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체의 원리부터 최근 해외 논문 검증 동향까지! 이 영상 하나로 총정리! | 위클리쿠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4 ส.ค. 2023
  • 과학쿠키는 여러분의 후원을 통해 성장합니다.
    과학쿠키를 후원해주시는 가장 좋은 방법, 멤버쉽 구독! ▼
    / @snceckie
    구글, 카카오로 후원하기!▶toon.at/donate/sciencecookies_
    =============================================
    #초전도체 #LK99 #위클리쿠키
    Shooting Info
    - SONY A7C, A6600 with SONY LENS
    - SONY FDR-X3000 Action CAM
    - IPhone12 PRO
    Edit Software Info
    - Adobe Premiere Pro CC
    - Adobe Aftereffect CC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35

  • @snceckie
    @sncecki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6

    자막이 필요하신 분은 꼭 CC자막 기능을 켜 주세요!
    *IBS가 아니라 ISB입니다 ^^... 모르는 이론이다보니 용어도 틀렸네요 ㅠ_ㅠ..

    • @user-kz6vm4xh4x
      @user-kz6vm4xh4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CasperTheEssential악!!!

    • @anonymousviperlilli1l
      @anonymousviperlilli1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뭔진 모르겠지만 뭔가를 틀린걸 인지 하는것만으로도 대단하죠
      유튜브엔 그냥 아무말이나 떠들고 마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요 ㅠㅠ

    • @DSb-vn8qm
      @DSb-vn8q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응집 물리학? 입자 물리학등
      기초과학이 중요 하다는 걸 느끼며 영상이 퀄리티 있게 만들어저서 좋았습니다 중국도 빠르게 신지식을 받아드려 반응하는 모습이 놀라운데 이런건
      여느 나라나라와 다르지 않네요

    • @cw2315
      @cw231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모르는걸 아는척하지않고 당당히 모른다말하줄아는 용기있는 채널이네요 구독합니다.

    • @user-dq8ck4qu1q
      @user-dq8ck4qu1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단 회의적 관점으로 실험결과를 기다려야 하겠습니다

  • @user-jx6hf4rm1y
    @user-jx6hf4rm1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초전도 전공자로서 현재 뜨거운 실온초전도체에 대한 LK99 에 대한 상황을 가장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말씀해 주시네요. 다른 유튜브의 내용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제가 판단하기에는 이번 LK99 이 실온초전도체냐 아니냐의 문제도 중요하지만 실온초전도체의 현실에 한발짝 다가서는 사실을 제시한 것 같습니다. 만일 실온초전체로서 규명이 된다면 LK99이 바로 응용되는 것 보다는 보다 특성이 우수하고 상용가치가 높은 후보 물질들이 대거 나올것 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약간 아쉽게도 산화물 조성이라 선재화(도선화)의 문제로 인해 큰 에너지의 활용은 좀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될 것 입니다. 박막관련 소자로 활용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관련 기업 투자라던지 이런 부분에서는 유의 깊게 판단하셔야 합니다. 기존 초전도 관련 핵심기술은 사실상 극정온 냉각유지와 진공 및 절연이었지만 실온초전도는 이러한 냉각기술이 필요없기에... 초전도 관련 기업이나 그렇지 않는 기업이나 실온초전도체는 동일 출발선상에서 시작되는 거로 보시면 됩니다. 오히려 자금력과 에너지 시스템 혹은 반도체 소자를 주도적으로 만들고 있는 대기업들이 실제적인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봅니다.

    • @user-hd5vu8ox7s
      @user-hd5vu8ox7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 댓글이 우수하다고 선정되어 상품 받으시겠군요.

    • @user-ku9uo6tj1h
      @user-ku9uo6tj1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님의 답변에 지극히공감.공감 합니다.우수 댓글로 추천드립니다.

  • @user-rs6vf3ob2e
    @user-rs6vf3ob2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빠른결과보다 천천히 정확한 결과를 기다립니다 LK-99 연구원분들 화이팅하세요!

  • @purundotori
    @purundotor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7

    과학에 관심은 많지만 과학적 지식은 매우 부족한 사람으로, 과학쿠키 채널은 저 같은 사람에게 여러모로 유익하고 유용하다고 느낍니다. 시청하고 있다 보면 원리와 이론, 이슈가 되는 부분까지 간단명료하게 핵심을 쏙쏙 꺼내어 짚어 알려 주시는 덕분에 비교적 쉽게 이해가 되거든요.
    초전도 물질 LK-99, 과학계에 초미의 관심사와 논란으로 떠오른 것도 괜히 반갑네요. 과학계뿐만 아니라 일반인들까지도 들썩들썩하게 만들고 있어서요. 다른 연구진들이 도출한 결과들도 시시각각 발표될 것이고, 이것을 계기로 초전도 세계에 대한 시각이 좀 더 다양해질 거라 기대합니다.
    과학쿠키 채널 앞으로도 잘 부탁 드립니다.

    • @user-ek7ml2es9e
      @user-ek7ml2es9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sn2hs7qc1g24:11

  • @champ_martian
    @champ_martia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4

    이공계가 좋은대우를 못받는 곳에서, 그것도 비주류 이론이지만, 소신껏
    묵묵히 20여년을 연구해오신 분들에게 꼭 좋은 성과가 있기를 바랩니다.

    • @jong5371
      @jong537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맨날 바랜데 그만좀 바래라

    • @kk_jj_ww
      @kk_jj_w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jong5371저걸 안 바랄 수가 있냐 ㅋㅋ

    • @kenneth6093
      @kenneth609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kk_jj_ww맞춤법 틀려서 그런거 아님?

