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Revolution Brought on by Phono Sapiens | Choi Jaeboong, Professor at Sungkyunkwan University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3 พ.ค. 2019
  • * English subtitles are available.
    Some 10 years ago, the Earth saw the birth of a new humankind, the Phono Sapiens. They are the people who use smartphones as they are natural parts of their bodies. How should we prepare for the age of revolution? I'll show you how to prepare for and lead the civilization of Phono Sapiens.
    ✻ To inquire about the lecturer, go to our homepage
    ☞ sebasi.co.kr/speaker
    ✻ Click on the link below to watch '15 Min to Change the World' videos every time they're uploaded
    ☞ bit.ly/2odEydm
    ✻ Enjoy '15 Min to Change the World' contents from A to Z with TH-cam membership
    ☞ bit.ly/2URQKU4
    ✻ The fastest way to apply for lectures
    ☞ apply.sebasi.co.kr
    ✻ Visit the homepage of '15 Min to Change the World' to meet various speakers and their lectures!
    ☞ www.sebasi.co.kr
    ✻ '15 Min to Change the World' Facebook page | / sebasi15
    ✻ '15 Min to Change the World' Instagram | / sebasi15
    ✻ '15 Min to Change the World' Kakao Story | story.kakao.com/ch/sebasi
    ✻ Copyright to all lectures are with '15 Min to Change the World Corp.'. Illegal download, re-upload and reproduction of video or audio content is legally prohibited."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61

  • @IF_IFJ
    @IF_IFJ 4 ปีที่แล้ว +51

    4:53 미국의 백화점vs아마존
    5:32 금융/유통/미디어 혁명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한말이 생각나네요. "한국 학생들은 학교와 학원에서 미래에 필요하지도 않을 지식과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하루 15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공부를 하지 말라는 얘기가 아니라 어떤 공부를 하느냐가 중요한 얘기인 것 같습니다. 정말 유익한 영상이었어요ㅎㅎ

  • @Goodmorning-yn1uu
    @Goodmorning-yn1uu 5 ปีที่แล้ว +16

    강연 컨텐츠 구성이 정말 잘 짜여졌음이 느껴집니다. 오랜만에 끝까지 멋지다고 느낀 강연 오랜만에 봅니다.좋은 내용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dance-7959
    @dance-7959 5 ปีที่แล้ว +52

    교수님의 눈빛은 희망으로 가득차 있네요.
    희망을 전하고자하는 진심이 담긴 강의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y.j.289
    @y.j.289 5 ปีที่แล้ว +1

    요즘 큰아이와 핸드폰 때문에 전쟁중 이었는데, 뜨끔 했네요. 많은 이들과 공유하고픈 강연, 감동입니다. 인생을 걸다! 멋진말이네요. 나를 되돌아보게 하는 말, 움직이게 하는 말씀입니다.

  • @user-df3lx2qm7m
    @user-df3lx2qm7m 5 ปีที่แล้ว +5

    책과 통찰력있는 강연 감사합니다^^

  • @align5791
    @align5791 5 ปีที่แล้ว +6

    4차산업혁명에맞는 좋은 강의입니다

  • @mr.physio
    @mr.physio 5 ปีที่แล้ว +1

    잘봤습니다

  • @user-sb3rn4oz8t
    @user-sb3rn4oz8t 5 ปีที่แล้ว +14

    정말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가까운 미래에 대해서 볼 수 있었습니다.

  • @pma6486
    @pma6486 5 ปีที่แล้ว +5

    순간 소름 돋았네요~ 정신차리게 되는 순간입니다 감사합니다~~

  • @marinslee840
    @marinslee840 5 ปีที่แล้ว +1

    멋진강의 고맙습니다. 속이 후련하네요!

  • @danaedutainer9024
    @danaedutainer9024 5 ปีที่แล้ว +4

    뜨문뜨문 생각하던 사실들
    정리되지 못한 사유들
    교수님 덕분에
    한방에 확!

  • @ever_data
    @ever_data 2 ปีที่แล้ว +3

    지금 들어도 도움이 많이 되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포노 사피엔스 책도 꼭 읽어볼게요!

  • @haeyoungkim4719
    @haeyoungkim4719 5 ปีที่แล้ว +59

    좋은 강연입니다.
    다음 시대에 대한 준비를 생각하게 해주셨어요^^
    그렇지만 단 한가지 이해하기 힘든 논리는 공부만 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김태훈군이 다닌 unist는 핸드폰만 보다 들어갈 수 없는 학교이고,
    그는 어린 시절 충분한 학문적탐구로 사고력이 커져있었기에
    관심분야를 만나 파고 들 수 있었던 거라 생각합니다. 주변에 핸디에 중독될정도로
    의지력이나 학습력이 부족한 사람이 없기때문에 하실 수 있는 주장인듯해요 .
    제 주변에는 교수님 말듣고 핸디해야 성공한다고 억지쓸 아이들이 훨씬 많습니다.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삼성까지 창업자들은 모두 어린시절
    책을 통해 깊게 사고하는법을 먼저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 @benwasking
      @benwasking 4 ปีที่แล้ว +2

