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공C_새로워진 이것이 C언어다] 16강. 09-1 C언어 포인터의 기본 개념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6 ก.พ. 2025
  • Chapter 09 포인터
    09-1 포인터의 기본 개념
    ※ 주요 학습 내용
    -포인터
    -포인터와 연산자
    -주소 연산자(&)
    -포인터와 간접참조 연산자(*)
    -여러 가지 포인터
    -const를 사용한 포인터
    [혼자 공부하는 C 언어]는 [이것이 C언어다]의 전면 개정판으로, 두 책의 독자 모두 이 강의를 참고하여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혼자 공부하는 C 언어]는 [이것이 C언어다] 콘텐츠를 기반으로 기획된 도서입니다. 동영상 강의 50만 조회수를 기록하는 동안 독자님들로 부터 받은 피드백을 반영하여 콘텐츠를 강화하고, 학습 방법과 구성을 강화 하였습니다.
    ✔ '혼자 공부하는 C 언어' 커뮤니티
    ► 둘러보기: hongong.hanbit....
    ✔ 저자님께 질문하기
    ► 둘러보기: cafe.naver.com/...
    #혼자공부하는C언어 #C언어 #포인터 #연산자 #주소연산자 #간접참조연산자 #const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5

  • @jaekunyoo8509
    @jaekunyoo8509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감사히 잘 봤어요.
    엉뚱하게 포인터 덕분에 C언어에 입문한 파이선 초보자에요 .
    10여일 전부터 포인터가 어렵다는 영상들이 연결되어 궁금해서 여러 영상 봤더니 처음부터 재미있어서, 기초설명 영상 보니 많은 부분이 파이선과 겹치고, PLC 제어영상 보고 C언어를 배우게 됐어요.
    5일 전에 대학 1학기 과정에 연결되어 2일 동안 정말 재미있게 문법 공부해서 수박겉핧기 마치고, 지체하면 그나마 적은 지식 잊으니 파이선도 천천히 열심히 공부하고 있어요.
    요즘 5일간 일 없으면 하루종일 C언어가 아주, 매우, 무척 재미있어서 자는 시간, 운전시간이 아까울 정도로 열심히 공부해서 개념 파악 다하고 문법은 거의 익혔어요.
    문제는 처리절차, 알고리즘이 어렵겠지요.
    파이선도 같은 출판사 발행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개정판 재생목록이 연결되어 3번째 반복하고 있는데 우연히 이 103개 영상 재생목록이 연결되어 이 영상까지 공부하며 다른 분들께서 다루지 않은 상세한 내용들을 접해서 좋았어요.
    대단히 감사합니다.
    09:20 &a: 해당 자료형 자료의 기억공간의 시작 주소, 주소값 == 시작 주소, 첫주소를 통해 공간 표시, 접근 == 전체 공간을 알리기 위해 시작 주소, 첫주소 사용
    10:33 &a: 해당 자료형 자료의 기억공간을 가리킴(지시, 지적, pointing)
    기억공간 지시 == 기억공간 (시작) 주소
    12:16 가르킴, 지시, 지적, pointing == 주소, 주소값 저장, 보유하고 있음
    가르키는 것, 지적 대상 == 공간 == 자료 == 값
    대상에 접근하여 참조, 사용하기 위해 참조 연산자 별 표시
    12:51 직접참조: 변수를 참조, 사용하여 값을 얻음
    간접참조: 변수(할당된 기억공간)의 주소를 통해 내용물 참조
    18:20 주소값(&a == 상수)을 저장하는 변수: pointer
    19:27 포인터 선언: 자료형 명시하고 별을 변수명 앞에 붙여 표시
    21:59 실행문 내에서는 별표 없이 변수명만 사용
    36:16 역할 구분
    int * pa = &a; 선언시 변수 a의 주소를 포인터 변수 pa에 저장
    scanf에서 입력받아 변수 a에 직접 저장할 수 없어 그 주소 &a를 통해 넣듯이 포인터 변수 pa가 a의 주소 &a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pa == &a이니 가능
    *pa는 a의 주소 &a를 통해 참조한 a의 자료값이므로 *pa == *&a == a
    &pa는 포인터 변수 pa 자체의 주소이므로 고려 요소도 아님
    2023년 8월 17일 목 16시33분 태평양 시간

