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의 역사 ‘20분’ 만에 총정리 (개꿀잼 보장) / 💀 영어는 어떻게 진화해 왔을까?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6 ก.ย. 2023
  • 🏴‍☠️지식해적단 멤버십 가입
    / @studio_pirates
    ☠ 궁금한 거? 구독과 좋아요만 눌러주면 우리가 알아서 약탈해줄게! 🦜
    언어란 변화하게 마련입니다.
    우리 말도 500년 전, 1000년 전으로 갈 수록 지금과는 많이 달라서
    옛 글과 말을 해석하는 부분에 애를 먹고는 하죠.
    그렇다면 명실상부한 세계 공용어 ‘영어’는 어떻게 만들어졌고, 변해 왔을까요?
    지식해적단과 함께 간단하게 알아봅니다.
    #영어 #앵글로색슨 #바이킹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09

  • @nurojeon
    @nurojeo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9

    안녕하세요, 지식해적단 채널의 영상을 늘 잘 보고 있는 애청자입니다. 다만 10:39에 나오는 독일어 인칭대명사 표에 오류가 있어 짚어 가고자 합니다.
    1. Sie는 앞을 대문자로 쓸 경우 의미상 2인칭 단수, 문법상 3인칭 복수가 됩니다. 표에서는 2인칭 단수의 Sie나 3인칭 복수의 Sie 둘 중 하나를 빼는 게 더 적절할 것 같습니다.
    2. 2격(Genitiv)은 소유격이라고 보면 되는데, 아예 없는 건 아니고 아주 드물게 사용됩니다. 각각 meiner, deiner, Ihrer, seiner, ihrer, seiner, unser, euer, ihrer로 씁니다.
    3. es는 3인칭 단수(영어의 it에 해당)입니다. 1인칭 복수는 wir입니다. 한 칸씩 밀려서 오류가 생긴 듯합니다.

    • @돌고래는_귀엽다
      @돌고래는_귀엽다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8

      ddokddok하군요

    • @studio_pirates
      @studio_pirate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4

      아이고 참고한 표를 보니 한칸씩 밀린게 맞습니다 ㅜㅜ
      방디가 정리했는데 영어표를 먼저 만들고
      독일어표를 덮어 씌우면서 작업하다 보니,
      또 독일어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다보니 일어난 일입니다.
      다음부턴 이런일 없도록 더 꼼꼼하게 확인하겠습니다.
      좋은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혹~시나 독일어 관련된 오류 있으면 댓글 부탁드려용 nuro님~~~~♥

    • @user-ej2sh4qe7g
      @user-ej2sh4qe7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8

      이걸 그냥 보고 바로 안다고??? ㄷㄷ...

    • @Gourmet_inogashira
      @Gourmet_inogashir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똑똑추

    • @xalag5
      @xalag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그리고 단수 2인칭은 thou-ty-thee-thine이
      있지 않나요

  • @elliotmel8907
    @elliotmel890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3

    바이킹 선생님들 감사합니다

    • @Impossibility_Theorem
      @Impossibility_Theore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1

      바이킹 민수야 고맙다~!

    • @korean650
      @korean65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Impossibility_Theorem얘는!

    • @TalMoYak
      @TalMoYa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5

      줄여서 바선생

    • @toughjjh
      @toughjj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도끼를 휘두르는 바이킹들은 복잡한것을 싫어하지~~!!

    • @user-fs1hp6vs6n
      @user-fs1hp6vs6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킹갓대영제국

  • @user-ug7yr4jl9g
    @user-ug7yr4jl9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셰익스피어가 글을 쓰면서 새로운 단어를 창조했다는거 보고 놀랬음.
    지금으로 치면 유행어 만들고 인터넷용어 만들고 줄여말하고 같은건가, 그걸 개인이 했고 오늘날까지 만든 단어들이 쓰이고 있는 이유는
    그 당시에 인터넷이 없는대신 셰익스피어의 책이 엄청 흥했다는걸 반증하는듯.

  • @jkp99999
    @jkp9999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6

    진짜 이런 영상 만드는 수준도 뛰어나 보이는데 이런 거 조사해서 배우고 알려준다는 행위 자체가 너무 재밌을거 같아요. 나중에 물리학 쪽 얘기 하시려면 저 성심성의껏 조사하고 참여하고 싶습니다 ㅎㅎ

    • @youtubeneedstoberesponsibile
      @youtubeneedstoberesponsibil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물리학이라면 완전 다른 분야라서 안해줄것 같지만 해준다면 열심히 해줄것 같네요

  • @yeom_soung_won
    @yeom_soung_wo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게르만어 + 바이킹 단어 + 프랑스 어휘 + 문법 단순화 과정 + 영국의 미국 , 인도 , 호주 등 전세계의 영향력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어 잘한 민족 유대인선생님임 유대인들은 나라없이 수처년동안 전세계 각지로 훝어져 살더 민족이에여 유대인들은 기독교 싫어합니다. 기독교가 유대인들을 핍박했죠. 기독교 공인국가에서 유대인들을 항상 괴롭히고 핍박했었어여 하지만 유일하게 유대이난민들을 받는 국가가 카톨릭국가와 이슬람국가었고, 이슬람국가에서 유대인들에게 공무원들 시켜주고, 대우좋았었어여 무슬림으로 개종한 유대인들도 많구여
      모로코에 사는 무슬림 유대인들도 많아여
      미국인들은 사실상 힘만 쎄지 대가리가 영 무식하고 멍청한 루저일뿐입니다. 힘은 미국인들이 쓰고, 머리는 항상 미국 지배한 유대인이 씁니다.
      영어는 전세계에서 쉬운언어고 읽기가 편한 언어임
      영어는 일본어와 듣기가 편하고 쉬운 언어임 세계에서 제일 쉬운언어가 아랍어,일본어,영어,히브리어임 제일 어려운언어가 한국어임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적으로 어려운 언어임
      영어는 아라비아 아랍문화권 이슬람권부터 시작됐습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고, 그리스어,로마자,라틴문자,에스파냐어,프랑스어,게르만어,세익스픽어,앵글로색슨,바이킹족 등등 이러한 어원들으로 인해 짬뽕영어가 생긴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쉬운 언어가 영어와 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어려운 언어는 한자와 한국어고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수준으로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영어는 아라비아 아랍문화권 이슬람권부터 시작됐습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고, 그리스어,로마자,라틴문자,에스파냐어,프랑스어,게르만어,세익스픽어,앵글로색슨,바이킹족 등등 이러한 어원들으로 인해 짬뽕영어가 생긴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쉬운 언어가 영어와 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어려운 언어는 한자와 한국어고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수준으로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공용어로써 가장 어울리는 언어이자 가장 쉬운 언어
      영어/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

  • @seoyunseok
    @seoyunseo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솔직히 향문천×지식해적단 기대했으면 개추ㅋㅋㅋㅋ

    • @Aspiel
      @Aspie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ㄹㅇㅋㅋ

    • @Godoge678
      @Godoge67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애널스카이햄ㅋㅋㅋ

    • @jg2string
      @jg2stri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애날스카이는 못참지 ㅋㅋㅋ

    • @teto7559
      @teto755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항문천이래 ㅉㅉ 부끄럽다 게이야

  • @BilingualLAB
    @BilingualLA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

