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다들 얼마 받고 있길래! 우리 회사 규모, 연봉, 복지는 괜찮은걸까? 국내 기업의 99.9%는 중소기업인 대한민국 진짜 평균 이야기!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ส.ค. 2023
  • 가인지캠퍼스에서 멤버십 가입하고 ✨풀영상과 실무 양식 받기✨
    👉 gainge.info/3IS5OaG
    _______________________
    💡 교육·컨설팅 문의
    가인지컨설팅그룹은 22년간 3,700개 기업의 컨설팅을 진행하며 경영자의 고민 해결을 돕고 있습니다.
    교육 또는 컨설팅을 받고자 하신다면,
    아래 전화 문의 혹은 구글폼에 남겨주시면 확인 후 1일 이내로 연락드리겠습니다.
    📞 010-4599-5464
    👉gainge.info/3TD1kcW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3K

  • @gaingetv
    @gainget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강의자료와 질의응답 보러가기
    👉 gainge.info/3YfXl8c

    • @miso867
      @miso86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2020 자가점유비율 57.3퍼인데 반이상은 자신의집에 자신이 거주중인거 아닌가요?

    • @Kaiser1987
      @Kaiser198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소득 500만은 세후일까요? 세전일까요?

    • @user-dfg44fh653dfh
      @user-dfg44fh653dfh 16 วันที่ผ่านมา

      12사단 사건은 국가 권력과 페미에의한 고문살인사건
      애초에 완전군장메고는 걷는거밖에 시킬 수 없죠. 게다가 군장도 책까지 집어넣은데 완전군장목록에 책은 없죠 지시가 첨부터 군법위반입니다
      그상태로 땡볕에 팔굽혀펴기 선착순 뛰기 시켰는데 일부러 죽으라고 뛴거죠 저렇게 굴리면 누구나 죽을 수ㅜ있단거 아는데 미필적 고의에ㅜ의한 고문살인입니다. 살인의 미필적고의가 있어요

  • @sipalnoma
    @sipalnom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83

    어느순간부터 대기업 연봉이 기준이 되고 이런 사회적 분위기속에 남녀들간에 서로 비교질하며 욕심만 가득해지니 서로가 불행해질 수 밖에.........

    • @user-ym4ho9sn7u
      @user-ym4ho9sn7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핵심 정리 잘 하시네요.

    • @user-hv3py1hb5t
      @user-hv3py1hb5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9

      내말이 요새 비교하는 삶 지친다 그냥 길 가다가 평범하게 선글라스고 끼고 다녀고 이상하게 보는 한국사회

    • @Johyeongjin
      @Johyeongji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걸 만든 게 페미 작가들이 만드는 막장 드라마들이 큰 역할을 했죠. 맨날 백마.. 아니지 백벤츠 탄 재벌 3세만 드라마에 등장하니 ㅋㅋㅋㅋ
      그러다가 한녀들의 갑질에 한국 남자들이 지쳐서 이제 국결 아니면 비혼으로 가는 분위기.. 그러면 누가 손해일까요 ㅋㅋㅋㅋ
      그래서 눈치 빠른 한녀들이 이걸 읽고서는, 국결하는 한남은 도태 어쩌구 하며 ㅈㄹ하는 겁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 @KAMI75785
      @KAMI7578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1

      정확한 말씀입니다
      자기보다 못한사람을보며
      행복하다 생각 안하더라구요
      자기보다 못하면 그냥 인간취급을 안해요
      그래서 자기보다 못한사람은 없는샘치구요
      자기보다 더 잘난 사람만 비교해서
      내가 못사는거네 이런단 말이죠
      이게 문제입니다

    • @dy63278
      @dy6327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9

      미친연들이 요구해서 이래됨

  • @sonicboom7317
    @sonicboom731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4

    속이다 시원하네요 중산층 기준은 훨씬 낮은데 오버하고 거짓부렁으로 박탈감 느끼게하는 컨텐츠들이 팽배한 사회에서
    이런 팩트로 데이터 집어주는 영상 강추합니다.

    • @gerwin1003
      @gerwin1003 27 วันที่ผ่านมา

      저것도 오류가있는게 남여 나눠야 하는데 퉁쳐서함,,, 결혼하면 대부분 알바식으로 들어갈텐데요,,,

  • @goodmanwoong
    @goodmanwoon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9

    중소기업 13년에 오백 ? ㅋㅋㅋㅋㅋ
    삼백 중반이 대부분임. 만일 오백이 보장된다면 인략난도 없을듯

    • @seouldot
      @seouldo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300이하가 대부분이죠

    • @user-dw4jp4gs8d
      @user-dw4jp4gs8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대근무가 많아서 300대중반이 맞죠 주야교대근무가 워낙많아서

    • @user-fp6nv9ue8k
      @user-fp6nv9ue8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중소기업 근속년수 13년 500 없다고 보면 될듯 다만 교대 근무 잔업 많으면 가능ㅋ 근속년수 20년 이상 세후 500 정도ᆢ 중소도 아닌 중견기업 은 가능

    • @user-td1jy2lw9l
      @user-td1jy2lw9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산직은 시급으로 봐야지... 시급 곱하기 209 해야 진짜 월급이 나옴

    • @bluemoon15379
      @bluemoon1537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무리 중소라도 300 이하는 15년차이면 일을 못하거나 이직의지가 없업ㅎ입니다. 3번은 갈아탌 있을텐데.​@@seouldot

  • @user-mk3lh2kw1q
    @user-mk3lh2kw1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9

    sns와 평균 올려치기 문화가 없어지지 않는 한 한국은 평생 불행한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 @user-pu9cw3nk2f
      @user-pu9cw3nk2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출산과 살인적 사교육비 그로인한 노인빈곤 높은 청년 자살율의 원인입니다 지금까지는 발전의 원동력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는 자신을 파괴하고
      불필요한 불행을 야기하며 사회를 망가뜨리는 지경에 다다른 문화입니다 행복을 왜 남과 비교하는데서 찾는지 모르겠습니다

    • @user-ql4gg9qg1f
      @user-ql4gg9qg1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자기가치관을 어디두느냐다르지 너도 sns에 물들었다는 증거냐 ㅋ

    • @PC-tv1dj
      @PC-tv1d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sns보다 더 무서운게 정치인, 고위직입니다.