    • @user-ul8wy8sg3o
      @user-ul8wy8sg3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kk_jj_wwㅋㅋㅋㅋㅋ지능

    • @kk_jj_ww
      @kk_jj_w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ul8wy8sg3o 착각할 수도 있죠

  • @kirsheis
    @kirshei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역시 높은 퀄리의 내용과 깔끔한 편집! (근데 .. 역시 어려운 내용이라 반은 이해를 못하겠네요 ㅋㅋㅋ )
    각국 연구소의 결과가 너무 궁금하네요~

    • @crybaby35529
      @crybaby3552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여러분 제가 만든 멤피스 힙합 플레이리스트 한번 들어봐요 ㄹㅇ 좋아요

  • @sharin3489
    @sharin348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8

    꼭 좋은 성과를 이뤘으면 좋겠습니다.
    초전도체가 아니더라도 그와 상응하는 물질로 남아 인류사에 큰 획을 그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lehoonlee
      @lehoonle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문제는 삿된 욕심이지요.
      저속에
      진짜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이 있는데
      그게 뭔지 모르고 있거나
      최소한 초전도는 아니드래도
      반자성 상자성 강자성등등
      중요한 물리현상이 있을 수 있는데
      초전도에만 관심을 집중하니
      더 중요한 뭔가를
      놓치고 있는겁니다.
      황우석이가 했던게 그랬었지요.
      아니면 돈(주식)에 눈이 멀어
      합성한 물질이 초전도체가 아닌데
      상자성체나 강자성체가지고
      사기를 치고있는 겁니다.
      그것만 해도 대단한 것인데
      간과하고 있는겁니다.
      그리고 서양의 입자론적
      과학 문명의 시각으로만 보면
      한계가 분명합니다.
      원자 같은 입자로 보이는 것에
      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공간 그자체에서
      답을 찾아야 합니다.
      원자가 차지하는 공간은
      원자 핵이나 전자보다
      훨씬 크니까요.
      왜?
      99%의 공간은 무시하고
      한점 1%에만 집중 하는지...
      그 입자처럼 보이는것이
      진짜 입자가 아닐수도
      있는데 입자라 믿고
      신앙하는지....
      에너지의 파동이 겹쳐
      한점에 집중된
      그에너지 스팟을
      입자라 인식 할 수도
      있지요.
      결국 인식의 문제입니다.
      그래서 파동론적 유심론이
      현재 입자론 과학에
      접목되어야 합니다.
      텅비어 있는 공간 투성이
      원자로된 물질을
      딱딱한 물질이라
      인식하고 통과하지 못하는지
      다알면서...
      입자론적 과학론에 따르는
      향락 추구형
      유물론적 물질주의 문명이
      무너지는게 그리도 두렵나?
      그러니 입자면서 파동이라는
      귀신 씻나락 까먹는 것 같은
      미신적 헛소리를 하고 있지.
      그게 아니라는 것을
      이미 다 암시롱....

    • @wongiseong3311
      @wongiseong331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lehoonlee 할배 발닦고 주무셔

    • @user-yc9fs1mj3c
      @user-yc9fs1mj3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wongiseong3311애송이가 뭘 안다고. 애기들은 유치원가라

    • @user-mt3qc9iu6t
      @user-mt3qc9iu6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lehoonlee애매하게 아시네요 ㅋㅋ
      유튜브 정보도 좋지만 논문보시면 일반적인 궁금한점도 해소 되실거예요
      근데 끊임없이 왜? 라는 질문하면 답이 없긴합니다 ㅋㅋ

    • @NG-ud2tc
      @NG-ud2t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Welcome 사기 구라 400% 황우석 시즌2

  • @keyonha5051
    @keyonha505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정말 알면 알수록 어렵고 복잡하네요, 방송보고 조금이나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rudamo8322
    @rudamo832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과학쪽에 문외한이지만 지루해하지 않고 끝까지 다 봤습니다. 참 유익했습니다. 고맙습니다.

  • @weather_note
    @weather_not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최근 마구 쏟아지는 초전도체 관련 영상 중 단연코 Top.3 안에 드는 것 같습니다ㅜㅜ 정말 훌륭하고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와 과학쿠키의 초전도체 영상이라니 이건 귀하다

  • @bacw5352
    @bacw535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해하기 쉽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닷

  • @soonjaelee9774
    @soonjaelee977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4

    최동식 교수는 과거 인터뷰에서 다른 조건을 희생하더라도 유용한 특성만 얻으면 되는 것이 아닌가하고 했습니다. 초전도체의 다른 특성이 없더라도 저항이 0이고 구부리고 펼 수 있는 가공이 가능한 물질이면 시대적 전환을 알릴 수 있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

    • @Miles_Link
      @Miles_Lin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아쉽게도 발표된 논문 대로라면 미세한 차이지만 저항 값이 구리보다도 높다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정밀하게 연구해서 실제 사례로 좀더 명확하게 구현해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 합니다.

    • @ik964
      @ik96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Miles_Link 그래도 오마카세 먹고 똥으로 나오는데 들어가는 혈세보다는 개발지원해야할 이유가 높다고 봅니다.

    • @akom9273
      @akom927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Miles_Link
      타 유튜버도 저항이 구리보다 높다는 점을 지적하니깐 정희준 박사님이 반박한 내용이
      그래프 저항이 구리보다 높다=>
      "원래 초전도체 검증할땐 높은 스케일에서 점핑만 확인하려고 찍기 때문에 저항값은 신경 안쓴다 점핑 확인이 주목적인거다
      구리보다 1000배 높다는둥 이거는 측정목적도 제대로 이해못한거다
      저항 0 찍고싶으면 정밀 초전도 측정을 따로 한다."라고 하셨더라고요.
      이분 학력이
      연대 신소재공학과 세라믹금속 복수학위
      스탠포드 재료공학 박사
      노스웨스턴 재료공학 연구원
      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인 걸 보면 재료공학에 관해서는 상당히 신뢰도 높으신 분이신 건 맞는 거 같습니다.