  • @jaekunyoo8509
    @jaekunyoo8509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감사히 잘 봤어요.
    엉뚱하게 포인터 덕분에 C언어에 입문한 파이선 초보자에요 .
    2주 전부터 포인터가 어렵다는 영상들이 연결되어 궁금해서 여러 영상 봤더니 처음부터 재미있어서, 기초설명 영상 보니 많은 부분이 파이선과 겹치고, PLC 제어영상 보고 댓글들을 찾아보니 지난 7일부터 C언어를 배우게 됐어요.
    8일 전에 대학 1학기 과정에 연결되어 2일 동안 정말 재미있게 문법 공부해서 수박겉핧기 마치고, 지체하면 그나마 적은 지식이라도 잊으니 파이선도 천천히 열심히 공부하고 있어요.
    요즘 일주일간 일 없으면 하루종일 C언어가 아주, 매우, 무척 재미있어서 자는 시간, 운전 시간이 아까울 정도로 열심히 공부해서 나름 개념 파악 다하고 문법은 거의 익혔어요.
    문제는 처리절차 = 알고리즘이 어렵겠지요.
    이제라도 재미붙어서 열심히 하고 있어요.
    이렇게 재미있는 줄 알았다면 30년전에 장난삼아 리눅스 깔았다지웠다 놀 때 했다면 하는 생각이 드네요.
    아래 글은 제가 10일 동안 처음 C언어를 배우면서 느끼고 이해한 기초 개념들이에요. 저는 파이선도 초보이고 아직 알고리듬은 시작도 못하고 몇 예제에서 어려운 것은 느꼈어도, 포인터 첫 영상부터 어려운 것 없었고 포인터 연산도 당연히 자료형 맞추어 다음 자리 찾는 것이 쉬웠었는데, 전공자들도 당시 이해 못해서 개발을 포기했다는 여러 댓글들 보면서 포인터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공부방법에서 기초적인 부분들의 이해가 안 돼서인가 의아하여 시간을 내서 썼어요.
    몇 블로그를 참조했으나 왕초보의 이해수준이고 이 수준의 상태를 알려드리고 더 이해 못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하여 글 올리니 수정 보완을 해 주시면 감사하겠고 무시하셔도 됩니다.
    파이선도 같은 출판사 발행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개정판 재생목록이 연결되어 3번째 반복하고 있는데 우연히 이 103개 영상 재생목록이 연결되어 이 영상까지 공부하며 다른 분들께서 다루지 않은 상세한 내용들을 접해서 좋았어요.
    대단히 감사합니다.
    육하원칙 - 1. 언제: 순서 2. 어디서: 식별자 등 표시 위치 3, 4. 누가 무엇을: 문장이나 함수 등에서 주체와 객체, 혹 손님, 행인 등 5. 어떻게: 같은 표식도 표시자(Punctuator)나 연산자(operator) 역할 등 6. 왜: 지정, 정의된 이유나 역할, 목적 등을 다시 설명하거나 실행절차 등을 설명
    ({[초보 특히 왕초보시에는 어떤 것을 몇분도 아닌 지금 막 듣고도 생각이 안나거나, 다른 것과 혼동되거나, 자신만의 엉뚱한 추측, 상상, 연결, 대입하거나, 갑과 을을 바꿔서 알아 듣거나, 순서를 바꾸거나, 비슷하거나 많이 달라도 같다고 하는 등으로 딴 소리하고, 심지어 맞는 말을 하면서 틀리다고 하거나 모른다고 하거나, 본인이 뭘 모르는지 혼동하는지 모르니 확인해 가시면서 답답해도 계속 반복해 주셔야 해요.
    오죽하면 낫 놓고 기역 자 모른다, 쥐어줘도 모른다 고 하겠어요. 알기까지, 알게 되기까지의 과정과 시간이 필요한가 봐요.]})
    학습자들은 누구나 스스로 곡해, 변경, 추측해서 오해하거나 모르겠다고 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이를 줄이는게 중요하고, 작은 차이를 알아내고 그에 맞게 적용해야 하지요.
    해당 내용을 건성으로 시청하거나 읽고서 모르는 부분을 재시청하여 확인도 안 하고 질문을 올리는 무성의와 남의 생명인 시간을 허비하게하는 악행도 없애야 합니다. 그후에 확인이나 하는지 답답해요.
    2023년 8월 18일 월금 21시44분 태평양 시간 1/3

