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설명...프로 선수들이 어릴 때부터 저 설명대로의 동작을 주구장창 시킨 습관이 몸에 벤 것이겠지요? 이론을 먼저 이해하고 몸에 대입해야 하는데 이해와 연습량의 차이가 바로 프로와 아마의 차이가 아닐까 싶은..사회인 야구는 안 하지만 배우고 싶을 정도로 퀄리티가 좋습니다~
중학생 아이인데 10:49 착지하고 회전하기 전인데 던지는 팔의 각도가 90도를 넘어가고 있는데 그냥 내버려두네요? 10:53 이미 이 시점에서 회전해서 공을 던지려면 어린아이들은 어깨 다 망가집니다. 성인 또 한 프로선수도 망가집니다. 11:20 가깝게 ssc? 발동? 멀리있던 팔을 의식적으로 가깝게 만든다? 잘못이해하면 대부분의 선수가 암스로윙이 만들어집니다 11:36 아이고 영상만 봐도 어깨 아프네요 대흉근이 늘어나고 수축하는게 아니라 어깨 상부관절와순 파열로 이어집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일리있는 말씀 감사합니다. 우선 설명하기에 앞서 SSTC에 온 150이상의 파이어볼러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말씀드리자면 랜딩 전 뒤꿈치 또는 앞꿈치가 지면에 닿는 순간인 initial contact 시점에서 팔꿈치 각도는 110도 입니다. elbow의 full extension angle 0도 기준이니 말씀처럼 80도 정도 입니다. 더불어 humerus의 절대각은 홈 0도를 기준으로 -260도 정도였습니다. 즉 거의 1루 방향을 바라 봅니다. 양 어깨를기준으로 horizontal abduction angle이 60도 정도이며, 이때 손의 위치는 어깨와 수평이었습니다. 즉 견갑장전이 엄청나고 골반/몸통이 닫힌 상태로 랜딩이 됩니다. 물론 프로들이 그렇다고 해서 꼭 따라하라는 건 아니지만 고관절, 흉추의 horizontal mobility가 받춰준다면 충분한 가속구간을 만들 수 있기에 할 수 있으면 하게 합니다. 그리고 회전하면 팔꿈치 움직임을 조절하여 moment of inertia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회전 직전 무겁게, 회전하며 굽혀서 가볍게) 만들어 줍니다. 물론 이 과정에서 팔꿈치을 높게 하지 못하게 해서 shoulder external rotation 중 Abduction을 편하게 가지고 가게 하며, 힘도 빠져있는 상태로 부하를 줄여주고자 노력합니다. 그 후 회전과정에서 회전저항을 줄이기 위해 팔꿈치를 굴곡 동작시켜 회전 각속도를 높여주는데 150 파이어볼러들은 late cocking을 2루 0도 기준으로 45~50도까지 끌고 온 후 elbow extension을 시킵니다. 즉, initial contact인 early cocking으로부터 late cocking까지 가속구간을 120~130도까지 확보 후 공을 던집니다. 그럼 힘은 언제 쓰냐면 initial contact 이후 손이 탑에 올라온 뒤 힘을 씁니다. 임팩트까지 가볍고 빠른 가속을 만든 뒤 임팩트 직전 감속을 만들기 위해서 겠죠. 이 선수의 문제는 initial contact에서 팔꿈치 각도가 130도였습니다. 즉, elbow의 full flexion에 가까웠기 때문에 회전저항이 너무 작아 골반이 회전함과 동시에 골반과 몸통이 열리게 되는 현상이 심했습니다. 때문에 얼리 코킹을 크게 만들어 준겁니다. 덜 돌게 하기위함이었습니다. 더불어 회전하면서 힘을 많이 썼고 얼리코킹 이후 가속 구간인 레이트 코킹으로 넘어오기 전 팔꿈치가 펴지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150파이어볼러들은 앞서 말씀드렸드시 2루 기준으로 45~50도 였으나 위 선수는 -38도였기 때문에 반드시 얼리 코킹은 크고 레이트 코킹은 작게 만들 필요가 있었습니다. 물론 어깨 부하를 줄이기 위해 힘을 빼고요. 마지막으로 -38도부터 팔꿈치가 펴지기 때문에 팔스로잉 자체로 인한 회전저항을 만들어냈으므로 오히려 팔꿈치와 어깨 및 허리에 무리가 오는 메커니즘이었습니다. 따라서 initial contact에선 팔꿈치를 조금 크게 만들고 회전가속 구간에서 팔꿈치를 굽혀 회전저항을 줄임으로써 골반 몸통이 열리는 현상과 회전과정에서 나오는 팔꿈치 조기 풀림을 없애 회전저항을 줄여 던지게 해주고 있습니다. 한 개를 얻으면 한 개를 잃는데 이 친구는 좋은 유연성과 가동성을 갖고 있지만 회전저항 때문에 많은 효율성을 찾아주게 해주고자 했습니다. 이번 컨탠츠는 워낙 초기라 원리만 알려주는 것이며, 점차 자신이 던지면서 효율적인 움직임을 이해하며 무리가 오지않는 범위로 전 관절을 잘 사용할 것이오니 기대부탁드립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제가 글재주가 없어서 주저리 주저리 내용이 많아졌네요. 감사합니다.