    • @amondbongbong999
      @amondbongbong99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밀 저항 측정된 논문은 이번 아카이브 말고 국내학술지에 냈었다는 말이 있긴하네요

    • @zirize
      @ziriz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Miles_Link 최근에 해외 LK-99를 옹호하는 연구자들사이에서는 저항이 높을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이론상 현행 제작방식으로는 저항을 0으로 만들 수 없으며 차후 새로운 공정(이를테면 Chemical vapor deposition등)이 도입되면 이 문제는 해결할 수 있을거라고 보더라구요. 따라서 저항 자체가 0이 안나오는 거는 초전도체 인정에 크게 문제가 안될 수 있습니다.

  • @korg1201
    @korg120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미국 연구진은 초전도체가 아니라고 했네요.

  • @gyuhyeonhwang9872
    @gyuhyeonhwang987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이런거 있으면 격려하고 응원하고 밀어주지는 못할망정 까내리는게 뭐가 그렇게 좋은지 모르겠네. 응원합니다 정말 많이 고생이 정말 많으십니다. 꼭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 @user-kv4hp8tw4u
    @user-kv4hp8tw4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 성과 기다리겠습니다.
    쿠키님 오늘도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지루한 하루를
    과학쿠키로 재미지게 보내게 해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 @user-fb9hz9pk5u
    @user-fb9hz9pk5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항상 인사이트를 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초전도체 만큼이나 초핵심내용을 보여주셔서 도움이 너무 많이 됩니다..🎉

  • @SODAsoda_
    @SODAsoda_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비전공자도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마음이 굉장히 편안해요. 지금 당장은 완벽하지 않더라도 인류사의 한 획을 긋는 역사적 시점이 되길 바라봅니다.

    • @snceckie
      @sncecki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user-fn6rt3ug1f
    @user-fn6rt3ug1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좋습니다 저도 첫날 초전도체 부정적 시각이후 논문 검토후 납,구리.. 반자성체지만 이런 특성이 없다. 오직 초전도 특성만 설명이 가능하다

  • @rlawoqhd
    @rlawoqh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나가다 들려 봤는데 내 귀가 솔깃해 지는 깔끔한 설명 잘 보았습니다 덕분에 구독도 누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jhk9833
    @jhk983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깔끔한 설명 감사합니다

  • @sky2024
    @sky202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좋은 결과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

  • @wj748
    @wj74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꿈의 물질의 발견..
    과학을 좋아하고 여러 과학유튜버들을 찾아보는 입장에서 작년까지만 해도 몇몇 과학자들이 21세기 안에 sf 영화에 나오는 것들이 현실이 된다는 말이 그저 허상으로 다가왔는데 이정도면 진짜 가능하지 않을까 싶고 하루 빨리 상온 초전도체가 상용화 될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네요
    + 내가 이 시대에 태어났다는게 너무 놀랍고 행복하다..

  • @choi6793
    @choi679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쉽게설명해주셔서감사합니다

  • @user-uo4ny3dx8f
    @user-uo4ny3dx8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설명 감사합니다~~ 😊

  • @ryu_1010
    @ryu_101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멋진 쿠키님❤ ^^

  • @user-fd1ho4nr8l
    @user-fd1ho4nr8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수많은 과학채널이 있고 그 내용과 별반 차이없는 쿠키영상이었지만.....우린 감동한다... 영상에 정성이 들어가있을때 우린 이렇게 슈퍼포커싱을 하게된다... 이것 또한 다른의미의 슈퍼컨덕터 ^^

  • @user-eb4hr3js3g
    @user-eb4hr3js3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퀄리티굿입니다
    잘 배워갑니다~

  • @sandart7
    @sandart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차분하고 객관적인 리포트 잘 봤습니다.

  • @jkim5256
    @jkim525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이런 것을 한국에서도 연구하고 시도하고 있었구나 알게 된 것만으로도 응원하게 됩니다. 무의미한 연구는 결코 없습니다. 결과가 어떻든 연구자 분들 계속 힘내주시길.

    • @yoyoyout
      @yoyoyou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럼 설 중에 하나인 우한 코로나 연구소도 유의미함?

    • @MaybeNotMaybe
      @MaybeNotMayb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grayit527사이비과학, 유사과학은 과학이 아닙니다

  • @ickdx
    @ickd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쿠키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머릿속이 많이 정리된 것 같아요

  • @rdytogo9803
    @rdytogo980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고 최동식 교수님의 IBS 이론을 엔트로피(물질의 전자 배열에 따른 엔트로피 상태)로 설명을 하신 인터뷰를 본듯 합니다.

  • @boocdl625
    @boocdl62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보는 와중에 댓글단다. 쿠키 설명은 심지어 교육부에서 '외주교육자료'로 써야 하는 자료라고 생각한다. 좋다.

  • @ottocutie3369
    @ottocutie336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쿠키님의 초전도체 영상! 역시 기대에 지지 않는 영상이네요! 간단히만 알고 있었는데 더욱 자새히 알아볼 수 있는 좋은 영상입니다 :)

  • @user-wn5im2qt4k
    @user-wn5im2qt4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학적인 낭만이 물씬 풍기는 영상들이 너무 좋습니다. 여기 영상 분위기가 너무 좋습니다.

  • @_arceon_
    @_arceon_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18:42 검색해보니까 오류가 있는거 같아요. IBS이론이 아니라 ISB(Inter Atomic Superconducting Band) 이론입니다

    • @snceckie
      @sncecki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앗, 감사합니다 ㅠ_ㅠ...! 자막으로 반영해둘게요!