  • @jaekunyoo8509
    @jaekunyoo8509 ปีที่แล้ว

    3/3 C언어 10일차 왕초보 기초개념
    어느 영상에 단 댓글
    초보자가 본 포인터 난해설은 선언문에서 별을 붙여 지시자, 지적자로 지정하고는 실행문에서는 별을 떼고 일반 변수처럼 문자만 있으니 헛갈리는 첫걸음, 지름길이에요.
    일반 변수들을 선언문에서 자료형 지정하고 실행문에서 변수명 만 쓰듯이 같은데, 처음 들은 변수형에 얼떨떨한데, 상급자들은 당연하니 이 부분을 설명 안해요.
    그리고는 갑자기 별을 다시 붙이고 자신(지시자, 지적자, 주소 변수?)의 값인 지적한 곳(것, (지적한) 변수)의 주소, 주소값을 찾아오는게 아니라 어떻게 건너는지 한다리 건너 지적한 곳의 값을 찾아온다니 헛갈릴 수 있지요.
    그런데 위 부분은 정말 처음 듣는 이들이 혼동되어야지 두세번은 짧은지 모르겠는데 관심갖고 자세히 보면 전혀 어렵지 않지요. 달 가르키는 손가락만 보며 달 찾으니 보이나요?
    포인터 - 주소값을 저장하는 변수
    포인터 선언 - 선언문에서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와 같은 자료형 명시하고 별을 변수명 앞에 붙여 표시
    사용 - 실행문 내에서는 별표 없이 변수명 만 사용(일반 변수들을 선언문에서 자료형 지정하고 실행문에서 변수명 만 사용과 동일)
    주소 - 공간의 첫주소(첫주소값)를 말하며 문자형 자료는 1 바잍이니 그 자체, 정수형 자료를 갖는 변수의 주소는 4 바잍의 첫주소가 전체 4 바잍의 공간을 의미, 이중 실수형 자료를 갖는 변수의 주소는 8 바잍의 첫주소가 전체 8 바잍의 공간을 의미, 표시
    int exp_a;
    int * exp_a_p;
    exp_a = 12;
    exp_a_p = &exp_a;
    변수 주소 - 주소 연산한(주소 연산자&를 붙인) &exp_a
    1. 자료값(내용물) - 변수에 대입된 자료
    2. 연산 결과 - (자료가 담긴) 해당 변수의 (기억공간의) 주소
    3. 연산 목적 - 주소를 통해 해당 자료형의 공간 표시
    포인터 exp_a_p
    1. 자료값(내용물) - 가리키는(지시, 지적하는, pointing) 해당 자료형 자료의 시작 주소, 첫주소
    2. 목적 - 가리킨(지시한, 지적한, pointing) 주소를 통해 기억공간(대상, 목적물)을 간접참조하여 자료를 복사하거나 변경
    3. 조건 - 간접참조가 목적이므로 지적한 변수와 자료형이 일치 필요
    가르킴, 지시, 지적, pointing = 주소, 주소값 저장(보유)
    가르키는 것, 지적 대상은 목적에 따라 자료, 자료값이기도 하고 공간이기도 함
    1. 지적된 해당 자료형의 변수에 저장된 자료값을 참조(복사)하려면 실행문 우변에 위치하여 참조 연산자 별을 붙여 지적하는 주소에(를 통해) 접근하여 자료값을 간접참조(복사)
    2. 지적된 해당 자료형의 변수의 공간에 접근하여 자료를 참조(변경, 재할당?)하려면 실행문 좌변에 위치하여 참조 연산자 별을 붙여 지적하는 주소인(주소를 통해) 공간에 접근하여 자료값을 간접참조(변경)