    • @user-jz7yc4sm9j
      @user-jz7yc4sm9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Sns이전에 방송프로그램,정치

    •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평균 올려치기와 더불어 노동자 내려치기 문화또한 문제임. 반박시 ㅈ소사장

  • @JHK-vh2rm
    @JHK-vh2r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3

    중소기업은 아직도 5주일제도 못하고 출산휴가도 못가는 곳도 많은데, 뉴스에서는 주4일제 어떻고 하면서 떠들고 있네요.
    평균의 함정이죠.

    • @Tv-pe4if
      @Tv-pe4i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주4일제 가즈아~~~ㅋㅋㅋ

  • @user-kr6wu6ud2e
    @user-kr6wu6ud2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2

    중위소득이 정확한거네요. 정확한 팩트 전달 입니다. 이 현실을 시민들 특히 청년들이 알아야될 자료 같네요.

    • @user-vv6im3dv3o
      @user-vv6im3dv3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청년들이 문제일까 대기업 못가면 혀끌끌 차는 꼰대들이 문제일까?

    • @-poq-
      @-po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vv6im3dv3o둘 다지
      평균올려치기는 청년들도 다 하고 있음
      Sns만 봐도 알지 않냐?

    • @user-ey6fi6sr8g
      @user-ey6fi6sr8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

      청년들이 문제지 그걸 꼰대탓이라고 하냐ㅋㅋㅋ하여튼 요즘 세대들은 뭐만하면 틀딱탓 사회탓ㅋㅋ
      나도 청년이지만 남탓하는 인간들 존나 한심함ㅋㅋ

    • @-poq-
      @-po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ey6fi6sr8g 아주 없진 않지 하루쟁일 공부 좆뺑이치면서 공부 안함 뭐한다 누군 뭐다 하면서 자식을 갖다가 비교한 첫 세대인데
      평균올려치기는 부모세대에서 시작했음
      그게 인스타같은 sns가 급진적으로 발전시킨거고
      물론 그럼에도 빠르게 자기객관화 못하고 나이만 먹으면서 세상탓 세대탓하는건 꼴볼견인건 맞음

    • @user-vc3nw6uv8m
      @user-vc3nw6uv8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user-ey6fi6sr8g 법적 기준으로 청년은 34세까지임. 나이먹어가는게 슬픈건 알겠지만 은근히 끼워넣지마시길. 곧 앞자리 바뀌겠구만 힘내쇼.

  • @skim7868
    @skim786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

    한번 9시 뉴스 시간대에 조명해줘야하는 내용이아닌가 싶을정도로 충실하게 잘만들아주신것같습니다.

  • @user-gn6rq5lh6o
    @user-gn6rq5lh6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7

    진짜 인서울 대학 갈 수 있는 비율이 10퍼고 대기업 다니는 사람 비율이 20퍼인데 그게 평균이 되고 거기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은 닭대가리로 만드는 문화좀 없앴으면 좋겠어요 평균이 50퍼인데 언제 상위 10~20이 평균이 됐는지.. 이것뿐만 아니라 명품도 있어야돼 해외여행도 자주가야돼 참..그냥 그건 평균이 아니라 부자예요..

  • @holica2262
    @holica226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6

    평균과잉이란 개념이 정말 와 닿네요.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jslee1216
    @jslee121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너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이런 내용들이 더 확산되어서 다들 자기객관화가 됐으면 좋겠네요.

  • @floling_young
    @floling_you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정말 공감됩니다 마땅히 문화…
    유투브에서는 처음들어보는 현문입니다

  • @user-mx9vk4lv2e
    @user-mx9vk4lv2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아침에 늦게 일어나서 못보는데 다시보기 올려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 @jaxian
    @jaxia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

    아... 처음 보는데, 너무 좋네요 ㅋㅋㅋ 속 답답한 부분을 시원하게 뚫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wwl8803
    @wwl880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

    현재의 대한민국에서는 경제적인 가치 말고는 가치 판단을 할 기준이 없다는 점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70~80년대 고도 성장을 할 때에는 이 같은 문제가 크게 도드라지지 않았지만, 오히려 경제적인 안정을 얻자 개개인이 이룰 수 있는 성취가 줄어든게 크게 작용하는 것도 같네요.

  • @user-rw4fk9st5j
    @user-rw4fk9st5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현실을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ekej0412
    @ekej041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와 정말 좋아요 하나만 누르기 아까운 귀한 영상입니다 상상속의 평균을 만들어놓고 난 남보다 못하다고 불만을갖고 서로 옥죄는 세상. 쓸데없이 SNS에 휘둘릴 필요가 없다는거 항상 기억해야 합니다.

  • @hyeon0328
    @hyeon032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마땅히 찾아뵙고 좋은영상 만들어 주심에 감사드려야하나
    그러지 못해 죄송합니다 ㅎㅎ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porky815
    @porky81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잘보고갑니다. 정말 말씀 잘하시네요

  • @deiesswws2041
    @deiesswws204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정말 좋은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 @211st4
    @211st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10년전에도 괜찮은기업 초봉 3000이었고 지금도 초봉 3000임 ㅋㅋ 집값 물가는 3배정도 오른듯 노동시장은 수요독점상태로 착취수준으로 가고있음

    • @user-fb4sb7vq6l
      @user-fb4sb7vq6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년동안 왜 제자리에 있으신거임….? 자기계발을 억지로라도 10분씩만했어도 10년이면 그연봉은 벗어나셨을텐데…?

