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SUB] Why Finns and Americans dont get along! Explaining culture differences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9 ก.พ. 2025
- 생긴 것은 비슷하지만 문화 차이가 많아요!! 핀란드인들이 왜 미국인들과 함께 있을 때 많이 어색해하는지 알려 드릴게요. ㅋㅋ
*비디오를 장난스럽게 오버액션을 하면서 찍었으니 재미있게 보세요! 오해는 금지!
핀란드언니?
인스타: / finunni
문의: finunni.yt@gmail.com
#문화 #외국 #북유럽 #핀란드 #미국 #외국인반응 #문화차이
정말 재밌는
내용이었어요.
한국사람은 전부 미국
사람으로 생각하는
경향이있답니다.
앞으로도 부탁드려요.
행복하세요.
잘 보고 있습니다. 늘 행복하세요^^
몰랐던 문화를 재미있고 흥미있게 들었어요~
아~~ 영상 전체 다 이해하고 고개 끄덕거리고 있는데..
마지막 부탁
모르는 사람에게 뭘 얘기하지말자고 하는건지 못 알아들었어요 ㅠㅠ
(모르는 사람에게 미국인이냐고 말하지 말자는건지?)
핀란드사람들 정말 멋진 사람들이네!!!
잘 보았습니다. 내가 아직도 모르는 것이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핀란드 언니 매일 매일 행복하시기를.....
공산주의자들이 꿈꾸는 지상낙원은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통해서만 건설할수 있음을 증명하는 북유럽국가들.
국가 시스템은 사실상 사회주의에 가깝고 관점에 따라선 전체주의적 성격도 짙음
핀란드 누나 너무 매력있어^^
정말 재미있었어요.
밝은 모습이 참 좋네요^^
홧 ~ 팅........ 핀란드언니
한국말 진짜 잘하시네 이정도로 다른 나라언어를 잘하는당신 대단하네요. 그리고 대화주제도 유익했습니다. 많이동감합니다.
추운 나라는 대체로 무뚝뚝.
말 많으면 에너지 금방 고갈됨
😂😂😂
핀란드언니 너무 좋습니다 한국어로 자기 생각을 정확히 말씀하시는게 놀랍습니다. 외국인을 하나로 보지 말고 각각의 개성과 다른점을 인식하고 대해야 한다는 말은 새삼 크게 느껴졌습니다. 배울점인 많은분 같아 좋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
정말 이런 유익한 채널이 있어서 감사합니다 ❤❤❤ 진짜....핀란드 여행 가고 싶다...
언니 너무 예쁩니다~😜
내가 태어나서 핀란드에 대해 가장많은 지식을 얻게 된 영상이었습니다.
내 나이 50넘게 먹는동안. 자랑은 아닙니다만!
핀란드에 대해 더 많은 내용을 알고싶은 목마름이 생겼네요. 잘봤습니다.
늘 응원합니다!
70대
필란드고 미국이고 뭐고 당신이 제대로 사는 현명한 사람같습니다..^^ 화이팅하셔요
너무도 재밌는 정보를
너무도 찰진 한국어로
너무도 이쁜 외국인? 아니 핀란드분이 해주셔서 좋아요~
핀란드를 복지가 좋은 북유럽 나라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핀란드 문화나 사람들에 대해서도 조금 더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 재밌게 잘 봤습니다 ....
공감! 동감! 응원!!!!! 오늘도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저의 편견을 깨주셔서 감사하네요. 서양 사람들은 타인에게도 개방적이고 밝게 인사하고 그런건줄 알았어요. 그게 미국인들의 특징이었군요. 어쩌면 핀란드 사람이 한국인하고 비슷한점이 많은듯요. 잘모르는 사람이 먼저 다가오면 약간의 경계심도 있고 감정에 대해서 솔직하게 이야기 하는것도 비슷하고.. 핀란드 라는 나라가 갑자기 궁금해졌어요 ㅋ 영상 재미있네요.
북유럽 국가와 게르만 문화권 다 이성적인 엄격한 문화에요. 저들 복지 합의도 개신교식 평등과 개인주의와 특유의 자연 환경과 역사에 기초한 것이구요.
초감정적인 국가 한국과 대단히 다릅니다.
한국은 토론의 기본에 대해 배워야 하고 (남 인격을 공격하면서 그게 토론인줄 앎) 좀 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국민이 되길 바람.
@@romikim4548와 이분 팩폭이네.
한국과 핀란드가 비슷한 점이 있다는 댓글보고 나만 이상한가 했는데
스웨덴 사는데… 정말 미국이랑 다른 나라다. 북유럽은 뭔가… 동양스럽기도하고 일단 미국은 아니야 이태리랑도 반대
전 예테보리근교인 파르텔리시 사는데 님은 어디사나요??
스톡홀름은 치안이 너무안좋아서 밤중에 못돌아다녀서 살기는 별로인것 같네요....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정 = 情 = 아홉 = 9 = 조국혁신당 = 조국 =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 정 = 情 = 아홉 = 9 = 조국혁신당 = 조국 =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문화가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각각의 문화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삶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핀란드언니..재미있네..솔직하네..한국사람하고 잘 맞겠다!!이름도 이쁘겠네요....핀란드 한국사람은 많이 알아요..헬싱키..
생각에 깊이도 있고 통찰력도 좋으시네요
핀란드인 말이없고 조용하다고 하는데 한국에 온 핀란드 사람들은 전부 말이 많고 외향적인 분들만 온 것같습니다.