    대상에 접근하여 참조(사용)하기 위해 참조 연산자 별 표시
    직접참조: 변수에 접근하여 자료값을 읽거나(복사하거나) 변경
    간접참조: 변수의 주소를 통해 자료값을 복사하거나 변경
    배열명 - 배열의 첫주소인 상수
    역할 구분
    int * pa = &a; 선언시 선언문에 변수 a의 주소를 포인터 변수 pa에 저장
    포인터 변수 pa가 a의 주소 &a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pa == &a
    *pa는 a의 주소 &a를 통해 참조한 a의 자료값이므로 *pa == *&a == a
    &pa는 포인터 변수 pa 자체의 주소, 다중 포인터에서 사용
    scanf에서 입력받아 변수 a에 직접 저장할 수 없어 그 주소 &a를 통해 넣음
    종료 2023년 8월 18일 월금 21시44분 태평양 시간 3/3

  • @bright5284
    @bright5284 3 ปีที่แล้ว +2

    19:55
    1) 포인터 변수를 선언할 때 *는 기호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2) 포인터 변수를 선언할 때가 아니라, 역참조를 통해 포인터 변수가 가리키는 변수를 사용할 때의 *은 가리키는 놈을 사용하겠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너무 깔끔한 설명입니다.
    진작에 이걸로 C언어를 접근할걸 그랬네요 ㅋㅋ ㅠㅜ

