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is the volume negative??? Let's learn about dB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ก.พ. 2025
  • 데시벨로 표기되는 볼륨의 가장 작은값은 80정도?? 가장 큰 값은 0 으로 되어 있습니다. 데시벨(dB)이 뭔지 왜 볼륨에 이렇게 표기되었는지 원리와 이유를 설명해드리고 직접 실험으로 확인도 해봅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69

  • @Enlightenment_2025
    @Enlightenment_202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왜 0dB인지 오늘에야 이해했습니다. 고맙습니다.

  • @jeongsoopark9198
    @jeongsoopark919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도움이 되는 정보 영상입니다. 데시벨 dB (deci Bell) 은 음향에서도 많이 씁니다. 공식은 20 곱하기 로그(측정 음압/기준음압) 입니다. 기준음압은 20 마이크로 파스칼 이죠. 음향에서 dB 를 쓰는 이유는 기준음압과 실제 음압차이가 너무 심해서 로그 함수를 써야 우리가 일상에서 알아볼 수 있는 숫자가 되죠. 기준 음압은 사람의 귀가 감지할수 있는 최소 음압이랍니다. 우리가 소음을 표시할 때 80 데시벨이 라고 쓰는데 이 데시벨 계산 공식입니다. 전기에서 쓰는 dB 하고는 공식이 조금 다르지만 원리는 같습니다. 기준값보다 측정값이 작으면 dB 는 0 보다 작아지는데 이 것이 로그함수의 원리이죠.

  • @arpeggionephilos925
    @arpeggionephilos92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와우......이렇게 놀라운 사이트를 나는 왜 이제야 발견했지?.....재밌어요....설명 깔끔해요.....형광펜 설명 좋아요.

  • @LFD-ls7li
    @LFD-ls7l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런건 아무도 안 알려주지만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지식이죠 좋은 내용이네요

  • @selltone
    @sellton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누르고 오늘은 일요일 dB져 자야겠네요^^

  • @junwonjung6099
    @junwonjung609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정말 쉽고 명확한 설명이네요. 덕분에 제대로 dB에대해 이해했습니다.

  • @hfkais
    @hfkai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옛날 오디오에 저렇게 적혀있는 게 전혀 이해가 안 됐었는데 이런 뜻이었군요~ 실제 기기로 찍어서 설명해주시기 이해가 쏙쏙 됩니다. 감사합니다~

  • @서울쥐
    @서울쥐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A4 용지에 출력해서 고체형광펜으로 설명해주시는 장면이 너무 정겨우면서도 이해가 잘 가요. 공대 출신 삼촌을 보는 것 같습니다.ㅎㅎ

  • @yangsu94
    @yangsu9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음질 문제때문에 증폭보단 감쇄 시키는게 이익이라는 이야기. dB는 log를 쓰니깐 log10은 대충 3.3배 씩 변한다는 내용.

  • @user-senstive
    @user-senstiv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너무 감사합니다😊

  • @힝잇-w1s
    @힝잇-w1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오오오 이거였어..........이해쏙쏙

  • @predator-ih9qg
    @predator-ih9q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박학다식하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박성일-m4m
    @박성일-m4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알고싶은 부분이었는데 귀찮아서 지내다 이번강의보고 해피합니다.

  • @sunnysonny4914
    @sunnysonny491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와 설명 이해가 쏙쏙 엄청납니다

  • @ksc1820
    @ksc182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강의 잘 들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 @seihojang7449
    @seihojang744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데논 AV 리시버 볼륨이 db라서 뭔가? 하면서도 몇 년을 그냥 썼는데,
    설명을 보니 대충 이해가 되네요.
    잘 봤습니다. ^^

  • @문짱가람
    @문짱가람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yh9328
    @yh932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안녕하세요.
    저도 처음에는 이해가 안갔는데 설명을 들으니 이해가 갑니다.
    볼륨조절 노브는 가변저항으로 되어 있는데 쉽게 저항값이 커져서(동영상에서 무한대) 인풋을 낮추게 되면 볼륨이 0이 출력되고 저항값을 줄여서(동영상에서 0)인풋을 최대로 출력하게 되면 볼륨이 100이 된다고 이해하면 더 쉬울듯합니다.^^

  • @Tigerblowfish
    @Tigerblowfis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옛날부터 궁금했던 건데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그나저나, 채널에 어쩌다 처음 들어와보고 (같은 분야의 다른 채널)공돌이파파님과 친척이실까 싶게 닮으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ㅎㅎ

  • @0928andy
    @0928and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어려워요...ㅠㅡㅠ 그냥 0에서 100이 편한데 굳이-80db라니....다시 들어볼께요

  • @manobit
    @manobi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거 진짜 궁금했는데, 쉽게 설명해 주셔서 큰 도움이 됐습니다!

