . 전염병의 극심함 후에 르네상스가 발달하고 도시의문화적 성장으로 이어졌다니.. 서울이라는 도시 코덱스를 남기는 유투버 하나 소개합니다!느긋느긋 서울일주 '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michaelsuh6799
    @michaelsuh6799 ปีที่แล้ว

    😊😊😊

  • @user-in4do6je8b
    @user-in4do6je8b 3 ปีที่แล้ว

    메디치 여왕 얘기에보면 예언가적 면도있던데 못하는게 없네요

  • @user-oo2lx2lj7c
    @user-oo2lx2lj7c 4 ปีที่แล้ว +3

    ♥천재성=측면에서본 소실점=다빈치♥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cy5ws2xo5f
    @user-cy5ws2xo5f 4 ปีที่แล้ว +2

    혹시다빈치는시간여행자아닐까요?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1

      ㅎㅎ 그럴 수도 있겠는데요 ㅋ

  • @selfmadedavinci8852
    @selfmadedavinci8852 2 ปีที่แล้ว

    내 우상

  • @happyc.h5305
    @happyc.h5305 4 ปีที่แล้ว +2

    경주 신라중학교 학생 손

  • @user-rn7dd8rt5w
    @user-rn7dd8rt5w 2 ปีที่แล้ว

    봣음

  • @suelee6617
    @suelee6617 3 ปีที่แล้ว +1

    수태고지 미쳤다 ㅎㅎㅎㅎ

  • @yunsohn
    @yunsohn 4 ปีที่แล้ว +3

    천재에게 무슨말이 필요하랴

  • @suelee6617
    @suelee6617 3 ปีที่แล้ว

    다빈치는 재능가였지만 글쎄요 그가 과학적인 원리를 발견했단 소리도 못들어봤고
    정말 그의 그림과 상상력은 존경하지만...과학에 대해 말하는건 의아하네요 ㅎㅎ

    • @nomad-art
      @nomad-art  3 ปีที่แล้ว +1

      다빈치 코덱스(메모장)에 나와 있는 잠수함, 헬리곱터..등은 최소한 4백년은 앞선 생각이었고, 그 당시 기술수준에 비해 다빈치의 생각이 너무 앞서나간 것이 문제라면 문제였지요. 그것뿐만 아니라 다빈치 노트에 설계된 각종 기구들은 전문회사들에 의해 다시 제작될 정도로 과학적인 원리에 충실한 것들이었습니다.

    • @suelee6617
      @suelee6617 3 ปีที่แล้ว

      @@nomad-art 에디슨을과학자라고 하진안잖아요?

  • @user-pv9ob1rm6t
    @user-pv9ob1rm6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무리봐도 다빈치가 장영실 같아요 대조선 고려 왕이 계신 메리카 땅에서 일하고 은퇴후
    고향으로가서 하고싶은 공부를 많이 한것 같아요 엄마가 노비출신 인것도 같음
    장영실은 생년일을 미상처리 했는데 누군가
    한사람인지 알수없게 실록을 건드린것 같고요 다빈치것은 이탈리아것이라 그냥
    둔것같아요 진짜 일본 영미프독러 등등에
    붙으려다 튕긴 나라중에 하나가 이탈리아랍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장영실은
    동양인일 것이라고 생각하게 대학살 강제이주 기간에 우리는 황인종으로 분류되서 반도와 열도에 갇혔고 식민사관으로 반도에 있었어야 하니까요
    세종대왕님은 메리카에 계셨답니다
    아마 장금이도 조선실록에 잠꺄 나온건
    중국대륙에만 있었던게 아니라 왕이 계사
    메리카를 왕래했을 가능성이 높거나 왕이
    정무를 보러 중국 대륙에 들르시면 건강을
    봐드려 기록이 짧거나 어디에 따로 있을가능성이 높습니다 왕만해도 이름이
    여러개 성씨가 여러개입니다 역사적으로
    그당시 이미 유명한 사람들도 아명 본명등
    여러개를 가지고 있었을겁니다 그 관습이
    오늘날까지 이어져있지요

  • @user-cheondung
    @user-cheondung 2 ปีที่แล้ว +1

    줌 하기 싫다

  • @jonctmaga1486
    @jonctmaga1486 4 ปีที่แล้ว +13

    모무 서양인만 천재로 뽑아놓은 서양학술지 ㅎㅎ 오만한 서구인 답네요 그걸 맹목적으로 수용하는 한국인들이 안타깝네요
    다빈치가 창의적이라는 건 알고 있어요
    우리는 서구에대해 너무나 잘알고 있죠
    마치 자기의 역사와 전퉁인양 말임다
    근데 다빈치라는 인물이 찬재라는 사실을 아는 게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잇을까요 문제는 그의 독특한 사고력과 창의성은 어디서 나오는지가 중요한거 아닐까요?
    사생아가 천재가 될 수 있었던건
    무엇일까요? 이걸 아는게 더 중요하겠지요
    다산도 5백권이상의 다양한 분야의 논문과 책을 남겄고 최한기는 그 이상의 저서를 남겄죠.
    지금 한국의 배운자들이 할 일은
    지난 백 사십년 동안 해온 서구 지식과 잔통을 카피해 외워 알리는 일을 중단하고 그 보다는 자신들의 지식 전통을 집요하게 연구하고 알리는 일 아닐까요
    서양을 노예처럼 베낀 결과 우리는 김홍도 화법를 잃아버렸고 서구사회가 폐기한 화법이나 작법을 아직도 따라하고 있죠
    그게 무슨 절대 법칙인거 처럼 말임다
    뿌리없는 지식 교류는 노예되기 안성맞춤아닐까요

    • @nomad-art
      @nomad-art  4 ปีที่แล้ว +6

      뜨끔!!!!

    • @younjukang9246
      @younjukang9246 4 ปีที่แล้ว +11

      좋은 생각! 허나 이것이 저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이분법적 생각보다 이제 이런것도 필요하구나 싶을때는 타인에게 해보라하기전에 그정보 자료 찾아 공유하시거나 직접 연구해보심은 어떻신지? 지금 이 콘텐츠 하시는데 저것도 하시라는 의견은 참 좋은데 강요는 아니셨으면...

    • @jonctmaga1486
      @jonctmaga1486 4 ปีที่แล้ว +4

      @@younjukang9246 자신이 배운 공부의 영역이
      혹은 우리가 사는 세상이 이거와 저거로 잘 군형잡혀 있다는 착각은 어디서 온걸까.

    • @dollsface
      @dollsface 4 ปีที่แล้ว +3

      그러게요 뭐던지 관심없다 싶어도 누군가 다루어주심 지나다가 눈에 자꾸 띄며 한번관심 두번관심 그러다 좋아지죠 하지만 서양꺼에 비해 동양화는 뭍혀잇다봅 될까요? 유투에서 본적이 잘없네요. 화가들이 많을텐데 말이죠 ,,, 나도 전혀 모르는데 그냥듣고 잇거던요 재미잇어요,,,동양도 재미잇는 그림들 많던데 영화봅.

  • @user-vs8fb2wq9p
    @user-vs8fb2wq9p ปีที่แล้ว

    20년후 선정하면 세종대왕이 10위안에 들어갈것이라고 장담한다. 문자가 없는 나라는 대부분 한글을 채용할것이고 그들속에서 인류에 공헌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올것이기 때문이다.

    • @nomad-art
      @nomad-art  ปีที่แล้ว

      저도 그렇게 되기 바랍니다 ^^

  • @user-qt2jz8wm1p
    @user-qt2jz8wm1p 4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