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과 대기업 취업 Q&A TOP5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1 ม.ค.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0

  • @gnade-d3e
    @gnade-d3e ปีที่แล้ว +21

    석유화학은 진짜 공정 관리도 어렵지만 오퍼레이터 생산직 관리하기는 더욱 어렵다. 특히 여수 산단 대다수 대기업은 엔지니어 4년제 대졸 화공과보다 오퍼레이터들 교육을 체계적으로 가르쳐서 더 똑똑하다. 그리고 버티는 게 힘들다. 석유화학 4년제 대졸로 갈거면 자기 성격이 내성적이고 혼자 일하는 거 좋아하면 절대 가지마라. 1년이내 퇴사 확률 10명중 7명 이상이다. 활발한 성격도 못 잘 못버틴다. 왜냐하면 지역 텃세가 이거 장난아니다. 전남에서 여수 아니면 목포는 진짜 타 지역 사람들 버티기 힘들다. 나도 2년이상 지나서 버티다가 건강 안좋아져서 옮기고 다른 계열사에서 2년 정도 썩고 해서 결국 나왔다. 회식도 월화수목금 다 한다. 나 때는 그랬다. 지식이나 아는 걸로 들이 밀어야 인정해주고 같이 데려간다. 학벌도 중요하다. 특히 여수 석유단지는 전남대 한양대들 다 잡고 있고, gs칼텍스 e1 여수 산단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전남대 한양대 커트라인이다. 나머지는 부장급에서 퇴직한다고 보면된다. 아니면 진짜 극 인싸로 노조와 친해야 되고 자기 간을 빼야 된다. 석유화학 생산관리는 진짜 힘들다. 학교에서 배우는 단위조작 1쪽부터 끝 페이지까지 다 쓰인다고 보면 되고 화공열역학 이동현상 양론 대학교에서 배운거 심화적으로 들어가야 한다. 끊임없이 공부해야하고 경력 쌓아봐야 갈 곳도 없다. 어차피 공정 다르면 써먹을 수도 없다.

  • @SoAnBi
    @SoAnBi ปีที่แล้ว +9

    ㅋㅋㅋㅋ 도움 많이 됩니다 용짱님..
    토익 컴활 쇼츠에서 욕 드시는 거 보고 마음 아팠어요..
    물론 그들의 입장처럼 뭘 준비하든 필요 없는건 세상에 없이 경험이 된다 하지만, 용짱님 입장에서는 취업 관문에서 필요 없다는 것을 피력하셨는데도..
    사람들은 공대 입장에서의 취업 생각을 안 하고 말을 해서... 힘내십쇼 언제나 응원하고 정말 아무도 없는데 조언 많이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 @yongjjang_cheerup
      @yongjjang_cheerup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ㅎㅎ 욕먹는 거는 제가 조회수 때문에 제목을 자극적으로 써서 그런거 같아요ㅋㅋㅋ 응원 감사합니다

  • @hi-roong
    @hi-roon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화공 출신으로서 4년 진짜 힘들었다.. 그냥 취업만 잘된다고 전화기 선택하는 사람들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길 바람. 어마어마한 공부량, 각종 설계, 실험 레포트, 뭐라고 써있는지 알수도 없는 역학 원서를 잡고 학기 내내 도서관에서만 살았었다. 실험 결과 오차율이 20000% 나온 날은 조교한테 털리고 밤새 재실험하고 다음날 시험본적도 있었지.. 물론 취업은 원서 넣는대로 다 붙어서 지금은 석화사 들어와서 다른 친구들에 비해 돈은 많이 받긴 함 ㅋㅋ

    • @10yuxx
      @10yux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헐 역학원서….. 물리 내신시험 점수는 잘 받지만 흥미는 없는데 화공과 들어가면 힘들까요? 화학은 좀 좋아하는데 취업만 보고 들어가려는 거고 흥미는 딱히 없어서…