    14:05 고대 프랑스어 /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들이 고대 영어에서 살아남은 단어들보다 더 고급지게 느껴지는 비교 케이스에 “구동사” 를 빼놓을 수가 없죠. surrender - give up / penetrate - go through / postpone - put off 등 고대 프랑스어 혹은 라틴어에서 온 단어들은 지금도 주로 글이나 격식있는 말하기에서 주로 쓰이고, 고대 영어에서 살아남은 단어들의 조합인 구동사는 일상 대화 (구어체) 에서 주로 쓰이는 거 역시, 이 영어의 역사를 반영해주는 좋은 예시죠. 참고로, 우리 한국어도 격식있는 문어체에서는 한자어를 선호하고, 구어체에서는 순 우리말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있죠. 예) 연기(延期) 하다 - 뒤로 미루다 / 관통(貫通) - 뚫고 가다 등.
    추가로 구동사들이 이렇게 다양하게 쓰이는 이유는, 노르만 왕가가 프랑스어를 사용하던 시절 수많은 영어단어들이 유실됐었고, 후에 영어부활 시기에 그 단어들을 대체하기 위해서 살아남은 고대영어 단어들을 조합하면서 이렇게 다양한 구동사들이 생각치도 못한 다양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게 왜 우리가 영어단어를 외울 때 프랑스 (라틴어) 에서 온 단어와 구동사를 세트로 (postpone - put off ) 외우게 된 슬픈 이유죠…
    마지막으로 이 영상 덕에 한국의 수 많은 영어학습자들이 난해하기만 했던 영어란 녀석을 이전과는 다른 눈으로 바라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 @nabyekim6996
      @nabyekim699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와… 대박. 이래서 우리가 학교에서 그렇게 유의어라고 여러 단어들을 배웠던 거군요. 뭔가 눈이 확 트이는 느낌이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Croatam31
      @Croatam3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오우 한자어와 순우리말로 예시를 드니까 확 와닿네요. 공지나 기관에서 사용하는 말은 한자어가 주를 이루고 실제로 일상에서 사용하는 건 순우리말... 영어의 유의어들도 그런거였군요.

    • @joshpark7001
      @joshpark700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게 또 재밌는 게 뭐냐면 예시를 들어 주신 구동사는 우리가 학교다니면서 숙어다 외워라 이러면서 배웠던 것들이기도 해요 그래서 영어를 외국어로서 배우는 우리 입장에서는 저런 구동사보다 차라리 라틴어/고대 프랑스어(Old French)에서 유래한 surrender 같은 단어를 쓰는 게 더 익숙하고 편하게 느껴진다는 얘기도 얼핏 들은 거 같습니다 앞서 언급한 surrender도 보면 롤이나 게임 같은 거 할때 항복해라~ 이거 써렌쳐라 이런 것 처럼요

    • @BilingualLAB
      @BilingualLA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joshpark7001 그러니까요. 그런데 더 재밌는 사실은, 한국의 영어학습자분들이 실제로 외국인과 대화를 할때 보면, 우리가 그렇게 학교에서 배운 문어체 표현들 위주로 사용하게 되고, 원어민들 입장에서는 마치 우리가 어려운 한자어들 위주로 골라서 한국말을 하는, 그런 어색한 그림처럼 보이는 거죠.
      물론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그 문어체 표현들은 수능 지문이나, 뉴스기사나 비지니스 문서에서는 큰 도움은 되겠지만, 실제 가벼운 대화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거죠.
      그래서 결국 구동사를 마스터 하지 못하면, 일상의 가벼운 대화에서는 원어민들이 하는 말의 절반도 캐치 못하고, 내가 선택하는 단어들로 인해 어색하게 들리는 참사가 일어나는 거죠.

    • @joshpark7001
      @joshpark700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BilingualLAB 많이 공감합니다.

  • @darwin_watterson123
    @darwin_watterson12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7

    영어: 발음기호 없으면 못읽음
    프랑스어, 독일어: 분명 발음 규칙은 존재하긴 하는데 너무 복잡함
    스펠링만 보면 영어처럼 읽기가 어려움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발음 규칙이 쉬워서 스펠링만 봐도 대충 어떻게 읽는지 알것같음

    • @Aitchess5993
      @Aitchess599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읽기 어려운 언어는 철자법 개정을 거치지 않아서 그렇죠

    • @lillith66662
      @lillith6666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스페인어는 j가 h발음이라 그대로읽어도안됩니당
      javier를 자비에르라 읽으면 안되고
      하비에르라읽어요

    • @Aitchess5993
      @Aitchess599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lillith66662 그건 나라마다 읽는 방법이 달리서 그렇죠 독일에서도 j를 /j/ 발음으로 읽는 것처럼 각 언어마다 읽는 방법이 디릅니다

    • @joshpark7001
      @joshpark700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md5ii1gk6r 중성명사는 없습니다 중성명사가 있는 쪽은 독일어 혹은 러시아어이죠.
      참고로 우리가 얘기하는 단어들 중 herb(허브)는 미국식으로 [ərb : 얼브] 로 발음합니다.

    • @GOVERNORofBRITISHschoolCOLONY
      @GOVERNORofBRITISHschoolCOLON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lillith66662그건 걍 나라마다 다른 거잖아요
      불규칙이 아니라

  • @babymoo
    @babymo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현재 미국에서 산지 10년차
    먼 곳에서 한국어로 이런 지식을 습득 할 수 있어서 이 채널을 즐겨 봅니다
    오늘은 제가 매일 사용하는 영어에 대한 이야기라서 더욱 흥미롭게 들었어요
    이런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어 잘한 민족 유대인선생님임
      미국인들은 사실상 힘만 쎄지 대가리가 영 무식하고 멍청한 루저일뿐입니다. 힘은 미국인들이 쓰고, 머리는 항상 미국 지배한 유대인이 씁니다.

  • @JOUOii
    @JOUOi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이런내용을 고작 방구석에서 클릭한번으로 들을 수 있다니;; 정리를 잘해주셔서 그렇지 이 정도의 양을 정리하려면 읽고 이해하고 정리해야하는 문서의 양이 어마어마할텐데.. 감사합니다

  • @user-nj7wy6jw9u
    @user-nj7wy6jw9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7

    사실 한국어도 굉장히 큰 변화를 거쳤으며, 위의 서동요 재구는 당시 발음이 아닌걸로 압니다. 실제로 8세기경 지어진 향가인 제망매가를 재구한 영상을 들어보면 현대 한국어 화자는 거의 알아 들을 수 없을 정도로 큰 차이가 있습니다.

    • @Sprise
      @Spris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아아 미타찰에서 만날 나 도 닦아 기다리겠노라

    • @garam1108
      @garam110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한국어는 재구 학자마다 좀 많이 달라지긴 합니다. 재구하기엔 참고할 자료가 너무 부족해서...

    • @user-ky8sk3ct2l
      @user-ky8sk3ct2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현대 한국어의 모태는 통일 신라때 거의 만들어 졌는데 당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과장을 좀 하자면 현재 우리가 쓰는 한국어는 중세 중국어의 변형이라 볼수 있습니다
      우리는 중국말을 지금 쓰고 있는 것입니다

    • @user-nh7xh3xo5q
      @user-nh7xh3xo5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1

      ​@@user-ky8sk3ct2l당의 영향을 제법 받았다고 해서 현대 한국어는 중국어라고 말하는 건 비약 아님?