    • @user-pe5mk7ud4x
      @user-pe5mk7ud4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user-fb4sb7vq6l
      ??????? 초봉이 그렇다는건디요;;

    • @user-ex6yp2nh8d
      @user-ex6yp2nh8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user-fb4sb7vq6l ㅋㅋㅋㅋ 뭐지 이사람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ky3wo9cs6e
      @user-ky3wo9cs6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fb4sb7vq6lㅋ

    • @null00001
      @null0000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fb4sb7vq6l초봉이 뭔지 모르시나? 아니면 잘못 읽으신듯 ㅋㅋㅋ

  • @user-fo7us6jf7g
    @user-fo7us6jf7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감사합니다. sns를 안하는데도 여기저기서 들리는 말들로 현재와 미래에 대해 늘 불안했는데 도움이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 @lkystart
    @lkystar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나는 새를 향해 돌을 던져 맞출 확률은 매우 희박하지만 그마저도 하지 않고 포기해버리면 운이라는것도 찾아오지 않는법이죠
    이런 방송 좋네요

  • @H_H_H_H_H
    @H_H_H_H_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흥미로우면서도 생각할 거리를 많이던져주는 영상입니다. 잘봤습니다.

  • @user-yn6gl6sw8w
    @user-yn6gl6sw8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현실을 말하는 좋은영상 잘 봤습니다!

  • @user-ep5py4sd7n
    @user-ep5py4sd7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2

    평균의 함정..속임수..
    대부분의 중소기업 평균연봉을 따로 산출해서 통계로 잡아야 한다..😢

    • @aricaii8264
      @aricaii826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중위값, 표준편차 등등 다 공개되어야 함

    • @anotherday7403
      @anotherday740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울지말고 이야기해요...중소기업 평균연봉 얘기하면서 이정도면 됐지?하면 더 울듯😂

    • @user-xn5xp7fo5t
      @user-xn5xp7fo5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부 같이 죽겠다

  • @gombaepal898
    @gombaepal89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6

    평균 과잉 사회.
    지금의 우리 현실을 딱 맞게 표현한 말입니다.
    내용이 너무 좋아 끝까지 보고 갑니다.

  • @franceskim5420
    @franceskim542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평균과잉사회라는 말에 공감합니다

  • @user-zr8ey1xq6y
    @user-zr8ey1xq6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받는 소득도 중요하지만
    받은 소득으로 할 수 있는게 얼마나 되는지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연봉인상률 < 물가상승률 이라는 부등식이 매년 유지된다면 결국 '중산층' 도 가난의 범주로 점점 밀려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 @tjwhd84
    @tjwhd8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마땅히 맞는 말이십니다

  • @raymondkim9512
    @raymondkim951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SNS와 지나친 겸손한 말들이 중산층이라는 이미지를 망치고 있는 것같아요.
    사실 겸손인지 아님 더 벌고 더 갖고 더 누리고 싶은 욕망인지 모르겠지만!
    이런 영상보면 현실직시할 수 있어서 너무 감사합니다!👍👍

  • @user-ze1zu7qp1t
    @user-ze1zu7qp1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댓글 첨 써요
    와우
    보기 드문 영상 이네요
    센 한표 드립니다

  • @user-dh1vi1xi2i
    @user-dh1vi1xi2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고맙습니다~
    더 열심히 살게 해 주시네요~~~^^

  • @6232260
    @623226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얼마전 나온 뉴스에서 우리나라 상위 1%가구(개인 아닌 가구)는 순자산(빚제외하고)으로 29억이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상위 1% 가구주 평균 나이는 63.5살. 상위 5%는 13억, 상위 10%는 9억이랍니다. 집/현금성 자산 포함 빚제외하고 10억이면 10%에 속한다는건데.... 뻥튀기가 많기는 하죠.

    • @hnai1479
      @hnai147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공시지가 기준이라더군요..실제는 그보단 훨씬 높을겁니다.

  • @nemo1316
    @nemo131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그런데 우리나라 문제가 저 평균값보다도 못버면... 삶이 너무 팍팍해진다는 것이 문제 아닐까 합니다. 집사기는 힘들고 전세 사기는 판치고 월세는 관리비 꼼수로 불리고, 식료품비... 하늘 무서울 줄 모르게 오르고, 좋은 직장에 가려면 자격증이나 학위증 하나는 더 있어야 하는데 거기에 들어가는 돈도 감당하기 힘들고, 자영업자는 장사 안되고, 근로자는 텅장이고. 젊은 시절부터 이런 삶이 지속된다면 삶을 살고 싶을지... 의문입니다.
    그리고... 의식주. 주거는 인간에게 있어 필수적인데.. 70%가 집이 없다?(전 연령 대상 통계지만) 솔직히... 너무한 것 같네요.

  • @user-dz8cr4qh7z
    @user-dz8cr4qh7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통찰이 엄청나네요. 말도 정말 부드럽게 잘 하시네요. 많이 배워야겠어요😊

  • @takeatrip84
    @takeatrip8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말씀 잘 듣고갑니다. 잘 살아가고 있네요 ㅎㅎㅎㅎ

  • @user-lxnfiskuxh
    @user-lxnfiskux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큰 의미없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사람들은 끼리끼리 살기 때문이죠. 좋은 집안은 좋은 집안끼리, 명문대생은 명문대생끼리, 대기업은 대기업끼리.. 내 주위에 나와 부대끼며 사는 사람들의 평균이 중요하지 전체 평균 중위값이 와닿지 않는건 당연합니다. 문제는 영상에서 말씀하신것같이 유투브나 인스타등이 주위의 인식을 다 상위로 올리고 있는점이겠죠.