    • @hi-roong
      @hi-roon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0yuxx 물리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고 공부할줄 안다면 전화기 어느 학과나 가도 잘 적응 할겁니다. 흥미가 없지만 막연히 화공 가야지~ 하고 오면 힘들 수 도 있어요. 화학공학이라는 학문은 화학 반응 그 자체의 물리화학적, 열역학적 특성과 그러한 화학 반응, 물질들의 덩어리인 유체역학을 활용해 어떻게 하면 화학물질을 싼값에 대량생산할지를 공부하는 학문입니다. 더 나아가 고학년이 되어서 반응공학, 물질전달, 분리공정 등을 공부하면서 느낀점은 화공은 화학반응의 물리학을 수학으로 풀이해야 비로소 이해가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 @10yuxx
      @10yux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i-roong 와…ㅜㅜ 화학만 잘해서 될 게 아니라 물리랑 수학도 열심히 공부해야겠네요 힘들기는 해도 화공과 너무 멋진 거 같아요!!!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 @hi-roong
      @hi-roon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0yuxx 화이팅~~!

    • @qasfasf8850
      @qasfasf885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i-roong 대학생활도하고 취업도 해보셧다길래 궁금해서 여쭤보는데
      만약에 개인사정으로 일하다가 20대 후반인 28~29때 학교가서 33쯤에 졸업하게되도 취업 가능할까용....?

  • @인기숏
    @인기숏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산업안전기사 요즘에 공대생이면 다 있더라구요 ㅋㅋ 이제 필수가 되어버린... 따기 쉽고 공부하기 쉽고..

  • @gnade-d3e
    @gnade-d3e ปีที่แล้ว +9

    그리고 엘지화학 석유화학단지는 일본기술이 70%이상이므로 영어보다 일본어 잘하는 게 유리하다. 대산석화나 울산석화는 모르겠는데 일본합작회사가 많다. 여수에는. 영어보다 일본어를 알아야 일본 기술진들과 대화도 된다. 어차피 일본 기술진들은 영어도 잘 모르기 때문이다. 영어는 스펙용으로만 점수 취득하고 오퍼레이터한테 끊임없이 배워가면서 생활하고 일본어 마스터하면 유리하다,

  • @oi1073
    @oi1073 ปีที่แล้ว

    전자책 오매불망 기다리고 있어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yongjjang_cheerup
      @yongjjang_cheerup  ปีที่แล้ว

      아 바로 보내드릴게요ㅋㅋ 이메일 주소 infpwinner@naver.com 로 한 번 더 남겨주세요

  • @아이이잉아아앙
    @아이이잉아아앙 ปีที่แล้ว +6

    촉매분야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최호재-u6o
    @최호재-u6o ปีที่แล้ว +2

    영상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충남대 화공과 학생인데 지역은 신경안쓰고있습니다(지방출신이기도 하고...)한국화학공학협회 공모전 2회 참가하고 관련학연생 준비중입니다. 정통석화쪽을 가는데 학벌이 문제가 될까요? 용짱님 의견부탁드립니다!

    • @aru8690
      @aru8690 ปีที่แล้ว +1

      지나가던 화공 졸업 석화관련 직장입니다. 석화는 지방(현장 기준)인 만큼 로컬 대학을 선호하는 경향이 실제로 많이 있습니다. 충남대 이시라면 서산 석화에 지원하신다면 이점이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 @소망-v7z
    @소망-v7z ปีที่แล้ว +4

    용짱님 제가 이번 수능을 보고 취업생각이 많아서 고민입니다 중앙 경희 화학과가 괜찮을까요 아니면 건대 화공이 괜찮을까요 화학과를 가려면 일단 대학원은 필수인 것 같고 그렇다고 화공을 가자니 대학 급 차이가 있는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 @yongjjang_cheerup
      @yongjjang_cheerup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중앙대 화학을 진학한 뒤, 복전이나 전과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

    • @2BeABetterMan
      @2BeABetterMan ปีที่แล้ว +3

      중앙대 화공생인데, 중앙대 복전 쉽습니다. 중대 무조건 ㄱ

    • @ajacna9200
      @ajacna920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BeABetterMan중앙대 화공과 랑 융합공학부-나노바이오학과
      어디가 더 취업에 좋을까요? 신설학과라서 후자가 더 좋을까요?
      추가로 스타트업 창업 하기에는 어디가 더 좋을까요?