한국와서 감춰뒀던 포텐을 터뜨리는걸수도... ㅌㅋㅋ
한국에 오면 성격이 외향적으로 변하는 거 아닐까요...
저도 일본에 살면서 내향적으로 성격이 많이 바뀌었어요....
그나마 개방적인 성격이어야 해외여행도 하는거지 닫힌성격이면 그냥 핀란드에 살지
따루 ㅋ
추워서 밖에 잘 못나가는 나라의 락과 메탈의 광기가 엄청나서리
ㅎㅎ 요즈음은 잘 아는 사실들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재밌는 공부네요 ^^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이 분 참 텐션 높고 재미남 ㅎㅎㅎㅎ
나라 마다 문화가 다른데 그 차이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 해 줘서
재미있게 봤습니다.
핀란드 언니를 통해 핀란드 문화도 배우게 되어 좋았습니다.
응원합니다.
돈, 정치, 종교 말하지 말자는 참 좋은 내용이네요~ 똑 부러지는 설명 잘 들었습니다.
돈과 종교는 개인적인 문제들 이니까 충분히 공감하는데 정치는 좀 이야기가 다르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정치는 개인 성향을 떠나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 모두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공공재 이기 때문이죠. 정치 이야기 하다가 싸우게 되는것 때문에 대화를 피해야 된다고들 하는데 원래 과거에 살육하던 전쟁을 대신해서 논리와 투표로 싸우라고 존재하는게 정치라고 생각합니다. 서로를 죽일듯이 증오만 하는 싸움말고 어떤 정책이 공공의 삶에 더 도움이 되는가 하는 건전하고 발전적인 싸움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네요. 우리는 그동안 정치로 싸우는 방법이 미숙했을 뿐이지 더나은 삶을 살기위한 치열한 논쟁 자체가 나쁜건 결코 아니라고 봅니다. 지금보다는 더 세련되고 멋지게 싸울수 있게 유권자의 정치의식도 좀더 성숙해 졌으면 좋겠네요.
돈 얘기를 터부시 하는게 핀란드 뿐만 아니라 여러 유럽 나라들은 공통적인 정서 같습니다. 독일이나 프랑스는 물론 미국과 비교적 문화가 유사한 영국에서도 돈 얘기를 많이 하는 것을 터부시 한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돈 얘기를 많이 하는 것에서 천박함을 느끼는 유럽의 지성적 문화 (평균적 교육 수준이 높아서 돈 얘기 말고도 얼마든지 수준있고 흥미로운 대화를 할 수 있다는 일종의 자신감이라고 할지.) 의 산물일 겁니다. 실용주의의 미국과 철학을 중시하는 유럽의 차이겠죠.
2찍이 타령이 정치 논쟁인가요? 김건희 헤이트 영상이 정치 논쟁?
한국인은 독일에서 이성과 합리주의, 유태인에게서 토론의 기초를 배워야 합니다.
그냥 많이 부끄러운 수준이에요.
질 알지도 못하면서 독일 타령 좀 안했으면.
이기기위해 선동과 음해, 인격 살인, 온갖 공작이 정당화되는 사람들에겐 절대 정의가 없어요. 과정도 정직해야 하는 겆니다. 독일이나 북유럽과 가장 큰 차이임. 거짓말에 너그럽고 ‘진실’이라는게 대단히 주관적이며 (이건 중국인과 유사) 폭력적임.
이언니는 머리좋구 3개국어하네 ㅋㅋ 얼굴도 이쁘고 복받았네요^^ 봉사하세용
그 말씀이 맞네요~~!! 아주 공감가는 이야기였어요~~!! 감사해요
감사합니다.
이번에도 응원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아 넘 잼있어요. ㅋㅋ 가족간에도 서로 어떤 종교를 가지고 있는지 물어보지 않는다. 한국이 대충 미국과 핀란드 그 중간 어디쯤이 아닐까 싶네요 물론 사람은 다 다르지만요.
아 그런데 한국말 너무 잘하시네요.. 귀에 얘기가 쏙쏙 들어옵니다.
늘 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만나고 싶었는데.. 흑흑!ㅠ 핀란드에 다 있었네..ㅠ
위험하고 불신이 많은 사회일수록 스몰토크가 많습니다 나는 공격의사가 없다는걸 표현하는것
악수가 생긴 이유랑 비슷하죠 나는 무기가 없다
전부 격공합니다. 전 내향형인데도 헬싱키에서 살다가 외롭고 우울해서 죽을뻔했던 기억이…그 정도로 핀란드는 극극극내향형인들의 제국이랄까요ㅠㅠㅋㅋㅋㅋ
사람들은 대부분 차갑고 조용해서 말 한번 섞기도 매우 힘들고요, 겨울엔 해 뜨는 것을 보기 힘들 정도로 우중중하고 어둡고, 물가도 비싸고, 영국과 함께 음식 맛없기로 유명한 양대산맥이라 유럽친구들도 핀란드 음식 맛없다고 난리였네요ㄷㄷ 전 내향형이라 핀란드 괜찮을 줄 알았는데, 외로운 타향살이라 그런지 음식맛있고, 날씨 좋고, 사람들도 밝고 유쾌하고 친절한 이태리나 스페인이 갠적으론 살기에 훨씬 좋았네요.
