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으로 산다는 것 l 역사학박사 신병주 [최강1교시] [TBC-띠비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6 เม.ย. 2020
  • 역사의 대중화를 이끌고 있는 역사학자 '신병주'
    우리가 평소 알지 못한 숨은 역사 이야기
    하나하나! 차근차근!
    조선시대 왕에 대한 이야기를 파헤치다!
    #조선 #왕 #신병주
    대한민국 최고의 강연, 최강1교시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2

  • @user-ik8qh7gx9g
    @user-ik8qh7gx9g 3 ปีที่แล้ว +23

    신병주 교수님 👍 👍 👍

  • @enfjzip_
    @enfjzip_ 2 ปีที่แล้ว +6

    학교다닐땐 하나도 귀에 안들어오고 외우기도 싫었는데 지금들으니 디기 재밌네 쏙쏙 들어와

  • @user-dm1bw5iw1q
    @user-dm1bw5iw1q 3 ปีที่แล้ว +38

    역사 이야기 신병주 교수님 강의가 재일 재미 있어요 귀에 쏙 들어오고 과장 되지 않고 TV 채널 돌리다 신교수님 보이면 바로 채널 고정이예요

    • @user-xb2vq9cb2x
      @user-xb2vq9cb2x 3 ปีที่แล้ว +1

      공감합니다 :-)

    • @grit8162
      @grit8162 2 ปีที่แล้ว

      공감합니다.

  • @Amy-sf6lt
    @Amy-sf6lt 2 ปีที่แล้ว +4

    대간 제도같은 언로를 열어두고 충언 장려하는 시스템이나, 왕도 배워야한다고 서연/경연 시스템을 500년동안 유지한 조선 왕조 진짜 대단.
    지배자 입장에선 내가 하는 일에 반대/비판 걸리고 맨날 공부해야하고 그러는 게 귀찮고 짜증나고 왕권 제약하는 시스템인데도 조선 왕조에서 몇몇 왕들 빼고는 대부분은 안 없애고 따랐다는 게 대단

  • @user-bh4hc2po3r
    @user-bh4hc2po3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함니다

  • @user-ik8ib6bl4o
    @user-ik8ib6bl4o 3 ปีที่แล้ว +6

    교수님 너무 감사하고 고생하세요
    조선왕조 500년 왕들의 힘든 삶을 한번에 요약해주시니 귀에 쏙쏙 들어오내요 .
    우리 역사을워낙 좋아하는 한사람으로
    역사를 알아듣기 쉽게 이해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된역사 학자 이십니다.고맙습니다.

  • @user-en6zg3ne9c
    @user-en6zg3ne9c 2 ปีที่แล้ว

    많이 바쁘실거라 여겨 집니다만 애타게 기다리는 그독자를 위해서 2022년 영인년엔 좀더 자주 접하기를 바랍니다.
    무수한 역사채널이 주어져 있지만 솔직히 고증절차도 부족하다 여겨지고
    개적 주관만으로 역사를 재해석 하려고 드니 육두문자까지 써가는 모진 행태(?)에 혀를 내두를 지경입니다.
    사실 주관만으로 역사 풀이를 하려들면 저역시 유투브속 역사 이야기에 뛰어들 자신 또한 있습니다.
    연거푸 신선생님 채널을 되풀이해서 경청하는데 이미 그대사까지 외울지경
    입니다.
    밤마다 이채널을 접하면서 잠을 청합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기대합니다.
    신선생님의 철저한 고증에 입각한 역사 강연을.
    님은 최고의 역사 학자 이십니다~~~~~.

  • @FlowerSan
    @FlowerSan 3 ปีที่แล้ว +8

    누리는 만큼 잃는 것이 잇어. 세상 모든 사람은 공평합니다. 몸이 하나니. 일이 많으면 놀 시간이 없고 놀시간이.많으면 일할 시간이 없고...넣고 빼고 하다보면 그 합은 날 같다는 결론 입니다.
    그러니..주어진 현실에 만족하며 사는 것이 최고.

