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발견] 문헌에만 기록된 북한산성 방어무기 '목모포'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ก.พ. 2025
  • 북한산성 발굴현장에서
    조선 후기 방어무기가 대량 출토되었습니다
    그런데 최초로 발견된 무기도 있었습니다
    수도 한양을 지키던 이 무기의 정체는 무엇이었을까요?
    #발굴 #최초 #유물 #무기 #조선 #국가유산채널
    ---------------------------------------
    국가유산청 공식 홈페이지 www.khs.go.kr
    국가유산진흥원 공식 홈페이지 www.kh.or.kr
    국가유산채널 공식 홈페이지 www.k-heritage.tv
    국가유산채널 공식 블로그 blog.naver.com...
    국가유산채널 공식 인스타그램 / kheritagetv
    국가유산채널 공식 페이스북 / k.heritage.tv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02

  • @구글사용자-l5k
    @구글사용자-l5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디자인이 멋지네요

  • @allankwon
    @allankwo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실제로 기록되지 않아서 알려지지 않은 무기들이 정말 많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cozyl아늑
    @cozyl아늑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무기들이 발굴 되었으니 앞으로도 기대됩니다!!

  • @심문선-m8v
    @심문선-m8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목모포가 저런 모양이군요.. 그리고 저런 목재대포는 일본이나 서양에서도 쓰이긴 했다고 합니다

  • @user-centered
    @user-centere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아~~~소총 개념이네요
    큰 탄환 쓰는 소총 개념입니다
    두깨 키워서 내구성 올리고요
    멋지네요 저시대에 소총 이라니

  • @철이-s2v
    @철이-s2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저걸 총기에 접목시켰으면 좋았을텐데

  • @tae-kangkim1987
    @tae-kangkim198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내용 자막중에 "길이", "넓이"라고 나왔는데.
    "길이"는 맞는 말이지만 "너비"라고 말하고 써야 합니다.
    "넓이"는 "면적"을 뜻하는 말입니다.
    "폭"을 뜻하는 우리말은 "너비"입니다

  • @태화김반월
    @태화김반월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목모포가 불랑기포와 비슷한 구조처럼 보이는데 연관이 있으려나요?

  • @hyungjinsung
    @hyungjinsun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현대 무기 중 유탄발사기 같은 기능이겠네요.

  • @Theslaveoflogic
    @Theslaveoflogic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포신이 목재라굽쇼?

    • @성이름-w1m9v
      @성이름-w1m9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목재 포신 이면 화약을 줄여서 쏘거나 했을 듯. 어차피 산성에서 아래로 쏠 테고, 사계청소하는데까지만 나가면 되니 교전 거리도 짧은 데다 진입로도 한정 될 테니.

    • @미숫가루찌개
      @미숫가루찌개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불랑기는 자포에 화약과 포탄을 넣고.
      모포(포신)에 넣고 쏘는것이라.
      반동을 버틸 내구성만 있으면 되다보니.
      간이화포로 사용할 수 있을 거에요.

    • @goodmandosomething5094
      @goodmandosomething509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불랑기포는 자포가 약실역할을 하고 자포가 들어가는 모포부분만 금속으로 하고 포신부분은 약실보다 약한 압력으로 견디기만 하면 되니.....만약에 산탄형식으로 근거리 방어용으로 했으면 더 오래 썼을 듯.

    • @gurmiro
      @gurmir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goodmandosomething5094 아무리 그래도 화약이 불타는 탄매와 탄자가 포신을 스치고 지나가는데.. 그걸 나무로 만들었다면 몇발이나 버틸 수 있었을까요?

    • @소모사의뗀석기공방
      @소모사의뗀석기공방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gurmiro 북한산의 위험성 생각하면 저거라도 보급해 화력 보강이라도 하는게 다행이죠.

  • @user-fm6uz9xc8h
    @user-fm6uz9xc8h 29 วันที่ผ่านมา +1

    폭압을 목재가 어떻게 버티는거지?
    심지 불 붙이고 현장에서 대피한뒤에 터지는건가?

    • @user-fm6uz9xc8h
      @user-fm6uz9xc8h 29 วันที่ผ่านมา

      포신폭발하면 주변 파편으로 자폭하는건데?