  • @user-jz6lz3rb7w
    @user-jz6lz3rb7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관측 결과가
    점프하는 수치가
    나타나니
    이를 해석할려면
    초전도체가 되어야 한다
    고 하던데
    초전도체 이던지
    아니면 새로운 성질을 발견한 것이던지
    최적의 배합과 전자위치를 찾은 거라고 해외 유명 과학자가 논평하면서
    합성 레시피를 공개해줘서
    감사하다고 말하심

  • @user-fq1sc6dr8s
    @user-fq1sc6dr8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학쿠키님의 영상 기다리고있었어요!!!
    전문과학채널 크리에이터님들 영상 기다리는데 조심스러운 부분이라 그런지 영상들이 많이 안올라오네요.
    단비같은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ws2ho3eq4n
    @user-ws2ho3eq4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알기쉽게 설명 굿굿

  • @DRMDstyle
    @DRMDstyl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초전도 이론은 크게 BCS 와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이론으로 나뉘고 후자는 비주류여서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최동식 교수는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초전도 이론을 기본으로 연구를 발전시켜 온듯 해요.

  • @derrikj.30
    @derrikj.3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애고. 어떤 유투버도 이렇게 자세하게 다루지 못했는데 만드느라 고생하셧어요.

  • @pro_ae
    @pro_a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가장 알기쉽게 설명해준 영상 👍👍

  • @kbs2187
    @kbs218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초전도체. 가 궁금해서 여기저기 찾아봤지만 이곳이 제일 정확하고 알기쉽게 설명 해주셨습니다..
    큰 도움이 된거 같습니다..
    결과들이 정말 궁금합니다...

  • @user-wp8rn3qg5f
    @user-wp8rn3qg5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

    연구자 분들 응원 합니다.
    행여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닌 제3의 무엇이라고 하더라도 그분들은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한것 뿐인데 (사실 발표되어졌다..라고 해야함) 그게 왜 이렇게 조롱받을 일인지 정말 이해 할수가 없음.
    이번 일로 의사가 아닌 과학자가 꿈이 된 아이들이 많이 생겼을꺼라고 생각함.

    • @heyteed7143
      @heyteed714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저도 동감합니다~ 미래에는 의사공화국에서 과학자가 쏟아져 나오는 나라가 되었으면 합니다.
      자원경쟁을 할수없는 우리나라가 해외에 수출도 거의 불가능하고 많은 부분 AI로 대체 가능한 의사들 보다는 지식을 퍼트리는 의학연구자와 과학자들이 넘쳐나기를..

    • @user-wp8rn3qg5f
      @user-wp8rn3qg5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user-yx1ig1ef2j 합의없이 처음에 내지른 그x 는 저도 굉장히 비난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연구진분들 모두 싸잡아서 이연구는 사기다..뻥이다.. 덮어놓고 결론지으려고 하는 사람들이 이해가 안된다고 한것 뿐입니다.

    • @user-ms6vf3uw6x
      @user-ms6vf3uw6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홈페이지에 삼성 등 협력업체 허위 기재 및 도용

    • @iilililiiilliillilililil
      @iilililiiilliillililili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 의도가 악의적이니 문제지 이 모질아 ㅋㅋ 한턱 땡길려고 그러는 게 뻔히 보이는 데 연구 결과를 발표한 것 뿐이라고? ㅋㅋㅋㅋㅋ 넌 진짜 살면서 사기 조심해라 ㅋㅋ 애가 왜케 단순하냐 ㅋㅋ

    • @tcybam
      @tcyba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왜냐면 초전도 현상이 증명되었다면서 아무 상관 없는 영상을 계속 올리는데다 협력사 명단 무단도용했으니까 ㅋㅋㅋ
      다 쉴드 쳐도 협력사 구라깐 건 욕 안먹을 수가 없는데? 의도도 의심되지 않을 수 없지

  • @user-nl1th9vl5l
    @user-nl1th9vl5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초전도체 대한민국 국민이 발견함 정말 대단합니다. 좋은영상 잘 시청했습니다.

  • @awesome-mz2lj
    @awesome-mz2lj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매우 객관적이고 지식적이고 깔끔한 설명…. 아름다운 영상입니다. 대한민국에 영광이 있기를…!!!!

  • @digifuhu
    @digifuh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11 이 영상도 lk99 영상인가요? 원본 영상이 뭔지 알수있을까요?

  • @LoHenP
    @LoHen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과학쿠키님마저 초전도체를 다뤄주시다니 맛있게 먹겠습니다

    • @user-wq4yt2ym7r
      @user-wq4yt2ym7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냠냠

    • @sem3242
      @sem324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바삭바삭

  • @user-jb2ht8jm8t
    @user-jb2ht8jm8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와 아주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발 사실이기를

  • @kstarpiece
    @kstarpiec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금까지 LK-99를 설명하는 관련 과학 영상 중에서 가장 흥미롭고 깔끔하게 설명하는 영상이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jl1xv8xp6f
    @user-jl1xv8xp6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정에 치우치지 않은 좋은 설명 !!
    감사합니다.

  • @sinhwa1030
    @sinhwa103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영상 잘보았습이다. 많은 과학 유투버들이 리뷰했지만, 역시 쿠키님 영상이 제일 과학적인것 같아요. 우리나라에서 국제적 이슈가 된 것은 황우석 교수가 떠오르네요. 초전도체말고, 완전도체만 되도 엄청난 발견이라고 하던데, 이 둘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혹시 상온상압이 아니더라도 초전도체는 아니지만 완전도체인 어떤 물질이 개발된 사례가 있을까요?

  • @qtskorea007
    @qtskorea00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역시 과학쿠키... 정리 완벽. 아아 부디 검증되길 !