  • @2510
    @2510 2 ปีที่แล้ว +1

    역사를 아는 것 만으로도
    애국하는 겁니다

  • @balfamiinuteman8576
    @balfamiinuteman8576 2 ปีที่แล้ว +1

    진짜 대단하십니다. 조금도 지루하지 않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mi6oy8gi8n
    @user-mi6oy8gi8n 3 ปีที่แล้ว +22

    이 모든 교수님의 강의가 조선왕조실록이 없었다면 이렇게 디테일하게 들을수 없었을터... 조선왕조실록은 실로 너무나 대단한 데이터베이스

  • @user-vu1qx7ej2d
    @user-vu1qx7ej2d 3 ปีที่แล้ว +8

    드라마보다 재미있는데 내용은 치밀하고 정확하니 강의의 품격이 높습니다 고맙습니다

  • @johnkim5368
    @johnkim5368 3 ปีที่แล้ว +6

    신병주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pg6pl8hz8u
    @user-pg6pl8hz8u 3 ปีที่แล้ว +2

    공부 잘했읍니다
    감사합니다

  • @dustone
    @dustone 2 ปีที่แล้ว

    역사는 미래를 만드는 거울이다.^^

  • @user-ow2tj5lj4g
    @user-ow2tj5lj4g 3 ปีที่แล้ว +3

    이주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 @user-rd1tz2td4t
    @user-rd1tz2td4t 3 ปีที่แล้ว +1

    역사 이야기 재밌네요

  • @yingcracker7513
    @yingcracker7513 3 ปีที่แล้ว +14

    와...... 신병주 님... 대단하시다.. 50분도 안되는 시간으로 조선왕조 5백년 역사를 것도 재미있게 설명하시다니... !!! 그저 놀라울 뿐.....

  • @grit8162
    @grit8162 2 ปีที่แล้ว +1

    재미있어요.^^

  • @user-jm3lf9jb9y
    @user-jm3lf9jb9y 2 ปีที่แล้ว

    재밌따....

  • @user-dd8jn9lj1d
    @user-dd8jn9lj1d 3 ปีที่แล้ว +5

    역시 세조 역할에는 임동진 씨 만큼 어울리는 배우도 없다.

  • @user-xb7qw3uu8m
    @user-xb7qw3uu8m 2 ปีที่แล้ว

    허리가 아프면 자기 발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세상을 살아간다고 하는 것은 문제해결을 계속해 간다는 말과 같습니다.
    그러나 허리가 아픈 문제가 생기면 흔히들 불행한 일인 것으로 생각하고,문제없이 지내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을 무척 부러워합니다. 걱정스러운 문제없이 지내는 것이 인생의 최고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큰 착각임을 알아야 합니다.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 문제라고 하는 것은 참으로 고마운 것이기도 합니다. 나에게 닥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가운데에서 나의 생명을 키워갈 수 있습니다. 그러니 문제야말로 나를 키워주는 고마운 재료입니다.
    이렇게 고마운 것이 허리 병의 문제이건만 ,문제를 싫어하는 데에는 사람마다 그 나름대로 이유가 있습니다.
    그 하나는 귀찮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허리에 문제가 발생하면 머리를 쓰든 몸을 움직이든 여하간 나의 노력이 필요한 것인데, 그 노력이 싫다는 생각에서 문제를 귀찮게 봅니다. 그러나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자기 성장의 의미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아무런 문제없이, 따라서 아무런 노력 없이 세상을 살아가면 그 인생은 죽음을 뜻하는 것이 아닐까요?
    생명의 힘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활력을 키웁니다. 그러므로 문제를 귀찮다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또 하나의 이유는, 그 문제에는 해결책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심각한 허리 통증에 당면하면 사람들은 그 문제의 크기와 자신의 능력을 비교합니다. 허리 통증의 문제의 크기가 자기의 능력보다 훨씬 크다고 생각이 되므로, 그 문제해결에- 손을 대기는커녕 우선 공포심에 사로잡히고 맙니다.
    공포심은 자기 능력을 과소평가하게 만들어서 결국은 그 문제에 압도당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렇게 허리 병의 문제해결의 방안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문제를 싫어합니다.
    허리 병은 운동 부족 때문입니다. 저는 일부러 허리를 골절시켜 운동으로 효과를 증명하였습니다. 허리 병을 해결하고 지금은 높은 산을 등산하고 역도를 하면서 즐겁게 지내고 있습니다.
    허리.무릎.다리 병이 생긴 것이 지금 생각하면 나에게는 참으로 고마운 재료였습니다.
    그 동안 아파서 고생한 것을 생각하면 일본식민교육의 잔재를 청산하지 못하고
    내 몸을 내가 스스로 관리를 못하고 모든 것을 남에게 맡기는 노예근성때문이었다고 생각하니 참으로 부끄럽습니다
    저는 현재 허리디스크가 87프로가 파괴되어 없어지고 척추전방전위로 허리뼈가 13미리가 어긋나 있고 흉추11번이 압박골절로 30프로가 손상되고 요추 2번의 20프로가 으스러져 손상되었으나 설악산 대청봉을 등산하고 역도를하며 즐겁게 지내고 있습니다
    2021,12
    남한산성허리튼튼체험장 운영
    사람은 왜 목 허리 무릎이 아플까?
    저자 법무사 이 희 숙 서초동
    010-5250-4802(무료)