      완전 공감합니다. 새로운 문명을 받아들이기 이전에 자신의 그릇이나 혹은 가치관이 그것을 인지 하는냐 못 하는냐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좋은 강연, 맞는 말씀이지만 아직한국은 준비가 안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 @user-gq5bq6ox5u
      @user-gq5bq6ox5u 4 ปีที่แล้ว

      정확한 지적이시네요...^^

    • @Mssmartsw
      @Mssmartsw 4 ปีที่แล้ว +2

      게다가 그 김태훈은 이미 능력을 갖춘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부모나 학교가 아니라 주체적으로 주도적으로 계발하고 사용한거죠. 이미 이야기는 능력치를 타고 나지 못한 사람들을 배제하고 하는 이야기......

    • @user-sd6rk6ht4h
      @user-sd6rk6ht4h 3 ปีที่แล้ว

      공감합니다

  • @gwansoon.tattoos
    @gwansoon.tattoos 4 ปีที่แล้ว +2

    요즘 시대에 맞는 강연 감사합니다 . 교수님

  • @easycooking7002
    @easycooking7002 4 ปีที่แล้ว +1

    혁신의 문을 열고 도전♡ 너무 동기부여되는 영상입니다♡

  • @parkyj9566
    @parkyj9566 5 ปีที่แล้ว +11

    추천에 떠서 이 강의 우연히 보게 됐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박수 치고 갑니다

    • @laidthegoldTV
      @laidthegoldTV 5 ปีที่แล้ว +1

      저두요. 정말 우연히 봤는데 굉장한 내용의 강의가 .

  • @user-wh4ui2pg7j
    @user-wh4ui2pg7j 4 ปีที่แล้ว +1

    박수 세차게 박수를 보냅니다
    명쾌한 확실한 강의
    감사합니다==☆☆

  • @kiyeongjang4445
    @kiyeongjang4445 4 ปีที่แล้ว

    감동받아 눈물 흘렸어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fact_check_
    @fact_check_ 4 ปีที่แล้ว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느끼는게 많네요!

  • @dorirnp2396
    @dorirnp2396 5 ปีที่แล้ว +1

    감명깊게 잘봤습니다.👏👏👏👏👏👏

  • @crystalseo1596
    @crystalseo1596 5 ปีที่แล้ว +5

    스마트폰을 못쓰게하는 학생에 관한 예시가 조금 극단적인건 있지만 (아무리 스마트폰 못쓰게한다고해도 아예 문명을 모르는건 아니니까요) 다 뼈를 때리는 강의 맞구요,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 @user-ui2zj7iw8r
    @user-ui2zj7iw8r 5 ปีที่แล้ว +5

    교수님 강의 감동입니다.
    미래를 준비하는 입장에서 기준점이 되어주는 강의에 갈채를 보내드립니다.

  • @ahnnature
    @ahnnature 5 ปีที่แล้ว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beautifulmind9431
    @beautifulmind9431 5 ปีที่แล้ว +7

    정말 마음에와닿네요, 감사합니다!!!

  • @user-kk3jl6ql9p
    @user-kk3jl6ql9p 5 ปีที่แล้ว +7

    최고십니다~

  • @likestar25
    @likestar25 5 ปีที่แล้ว

    Thank you for your great informations about social trends.

  • @ellaspainting9810
    @ellaspainting9810 4 ปีที่แล้ว +1

    교수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그저 그림 그리는 시간이 사라져버리는게 아까워 그림 그리는 영상 제작을 시작한 것인데 강의를 듣고 보니.. 뭔가 뿌듯합니다..^^...킬러컨텐츠를 만드는 일은 저와 거리가 멀지도 모르지만..그림 그리는 걸 좋아하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영상이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하고 있습니다..가족들과도 함께 이 영상 다시 봐야겠어요..^^

  • @user-mr5rt7uc1b
    @user-mr5rt7uc1b 5 ปีที่แล้ว +4

    정말 필요한 강의 최곱니다~~고지식한것이 무슨 훈장처럼 생각하는 꼰대근성.. 이젠 정말 제발좀 모두에게 해도 괜찮은 희망을 가르치는 진정한어른들이 많아지길 소망하고 저부터 다가갑니다!!고맙습니다~~♡

  • @user-zw2dz2vt3d
    @user-zw2dz2vt3d 5 ปีที่แล้ว

    좋은 강의 잘 보았습니다~!

  • @user-xz8so5ps2e
    @user-xz8so5ps2e 5 ปีที่แล้ว +1

    정말감사합니다 단 1초도 아깝지 않은 영상이었습니다.