    • @2BeABetterMan
      @2BeABetter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jacna9200 사실 취업률은 비슷합니다. 갠적인 생각으론 폭이 다르다고 생각해요. 화학공학은 굉장히 넓은 범위를 배우기 때문에, 본인의 선택범위에 따라 갈 수 있는곳은 많습니다. 반대로, 융공또한 선택의 폭이 좁은건 아닙니다만 화공보단 좁습니다. 따라서, 만약 본인의 진로가 확정을 내린것이 아니라면 화공을 갠적응로 추천드리고 관심있는 분야를 깊게 파는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 @2BeABetterMan
      @2BeABetter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jacna9200 창업에 대해서 말하자면, 창업은 학과랑 관계가 적습니다. 왜냐하면 대학은 창업을 위한기관이 아니기 때문이죠. 대학은 그저 좋은 회사에 최업시키기 위한 부속적인 기관일 뿐입니다. 무슨 말인즉 하면 창업은 대학과 관계없이 본인이 정말 관심있는 분야를 파면서 느끼게 되는 현생활의 불편함을 인지하고, 이를 사람들의 니즈에 맞추어서 파는것입니다. 따라서, 과에 무관하게 본인이 좋아할만한 곳을 가세요. 그런면에서도 폭이 넓은 화공을 추천드립니다.

  • @Hoho-ut1wf
    @Hoho-ut1wf ปีที่แล้ว +3

    반도체,배터리 분야에서 r&d 말고는 어떤 직무가 있나요?

  • @너에게난무슨의미
    @너에게난무슨의미 ปีที่แล้ว +2

    반도체쪽 갈려고 하는데 컴활이랑파이썬쪽 자격증 둘다 따면 좋죠??

    • @yongjjang_cheerup
      @yongjjang_cheerup  ปีที่แล้ว

      파이썬 자격증이 훨씬 도움 많이 됩니다. 컴활은 굳이 안따셔도 돼요(대기업 기준)

  • @onekiss4662
    @onekiss466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하 진짜 공기업이 합격만하면 인생 편히갈수도있고 책임이나 업무강도면에서도 다른 직군에 비해서 좀 덜하고 그냥 무난하면서도 워라벨 지킬수있는 곳인듯ㅜㅜ

    • @vLYCOSv
      @vLYCOSv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근데 그만큼 화공과 나와서 이 짓을 왜 하고 있나 라는 생각이 드실 수도 있고, 돈이 그만큼 엄청 적어요... 동기들이랑 연봉 보면 멘붕 오실텐데 잘 생각하시길.

  • @브리또-z2r
    @브리또-z2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화학공학과 가 반도체나 베터리로 취업이되는건가요? 몰랐네요 전기전자나 반도체학과만 반도체회사 취업되는줄 알았어오. 화학공학과는 비료회사 엘지화학만 생각했네요

    • @lifeisshort99
      @lifeisshort9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화공하고 반도체 32년 하다 은퇴.

    • @user-ck6zi9gk5i
      @user-ck6zi9gk5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배터리는 화공이 메인이죠

  • @현명한-n5f
    @현명한-n5f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화공 고분자바이오소재 전공이고 올해 봄 졸업 후 취업준비중인 여성입니다. 하반기 공채 지원을 할려고 하는데 제 전공으로 어떤 기업에 지원할수있나요? 또 부서는 구매팀, 품질팀 외 어느쪽으로 지원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고분자바이오는 지금 당장은 취업대신 석사과정을 거친 후 기업 연구쪽으로 지원하는게 좋을까요?

  • @윤태건-b7f
    @윤태건-b7f ปีที่แล้ว +1

    울산쪽에 많이 있는 케미칼 분야도 석유화학이라 봐야하나요?

