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셔터가 기술의 발전은 분명하고 앞으로 셔터는 글로벌 셔터가 일반화되는 동기가 될 것 같네요. a9m3가 최초의 글로벌 셔터를 장착한 카메라로서 의미는 있겠지만 가격이 비싼 면에 비해서 화소가 낮아서 전문 상업사진가 아닌 아마츄어들에게 그렇게 비싼 돈 주고 사야하나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고화소의 이점은 너무 많지만.......최초의 풀프레임 a9 III 글로벌 셔터에서는 24,6메가픽셀도 충분 할 것 같습니다 차후 A1-II 에서는 고화소 글로벌셔터를 볼 수 있을런지 기대는 합니다마는 세계최초로 글로벌셔터의 맛을 즐기기에는 A9III 딱 좋습니다. 120연사를 생각하면 고화소는 아찔하죠...ㅎㅎㅎ
고속셔터에서 광량 확보는 유리해졌지만, 이제는 풀 발광시 플래시의 듀레이션 타임이 발목을 잡겠네요...
이제는 조명 업체들의 혁신이 필요한 시간이네요.
어느정도 듀레이션 타임이 조절은 가능한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제품이 나와야 테스트 해봐야 알수 있겠네요 🤔
글로벌 셔터가 기술의 발전은 분명하고 앞으로 셔터는 글로벌 셔터가 일반화되는 동기가 될 것 같네요.
a9m3가 최초의 글로벌 셔터를 장착한 카메라로서 의미는 있겠지만 가격이 비싼 면에 비해서 화소가 낮아서
전문 상업사진가 아닌 아마츄어들에게 그렇게 비싼 돈 주고 사야하나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하지 않을까 합니다.
네 사진으로 메리트는 크지 않은것 같습니다. 대신 동영상을 전문으로 하시는 분들에게는 큰 메리트가 될것 같은데, 정확하게 기능이 어떻게 나올지 지켜봐야 할것 같네요.
물론 고화소의 이점은 너무 많지만.......최초의 풀프레임 a9 III 글로벌 셔터에서는 24,6메가픽셀도 충분 할 것 같습니다
차후 A1-II 에서는 고화소 글로벌셔터를 볼 수 있을런지 기대는 합니다마는
세계최초로 글로벌셔터의 맛을 즐기기에는 A9III 딱 좋습니다.
120연사를 생각하면 고화소는 아찔하죠...ㅎㅎㅎ
네네 버퍼 용량 생각하면 고화소가 쉽지 않죠 ㅎㅎ 저는 120연사 필요 없으니 딱 45메가 글로벌 셔터면 충분할것 같습니다.🤔🤔😀
캐논 니콘도 힘내서 글로벌셔터 가자~! 무조건 글로벌 셔터로 나와야 다른건 의미 없는거같음..
R5에서는 안 한다네요 아이고..
화소가 많이 아쉽다고 생각해요...가격대가 800만원대인데...r5정도의 고화소 들어갔으면 좋았을꺼 같아요...
저도 화소는 많이 아쉬운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글로벌 셔터로 한번에 처리하기에는 a7r5 정도 고화소는 아직 무리인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