와 진짜 돈 주고들어야하는 강의인데..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린 선수임에도 학습능력이 뛰어나보입니다!
선수도 뛰어나고 코치도 잘 알려줘서 최대한 쉽게 원리를 이해시키고자 노력합니다^^
진귀한 영상이네요.. 그동안 놓치고 있었던 원리에 대해 잘 배우고 갑니다
앞으로도 많은 콘탠츠 준비하겠습니다.
워낙 콘탠츠가 많아서 뭐부터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감사합니당 반복 듣기하겠습니당
설명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저희는 최선을 다해서 선수들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스페이스 공간은 뭥미? ㅎㄷㄷ
와 설명...프로 선수들이 어릴 때부터 저 설명대로의 동작을 주구장창 시킨 습관이 몸에 벤 것이겠지요? 이론을 먼저 이해하고 몸에 대입해야 하는데 이해와 연습량의 차이가 바로 프로와 아마의 차이가 아닐까 싶은..사회인 야구는 안 하지만 배우고 싶을 정도로 퀄리티가 좋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하겠습니다.
구속의 차이는 대흉근 가동성이 얼마나 나오나 차이더라구요.. 140과 150넘는 투수들보면 대흉근과 견갑장전 가동범위가 다르더라구요. 그래서 아무리.덩치커도 구속 140초반 나오는 선수가 있는 반면에 슬림하고 가동성좋은 투수들이 구속이 더 좋은 이유가 아닌가 싶습니다.
옳으신 말씀입니다.
구속은 피지컬의 크기가 아닌 피지컬 대비 파워지요.
더불어 대흉근만이 아니라 허리 가동성, 골반 가동성, 흉추 가동성도 중요합니다. 가속구간을 만들어 줄 수 있기 때문이지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도무지 무슨말인지 모르겠지만 아주 좋은내용같습니다
^^
증 론 직 삘 ^^
타격레슨 한다고 들었는데 타격 레슨은 어디서 하나요? 같은 공간에서 하나요?
타격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중학생 아이인데 10:49 착지하고 회전하기 전인데 던지는 팔의 각도가 90도를 넘어가고 있는데 그냥 내버려두네요? 10:53 이미 이 시점에서 회전해서 공을 던지려면 어린아이들은 어깨 다 망가집니다. 성인 또 한 프로선수도 망가집니다. 11:20 가깝게 ssc? 발동? 멀리있던 팔을 의식적으로 가깝게 만든다? 잘못이해하면 대부분의 선수가 암스로윙이 만들어집니다 11:36 아이고 영상만 봐도 어깨 아프네요 대흉근이 늘어나고 수축하는게 아니라 어깨 상부관절와순 파열로 이어집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일리있는 말씀 감사합니다.
우선 설명하기에 앞서 SSTC에 온 150이상의 파이어볼러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말씀드리자면 랜딩 전 뒤꿈치 또는 앞꿈치가 지면에 닿는 순간인 initial contact 시점에서 팔꿈치 각도는 110도 입니다. elbow의 full extension angle 0도 기준이니 말씀처럼 80도 정도 입니다. 더불어 humerus의 절대각은 홈 0도를 기준으로 -260도 정도였습니다. 즉 거의 1루 방향을 바라 봅니다. 양 어깨를기준으로 horizontal abduction angle이 60도 정도이며, 이때 손의 위치는 어깨와 수평이었습니다. 즉 견갑장전이 엄청나고 골반/몸통이 닫힌 상태로 랜딩이 됩니다.
