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 하는 동안 열심히 움직거릴줄이야.. 경이롭네요 그나저나 2:17 어디서 많이 본 구조라고 생각해서 찾아보니 모든 회전 하는 물체에 적용 가능한 현상이었군요 자전거를 탈때 손을 놓고 몸을 기울이면 (수직의 중심점 이동) 90도에 해당하는 앞 부분 (바퀴)의 좌우가 움직이는 현상과 같은건가봐요 왜 90도인지는 모르겠네요 😅
@@designy7677 처음부터 완성도 높게 만들진 기술은 하나도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구글이나 유튜브 찾아보시면 헬리콥터의 초기 형태들도 많이 나오는데 정말 별 희한하고 되도 않고 허접한 실험작들이 많습니다. 그런 수많은 실패들이 쌓여서 지금의 헬리콥터가 만들어진 것인데, 지금 우리가 보는 훌륭한 기술들은 모두 그런 단계들을 거쳐온 것들입니다.
영상의 예시처럼 이상적인 상황 (일정속도 이상의 전진 비행 중 엔진 이상이 생겼고 난류가 없고 대처할 충분한 고도가 있고 착륙할 지면이 고를 경우)...이라면 생존률이 높을 것 같은데요. 실제 사고상황이 어땠는지에 따라 변수들에 의해 컨트롤이 잘 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Dissymmetry of lift'라고 잘 알려진 현상인데, 영상에서 언급했던 '자이로스코픽 프리세션' 효과에 의해 좌우로 틀어지지 않고 뒤쪽 방향으로 기울어진다고 합니다. 전진 속도를 줄이는 효과가 일어나는 거죠. 그래서 보정을 따로 해주지 않아도 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제목으로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전진비행시 메인로터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블레이드는 기류속도가 증가하고 퇴진블레이드쪽은 회전상대풍 기류속도가 감소하므로 헬기 좌우의 양력차가 발생합니다. 이를 양력불균형이라고 하고요 따라서 양력차이로 양력이많은쪽 블레이드가 들립니다. 블레이드가 들리게되면 회전상대풍과 유도흐름의 합력인 합력상대풍이 시위선과 이루는 각인 Angle of Attack이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양력이 감소합니다. 양력이 감소한 블레이드는 다시 내려가겠죠. 이 과정이 전진비행시 계속 반복해서 블레이드가 위아래로 파닥거리는것이고 이를 Flapping이라고 합니다. Cyclic Feathering 은 Flapping 과 더불어 양력불균형을 보상하기 위한 현상이라고 할수있습니다.
헬기 날개가 파닥거린다는 사실은
이 영상 아니었으면
죽을 때까지 몰랐을 뻔 했네요 ㅎㅎ
전직 헬기 조종사입니다.
아주 쉽게 정리를 잘 해주셨네요.
학생조종사때 공부하던 생각도 나고 즐겁게 봤습니다.
공부하면 할수록 날아다니는게 신기한 물건이지요.ㅎㅎ
내가 마지막에 뭘 본거지? ㅋㅋㅋㅋㅋㅋ 헬기가 렉이 걸렸는데요? ㅋㅋㅋㅋㅋ
물리엔진 오류났네요 ㅎㅎ
Rc헬기 많이들 사랑해주세요
활어가 파닥파닥
가이진됐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영상의 퀄리티가 정말 좋네요.
S-64E Main Rotor RPM은 185RPM.
브레이드가 길어 질 수록 RPM은 낮아지죠.
채널을 보니 헬기 전문가이신 것 같은데 호평 고맙습니다! 음속 이내에서 운전해야 하는 날개 tip speed의 한계 때문이죠. ㅎㅎ
정리 넘모 잘하신당
날개가 파닥거린다는건 생각도 못했는데 신기하네요.
저도 찾아보고 신기해서 영상으로 작업해 봤어요~ㅎㅎ
4:35 고인물 ㄷㄷ
마지막에 고였네...
이런주제 너무 잼있어여
고이다 못해 썩었습니다 ㄷㄷ
자이로스코픽 프리세션 쉽게 이해하는 법: 굴러가는 동전의 진행 방향을 바꾸려면 동전 앞쪽을 치지 말고, 동전의 위쪽을 쳐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회전 방향의 90도 이후인 동전 앞쪽에 힘이 전달되어 방향이 바뀝니다.
그 동전 설명도 봤었는데 제 머리로는 아직 어렵네요 ㅎㅎ 리플 고맙습니다!
와 신기하네요.헬기 300시간 타면서 저렇게 날개 끝이 파닥거리는건 처음 알았습니다. 오토로테이션 훈련하면 자이로드롭마냥 재밌던 기억 있네요
대단하시네요! 오토로테이션 훈련하면서 재미를 느낄 정도의 담력은 되어야 파일럿을 할 수 있나 봅니다 ㅎㅎ
??? 완벽히 이해했습니다
회전 하는 동안 열심히 움직거릴줄이야.. 경이롭네요
그나저나 2:17 어디서 많이 본 구조라고 생각해서 찾아보니
모든 회전 하는 물체에 적용 가능한 현상이었군요
자전거를 탈때 손을 놓고 몸을 기울이면 (수직의 중심점 이동) 90도에 해당하는 앞 부분 (바퀴)의 좌우가 움직이는 현상과 같은건가봐요
왜 90도인지는 모르겠네요 😅
자전거의 조향은 캐스터 각도가 중요한 요소인 다른 이야기인 것 같네요. ㅎㅎ
돌고 있는 팽이를 옆에서 밀면 90도 각도로 움직인다든지 하는 현상과 같다고 합니다.