    • @onlyROK
      @onlyRO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1

      ​@@user-ky8sk3ct2l영향을 받았다 > 중국어의 변형이다 > 중국어다...??
      하나만 하시는게 어떨지...

  • @89O3O9
    @89O3O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멘트 자막으로 달아주셔서 정말 좋아요🥹 그리고 자료 너무너무너무 깔끔하고 직관적이라 감탄합니다 ㅠㅠ 흥미로운 내용을 아주 재밌게 설명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Kimnakji_
    @Kimnakji_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단어의 간략화: 바이킹 지배 당시
    단어의 장문화: 프랑스 지배 당시
    ...이러니 영국이 프랑스랑 평생 친해질 수가 없지...

    • @JinnYoungKim
      @JinnYoungKi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Rendezvous Travail 이런것도 불어... 엘랑들과 라틴어가 진짜 영향력 크긴 큰듯

  • @GwanckleBerry3399
    @GwanckleBerry339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바이킹스에 나오는 고대 영어를 깊게 봤는데....
    이렇게 저렇게 복잡하게 변하고 변해서 현재의 영어로 바꼈다는게 신기하네요. ㅎㄷㄷ

  • @user-ln3yc1xc3t
    @user-ln3yc1xc3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영어 공부하다보면 왜 이렇게 복잡하게 언어를 만들었는지 이해가 안됐는데 외국인의 시점에서 보는 한국어를 보니 이해가 갔음

    • @user-jv3ef6rk7e
      @user-jv3ef6rk7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어려운게 아니라 덜 어려워진거였음ㅋㅋㅋ

    • @candleproducer
      @candleproduc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버님 해로운 약주 줄이시고 진지 많이 드셔와요>>>>>> 술 끊고 밥 먹어.

  • @wonsukchoi6707
    @wonsukchoi670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매번 새로운 것을 재미있게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ㅎㅎㅎㅎ

  • @Kor_Alvaro
    @Kor_Alvar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다음편에 식민지별 영어 차이 비교해주시는거 얼른 보고싶네요!

  • @Factriot_Missile_104
    @Factriot_Missile_10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교양 채널 넘버원이다 진짜 완성도가 방송사나 ott에서 만든 것보다 더 뛰어난듯

  • @leelake4494
    @leelake449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재밌게 봤습니다! 2부 기다려지네요~

  • @user-tx8yz1mr4e
    @user-tx8yz1mr4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편 기대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oublerholo6018
    @doublerholo601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2

    예전에 텝스 준비하면서 영어의 역사라는 책 읽으면서 공부했었는데, 영어가 어려운 이유를 깨닫게 되었던 기억이 나네요. 진짜 문법이 여러 번 완전히 바뀜. 어휘도 엄청 물갈이 됐고.

    • @playdon9792
      @playdon979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솔직히 한국어보다 쉬움. 어미변화가 외국인 입장에서 개 ㅈ같은 문법임.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영어는 아라비아 아랍문화권 이슬람권부터 시작됐습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고, 그리스어,로마자,라틴문자,에스파냐어,프랑스어,게르만어,세익스픽어,앵글로색슨,바이킹족 등등 이러한 어원들으로 인해 짬뽕영어가 생긴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쉬운 언어가 영어와 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어려운 언어는 한자와 한국어고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수준으로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akeL744
      영어가 중동에서 시작되었다뇨...?
      유럽인의 모체인 인도-유럽어족이 카스피해 근방에서 기원한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영어가 중동에서 생겨난 것은 아닙니다.

    • @sakeL744
      @sakeL74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rw3bk6wp4m 주변에 터키베프가 있는데 터키친구한데 얻는 정보에여 터키친구가 영어는 이슬람권부터 시작됐다고 했고, 모로코와 중동에서 아라비아 상인들이 영어를 최초로 사용해 의사소통나눴다고 했고 서로 영어로 통해 주고 받는적있었다고 해여 저는 튀르기예에 사는 터키친구한데 배운거에여

    • @user-gx1jo4xq1k
      @user-gx1jo4xq1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akeL744어족으로 따지면 인도-아리아가 이란에서 기원해 인도와 캅카스 경유해 유럽으로 간 것 그리고 셈족이 아라비아 사막에서 터 잡고 살다 후일 북아프리카로 확장한게 학계의 정설입니다.
      알파벳으로 따지면 이집트 상영문자를 페니키아가 변형해 최초의 알파벳 만들고 그걸 그리스인들이 변형시킨게 모든 서양 글자의 기원입니다.
      유사한 단어가 있는건 후일 서로간의 교역으로 본인들에게 없던 개념을 받아들인 것이지 언어자체가 바뀌었다는 뜻이 아닙니다.

  • @user-ow7ze1qn3g
    @user-ow7ze1qn3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바이킹 선생님은 빛이에요. 😂

  • @zhoskameen6363
    @zhoskameen636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번편 아주 좋네요. 늘 잘보고 있습니다.

  • @robbie20231
    @robbie2023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값진 영상입니다. 지식 한푼 더 늘었네요 감사합니다!

  • @user-tc1hn3dl9f
    @user-tc1hn3dl9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잘 봤습니다. 영어전공자(디자인 쪽에서 일하다 지금은 백수 생활을 하고 있어요.)로서 배운게 많이 나오네요. 학교 졸업한지 20년이 되지만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역사에 관심이 많아서 그런지 몰라도 재미있네요. 다시 공부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영어는 전세계에서 쉬운언어고 읽기가 편한 언어임
      영어는 일본어와 듣기가 편하고 쉬운 언어임 세계에서 제일 쉬운언어가 아랍어,일본어,영어,히브리어임 제일 어려운언어가 한국어임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적으로 어려운 언어임

    • @user-tc1hn3dl9f
      @user-tc1hn3dl9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akeL744 맞습니다. 가장 어려운 언어가 우리나라 말 이지요.

  • @leechanghyun
    @leechanghyu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영어가 모국어는 아닌지라 항상 영어는 더 잘하고 싶네요 ㅋㅋㅋㅋ 그래서 영어의 기원을 이론적으로 공부하면서라도 더 가까워지려 하는데 좋은 영상입니다 ㅎㅎㅎ 언어 시리즈도 다 다뤄주시면 좋을거 같다는 생각이 ㅎㅎㅎ

  • @user-ho1vx3ev2s
    @user-ho1vx3ev2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식해적단님 정말영상이 재미있네요😂
    앞으로 역사지식을 많이 알려주세요~~

  • @aldebaranTNT
    @aldebaranTN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보고 있습니다.
    라방은 처음이네요..^^

  • @user-fs5dw4ur8u
    @user-fs5dw4ur8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영어는 짬뽕중의 극짬뽕.. 게다가 백짬뽕 적짬뽕 나가사끼 짬뽕 처럼 나라들마다 다르게 분화된듯 해요

    • @Kimdongmin
      @Kimdongmi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응 한국 고인 해골물

  • @oov_
    @oov_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수상할 정도로 '색슨'발음이 완벽한 유튜버 1위

    • @jlee5401
      @jlee540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쎅쓰ㄴ

    • @user-pd3wl1fo8x
      @user-pd3wl1fo8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jy1ry6co8l
      @user-jy1ry6co8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근데 그 색슨의 어원을 보면 색스(sax)가 맞긴합니다.