구독,,,,좋아요~눌렀습니다,,,,,*
근데 첫 인상도 이뻤지만~오늘 말하는거 보고 너무나 귀여운데가 있어서 놀랐습니다,,,,
이쁘고,,,궈엽고,,,똘똘하고,,,,,,거참~~어쩜 저렇게 고울까,,,,?
핀문화와 우리문확가 비슷한 점이 많군요
근데 어케 우리말을 그리 잘해요?
대단하십니다
가끔 우리나라가 동아시아 국가가 아니라 미국스킨슨 유럽국가 스럽다 느낄때가 있다
핀란드 미녀 앨리트가 말해서 너무좋아요
귀에 쏙쏙들어와요
미국이 능력있는 사람은 더 부자를 만들어주는 덕분에
유럽에서 엘리트 전문직들이 미국으로도 많이 가죠... 특히 의사, 대학교수들 중심으로 유럽 인재들이 미국으로 많이 가서 인재유출 문제가 심각하다고 들었습니다
미국은 의외로 능력만으로 안됨 인맥이 더 중요할때가 많음
실패해서 거지되는경우도 흔함
인맥이 중요한 필드가있고 아닌 필드가 있죠. 아인슈타인이 인맥으로 상대성이론을 만들진 않았잖아요 ㅎㅎ
지금의 미국이 있게 된 바탕이니까 전세계에서 인재들을 모으려고 하는 게 기본 전략인 거죠
핀란드인들 소소한 행복. 좋아요
제가 개인적으로 영상으로 봤을때 미국인은 뭔가 만났을때 적극적으로 다가오지만 그다지 깊게 대화하지 않고 장난스러운 대화를 즐기는 반면,
핀란드인은 뭔가 소심한것같으면서도 조용하고 농담을 싫어하고 진지하고 차분하고 그리고 길게 대화하고 그런 문화가 있나보네요 ㅎㅎ
개인적으로 한국인은 핀란드인의 성격이 더 맞는것같음.ㅋ
난 헬조선에서 태어난 헬조선 국적의 사람이지만 미국인이 맞고 핀란드인 스탈 극혐이다 - 애시당초 "어느나라 사람들 성격이 이렇다"하는거 자체가 너무나 얄팍한 얘기, 굳이 언급하고 싶다면 "그 나라 주류의 성격"이라고 제한할 것
@@freewheeler1728imagine hating on a random country
참 극혐스럽네@@freewheeler1728
@blackmagic9006미국이 자본주의 끝판왕 나라니까요ㅎㅎ
핀란드는 세금 복지많은 사회주의?색이 있는 나라이니 다를것 같아요.
전 성향상 미국이 더 잘맞아서 결혼도 미국인이랑 했는데,
미국백인들은 연애할때든 승진이나 사업따날때든 본인이 3정도의 마음이나 재능을 갖고있어도 본인이 6을 갖고있는것 처럼 엄청 적극적이죠ㅋㅋ
일단 기회는 따고보는..
아시아인들은 보통 반대인데 이영상보니 왠지 핀란드도 그럴듯하네요(?)
정말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외국인 👍👍👍
어쩜 머뭇거림 없이 말을 저리 잘할까나
이뿌요 😊
소식 감사드립니다
핀란드는 분위기가 다르다는 느낌이 ---
핀란드한번 가 보고싶네요
발음이 완벽하네요.,..저보다 한국말 더 잘하시는 듯~~
ㅋㅋㅋ 감사해요 ☺️
@@블루마운튼 에고 할말이냐 그개
@@블루마운튼그건 니생각이고 ㅠ
북유럽 좋아요 우리도 그러고 싶어요
정말요? 핀란드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북유럽인 스웨덴의 경우
(1) 재산세, 증여세, 상속세 등이 없음. - 반면 우리나라는 상속세 최고 세율이 60%로 OECD 국가 중에서 일본 다음으로 2위임.
(2) 평균 소득 이하의 국민도 소득의 50~60%를 소득세로 냄. - 반면 우리나라는 상위 10%가 전체 소득세의 86.4%를 감당하고 있고 하위 39.6%가 소득세를 한푼도 안냄. 즉, 우리나라는 세금의 대부분을 부자들이 감당하고 있고 스웨덴은 하위 20%를 제외하고 모든 국민들이 뼈를 깎는 아픔을 느낄정도의 무거운 세금을 내고 있음.
(3) 부가가치세도 우리나라는 10%, 스웨덴은 25%임. 10000원짜리 제품을 사면 2500원의 부가세가 붙는 거임. 즉, 이또한 부자가 아니라 일반 모든 국민이 떠맡는 세금인 거임. (4) 최저임금 제도도 없음. (5) 고용과 해고가 우리나라보다 자유로움.
혹시 세금은 안 보고 복지만 보신 건 아님? 보편적 복지를 하기 위해선 보편적 세금이 뒤따르지 않으면 국가 재정은 위험해짐. 북유럽 수준의 복지를 원하심? 그럼 북유럽 수준의 무거운 세금을 감당하셔야함.
막연하게...ㅋ
남들 돈 뺏고 싶다 이건가
@@cv9737 북유럽보다 우리나라가 부자한테 더 가혹하네
@@딸기샤벗정답이심!
정말 공감이 되는 말씀이군요.다음 영상도 기대 됩니다.
