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use the NVIDIA Control Panel G-SYNC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6 เม.ย. 2020
  • ENG
  • เกม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2K

  • @user-ep5rz7ny6m
    @user-ep5rz7ny6m 4 ปีที่แล้ว +3

    요즘에 보고 배우는게 많아서 구독하고 항상 잘 챙겨보겠습니다 😍

  • @dotheg8619
    @dotheg8619 4 ปีที่แล้ว +3

    늘 영상 잘 보구있습니다 ㅎㅎ 최저프레임이 한 게임에서 240이상 방어되면 그 게임에선 수직동기화 끄구 지싱크만 켜도 전혀상관없나요? fps유저인데 스톰님 영상을 2달째 보는데도 뭐가 젤 좋은지 아직도 헷갈립니다ㅠㅠ지싱크 수직동기화 다 키면 인풋렉이 생기는게 체감이 될정도인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240방어가 되고 온라인 게임에서 반응속도가 중요하다면 수직동기 끄는게 낫지만 gpu 사용률 99%를 안찍게 만들어야됩니다. 그리고 240이상 나와도 270쯤이라면 그냥 225-237 선에서 지싱크 돌리면서 쓰는게 낫습니다. 240hz라서 물어보시는거죠? 240hz 는 225이상 고정 프레임 방어되면 수직동기 켜도 차이 못느끼실껍니다

    • @user-zq4cw3jl8g
      @user-zq4cw3jl8g 4 ปีที่แล้ว

      리얼지싱크모니터이용중이고 모니터165헤르치이용중입니다 평균140-150프레임나오는데요 사람많은곳에선 100-110정도까지 프레임이 떨어집니다 게임은 배그하고있습니다 수직동기를켜고하는게 낫나요?끄는게낫나요? 수직동기를키면 마우스를 휙휙 돌렸을때 확실히 움직임이 부드러운게 느껴집니다 어떤게좋은지 추천부탁드립니다

  • @neukdae._.
    @neukdae._.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스톰튜브님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질문할게 있어서 댓글남깁니다.
    제가 외국 영상을 좀 봤는데 제 모니터는 뷰소닉 xg2401 144hz 입니다.
    지싱크를 키고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138fps 제한 걸어놓고
    수직동기 끄기 , 저지연모드 울트라 설정하면 인풋렉이 최고로 낮게 나온다던데
    위 설정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144fps 고정 시켜놓고 인게임 수직동기 끄기 , 저지연모드 켜기 사용하는게 나을까요?

  • @june6814
    @june6814 4 ปีที่แล้ว

    이거 지인들한테 설명해주느라 답답했는데 이렇게 다 정리해서 올려주시니 정말 좋네요. 구독 박고 갑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영상 한번 보라고 하세요 ㅋ 최대한 쉽게 설명드릴려고 해놨습니다

  • @korealore
    @korealore 4 ปีที่แล้ว +1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는 G SYNC 모니터가 아니라 저지연모드 관련 영상 다시 봐야겠네요.
    오늘도 좋아요로 시작합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지싱크 아닌 모니터는 온라인에 반릉성이 중요한게임만 gpu 사용률만 95%이하로 쓰시거나 모니터hz 안에서 쓰시는게 가장좋습니다 ㅡ.ㅡ/

  • @TyphoonWarning_
    @TyphoonWarning_ 4 ปีที่แล้ว +3

    형 이거 다시올린거야?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넵 중간에 그림이 문제가될만한거라서 교체하고 질문 가장 많이 나오는 3번항목에대한 자막추가했습니다 ㅡ.ㅡ/

  • @ragnerdrow676
    @ragnerdrow676 4 ปีที่แล้ว +2

    유익한 영상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보고 있습니다.제가 본게 맞다면 모니터가 60Hz에 지싱크를 지원하지 않는 모델인데 게임할때 수직동기화 옵션을 켜는 게 쾌적하겠죠?프레임도 60이하로 제한하는 게 맞을테구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60이면 정신건강상 수직동기켜고 60프레임 고정으로 쓰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간혹 움직임이 너무 무겁게 느껴지실때만 수직동기off

  • @swymaingmail
    @swymaingmail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설명 영상도 보고 아래 댓글들도 어느정도 찾아보고 질문 드립니다.
    LG OLED 55 C9 TV(120hz) + 지포스 3080 사용 예정입니다.
    저는 1프레임을 다투는 멀티 게임 보다는 싱글 게임만 하는 스타일 입니다.
    지싱크 활성화 기준으로 질문 드립니다.
    질문 1. 4k + 풀옵으로 요즘 나오는 패키지 게임들(사이버펑크2077, 어크 발할라 등등)은 120 프레임 방어가 3080으로도 불가능할텐데 그럼 수직 동기화가 설정 필요 없다는 말씀이시죠?
    (LG OLED 55 C9 TV가 최대 120hz 입니다.)
    질문 2. 지난 게임들 같은 경우는 4k + 풀옵 해도 120hz 넘어갈 수도 있으니 그럴때만 수직동기화 활성화 시켜주면 되는건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지싱크 호환 티비쓰시나보군요.
      1. 지싱크를 켜고 있다면 굳이 수직동기를 안키셔도 상관없습니다만. 화면 하단이 짤리는게 거슬리시면 같이 켜도 됩니다.
      2. 120fps를 넘어가지 못하는 기준 역시 지싱크가 켜져 있다면 수직동기는 부가적인 옵션의 설정일뿐입니다.
      지싱크가 이미 화면 부드러움에 90%이상 일을 하고 있습니다.