  • @whitebearpartner
    @whitebearpartner 4 ปีที่แล้ว +1

    정말 감동적인 강의 입니다.책을 다시한번 읽어봐야겠네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우리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나라입니다.
    모두 바꾸어야한다 받아드려야한다

  • @user-xs6bb1pg1s
    @user-xs6bb1pg1s 2 ปีที่แล้ว +1

    최고의 강의 입니다. 박수 !!

  • @GRIT-minchan
    @GRIT-minchan 5 ปีที่แล้ว +9

    딸 교육에 깊은 영감을 받았습니다! 땡큐~

  • @dogog64
    @dogog64 4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

  • @jyh9419
    @jyh9419 5 ปีที่แล้ว +2

    저의 두아이들을위해 제 틀에 박힌 생각 부터 바꿔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j-lee5089
    @j-lee5089 4 ปีที่แล้ว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nb2fr7vb7l
    @user-nb2fr7vb7l 5 ปีที่แล้ว

    오지고 지렸네요 교수님

  • @user-ok9cs7bz5q
    @user-ok9cs7bz5q 4 ปีที่แล้ว

    교수님 사랑해요. 화이팅!

  • @insukyu8609
    @insukyu8609 3 ปีที่แล้ว +1

    많은 깨우침을 받았습니다!! ㅎㅎㅎ

  • @bens3725
    @bens3725 5 ปีที่แล้ว +11

    와... 강의듣는 중간에 슬픈내용도 아닌데 왜 갑자기 뭉클하고 눈물이 핑 도는지 모르겠네요...정말 너무나 명강의입니다! 강의방식과 내용 모두다요... 감사합니다선생님!!!

    • @Cost_Effective_Recommendation
      @Cost_Effective_Recommendation 5 ปีที่แล้ว +1

      저도그랬음

    • @Abk167
      @Abk167 5 ปีที่แล้ว

      저도 먼가 감동을 느꼈음 교수님의 화법이 그렇게 만든거 같음

  • @user-qz4om9df6j
    @user-qz4om9df6j 4 ปีที่แล้ว

    강의를 알기슆게 박력있게 하시네요 잘 보았습니다

  • @user-jr3wb5zp1g
    @user-jr3wb5zp1g 4 ปีที่แล้ว

    멋진 강의~~~

  • @user-nz9bh7zt7w
    @user-nz9bh7zt7w 4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winnykim5151
    @winnykim5151 5 ปีที่แล้ว +3

    이렇게 빠져드는 강의는 오랫만입니다.이러한 강의를 들을수있어 감사하네요~그렇다면 내 아이들은 앞으로 어떻게 키울것인지 큰질문과 여운이 남네요~

  • @user-ji2xp8kw8c
    @user-ji2xp8kw8c 5 ปีที่แล้ว +13

    미래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과거의 인간적이고 정신적인 가치도 잃지말아야 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연봉의 크기가
    삶의 기준이 될수도 있지만 인간의 행복 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좌우됩니다
    빨리 변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죠

    • @user-eh5gw2xx2h
      @user-eh5gw2xx2h 3 ปีที่แล้ว +1

      돈이 행복을 좌우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난은 행복을 좌우합니다
      미래의 가치를 향해 변화하지 않으면
      가난해집니다
      조선이 멸망한 원인을 생각해보세요

  • @user-ib2uk1gx9m
    @user-ib2uk1gx9m 5 ปีที่แล้ว

    책 사고 읽어보기 전에 봤습니다. 빨리 책 읽고 싶어지네요

  • @nowsex
    @nowsex 4 ปีที่แล้ว +4

    와 이런 명강의를 듣다니 영광입니다.
    시대의 흐름을 읽을 줄 아는 사람들이 시대를 이끌어 가는것 같습니다.
    다른분들은 안좋은소리하는데
    저에게는 하나의 기회를 얻은 기분입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user-og8bw9xg7w
    @user-og8bw9xg7w 5 ปีที่แล้ว

    문명의 대전환기
    감사히 잘 봤습니다

  • @sooko611
    @sooko611 4 ปีที่แล้ว

    훌륭한강연이예요

  • @user-hf5jl9qj4j
    @user-hf5jl9qj4j 4 ปีที่แล้ว +1

    대단하십니다~~~!!!
    뵙고 십습이다

  • @re_pluspangpang6818
    @re_pluspangpang6818 5 ปีที่แล้ว +130

    공무원이 꿈인 우리나라..악....너무 미래가 답답합니다. 미디어의 변화....

    • @sebasi15
      @sebasi15  5 ปีที่แล้ว +7

      우리가 잘 하면 됩니다!

    •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4 ปีที่แล้ว +4

      오히려 창업하기 좋은 환경이지않을까요? 이만한 스펙과 가성비 창업하면 사람구하기 쉬운나라라 생각됩니다. 이영상을 보신분들이 미래라생각되네요

    • @wheeljah7878
      @wheeljah7878 4 ปีที่แล้ว +4

      @@sebasi15 이러한 극명하게 빠른 변화에 대한 주최자답변이...아 답변이 참 답답합니다.