  • @okabari
    @okabar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와 몰랐던건데 감사합니다

  • @조성철-w4c
    @조성철-w4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라인아웃이나 프리아웃에 추가 장착한 앰프의 원음 손실이 없는 이유가 그 이유 겠네요. 감사합니다.

  • @plzdbr5826
    @plzdbr582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볼륨을 높여라 =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낮춰라

  • @djlipsum1526
    @djlipsum152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개인적으로 오됴기기 -dB설정 법제화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ㅋㅋㅋ

  • @마케팅자문-b6q
    @마케팅자문-b6q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정말 몰라서 여쮜봅니다.
    앰프가 사실은 감쇄기? 또느 저항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요, 그럼 왜 앰플리파어어, 즉 증폭기라는 반대의 명칭으로 부르는가요?

    • @electro_profiler
      @electro_profiler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입력신호를 감쇄해가면서 증폭시킨다는 의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앰프는 입력신호의 전압의 일부와 대부분 전류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증폭율은 동일하게 작동하는데 볼륨으로 입력되는 원신호를 감쇄시켜서 입력하는 방식이라고 보면 어떨까요? 예를들어 엔진이 고정된 RPM인 4,000으로 일정하게 회전하는데 기어비를 사용해서 바퀴의 낮은 회전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최대 볼륨은 RPM 4,000 에 바퀴회전 4,000 인 1:1 (0dB) 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 @민초냉밥
    @민초냉밥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용하는 믹서들 보면 최소가 -무한대, 최대 20dB로 나와있던데, 0dB 기준으로 입력보다 줄이고 증폭해서 +/-가 있구나 하고 예상했는데 이게 맞는 거였군요.
    그럼 20dB로 올리면 입력보다 10배를 증폭시킨다고 생각하면 되는군요>?

  • @씨진-s5f
    @씨진-s5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입력 볼륨과 출력 볼륨이 있는 프리엠프는 어떻게 조절하나요?

  • @심랑-f9v
    @심랑-f9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DB 손해보험에서 빵터짐...;;;;;;

  • @동크림슨
    @동크림슨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럼 마이너스 몇 db로 하는게 좋을까요? 0db는 소리에 왜곡이 있을 것 같은데..........참고로 ev70 dac 구입했는데 마이너스 20db로 하니 노트북에서 인티앰프로 막바로 연결했을 때 보다 소리가 좀 적어요...

  • @leehaks
    @leehak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참고로 엠프에서 단순히 몇배인지 표시하지 않고 dB로 표현하는것은 사람이 느끼는 음량과 관계가 있습니다. 즉 -20dB(10배)와 -40dB(100)는 소리가 실제로는 10배 차이가 나지만 사람은 대략 2배 차이로 느낍니다.

    • @509th_Bomb_Wing
      @509th_Bomb_Wi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말도 안되는 소릴ㅋㅋㅋ 아이고 님아 음파 관련 무료 에디터 많아요.. 20dB차 한번 체험해보시고 그래도 2배로 들린다면 이비인후과 한번 가보세요..

  • @unborndreams1615
    @unborndreams161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스피커로 음악을 들을때 볼륨을 높이면 높일수록 소리가 더 좋게 느껴지던게 우연은 아닌가봐요. 어서 맞다고 해주세요

    • @electro_profiler
      @electro_profile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맞아요 ^^

    • @바굼
      @바굼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원래 소리가 클수록 음질을 좋다고 느낌 ㅋㅋㅋ 그래서 요즘 음악 나오는거 보면 경쟁적으로 기본 볼륨을 점점 더 올리는 추세라 너무 소리가 커서 게인으로 줄여야될정도임

  • @geminiacademy
    @geminiacadem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udio bit depth로 설명을 했음 더좋았을듯 싶어요

  • @하늘새-y9p
    @하늘새-y9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새롭게 학습

  • @neoeobz
    @neoeob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최대가 1이면 감소 시키는 건데요...그런데 왜 앰프 증폭이라할까요? 감쇄라 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앰프라고 불리는 어원도 궁금하네요.