    • @swymaingmail
      @swymaingmail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답변 감사합니다^^

  • @blue5463
    @blue5463 3 ปีที่แล้ว

    정말 감사 합니다.오늘 모니터 괜찮은거 사서 지싱크 설명 해주신대로 수직동기화랑 프레임 제한 맞추니깐 아주 부드럽습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오우 축하드립니다! 드디어 제대로 쓰고 계시네요

  • @shootheadbro
    @shootheadbro 4 ปีที่แล้ว +1

    스톰님 한가지만 더여쭤볼게요.
    부드러운 화면이 좋아서
    1. 저지연모드만 '끄기' 로 설정
    2. 수직동기화 '빠르게'로 설정 후 저지연모드 '켜기' (울트라는 반응이 느리게 느껴져요)
    둘중에 하나만 골라서 쓸려고하는데 ,
    그나마 인풋렉이 덜먹는 설정이 어떤걸까요?
    지싱크 없는 모니터이며 평균프레임 150~400나옴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1번에서 자세하게 안적으셔서 비교가 불가능합니다. 수직동기 ON인지 끄기 인지

    • @shootheadbro
      @shootheadbro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1번에서 수직동기 '끄기' 후 저지연 '끄기' 입니다. 답변 부탁드릴게요!

  • @user-md5rx9oz7x
    @user-md5rx9oz7x 4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나중에 지싱크 모니터사용하게되면 영상 참고하겠습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나중에 모니터 구매하실때는 필수로 지싱크 호환이나 지싱크 모델로!!!!!!! ㅡ.ㅡ/

  • @user-xj5rv9rh9s
    @user-xj5rv9rh9s 4 ปีที่แล้ว +1

    스톰님 현재 사용하는 모니터가 비공식 지싱크 지원 모델인 것 같아서 지싱크 호환 표시기 설정을 키고 인게임에서 지싱크 기능이 활성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alt tab 후 다시 인게임으로 전환 할때마다 화면이 깜빡 거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는 제 모니터는 어떤 케이스로 봐야할까요?
    지싱크를 불안정하게 지원하는 모델로 봐야할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특정 게임에서 알트탭 전환후에 깜빡임 발생하는거 그거 게임이랑 지싱크 충돌오류입니다. 그런 버그들은 드라이버 업데이트되면서 대부분 고쳐지는편입니다. 그러나 모든게임에서 그런다면 모니터 지원의 한계이구요

  • @user-tp2uq4hw3x
    @user-tp2uq4hw3x 9 วันที่ผ่านมา

    안녕하세요 영상 잘봤습니다. 제가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마지막에 말한대로 설정하여 짭싱크를 사용한다면 인게임에서의 수직동기화 및 프레임제한은 모두 끄고 사용해야하나요?

  • @user-ho8iu8ze1z
    @user-ho8iu8ze1z 2 ปีที่แล้ว

    영상 후반부에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없는 게임은 지싱크와 엔비디아 수직동기를 같이 키고 프레임제한을 하는게 좋다고 나와있는데 로아 최적화 영상에선 프리싱크(지싱크)를 키면 웬만해서 수직동기는 끄라고 설명하셨던데 어떤 것이 맞는건가요?? 로아는 인게임 프레임제한 설정이 없는걸로 압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각 게임들과 영상들마다 왜 그렇게 써야되는지 설명을 하는 편이고 자막에도 잘 보시면 이유를 설명해놨습니다.
      온라인 게임은 지싱크를 되도록 켜고 수직동기를 끄는게 이득입니다.
      fps 온라인은 상황에 따라 지싱크도 끄고 씁니다

  • @user-ql4nm5jo7s
    @user-ql4nm5jo7s 3 ปีที่แล้ว

    스톰튜브님 질문있습니다. 지싱크on 상태에서 모니터 주사율 프레임을 초과해서 지싱크 풀리면 지싱크 적용중일때보다 인풋렉이 더 증가하나요? 아니면 그냥 지싱크 off 일때랑 인풋렉 똑같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오히려 더 줄어들죠. 지싱크 범위를 벗어나서 꺼지는 순간. 지싱크를 켬으로서 생긴 개미눈콥만큼의 인풋렉이 더 내려갑니다.