  • @jaekunyoo8509
    @jaekunyoo8509 ปีที่แล้ว +2

    2/3 C언어 10일차 왕초보 기초개념
    전자계산기(전산기, computer) 구조를 알면 용어와 작동을 잘 이해할 수 있겠지만, 구조를 싫어하거나 이해가 어려운 사람들도 개념 설명과 각 순서와 각 표현의 통일을 하면 매우 쉬울 수 있다고 추측
    변수 - 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 이름이 변수라고 값은 수에 한정되지 않고 문자 등도 포함, 수학의 변수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추측
    상수 -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것, 숫자나 문자나 무관, 변수를 상수화 가능
    자료형 - 기억공간(memory) 절약을 위해 크기별로 자료 구분
    문자형: 1 바잍,
    정수형: 4바잍, 기타 정수형
    실수형: 4 바잍, 이중 실수형: 8 바잍, 기타 실수형
    주소 변수형: 운영체제 크기(처리 bit)에 따라 주소의 크기(길이) 다르므로 4 바잍, 8 바잍 결정
    주소 - 공간의 첫주소(첫주소값)를 말하며 문자형 자료는 1 바잍이니 그 자체, 정수형 자료를 갖는 변수의 주소는 4 바잍의 첫주소가 전체 4 바잍의 공간을 의미, 이중 실수형 자료를 갖는 변수의 주소는 8 바잍의 첫주소가 전체 8 바잍의 공간을 의미, 표시
    선언문 - 기계어로 번역하는 번역자(compiler)에게 미리 준비하게 정보 제공
    1. 변수 선언시 기억공간 할당(확보, 지정)을 위해 자료형 제공
    2. 함수 선언시 자료 갯수, 각 자료형, 반환 여부, 반환치의 자료형 제공
    실행문 - 선언문에 명시한 자료형을 표시하지 않고 변수명 만 사용하며 순서대로 실행
    반환(return) - 함수를 시작하면 운영체제가 제어권을 넘겨주어 실행하고 종료시 제어권을 반환( 반납) 그래서 return문 이후는 소용 없다고 함({['return을 만나면 종료'만 설명하고 제어권 미언급]}), 함수 종료후 해당 내용이 삭제되므로 결과치 필요시 반환가능
    변수 선언(지정) - 기억공간 중 자료형 만큼 할당(확보, 지정)
    변수명 - (할당된)공간, 공간명, 공간 시작위치, 공간 시작주소, 공간 시작주소값
    공간 - 내용물(자료, 자료값)을 넣기 위한 상자, 용기, 방, 창고, 건물
    참조 - 공간에 접근하여 내용물을 읽어오거나(복사) 변경(재할당?), 자료값에 의한 참조와 주소, 주소값, 공간에 의한 자료값을 간접참조(역참조) 중 주로 자료값 참조 사용
    기억공간 구분 -
    1. 문자영역(code area, text area) 실행절차문(code) 저장
    2. 자료영역(data area) - 어디에서나 사용가능한 전역변수(global variables)와 해당 지역함수에서만 사용가능하지만 그 함수가 끝나도 보관하게 static 예약어(keyword)로 지정한 정적 변수(static variables)를 저장
    3. 동적?영역(heap area) - 필요에 따라 기억공간을 생성, 소멸 등 제어가능 영역
    4. 적재영역(stack area) - 함수들이 실행될 때 사용하는 해당 기억공간인 stack frame(적재구도, 적재틀)들을 저장
    함수 - 작동, 실행 단위
    매개변수 - 함수를 정의(설계)할 때 실행(동작)시 참여하는 요소들을 위해 설계시에만 대역으로 연기(자신은 결과치로 변하지 않으므로 '매개'란 용어라고 추측)
    인자 - 함수 실행시 실제 참여하는 요소들, 입력시 매개변수와 명칭 달라도 되나 순서와 갯수는 일치 필요
    반환문(return) - 종료를 알리기 위해 필요, 종료후 해당 내용은 모두 삭제
    반환치(return value) - 실행 결과치를 전달해야 할 경우 하나만 반환, 2개 이상 반환 필요시 주소 변수 이용하여 간접참조로 가능
    함수 실행 시작 - 함수 만의 기억공간(적재틀, stack frame)이 적재영역(stack area)에 할당되어 변수 등 인자 입력과 명령 수행 시작
    함수 내에서 다른 함수를 불러오면(호출하면, call) 자신의 작동을 멈추고 그 함수를 실행하는데 이 때 소환된 함수를 위한 기억공간(적재틀, stack frame)이 자신의 기억공간 위에 할당됨(위에 쌓여서(적재되어) stack(stack된다)이라 표현)
    함수 실행시 생성(할당)하는 작동을 push(밀어넣기), 종료시 소멸(제거)하는 작동을 pop(따내기)이라 부름
    이런 방식으로 2차, 3차 등 여러 소환된 함수들이 자신들이 실행중에 다른 함수를 호출하면 main함수의 적재틀(stack frame)위에 소환함수1의 적재틀이 쌓이고, 그 위에 소환함수2의 적재틀이 쌓이는 식으로 계속 쌓이며 적재영역(stack area)의 용량을 차지하여 그 용량을 넘는 범람(overflow)이 생겨 전체 실행이 종료되는 등의 문제 발생
    (초보라서 어떻게, 얼마나 용량지정할 수 있는지는 모름)
    재귀함수 - 결과치를 찾기(계산하기) 위해 자신 내에서 자신을 불러(호출하여, 재귀의미인지 궁금) 위에 쌓고(적재하고, stack하여) 다른 인자(입력값)로 같은 기능으로 조건 만족할 때까지 계속 호출해서 실행하므로 호출(재귀) 횟수 많으면 적재기억공간을 넘칠 수도 있음
    함수 종료 - 제어권 반환(return)하면 pop이란 작동으로 해당 함수 적재틀(stack frame)을 소멸(제거)하니 결과치가 필요시 같이 반환, 호출된 함수일 때 그 함수가 종료하여 제어권을 호출한 함수에게 반환(return)하면 위에 쌓인 그 소환(호출)된 함수의 적재틀을 제거
    재귀함수 - 결과치를 찾기 위해 반복 생성시 적재틀(stack frame)이 계속 생기다가 결과치를 찾으면(계산하면) 종료하고 반환되어 이전 함수로 돌아가서(재귀) 그 반환된 결과치로 계산하여 해당 함수 결과치 반환하며 종료하는 식으로 적재틀(재귀함수)이 순차로 없어져서(쌓였다가 없어져) 호출(소환)한 함수가 이후 명령문들을 수행할 수 있음
    적재영역(stack area)에서의 함수 생성시 함수별 적재틀(stack frame)이 점점 쌓여가므로 첫 틀(첫 함수, main함수)은 마지막 틀(소환된 함수)부터 제거돼야 마지막에 종료, 제거될 수 있음, 후입선출(LFIO : Last-In First -Out) : 최근에 들어온 단위가 먼저 나감
    왕기초자들이 이렇게 개념 설정 위해서 설명없이 읽고 해당 사항 공부시 반복하면 배열, 포인터 설명이 가능 추측(정확도 등 별도)
    정보통신 용어집을 검색했으나 못 찾아 임의 명명
    2023년 8월 18일 월금 21시44분 태평양 시간 2/3