  • @user-nj5rz8cr3r
    @user-nj5rz8cr3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8

    200중반 받으면 피자 한 판 사먹는 것도 고민 많이 합니다. 제 기준은 그래요. 계산해보면 200씩 모아도 답이 안나오거든요. 그런데 누구는 저랑 같은 상황에서 외제차를 풀 할부로 타고다니더군요.
    동물을 키우기도 하고 술담배 다 중독되어 있기도 하고 술 한 번 먹는데 5만원 뭐 그렇게 쓴다는 거 듣고 충격 먹었습니다. 어디서 그런 자신감이 나오지 싶어서... 뭐 그러니까 돈을 못 모았겠죠... 열심히 모아도 쉽지 않다는 거 알기에 열심히 모으고 있습니다. 이제 약한 소리 그만 하고 열심히 공부해야죱...

    • @jlee7978
      @jlee797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경제관념 없는 사람들 많습니다

    • @user-yb1vh2qq4t
      @user-yb1vh2qq4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그랬던 친구의 부모자산이 100억이라는 반전

    • @underclass8558
      @underclass855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yb1vh2qq4t그런친구는 기울고 있는 친구죠 ㅎㅎ
      부러워 할 필요 없지요

    • @gurijys
      @gurijy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모아서 뭘하시려고 인생 즐기지도 못하고 사시나요 적당히 소비하고 적당히 모으면 됩니다 바닥치고 영끌하는게 문제인거죠

    • @user-ke9oc5fk6j
      @user-ke9oc5fk6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친일파 대기업 자산 전부 환수 해야함
      모두 노재팬!!

  • @kdsbsb
    @kdsbs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6:16 OECD 기준 설명 잘못하셨네요...화면에는 75 - 200 %로 적혀 있는데, 설명하신 것은 25 - 200 %로 하심. 화면에 미리 준비하신 75 - 200 %가 맞을 것 같네요

  • @user-yy4sk6wz2d
    @user-yy4sk6wz2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

    1% 가 전체 이익 90% 를 장악한 이후 평균의 함정이 여기에서 나옴. 그래서 숙주들의 반란으로 지방 소멸이 본격화 되었음.

    •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중위소득이랑 평균소득이랑 차이가 크게나면 빈부격차가 심하단거죠..

    • @jainlee8896
      @jainlee889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 상위1프로가 되도록 노력하세요..공부를 잠안자고해서 의대 나와요..그럼 개미지옥 벗어나요..뭐 과외를못받아서..머 여타 여건 핑게 되지마시고 영혼갈아 넣어서 해봐요..저는 당연히 그렇게 못했기에 주어진 삶에서 열심히 삽니다 불평.불만 없어요..그나름 아껴서 살고 그속에서 행복 찿으려고 합니다

    • @user-yy4sk6wz2d
      @user-yy4sk6wz2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jainlee8896 - 영혼 갈아 넣을거면 복권이나 도박으로 돈 버는 게 더 쉽죠.
      그보다 더 좋은 수는 대기업 가족으로 태어나는 것이 휠 유리하고요.
      설득력 있게 설명하셔야지.

    • @Small69Korea
      @Small69Kore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jainlee8896 걍 돈없으면 애안낳는게 정답임. 그지가 애싸지르면 애한테 평생 죄짓는거임

    • @user-cl2nc8im7x
      @user-cl2nc8im7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상위1%도 사는건 별반 차이 없어요.

  • @jeonghoonkim_
    @jeonghoonkim_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소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 @nam14526
    @nam1452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예전에는 TV에서 연예인들로 외모지상주의, 외모평균을 올렸다고 하면
    지금은 SNS로 외모평균을 올리고, 삶의평균을 올려버리는듯
    SNS에 잘사는것같이 보이는거 거의다 거짓인걸 잘모르는게 안타까움
    물론 이런 나조차 그런 거짓을 보다보면 부럽다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걸 보면..

  • @user-ps1tz7ld8f
    @user-ps1tz7ld8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대한민국 미디어가 만들어 낸 허상이죠 ㅠ

  • @jaeilhwang9620
    @jaeilhwang962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저도 저번에 저 외국과 우리나라 중산층 조건 되도 않는 기사 보고 웃었는데 ㅋㅋ 팩트로 조지시는 분이시네요 평균의 함정 확인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ty1bf6lw5f
    @user-ty1bf6lw5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부족하다는 인식이 있는게 아니라 실제로 부족하다 중소기업 월급 200에서 4대보험 제외하면 실수령액 170 조금 넘는데 그돈으로 한국물가에서 살아보면 절대 충분하지가 않다 가난한거 맞다

    • @asas-oo8ik
      @asas-oo8ik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사회 초년생때는 월급이 적죠^^

  • @user-vq3od8po9h
    @user-vq3od8po9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런 정보 좋네요! 감사합니다~

  • @chardlee8486
    @chardlee848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사회의 집단 심리와 SNS의 영향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잘못된 판단이 개인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 @user-pv8in8kq4z
    @user-pv8in8kq4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한국 소득의 중위값이 국민소득이 두 배나 높은 미국보다 더 저열한데, 중산층 하한기준을 OECD 75%ㅂ다 더 낮게 50%로 낮추어 잡는 다는 것은 국가범죄수준이군요.

  • @user-gq5to7ri1t
    @user-gq5to7ri1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통계나온것처럼 주변만 봐도 연봉 2~3천대가 제일 많고, 그담이 연봉 3~4천대가 많음..
    근데 집값은 난 지방사는데도 몇억이 기본이고, 수도권은 뭐 집값보면 어이가없고 ㅎㅎㅎ
    사람들 월급 200~300받는걸로 언제 집을 사냐고... 그러니 결혼을 안하지...
    연예문제도 여자는 최저임금 받으면서 정작 남자는 월급 400~500받길 원하는 사람이 수두룩함 ㅋㅋ
    너무 욕심 아니냐?