  • @user-wz6db6pl3n
    @user-wz6db6pl3n 4 ปีที่แล้ว

    염치 없지만 영상과 관계 없는 질문 하나만 드려도 되나용 서든 워존 배그 다하는데 서든할때는 어쩔수 없이 종횡비 + gpu를 사용하고 워존이나 배그할때는 스톰튜브님 추천대로 스케일링 없음 +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데 이걸 게임 할때마다 바꿔 써야 하는데 이게 모니터 수명이나 그래픽카드 수명에도 영향이 있을까요?? 매번 도움 얻고 있지만 염치없이 또 도움의 한말씀 부탁드립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아니요 전혀 영향없습니다. 그런기능 자주쓴다고 모니터보드 나가면 모니터보드만들 가치도 없는 회사구요 ㅋ 서든은 왜 디스플레이 나두시고 gpu쓰시는건지 궁금하긴하메요

  • @user-wx9ce5ry4x
    @user-wx9ce5ry4x 4 ปีที่แล้ว

    재가 필요한 내용만 쏙쏙 잘 알려 주시네요 ^^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제 채널에 영상 있는거 안찾아보시는분들도 있으시더라구요 ㅡ.ㅡ/

  • @lj_myeong7544
    @lj_myeong7544 3 ปีที่แล้ว

    꽤 지난영상이라 답변을 주실지는 모르겠으나...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지싱크만 켜서 사용해보는데 체감이 안되는 것 같은 느낌이 있어서요...
    지싱크를 켜고 나서 프레임 제한을 거는 것 까지는 이해가 됩니다 만은,
    엔비디아 제어판의 수직 동기와 인게임 수직동기화는 켜는게 맞나요? 끄는게 맞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엔비디아 제어판에는 응용프로그램에서 1도 손대실필요 없고 게임안에서 켜고 끄고 하시면 됩니다. 지싱크를 켜놓고 있으실때 체감하실려면 화면이 빠르게 움직이는 게임이여야됩니다. 아니면 60-100프레임 사이에서 체감해보시는것도 좋구요.
      지싱크에 수직동기를 켜고 끄고의 차이는 화면 하단에 짤려나가는 미흡한부분까지 더 보완해줍니다. 그게 안느껴지신다면 끄고 쓰시는게 인풋렉에는 더 좋습니다

  • @giangian7972
    @giangian7972 4 ปีที่แล้ว

    아놔.. 프레임캡+지싱크만 쓰다가 이틀전에 블러버스터 보면서 설정해놨는데 이 영상은 2주 전에 올라왔네요 제가 보고 설정한 글에 질문글을 스톰님이 작성하셨던 거군요 ㅋㅋㅋ 전체적으로 게임할때 필요한 것들만 딱딱 찝어서 눈높이교육 제대로 해주시네요 영상들 잘보고 구독하고 갑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게이머분들에겐 딱 필요한 부분만 알려주는게 최고에요. 어디 뭐 공학도 되실분들도 아니고. 개발진도 아니고. 쓸때없이 유식한척 떨면서 뭐 기술이 어쩌니 저쩌니 ~~~~~ 입 터는거밖에 안되죠 ㅋ. 그런 유식한척 떠는분들은 유튭에 널렸으니 굳이... ㅡ.ㅡ/

  • @user-qy2iq6qn7e
    @user-qy2iq6qn7e 4 ปีที่แล้ว +1

    스톰님 안녕하세요! ㅎ 혹시 hdr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 하시는지요.. 게임만 하는 유저라면 도움이 되는 기능인가요? 프레임 변화는 잇을까요? 인풋랙은요? 궁금합니다 ㅠ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hdr는 일반적으로 인풋렉에 관여하지 않습니다...만! 어떤 모니터와 어떤 tv냐에 따라서 다릅니다. hdr도 버전이 많고 보드빨에 따라 인풋렉이 관리가 되도록 하는 모델이 있고 없는 모델들은 인풋렉 증가에 취약합니다.
      그리고 nvidia에서는 hdr 가동시 프레임 드랍이 있다고 이미 알려져있습니다. amd는 없는편이구요. 그냥 그래픽뽕용으로 쓰세요. 프레임이나 인풋렉이 중요한게임에선 쓰지마시구요

    • @user-qy2iq6qn7e
      @user-qy2iq6qn7e 4 ปีที่แล้ว +1

      스톰튜브StormTube 답글 감사합니다 ^^ 지난번 139제한에 지싱크 켬 수직 끔 저전력 끄기로 플레이중인데 간혹가다 140 138 도 보이던데 상관 없는거죠? 계속 139프레임이 떠야 정상인지요?..ㅜ

    • @deopa0402
      @deopa0402 4 ปีที่แล้ว

      @@user-qy2iq6qn7e 보실진 모르겠지만....정상입니다!