    • @user-bm5vt5yo8z
      @user-bm5vt5yo8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 : 앵글로랑 색슨 해본적 있어요?

    • @user-dd3cu5lb3u
      @user-dd3cu5lb3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섹슨마스터"

  • @PJ_walking
    @PJ_walki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음영상 너무 기대돼요!!!

  • @Bananaalchol
    @Bananaalcho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항상 영어의 정확한 역사가 너무 궁금했는데 역시 해적단이십니다! 불어 독일어가 영어단어에 들어있고 해서 신기하고 궁금했습니당

  • @itz_O.K-ZAM
    @itz_O.K-ZA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5

    굴절어의 특성은 거의 사라지고 고립어의 특성을 띠는 양상을 보이는 것도 그렇고
    여러 언어에 영향을 받으며 어원도 라틴 그리스 게르만 로망스 뭐 복잡했다는데....
    필요에 따라 여러 요소가 늘어나고 편의에 따라 단순화를 거치는 과정을 보면 언어의 사회성을 잘 보여주는 것 같네요
    진짜 서유럽 다른 언어들 보면 발음 빼곤 전부 천사....

    • @Ozing_o_muchim
      @Ozing_o_muchi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문법적으로 진짜 잘 짜여있음 ㄹㅇ

    • @Lingua-qv6ym
      @Lingua-qv6y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공용어로써 가장 어울리는 언어이자 가장 쉬운 언어

    • @UnhasJ
      @Unhas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공용어가 프랑스어였으면 으... 남성형 여성형 불규칙변화 이걸 어케 다 외워..

    • @Ozing_o_muchim
      @Ozing_o_muchi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UnhasJ 프랑스어 배우는 입장에서 영어가 쉽다는걸 다시느낍니다 ㄹㅇ

    • @carefree5404
      @carefree540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공용어가 될 운명을 가진 셈이네요 어떻게 보면

  • @ilililiililiil3006
    @ilililiililiil300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

    영어가 어렵다지만 다른 외국어에 비하면 일상회화 구사수준까지 가긴 쉬운 편이죠. 문법도 직관적이여서 대륙 반대편 언어치곤 적응도 잘 되는 편.

    • @ert103
      @ert10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그건 어릴때부터 계속 들어와서 익숙해지고 또 우리 일상에 영어가 깔려있어서 그런거임 만약 중국어나 일본어 불어같은게 영어같은 위치에 있었으면 달랐을듯

    • @Kwang-Min-Lee
      @Kwang-Min-Le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독일어나 프랑스어에 비해서 확실히 영어가 쉬운건 사실이죠 독일어 불어는 너무어려워요 ᆢ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영어는 전세계에서 쉬운언어고 읽기가 편한 언어임
      영어는 일본어와 듣기가 편하고 쉬운 언어임 세계에서 제일 쉬운언어가 아랍어,일본어,영어,히브리어임 제일 어려운언어가 한국어임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적으로 어려운 언어임

    • @jamesschoi87
      @jamesschoi8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sakeL744 국뽕 너무 맞으셨다~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akeL744
      일어가 뭐가 쉽노 ㅋㅋ

  • @user-yz7vm2lf4j
    @user-yz7vm2lf4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진짜 개재밌네요 ㅋㅋ 풍부하게 잘 알려주셔서 너무 좋아요

  • @ihatesummatives5785
    @ihatesummatives578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식해적단님, 오늘 영상 너무 재밌게 봤어요~! 그럼 실례지만 혹시 한국어의 역사에 관한 영상도 만들 수 있을까요?

  • @VermilionRey
    @VermilionRe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이거 솔직히 애들이 영어 배울 때 틀어야 되는 영상같네요. 그냥 세계 공용어니 억지로 꾸역꾸역 외우는던 내 학창 시절보다 지금이 더 영어에 관심이 가게 하는 영상이네요.

    • @Songkail
      @Songkai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다 학교에서 배우는 건데 뭘 ㅋㅋㅋ

    • @Paraan_Sae
      @Paraan_Sa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Songkail영어의 자세한 역사를 학교에서 배운다고요?

  • @user-mq2tx2ph3i
    @user-mq2tx2ph3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

    원래도 책을 통해서 알고있었던 내용인데 여러 역사적 인물들과 예시가되는 단어를 간단명료하게 표로 보여주니 정말 재밌고 이해가 잘되네요 이번 영상은 정말 고퀄리티입니다.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영어는 아라비아 아랍문화권 이슬람권부터 시작됐습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고, 그리스어,로마자,라틴문자,에스파냐어,프랑스어,게르만어,세익스픽어,앵글로색슨,바이킹족 등등 이러한 어원들으로 인해 짬뽕영어가 생긴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쉬운 언어가 영어와 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어려운 언어는 한자와 한국어고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수준으로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 @user-om3ff8of7o
    @user-om3ff8of7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저녁먹으면서 꿀잼으로 잘봤습니다!

  • @han_plant_park
    @han_plant_par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복잡했네요..
    이런 내용을 스스로 알려하면 골치 많이 아팠을 것 같은데 이 영상 덕에 그래도 좀 더 쉽게 알게된 것 같아 너무 감사드립니다.

  • @disarmyourvoice
    @disarmyourvoic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학부시절 개론시간 이후로 정말 오랜만에 듣는 얘기들이네요. 잠깐이나마 행복했던 그시절로돌아간것같은 기분입니다.

  • @skipepsi6201
    @skipepsi620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극공감되는 부분이 있네..독일어 배울때 사물마다 성별있는거 보고 질겁을 했다..영어만세다.

  • @yagyung
    @yagyu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완전 재밌었고 유익했쏭~~~~ 평소에 좀 궁금하던 소재였쎵~~~ 유럽역사도 함께 알게되어서 좋았쎵~~~

  • @gosubang
    @gosuba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재밌었습니다. 시간이허락되신다면 각국 언어의 변천사도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히 한국어부터!!!

  • @Grandpa_Trotsky
    @Grandpa_Trotsk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유튜브 인터넷 등에도 네덜란드의 여왕이었던 빌헬미나여왕에 대한 이야기가 없더군요. 지식해적단님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Kevin-ps9yf
    @Kevin-ps9y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바이킹들이 영어를 더 손봤어야 했는데....

  • @user-jq2gq9vg3n
    @user-jq2gq9vg3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0분씩 1,2편 안나누고 한방에 올려준거 감사합나다ㅜㅜㅜ!!!!!

  • @sunnyday563
    @sunnyday56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내용 정말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 @Collaintp
    @Collaintp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향문천 × 지식해적단 꿀조합

  • @GAENODAP
    @GAENODAP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5

    영어영문학도로써 반가운 내용이네요.
    재학하던 당시 영문학은 거의 안하고 영어학과 언어학이 재밌어서 학점 잘 안나온다고 다들 겁줘도 해당 전공만 오지게 들었었는데... 그립기도 하고...잘봤습니다.