  • @user-pw2ht5kz8i
    @user-pw2ht5kz8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마지막 화면에서 상온상압 초전도체의 성공과 한국에서의 업적에 대한 열망이 느껴 지네요~~^^
    동감합니다 가슴은 뛰지만 조용히 결과를 기다려 봐야 할것 같네요^^

  • @211st4
    @211st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쿠퍼 양자터널링 결맞음 납 구리말고 다른걸로치환하면 비스무트같은게 왠지 효과 더좋을거같다.. 많은 노하우가 있을듯

  • @miltonjeong8436
    @miltonjeong843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

    역시 과학쿠키는 일반 과학유튜버들보다 퀄리티가 높네요^^ 김현탁 교수님 말로는 분명 초전도체 특성을 보이는 부분이 있다. 순도가 현재는 낮다. 순도를 높이는 걸 전세계가 같이 연구해보자. 라 하시니 응원하며 기다리는 수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사기니 주가조작 이니 하면서 순수 과학자들의 노력에 힘빠지는 소리들 좀 안하면 좋겠습니다

  • @user-stellainparis
    @user-stellainpari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올해 운이 좋게 도에서 개최한 토론대회에 참석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그때 저희 팀이 초전도체 관련 내용으로 발표했던 게 생각나네요:)
    주어진 시간내에 BCS이론과 초전도체의 원리등을 완벽히 파악하지 못해 엄청 당황했었던 기억이…ㅎㅎ 그때 이후로 다시 안 찾아봤는데 이렇게 이슈화 되니 참 신기하네요(제가 낸 아이디언데..좀 자랑스럽네요😆😆) 무튼 그때 이해 못한 내용을 쉽게 정리해주시니 ‘아ㅏㅏㅏㅏ’하면서 봤습니다! ㅎㅎ
    덕분에 늘 과학에 대한 탐구 욕심이 샘솟습니다~~! 감사해요:)

    • @user-hj3sw3zw3w
      @user-hj3sw3zw3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박실구 정춘길 바래요

  • @user-ec9qy4cb2k
    @user-ec9qy4cb2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과학쿠키님 항상 화이팅입니다.

  • @bloopers_make_me
    @bloopers_make_m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랜만에 이렇게 뜨거운 관심을 받는 모습을 보게 되어 기분이 좋습니다

  • @ilovetuve
    @ilovetuv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과학도이지만 초전도체에 대해서 이렇게 재미있고 상세하게 설명은 처음인 것 같습니다. 이번 LK-99 이슈를 바라보면서 어떤이는 사기라고 하고 비난하는 댓글을 많이 봐왔습니다. 쿠키님처럼 우리나라가 이처럼 세계의 관심을 받았던적이 있었던가 생각을 해보게 되는데요. 혹자는 이번 연구결과는 제2의 황우석이다라고 까지 말하는 것을 보고 저번 황우석 사태로 많은 사람들이 과학계에 실망이 컸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번 일은 좀 다르게 보여지는데요 우선 이번 연구는 아카이브라는 사전 논문 사이트에 해당 논문을 올리고 검증해달라고 요청한점을 들 수 있는데요 저번 황우석 사태는 논문 결과를 조작을 한것이기 때문에 비난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연구내용이 진짜 상온 초전도체라면 정말 좋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상온 초전도체의 관심과 가능성을 봤다고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저도 좋은 결과로 얻기를 희망하며 지금은 비난보다는 진행되는 상황을 지키보는 것이 현명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 @user-dx5op4uz5h
    @user-dx5op4uz5h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레고리 페렐만!
    아카이브에 논문 하나를 올리게 됩니다.
    누구도 이것이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푸앵카레의 법칙.
    수학7대 난제를 해결한 것이지요.
    그는
    필즈상도 러시아 수학정회원도
    교수직도 다 거부합니다.
    기존 학회의
    이면을 알고 있기 때문이죠.
    순수한 열정으로
    오직 연구하는 수없이 많은
    분들이 있습니다.
    연구자들이
    언변이 화려하고
    사람과의 친목과 정치에 능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 5차 산업혁명의
    첫걸음을 나간겁니다.
    그 어떤 결과가
    나와도
    그분들이
    수십년이라는 시간에
    수천번을 노력한 것에 대해
    경의를 표합니다.

  • @user-ku9uo6tj1h
    @user-ku9uo6tj1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과학을 쿠키처럼 맛있게 만들어 주시는 이효종 선생님의 설명은 과학을 모르는 분들도 바로 이해하게 해주시는 특별한 강의 법이 있음을 항상 느낍니다.
    세상에는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사라지고 있지요.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인간의 능력으로 어떻게 다 알 수 있겠습니까?
    인류에게 많은 업적을 남기고 간 그분들의 탐구와 연구 노력이 오늘날까지 학설과 표준으로 자리 잡아 과학계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기본과 정량의 척도로 가름 되어 지식의 발전이 이루어 지고 있는 것은 우리는 그나마 좋은 시대에 살고 있음을 의미하는 거겠죠?
    LK99상온 초전도체 논문으로 학계뿐 아니라 세계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음은 당연한 현상이라 생각합니다.
    그만큼 필요한 소재였기 때문에 100년 전부터 연구되어진 분야가 아니겠습니까?
    현대사회는 인간이 볼 수 없는 한계를 과학기술로 볼 수 있게 되었고 들을 수 없는 소리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발전된 과학 문명입니다.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인간의 능력으로 완전하게 설명한다는 건 참으로 어려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보이는 현상을 과학적 해석으로 설명한다는 건 결국 본질의 설명이라 할 것입니다.
    본질의 설명으로 진입하는 것은 철학적 사고에까지 도달되는 과학과 비 과학의 소통이 필요한 아이러니가 존재하게 됩니다.
    100년이 넘도록 해결하지 못한 초전도체를 개발하였다는 뉴스는 관심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LK99 를 개발한 Q 연구소의 경우 제조법을 상세하게 공개하게 된 이유가 있을 겁니다.
    단순히 내부적 의견 문제로 공개하게 되었다는 사정은 새로운 의구심을 유발하는 이유로 판단되며 20 여 년 간 분야의 연구를 해온 연구자들의 노력은 어떤 형태로든 보상 되어야 할 것입니다.
    비록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또 다른 분야의 한 소재로써 유용한 재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100년 전 과학의 체계를 만들어준 많은 과학자들의 지식을 기초로 오늘날의 과학이 이루어진 것처럼 LK99는 새로운 소재 개발의 길을 만들어줄 계기가 되었다고 봅니다.
    LK 99의 논문 데이터에서 30mA조건에서 섭씨 104도 근방에서 저항이 0점에 가깝게 나타나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는데 저항이 0이라고 단정짓지 못하고 있음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라 판단되고 그래프의 표시보다 수치가 표현되는 데이터가 있다면 더 좋았을 걸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전압의 표시가 없는데 전압 (AC, DC)의 표시가 있었다면 실제로 투입된 전력량이 얼마였는지 이해가 빨랐을 것입니다.
    섭씨 104도의 온도 하에서 저항이 0에 가깝다는 건 결국 초전도체로 사용되더라도 104도(물론 그 이하일 수도)를 유지해야하는 필요는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영하 150도에 비하면 유지나 관리면에서 유리한 면이 있을 수 있으나 완전한 상온은 아닌 듯 판단되는 대목입니다.
    결론적으로 제조법을 공개해준 덕분으로 세계각국의 초전도 관련 학문에 큰 변화를 제공한 Q 에너지 연구소 관계자들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 이를 잘 설명해 주신 과학쿠키 영상 제작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과학을 쿠키처럼 자주 보도록 하겠습니다.