  • @young_uh_nim
    @young_uh_nim 3 ปีที่แล้ว

    새벽내내 스톰님 영상보면서 공부하는데 이해하면할수록 머리가 띵해져 헷갈리는 포인트들이 많아져서 질문남깁니다 ㅜㅜ.
    앞선 영상들을 쭉 보니 지싱크, 수직동기화, 저지연모드, 프레임제한등 설정에 따라 부드러움이냐 반응속도냐에 갈리는 걸 보았습니다. 근데 이러한 설정들을 엔비디아 제어판 아니면 인게임내에서 같은 설정인데 다른 곳에서 설정한다고 해야할까요?? (ex 수직동기화)이렇게 설정하는 곳에 따라 차이가 있을까요?? 있다면 최적의 세팅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게임은 오버워치, 배그 위주로 하구요. 모니터는 LG27GN750 240hz에 adaptive sync입니다. 추구하는 건 인풋렉과 끊김없음의 절충점을 찾고싶습니다.
    마지막 한가지 더 여쭤보고싶은건 모니터의 자체 설정 또한 설정을 해주는 것이 좋나요?? 아니면 그냥 냅둬야하나요?? 제가 사용중인 모델이 adaptive sync에 응답속도 또한 설정가능한 모델인데 이걸 건드려줘야하나요?? 최적의 설정을 찾고싶습니다.
    ex) 엔비디아 제어판 G Sync on, 모니터 adaptive sync on / 인게임 수직동기화 off / 저지연모드 켜기 / 모니터 응답속도 빠르게 / 인게임 프레임제한 237
    이런식으로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ㅜㅜ
    + DAS 모드라고 이것도 인풋렉과 관련이 있는 것 같은데 머리가 지끈거립니다... ㅜㅜ 도와주십쇼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지싱크 on + 모니터 어댑티브 on + 인게임 수직동기화 off + 저지연모드 켜기 + 모니터응답속도 빠르게 nono. 잔상없는 타협점 + 인게임 프레임제한 225 + gpu 사용률 95%이하 + 모니터 인풋렉관련기능은 무조건 on

    • @young_uh_nim
      @young_uh_nim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정말 감사합니다!! ㅜㅜ

  • @user-yo3rl1mc7s
    @user-yo3rl1mc7s 3 ปีที่แล้ว +1

    형님 스팀에서 게임 하는거라곤 리듬 게임밖에 안하는데 리듬 게임 특정상 노트 내려오고 찢어지는 현상 일어나면 치명적인데 형이 올려주신 영상보고 찢어지는 현상은 괜찮아졌습니다. 그런데 궁금한게 스팀에 디제이맥스 들어가면 v 싱크 , 30부터 시작해서 144, 240 fps 있는데 저는 모니터 해상도가 165hz 인데 어떤거를 적용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게임 속 프레임설정 240 적용해도 되는건가요? 진짜 리듬게임에서는 똥같은 옵션인거 같아요. v 싱크쓰면 내려오는게 버벅이는거 같고 판정도 별로고요. 144 ,240 둘중 정해야 하는데 궁금해서요. 형님이 알려주신 3:12 초에 나오는 곳에 3가지 항복에서 인게임 프레임 제한 있는 게임은 첫번째 인게임 프레임제한 (모니터 hz보다 낮게 ) 되어있어서 165 hz 라 144 놓고 하고 있긴합니다. 정답일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hz는 무조건 높은게 좋습니다. 요즘은 제가 빡겜 하시는분들에게 360hz이상을 권장드리고 있죠. 현재 165 모니터에서 화면도 안찢어지면서 최소한의 인풋렉으로 즐겜하실려면 158-162 제한걸고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는 화면 하단에 약간 짤리는게 눈에 보이신다면 켜는게 맞고 안보이면 끄고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게임 자체에서 144 240hz 밖에 없다는건. 그 게임 자체가 240hz으로 강제로올려버리는건지 그냥 옵션상에 144와 240중에 하나 고르라고 나오는건지부터 봐야됩니다.
      240hz 지원도 안되는데 올리는거라면 당연히 안되는것이구요. 165라도 게임에서 144hz밖에 없다면 144 쓰시는것도 방법입니다만. 게임에서 강제로 hz를 144로 만들어버린다면
      프레임제한도 158-162가 아닌 138-141쯤으로 쓰셔야될지도 모릅니다.
      설정 적용 여부를 좀 확인해봐야될 게임입니다. 모니터는 165인데 게임에서 144설정한다고 실제 모니터 hz까지 떨어져버리는것인지요