추운 지역이다 보니 아마 전기나 과학기술이 발명되기 이전엔 야외에서 대화를 나눈다는 건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였을겁니다. 추운 날씨에 장시간 무의미한 대화를 나누다 보면 체온을 뺏기기 쉽고 이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였겟죠. 이러다 보니 당연히 목적이 명확한 대화만 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고 봅니다. 물론 21세기엔 핀란드가 아니라 그 보다 더 북쪽지방을 가도 야외에서 대화를 한다고 해서 생존이 걱정될 일은 없겟지만요…
볼때마다 얘기들을 때마다 유익합니다.^^😊
언니 잘봤어요 ~
핀란드 진짜 한번 가보고 싶은 나라
이런 채널도 있었다니!!!
구독 누르고 갑니다~
오늘 영상 아주 좋았습니다 요리하면서 하고 싶은 이야기 안 하고 화이팅
발음 좋고, 어법도 잘 아시고,,눈감고 들으면 한국인에 가깝게 느껴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사랑스러움 그 자체 ^____^
흥미롭네요. 저는 핀란드는 아니지만 옆 나라 스웨덴에 꽤 오래 거주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개인적으로 국가간 관계, 사람들의 성향 등에 관심이 많아서 오랫동안 생각해 본 주제인데, 개인적인 경험과 주변 사람들의 경험, 그리고 유럽과 미국에 살고 계시는 분들 얘기에 빗대어 볼 때 한국과 가장 궁합이 잘 맞는 나라들이 대부분 앵글로스피어 국가들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이더라고요. 한국 내에서는 미국인들의 과한 리액션이라든지 극외향적인 성격 때문에 많이 다르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런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성향들보다는 사고방식,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 등이 유럽대륙권 (특히 게르만어권 국가들)과는 차이가 많이 납니다. 언급하신 것처럼 이벤트나 일상 문화 자체에 한국과 미국은 맥시멀리즘에 기초한 사이즈는 크게, 양은 많게가 주를 이루고 유럽은 간소하고 소박한 것이 대부분이죠. 또 미국과 한국은 조직 내에서나 사회 전체로 봤을 때에도 계층이동에 대한 의지가 큰 반면, 유럽 및 일본에서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인정하고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한 편입니다. 더 흥미로운 건 이쪽 게르만어권 유럽국가들이 일본하고 궁합이 잘 맞는 건데, 속마음을 잘 표출하지 않고 겉으로 나타내는 예의에 신경을 많이 쓴다는 점이 있고요. 한국은 미국과 여타 영어권 국가들처럼 남들에게 보여주고 과시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적은 편인데 (이걸 성공의 지표로 보기 때문에) 반해 북유럽 얀테라겐에 근거한 문화권에서는 이와 완전 반대죠. 실제로 어느 사회학 연구에서 국가간 동질성을 시각화한 그래프에서 한국, 미국, 영국이 같은 그룹으로 묶이고 일본, 독일, 스웨덴이 서로 같은 그룹으로 묶인 결과가 나온 걸 본 적이 있는데 위에 상기한 내용과 일치해서 신기하더라고요.
와 말씀을 엄청 시원시원 하게 하시네요 멋져 부려요
정말 좋은 정보 였습니다.핀란드와미쿡인의 차이점....
북유럽? 핀란드인들이 봤을때 미쿡하고 비교하면 진짜 머리 아플듯.
저는 외국인들 보면 국적을 물어봐요.피부색을 떠나서 일단 국적이 궁금함
한국에서 태어나신것도 아닌데 정말 한국어 잘하시네요.
미국과 핀란드 다름을 확실하게 알았네요 ㅎㅎ 친절한 설명? ㅎ 재미있는 설명 너무 잘들었어요 결론 핀란드 내스탈 👍
갑자기 따루가 생각나넹.. 핀란드 사람들 한국말 정말 잘하네요.. 따루.레오.언니까지.. 따루랑 언니랑 둘이만나 대화하면 정신없을듯.ㅋㅋㅋ
우연히 알게 된 채널입니다. 영상 잼있게 잘 봤어요 한국말 넘 잘하시고.. 재밌네요 !!!🙃😇
예쁘시고 사랑스럽고 합리적이고 핀란드 적이고. 아주 좋습니다. 핀란드 스타일. 부럽당.
4년후 다음 국회의원 선거때 핀란드언니를 비례대표로 국회보냅시다.
또라이인가~~~??
저는 찬성합니다
한국 국적이 있나요??
다 필요 없고 남편이 땡잡은거임
@@하성진-t1e왜요?
솔직하고 재미있는 영상 잘 봤습니다.
핀란드언니 북유럽 스웨덴.노르웨이 언니들과 붙으면 보통 누가 짱먹나요?😊
👍👍👍
가족도 같은 편일 뿐~
개개인이 다 다르기 때문에 남을 대하듯이 조심도 하고 서로가 다름을 인정하면서 지내도 정작 중요할 때는 누구보다 더 가까운 같은 편이기 때문에 남에게 대하는 것 처럼 조심하면서 대하고 기대하지 않아야 행복해질 텐데...
대부분 친구이거나 애인이거나 가족에게 가까워지길 바라거나 도와주길 바라거나 속마음까지 알아주길 바라기 때문에 행복하지 않아지고 서로 간의 관계가 좋지 않아진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하게 말하되, 서로에게 거리감을 가지고 있는 핀란드식이 현명한 관계라고 봅니다.