  • @user-io3zp2iq9t
    @user-io3zp2iq9t 3 ปีที่แล้ว +5

    신병주교수님 찐팬입니다 제가 여자라면
    신병주님 교수님 같은 남자와 결혼했을 것
    매력적인 교수님!

  • @jungji4604
    @jungji4604 3 ปีที่แล้ว +3

    조선시대 세자 학습중에 실제로 농사를 직접 짓게하는 학습이 있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큽니다. 궁궐에서 관리하는 농토나 백성의 삶들을 체험하는 소규모의 체험장이 있었으면 왕ㅇㅣ 백성의 생할을 더 직접적으로 느끼면서 정책을 펼칠 수 있지 않았을까요.

  • @koreanintaiwan3259
    @koreanintaiwan3259 ปีที่แล้ว

    41:00 아지매 cg인줄.. 깜짝놀랐네

  • @user-mj2si5xg8t
    @user-mj2si5xg8t 3 ปีที่แล้ว

  • @jameskim5933
    @jameskim5933 2 ปีที่แล้ว

    고종은 ?

  • @user-bn4og8dh7u
    @user-bn4og8dh7u ปีที่แล้ว +1

    헛공부 오졌네 ㅎㅎㅎㅎㅎ 열심히 하는게 잘하는건 아니라는거
    다시 한번 느끼고갑니다

  • @user-pr2uy8we5h
    @user-pr2uy8we5h 3 ปีที่แล้ว +11

    우리나라 역사는 너무 왕실 위주인 것 같아요. 역사는 왕뿐만 아니라 경제구조, 민중의식, 대외 관계 등 여러 조건들이 있는데, 왕만 주구창장 배움

    • @papapaapapapapppapa5633
      @papapaapapapapppapa5633 3 ปีที่แล้ว +1

      좋은 지적인 거 같습니다. 다양한 역사를 배우고 싶어요

    • @TV-og2fw
      @TV-og2fw 2 ปีที่แล้ว

      한국역사는 비굴비겁한 야비한 정치인이 너무 많다. 역사에서 이스라엘 베트남 스위스 영국 일본 미국이 당당하게 이기는 이유와 조선이 패전하는 이유 사실을 자로 교육해야 승리하는 코리아가 될 것이다.동북아시아에서 모병제는 필패와 멸망을 가뎌올 것이다.남의 나라 모병제 모방하면 최단시간에 한국이 멸망하고 중공군 북한군이 점령통치하게 됩니다. 국왕과 대동령은 강력한 군사력으로 국민과 국가를 지텨야 합니다. 병역 기피 면제 미필자가 대통령 국군통수권자가 되면 이승만처럼 전시에 도망 다니게 됩니다. 필승 승리 코리아.2021.10.10

