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펙’이 사업에 불리한 의외의 이유 I 7년의 시행착오 19분 요약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4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7

  • @kim_seo_han
    @kim_seo_han  9 วันที่ผ่านมา +9

    🔻'고스펙'이 사업에 유리해지는 방법
    www.coachkim.kr

    • @jung1410
      @jung1410 18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안녕하세요 매일밤 잠못이루는 사장입니다.
      우연하게 보게되었습니다.
      대표님과 뼈속까지 비슷한 기버 1인 인것 같은데
      혹시 미팅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까요?
      기회를 주시면 감사합니다.

  • @jkim3323
    @jkim3323 8 วันที่ผ่านมา +25

    제가 느낀점
    1. '고스펙' 일수록 이거저거 너무 따짐. 조심성도 너무 많음. 리스크가 감당 가능하면 사업은 이것저것 시도해봐야 됨. 시작도 하기전에 이건 어쩌고 저쩌고 입이랑 머리로 사업하고 있음. 실제 해보면 현실은 많이 다름.
    2. 실패에 대한 두려움. '고스펙' 일수록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큼. 사업은 결국 이것저것해보고 본인이 직접 느껴야함. 실패도 두려워하면 안되는데, 이 실패가 두려워 시도를 안하게 됨. 고스펙들은 학창시절 성적은 물론, 취업도 잘했겠다. 인생 실패 경험은 해봐야 의치대 못간거, 서울대 원하는 과 못한거 수준입니다.
    3. '고스펙' 일수록 경험의 부족. 직업의 부족. 고스펙 특성상 해봐야 대딩때 알바 한두개, 과외 좀 해본게 직업의 전부. 이러고 바로 기업체나 공무원 시작. 사업 현실감각이 없음. '저스펙'은 어렸을때부터 수많은 직업을 경험해봄. 이런 최저시급 받으며 했던 일들이 전부 사업 밑천임. 경영학과 학위 10번 받아봐야 현장감각이 없음. 하다못해 식당 차리면 설거지라도 해봤어야 주방감각이 있고, 홀서빙을 해봤어야 업무분장, 주문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짬. 고스펙은 메뉴얼 그대로 따라하거나 시행착오를 훨신많이 겪어야함.
    4. 저는 미국에서 부업 수준으로 몇개 했다가 이미 본업을 넘어섰습니다. 의료보험, 수입2배, ,정신적으로 각오만 되면 부업을 전업화 할 계획입니다. 제가 미국와서 느낀건 얘네들은 직업이 참 다양합니다. 다들 어렸을때부터 이것저것 경험을 엄청해봅니다. mba 가봐도 한국에서 오신분들은 보통 대기업 하나에서 쭉일하다 옵니다. 미국에서는 직업 5~10개는 해본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한국 출신 mba들은 많은분들이 결국 돌아가서 더 좋은 직장을 찾는게 목적인 느낌이 대부분 이었고요. 미국은 반면 취업목적인 경우도 분명있지만 본인 사업 대박 노리는 애들이 훨씬 많습니다.
    5. 와이프랑 저 둘다 나름 고스펙이긴한데.. 제가 얼마전에 느낀점..
    50% 확률로 0원 + 50% 확률로 20불 이득 -> 예전의 저라면 절대 안했습니다. 와이프는 지금도 망하면 어쩔건데 왜 하냐고 합니다.. 그런데 하나 요새는 생각이 바뀌게 되더군요.
    50% 확률로 0원 + 50% 확률로 20불 이득 + 초기투자금 10불 -> 확률상 퉁칩니다. 그리고 "경험" 이가능합니다. 사업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이 섭니다. 해봤더니 퉁 쳐진다? 그럼 성공한겁니다.. 그 이후로는 확률도 조정하고, 수익도 조절하면 새로운 아이템이 나온거죠..

    • @kim_seo_han
      @kim_seo_han  8 วันที่ผ่านมา +3

      사기캐 고스펙자다

    • @일반계정입니다
      @일반계정입니다 2 วันที่ผ่านมา

      미국이니까 그나마 성공한 거 처럼 보이는거예요. 엄청 쉬운 곳이 미국임

  • @가나다라-g9f
    @가나다라-g9f 8 วันที่ผ่านมา +12

    고맙습니다 이야기가 늘 재밌어서 기다려집니다요💜

    • @kim_seo_han
      @kim_seo_han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agarimute
    @agarimute 8 วันที่ผ่านมา +12

    항상 동감합니다 😊

    • @kim_seo_han
      @kim_seo_han  8 วันที่ผ่านมา +2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agarimute
      @agarimute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kim_seo_han

  • @zooooong
    @zooooong 7 วันที่ผ่านมา +4

    저는 1인 영상제작자입니다. 20년 넘게 직장생활을 하면서 매거진, 광고회사 브랜드 매니저, 온라인마케팅회사, 외국계기업에서 마케팅 담당까지 하다가 마흔중반에 1인 영상제작을 하고 있습니다. 테크니션 필드에서 중년의 길을 가네요. 요즘은 ai도 틈틈히 적용테스트 해보고 있고요. 동료가 없는 세계에 나오니 더 다양한 이야기를 찾게됩니다. 공감 많이됩니다~ 앞으로도 좋은 인사이트 부탁합니다!