의미도 없는 약속을 말하는 것도 하지 않았으면 좋겠고, 가족과 친척들끼리의 관계에서도 거리감 있게 조심하고 대화를 시도했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가족 간에도 거리가 있어야 하는 게 맞는데~
친척이란 사람들이 오랜만에 만났으면서 왜 그렇게 남의 가정 개개인에 대해서 언급하고 평가하고 그러는지 참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자기 기분이나 생각이 우선이거나 남을 까야만 행복해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어서 한국도 이젠 좀 핀란드처럼 거리감을 두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사람 간에 적당한 거리감이 가장 행복한 거니까요 ㅋㅋㅋ
덕분에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재미있게 변하신 건지...
재미있게 하려고 노력하시는 건지는 모르겠으나~~~
전보다 영상들이 좋네요~~ㅋㅋㅋ
그래서 이웃과 소통안하고 담쌓고사는게 좋아요 한국놈들은 선을안지키고 무한정해주길 받아주길바라고 이웃끼리당연히 받아줘야지 당연히해줘야지하면서 기분드럽게만든다 일본서양인들은 선을지키고 개인가치를 존중하는데 한국놈들은 친하니 우리라면서 선을모른다 농경사회를 탈피했으니 서양개인주의가 옳은거지요
한국말을 나보다 더 잘하네...문화나 성격이 이렇게 다른지 몰랐었는데 잘 배웠습니다.
그니까, 되게 다정하고 소소한 것두 서로 잘두 챙기는 듯한 미국이 사실 범죄가 많고 폭력적이라는 것과 서로에게 무뚝뚝하고 무관심한 듯한 핀란드가 범죄율이 낮고 삶의 환경이 좋다는사실은 사회문화적으로 살펴볼 가치가 있겠네요
As an American, you're so right lmao. My husband went to America with me to see family and SO many people chit chatted with us. The town was in the south so it was doubly friendly lol. Great video! 💖
유익한 내용입니다. 감사
역시 미니멀한 북유럽문화가 우리랑 잘맞죠!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구요!! 너무재미있게 봤어요.
전 오히려 미국이랑 잘 맞는다고 생각됩니다.
미국의 하위 20%를 보면 저 나라 언제 망하나 싶고 상위 10%른 보면 잘 살수 밖에 없는 나라 같음.
그래도 '대한좇국'보다 좋은 나라임
@@hideseek2325 조선에서 태어나지 그랬니?
레오의 경쟁자가 나타났다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ㅋㅋㅋㅋ
핀란드 친구한테 How are you 물어봤는데
자기 요즘 힘든얘기 불편했던 얘기 솔직하게 다 털어놔서
진짜 깜짝놀란 적이 있어요 ㅋㅋㅋㅋ
어 저도 근데 핀란드인처럼 대답하는데...ㅋㅋㅋ진짜 안궁금하면 왜 그럼 나한테 그거 물어봤어..? 이런느낌...ㅋㅋㅋㅋ 별 뜻 없이 가볍게 물어봤을거 같기는 한데 왠지 그 말을 들으면 요즘 내가 어땠더라 설명해줘야 할 것 같은 압박을 느껴요..ㄷㄷ 잘지냈든 못지냈든.. 잘 못지냈던 상황이면 음 이걸 말해야되나 아님 걍 어 잘지냈어 , 그럭저럭 이렇게 대충 얼버무려야하는건가 고민함
정말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이었어요. 구독했습니다😊
저도 진짜 잘지냈는지 궁금해서 물어본거라... 안 좋은 얘기하면 아 진짜? 너가 그리 힘들었구나 그래서 어떻게 할 생각이야?이런식으로 신경 써서 대답해주지....아니 나한테 왜 이런 얘기를? 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ㅋㅋ 솔직히 그 사람 사는거 안 궁금하면 그냥 안녕~ 오랜만이다~이러고 끝ㅋㅋ
핀란드인이 한국어로 미국과 핀란드의 차이를 설명해주니 너무 이해가 잘 됩니다. 참고로 저는 핀란드 스타일이 맞습니다.
저는 미국에서 20년 넘게 살았는데, 미국문화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필요없는 가식이 점 많아서 피곤함,,
글고 치안이 안좋아서 잠깐 공부나 여행오는건 괜찮지만, 이민 정착은 추천하고싶지 않음.
치안도 치안이고 선진국 치고 사회보장제도가 가장 부실한 나라래서 워라밸혹은 마음의 여유를 갖고 살고 싶은 사람들에게 부적합한 나라라 봅니다..
같은 영어권인 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와 비교해도 치안.사회안전망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핀란드의 문화와 성향등을 이해하게된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핀란드언니 레오불러같이 방송해바욯ㅎ
안할듯... ㅋ
레오는 핀란드인하고 있는게 더 어색해함 본인도 외국인 만나는거 같다던데
아..맞다 레오도 핀란드 사람이지...