    • @electro_profiler
      @electro_profil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앰프의 증폭은 맞아요. 그런데 증폭에 들어가는 신호를 원신호가 최대이고 그나머지 작은 볼륨은 원신호보다 감쇠한 신호로 넣는다는 얘기죠. 그니깐 증폭부는 무조건 들어오는 신호를 일정하게 증폭만 하는거고, 볼륨 기능이 들어가는 신호를 원신호(최대)보다 작게 넣어가면서 조정한다는 얘기입니다.

  • @제임스박씨
    @제임스박씨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증폭기의 증폭율은 고정되어 있고..... 대신 입력신호의 크기를 줄여서 볼륨을 조절한다는 건가...

  • @Shineyongs.
    @Shineyong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프로 오디오에서 게인값 0dB라는게 원래 소스신호 세기라 볼수 있겠군요

  • @eujin70
    @eujin7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dB는 디비 손해보험 이전에 동부...

  • @mya-mya-mya
    @mya-mya-my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에이징은 존재한다!!!!

  • @kiyoungyoo5709
    @kiyoungyoo570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파워앰프 출력 즉 스피커로 가는 출력도 몇 볼트 나오는지 측정해보실예정이신가요? 갑자기 궁금해 지내요.

    • @electro_profiler
      @electro_profil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스피커 출력전압과 유효출력 계산 콘텐츠에서 다뤘었습니다. 몇 V 정도까지 나오는지 한번 보세요
      th-cam.com/video/uLv1AHZ3A60/w-d-xo.htmlsi=PUh6_jIN1wfoaCgk

    • @kiyoungyoo5709
      @kiyoungyoo570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lectro_profiler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jeongilkim3087
    @jeongilkim308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설명에 오류가 있네요.
    볼륨은 증폭기의 입력신호에 대한 감쇄기에 해당하지요.
    따라서 최대 볼륨은 감쇠를 하지 않은 것이고 최저는 완전 감쇠인것입니다.
    증폭기는 이 입력신호를 설계된 출력으로 증폭하며 출럭은 1볼트가 최대가 아니고 수십에서 수백 볼트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앰프 설계예 따라 다릅니다. 이런 허접한 공학을 프로파일러란 이름을 부치다니.
    또한 전압은 부하에 따라 달라집니다.
    스피커가 임피던스가 같아도 소리가 달라지는 것은 코일의 저항과 코일의 교류 주파수에 따른 용량에 따라서 또한 진동판의 무게 질량 뎀퍼의 탄성과 스피커 박스와의 공간공명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음질이 달라 집니다.

  • @Visalems
    @Visalem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깔끔합니다

  • @user-bj6bc1in8bf
    @user-bj6bc1in8b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dB손해보험ㅋㅋㅋㅋㅋㅌㅌㅌㅌㅌㅋㅋㅋㅋㅋ

  • @bho2848
    @bho284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음.볼륨에서의 데시벨은 이해 됐는데요, 소음 측정할 때 쓰는 데시벨하고는 다른건가요?

    • @electro_profiler
      @electro_profil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같습니다. 소음.측정시는 아무.것도 안들리는 소리를 0dB로 하고 늘어나는.음압을 + dB로 표기합니다

    • @bho2848
      @bho284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lectro_profiler 아..발생과 억제의 차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DaddyBrownbr
    @DaddyBrownb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4:15 이게 뭔 말씀인가요? 앰프는 원래신호를 얼마간 증폭시켜 내보내는 장치이고, 선생님 설명은 프리앰프부 (볼륨제어부)에 대한 설명 되겠습니다. 어디가서 그렇게 말씀하시면 한소리 듣습니다. 앰플리파이어 라는 단어의 원래 뜻이 뭔가요?

  • @씨진-s5f
    @씨진-s5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테뉴에이터 볼륨은 왜 좋은가요?

  • @jwc3104
    @jwc310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티앰프를 갖고 설명하시려니 좀 횡설수설 하시는것 같네요.
    분리형 파워앰프와 프리앰프를 갖고 설명하셨으면 훨씬 쉬웠을거에요.
    음향기기 (라이브 믹서, 마이크, PA 스피커) 를 접하기전에 반드시 이해해야하는것이 dB 죠.