  • @MinjoonKim-me8sw
    @MinjoonKim-me8s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6

    여자들은 드라마가 다 망쳐놓음. 한드에 따르면 남자나이 서른정도면 이미 직원 3만명 이상의 대기업의 (글로벌 전략)본부장 임...근데 여자들은 그 기업 건물에서 청소만해도 그 왕자님들과 사랑에 빠질수 있음..심지어 그 남자의 또다른 라이벌 재벌남과 삼각관계도 가능 ㅋㅋㅋ😅 요새 용어로 이런 류의 드라마를 '보포' (보₩% 포르노)라고 부른다지? 여자들의 신데렐라 욕구를 대신 채워주는...

    • @user-ys6lz6eo9r
      @user-ys6lz6eo9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ㅋㅋㅋㅋ 맞아요. 엄청난 환타지. 다들 정신 차려야 함.

    • @user-zk7nr1or5q
      @user-zk7nr1or5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완전 동의 예전부터는 드라마가 망쳐놨고 요새는 인스타가 한녀들 마인드 다 조져놓음

    • @user-pt8uu6ru3l
      @user-pt8uu6ru3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캬아~ 드라마작가 하셔도 될듯~ 벌써 재밌어 보임 ㅋㅋ

    • @user-co3ch4zh9v
      @user-co3ch4zh9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요즘은 인스타가..

    • @Leclerc110
      @Leclerc11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그 작가들이 문제임. 자기들 못 이루는 꿈을 너도 할수 있다며 전파시키는중 ㅋㅋ

  • @user-to7ce8ty4k
    @user-to7ce8ty4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리 더 더 솔직해져 인간의 순수함을 찾아야 할 숙제를...방학이 끝나가고 있다

  • @sjy231
    @sjy23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이 영상 현실 뼈때리네 ㅋㅋㅋ

  • @Mia-fe1gk
    @Mia-fe1g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오 너무 유익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목소리도 좋으셔서 더 쏙쏙 들어오네요 😊

    • @gaingetv
      @gainget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ym4ho9sn7u
    @user-ym4ho9sn7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마땅히 문화가 이나라를 긍정적 나라로 만들었다고 생각할수도 있겠네요.

  • @user-er5ne9np7p
    @user-er5ne9np7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물가상승률 고려하면 일반 직장인 월급은 처참한 수준이다 그리고 심각한건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과거보다 심해졌다는거지 이게 미디어와 sns를 통해 나타나고있으니 괴리감에 휩싸이고 노동력 상실 및 결혼,집 포기 상태까지 온 것 같다

    • @user-jo2te2oe1j
      @user-jo2te2oe1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디어. Sns가 나라. 국민들 의식을 망치고 있다고 봐 욤.

  • @ws8320
    @ws832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남의 결과만 부러워하지말고
    그 결과가 나오기까지 얼마나 노력을 했는지에 관심을 가져야ㅡㅡㅡ

  • @road-er2hn
    @road-er2h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평균의 올려치기도 문제긴 한데, 요즘 티비에 나오는 연예인들 육아/화려한 집 구경해주는 프로그램이 너무 많아서 기본적으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횟수가 많아짐

  • @user-rn9vl3vi9k
    @user-rn9vl3vi9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참고자료들을 최신자료로 업덧해주시면 더 좋을듯합니다

  • @Windflowerize
    @Windfloweriz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마땅히 문화 정말 크게 공감합니다.ㅎ

  • @grace7550ify
    @grace7550if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구구절절 옳은말씀!!

  • @JustinSH
    @JustinS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runweightcdw
    @runweightcd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경제활동가능인구의 절반이상이 백수이고. 일하는 50프로의 절반 즉 25프로가 자영업자인데 평균 빚이 1억~3억.

  • @JHJ510
    @JHJ51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좋은 참고로 합니다 ^___^

  • @user-jp8ck8br4z
    @user-jp8ck8br4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18년차입니다. 세후 300받습니다. ㅎ

  • @junilpark4364
    @junilpark436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쓰레기같은 드라마들이 가스라이팅해서 그래요. 빈곤층 하층민이라고 주장하는 주인공 집이 30평, 50평을 훌쩍 넘고 맨날 스타벅스 들고 댕기니....

    • @jongwookchoi7582
      @jongwookchoi758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거엔 전원일기, 한지붕세가족, 보통사람들 뭐 이런 서민드라마가 주류였는데....언제부턴가 재벌나오는 막장드라마가 주류로 바뀌었슴.
      작가층인 여자들이 본인의 판타지에 기본해서 각본 씀. 그래야 주 시청층인 여자시청자 끌어모음.

  • @user-vo3jy1bn4l
    @user-vo3jy1bn4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거 보니 돈은 많이 버는것보다 잘 쓰는게 중요한듯 10년이상 연8천 이상은 번거 같은데 원룸에 바이크 타고 다님 코인하다 날리고 주식하다 날리고 코로나전에 숙박업 하다 망하고 가늘고 길게 가는게 중요함

  • @user-qj5rw4xe5n
    @user-qj5rw4xe5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오늘도 감사한 마음으로 살겠습니다

  • @user-wngpwlscjswoek
    @user-wngpwlscjswoe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이걸보니 얼마나 부동산이 터무니없는 가격인지 더 확 와닿네요 이러니 젊은세대가 결혼과 출산을 안할수밖에요

    • @user-no6yg9oy7j
      @user-no6yg9oy7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ㅠ7. , ㅊ , ,,, ,,

    • @jainlee8896
      @jainlee889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뭔소린지..ㅎㅎ

    • @user-ye9fu4ue2p
      @user-ye9fu4ue2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뭐만하면 부동산 타령하노. 무조건 비싸고 신축인 아파트 가야한다는게 이미 평균 올려치는거라는 생각 안듦? 소득에 맞게 살면 되는거지. 옛날에는 주택 살아도 왜 애 잘 놓고 결혼 잘했음?? 여자들 허영심 때문에 나락으로 간다 ㅋㅋ

    • @kfjdjdkfj6786
      @kfjdjdkfj678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user-ye9fu4ue2p그래서 같은지역 구축은 똥값임??