    • @kim_seo_han
      @kim_seo_han  7 วันที่ผ่านมา

      공감해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저도 1인기업 이에요❤

  • @강서나와바리
    @강서나와바리 7 วันที่ผ่านมา +4

    3:50 20세기 석유재벌 록펠러가 일반시민교육위원회를 만듬.
    절대자가 세팅해놓은 시스템 안에 노동자가 필요했기 때문에.
    록펠러가 일반시민교육위원회가 만들고 그게 university가 된거임

    • @kim_seo_han
      @kim_seo_han  7 วันที่ผ่านมา +2

      대박 이런 통찰력 감사해요❤

  • @mayokang9204
    @mayokang9204 8 วันที่ผ่านมา +8

    대표님 안녕하세요, 대학생의 신분인 시점에서, 어쩌면 현재의 제 모습까지는 대표님과 비슷한 삶의 고민과 도전, 성취를 이뤄온 20대입니다.
    휴학 후 일찍이 사회생활을 경험하고 사업에도 관심을 가져 활동을 하다가 다시 대학생활을 마치고자, 그리고 마지막일지도 모르는 남은 대학생활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은데 대표님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내거를 하고 싶은 동시에, 대학생활을 후회로 남기고 싶지는 않은 생각에,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게 되니 정말 고민이 끝도 없어지더라고요.
    아무래도 대학은 학점관리, 취업 준비, 동시에 대학생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지원사업과 공모전 대회 등등이 많아 고민이 많이 되더라구요.
    올려주신 4개의 영상을 모두 정독했는데요, 참 많은 배움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im_seo_han
      @kim_seo_han  8 วันที่ผ่านมา +2

      와 20대에 이런 통찰까지 오셨다니 정말 존경합니다.

    • @mayokang9204
      @mayokang9204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kim_seo_han
      20대 끝을 바라보고 있습니다...ㅎㅎ 통찰이라기엔 많이 부끄럽고 아직 많이 부족합니다

  • @hahadont2
    @hahadont2 8 วันที่ผ่านมา +11

    대표님 마케팅뷰 채널에서 엔트로피 개념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이 채널까지 오게되었는데요.
    제가 지금 그 부분 때문에 너무 고민이 많아서 그 내용에 대해서 자세하게 듣고싶은데 어디가면 볼수있을까요?!

    • @kim_seo_han
      @kim_seo_han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요글을 한번 읽어 보세용
      cafe.naver.com/water4me/10508

  • @frogeatssnake6811
    @frogeatssnake6811 8 วันที่ผ่านมา +16

    성공은 수많은 실패와 경험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인데
    엘리트들은 자신이 실패할 수 있다는 것을 납득하려 하지 않고 리스크를 짊어지려 하지도 않음.
    반면에 저학력자들은 밑져야 본전이니 일단 부딪히고 처절하게 싸워 나가면서 오뚜기처럼 계속 도전함.
    그래서 성공한 사람들 보면 의외로 고졸 이하 학력자들이 상당히 많음..
    해외에서는 빌 게이츠, 스티브 잡스, 주커버그 등. 물론 국내에도 김봉진, 김성수, 이수진 등이 있음.
    특히 성공한 인플루언서들 중에는 저학력자가 대부분임.

    • @김-p5x6k
      @김-p5x6k 8 วันที่ผ่านมา +5

      빌게이츠, 스티브잡스, 주커버그가 저학력자라고요? ㅋㅋㅋㅋ 이미 어렸을 때부터 다독과 높은 수준의 문해력으로 대학 교육이 별로 필요없다고 생각해서 대학을 중퇴하거나 그런거지 원래 좋은 대학 입학했어요. 그리고 고졸인데 성공한 사람 대부분이 충분한 학습능력이 있는데, 대학을 안 간거뿐임.

    •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 8 วันที่ผ่านมา

      대학은 가야합니다 주변인이 병신들이면 사업성공 아니 인생을 패망으로 갑니다
      신앙을 가져도 서울대에서 예불 예배 미사 드리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 @Rrs-5def
      @Rrs-5def 8 วันที่ผ่านมา

      김성수 이수진은 잘 모르겠고 암튼 국내 탑클래스들은 전부 스카이 출신입니다. 네이버 이해진, 카카오 김범수, 넥슨 김정주, 셀트리온 서정진, 하이브 방시혁 등 전부 스카이출신입니다. 그리고 삼성 이재용, 신세계 정용진도 서울대구요. 김봉진은 명함도 못내밉니다. 프로방송인 백종원, 딴따라 박진영도 스카이네요.

