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자동화 얘기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이후, 물가가 무섭게 오르면서 인건비가 인상되면서 대두되었었다. 결국은? 대기업과 일부업종을 제외하면 해외로 공장을 이주하거나, 싼 외노자를 쓰고, 외주하청이 되었음. 자 그럼...중소기업이 '자동화'가 되면 무슨일 일어날거 같나? 생산비와 위험발생이 줄어든만큼 단가 후려친다. 결국 자동화 하나 안하나 중소기업이 버는액수는 변함없다. 더구나 자동화를 하면, 관리와 제품변경시의 돈이 더 들게 되므로 효율이 그닥 좋은것도 없게된다. ... 문제는 한가지 더 있다. 업체의 생산데이터가 관리업체로 '빅 데이터'명목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것. 따라서... 관리와 변경/보수등을 업체내에서 할 수 있는 체제가 될 때까지는 그리 발전하지는 않을것이라 생각함.
아 이거 공장 테스트서버네
게임 업데이트를 우선적용해서 버그나 불합리한 부분을 확인하고 보완하는데 사용하는 테섭을
현실 그것도 공장에 도입할 생각을 하다니
대단한걸?
전혀 다른말임. 디지털 트윈은 실시간(Realtime)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
둘다 가능한 쓰임새임
이미 다른 산업에서 적용하려고 함 관련 플랫폼들도 나오고 있고
좀더 화려해진, 직관적인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보면 됨. 위에서 보았드시 전혀 동작이 일치 하지 않고, 3D 영상도 끊기는 모습임.
공장자동화 얘기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이후, 물가가 무섭게 오르면서 인건비가 인상되면서 대두되었었다.
결국은?
대기업과 일부업종을 제외하면
해외로 공장을 이주하거나, 싼 외노자를 쓰고, 외주하청이 되었음.
자 그럼...중소기업이 '자동화'가 되면 무슨일 일어날거 같나?
생산비와 위험발생이 줄어든만큼 단가 후려친다.
결국 자동화 하나 안하나 중소기업이 버는액수는 변함없다.
더구나 자동화를 하면, 관리와 제품변경시의 돈이 더 들게 되므로 효율이 그닥 좋은것도 없게된다.
...
문제는 한가지 더 있다.
업체의 생산데이터가 관리업체로 '빅 데이터'명목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것.
따라서...
관리와 변경/보수등을 업체내에서 할 수 있는 체제가 될 때까지는 그리 발전하지는 않을것이라 생각함.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만 있으면 원시시대에서 지금 비행기 날라다니고 우주가는 시대가 올 수가 없지 ㅋㅋㅋㅋ원래 세상이 발전할려면 이렇게 댓글로 안되는 이유 씨부리는것보다 일단 해보는게 중요한거고 그 과정에서 발전하는거지
아마존프라임은 이미하고있어요.. 인건비나 저출산도 문제 자동화는 선택이아니라 나아가서 필수 가 되겠죠
응 안써 그돈으로 단가 낮추면 계약더 따는게 시급하
듣기엔 좋지....
40년전 CAM기술일뿐,,,
원래 모든 기술은 다 완성되었습니다. 구현할 플랫폼개발이 늦어졌을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