    • @yjhong3311
      @yjhong331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본인 수준에 안맞는 집을 사려고 하니까 결혼을 못하는거지 ㅋㅋ 서울도 저렴한데 많다

  • @user-xt5py9ek8z
    @user-xt5py9ek8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멋진 분을 알게되서 기쁩니다. 자주 방문하겠습니다.

  • @user-jr2bd2by5b
    @user-jr2bd2by5b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직장생활11-13년..과차장급 정도되면 월500이군요. 이게 맞는거같습니다. PS,PI에서 큰 차이가 벌어지죠.

    • @hnai1479
      @hnai147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세전이겠죠?

    • @user-zc7ho3gd5d
      @user-zc7ho3gd5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hnai1479아마도 그렇겠죠??

    • @user-we1nz8es6g
      @user-we1nz8es6g 26 วันที่ผ่านมา

      @@hnai1479 모든 월급은 세전으로 말하는겁니다. 공제는 개인마다 다 달라서 세전 수입으로 말하는게 맞아요.

  • @user-jn7ck5jt1n
    @user-jn7ck5jt1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연소득 5억~10억 이하가 0.65%가 아니고 0.065%가 아닐까요?
    2억~3억 이하가 0.46%이고 3억~5억 이하가 0.18%이지만 10억 초과가 0.02%밖에 안되어서, 소득의 흐름으로 볼 때 3억~5억 이하보다 많이 적을 것 같네요.

    • @user-jr3tv9kg4s
      @user-jr3tv9kg4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소득 = 매출 .순이익이 아니란 말씀 뇌피셜입니다

    • @sang-junlee6561
      @sang-junlee656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한민국 의사 수를 생각해 보십시요.

  • @user-os1yk3sp9p
    @user-os1yk3sp9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문제는 일반적인 월급쟁이로는 계급변화는 불가능하고 가장으로써 집한채 가지려는 것도 어렵게 만든 사회구조로 기성세대 기득권들이 이런게 당연한것처럼 말하는것도 아닌것 같아요

    • @superdriftify
      @superdriftif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주택 소유가 30% 밖에 안된다고 하지 않습니까? 모든 가장이 집을 갖고 싶어 하는데 그렇게 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뭘 자꾸 정부, 사회 탓을 합니까. 상위 30프로 가 주택 소유면 일반 월급쟁이 가장이 집을 못갖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닌가요?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p님 말씀에 깊이 공감합니다.

    • @eos71
      @eos7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superdriftify 정부 사회탓이 맞으니까 그렇지
      개인탓이 아니잖아.

    • @karthus5955
      @karthus595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superdriftify 뭔 소리하는거임?
      그런 사회경제구조가 넌 정상으로 보인다는거냐?

    • @superdriftify
      @superdriftif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karthus5955 본인이 인생을 살아 봤잖아. 그럼 개나소나 아무직장 다니고 10년 20년 쯤 지나면 다 집갖는게 정상이냐? 사람이 재능이며 성향이며 능력이며 노력하는 정도가 다 다른데 어떻게 똑같이 살아 말이 되는 소리를 해. 그럼 애들 공부를 뭐하러 시키며, 왜 의대 보낼려고 하고, 인간들이 왜 허세에 빠져 살겠냐? 더 잘하려고 노력하고, 주제에 맞게 살고 삶에 목표가 있다면 그것을 이룰려고 노력하며 살아도 이룰까 말까야. 정신차려라. 무슨 나라에서 임대주택 지어서 공짜로 받을 생각하지 말고. 그렇게 좋으면 공산당 하면된는데 지금 중국 꼴 봐라.

  • @goman13
    @goman1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비교대상이 없어져야 정말 내가 부족한지 충분한지 알게 되더군요.
    물질적인 기준으로 보면, 서울에서 10억 넘게 있어도 마냥 서민이었다면,
    코시국에 폭망해서 시골 내려와서 1억짜리 작은 아파트 하나인데,
    몇십배는 행복하고 부족하지도 않습니다.
    돈을 벌때도 쓸때도 오롯이 나를 위한 나로 인한 모든걸 만족하거든요.
    단순히 커피를 마셔도 일하다 가벼운 연 그냥 옆에 있으니 같이 마시는것과
    나를 보러와서 같이 마시는거랑 다르듯.. 그 커피값은 똑같은데 만족감이 다르더라구요.

  • @user-iq1nv2qq7e
    @user-iq1nv2qq7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남들과 비교하는 순간 행복은 멀어집니다. 주머니 사정이 좋지않아도 내가 건강하고 마음편히 즐게 사는게 사는이유 아닌가

  • @kaizz80
    @kaizz8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이것이 현실인데, SNS나 여러 매체에 비춰지는 평균 올려치기의 세태가 여전한게 문제이고
    또 하나는 그런 잘못된 통계에 무지성으로 휘둘리는 우매한 국평오들의 문제이다.. 그들부터 바뀌어야 비로소 이 팩트가 제대로 받아들여지는 사회분위기가 될듯.