  • @DavidKim1413
    @DavidKim14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음 어렵게 설명하시네요 걍 레퍼런스 레젤로 설명햐주시면 좋을것을 저 피크 라는것
    리고 0db는 레처런 레벨로 계산해보시면 답이 나옵니다. 1볼트고 뭐고 디 필요 없습니다. 벌륨이 올라가면 감쇄한 량이 살아나고 낮아지면 감쇠한다고요. ㅋㅋㅋ 전원 벌테이지러 버면 그렇지민 래퍼런스 레벨로 보시면 그게 뭘 얘기하는지 알게 됩니다. 즉 음압의 차이입니다. 구글에 레퍼런스 래벨로 검샥하시면 바로 답 나옵니다.

    • @electro_profiler
      @electro_profil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려요. ^^;;;
      이 콘텐츠는 레퍼런스 레벨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혹시 다른 분들에게 혼선을 드릴까봐 답변을 해놉니다.
      감사합니다!

  • @igolfnew
    @igolfnew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분은 프리앰프와 메인앰프의 개념을 모르시는 분이구나, 설명은 스피커연결이 없는 메인앰프 앞단에 있는 프리앰프에 대한 내용입니다. 뒷 단 스피커를 연결하는 메인앰프(파워앰프)는 단위도 다르고 설명 내용과 전혀 다릅니다.

  • @DavidKim1413
    @DavidKim14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0db는 우리가 아는 0db가 아닙니다. 볼륨 다이나믹 래인지를 어떻게 설계했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ㅋㅋㅋ 영상 올려 주신분이 설명래주신것은 전기적인 이야기구요. 음향에서 볼룸 레인지는 레퍼런스 레벨을 기준으로 합니다. 지금 설명하는것 믿지 마시고 구 글링 해 보시면 제가 지금 문 말 하는지 비로 아시게 됩니다. 이런 영상 안 보시는게 오디오 마니아들에개 도움이 됩니다. 레처런스 레벨로 설명을 하는게 아니라 전기적으로 설명하시는것 즉 같은 얘기이지민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하는 말인거 같네요. 일반 방성의 래퍼런스. 유튜브의 레퍼런스. 네플릭스의 레퍼런스 그리고 유럽 미국 아시아 방송국들의 레처런스를 설먕해주셨으면 더 유익했을 듯 합니다. 되지도 않는 0db 기준이 아니거요

    • @electro_profiler
      @electro_profil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구독자님들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덧붙인다면 프리앰프단의 볼륨에 표기된 -80dB 에서 0dB 표기는 레퍼런스 레벨과는 무관합니다. 단지 입력신호를 감쇠한다는 의미이고 최대볼륨 0dB는 입력신호를 그대로 전달한다는 의미입니다. 님께서 설명한 레퍼런스 레벨은 음향 기기간 신호 전송에 있어서 기준 레벨(전앖 Vrms)을 정하기 위한 표기이고, 이 콘텐츠에서 설명하는 것과는 다른 내용입니다. 혼동 없으시기를 바랍니다.

    • @bluesono
      @blueson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dB 뒤에 dBu, dBV, dBFS 등의 문자가 붙으면 절대값, 그냥 dB로만 보면 상대값이라 보면 됩니다. 0dB로 정해놓은 어떤 값에 비해서 -30dB 줄였다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레퍼런스 레벨은 되려 -10dBV인 컨수머 기준이래야 합니다. 근데, 이건 입력단에서의 기준인거고, 앰프는 실제 스피커의 음압출력이 기준으로 되니까 그대로 적용하긴 어렵습니다. 한가지 문제는 증폭은 이미 부하에 의해 정해집니다. 볼륨은 입력감도를 조정할 뿐이구요. 그걸 증폭으로 보는 것 보다는 감쇄로 봐야하는 것이지요.

    • @OrangeNet
      @OrangeNe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말을 해도 좀 곱게 하시지..설령 님말이 맞다손 치더라도 말투가 살살 긁으면서 우위에 설려는 말투라서 영 별로네

    • @서동혁-h3k
      @서동혁-h3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bluesono그것도 살짝 오개념입니다 이를테면 dBc는 디비 뒤에 문자가 붙었지만 상대적인값이고 dBi도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케바케입니다. 잘 알아보셔서 즐거운 음악생활하시길..

    • @KS-gf5dj
      @KS-gf5d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음향 얘기를 하는 영상이 아닌데 굳이 찾아와서 음향이 아니라 전기적인 얘기한다고 혼자 딴소리하네 ㅂㅅ

  • @AludranReptiloid-p5q
    @AludranReptiloid-p5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초점이 엉망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