    • @candleproducer
      @candleproduc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

    • @candleproducer
      @candleproduc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영문학이네 언어학이나 고고학도 아니고.....
      쫌 ㅋ

    • @candleproducer
      @candleproduc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런 애들이 급 속성으로 공부해서 다음날 반대 논리를 증명하려고 함 ㅋ

    • @candleproducer
      @candleproduc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논리적으로 언어는 이렇다 라고 증명을 해 보세요 ㅎ
      그럼 당신의 영문학을 높이 살께 ㅎ

    • @user-oc7oc6rf6g
      @user-oc7oc6rf6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candleproducer 지나가던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대학원 다니는 학생입니다
      한국 대학교는 형편상 영어학과랑 영문학과가 따로 분리가 안되어있어요
      영어영문과는 말그대로 영어과+영문과입니다
      영어학은 거의 사회과학에 가까울 정도로 이과적이고 영문학은 누구나 생각하는 문과적인 문학을 배웁니다
      사실상 두 학문은 성격상 전혀 다른 학문인데도 같은과로 묶여있습니다
      아마 이 댓글을 쓴 사람은 영문학이 아니라 영어학 전공을 대부분 신청하여 졸업했다고 말하는걸거에요
      저도 영어학 관련 영상이 매우 드문데 유튜브 큰채널에서 이런 영상을 만들어줘서 반가운 마음에 댓글을 살펴보고 있었는데요
      영어학 전공하여 통사론으로 석사 준비하는 사람으로써 영어학과 영문학을 혼동하시는 대댓글을 지나칠수 없어 댓글답니다
      영어 자체가 전세계에서 통용되는 언어이다보니 기본적인 언어학과 언어의 속성 및 역사를 배우고
      음운론/형태론/통사론/의미론/화용론으로 세부적으로 나뉘어서 전공이 들어갑니다
      각각의 분야는 전부 거진 이과적인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영어 뿐 아니라 보편적 언어학이 해당 학교에 언어학과가 존재한다면 전공으로 공유되기도 합니다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

  • @user-dv2rx3rn6i
    @user-dv2rx3rn6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겁나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wv3pu7qq4g
    @user-wv3pu7qq4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것더것 발음해주시느라 고생하셨슷니다. 감사합니다

  • @everagekarl4068
    @everagekarl406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영어를 공부할 때, 단수/복수는 바이킹 성님들한테 감사하는 마음으로
    고급어휘는 엘랑스를 보며 침을 뱉으며 배우면 되것군요

  • @Aqua79797
    @Aqua7979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사실 영어라는 언어는 셰익스피어대에 이미 지금의 모습을 갖췄지만, 영어의 발음은 이후로도 계속 변했습니다. '대모음추이'라고 불리는 발음의 변화가 꾸준히 진행되어왔기에, 우리가 셰익스피어가 살던 시대로 가서 필담을 하는 건 가능할지라도 말로 대화하는 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어는 아라비아 아랍문화권 이슬람권부터 시작됐습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고, 그리스어,로마자,라틴문자,에스파냐어,프랑스어,게르만어,세익스픽어,앵글로색슨,바이킹족 등등 이러한 어원들으로 인해 짬뽕영어가 생긴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쉬운 언어가 영어와 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어려운 언어는 한자와 한국어고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수준으로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 @Aqua79797
      @Aqua7979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akeL744 근데 러시아어쪽도 만만치 않...

    • @Delcron2902
      @Delcron290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akeL744진짜 뭔 머리에 문제있는 거 같은 소리하네ㅋㅋㅋㅋ

    • @user-ed3zt8we4m
      @user-ed3zt8we4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나는 국제고 출신이라 sake님이 말한 영어가 아라비아에서 시작됀것도 맞음

    • @sakeL744
      @sakeL74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외고출신이라서 제 2의 외국어 아랍어와 히브리어 전공해보면 영어가 아라비아에서 시작된것도 볼 수 있음

  • @user-vm9hl3gl5h
    @user-vm9hl3gl5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햐~~ 이번 영상 좋았어요 정말!

  • @user-eq1nc3im9r
    @user-eq1nc3im9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식해적단님 지식에 박수를 보냅니다~정말 방대한 지식을 갖추신것도 놀라운데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 되네요^^ 감사합니다

  • @markuslee5570
    @markuslee557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다민족 국가인 캐나다 10년 넘게 살면서 느끼기로, 영어에 대한 환상이 제일 심한나라가 한국, 중국 이란걸 자주 느껴요. 정작 영어 제일 못하는 두 나라가 환상은 제일 커서 자국어로 굳이 되는걸 다 영어단어로 쓰고 그게 있어보인다고 생각하고 정작 그마저도 틀리게 사용하는 경우도 많고.... 해외 나왔다고 영어이름 만들어 쓰는 나라 한국, 중국 말고 본적이 없네요.

  • @aoki8859
    @aoki885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유럽 영미권 드라마 좋아해서 ott란 ott는 다 들쑤시면서 다 보는데 언어들어 보면 진짜 비슷 단어들 많더라 스페인어 마드레 파드레 영어 마더 파더 독일어 당커 영어 땡큐 등등 신기했는데 지식해적단 이번 영상 보니깐 이해가 되네 감사합니다

    • @kft546
      @kft54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타이신가 싶은데 독일어 감사는 당케(danke)입니다!

    • @aoki8859
      @aoki885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ft546 잉? 들리는건 당커! 이렇던데 ㅋㅋㅋ 제가 잘못들은 건가? 감사합니다

  • @hj23hj17
    @hj23hj1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 감사합니다 ! 이건 즈이집 초딩과 같이 한번 더 봐야겠네요 ^^ 항상 유익한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yk6sx3go4c
    @user-yk6sx3go4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2 맛둥 '방알'이라고 읽으시는 거 보니 옛이응 음가를 정확하게 알고 계시는군요 기쁩니다

  • @Feirho123
    @Feirho12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엌 오늘 또 마침 친구한테 영어 바이킹한테 개조당한거 학교에서 말해줬는데 이런 우연이ㅋㅋㅋ

  • @helpmen3905
    @helpmen390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영어를 열심히 배워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잘 알게 됐네요!
    안그래도 지금 영어에 목숨걸어야되서 유튜브랑 넷플릭스 보면서 인풋하고 언어교환101 회화다니면서 아웃풋하고 있거든요!
    영어회화실력 빨리 올려서 원어민들이랑 편하게 영어로 소통하고 싶네요ㅠ

  • @Junssssssss
    @Junsssssss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내용 신선학고 좋습니다!

  • @zeusseo
    @zeusse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콘텐츠들이 넘 잼 있어요.

  • @anidrummer8780
    @anidrummer878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비정담회담에서 언급되기를 영어가 프랑스어 영향을 많이 받았고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영어를 많이 쓸수록 고급스럽게 여긴다고 합니다 심지어 미국 상류층도 프랑스어를 배운다고 그래서 영향력을 행세할 때 영어가 양이라면 프랑스어는 질로 승부건다고 보면 됩니다

    • @dr.einspanner
      @dr.einspann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최소한 미국은 지역별로 인종별로 직업계층별로 쓰는 영어가 생각보다 조금씩달라요
      백인이나 중산층이상이 쓰는 영어(흔히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에 가까운데 지역별로 사투리가 조금씩있음),후드지역 사람들이 쓰는 영어(주로 갱스터들이 랩핼때 듣는 영어 문법이 거의 안맞음) , 이민자 1세대들이 모여사는 지역의 영어 등등
      영국영어와 미국영어도 발음이나 단어 철자법 등 문법에서도 은근 차이 나요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어 잘한 민족 유대인선생님임
      미국인들은 사실상 힘만 쎄지 대가리가 영 무식하고 멍청한 루저일뿐입니다. 힘은 미국인들이 쓰고, 머리는 항상 미국 지배한 유대인이 씁니다.