    • @user-yt7rs2gm6d
      @user-yt7rs2gm6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수다 나오던 시절 부터 문제가 대두되긴 했지만 SNS이전에 여자들이 이미 180이하는 루저라느니 남자는 500 이 기본이라느니 하면서 이미 지들이 올려치기 가스라이팅 겁나 해놨음 당시 분위기가 여자한테 하나 하나 꼬치 꼬치 따지고 들거나 더치페이 이야기 했다간 남자들 끼리도 남자답지 못한 찌질이 취급받던시절이라 지금처럼 남자들이 대놓고 나서질 못했음 그게 지금 까지 곪아 터진거고
      SNS나 허영심 사치는 부차적인 그냥 결과일 뿐임 SNS 없던 시절에도 당시 된장녀 라는 말이 유행어 였음 허영심 강하고 사치하는 여자들을 일컫는 말이었음

  • @user-lk9cs8jw7e
    @user-lk9cs8jw7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세전 세후를 물어보는 사람이 좀 있는데. 정부,국가단위의 모든 통계자료는 세전으로 통계를 냄.
    세금은 개인마다 다 다르기때문에 모두 세전으로 통계를 낸다는듯.

  • @dhchoi4557
    @dhchoi455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평균 수입보고 놀랐던 기억이 ㅋㅋㅋ
    얼마 벌지도 못하는게 집값은 왜 그렇게 높은지 점점 살기 힘들어 질 수 밖에

  • @user-yi9bz6bz2x
    @user-yi9bz6bz2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손웅정옹은 기준점이 높다기 보단 자식이 겸손했으면 해서 저러신거 같음
    솔직히 손흥민 지금과 같은 이성도 다 아버지의 가르침 아닌가 싶음

  • @bnn994
    @bnn99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살아가는데 가장중요시 여기는게 집인데 맞벌이 대기업다니는게 아니면 30평대 아파트는 꿈도 못꾸는게 현실이다 보니 중위소득 중산층이어도 삶이 팍팍해짐ㅠ.

    • @rachelkim4361
      @rachelkim436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도처에 널린게 30평 아파트에요 ㅋㅋ 살고싶은 30평 아파트가 아니라 그러지 ㅋㅋ

    • @cwm6352
      @cwm635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죄앙 찍었으면 아갈닥

    • @user-zl5wm7il3p
      @user-zl5wm7il3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rachelkim4361옳은 말씀이십니다...

    • @user-st9co6pc3y
      @user-st9co6pc3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수도권사는거아니면 30평 아파트가 꿈도못꿀정돈 아닐걸요

    • @user-hsk1593
      @user-hsk159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수도권 신축 30평대만 찾으신건 아닐지요?

  • @user-jd4ro5ed5l
    @user-jd4ro5ed5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우연히 봅니다.
    소득만으로 볼 때는 고소득층,중간소득층.저소득층 이라 칭하는게ᆢ
    중산층이란, 문화소비수준, 지식 교육수준, 소득 재산수준을 합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 @hoooouuu
    @hoooouuu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근데 근로자평균소득 320도 좀 더 세분화해서 20대 평균소득, 30대 평균소득 이런 식으로 나눠야 좀 더 의미 있지 않을까싶음
    Sns의 발달로 남과 급여 비교를 하는 대상은 2,30대 비율이 높을테니 그 대상들에게 현실 급여는 이정도라는걸 말해주려면 결국엔 같은 나이대 급여를 말해줘야함

  • @galaxychoi337
    @galaxychoi33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평균 올려치기가 너무 심하다보니 다들 자괴감에 빠지는 것 같아요. 월급도 그렇지만 자산도 그렇습니다. 서울 아파트소유가 평균이라고 다들 생각 하시는듯 합니다. 서울에서도 중상지역이상 아파트를 기본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결혼도 힘들고 다들 우울해지는것 같아요.

  • @user-cp7dh3nz4l
    @user-cp7dh3nz4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말을 잘못했네요 oecd기준은 왼쪽으로는 덜가고 오른쪽으로만 더갑니다
    즉 중위값에서 왼쪽으로 25% 오른쪽으로 100%(말한것처럼 왼쪽으로 75% 오른쪽으로 75%가 아님)

  •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중위소득의 50~150%면 사실상 식당 종업원도 중산층이군요
    스스로는 서민 중에서도 최약의 서민으로 여기지만..

  • @KAMI75785
    @KAMI7578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사람들이 기준점을 너무 높게 잡고 있네요
    실제 국민의 80퍼가 2천~6천인데
    우린 4천~8천이라 생각하는게 함정

  • @user-fj2vm4ul8t
    @user-fj2vm4ul8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물가상승률하고도 비교하고 집값하고도 비교해줘야함
    둘 다 필수재이기 때문에

  • @HappyUnderBoss
    @HappyUnderBos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잘 보고 갑니다! 이게 현실이군요..

  • @user-yw9bu7rx2c
    @user-yw9bu7rx2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대한민국 근로자중
    80퍼가 중소 (자회사 포함)
    10퍼가 공무원, 공기업
    10퍼센트가 중견 대기업정도 아닌가?
    근데 이마저도 계약직 무기계약직까지 포함임
    대기업 정규직은 극소수일듯

    • @user-su5fz9to3p
      @user-su5fz9to3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부모님 LGCNS SKCNC 20년 근무하고 퇴직. 동생도 양제동에 삼성전자 개발자로 재직중 친척들 대부분 대기업 다님. 결론 끼리끼리다

    • @user-ov9bq9uh7l
      @user-ov9bq9uh7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su5fz9to3p저 말이 뭔말인지도 이해못하는거보니깐 넌 별로 볼품없을듯ㅋㅋㅋㅋ 남들 근무지 그렇게 막 까는거 아냐 잼민아ㅜㅜㅜㅜ개념 좀 챙기렴

  • @nmjsup6970
    @nmjsup697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2

    많이 받는것도 중요하지만
    소비 후 순자산이 중요한거죠

    • @topjjjjang1989
      @topjjjjang198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 말씀이 정답인거죠.