  • @nansa87
    @nansa8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다리고 있었다구!

  • @yulho2696
    @yulho269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시원한설명감사합니다!

  • @user-gz1op9sr1g
    @user-gz1op9sr1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초전도체의 발견 스토리와 현재까지 지나온 과정..
    정말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기서..질문
    LK99 가 상온상압 에서 저항 0 까지는 아니더라도..
    상당히 낮은 저항이 나타난다면.. 이것이 의미없는 발견인가요? 아님 의미 있는 발견 인가요..?

    • @user-gv7xc7mx9q
      @user-gv7xc7mx9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최소 저항값을 50%이하로만 낮추고 상용화 미치 가격경쟁력까지 갖추면 산업적인 측면에서 획기적인 발견임..
      저항값이 0만 되어도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발견임..상온상압초전도체에 마이스너 효과 까지 가능하면 빠른시일내에 우주여행이 가능해지고 핵융합로같은 미래에너지가 곧 코앞에 다가온다는걸 의미하는거구요
      즉, 저항값 0에 가까운 물질만 만들어도 산업혁명급이고 진정한 초전도체를 만들었다면 인류가 우주진출이 가능해질정도로 문명이 몇단계 상승하는거임
      가장 중요한건 화석연료의 소비가 줄어들어서 지구온난화등의 기후변화에 더이상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거..
      즉, 지구가 이상기후로 망할일이 없어진다는거

    • @paranbits
      @paranbit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gv7xc7mx9q 맞는 말씀. 현재 저항이 가장 낮은 물질은 은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리보다 저항이 낮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많은 분야에 응용가능. 상당히 의미있는 물질.

  • @thewolf9586
    @thewolf958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7

    정말 진심으로 상온초전도체의 발견이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이지구를 지키기 위해...

    • @user-wh6gy1mh8r
      @user-wh6gy1mh8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지구가 아니고 인류,.지구는 크게봤을때타격없음..

    • @heyteed7143
      @heyteed714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wh6gy1mh8r 지구에는 무기물 외에도 인간 포함, 동식물 등등.. 많은 존재가 있다.
      그들도 인간의 헛짓거리의 피해자이기에.. 초전도체의 발견은 그들 포함에서 모든것이 더이상 고통받지 않게 보호하는 일도 된다.
      초전도체의 발견은 인간에 의한 파괴를 지연시키는 범지구적 구원이라고 봐도 됨.

    • @user-se4sw6wo8e
      @user-se4sw6wo8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h-cam.com/video/BGdMuQanYos/w-d-xo.html

    • @mmix875
      @mmix87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eyteed71435번의 대멸종 2번의 운석 충돌도 지구에겐 별 타격 없엇고 지구 온난화 진행되봐야 현생 생물들의 대부분이 멸종할뿐 대략 인류 멸망 이후 1만년만 지나면 지구는 다시 식어서 다른 생명체가 지상에 출현할 가능성이 높음 초전도체가 발명 안되면 ㅈ되는건 현생 인류와 생명체들 뿐이지 지구 입장에선 별거 없음

    • @garlicbananana
      @garlicbananana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eyteed7143달이나 화성이나 태양은 시체냐? ..요?

  • @brainnuts
    @brainnut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역시 과학쿠키님 영상이 최고네요

  • @user-eb2pe4lj1b
    @user-eb2pe4lj1b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재 개발한(초전도체)로만 산업화하다가 점차적으로 조금씩 업그레이드하여 뫈성해가면 어떨까요
    완벽한 물질을 처음부터 하기보다는 산업화하여 경제에 이받이함이 어떨까요 ...

  • @nirvanapark5765
    @nirvanapark576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younghakkwon7754
    @younghakkwon775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설령 과학적 견지의 초전도체 개발의 완전 성공이 안 되드라도, 나름 공학적 견지에서 일상 생활에 응용할 여지는 있지 않을까?

  • @user-dq2fx6ro5z
    @user-dq2fx6ro5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트브방송에서 일반사람도 산소 용접기로 구워서 만들던되 가능한가요 그렇게 쉽게 만들수있나요?