  • @user-xl1yb2hp4j
    @user-xl1yb2hp4j 2 ปีที่แล้ว +1

    북쪽에 북조선의 왕으로 세습하는분들이 있음

  • @user-fp6rq4un7h
    @user-fp6rq4un7h 2 ปีที่แล้ว

    오타 있습니다 (1)인조는 20대에 즉위! 58세 아닙니다 (2)조선마지막왕 순종입니다

  • @user-ty8ds2ed5u
    @user-ty8ds2ed5u 2 ปีที่แล้ว +1

    선조 피난간거 욕하는건 정서적으로는 이해하는데, 실제론 그래야 되는 상황이고 좋은 수를 둔거같은데. 만약 도주하지 않았다면 애초에 사로잡혀서 (한말처럼) 명나라 치는 선봉에 섰어야했을걸.

  • @user-rm1bd2xw5d
    @user-rm1bd2xw5d 2 ปีที่แล้ว

    아무리 업적이 좋다하더라도 폐륜적이 모습을 보인 왕들은 평가가 좋지 못하지..그래서 사람들은 세조보다 단종을 더 기억하는거구....

  • @user-ge2gb8to5q
    @user-ge2gb8to5q 2 ปีที่แล้ว

    어느 나라나 어느 시대나
    왕으로 산다는건 피곤한 일 이네요.

  • @user-ws2ez3kp7o
    @user-ws2ez3kp7o 3 ปีที่แล้ว +4

    영조이후 신권이강해졌지요.
    영조가 노론에의해 왕자리에 오르다보니 아들까지 죽여가면서 신하들손에서 놀아난거죠

  • @user-ty8ds2ed5u
    @user-ty8ds2ed5u 2 ปีที่แล้ว

    선조가 욕먹는건 사후 논공행상때문일거고, 왕이란 자리가 원래 철저히 이기적인 인간이 되는 자리(아님 왕이되면 그렇게 되나몰라도) 광해군 폐세자한거. 그게 문제겠지 도주한건 문제없다고 봄

  • @user-em6dp2ix7g
    @user-em6dp2ix7g 2 ปีที่แล้ว

    정도전이 무리하게 세자들한테 공부를 시키는것같애

  • @user-uq9lo9nv6i
    @user-uq9lo9nv6i 2 ปีที่แล้ว

    7:26 표에서 인조 즉위 나이랑 즉위연도에 왜 태조것이 들어가 있나요?ㅋㅋㅋ잘못 됐네ㅋㅋㅋㅋㅋ // 8:16 표에서는 순종도 순조로 표기 되었고 즉위나이랑 즉위연도 다 틀렸음 ㅋㅋㅋㅋㅋㅋㅋㅋ

  • @cyx0406
    @cyx0406 4 ปีที่แล้ว +7

    균형잡힌 식단이 중요하지 채식하면 오래사냐? 채식만하면 구루병 걸려 뒤짐

    • @user-pi1pz3mj8n
      @user-pi1pz3mj8n 3 ปีที่แล้ว

      그렇지도 않아요. 저도 고기는 아예 안먹고 채소와 탄수화물만 먹어도 건강한데요.

  • @user-ke6ky9qx5j
    @user-ke6ky9qx5j 3 ปีที่แล้ว +2

    딱 두가지
    1.꼭두각시
    2.독살당하기

  • @shampoonatural1718
    @shampoonatural1718 2 ปีที่แล้ว +1

    이 나라가 일본에 점령당하고 6.25사변의 역사가 왜 일어났는지 알것같다. 돌아가신 조상들이 이런 방법 아니고선 도저히 병든 조선시대의 병패를 끊을 방법이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

  • @user-rq7ye5wh1x
    @user-rq7ye5wh1x 2 ปีที่แล้ว +1

    항상 조선은 싫으네요

  • @edwardsangkyuseo5642
    @edwardsangkyuseo5642 3 ปีที่แล้ว +7

    이씨조선은 정말 한심한 왕조

  • @user-nh9fn6yd9n
    @user-nh9fn6yd9n 2 ปีที่แล้ว

    그리좋음 조선으로 가시지 노비로 말야

  • @user-xj7jc2yj8e
    @user-xj7jc2yj8e 3 ปีที่แล้ว

    역대급 ㅆㄹㄱ 인데... 목숨부지 한게 더 신기.... 한국민족은 대대로 쿠데타가 약함.........