아니 그런데 왜 핀란드분들은 다른 외국분들에 비해 한국어를 이렇게 다 잘하시지 ? 레오, 율리아도 그렇고
레오는 그냥 한국인임
핀란드는 종족이 좀 다름 어순도 한국어랑 영어에비해 비슷하다고들음 그래서 핀란드인들이 한국말 더 잘하는듯
핀란드 저랑 잘맞는거 같아요. 전 진짜 한국성격이랑 안맞음. 전 지금도 버스기다릴때 뒤에 사람 딱붙으면 진짜 싫어요. 그리고 할말만 하지 쓸데없는 스몰톡 안합니다. 그리고 진짜 물어보면 핀란드인처럼 솔직히 애기해요. 휴...핀란드 가야하나. 사람많은 한국 서울 극혐임 하루하루가 인간들에 지침
미국 거주 15년차이고 유럽계열 회사에서 10년 정도 일했는데....유럽은 뭔가 닫힌 사회라는 느낌이 많이 들었어요. 그리고, 유럽의 대학은 무료인데 대신 교육 수준이 미국의 학교 대비 많이 떨어지고 있다는 보고서가 계속 나옵니다. 대학/대학원 교육은 아무래도 예산이 있어야 되는데, 모든 학생을 무료로 하기에는 각 국가에서 부담해야 하는 부분이 너무 커지고 있는 것이겠죠. 그리고, 상당히 많은 유럽의 브레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남들보다 잘난척 하지 말라'는 Law of Jante같은 것이 있다보니 같은 노력을 미국에서 하면 훨씬 더 풍족하게 살 수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닐까 해요.
이분에게서 미국에 대한 깊은 빡침이 느껴진다...
북유럽은 사회주의 성향이 강한데..... 미국은 완전 자본주의니.....
의료계만 봐도 천지차이......
그렇죠
북유럽까지 갈필요 없이 같은 영어권 선진국들인 영국.아일랜드.호주.뉴질랜드.캐나다랑 비교해도 미국은 자본주의적인 성향이 매우 강한 나라죠
언니 천사처럼 이쁘세요 한국어도 잘 하시궁.
구독 찍습니다.
모르는사람한테 이유없이 말 안거는거 좋고 불필요한 얘기도 안하는것도 너무 좋은데요
핀란드에서 병원비가 무료라고 하면 좋겠다고 하지.. 그런데
병원가서 진찰 받고 힘들고 치료 받기도 힘들다...
예로써 감기 같은 경우 병원가기 위해서 병원에 전화하면 1주일 기다려 보고 그래도 같으면 병원가서 검사하고 대기만 2주하고, 그래서 문제 생기면 치료 시작한다.. 즉, 치료 받기 까지 많이 기다려야 해~
반대로 생각해보면 한국은 병원을 쓰잘때기없이 너무 많이가서 문제이지요~ 의사들 배만 채워주는 괴상한 의료문화. 애기때부터 항생제로 감기에 대처하는 모습을 외국 의사들이보면 얼마나 심각하게 생각하는데요..
핀란드사람들보면 한국사람같아요 ㅋㅋ 북유럽의 한국(핀란드)
멍게소리?
한국인과 가장 닮은 국민성을 가진 나라는 중국이다 한국인이 13억명이 모이면 중국이 된다
행복지수
1위 ᆢ핀란드~!
똑부러지는 아가씨군요. 이쁨이 있다는 말, 참이쁜말이네요.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그건 그래요.. 대체적으로 미국은 총기 문화 때문에 길가다 상대와 마주치면 먼저 인사합니다. " 나 너에게 적대감이 없다" 를 표현하는거죠.. 핀란드는 개인을 존중하는 경향이 매우 커서 다른거 같아요😁
멋진 필란드 여성이군요? 얼굴도 예쁘시고 말씀을 너무 잘 하십니다. 민간 외교관 같아요.
Wow nice
❤
.
나는 미국인도 좋고
핀란드인도 좋아
돈 정치 얘기는 한국사람들이 전세계 탑일듯요
미국인들을 무시하시다니.
미국이 더 심해요 ㅋㅋ 심지어 어떤 가수는 자기 민주당 지지자라서 트럼프보고 자기 노래 쓰지 말라 그랬어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대표적인 공화당 지지자고 마크저커버그는 대표적인 민주당 지지자 입니다. 우리로 치면 이병헌 이재용같은 사람이 대놓고 정치색을 드러낸다는거죠.
저도 핀란드 스타일을 추구합니다. 미니멀하고, 모던하고, 과하지않는
내 성격에는 핀란드에서 살아야 되는데... 나라를 잘못 태어났어. 한국인이지만, 한국인들 정말 피곤해.ㅎ
근데.. 저도 핀란드인들 피곤해해서 여기 이민 왔어요!! ㅋㅋ 해외 가면 한국인 만나면 반가워 하게 되고 그렇죠 ㅋㅋ
@@finunni
전 스웨덴에서 7년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로 살고있습니다.
제생각엔
기본적으로 북유럽국가들은 덴마크만 예외로 하면 내향적인 성향이 많이 강한것 같긴하죠 ㅎㅎ
저 예테보리 근교에 있는 주택가에 사는데 기본적으로 모르는사람한테 인사하거나 스몰톡을하는 케이스는 거의 없었던것 같했어요...
동네에서 저만 동양인인데 그닥 신경쓰지도 않더라구요....
Ps 솔직히 미국은 대륙권 유럽국가들은 물론이고 같은 영어권 국가들인
영국.아일랜드.호주.캐나다.뉴질랜드와 비교해도 많이 이질적인 사회에요....
진짜 핀란드하고는 양극단인 나라죠
As an American, I would like to offer my perspective on the subject. I often hear the narrative that Americans are less well versed in other cultures, world politics, geography outside of North America, and often only speak English. I agree that this is somewhat common amongst Americans, however, I think there is a misconception that this is due to a feeling of American self importance. While it may be true for some, I believe this is not the reason for most of us. I will try to elaborate as concisely as possible.