  • @dkrmdkrm
    @dkrmdkr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내구성이 떨어지니 624좌나 보관했나 보네요

    • @thaumazein1506
      @thaumazein150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맞습니다 당연 내구성은 떨어집니다
      다만
      금속은 귀하고 제작비. 공이 많이들지만
      목재는 흔했고 싸고 만들기 수월했고 가볍죠
      결정적인건
      불랑기포의 일종인 메카니즘이라 목재로도 가능했던 겁니다
      금속띠를 두른게
      당시로서는 포신의 역할을 잘 했을겁니다
      재사용하는 탄피(?)에서 에너지를 얻은 철환이
      가이드 역할의 포신을 통해 잘 발사되었을 겁니다
      일종의 탄피같은 개념이 도입된게 불랑기포인데요
      목모포도 화약과 탄을 장전한 작은 장치를 많이 예비해 두고
      그걸 포신에 끼워 발사하는 구조입니다
      폭발은 그 탄피안에서 이루어지고
      그러니 충격과 열은 그게 다 받아내고
      포강보다 훨씬 작은 여러개 쇠탄환들은 포신을 통해 발사되는거죠
      활강포이니까 가능했던 겁니다
      오늘날 대포 포신을 목재로 만든다면 그건 말도 안되는겁니다만
      저 당시의 화약은
      요즘에 비하면 현격하게 낮은 성능이고
      불랑기포 일종이므로 가능한거죠
      물론 내구성은 현격히 낮기는 합니다만
      그만큼 연사를 계속 하는게 아니라
      바꿔가며 할 수 있는거라서 가능합니다
      게다가 저위력의 포기에 가능합니다
      요즘으로 치면 근접화기?
      손수 들고 이동하는 기관총?소구경 박격포? 재블린이나 현궁? 정도의 무기라고나 할까요?
      근거리 적을 타격하는
      산성용.이동용 무기로 목모포는 대단히 요긴했을 겁니다
      ...

    • @fislen-e1d
      @fislen-e1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무기는 가성비도 중요해 원댓은 까고보는구만

    • @dkrmdkrm
      @dkrmdkr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fislen-e1d 난독증???? 이신가요? 내구성 떨어지는 것 팩트. 내구성 부족->수량으로 채움. 팩트. 어디에 까는게 있죠?

    • @울강쥐돼지
      @울강쥐돼지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krmdkrm
      그때 시대에 말해야지 요즘 가성비 찾노 ㅋㅋ

  • @리치스태커김기사
    @리치스태커김기사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나무로 만든포는 몇발 쏘다보면 포압을 못이겨서 박살날텐데?? 아무리 금속링으로 잡아놔도 터지게 되어있음.. 유럽에서 나무로 만든 대포가 이유없이 금방 사라진게 아님.. 당시 영국은 주철대포. 다른 유럽국가들은 황동제 대포를 사용했음 황동제는 열에 강해서 팽창했다가 식히면 금방 원래대로 내려갔었음

  • @sunnyan151
    @sunnyan15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조선총독부 부흥회 회원들 댓글이 쌓이네.. 역시. 강력한 세력이 존재해.

    • @billgimm2393
      @billgimm239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웅! 전라좝빨.....몰표좀비.

    • @0sjy
      @0sj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빡대가리라고 광고하고 다니네 저능하다

    • @팤군
      @팤군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치병걸린 종북 좌빨 빨갱이

    • @lastsun1242
      @lastsun124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billgimm2393어휴 냄새 길바닥에 똥싸는 나라 사람이라서 그런가 똥 쉰내가 어휴😅😅

    • @p.solver
      @p.solve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billgimm2393 응 "나라 팔아 먹어도 OOO당" 이라던 어떤 지역...

  • @dailybread-p6i
    @dailybread-p6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거 북한산성이 아니고 그냥 산성아님 ?

  • @eXplOrer-b3l
    @eXplOrer-b3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넓이가 아니고 너비죠... 제발...

  • @klausfeuermann3825
    @klausfeuermann3825 25 วันที่ผ่านมา

    포신을 barrel이라고 부르는 이유...

  • @구제흥-z3i
    @구제흥-z3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려무기 인가상당히 화승종우리선조
    최초우리 학악무기 중당나라멸망무기

  • @jinhokim5059
    @jinhokim505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조선 행보관

  • @sfk1031
    @sfk103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철판은 워낙 비싼데 문제는 쉽게 깨짐. 그래서 청동을 썼는데 비쌈.
    나무는 구하기 쉬우니 저렴하게 썼겠지.
    물론 실전에서 거의 쓰지도 않고 역사속에 도퇴되었지.

  • @aversany
    @aversan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리 민족 특유의 높은 지능과 창의력을 보건대, 조선시대 이전이라도 국가에서 과학분야를 키우고 권장 장려했었다면 저보다 훨씬 더 훌륭한 무기체계를 갖추었을 것이고 역사가 달라졌으리라.

  • @나는-c5f
    @나는-c5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조선국은 정말이지 지구와 담을 쌓고 산 그들만의 국가관
    임진왜란때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에게 그렇게 당하고도 조선후기때 저런무기를 만들고 버티다니..