물론 프로들이 그렇다고 해서 꼭 따라하라는 건 아니지만 고관절, 흉추의 horizontal mobility가 받춰준다면 충분한 가속구간을 만들 수 있기에 할 수 있으면 하게 합니다.
그리고 회전하면 팔꿈치 움직임을 조절하여 moment of inertia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회전 직전 무겁게, 회전하며 굽혀서 가볍게) 만들어 줍니다.
물론 이 과정에서 팔꿈치을 높게 하지 못하게 해서 shoulder external rotation 중 Abduction을 편하게 가지고 가게 하며, 힘도 빠져있는 상태로 부하를 줄여주고자 노력합니다.
그 후 회전과정에서 회전저항을 줄이기 위해 팔꿈치를 굴곡 동작시켜 회전 각속도를 높여주는데 150 파이어볼러들은 late cocking을 2루 0도 기준으로 45~50도까지 끌고 온 후 elbow extension을 시킵니다.
즉, initial contact인 early cocking으로부터 late cocking까지 가속구간을 120~130도까지 확보 후 공을 던집니다.
그럼 힘은 언제 쓰냐면 initial contact 이후 손이 탑에 올라온 뒤 힘을 씁니다.
임팩트까지 가볍고 빠른 가속을 만든 뒤 임팩트 직전 감속을 만들기 위해서 겠죠.
이 선수의 문제는 initial contact에서 팔꿈치 각도가 130도였습니다. 즉, elbow의 full flexion에 가까웠기 때문에 회전저항이 너무 작아 골반이 회전함과 동시에 골반과 몸통이 열리게 되는 현상이 심했습니다.
때문에 얼리 코킹을 크게 만들어 준겁니다.
덜 돌게 하기위함이었습니다.
더불어 회전하면서 힘을 많이 썼고 얼리코킹 이후 가속 구간인 레이트 코킹으로 넘어오기 전 팔꿈치가 펴지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150파이어볼러들은 앞서 말씀드렸드시 2루 기준으로 45~50도 였으나 위 선수는 -38도였기 때문에 반드시 얼리 코킹은 크고 레이트 코킹은 작게 만들 필요가 있었습니다.
물론 어깨 부하를 줄이기 위해 힘을 빼고요.
마지막으로 -38도부터 팔꿈치가 펴지기 때문에 팔스로잉 자체로 인한 회전저항을 만들어냈으므로 오히려 팔꿈치와 어깨 및 허리에 무리가 오는 메커니즘이었습니다.
따라서 initial contact에선 팔꿈치를 조금 크게 만들고 회전가속 구간에서 팔꿈치를 굽혀 회전저항을 줄임으로써
골반 몸통이 열리는 현상과 회전과정에서 나오는 팔꿈치 조기 풀림을 없애 회전저항을 줄여 던지게 해주고 있습니다.
한 개를 얻으면 한 개를 잃는데
이 친구는 좋은 유연성과 가동성을 갖고 있지만 회전저항 때문에 많은 효율성을 찾아주게 해주고자 했습니다.
이번 컨탠츠는 워낙 초기라 원리만 알려주는 것이며, 점차 자신이 던지면서 효율적인 움직임을 이해하며 무리가 오지않는 범위로 전 관절을 잘 사용할 것이오니 기대부탁드립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제가 글재주가 없어서 주저리 주저리 내용이 많아졌네요.
감사합니다.
@@sstc-baseball 답변 감사합니다
스페이스가 공간인데 둘중에하나만골라서 사용하세요 ㅋㅋ
이쪽 공간 or 이쪽 스페이스
영상 볼 때 크게 중요한가요? 님 말투가 더 불편하네요
넵 감사합니다~
전 레슨이 좋다 생각하는데 저도 그게 거슬림. 두 단어중 하나만 쓰면 되는건데 혹시 안되나요? 회전을 주세요 해야하는데 누가 스핀회전 줘 하면 이상할거 같음.
쓰앵님 최준용좀 살려주세요ㅠㅠ 애가 많이 안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