  • @이지환-k3g
    @이지환-k3g ปีที่แล้ว

    34:18

  • @funlee5867
    @funlee5867 2 ปีที่แล้ว +1

    이 강의가 14년도 꺼라니... goood

  • @Cozypers0930
    @Cozypers0930 2 ปีที่แล้ว +2

    포인터강의 책으로 보다가
    막연한곳 정말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krukr1185
    @ukrukr1185 3 ปีที่แล้ว +3

    6년 전 강의인데 이것보다 포인터에 대해 잘 설명한 강의나 책이 아직도 없는 것 같다 감동받았습니다

  • @최민성-e6u
    @최민성-e6u 4 ปีที่แล้ว +2

    와... 그저 빛입니다...........

  • @성준-e2e
    @성준-e2e 3 ปีที่แล้ว +2

    37:30

  • @luckyim6504
    @luckyim6504 3 ปีที่แล้ว +1

    이게최고

  • @김민지-q8x6t
    @김민지-q8x6t 2 ปีที่แล้ว +2

    컴퓨터로 전과해서 여러 강의 찾아듣는데..진짜 명료하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rico5146
    @rico5146 5 ปีที่แล้ว +1

    Excellent explanation!

  • @sharonhan8359
    @sharonhan8359 5 ปีที่แล้ว +25

    컴공 졸업자로서 교수님보다 설명 잘하시는거 인정,,,,믿고 보세요 여러분들,,,

  • @류청남
    @류청남 3 ปีที่แล้ว +1

    포인터 이해가 안되어서 헤메는 중이였는데 조금씩 감을 잡게 됩니다. 명강의 감사 합니다.

  • @Liz-wo4fr
    @Liz-wo4fr 5 ปีที่แล้ว +2

    처음 c를 접하면서 가장 막막했던 부분인데 영상을 통해서 정말 많이 얻고가요! 감사합니다

  • @대전_5반_김수은
    @대전_5반_김수은 5 ปีที่แล้ว +2

    진짜 명강의 인정이요 ,,, 강의 감사합니다 강사님 !!

  • @beethovenl.v6542
    @beethovenl.v6542 5 ปีที่แล้ว +4

    정말정말 고맙습니다 책도 이해가쉽고 강의까지 큐알코드로 달려잇어서 공부하기가 너무 편리해요
    존경함니다

  • @김수랑무-e1m
    @김수랑무-e1m 4 ปีที่แล้ว +1

    와 진짜 레전드네요..