    • @user-tu5mq2od6e
      @user-tu5mq2od6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말도 안되는 소리. 후자는 아끼면 희망이 있지만 전자는 희망 자체가 없음

    • @Unknown_man84
      @Unknown_man8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많이 받아야 순자산도 많이 남길 수 있는건데

    • @user-rx7ws5ns3t
      @user-rx7ws5ns3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남들과 비교하며 남들도 이만큼 벌면 이만큼은 쓰던데 하면서 소비가 커지고 결국 더 쓰긴하죠

    • @user-tu5mq2od6e
      @user-tu5mq2od6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rx7ws5ns3t 아낀다는 선택지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인생은 격차가 큽니다

  • @ChungJinHyung
    @ChungJinHyun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체 인구를 기준으로 한 통계일까요? 아니면 근로가능 인구를 기준으로한 통계일까요?

  • @user-iq6he5xc3l
    @user-iq6he5xc3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물가는 코로나이전에비해 두배 올랐는데, 들어오는돈은 그대로다. 직장인들이 하향 평준화되고있고 그지로 변신 중이다.

  • @centurionkwk
    @centurionkw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SNS 가 온세상에 끼치는 해악이 너무 크다. 정말 문제가 심각해.

  • @user-zj8sm3kx9s
    @user-zj8sm3kx9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ㅋㅋㅋㅋ 웃기는건 소득기준이라 주5일 40시간근무자와 2조2교대 3조 2교대 등등 교대근무나 기본 8시간~10시간 근무하는 중소기업 근무자들도 다포함이라 실질적으로 주5일 주40시간 근무자 평균 월급으로 하면 실수령액기준 250도 안나옴 ㅋㅋㅋ

    • @kimys5736
      @kimys573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아요. 절대적으로 40시간을 놓고 비교하면 평균월급이 320이 안나오죠. 어차피 통계는 참고만 하는거죠머 같은 회사에서도 OT수당을 얼마 받냐에 따라 월급이 백단위로 차이나는데...

    • @user-mi6ps1fc5r
      @user-mi6ps1fc5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에효..우물안 개구리님들...

    • @elroha_
      @elroha_ 4 วันที่ผ่านมา

      투잡하고 월 400이라는 사람도 많음

  • @oe44oe44
    @oe44oe4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인식이 변할필요가 있습니다
    예로 화장실가서 옆을보면 다른사람께 커보입니다
    그래서 주춤하죠
    근데 상대방도 내껄보고 똑같이 크다고 생각을 합니다
    남에 떡이 커보일뿐입니다
    우리삶은 살만한겁니다
    결코 작지않아ㅎㅎ

  • @user-xu2ub8st8l
    @user-xu2ub8st8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SNS를 안하는 이유지 그걸안하면 불필요한 감정소비와 에너지를 줄일수있지 행복지수가 올라감

    • @alan-mi5uy
      @alan-mi5u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히려 sns로 돈벌수 있는 연구를 해보세요...외면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을 타야 돈법니다..

    • @user-jt8sc9xd5t
      @user-jt8sc9xd5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lan-mi5uy 광고하지마라

  • @seegook
    @seegoo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는 30대초반 남자이고 주변 남자인 친구 지인, 선후배 동료들 전문대, 경기권 평범한 4년제 대졸, 자격증 여러개 딴 고졸이 80%인데 월 학력과 직업에 따라서 240~300받음(세전)
    가끔 만나거나 자주노는 친구들 다 포함 12명정도인데
    세후 300 넘게 받는 애가 딱 3명 있음. 그 마저도 평범한 직장인은 아님 프리랜서, 기술직, 개인사업자..
    근데 인터넷 보면 죄다 세후 400~500인데 대기업다니는 사람만 인터넷하나? 이런생각듦 대기업 중에서도 5~7년차 정도는 되야 할 듯

  • @mrmr7415
    @mrmr741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뉴스에서 전달하는 소수의 부자와 다수 사이의 양극화를 무시하는 전체도 아닌 대기업 대졸자 기준 평균의 함정.
    요즘은 SNS 자랑질 때문에 그 평균이 진짜 전체 평균인 것 같고, 심지어 주변인들도 월급 수준으로는 안되는 고급차, 골프여행, 호텔빙수 나만 패배자인가 싶고 우울해지고 상대적 불행에 빠지는 거지요.

  • @workwillof
    @workwillo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먹고살기위해 일해야하면 서민 아니라면 중산층이라고 본다
    한달에 200으로 먹고사는 사람도 있고 한달에 500이 있어야 생활이 가능한 사람도 있으니 일률적으로 버는돈으로 나누기는 힘들다고 생각함
    그리고 부자는 얼마를 가지고 있느냐가 아니라 얼마를 쓸수있느냐가 기준이 되어야한다고 봄
    수십억이 있다고해도 맨션에 살면서 월100만원으로 먹고산다면 그게 부자이냐하는거지 그냥 돈많은 거지지

    • @jemin098
      @jemin09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먹고살기위해 일을 안해도 되면 그게 중산층이라고? 개소리하고 있네
      근로소득으로 생계를 안이어도 되는데 어떻게 중간층이냐 상류층이지

  • @user-fm8bn2in7i
    @user-fm8bn2in7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 수많은 중산층들은 본인들이 낮은 층이라서 여러가지를 많이 타협하고 산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중산층이라고 제대로 인식하게 되면 사회에 대한 불만이 증폭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나라에서 중산층인데 물가가 이러니까 할 수 있는게 없네? 이런식으로요. 아마 그 점 때문에 이런 문화가 유지되고 있는게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