  • @Name_handle03
    @Name_handle0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연세대 화공생 신입생인데 정유사 취업 1순위 목표로 화공왔습니다
    당연히 1학년부터 각잡고 고3처럼 공부해서 학점을 챙기려곤 하는데 요즘 취업이 예전같이 않다 하고
    spk학부에 밀리진 않을지 정유사가 제가 취업한 뒤로는 지금보다 많이 상황이 나빠지진 않을지 걱정이됩니다...그냥 석사까지 하고 반도체 쪽으로 눈을 돌려야하나 싶기도 하구요...괜히 주저리주저리 쓰게 됬는데 혹시 제 상황에 조언해주신다면 경청하겠습니다...!

    • @yongjjang_cheerup
      @yongjjang_cheeru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23년 기준으로 연세대면 정유사 취업 학벌로는 밀리지 않습니다, 화공기사 따시고 아스펜 하이시스 경험 하시고 학점관리하시면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 @Name_handle03
      @Name_handle0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yongjjang_cheerup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4년제 대졸은 정유사 취직하면 서울:울산 등 지방 어느정도 비율로 가는지 아시나요??

    • @IlIlIllIIllI
      @IlIlIllIIll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ame_handle03생관이면 무조건 울산(Sk, Soil), 여수(쥐칼), 서산(현오뱅, 한화토탈)이고, 그게 싫으면 영업이나, 트레이딩 같은 문과쪽 직무 준비하셔야죠.

  • @Smile_2947
    @Smile_294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화공과인데 반도체 관련 학과로 복전하는것은 어떤가요?

    • @lifeisshort99
      @lifeisshort9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반도체 공장에서는 화공이 최고입니다

  • @공주-g7k
    @공주-g7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화공 준비하는 고1 학생이에요.. 사실 아직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아서요.. 일단 그쪽으로 학종 준비하고는 있는데 만약 학교 들어갔다가 이 분야가 나와 맞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면 어떡하나요??

    • @YejinKim-ue1ig
      @YejinKim-ue1ig 22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때가서 학과 바꾸면 되죠 그리고 아직 고1이면 학년 오르면서 지망이 바뀔 수도 있어요 일단은 생기부 최대한 채우고, 바뀌면 왜 바뀌었는지 스토리를 생기부에 잘 녹여내면 오히려 좋습니다. 너무 화공에 집중하기보단 다른 곳으로 흘러갈 수 있는 틈도 조금씩 만들어놓으시길 추천해요

    • @허휘우학생화학공학
      @허휘우학생화학공학 16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안녕하세요,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4학년입니다. 화공은 다른 학과들 대비 다루는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분야가 본인과 맞지 않았을 때의 리스크는 타 학과 대비 매우 낮은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화학공학과에서 다루는 분야는 매우 다양하지만 정리해보면, 배터리-반도체-석유화학-정유-바이오(메인학과는 약학, 화학, 생명공학)-공정 이런 식으로 굉장히 다양한데 저 밑으로 사실 섬유, 안료, 소재, 철강 등 매우 많습니다. 잘 준비하셨으면 좋겠습니가!

  • @river2082
    @river2082 ปีที่แล้ว

    저는 반도체 로 취준을 하고싶은데 경력 인턴 경험이 오토에버 네비게이션 회사 랑 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품질 있는대 ㅠ
    기입 하지 않는게 좋을까요 ??

  • @최진욱-l8k
    @최진욱-l8k ปีที่แล้ว +1

    혹시 용짱님 창원대 스마트그린 화공학부 전공과목이 대기업취업을 목표로 할때 괜찮나요?? 저한테 중요한결정이라서요... 확인한번만 부탁드립니다!!

  • @22학번
    @22학번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교대를 죽어도 하기싫다하면 반도체 가면 안되나요?

  • @약법돌이
    @약법돌이 ปีที่แล้ว +1

    석화(정유x) 언급이 적은데, 석화(정유x)의 미래는 어둡다고 보시나요??

    • @yongjjang_cheerup
      @yongjjang_cheerup  ปีที่แล้ว +1

      지방 근무의 단점이 크다고 생각하고, 석화 비즈니스도 esg로 변경된다는 점에서 언급된 산업군에 비해 덜 추천드리는 것이 제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 @약법돌이
      @약법돌이 ปีที่แล้ว

      @@yongjjang_cheerup 답변 감사합니다 !!!