    • @user-yo3rl1mc7s
      @user-yo3rl1mc7s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잘못적었네요. 게임속 옵션에서 초당프레임속도 이거말했던거였습니다. 165hz모니터라 v싱크 ,30,60,144,240fps 이거중에 165hz라 144 fps이거 적용하는게 맞는거죠? 답변주신거 같이 지싱크 키고 수직동기화 끄고 엔비디아 프로그램설정에서 디맥 추가해서 141 제한걸고 했는데 잘됩니다. 감사합니다. 형님 구독 알람설정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번창하세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user-yo3rl1mc7s 게임안에 초당프레임속도라면 게임안에서 자체적으로 프레임제한이 존재한다는 말씀이신듯한데요!? 무슨게임인지 말씀해주셨으면 더 답변이 쉬운데. 프레임제한은 외부에서 해주는거보다 게임안에껄 먼저 쓰시는게 인풋렉에 훨씬 좋습니다.
      그게임에서 그게 인게임 프레임제한으로 30 60 144 240 으로 나오는거라면 144로 맞추시고 외부에서는 프레임제한 거시면 안됩니다. 더 손해봅니다.
      165hz에 144그대로 쓰시고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는 화면 하단만 보고 켜고 끄고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 @Ddon_x
    @Ddon_x 4 ปีที่แล้ว

    글과댓글을 토대로 결과론으로 240hz fps 유저일경우 수직동기화 끄기로알고있었는데 225 237을 유지못하고 갭이 크다면 끄는게맞겠네요? 배그가 특히 평프유지하기가 힘드네요. 사양내리면 출렁임이나 그래픽저하는 감수해야되긴한데
    벤큐의 다이악기능은 어떤식으로해야될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다이악 기능은 지싱크 안쓰고 오로지 FPS게임같은거 하시는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225/237 유지 못해도 그안에 프레임이면 어차피 지싱크 호환 모델이면 다 범위안이라서 굳이 고정은 안해도 상관없습니다.

  • @user-qp8zl1hy8c
    @user-qp8zl1hy8c 4 ปีที่แล้ว

    이야..질문 진짜 많네요. 스톰님 고생하십니다 ㅎㅎ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영상하나 새로올리거나 고쳐서 올리면 기존에 채널들러서 뭐있는지 안보던분들이 새영상이라고 보니 또 질문이 우르르 터지네요 ㅡ.ㅡ;

    • @user-sm9tt8qn9c
      @user-sm9tt8qn9c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영상 주제와 관련돼서 예상되는 질문들이 있으면 고정댓글에 링크를 걸어 두시는건 어떨까요?? 만들어놓은 영상 조회수도 올릴겸 ㅎㅎㅎ

  • @user-qy2iq6qn7e
    @user-qy2iq6qn7e 4 ปีที่แล้ว

    스톰님!! 급하게 질문드립니다! ㅠ 144모니터에 구 게임들은 프레임이 160가까이 되서 139제한 지싱크켬 수직동기끄고 썻는데 좀 사양대는거 하니 반토막나서 70-80프레임나오는데 이럴경우 어떻게 설정해야할까요? 지싱크 켜고 수직끄고 제한 풀어서 써야할까요?? ㅜ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넵 지싱크는 끌생각 무조건 하지마시고. 수직동기만 끄고 제한은 139-141쯤 거셔도 상관은 없는데 만약 그 게임 70-80프레임에서 gpu가 99%를 찍고 있다면 99만 안찍게 프레임제한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80도달할때 gpu가 99%찍는다면
      75~77 정도 걸어보고 요런식으로 쓰시면 괜찮습니다. 온라인 게임이시라면요 ㅡ.ㅡ/
      패키지 게임은 굳이 그럴필요 없으니

  • @user-rv5cb3ks3l
    @user-rv5cb3ks3l 3 ปีที่แล้ว

    형님 지난번 지싱크 관련 영상에서도 그렇고 보여주신 표로 볼 때는 지싱크 켰을 때 수직동기를 끄든 켜든 인풋렉이 똑같은 거 같은데 특별한 경우 아니면 끄기를 추천하시는 거 같아서 헷갈립니다ㅠ
    원래는 지싱크 사용 안하고 쓰다가 최근에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 켜기 저지연모드 켜기 이렇게 사용중인데 착각인지 몰라도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만 꺼놨을 때보다 에임에 미묘한 떨림이 있는거 같은데 관련이 있을까요? 그리고 반응 중요한 게임만 하는데 수직동기를 끄는게 나을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2

      지싱크 on 상태에서 수직동기 켜면 눈콥만큼의 인풋렉 증가는 있습니다. 그 수치는 모니터 스펙에 따라 조금씩 또 다르고.
      화면 떨리는거나 부드러운게 먼저면 지싱크+수직동기 꼭 켜야됩니다.
      중요한 게임할때만 인풋렉을 위해 수직동기 끄고하세요~ 온라인 fps같은것들

    • @gavy_kr
      @gavy_k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tormtube82 감사합니다

  • @penggu7921
    @penggu792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스톰님 프레임이 들쑥날쑥하는 게임에서는
    지싱크를 끄는게 인풋렉이 더 적을까요 아니면 지싱크를 키는게 더 적을까요
    글카가 옛날 꺼라 GPU 사용률은 90~100%정도로 씁니다...