  • @nilos1974
    @nilos197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신소재공학과에 맞춰 세특 준비하다가.. 친구들로 부터 엄청난 카톡을 받은 기억이 나네요ㅎㅎ
    중간중간 이해하기 힘든 내용도 있었지만, 정말 정리를 잘해주셔서 끝까지 몰입하며 보게 된 것 같습니다😊
    상온 초전도체..
    솔직히 마음만은 진실이었으면 하지만 뭐라해야 할까요,
    너무 초월적이고 신적인 물질이라 과연 납, 구리같은 물질로 만들었다는 게 오히려 너무 거짓말 같이 느껴지네요. 하지만 이런 뜨거운 관심을 통해 세계가 그 만큼 과학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죽기 직전에 한 번은 초전도체가 상용화된 세상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명강의 잘들었습니다

  • @bosedigit
    @bosedigi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7

    논문 요약 : 고압 상온 초전도체가 되는 이유는 분자구조의 원자간간격이 압력에 의해서 좁아져서 초전도체가 되는것. 그걸 기존 분자구조에 납 원자로 넣어서 원자간 간격을 좁게 만들어 고압의 효과 (왜그런지는 정확한 이론을 모름) 를 내서 상온상압 초전도체가 가능. 그런데 현재 기술적한계로 모든 분자에 납원자를 끼워넣는 기술이 없음. 그걸 높이는게 순도를 높인다는거고 부분적으로 뜨는 이유가 어떤 분자엔 납이들어가서 촘촘한데 어떤분자엔 안들어가 있어서 이부분이 가장 어려운 해결과제라서 그런거지 해당 분자의 결정구조가 초전도체인것은 맞음.

    • @user-ks1lf3yp1k
      @user-ks1lf3yp1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게 맞는 거 같음

    • @Vvarkry
      @Vvarkr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오 명쾌한 해석이네요

    • @JH_1012
      @JH_101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맞는 것 같네요

    • @Harts..star612
      @Harts..star61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nightcat6761
      @nightcat676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결국 핵심은 기존의 고온,저온 초전도체처럼 상용화를 할수 없다는 소리잖아.
      낮은 확률로 되었다 말았다 하는 이상현상의 재료는 쓸수가 없음. 정확한 알고리즘과 원리를 알아야만 그게 상용화가 가능한거임

  • @haeyo357
    @haeyo35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결과가 어떻게 되든 이런 이슈들이 생기는 것이 이쪽에 관심 없었던 사람들에게 약간이라도 상상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상황이 아닌가 하네요

    • @emlim2197
      @emlim219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국에 사기라면? 사람들에게 해당분야에 대한 안좋은 시각이 만들어지는건?

    • @NG-ud2tc
      @NG-ud2t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Welcome 사기 구라 400% 황우석 시즌2

    • @user-jr5ey5ri1j
      @user-jr5ey5ri1j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elloWorldS2 퀀텀 연구소 주식이 있나? 없지 않음?

    • @yuiopot
      @yuiopo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r5ey5ri1j주가 조작은 무조건 자사 주식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할 수 있는데ㅋㅋㅋㅋ

    • @helloWorldS2
      @helloWorldS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r5ey5ri1j 멍청한 소리 ㅋㅋ

  • @user-kk1kh2mx4u
    @user-kk1kh2mx4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30 무거운 원소인 납이 원자들의 진동을 억제하는게 쿠퍼쌍형성을 어렵게 할 수도 있지만 그만큼 인계온도 조건은 맞추기 쉬워지는것 아닌가요?

  • @YooNae._.02
    @YooNae._.0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혹시 마이크 뭐 쓰시는지 알 수 있을까요?

  • @oioxix6816
    @oioxix681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음... 아카이브 공개된 논문좀 읽어주세요!
    0:36 처럼 물질에 압력을 가하여 초전도 현상을 유도하는 것처럼
    LK-99는 분자단위에서 원자의 화학결합을 이용해 압력을 가하겠다는 발상인데요...
    이 때, 내부의 3개 원자가 진동하며, 초전도 현상을 유발하는 것 같습니다만...
    전공자가 아니어서
    논문을 봐도 모른다는....

    • @pi4q948
      @pi4q94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압 초전도체의 경우에는 수만 기압을 가해줘야하는데 단순한결합에서의 에너지가 이를 대체 가능할것인지 회의적으로 보이긴 합니디.

  • @user-fg6vz7ig8t
    @user-fg6vz7ig8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성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은 가공법이 불안정해서 1차원적인 초전도현상이 일어나지만
    원리를 파악했으니 3차원 초전도는 시간문제임

  • @user-ry3jy3yv8f
    @user-ry3jy3yv8f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 완벽히 이해했어!

  • @user-rg6iy7lk8m
    @user-rg6iy7lk8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런연구가
    있다는사실만 해도
    엄청난 발전으로 봅니다

  •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요약.
    애초에 정립된 이론이 없는 분야이기에 가능성 탐구를 위해
    재현실험해보는 것에 긍정적 관점을 가지고 있지만,
    LK-99가 초전도체일 것이다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회의적으로 생각한다.
    를 완곡히 표현함.

    • @YoutubeFootball-nq9nl
      @YoutubeFootball-nq9n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양자역학도 안받아들여졌었는데 뭐
      과학이 그런거라 생각함

    • @max_7344
      @max_734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폭로한 배신자자식 냄새가 심상치 않어. 새튼이 황박사 줄기세포특허 무단등록 스멜. 그자식 범죄행위한거 왜 논란이 안되는지 의문

  • @deukkyookim2700
    @deukkyookim270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와 설명 너무 멋집니다.
    대한민국 과학계에 부탁하고 싶은 것은 대의를 위하여 주도권이나 당파성 버리고 조금의.가능성이라도 있으면 부정적인 말은 삼가고 개발자님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힘을 실어 주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나라에서 조금 변형하여 자기네 기술이라고 우깁니다

    • @Harts..star612
      @Harts..star61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습니다.👍

  • @user-jv2dk3lh1v
    @user-jv2dk3lh1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계점에 다다른 지구에게 한줄기 빛같은 희망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 @user-uc3hd8ud2y
    @user-uc3hd8ud2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확실하다!