  • @경고희려
    @경고희려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용짱님 저는 중경외시 라인 생명과학대학을 다니고 있는 2학년 학생입니다. 원래부터 플랜트 엔지니어링에 관심이 있어 입학후 전과를 시도했지만 실패하게 되었습니다. 아직도 플랜트 엔지니어로서의 꿈은 유효하여 화공으로 복전이라도 해야하나라는 고민을 하고 있었습니다. 복전만으로도 삼엔 현엔 지에스 디엘엔씨와 같은 대기업에 취업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복전후 대학원으로 가 석사로 취직을 노려야 할까요?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 @잠보-r2b
      @잠보-r2b ปีที่แล้ว

      저도 경희대 생명과학대학 나와서 동일한 고민 했었는데 비슷한 분이 계시네요 ㅋㅋㅋ
      저는 그냥 화공 복전하고 학점, 관련분야 열심히 준비했어요
      말씀하신 기업들은 아니지만 플랜트 공정설계직무로 대기업 취업했습니다
      제가 취업한거 보면 가능은 한거 같으니 꼭 뜻이 있으시면 복전도 나쁘지 않다 봅니다

    • @aru8690
      @aru8690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기업 중에 다니는 재직자입니다. 동기 중에 생명공학 나와서 화공 복전하고 공정설계팀 온 친구가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 @두현박
    @두현박 ปีที่แล้ว +4

    화공과학생입니다
    이차전지 융합전공을 저희 학교에서 실행하고 있는데 하는게 좋을까요?

    • @yongjjang_cheerup
      @yongjjang_cheerup  ปีที่แล้ว +1

      LG에너지솔루션에 합격하는 게 목표라면 하십쇼, 그런데 GS칼텍스에 가는 게 목표라면 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무엇을 원하시나요?

    • @두현박
      @두현박 ปีที่แล้ว

      @@yongjjang_cheerup 답변 감사합니다

    • @Ckkd-d1g
      @Ckkd-d1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두현박어떤학교에요?

  • @yoojongwon7
    @yoojongwon7 ปีที่แล้ว +3

    제가 고등학생때 공부를 안해서 대학교 공부량을 못따라갈까요?
    이번에 한남대 화공과 붙었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ㅠㅠ

  • @김호성-b6z
    @김호성-b6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화공과가. 무슨. 반도체. 바이오 ????? 😂 잘 모르면. 방송하지 마시지. .

    • @아스피린김
      @아스피린김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화공과에서는 화공빼고다배운다라고 누가 말했듯이 진로가다양함

    • @JJ-jn7rs
      @JJ-jn7r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반도체는 포지션이 적긴하지만
      포토,식각,증착에서 뽑고
      디스플레이도 반도체랑 결이같고
      생명화공이면 바이오도 뽑고 제약도 갑니다만...
      용짱님 잘하시는데
      근거도 없이 무조건 비판하실꺼면
      보지마세요--

    • @IlIlIllIIllI
      @IlIlIllIIll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반도체는 포토,에칭,클리닝에서 많이 쓰고, 바이오도 공정쪽으로 가면 뽑긴 뽑는구만 ㅋㅋㅋ 너야말로 모르면 아가리 싸물고 계세요

    • @감사합니다-b3q
      @감사합니다-b3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잘모시는가본데 반도체에 화공과 출신들 많습니다. 대략 전기전자 40%, 재료/신소재 25%, 화공 20%, 컴공 10%, 기계 5%, 산공 5% 정도입니다. 수학, 통계 등도 있습니다.

    • @IlIlIllIIllI
      @IlIlIllIIll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김호성-b6z 모르는건 아저씨같은데 ㅋㅋㅋ 반도체에 화공이 얼마나 많은데

  • @lifeisshort99
    @lifeisshort9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에서 최고인기인 전공이 한국에서 빛을 못보는 현실. ㅠㅠㅠ

  • @user-ws3tn8ce4t
    @user-ws3tn8ce4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전공고민중인 고등학생인데요
    그냥 세특이 공대에 맞춰져있어서 그냥 공대에 가는게 나을까요? 수학과랑 공대 복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하게 된다면 어떤 공대복전이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