    • @J_Wk
      @J_W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우리나라도 한자어를 쓰면 더 고급지다고 생각하잖아요. 오늘-금일 올해-금년 님-귀하 드림-배상 우리회사-폐사 등등등

    • @user-vr3vc8xx8b
      @user-vr3vc8xx8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국에서 프랑스어를 고급스럽게 본다고? 캐나다 놀릴때 쓰는게 아니라???

    • @anidrummer8780
      @anidrummer878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vr3vc8xx8b 비정상회담 프랑스어라고 치면 나올겁니다

  • @user-fc8be5dg6p
    @user-fc8be5dg6p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고등학교 제2외국어로 불어 처음 배울때 영단어랑 비슷한 어휘 많아서 신기했던 기억나네요ㅎㅎ

  • @samueljang1204
    @samueljang120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dhkang6596
    @dhkang659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정리하였어요 굿굿

  • @user-ov7rk7di7k
    @user-ov7rk7di7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영상초반 서동요에 나오는 구절을 읽으시며 ‘한국어는 고대에도 타국어와 달리 현대어와 그렇게 큰 차이는 없는 느낌이다‘ 라고 하셨는데
    당시(신라시대) 글을 훈음한 영상을 보면
    한국어보단 고대 중국어 마냥
    동남아어 혹은 중국어 처럼 들리던데 훈음을 재연한 영상의 고증이 잘못된건지 좀 여쭤보고 싶어 댓글 남깁니다

    • @Ycmjg37143
      @Ycmjg3714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건 현재 성조가 살아있는 나라가 중국 밖에 없어서 중국 성조를 사용해서 읽었기 때문에 그래요. 북한도 성조는 현재 거의 없고요. 그래서 그 당시의 성조가 어떠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해요. 그나마 유일하게 성조가 사용되고 있는 건 경상도에서 2의 2승과 e의 2승, 2의 e승 뿐이고요.

    • @user-lj2zq4gx2n
      @user-lj2zq4gx2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cmjg37143 2의 e승은 성조와 관련없는 성문 파열음의 유무 문제입니다.
      한국에서는 크게 구분치 않지만, 음운의 역할을 어느정도 수행하는 자음이 있죠
      그리고 성조가 살아있는 나라가 중국밖에 없다는 건 뭔 개소리죠? 베트남만 봐도...
      그리고 중국 성조를 사용했다는 설은 학계에서 부정되고 있습니다. 중세한국어의 성조 고저악센트는 복원이 꽤 되어있습니다.
      지식해적단의 고증이 잘못된 것입니다. 아무래도 언어학 전문가들은 아니다보니

  • @EmterQuischon
    @EmterQuischo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중세 이전 한국어의 재구가 몹시 어려워서 그렇지, 음운적으로는 17세기 이전까지의 한국어만 해도 현대의 한국인들은 이해하기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성조, 모라의 개념이 존재했으며음소, 현대 한국어는 1음절당 1~3음소(V, CV, CVC)인 반면 과거의 한국어는 1음절에 4개 이상의 음소(V, VV, VVC, VVCC, CV, CCV, CCVV...)가 쓰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마지막까지 복모음은 분명한 형태로 남아있었죠. (e발음이 고저대비 없이 별도로 ㅓㅣ, ㅏㅣ로 존재했듯이)존재했듯이
    나아가서 5~6세대까지의 고대 한국어는 현대와 달라 능격-절대격이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한국어 화자집단이 한반도에 들어서기 전까지 북방에서 퉁구스어족과 근연 관계였던 시기의 흔적으로 추정하죠. 지금과 같은 주격-대격 언어가 된 건 한국어 화자집단이 한반도에 들어서며 선주하던 일본어 화자집단과 접촉하며 생긴 것으로 추정합니다. (고대 일본어인 일류조어는 오스트로타이어족과의 근연 언어로서 수십 세기 전부터 주격-대격 언어였기에) 음운 분화가 심한 데다 문법적 구성도 지금과 크게 다른 고대 한국어와 현대 한국어는 고대 영어와 현대의 언어만큼 형태가 매우 다른 언어였을 것입니다. 지정학적 이유로 프랑스어의 유입이 많아지면서 순수 영어 어휘가 많이 도태된 것처럼, 한국어 또한 5세기경부터 본격적으로 한자와 한문을 쓰며 순수 한국어가 많이 도태됐다는 점에서는 변화 과정에서 여러 모로 영어와 비슷한 면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 @many2533
      @many253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제주말이나 경상도 어르신들끼리 이야기하시면 말알아듣기 힘들죠 조선 중기정도만 가도 대화가 안통할듯해요

  • @haraoratsho
    @haraoratsh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언어학 영상도 올라오니 정말 좋네요

  • @mercs72
    @mercs7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익했습니다. 번창하세요.

  • @user-jn7rf6wo6z
    @user-jn7rf6wo6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중국어가 감히 영어에 대적하려하는데
    진짜 웃깁니다

  • @joshpark7001
    @joshpark700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1. 흔히 말하는 앵글로 색슨 족의 경우 영상에서 있는 것처럼 독일에서 왔고, 색슨(Saxon)이라는 단어는 영어식으로 발음했을 때 이렇게 발음이 되며, 원래 살던 지방인 독일어식으로 발음하게 되면 작센(Sachsen)으로 발음하기도 합니다. 한때 영국 왕실에서 빅토리아 여왕이 앨버트 공(Prince Albert)와 혼인하면서 작센코부르고타 왕조(House of Saxe-Coburg and Gotha)로 불렸던 적도 있지요.
    2. 댓글에 보다 보니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영미권 고교생들에게 셰익스피어는 우리나라에서 으로 악명높은(?) 송강 정철(鄭澈, 1536~1594)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셰익스피어 처럼 단어를 만들었다기보다는 그 시대에 쓴 문학 작품들 때문에 이런 소문이 있다고 하는데 이유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정철을 싫어하는 이유랑 같다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3. 마무리 : 저도 제가 학교 다니며 교양 수업이나 전공 수업 등을 통해 배웠던 내용등을 토대로 몇줄 적어보았으나 기억이 가물가물하여 틀린 부분도 얼추 있습니다. 그래도 이런 거 서로 알려주고 하는 걸 좋아하는 편이라 몇줄 적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jinosong1634
      @jinosong163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세익스피어는 그래도 정철 같은 청치사범은 아닌데

    • @user-bm3oq5et3n
      @user-bm3oq5et3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 맞아요. 독일지명 중에 아직도 니더-작센 (Niedersachsen) 이라는 지명이 있어요.