  • @user-pi7tc2yb8d
    @user-pi7tc2yb8d 5 ปีที่แล้ว +34

    영상 잘 보았습니다.
    40대 중반 시각디자이너 입니다. 동영상 편집을 배우기 위해 처음 유투브를 접했습니다. 종로, 신촌, 강남 G* 컴퓨터 아트학원의 시각디자인 강사 경험이 있는 제가 느낀점은 일반 기술 컨텐츠의 학원산업은 더 이상 성장 할 수가 없다는 점 입니다. 세상이 바뀌고 있네요.

    • @geekyourlikeslulu
      @geekyourlikeslulu 5 ปีที่แล้ว +6

      맞아요 이젠 학원이라는 단어가 구시대 문화처럼 느껴질 정도에요.. 뭐 배우고 싶으면 유튜브 튜토리얼로 바로 시작하네요

  • @leejinsook1012
    @leejinsook1012 5 ปีที่แล้ว +14

    많은 사람과 나누고 싶은 최고의 강연입니다.

  • @user-y649
    @user-y649 ปีที่แล้ว +1

    세상은 빠르게 변하는데 교육시스템이 변한게 없으니 그렇죠

  • @user-eh5gw2xx2h
    @user-eh5gw2xx2h 3 ปีที่แล้ว

    초집중이란 책 보고 이 강의 들으니까 딱 느껴지는 직감이 뭐냐면 앞으로 사람들이 다분화 되는 한편 양분화 될것같다
    적응하는 사람, 적응 못하는 사람
    지배자, 피지배자

  • @user-ij3jj3xc3h
    @user-ij3jj3xc3h 5 ปีที่แล้ว +10

    저는 포토 사피엔스 몇단계에 해당되는지 매우 궁금합니다...
    이 영상 보면서 아이 자녀교육에 대해 새롭게 접근해야 할 것 같아서
    남편에게도 세바시 강연 링크 공유했답니다...

    • @sebasi15
      @sebasi15  5 ปีที่แล้ว

      오 남편분께 공유! 포노족의 바람직한 행동입니다

  • @Han-jv5lj
    @Han-jv5lj 5 ปีที่แล้ว +19

    진짜 대한민국 대단한 나라였네요!!

  • @moimina
    @moimina 5 ปีที่แล้ว

    정말 좋은 강의였습니다!!!! 마지막 부분 소름이네요..

  • @cynical0513
    @cynical0513 5 ปีที่แล้ว

    포노족이 우리의 미래네요
    기준갖고 배울거 배우고 열심히 배울게요

  • @germanwatcheskorea
    @germanwatcheskorea 5 ปีที่แล้ว +12

    강의의 수준, 세바시의 수준이 이 정도는 되어야.. 성대생들은 행복한 친구들이다. 이런 훌륭한 스승을 모실수 있어서.. 멋진 강의.. 다음 강의가 기다려 집니다.

  • @taebonge
    @taebonge 3 ปีที่แล้ว

    멋진 강연 잘들었습니다. 존경합니다, 교수님.

  • @user-te1ve6lr7d
    @user-te1ve6lr7d 4 ปีที่แล้ว

    대세는 내가 좋던싫던 거스를수 없는 선택 같아요 ~특히 우리나라,
    포노ㆍ사피엔스 신인류 방향은 정했졌네요~가즈아 ~손잡고 ~좋아요
    우리나라에 맞게 ㆍ수정하면서 한국다운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봅시다

  • @David-ye6ny
    @David-ye6ny 2 ปีที่แล้ว +1

    스마트 폰이 낳은 신인류 포노사피엔스! 혁신의 문을 여는 자만이 미래시대를 살 수 있다는 말씀 상식을 바꾸어야한다는 말씀 깊은 공감을 하고 앞으로의 미래를 사는 방법을 다시 생각해 봅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schoolBBB787
    @schoolBBB787 5 ปีที่แล้ว +5

    외국에 있어 책을 구할 수 없어 처음으로 전자책 구매라는 경험을 했습니다. 엄마들이 꼭 읽어봐야할 책이라는 생각을 했고, 저희 아이들 키우는 일이 유익하게 잘 활용하겠습니다. 제 채널에도 적극 소개하고 엄마들에게 꼭 읽어보시라고 말씀드리려고 해요. 달라진 세상을 바라보는 부모의 유연하고 현명한 시각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인 것 같아요. 초등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을 어느 시기부터 허용하면 좋을까라는 질문을 많이 받고 있는데 고민스럽네요.