  • @naver199
    @naver199 6 วันที่ผ่านมา +3

    똑똒타~

    • @kim_seo_han
      @kim_seo_han  6 วันที่ผ่านมา

      똑똑하게 봐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 @지식빅뱅
    @지식빅뱅 8 วันที่ผ่านมา +9

    퍼널을 엄청 잘 짜셨네요. 앞으로 바뀔 거대 패러다임의 선구자 같으십니다. 혹시 mbti가 어케 되시나요

    • @kim_seo_han
      @kim_seo_han  8 วันที่ผ่านมา +3

      헉 저의 퍼널을 알아보시다니. 선구자 같으세요. 저는 INTP입니다❤

  • @jjingeng
    @jjingeng 8 วันที่ผ่านมา +4

    팩트는.
    스펙이 아니라 그 스펙을 갖출 기량이 있냐 없냐 같습니다.
    내가 만약 큰 돈을 벌고 싶은 사람이다 라면, 당연 최종 목적지는 비지니스 일겁니다.
    그 비지니스맨 으로 가는 길에 많은 역경과 고난들이 있는데, 보통은 고스펙자들이 그 길로 가고자 마음 먹으면 그 역경 고난들을 잘 극복합니다.
    이게 기량이죠.
    근데 고스펙자라도 뭐.. 돈은 좋아하지만 딱히 내가 이걸해서 부자가 될거야 라는 다짐을 하지 않고 그냥 현 상황에 흘러가는대로 사는것에 더 안주하는사람들은
    딱히.. 그냥 안하는거죠. 고스펙지라고 사업과 안맞는게 아니라, 그냥 마음가짐이 다른거 같습니다.
    그 AI전문가라는 분은 AI에 대한 공부를 할 기량이 우리보다 월등한거고, 대표님은 그 기술을 이용하여 비지니스를 하여 매출로 만드는 기량이 월등한부분인것 같습니다.
    즉, 그 기량은 AI전문가나 대표님이나 같지만, 목적지가 다를 뿐이죠.
    그 기량 자체가 없는 사람들은 스펙도 못갖추며, 사업또한 못합니다.
    대표님도 어찌보면 스펙을 갖추기 위해 역경과 고난을 극복할 수 있는 기량이 있던 분이었기에,
    비지니스라는 방향을 가졌을 때, 그 길을 잘 헤어나갈 수 있었다고 봅니다.
    즉, 고스펙자가 만약 돈의 목적 혹은 다른 사명감을 가졌을때,
    반드시 비지니스를 해야한다라고 다짐을 하면 오히려 저 스펙(뭐 공부도 안해보고 새로운것을 배우는걸 안해보는 사람들, 학습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훨씬 빠르고 단단하게
    비지니스에 진입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단지, 비지니스를 대하는 마음이 적고 만만히 봤기에 적극적으로 스펙을 쌓는것 만한 기량을 발휘하지 않았을 뿐이죠..

    • @kim_seo_han
      @kim_seo_han  8 วันที่ผ่านมา +2

      엄청난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지식빅뱅
      @지식빅뱅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서한 대표님 말도 공감가고 댓글다시분 의견도 공감가네요. 기득권이 다른 생각 못하게 촘촘하게 시스템을 만들어놨죠.. 고스펙이 사업에 몰두하면 엄청난 성과가 나올 것. 지금이 어떻개 보면 저스펙자들의 경쟁이 적은 기회로 보입니다.

  • @namyangmed
    @namyangmed 7 วันที่ผ่านมา +3

    아이고 저도 동감합니다 월급주면 자기 아이디어들어갔다고 시제품상태에서 발명직무제로 매출에서 돈달라고 해서 짤랐는데 외주주니 능력도 않되는놈이 마치 자기가 신인 마냥 질질 일을 끌기나 하고
    지분주고 월급도 주면서 시킬만한 놈이 없네요

    • @kim_seo_han
      @kim_seo_han  6 วันที่ผ่านมา

      공감해주서 넘. 감사해요^^*.

    • @user-yp1in3qd1k
      @user-yp1in3qd1k 6 วันที่ผ่านมา +1

      ?? 직무발명보상금 진짜 조금정도는 주고 쓰는 게 장기적으로 더 나은 판단 아닌가요? 월급은 줄이고 매출비례 로얄티 준다고 하면 알아서 노예처럼 일해줄텐데 왜 굳이 짜르는건가요?

  • @하몽-x4z
    @하몽-x4z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고스펙이 맞나요?

    • @kim_seo_han
      @kim_seo_han  8 วันที่ผ่านมา +8

      앗 제 스펙은 전혀 고스펙이 아니고요. 저희가 추구했던 '학벌'을 브랜딩의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하버드 대학교 강의를 유튜브로 볼 수 있는 시대에는 '어떤 교육이 필요할까'를 사업 교육하는 사람 관점에서 생각해보니, 오히려 사업 초중반에는 '학벌이 좋다'는 것에 매달리면 불확실성의 세계에서 살아남기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니, 그 한계점을 돌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시길 바라면서 영상 만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