  • @user-sd1cx4ys3u
    @user-sd1cx4ys3u 2 ปีที่แล้ว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스톰튜브님!!
    제가 래안텍 69cm FHD EdgeArt FB2740P 플랫 리얼 240hz HDR 모니터 사용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제가 롤이란 게임을 하고 있으며, 인게임 내 프레임은 140~150이 나옵니다.
    그러면 240hz를 활용 못한다는건데 이러면 어떠한 세팅으로 쓰는게 좋을까요??
    지금은 지싱크 키고 수직동기화 off 저지연 모드 울트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1

      그게 국내에 잘못 퍼진 지식때문에 잘못 이해를 하고 계신거라서 지식을 정정부터 해드리자면. 140-150 프레임 나와도 240hz는 이미 활용하고 있는것입니다.
      어쨋든 140-150이 나온다면 게임안에서 프레임제한 144프레임쯤 쓰셔도 됩니다. 무제한으로 쓰셔도 되구요

    • @user-sd1cx4ys3u
      @user-sd1cx4ys3u 2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역시 스톰튜브

  • @kimgongpo
    @kimgongpo 4 ปีที่แล้ว

    평소에 궁금했던 내용인데 감사합니다 여담으로 현재 인터넷에 amd 시피유의 경우 멀티쓰레딩 기능을 끄면 게임프레임이 올라간다는 말들이 커뮤니티에서 돌고있는데 이게 맞는말인지도 궁금합니다..타 유튜브 채널에서도 언뜻 해당내용을 본것같은데 많은사람들이 효과를 보고있다는데.. 그렇다면 게임용으로는 3600 보다 더 저렴한 3500x가 게임용으로 더 좋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과거에 몇년전에 그런게임들이 좀 있었습니다. 멀티스레딩을 꺼서 프레임이 올라간 게임들과 몇몇게임에서 멀티스레딩을 지원하지 않아서 적상 작동되는 게임등등. 요즘은 그런 보고가 거의 없습니다. 확증을 할려면 확인하는수밖에 없죠 ㅡ.ㅡ;
      그리고 게임용이라도 3600이 낫습니다. 가격이 문제일뿐
      가성비로 따지신다면 3500X가 낫습니다

    • @kimgongpo
      @kimgongpo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답변 감사합니다 복 받으세요 ღ'ᴗ'ღ

  • @user-ll5vr1vw1k
    @user-ll5vr1vw1k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올리시는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모니터에 지싱크 + 오버드라이브 설정 이 좋나요
    Mprt2 기능을 쓰는게 좋나요
    Mprt2를 키면 지싱크를 사용할수가 없어서
    둘중하나만 고르면 어떤게 좋은지 잘모르겠습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지싱크 + 오버드라이버 쓰세요. mprt는 응답속도만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화면 부드럽게 만드는거랑은 다릅니다

    • @user-ll5vr1vw1k
      @user-ll5vr1vw1k 2 ปีที่แล้ว

      @@stormtube82 감동이네요 제 첫댓글에 답변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매번댓글남겨도 다른분들 답변듣기 힘들거같아서 안남겼는데 스톰튜브님 덕분에 좋은 기억생겼네요 . 감사해요! 다른것들 질문있으면 남길게요.

  • @chiyeong736
    @chiyeong736 2 ปีที่แล้ว

    스톰튜브님 질문 있습니다 모니터 주사율이200인데요
    인게임에서 프레임 제한이 200으로
    엔비디아 제어판 모니터 기본재생빈도를 응용프로그램 썻을때랑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사용가능한 최대값으로 설정했을때랑 왜 다른가요??
    혹시 인게임에서 모니터 주사율설정값은 따로 없어서 그런가요?
    그렇다면 무조건 사용가능한최대값으로엔비디아에서 맞추는게 좋은건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1

      재생빈도가 응용 프로그램으로 쓰게 되면 게임안에서 개발자가 맞춰놓은식으로 돌아갑니다. 특정 게임들에서는 120hz까지만 지원한다던지 60hz만 지원한다던지 하는 별종 게임들이 가끔 있습니다. 제어판에서 최대값으로 하면 항상 모니터가 가지고 있는 최고 hz를 쓰게끔 먼저 압력을 하는거구요. 무조건 제어판에서 최대사용이 맞습니다.
      몇몇 게임이나 소프트웨어들은 제어판에서 최대사용으로 해놓는다고 해도 그 프로그램이나 게임에서 지원하는 한계가 있어서 제어판에께 무시되기도 합니다

    • @chiyeong736
      @chiyeong736 2 ปีที่แล้ว

      @@stormtube82 감사합니다 늘 좋은 정보덕에 고민하는 시간도 해소되고 팩트로만 알려주셔서 혼동이 안오네요

  • @zikimi
    @zikimi 2 ปีที่แล้ว

    배그유저입니다 모니터는 240hz 지싱크호환 모니터 이지만 본체는 3300x 1660s 라서 240hz 방어를 못합니다 평균프레임은 159프레임 정도 나오면 지싱크on 수직동기off 인게임프레임제한 156정도 걸면 맞게 설정되는건가요? 추가로 저지연모드 켜기로 하면 좋을까요?
    아니면 배그 게임하면서 프레임 100퍼 고정되는 수치를 찾아서 지싱크설정을 해야할까요?