  • @user-wj5vj4qq6j
    @user-wj5vj4qq6j 5 ปีที่แล้ว +29

    우리 대한민국에
    존경스런 교수님이 계신다는건
    천만 다행입니다
    우리는 깨달아야 됩니다

  • @hofmanjj74
    @hofmanjj74 5 ปีที่แล้ว +8

    보는 내내 충격먹었습니다 세상이 이렇게 빠르게 변화고있는데 난 뭐했나 ...나부터..우리가족부터 변화를 시도해야겠습니다..생각의변화 생각을 바꿔야 행동도 바뀌겠죠...영상 잘보았습니다

  • @user-cz1np5yl7o
    @user-cz1np5yl7o 5 ปีที่แล้ว +112

    과거엔 과도한 교육열이 대한민국을 성장시킨 원동력이 되었다면 이젠 그 과도한 교육열이 발목을 잡는꼴이 되버렸네

    • @qtp34as37
      @qtp34as37 4 ปีที่แล้ว +5

      교육 방향만 쪼매 바꾸면 되죠~

    • @TheTriumph41
      @TheTriumph41 4 ปีที่แล้ว +5

      정확하네요, 삶의 답을 정해놓고 그 답을 풀었다 생각했는데 문제는 시대에 따라 그 답이 바뀐다는 것이죠.
      저는 오히려 자기가 가진 재능이 학교에서 원하는 것만이 아니더라도 먹고 살수 있는 시대가 온거 같아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 @rn_sunny9565
      @rn_sunny9565 4 ปีที่แล้ว +6

      그냥 제 개인적 생각인데, 교육열이 발목을 잡는 것보단, 남에게 보여주고 싶은 과시욕 그리고 ‘남보다 내가 낫다’ 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거만함을 “성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져서 그런듯. 이제 코비드19 ㄷㅂ??ㅋㅋ 에 좀 더 가족의 소중함, 자연을 아끼고, 다른 사람을 나보다 낫다고 여기는 겸손함... 이런 미덕들이 돌아왔으면 합니다!

    • @user-fl7nt7bw6z
      @user-fl7nt7bw6z 4 ปีที่แล้ว +2

      그동안 수많은 천재들을 우린 범재로 만들어 버렸죠.

    • @adequate135
      @adequate135 3 ปีที่แล้ว

      교육이 올바로 서면 과도한 교육열이 좋은 방향으로 쓰이겠죠 교육을 바로세우면 됩니다

  • @kyungceciliachun9029
    @kyungceciliachun9029 5 ปีที่แล้ว +6

    이런 명강의는 영어 자막이 있으면 좋겠어요~!

  • @hyj.5049
    @hyj.5049 5 ปีที่แล้ว +2

    일리가 있는 말씀입니다.
    But 새로운 소수 독점 경계. 매트릭스~

  • @atomyglobalvision7001
    @atomyglobalvision7001 5 ปีที่แล้ว +15

    정말 공감합니다. 40만 공시족 과 40% 창업자 대목에선 소름이끼치네요.....

  • @memorycode9891
    @memorycode9891 5 ปีที่แล้ว +234

    교수님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근데 bts 에 대한 부분중 틀린부분이 있네요. bts는 유튜브로 데뷔한게 아니라 보통의 다른 아이돌처럼 음방을 통해 데뷔했습니다. 근데 일명 중소돌로서 방송활동 자체가 여의치 않다보니 어쩔수없이 유튜브를 택한것 입니다. 방시혁 대표가 대단한게 불합리한 상황에 편승하기보다 우린 우리의 길을 가겠다.... 해서 유튜브와 트위터에 눈을 돌린겁니다. 위기를 기회로 만든거죠.
    bts의 가장 큰 성공요인은 진심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그 진심을 전달하는 도구가 유튜브와 트위터 였던거구요.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제일 기본은 사람, 사랑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thflRns
      @thflRns 5 ปีที่แล้ว +2

      근데 BTS가 정말 인기가 있나요? 저는 한번도 노래도 들어본적도 없는데 남자라서 그런가요? 주로 여자들이 좋아하나요?

    • @user-wb5fc3tl6v
      @user-wb5fc3tl6v 4 ปีที่แล้ว +6

      @@thflRns 들어본 적이 없는 게 아니라 듣고도 인지를 못 하신 것 아닐까요?
      저희 아파트는 지하주차장 가면 인기있는 다른 가수 노래도 틀지만 주로 bts 노래를 관리실에서 틀어놓으시더라구요~

    • @smileJHT
      @smileJHT 4 ปีที่แล้ว +10

      기존의 매스미디어에서는 인간의 진심을 전달하기 힘들었죠. 하지만 1인 미디어가 가능한 지금이야말로 인간의 진심을 가장 잘 전달하는 미디어매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하죠? 사람들은 기술이 발전할 수록 인간은 그것에 종속되고 묻힐거라 걱정합니다. 이 영상 댓글만 보더라도 그렇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문명도 결국 인간이 선택했기때문에 그렇게 변하고 있는 것입니다. 수많은 사람이 유튜브를 보지 않았다면, 수많은 사람들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하지 않는다면, 수많은 사람들이 익숙했던 2G폰을 썼다면, 지금 문명은 오지 않았습니다. 이 문명은 기술이 이끈 것이 아니라 인간이 선택한 결과입니다. 부작용이 있다는 것은 인정합니다만 부작용때문에 거부하고 회피할 것이 아니라 그 부작용을 인간의 통찰력과 창의력으로 극복하고 보완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babe7689
      @babe7689 4 ปีที่แล้ว +13

      @@thflRns 전세계적으로 문화를 넘은 사회현상으로 다루는데 정말 인기가 있냐니 질문이 너무 단순하네요 그쪽이 남자라서 모르는 게 아니라 세상 돌아가는 트렌드에 둔감하신 거 같습니다.