  • @페리카나-t8i
    @페리카나-t8i 2 ปีที่แล้ว

    오케이

  • @chantata
    @chantata 3 ปีที่แล้ว +1

    덕분에 어려웠던 포인터 이해했습니다!!!

  • @HowToOrbit
    @HowToOrbit 5 ปีที่แล้ว +3

    지금 강의실서 3시간동안 c언어 교수님 수업듣고 있는데 걍 이영상 하나 스피드 2x해놓고 보는게 더 이해 잘된다. ㅅㅂ...

  • @cleverus_
    @cleverus_ 6 ปีที่แล้ว +1

    17:11
    잘듣고있습니다 ㅠㅠ 설명 어느곳보다 이해가 잘되네요

  • @suhyeonlee6136
    @suhyeonlee6136 6 ปีที่แล้ว +2

    되게 헷갈렸는데 쉽게 이해했어요! 감사합니다.

  • @stevelee6877
    @stevelee6877 8 ปีที่แล้ว +2

    덕분에 C를 이해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jwjypark
    @jwjypark 8 ปีที่แล้ว +6

    이해가 확실히 되었습니다.

  • @Leo-tg9ns
    @Leo-tg9ns 6 ปีที่แล้ว +1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조호연-u2n
    @조호연-u2n 5 ปีที่แล้ว +11

    유튜브에 C언어 포인터라고 검색해서 본 몇개의 동영상 중에 이해가 가장 잘 됩니다.
    혹시나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 이거 보면 좋을 듯해요

  • @user-kg7wt8zk4m
    @user-kg7wt8zk4m 4 ปีที่แล้ว +1

    21:00

  • @이민호-v5p
    @이민호-v5p 5 ปีที่แล้ว +1

    유튜브에 댓글 처음 남겨보는것 같아요 ㅠㅠ 감사합니다!!

  • @osreo77
    @osreo77 4 ปีที่แล้ว +1

    2021년 1월 30일 수강

  • @HanbitMedia93
    @HanbitMedia93  7 ปีที่แล้ว +1

    카페에 질문을 올려주시면 저자님이 답변을 해드립니다. 참고하세요~
    ► 바로가기: cafe.naver.com/thisisc

  • @hanscenica6616
    @hanscenica6616 9 ปีที่แล้ว +1

    very very good!!
    thanks a lot

  • @beanbin2
    @beanbin2 6 ปีที่แล้ว +1

    포인터 변수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했었는데 이해가 잘 되네요! 아직 헷갈리겠지만! 쨋든 감사합니다

  • @임찬우-z5x
    @임찬우-z5x 3 ปีที่แล้ว +2

    듣고 눈물 흘렸습니다. 포인터가 헷갈리시다면 꼭 들어야 되는 강의입니다.

  • @hoojeon770
    @hoojeon770 7 ปีที่แล้ว +1

    설명 너무 잘하신다;;;;

  • @powerdolls4021
    @powerdolls4021 4 ปีที่แล้ว +1

    요새 프로그래밍 언어들 명령어들을 왜 컬리브래킷 안에다 쓰지욥?^^

  • @Hmmwyd
    @Hmmwyd 8 ปีที่แล้ว +2

    학원에서 이해못했던 부분이였는데 확실하고 깔끔하게 부족했던 부분을 채워줘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 @powerdolls4021
    @powerdolls4021 4 ปีที่แล้ว +1

    C언어에 대해서 궁금한거 물어 바도 되나영?^^

  • @황인기-d7l
    @황인기-d7l 9 ปีที่แล้ว +1

    레알...칠판에 저렇게 쓰는건 힘드시네..좋은 감상하고 갑니다~~^^!!

  • @losansalusia8152
    @losansalusia8152 5 ปีที่แล้ว +1

    와 정말 길어요 .. 보다가 .. 지렸다

  • @간인-t6o
    @간인-t6o ปีที่แล้ว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