    • @shse3332
      @shse333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임진왜란 당시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은 극히 일부였습니다... 당시 일본의 주 무기는 오히려 장창이였습니더.

  • @agm1144
    @agm114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목재 대포는 원래 전장에서 임기응변으로 급조해서 만들어 사용하던 것 들임. 내구성이 없어서 몇 번 쏘고 나면 못쓰기 때문에 금속제 대포를 대처할 물건이 전혀 아님.
    그런데 그 전시도 아닌 평시에 수백문을 만들어 운용했다는건...나라 망했다는 의미임. 무거워서 저딴걸 만든게 아니라 대포 만들 구리와 철이 부족하니 저런 급조 무기를 대안으로 배치한거지.

    • @미숫가루찌개
      @미숫가루찌개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근데 조선은 옛날부터 구리가 부족하긴 했음.
      철제대포는 강철주조가 가능한 서양에서도 19세기 중반에나 썻는데.

    • @lIlIllIIlIlIlllIIlI
      @lIlIllIIlIlIlllIIl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ㅈㄹ 삼번의난때도 수송문제때문에 목제대포 잔뜩 만들었는데 청나라 망했냐

    • @agm1144
      @agm114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lIlIllIIlIlIlllIIlI 삼번의 난이 전시지 평시냐? 전쟁에서 대포가 부족할 때 임기응변으로 쓰는 일회용 대포를 수도 방어용 성에서 운용한건 경제파탄났다는 의미지.

    • @심문선-m8v
      @심문선-m8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불랑기포는구조가 비슷한데 자포가 압력을 견디기만 하면 되니 모포는 나무로 만든듯 함 참고로
      나무도 조선에서는 흔한게 아님 지금이야 녹화사업으로 푸르러진거지 조선시대는 땔감으로 하도 벌목을해서 목재 부족국가였음

    • @lIlIllIIlIlIlllIIlI
      @lIlIllIIlIlIlllIIl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gm1144 이새낀 1회용 LAW 같은거 보면 미국 망했다고 하겠네 ㅋㅋㅋㅋㅋ

  • @박성환-o5b
    @박성환-o5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저런거 한번 안쏘고 스스로 도장찍어 나라를 팔아먹었냐 이씨왕이?

    • @user-fm6uz9xc8h
      @user-fm6uz9xc8h 29 วันที่ผ่านมา

      근데 전쟁나도 100% 멸망이지
      1 그냥 항복할래?
      2 개죽음당하고 항복하고 지속적인 보복당할래?

  • @yoonsiwou
    @yoonsiwo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기 하나라도 손상 없이 녹이 쓴 상태로 있었으면 좋겠는데 아쉽네요 그래도 조선 시대 무긴 발견 해서 다행이군요

  • @grlee5048
    @grlee504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우리 5천년 역사 기록 대부분이 북미에서 일어난 일이다....고종과 민비(백인) 때까지 미국땅에서 일이다....그외 지역은 피라미드가 많은 지역은 우리역사와 연관이 있다..

    • @PrettyT-rex
      @PrettyT-re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가까운 병원 방문 요망

    • @grlee5048
      @grlee504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PrettyT-rex 한국어(한글)은 미국에서 만들었다,,,, 워싱톤이 한양이다... 워싱톤 용모양의 산 용산에서 동으로 가면 세종대왕의 능이 있다.. 유튜브 아메리카세계사에서 조선왕조실록 설명, 진실의 역사이다...조선왕조실록 원문에 다 나온다.

    • @혈류천하
      @혈류천하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친놈

    • @RottenWater_Immune
      @RottenWater_Imm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입원이 시급한 사람이네.

    • @grlee5048
      @grlee504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RottenWater_Immune 진실의 역사이다...조선왕조실록 원문에 다 나온다.

  • @나는나투다
    @나는나투다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것들이 날뛰고 있네 살판 났지 지금

  • @곽정복-j1w
    @곽정복-j1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래서
    지켰나요
    자랑스러운 나라를
    지켰느냐

    • @심문선-m8v
      @심문선-m8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500년간 지키긴 했죠

    • @Mushroomhead0707
      @Mushroomhead070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오래지켰음 ㅗ ㅗ

    • @나만세-b1z
      @나만세-b1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토왜시키. 그냥 왜나라 가리.10r a

    • @소모사의뗀석기공방
      @소모사의뗀석기공방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병자호란도 실상 만주족-몽골 연합 침략인데 걔네들 꽤 쫄깃하게 승리한건데? 중요 인물 여럿 저격 당하고 컬버린포도 대포병전 따잇 당하고

    • @나만세-b1z
      @나만세-b1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하여간 일뽕토왜들 그저 조선 까고 싶어서 ㅉㅉㅉ
      한글은 왜쓰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