    • @user-tp2yg7hy6v
      @user-tp2yg7hy6v 4 ปีที่แล้ว

      저는 45살인데 나이 탓인지 BTS 암만 보고 들어도 뭐 때메 그렇게 전세계적으로 열광하는지 통 모르겠더라구요

  • @user-vf4vw4qp4g
    @user-vf4vw4qp4g 5 ปีที่แล้ว +7

    우리도 모른 사이에 스마트폰이 신체의 일부가 되었군요~~~~!!!!

  • @user-sv5ut1yj8b
    @user-sv5ut1yj8b 5 ปีที่แล้ว +38

    이분이 그책을 쓰신 저자시군요. 대박!
    새로운걸 거부하는게 이젠 자식인생 가로막는 일이 돼버렸어요.
    킬러컨텐츠! 으~ 감사합니다!

    • @sebasi15
      @sebasi15  5 ปีที่แล้ว

      네 포노 사피엔스! 꼭 읽어보세요~

  • @sharonoh4795
    @sharonoh4795 4 ปีที่แล้ว

    좋아요는 듣고 좋을때 하는거죠

  • @marincorp27
    @marincorp27 5 ปีที่แล้ว +2

    키오스크, 무인자동차, 로봇, 인공지능 ... 받아들여야 합니다!

  • @davidkim5500
    @davidkim5500 5 ปีที่แล้ว +2

    미래학자 최재붕 교수님 명강의 최고입니다. 공부보다는 컴퓨터 세팅에 몰입하고 프로그램에 몰입하는 아들보고 어디서 배웠냐고 했더니
    5학년때 유튜브에서 전문가가 세팅하는 거 보고 그대로 따라 하다보니
    이제는 전문가 흉내 낼 정도는 되어서 지인들이나 우리 가게 컴퓨터 문제 생기면 중학생 아들이 와서 다 해결 해줍니다.
    교수님 강의 들으면서 포노 사피엔스 생태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네요.
    세바시의 선한 영향력 정말 공중파 방송은 본받아야 합니다.

  • @deborahcho8676
    @deborahcho8676 4 ปีที่แล้ว +1

    어느정도 공감은 가지만 다 양면성이 있는것인데부정의 예로 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을 쓰지 못하게하는 극단적인 예를 드셔서 마치 모든 아이에게 무조건 허용하는것많이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것처럼 느껴지게 하시네요. 공부벌레로 시험에서 높은 성적만 올리게하는 지금의 교육은 당연히 바꿔야하지만 지금 그 세계 10대 기업인들의 창업주들이 하고있는것은 교수님이 권장(? )하는것과는 사뭇반대입니다. 그들은 자기의 자녀들이 미래 인공지능시대를 이끌어갈 인재를 만들기위해 오히려 중학교까지 스마트폰, 인터넷을 아예모르게 학교를 만들어 아이들이 책을읽고 철학 탐구하고 토론하는것에 집중합니다. 고등학교때쯤 어느정도 아이가 컨트롤하거나 선택할 수 있을때 오픈해도 좋지 않을깦생각합니다. 교육자로서 아이들에게 너무 일찍부터 스마트폰을 주는것은 장기적으론 창의성과 탐구력을 제한하는 부정적인면이 훨씬크다고 봅니다. 그냥 제 사견입니다.ㅎㅎ

  • @drawing_storage4313
    @drawing_storage4313 5 ปีที่แล้ว +26

    울산과기대도 공부 잘 해야 가는 곳인데 꼭 공부 덜하고 폰에 익숙한 사람이 우연히 성공한 것처럼 말씀하시네요

  • @mimesisgene
    @mimesisgene 5 ปีที่แล้ว +13

    일전에 유통 사업하는 친구와 대화를 했는데, 유통 산업에 대기업이 들어와서 작은 기업들이 다 죽어가고 있다는 거에요.
    그래서 제가 "그럼 역사를 통해 배우는 것처럼 한국 보다 앞선 일본의 유통 역사를 통해서 너도 대비하면 안되겠니?"라고 했어요.
    그 친구가 한 마디 하더군요.
    "그 때는 인터넷이 없었어"
    그 때의 경우를 지금에 대입 시키기에는 인터넷이 가지는 영향력이 너무 크다는 거죠.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느냐 아니면 자신의 작은 세상을 고집하느냐에 따라 누군가는 도태되겠죠.. ㅠㅠ 힘드네요 쩝..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sebasi15
      @sebasi15  5 ปีที่แล้ว +1

      화이팅입니다.