    • @user-wl9cn2yg4r
      @user-wl9cn2yg4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스칸디나비아지방에서 남하하며 시작한 프로토게르만족 (원시게르만)에서의 분화
      1.북게르만 (고트, 노르게, 스베리에, 기트,데인 (또다른 연구에서는 기트와 데인을 북해게르만 범주로 묶기도 한다.) ....후에 노르드인)
      2.서게르만 (가장 분화가 심한 그룹, 이 서게르만도 또 세그룹으로 나눔, 북해게르만(앵글,색슨,프리시아,기트,데인등), 베저강과 라인강 유역의 게르만(프랑크), 엘베강 유역의 게르만(수에비,알레마니,롬바르드 등)
      3.동게르만(동고트,서고트, 부르군트,반달 등)
      그중 브리타니아로 이주해 정착한 앵글로색슨을 이루는 게르만만의 각부족 (북해 게르만족(North-sea Germanic group))중 = 앵글,색슨,유트, 프리시아)
      그들의 이름으로 남겨진 지명들
      1 . 대륙의 지명; 색슨= 니더작센 (Lower Saxony) , 앵글족 = 독일 슐레스비히 홀슈타인의 앙겔른(Angeln), 쥬트족(유트족) = 덴마크와 북독일의 유틀란트(Jutland , 유트인의 땅)반도, 프리시아족 = 네덜란드의 프리슐란트(Friesland 프리시아인의 땅)
      2. 섬의 지명 : 이스트 앵글리아 (East Anglia 동앵글왕국), 서식스( Sussex 남색슨 ),에식스(Essex 동색슨),웨식스(Wessex 서색슨) 등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어 잘한 민족 유대인선생님임 유대인들은 나라없이 수처년동안 전세계 각지로 훝어져 살더 민족이에여 유대인들은 기독교 싫어합니다. 기독교가 유대인들을 핍박했죠. 기독교 공인국가에서 유대인들을 항상 괴롭히고 핍박했었어여 하지만 유일하게 유대이난민들을 받는 국가가 카톨릭국가와 이슬람국가었고, 이슬람국가에서 유대인들에게 공무원들 시켜주고, 대우좋았었어여 무슬림으로 개종한 유대인들도 많구여
      모로코에 사는 무슬림 유대인들도 많아여
      미국인들은 사실상 힘만 쎄지 대가리가 영 무식하고 멍청한 루저일뿐입니다. 힘은 미국인들이 쓰고, 머리는 항상 미국 지배한 유대인이 씁니다.
      영어는 전세계에서 쉬운언어고 읽기가 편한 언어에여
      영어는 일본어와 듣기가 편하고 쉬운 언어임 세계에서 제일 쉬운언어가 아랍어,일본어,영어,히브리어임 제일 어려운언어가 한국어임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적으로 어려운 언어에여
      영어는 아라비아 아랍문화권 이슬람권부터 시작됐습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고, 그리스어,로마자,라틴문자,에스파냐어,프랑스어,게르만어,세익스픽어,앵글로색슨,바이킹족 등등 이러한 어원들으로 인해 짬뽕영어가 생긴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쉬운 언어가 영어와 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어려운 언어는 한자와 한국어고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수준으로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영어는 아라비아 아랍문화권 이슬람권부터 시작됐습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고, 그리스어,로마자,라틴문자,에스파냐어,프랑스어,게르만어,세익스픽어,앵글로색슨,바이킹족 등등 이러한 어원들으로 인해 짬뽕영어가 생긴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쉬운 언어가 영어와 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어려운 언어는 한자와 한국어고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수준으로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공용어로써 가장 어울리는 언어이자 가장 쉬운 언어
      영어/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

    • @user-qs1mz3ef1i
      @user-qs1mz3ef1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앵글로색슨이라는 말 자체가 앙글족+작센족이라는 말입니다. 켈트족이 다른 켈트족에 잡아먹히려다 보니까 힘이 있는 종족을 찾아 북유럽까지 건너가 용병으로 끌어들인 것이에요. 그래서 앙글족과 작센족을 영국으로 데려와 다른 켈트족을 공격하게 만들었는데 앙글작센족은 자기들을 끌어들인 종족부터 박살내기 시작했고 결국은 적대하던 켈트족과 함께 웨일즈와 아일랜드 스코틀랜드로 도망갔습니다. 그러니 영국은 그야말로 수없이 근본이 바뀐 종족입니다.

  • @dntjd94
    @dntjd9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음영상도 기대됩니다

  • @Lingua-qv6ym
    @Lingua-qv6y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정말 흥미로운 내용이다 진쩌

  • @nachunshik
    @nachunshi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바이킹분들 감사합니다

  • @r6standard_zero190
    @r6standard_zero19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 바이킹들은 쉽게 바꿀거면 다 바꿔주지 왜 몇 개는 남긴 거야?
    ???: 그 정도는 바이킹들도 외운대
    그 인터넷 커뮤니티 글이 생각나는 이번 영상이네요ㅋㅋㅋㅋㅋ

    • @user-xl3ni3bq1o
      @user-xl3ni3bq1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바이킹도 그정도는 했어요.

  • @nachunshik
    @nachunshi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음영상이 기대되네요

  • @user-zu9qp3cf9v
    @user-zu9qp3cf9v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재밌어요!

  • @youcantata
    @youcantat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 영상을 보고 영어를 현지인 수준으로 잘하고 싶어진 분들도 계실텐데 중요한 조언: 영어 단어 어휘력 2만 단어를 정복하세요. 영어를 잘하고 싶으시면 꼭 체계적으로 어휘력을 늘리는 노력을 해야합니다. 섹스피어 작품의 등장 어휘가 2만 단어 정도라고 하는데 이 2 만 단어는 현재도 영어권에서 교육받은 지식인과 일반인을 구분하는 선 입니다. 영미권 대학 졸업생들의 어휘력이나 회사에서 관리직으로 일하는 사람은 2만 단어 정도는 능숙하게 읽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외국인도 2만단어 정도의 어휘력을 가지면 영어 소설이나 각종 영문서적을 읽거나 영어권 뉴스나 TV 영화 드라마를 보는 거나 미국회사에 사무직으로 취업해 업무하는 데 거의 지장이 없습니다

    • @chrischoi1928
      @chrischoi192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정보감사합니다. 다른 조언도 부탁드려요 😊

    • @abcdefghijklnmopqrxtuvwyg
      @abcdefghijklnmopqrxtuvwy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셰익스피어 아닌가요..?

  • @user-hx7co5eb5e
    @user-hx7co5eb5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영어를 비롯해 다른 민족이 모여살게 된 국가의 언어는 단순하다고 함

  • @szp2892
    @szp289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간만에 개꿀잼 인정합니다 ㅎㅎㅎㅎ

  • @donnykang
    @donnyka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새 어크 발할라 하는데 딱 맞는 영상이네요 ㅋㅋ 흥미롭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JN_HARU
    @JN_HAR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영어는 아직도 다른 언어들과 비교 했을때 완성도가 떨어지는 언어지만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유연하고 변화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본인들도 이해 하기 힘든 음절 변화가 너무 많다는 단점이 있는 언어

    • @dlwogur5462
      @dlwogur546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표의도 표음도 안되는 유사 알파벳이라 읽는것부터 문제임

    • @mathematics6272
      @mathematics627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ㄹㅇ 은근 규칙도 없고 마구잡이식임

    • @Aitchess5993
      @Aitchess599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그건 철자법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럼 예를 들어서 한국어도 천지창조를 예전에는 텬디탕됴라고 적고 [천지창조] 이렇게 읽었는데 지금 천지창지로 적을 수 있는 건 발음과 가깝게 철자 개정이 이루어 진 것임. 영어는 철자를 개정하기에는 너무 많이 퍼져서 한 곳에서 개정한다고 전세계에서 그걸 따르진 않을 거임 당장 미국과 영국도 소소한 철자법 차이가 있음

    • @dr.einspanner
      @dr.einspann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Aitchess5993이게 맞죠
      knife 도 예전에는 k발음이 미약하게나마 살아있었는데 시대가 변하니 없어지고 글자에만 남았죠
      특히 미국식 영어가 옛발음이나 철자를 웬만하면 그대로 유지하는 경향이 강한데 아무래도 원조가 아니다보니 원조에 더 집착하는 경향이 있어서 인것같네요

    • @isaku139
      @isaku13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공감합니다… 일본어 '문법'이 거의 레고블로 끼워넣는 수준으로 정리되어 있는 거에 비하면ㅠ 영어는… 불규칙 패턴이 많다는 느낌을 피할 수 없죠.
      한자독음 문제는 별개로 치고, 적어도 히라가나•카타카나의 정해진 바음 그대로 가니 발음도 상당히 편하고요.