  • @corelcid
    @corelci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일단 기존의 주류 이론에 반기를 들고, 90년대부터 꾸준히 연구해온 분들의 의지에 존경을 표합니다.
    주류에 속한채로 몇번의 실험이 실패했으면, 몇년만에 끝냈을 연구인데, 수십년간 지속을 했다는 것은 어떠한 희망을 가져서 진행한 것이 아닐까요.
    멋진 개념 소개와 정리된 사례를 전달해주신 쿠키님. 감사합니다.

  • @formyfaterland
    @formyfaterlan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딱 어제 중국에서 퀀텀락킹으로 밖에 생각할 수 없는 영상도 공개되더군요.
    분자식을 좀 바꿨다는 이야기도 있고. 뭔가 뭔가 기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나오긴 하네요.

    • @user-yv8fc2ng6h
      @user-yv8fc2ng6h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마다 새로운 조건을 첨삭하며 도전하고 얻어걸리는 곳은 대박이겠죠.
      만일 된다면 한국 연구진은 선구자의 업적 정도는 남을 것 같네요.

  • @user-np7gt7yg3p
    @user-np7gt7yg3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되면 최고겠지만 전세계가 들썩거리는 이슈도 재밌네요 ㅎㅎ
    내가 모르는 누군가가 우리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려고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그들에게 응원을 보내고 싶습니다.

  • @Nate57817.
    @Nate5781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쿠키님 정말 궁금한게 마이스너 현상을 이용해 열차를 띄워 고속전철을 만들수 있다던데 손으로만 눌러도 공중부양한 초전도체가 자석에 닿는데 그 무거운 열차를 어케 띄운다는건지요? 글구 여러 채널에서 초전도체를 다루지만 믿음이가는건 과학쿠키라 이걸로 한방에 정리했습니다 ㅎ

  • @user-kp7fx8zg8c
    @user-kp7fx8zg8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안될과학보다 훨씬 깊이가 있내. 고맙습니다. 잘봤습니다.

  • @pusbq-yuchangbong4247
    @pusbq-yuchangbong424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제발 이 모든 연구결과가 대우받기를 기원합니다.

  • @user-tr5ti7bd6g
    @user-tr5ti7bd6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과학쪽에는 문외한이지만 인류의 한사람으로서 초전도체이든, 전혀 새로운 다른 물질이든, 요즘날씨 보면 바로 다음세대들이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갈지 걱정되는 세상을 조금이라도 살아갈만한 세상으로 만드는데 도움이되는 발견이 되기를 가슴깊이 기원합니다.

  • @casino3311
    @casino331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소중한설명에ㄱㅅ드립니다

  • @user-rz3nb3dh5k
    @user-rz3nb3dh5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초전도체 맞습니다
    공개된 자료대로 제가 집에서 그대로 실험 해보았으며 무난히 성공했습니다
    정말 기적의 발견 입니다
    이건 무조건 노벨상 입니다

  • @yoonchanlee3314
    @yoonchanlee331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이렇게 갑툭튀해서 이슈가 되지 않아도 꾸준히 연구해오신 과학자분들이 더 많고 존경스럽습니다. 장미빛 희망을 준다고, 그 결과를 검증하는 분들이 부당한 비난을 받지 않기를 바랍니다.

  • @ohmaohmaoma
    @ohmaohmaoma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쿠키님만 기다렸어요 🎉🎉

  • @SDKIM-wd9zq
    @SDKIM-wd9z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워낙 대단한 이슈라 어떻게 끝날지 감도 안잡히네요. 일단 초전도체가 맞다는 가정하에 상온에서 초전도체가 존재한다는것 하나만으로도 엄청난 발전을 가져 올거라 당장은 상용화는 못하더라도 많은 발전을 가져올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 @soundjiyoung
    @soundjiyoun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만약 진짜 상온 초전도체라면 미래 과학기술이 어떻게 변할지 상상이 안 간다. 오래 살고 싶을정도로 진짜 재밌겠다.

    • @user-wq9vd8zt4j
      @user-wq9vd8zt4j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하하하하 오래살고 싶을 정도라는 말이 확 꼿히네요 ㅎ

    •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 걸리버 여행기 보면 하늘에 떠 있는 그런 나라

    • @user-gv7xc7mx9q
      @user-gv7xc7mx9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mh8rx3jq6o 현재 존재하는 그 상온이 마이너스 200도 이하에서만 작동하는거고
      이건 그냥 마이너스 20도 이상에서 영상의 기온까지 작동이 가능한 물질이잖아..똑바로 알고 좀

    • @user-en9nq1fg4z
      @user-en9nq1fg4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v7xc7mx9q 말씀하시는 건 고온 초전도체예요. 상온 초전도체랑 다릅니다.

    • @llxzen
      @llxze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v7xc7mx9q상온이 영하 200도...ㅋㅋ 님이 말한거 영상에 나오는 고온이잔아요 똑바로 알고 좀....

  • @user-we2ch6tx5m
    @user-we2ch6tx5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열띤 강의 잘 들었습니다! 100%를 얻지 못하더라도 50% 아니 1%라도 얻는 것이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연금술이 금을 만들지는 못해도 인류의 과학발전에 크게 기여 하였듯이... 아직은 설레이는 기대를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이 발견이 휴지조각처럼 버려지지 않기를, 황우석의 줄기세포 경우처럼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기를 두손 모아 기도합니다!🎉❤❤❤~

  • @baekho7556
    @baekho755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질문이 있습니다!!!
    초전도체를 사용한 전선을 만든다면, 이론적으로 발전소에서 일반 가정까지 (변압기나 변전소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220v로 송전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그렇게 되면.... 수많은 일자리가 없어질 것 같은데.....

  • @user-om8de7hg5o
    @user-om8de7hg5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긍정적❤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