  • @yonghan5944
    @yonghan5944 5 ปีที่แล้ว +5

    가숨이 왠지 막~~ 벅차오릅니다. 힘냅시다.

    • @sebasi15
      @sebasi15  5 ปีที่แล้ว +2

      그렇죠?^^

  • @user-jl3wf8cv9h
    @user-jl3wf8cv9h 3 ปีที่แล้ว +1

    좋은 강연이네요! 그런데 궁금한 점이요, 키오스크 앞에 서 있는 노인분들이나 이용이 불편한 장애인분들을 위한 관점에서는 어떠한 노력이나 대안이 필요할까요? 100명의 사람이 있고, 이 강연 내용에 대해 모두 이해한다고 하더라도 100명 모두가 똑같이 편할 순 없잖아요. 손잡고 가는 과정이 무탈하면 좋겠어요.

  • @user-wh4ui2pg7j
    @user-wh4ui2pg7j 3 ปีที่แล้ว

    따봉 따 따봉 굿👌👏👏
    👍👍👍👍👍👍👍👍👍

  • @vinacorea
    @vinacorea 5 ปีที่แล้ว +28

    진짜 빨리 사회적인식과 교육이 바뀌어야함...언제까지 국영수 암기위주 교육만 할건지..
    그러니 창의력은 없고 앞서가는 기업 아이템만 따라하고 우리들만의 리그하다 글로벌경쟁에서 뒤쳐지지..

    • @user-dp8dt9mj5p
      @user-dp8dt9mj5p 3 ปีที่แล้ว

      영어는 그렇다쳐도 어케 국,수가 암기위주냐?

    • @melony5824
      @melony5824 3 ปีที่แล้ว

      @@user-dp8dt9mj5p 국어 수학이 왜 암기가 아님ㅋㅋㅋ 수능 국어 화작, 비문학, 문학, 문법, 독서중 암기 아닌거 있음??? 내신 공부할 때 지문 읽고 품? 어떤 지문인지 보고 문제로 바로 내려가지ㅋㅋ 수학은 더 하지. 수학이 아니라 산수를 가르치는데. 공식은 외우고 그 공식을 푸는 방식도 외우고. 참고로 자공고 다니는 중임

    • @user-dp8dt9mj5p
      @user-dp8dt9mj5p 3 ปีที่แล้ว

      @@melony5824 수능말한거

    • @user-dp8dt9mj5p
      @user-dp8dt9mj5p 3 ปีที่แล้ว

      내신은 암기 맞지

  • @JuaJin
    @JuaJin 3 ปีที่แล้ว +1

    진짜 너무 맞는 말씀이세요 ㅜㅜㅜㄹㅇ 한국 변해야합니다!!

  • @user-fg3on6zn3p
    @user-fg3on6zn3p 4 ปีที่แล้ว +2

    분분한 댓글을 보니 문명의 혁신을 모두 다 받아들이지 못하고 새로운 기술을 통한 부의 창출을 일부만 이루는 이유를 알것 같네요.

  • @texpoone
    @texpoone 5 ปีที่แล้ว +16

    최근 본 강연 중에 최고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가 그에 맞는 문화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큰일 하셨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 @sebasi15
      @sebasi15  5 ปีที่แล้ว

      주변에 많이 이야기(공유)해주세요 꼭 보라고.

  • @user-ch8ql8cj2e
    @user-ch8ql8cj2e 5 ปีที่แล้ว +14

    하지만 이면을 바라보면, 한 분야에서 1등을 반드시 해야 주목 받고 돈을 벌 수 있는 구조가 되는 것 아닐까요? 그리고 1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그 밑에서 얼마 안되는 소득으로 1등을 위해서 노동을 제공해야하는 거죠

    • @user-eh5gw2xx2h
      @user-eh5gw2xx2h 3 ปีที่แล้ว

      그럼 1등이 될 것같은 기업 주식을 사세요

  • @user-io2fq7px1z
    @user-io2fq7px1z 5 ปีที่แล้ว +3

    고객을 위한 킬러 컨텐츠가 주요 능력이 된다는 것 잘 알겠습니다.

  • @michellemichelle9513
    @michellemichelle9513 5 ปีที่แล้ว +4

    All your videos should have english subtitles

    • @sebasi15
      @sebasi15  5 ปีที่แล้ว +1

      we'll make it for this talk soon and we already had some.

  • @amorfati470
    @amorfati470 4 ปีที่แล้ว

    김태웅군....우리나라에서 일할 수 있는 환경 됐으면 좋겠어요

  • @user-ov8fz7co7q
    @user-ov8fz7co7q 5 ปีที่แล้ว +18

    지금 한참 이슈인 타다와 택시업계의 논란을 보세요. 대한민국이 얼마나 혁신과 변화에 저항이 많은지를.. 그렇다고해서 택시업계종사들의 잘못이냐? 그렇다고 볼 순없습니다. 최소한의 사회안정망이 없는 나라에서 과연 어떤 사람이 변화를 달가워 할까요? 승자와 패자가 명확한데? 관료주의적 시스템과 자본주의를 가장한 이기주의...자동차 노동자들이 파업에,청년들이 공무원 공기업에 매달리는 건 그들 입장에서는 가장 합리적이 행동인 거라고 봅니다.