  • @SH-bv9ow
    @SH-bv9ow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영상들 잘 보고있습니다~ 빡겜유저는 프리싱크ON 엔디비아,인게임 수직동기 Off(끄기), 저지연 켜기, 인게임 제한300FPS (제 모니터가 165hz 인데 FPS가 165를 넘겨서 인게임 제한300 걸어봤어요) 이렇게 사용하면 될까요 스톰튜브님?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1

      네 300 걸어도 되고 그 이상 하셔도 됩니다. 그래픽카드 사용률이 99%만 안찍고 95%대 이하를 유지할수 있다면 제한은 300이 아니라 500이든 1000이든 하셔도 됩니다.
      근데 다만 프리싱크 on 이라는 소리는 지싱크 호환을 쓰신다는 말씀이기때문에 165hz 모니터의 경우 이미 관리할수 있는 범위를 넘어갓기때문에 켜놨다고 해도 어차피 작동 안됩니다

    • @SH-bv9ow
      @SH-bv9ow 2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엥 프리싱크 on이랑 off랑 같다는 말씀이신가요? 확실히 다른게 느껴지는데요...

  • @user-iw4we1kc8h
    @user-iw4we1kc8h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먼저 영상은 잘봤습니다.
    한가지 여쭤보고싶어서요!
    델 s2417dg라는 모니터 사용중인데 찐싱크인걸로 알고있습니다
    현재 g싱크 켜고 수직 응용프로그램 인게임 142로 프레임제한 걸어서 배그하는데요.
    배그 뿐 아니라 플리커링인가여? 화면이 깜빡깜빡하는 현상이 계속 나오네요.. 해결할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리얼지싱크에서 깜빡임이 발생할 정도면 뭔가 다른 문제를 찾아봐야될듯하십니다. 게임 자체 문제일수도 있구요. 142가 아닌 138~139쯤도 써보세요

  • @raincloud3075
    @raincloud3075 4 ปีที่แล้ว

    영상 끝부분에 엔비디아 제어판 프레임 제한( 모니터 hz보다 낮게) 이것은 엔비디아 제어판에도 게임내 프레임 제한이 가능하다는 의미인가요? 엔비지아 제어판에 봐도 프레임 제한 관련 카테고리는 안보이던제 혹시 어디서 봐야 하나요?
    그리고 추가로 궁금증 제모니터가 지싱크 오버 160hz 되는데 배틀필드5 게임내 설정에는 프레임 제한이 200, 144 이렇게 있는데 이럴때는 무엇을 선택해야하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네 엔비지아 제어판에도 프레임제한 기능있습니다. 아마 엔비디아 드라이버 옛날꺼 쓰고 계신거 같네요. 제 채널에 영상있습니다.
      160hz이면 144 쓰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게임내 프레임제한이 인풋렉에 가장 좋습니다

  • @kdk3389
    @kdk3389 3 ปีที่แล้ว

    인게임 프레임 제한을 모니터 Hz보다 낮게 설정할 수 없을 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레인보우식스 시즈 같은 경우에는 인게임 프레임 제한을 사용자 입맞에 맞게 조정을 할 수 없고 60, 120, 144등 게임옵션에서 제공하는 선택지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엔비디아 제어판 프레임 제한 기능을 이용해야 할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레식 영상이 바로 다음 영상입니다 급하신거 아니면 조금 기다려보세요 ㅡ.ㅡ/