I feel that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why Americans are less well versed about the world outside of their borders. These reasons are difficulty of travel, media fixation on US stories, and an education disparity in the country. I think Lotta did a great job at talking about most of these points for the most part, and I can vouch for what she said. I will elaborate on each of these points briefly from my perspective below.
Difficulty of travel
The United States is a large country, around 9.8 million square kilometers in size. We do not have an effectiv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place, sadly. Outside of a few major cities, almost all travel is done through the use of motor vehicles. Traveling to another country, or even to other regions in the country is made difficult due to the cost of transportation as well as the cost of lodging. This means that many Americans simply do not travel outside of their region or the country itself and do not experience other cultures much.
Media Fixation
The United States news media tends to only focus on events happening in the United States. Much of the entertainment media we grow up with is made in America or other English speaking countries, such as England or Canada, who we share much in common with.
This means that we don't hear much about other countries, nor do we have much exposure to their societal culture, as our culture is given much more attention here. One would need to intentionally seek out global news and entertainment that is not American or heavily similar.
Educational disparity
American public education varies widely, and classes tend to focus on American geography, American history, and American politics. Public schools receive funding from property taxes primarily. This means that public schools in rural or poor urban areas generally receive significantly less finding and hence children from these areas will on average have fewer opportunities to learn things like a second language, as that is not an educational standard here. Colleges and Universities cost money to attend here, and many cannot afford to do so. I personally went to a public school in a rural area, and most of my textbooks were from the 1980's and 1990's and severely outdated. There were not many elective classes offered, as our school did not have enough teachers to teach classes outside of the core grammar, mathematics, science, literature, and social science classes. Thankfully, I have been able to attend college and now university, however many of my peers were not afforded that luxury.
I believe that this dynamic is a reflection of the economic struggles of many Americans, as well as a highlight to the issues in our infrastructure and education, as well as a tendency of media and education to highlight American news, history, and culture in lieu of everything else. It is certainly a system which could use improvement, however I believe acknowledging one's shortcomings is the first step in overcoming them.
On behalf of all Americans, please do not take this phenomena as a personal insult towards you or your culture, it is not intended to be so. The majority of us value and respect the rest of the world and would be more than happy for you to share your culture with us. Sadly, not all of us are given the opportunity.
**한국어 번역**
미국인으로서 이 주제에 대한 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미국인들이 다른 문화, 세계 정치, 북미 외 지역의 지리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종종 영어만 사용한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미국인들 사이에서 다소 흔하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이것이 미국인의 자만심 때문이라는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일부 사람들에게는 사실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것이 원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가능한 간결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미국인들이 국경 밖의 세계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세 가지 주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여행의 어려움, 미국 이야기에 대한 미디어의 집착, 그리고 국가 내 교육 불균형입니다. 로타는 이러한 점들 대부분을 잘 설명했으며, 저는 그 내용에 대해 확신할 수 있습니다. 제 관점에서 각각의 점을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여행의 어려움**
미국은 약 980만 제곱킬로미터의 큰 나라입니다. 아쉽게도 효과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몇몇 대도시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여행은 자동차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다른 나라나 심지어 국가 내 다른 지역으로의 여행은 교통비와 숙박비 때문에 어려워집니다. 이 때문에 많은 미국인들은 자신의 지역이나 국가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문화를 경험하지 못합니다.
**미디어의 집착**
미국 뉴스 미디어는 미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가 자라면서 접하는 많은 엔터테인먼트 미디어는 미국이나 영국, 캐나다와 같은 영어권 국가에서 제작됩니다.
이는 우리가 다른 나라에 대해 많이 듣지 못하고, 미국의 문화가 이곳에서 더 많은 주목을 받기 때문에 그들의 사회적 문화에 대한 노출이 많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이나 매우 유사한 국가가 아닌 글로벌 뉴스와 엔터테인먼트를 의도적으로 찾아봐야 합니다.
**교육의 불균형**
미국 공교육은 크게 다르며 수업은 주로 미국 지리, 미국 역사, 미국 정치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공립학교는 주로 재산세로 자금을 조달합니다. 이로 인해 농촌이나 가난한 도시 지역의 공립학교는 일반적으로 자금이 훨씬 적게 제공되며 따라서 이러한 지역의 아이들은 여기서 교육 표준이 아니기 때문에 두 번째 언어와 같은 것을 배울 기회가 평균적으로 적습니다. 대학은 이곳에서 돈이 들며, 많은 사람들이 대학에 갈 여유가 없습니다. 저 또한 농촌 지역의 공립학교를 다녔으며, 대부분의 교과서는 1980년대와 1990년대의 것으로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교사가 부족하여 핵심 문법, 수학, 과학, 문학, 사회 과학 수업 외에는 선택 과목이 많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저는 대학과 대학에 다닐 수 있었지만 많은 동료들은 그럴 여유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역학관계는 많은 미국인의 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하며, 우리의 기반 시설과 교육의 문제를 강조하고, 미디어와 교육이 모든 것에 비해 미국 뉴스, 역사, 문화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개선이 필요한 시스템이지만 자신의 단점을 인정하는 것이 이를 극복하는 첫 번째 단계라고 믿습니다.