사실 저도 왜 꼭 90도인지 이해를 못하고 있네요;; ㅎ
@@semilife2 앗, 부족한 댓글에 피드백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그래도 사고는 나고 사고가 났다 하면 거의 전원 사망
이런 기술이 헬러콥터가 탄생할때부터 다 알고 기계적으로 완성되었나요? 기술도 기술이지만 내구성이 엄청 강해야 할거 같네요
@@designy7677 처음부터 완성도 높게 만들진 기술은 하나도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구글이나 유튜브 찾아보시면 헬리콥터의 초기 형태들도 많이 나오는데 정말 별 희한하고 되도 않고 허접한 실험작들이 많습니다. 그런 수많은 실패들이 쌓여서 지금의 헬리콥터가 만들어진 것인데, 지금 우리가 보는 훌륭한 기술들은 모두 그런 단계들을 거쳐온 것들입니다.
음음 비시즈하면서 배운 메커니즘이군요
메인로터 피치 이상 없이 잘 꼬이고 있습니다~
메인로터가 꼬인다는 표현이 헬기 전문가들 사이에서 쓰이는 말인가요? ㅎㅎ
@@semilife2 uh60 승무원이 외부에서 메인로터 점검시 작동범위가 이상 없이 작동하면 이렇게 교신(?)합니다
@@나다짜근토끼 재미난 용어 잘 배우고 갑니다 ㅎㅎ
@@나다짜근토끼 앗. 지금 보니 UH-60이 블랙호크였군요! ㅎㄷㄷㄷ
테일 피치 잘꼬입니다~
추락할때 진짜 위험한건 테일로터 뽀갈났을때.....!
영화 블랙호크다운이 생각나내요
그건 모든 걸 내려놓고 기도해야 할 상황이네요.
오토로테이션 이론상 헬기 추락시
생존률이 높아야하는데, 실제로 엔진이상 추락하는
헬기 사례 영상을 보면 오토로테이션으로 안전 착륙하는 경우가 없는 이유가 있을까요
영상의 예시처럼 이상적인 상황 (일정속도 이상의 전진 비행 중 엔진 이상이 생겼고 난류가 없고 대처할 충분한 고도가 있고 착륙할 지면이 고를 경우)...이라면 생존률이 높을 것 같은데요. 실제 사고상황이 어땠는지에 따라 변수들에 의해 컨트롤이 잘 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기체가 예기치 못한 상황때 오토로테이션으로 대처해서 생존할 조건을 갖추기가 까다로운가보군요
@@fireduck9086 그리고 엔진 이상 시 오토로테이션으로 무사히 착륙했다면 뉴스에 나오지 않을 겁니다. ㅎㅎ
헬기는 버드스크라이크가 없는가요? 엔진 공기 흡입구가 여객기만큼 크지 않아서 그런가요?
헬기 버드스트라이크는 로터에 갈리니까요😂
일반 비행기는 바람의 방향과 엔진 흡기 방향이 같아서 간혹 새가 빨려들어가지만, 헬기는 바람의 방향이 주로 하방이고 엔진 흡입구는 전방이라 새가 들어가기 매우 어려워 보입니다.
헬리콥터에서 버드스트라이크는 통상 엔진에도 빨려들어가겠지만 통상 칵핏으로 많이 충돌합니다
고속으로 전진 순항중일 경우 좌우의 회전익이 맞바람 받는 속도가 다를건데 (앞에서 뒤로 가는 회전익은 맞바람이 적고 뒤에서 앞으로 가는 회전익은 맞바람이 크고) 그럼 좌우 양력이 다를텐더 그건 어떻게 보정하나요?
'Dissymmetry of lift'라고 잘 알려진 현상인데, 영상에서 언급했던 '자이로스코픽 프리세션' 효과에 의해 좌우로 틀어지지 않고 뒤쪽 방향으로 기울어진다고 합니다. 전진 속도를 줄이는 효과가 일어나는 거죠. 그래서 보정을 따로 해주지 않아도 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제목으로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전진비행시 메인로터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블레이드는 기류속도가 증가하고 퇴진블레이드쪽은 회전상대풍 기류속도가 감소하므로 헬기 좌우의 양력차가 발생합니다. 이를 양력불균형이라고 하고요 따라서 양력차이로 양력이많은쪽 블레이드가 들립니다.
블레이드가 들리게되면 회전상대풍과 유도흐름의 합력인 합력상대풍이 시위선과 이루는 각인 Angle of Attack이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양력이 감소합니다. 양력이 감소한 블레이드는 다시 내려가겠죠. 이 과정이 전진비행시 계속 반복해서 블레이드가 위아래로 파닥거리는것이고 이를 Flapping이라고 합니다. Cyclic Feathering 은 Flapping 과 더불어 양력불균형을 보상하기 위한 현상이라고 할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