  •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필승! 영어의 마지막 숙제는 표기와 발음을 일치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 @Aitchess5993
      @Aitchess599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렇게 하기에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쓰이고 있어서 힘들 듯

  • @watcher9892
    @watcher989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슷한 내용을 책 플루언트로 읽었는데 영상으로 보니까 더 이해하기 쉽네요

  • @user-gb2fl8ep1z
    @user-gb2fl8ep1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rj4hc6qi7c
    @user-rj4hc6qi7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리고 세익스피어의 작품은 지금도 영문학의 중심이자 현대 영어의 근본입니다.

    • @candleproducer
      @candleproduc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걔님이 영어를 더 어렵게 만들었다요?

  • @yongjinkim473
    @yongjinkim47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영상에서 나온 서동요의 국한문표기는 중세국어(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시기)로 재구를 한것이기에 고대의 재구가 아닙니다.
    출처는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제 1권에서 재인용
    애초에 우리나라에 고대 국어 자료가 조금만 더 많았더라도....
    사실 자료가 없기에 재구 추측의 다양성이 넓어 일반 사람들이 늘 자기말만 맞다고 주장하는 분야긴합니다.
    만, 영상에 나온 수준은 아닙니다.

    • @candleproducer
      @candleproduce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러니 기본적인 연구사례와 상식선에서 보면 됩니다.
      제 생각에 결론은 알아 먹을만 하다고 봅니다.

    • @playvai7
      @playvai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andleproducer못알아 먹습니다

  • @choedongsin
    @choedongsi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뭐 언제나 잼있지만 이번 컨탠츠도 꿀잼이네요! 스페인어도 잼있을 예정임, 해주세요~

  • @user-lf5yk6uv7c
    @user-lf5yk6uv7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 영어는 미국에서 초딩때 살면서 습득했는데 대학생되고 독일어 배우고 나서 영어의 역사에 궁금증이 생겨 책 사서 읽어보았는데요ㅠ 영상으로 보니 좀 더 나을거 같네요ㅠㅠ 저에게 필요한 영상,,

  • @kidandRaftel
    @kidandRafte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그리스에서 쓰인 언어도 처음부터 인도유럽어파였던게 아니라 고대 미케네 문화까지는 아직 기원을 알 수 없는 언어가 사용됐다네요
    이런 언어 교체기가 문자의 발명 이전에 있었던 곳들은 언어학 연구하기가 ㄹㅇ 빡세지죠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어 잘한 민족 유대인선생님임 유대인들은 나라없이 수처년동안 전세계 각지로 훝어져 살더 민족이에여 유대인들은 기독교 싫어합니다. 기독교가 유대인들을 핍박했죠. 기독교 공인국가에서 유대인들을 항상 괴롭히고 핍박했었어여 하지만 유일하게 유대이난민들을 받는 국가가 카톨릭국가와 이슬람국가었고, 이슬람국가에서 유대인들에게 공무원들 시켜주고, 대우좋았었어여 무슬림으로 개종한 유대인들도 많구여
      모로코에 사는 무슬림 유대인들도 많아여
      미국인들은 사실상 힘만 쎄지 대가리가 영 무식하고 멍청한 루저일뿐입니다. 힘은 미국인들이 쓰고, 머리는 항상 미국 지배한 유대인이 씁니다.
      영어는 전세계에서 쉬운언어고 읽기가 편한 언어에여
      영어는 일본어와 듣기가 편하고 쉬운 언어임 세계에서 제일 쉬운언어가 아랍어,일본어,영어,히브리어임 제일 어려운언어가 한국어임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적으로 어려운 언어에여
      영어는 아라비아 아랍문화권 이슬람권부터 시작됐습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고, 그리스어,로마자,라틴문자,에스파냐어,프랑스어,게르만어,세익스픽어,앵글로색슨,바이킹족 등등 이러한 어원들으로 인해 짬뽕영어가 생긴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쉬운 언어가 영어와 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어려운 언어는 한자와 한국어고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수준으로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영어는 아라비아 아랍문화권 이슬람권부터 시작됐습니다. 유럽으로 넘어가고, 그리스어,로마자,라틴문자,에스파냐어,프랑스어,게르만어,세익스픽어,앵글로색슨,바이킹족 등등 이러한 어원들으로 인해 짬뽕영어가 생긴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쉬운 언어가 영어와 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입니다. 세계에서 가장어려운 언어는 한자와 한국어고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세계수준으로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공용어로써 가장 어울리는 언어이자 가장 쉬운 언어
      영어/아랍어/일본어/히브리어

  • @jwj2793
    @jwj279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저렇게 오랜 기간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완성한 영어영문체계를 보면 한국어표기를 한글로 한방에 정리한 세종은 대체...ㄷㄷㄷ

    • @user-asd54.q
      @user-asd54.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번에 정리한건 아니지 않나

    • @sakeL744
      @sakeL74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세종대왕님만 완성 하신거 아닙니다. 다른학자와 같이 연구하고 노력해서 만든것입니다.

    • @user-gg9nl4op7o
      @user-gg9nl4op7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밑에 다른 멍청이가 댓글 달아서 정정합니다.
      한글은 세종대왕님 혼자서 창제하신 문자입니다.

    • @sakeL744
      @sakeL74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글은 중국 학자가 만든것입니다. 세종대왕님은 복붙하는 놈입니다.

    • @sakeL744
      @sakeL74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글은 중국인이 만들었고, 김치와 한복도 중국문화로부터 시작된것입니다. 세종대왕은 복붙밖에 할줄 모르는 놈들입니다.

  • @user-ve1wv5dm3j
    @user-ve1wv5dm3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관심있는 언어에 관한 내용이라 재밌습니다

  • @kimsbucketlist_15
    @kimsbucketlist_1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구독자 94명 때부터 봐왔는데.. 이제 100만 고지가 보이는군요🙂 화잇팅 입니다!! 🎉

  • @user-de3dv2bh7g
    @user-de3dv2bh7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진짜 원어민으로 태어나는게 축복인듯 영어 잘하는 꿀팁같은거없나 ㅋㅋ

    •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여담으로 북유럽 국가들이 영어에 능수능란한 이유가 바로 인구가 적다 보니, 영미권 방송을 수입해서 보기 때문입니다.

  • @user-de2vb1yx1f
    @user-de2vb1yx1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바이킹 성님들이 고대 영어를 좀 바꿔줘서 그나마 쉬워진게 이 정도...인가?

  • @jiwonkim4794
    @jiwonkim479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xceptionally brilliant!!! 😅

  • @user-mb4gu2wb7d
    @user-mb4gu2wb7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식 혜적단 너무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