  • @user-gp7mt4pw8j
    @user-gp7mt4pw8j 3 ปีที่แล้ว +3

    그냥 평범한 사람 행복한 삶을 살 다가 천당가면 하나님의 특별한 은총이 있다

  • @user-cm9hf1yl1r
    @user-cm9hf1yl1r 3 ปีที่แล้ว

    역사는 다각적으로 보고 비판과 분석을 해야하는대 서술적으로 시험보기위해 저런 식으로 공부한다면 역사 배울필요없음
    성군이면 성군 폭군이면 폭군으로 관점과 시점을 달리해서 봐야지 저런 식으로 역사를 본다면 저분은 교수가 아니라 강사라 해야할듯 ㅋㅋ

  • @user-dd8jn9lj1d
    @user-dd8jn9lj1d 3 ปีที่แล้ว +2

    복잡하고 지겨야할 법도가 많은 왕 보단 윤원형 같이 많은 재산을 가지고 대궐같은 자기집에서 지 맘대로 하면서 이쁜 첩 몇명 두고 사는 게 더 낫겠다.

  • @user-di7vq2xy1j
    @user-di7vq2xy1j 2 ปีที่แล้ว

    당신은 역사학자가 아니야 당신에게 우리역사는 밥 벌이일 뿐 우리역사 규장각에 있을것같으신가? 역사를다루는게 영혼을 다룬다는건 모르시는가?

  • @khankorea3938
    @khankorea3938 3 ปีที่แล้ว

    사랑하는 훌륭한 코리언 여러분!! 이조실록(조선왕조실록 원본) 세종편에 이런 기록이있습니다."한글은 이세종(이도)이 만든것이 아니라 옛고려의 큰들을 본 따 만든것이다" 놀라운 기록 입니다.왜? 사관은 굳이 이런 기록을 남겨야 했을까요? 왜 이 기록을 남겨야 한다고 생각했을까요? 당시,이조실록을 기록했던 담당 사관은,중국황제가 직접 임명했기때문에 조선왕도 못건드렸습니다. 그만큼 조선왕조내에서는 왕보다 위에 있었다고 할수있습니다.그런데 당시 세종은 한글을 자기가 만들었다고 대대적으로 전국방방곡곡에 방을 붙이고 선전하며 심지어 해례본이란걸만들어 직접 창제한것처럼 속이고있었습니다.이 광경을 지켜보던 실록담담 사관은 후세에 이 진실을 알려야겠다고 생각한 것입니다.그런데 이조실록을 읽어본 국내역사학자는 한명도 없다는 사실..다만,다른사람이 일부분만 읽어서 이 사실을 숨기는데만 급급해왔습니다.여러분들 더 세종이 한글창제한걸로 알고들계시죠? 고려글이었다는 사실은 전혀 모르시죠.서울대 사학교수에게 이 부분에 대해 물어봤더니 생전 처음듣는다며 사실이냐고 되려 묻더라구요...아~ 아~ 수능암기교육제도하의 한국인들! 그리고 한국사학자들 모두 우리역사를 절반이상 잘못배워왔스습니다.우리는 이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생각한 가장 큰 이유는 이런식으로 현재 한국사와 같이 중국과 조선왕조 중심의 비객관적으로 만들어진 한국사 부분이 절반이 넘는 부분들(삼국시대/통일신라/고려분단/위화도회군등) 이렇게 삐뚤어진 내용의 국사인 韓국사로 계속 암기교육으로 세습시키는 한 우리한국인들...남욕 남탓 생활과 내로남불 정신은 고쳐질수 없다고 생각해서 그 근본인 가짜韓국사(반짱깨 韓국사 상태)의 진실을 이렇게 알려드리게 되었습니다. 참역사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