모든 미국인을 대신하여 이 현상을 당신이나 당신의 문화에 대한 개인적인 모욕으로 받아들이지 마십시오. 그런 의도가 아닙니다. 우리 대부분은 세계를 가치 있게 여기고 존중하며 기꺼이 문화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불행히도 우리 모두가 그런 기회를 얻는 것은 아닙니다.
**Suomenkielinen käännös**
Amerikkalaisena haluaisin tarjota näkökulmani aiheeseen. Kuulen usein kertomuksen, että amerikkalaiset tuntevat huonommin muita kulttuureja, maailmanpolitiikkaa ja Pohjois-Amerikan ulkopuolista maantiedettä ja puhuvat usein vain englantia. Olen samaa mieltä siitä, että tämä on melko yleistä amerikkalaisten keskuudessa, mutta mielestäni on väärinkäsitys, että tämä johtuu amerikkalaisesta itsetärkeyden tunteesta. Vaikka se saattaa olla totta joillekin, uskon, että tämä ei ole useimpien syy. Yritän selittää mahdollisimman lyhyesti.
Mielestäni on kolme pääsyytä siihen, miksi amerikkalaiset tuntevat maailman rajojensa ulkopuolella huonommin. Nämä syyt ovat matkustamisen vaikeus, median keskittyminen Yhdysvaltain tarinoihin ja koulutuserot maassa. Mielestäni Lotta teki hyvää työtä puhuessaan suurimmasta osasta näitä kohtia, ja voin todistaa sanotun puolesta. Selitän lyhyesti jokaista näistä kohdista näkökulmastani alla.
**Matkustamisen vaikeus**
Yhdysvallat on suuri maa, kooltaan noin 9,8 miljoonaa neliökilometriä. Meillä ei valitettavasti ole käytössä tehokasta julkista liikennejärjestelmää. Muutamaa suurkaupunkia lukuun ottamatta lähes kaikki matkustaminen tapahtuu moottoriajoneuvoilla. Matkustaminen toiseen maahan tai jopa maan muihin alueisiin on vaikeaa sekä kuljetuskustannusten että majoituskustannusten vuoksi. Tämä tarkoittaa, että monet amerikkalaiset eivät yksinkertaisesti matkusta oman alueensa tai maan ulkopuolelle eivätkä koe muita kulttuureja paljon.
**Median keskittyminen**
Yhdysvaltain uutismedia keskittyy vain Yhdysvalloissa tapahtuviin tapahtumiin. Suuri osa viihdemediasta, jonka parissa kasvamme, on tehty Amerikassa tai muissa englanninkielisissä maissa, kuten Englannissa tai Kanadassa, joiden kanssa meillä on paljon yhteistä.
Tämä tarkoittaa, että emme kuule paljoa muista maista emmekä saa paljoa altistusta niiden yhteiskunnalliselle kulttuurille, koska meidän kulttuurimme saa täällä paljon enemmän huomiota. On tarpeen tarkoituksella etsiä globaaleja uutisia ja viihdettä, joka ei ole amerikkalaista tai hyvin samanlaista.
**Koulutuserot**
Amerikkalainen julkinen koulutus vaihtelee suuresti, ja oppitunnit keskittyvät yleensä Amerikan maantieteeseen, Amerikan historiaan ja Amerikan politiikkaan. Julkiset koulut saavat rahoitusta ensisijaisesti kiinteistöveroista. Tämä tarkoittaa, että maaseudun tai köyhien kaupunkialueiden julkiset koulut saavat yleensä huomattavasti vähemmän rahoitusta ja siksi näiden alueiden lapsilla on keskimäärin vähemmän mahdollisuuksia oppia esimerkiksi toista kieltä, koska se ei ole täällä koulutuksen standardi. Korkeakoulut maksavat täällä rahaa, ja monilla ei ole varaa käydä niitä. Itse kävin julkista koulua maaseudulla, ja suurin osa oppikirjoistani oli 1980- ja 1990-luvulta ja erittäin vanhentuneita. Tarjolla ei ollut paljon valinnaiskursseja, koska koulullamme ei ollut tarpeeksi opettajia opettamaan ydinkieliopin, matematiikan, luonnontieteiden, kirjallisuuden ja yhteiskuntatieteiden oppituntien ulkopuolella. Onneksi olen voinut käydä korkeakoulua ja nyt yliopistoa, mutta monet ikätoverini eivät saaneet tätä ylellisyyttä.
Uskon, että tämä dynamiikka heijastaa monien amerikkalaisten taloudellisia kamppailuja sekä korostaa infrastruktuuriimme ja koulutuksemme liittyviä ongelmia sekä median ja koulutuksen taipumusta korostaa amerikkalaisia uutisia, historiaa ja kulttuuria kaiken muun sijaan. Se on ehdottomasti järjestelmä, jota voitaisiin parantaa, mutta uskon, että omien puutteiden tunnustaminen on ensimmäinen askel niiden voittamiseksi.
Kaikkien amerikkalaisten puolesta älkää ottako tätä ilmiötä henkilökohtaisena loukkauksena teitä tai kulttuurianne kohtaan, se ei ole tarkoitettu sellaiseksi. Suurin osa meistä arvostaa ja kunnioittaa muuta maailmaa ja olisi enemmän kuin iloinen voidessamme jakaa kulttuurianne kanssamme. Valitettavasti kaikille meistä ei anneta sitä mahdollisuut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