  • @user-tj9wh1tl4h
    @user-tj9wh1tl4h 4 ปีที่แล้ว +1

    좋은 강의 듣고 갑니다
    세상이 바뀔때 배우는게 귀찮다고 생각 했던 제 자신을 다시 한번 돌아 보네요
    어렴풋이 이럴거다 하는게 아니고 데이터를 들이 미니 반박 불가인듯

  • @moimina
    @moimina 5 ปีที่แล้ว +3

    four와 반대로 자녀교육을 하고 있다.. 이 부분 소름이네요!!!

  •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 4 ปีที่แล้ว +1

    4차 산업의 주역이 포노사피엔스, 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스마트폰이 신체의 일부인 사람들)이군요. 50퍼센트가 티비를 안보는 세대에 어떤 변화의 흐름이 올지 그 흐름의 세기가 날마다 강해지는 것 같은데 유연한 대처에 흐름을 탈 수 있는 우리가 되어야 겠군요. 무인 자판기 이용하는 것도 쉽지가 않던데 배우고 다양한 정보를 융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잘 보고 갑니다.

  • @wolfs.2962
    @wolfs.2962 4 ปีที่แล้ว +46

    교수님 다 좋은데 1910년도 한일합방 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시지 않아야 할 단어 같네요.

    • @2410go
      @2410go 4 ปีที่แล้ว +5

      맞아요 저도 불편했는데 병탄이라고 하심 좋은데

    • @harrye9105
      @harrye9105 4 ปีที่แล้ว +2

      나이 드신 분들은 교육과정에서 그렇게 배워서 습관적으로 쓰시더라구오

    • @user_unknownll
      @user_unknownll 4 ปีที่แล้ว

      ㅇㅈ

    • @user-bk6jc7cc3j
      @user-bk6jc7cc3j 3 ปีที่แล้ว

      교수는 한 분야 전문가지 다 분야 전문 아닙니다. 기대하지마세요.

  • @summerh542
    @summerh542 5 ปีที่แล้ว +6

    IT 산업혁명이란 말 이미 무수히 나와 있고 실제 일상에서 변화를 경험하는 시대에 사니 대중은 너무 잘 알지요. 강의에서 데이터를 통해 한번 더 확인한것과 미래에 대한 고민 외에는 전달력 부족인지. 짧지 않은 시간인데
    현란한듯 깊이 없는 편향된 사고가 드러나는 강의.

  • @benwasking
    @benwasking 4 ปีที่แล้ว

    뭐 공감은 가는데 생각없는 젊은이들이 많아질까 두렵고 해보고싶은 젋은이들을 무시하는 어른들이 있을까 두렵습니다.

  • @mjroomguitar
    @mjroomguitar 5 ปีที่แล้ว

    평소에 공부를 해야합니다 .

  • @rexkimj
    @rexkimj 5 ปีที่แล้ว +1

    반전 ㅋㅋㅋ 군대때문에 못갔어요ㅋㅋ

  • @whatsup1591
    @whatsup1591 5 ปีที่แล้ว +42

    중국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포노사피엔스?..거지 동냥하는 것도 데이터베이스화 된다는 것입니다. 관점을 바꿔보면 이런세상을 이끌어가는 소수는 모든사람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통제 할 수 있고 그들의 모든 삶의 방식을 빅데이터화 하여 또다른 이용가치를 만드는 소스로 쓸겁니다. 교수님께서 비유하셨듯이 인간의 장기처럼 스마트폰이 또하나의 인간생체조직화 되었다는 말씀 양날의 검이 되는 것이지요..

    • @march67
      @march67 5 ปีที่แล้ว +3

      하치만 어쩌겠습니다 그러한 문명을 우리가 배척한다고 해서 막을수도 없고 따라가지 못한다면 스스로 도태되는 길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 시대에 맞게 따라가야죠
      자본가들이 우리를 더 쉽게 통제하기 위함의 수단이지만 어쩔 수가 없어요..

    • @appducku
      @appducku 4 ปีที่แล้ว

      인간이 소수의 통제에 의해 지배된것은 인류가 생긴이래로 항상 그래왔지
      오히려 인간은 누군가 통제 해주어야하게 진화되어온 존재일지도?
      그게 군장이 되었든 왕이되었든 대통령이 되었든 하지만 어쩌면 앞으로는 그게 빅데이터를 가진 기업이 될수도 혹은 ai가 될지 모르겠지만
      결국은 기업이 통제하는 존재로 군림 하더라도 달라질것은 전혀없지
      효율적으로 잘만 통제해준다면
      물론 안전장치는 있어야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