  • @underbar_722
    @underbar_722 4 ปีที่แล้ว

    지싱크 듀얼모니터 사용에 대해 질문이 있어서 남깁니다
    컴퓨터 사양은 라이젠 3600+ 2070super+msi박격포 맥스 조합입니다.
    제가 LG 32인치 FHD 60hz + LG 32인치 32GK650G QHD 165hz(지싱크) 이렇게 듀얼모니터
    주로 지싱크 모니터로 게임, 메인모니터로 사용중 + 서브모니터로 인터넷 창이나 유튜브 틀어놓는 용도로 사용중
    질문1) 보여주신 엔비디아 지싱크설정메뉴에서 1번,2번은 표시 돼있는데
    3번 특정 디스플레이를 설정합니다 이부분이 아예 안보이는데 없어도 지싱크 설정이 된부분인가요?..
    질문2) 듀얼모니터를 사용하면 게임할때 인풋렉에 큰영향을 주는건가요??
    (유튜브영상이나 인터넷 실시간 방송을 같이 켜두면서 사용, 주로 게임 피파를 많이 합니다)
    질문3) 두 모니터가 해상도가 QHD FHD도 다르고 재생빈도 144hz 60hz로 다른데 해상도라도 맞춰서 사용하는게 좋은건지
    다르게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 부분인지 알고 싶습니다
    스톰튜브님 다른 최적화 영상이라던지 엔비디아설정을 전부다 보고 모르던 사실도 많이 알았는데
    듀얼모니터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남기네요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네 32GK650G 모델의 경우 리얼지싱크라서 3번 안뜨는게 정상입니다.
      2. 듀얼모니터 사용시 성능저하로 인한 당연히 인풋렉에 영향을 줍니다. 그러나 본인이 느끼냐 못느끼냐가 중요합니다
      3. 두 모니터 해상도가 달르고 헤르츠가 달라도 굳이 맞춰서까지 쓰실 필요는 없고 60hz때문에 144hz쪽이 몇몇게임에서 강제로 60hz로 내려가는게 있는지 확인을 해보시면서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런거때문에 둘다 똑같은 헤르츠를 쓸려는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캄솨합니다 ㅡ.ㅡ/

  • @partyground_pag
    @partyground_pa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프리싱크 호환 모니터 쓰는데 지싱크 쓰면은 화면 깜빡임이 실제로 있는데 이런경우 쓰는게 좋나요 쓰지 않는게 좋나요 주로 배그 합니다 그리고 Nvidia에서 수직동기 키는것과 끄는것 프레임 차이 있나요?

  • @user-hg2jj5ip2l
    @user-hg2jj5ip2l 3 ปีที่แล้ว +2

    G synk 있었는데 이트까지 안씀ㅋㅋ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ㅎ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이런.................필수 기능을 안쓰고 계셨다니. 그 좋은걸

  • @gotjrgksmfktnrhgkazz
    @gotjrgksmfktnrhgkazz 2 ปีที่แล้ว

    궁금한게 있습니다 인게임 프레임 100hz 제한이고 제 모니터는 144hz 입니다 그러면 엔디비아에서 139hz로 프레임 제한 걸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97hz 정도로 걸어야 되는건가요? 게임 옵션에서 프레임 낮추고 올릴수 없는 게임 입니다
    그리고 게임내에서 수직동기 켜기 끄기가 있으면 지싱크On + 엔디비아 제어판 수직동기 응용프로그램 설정 + 인게임 수직동기 On + 저지연모드 - 울트라 이렇게 하면 되나요?
    근데 제가 하는 게임이 격투 게임이라서 반응속도에 민감한데 엔디비아 설정에서 그냥 수직동기 꺼도 되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hz와 fps를 구별을 잘하셔야됩니다. 비슷한거 같지만 같은 부류가 아닙니다. 인게임 제한 프레임이 100fps인건지 hz가 100인건지 부터 알아야됩니다. 대부분의 게임이 100hz를 제한하는 경우는 없기때문에 100fps 이라고 생각한다면. 139 프레임 제한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지싱크 범위안이기 때문에
      게임내 수직동기가 있다면 제어판에 수직동기는 (응용프로그램제어)가 맞습니다. 손댈 필요가 없습니다. 물어보신대로 게임안에거 쓰시면 됩니다.
      철권이나 격투게임 킹오바 같은애들은 수직동기 무조건 끄는게 좋습니다. 근데 화면이 짤려나가는게 보이겠죠. 그걸 개선할려면 지싱크를 켜야됩니다.
      오로지 빡겜 유저라면 지싱크도 쓰지말고 수직동기도 끈 상태로 전체화면으로 하시면 최적입니다

  • @user-lv7yg2rm7p
    @user-lv7yg2rm7p 3 ปีที่แล้ว

    스톰튜브님
    지싱크 NULL모드 사용할시에 "오버워치"라는 게임 한정에서
    인게임 수직 동기화를 키는게 나을까요?
    인게임 수직 동기화 끄고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 동기화를 키는게 나을까요?
    한 유튜버 보니 인게임 수직 동기화가 인풋렉이 더 낮다던대 어떤갑쇼
    프렌임 제한은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제한 하는거 보다 인게임 에서 프레임 제한하는게 더 낫다는 해외 자료는 본 거 같습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한 유튜버를 말하는거라면 배틀넌센스 말씀이신가 ㅋㅋ 단순 오차범위일뿐입니다. 프레임제한은 인게임에서 하는게 낮은거 맞고. 수직동기화는 게임내에껄 쓰는거나 제어판껄 쓰는거나 사람이 느낄수 없는 차이만 생길뿐입니다. 단지 게임내에 수직동기화가 너무 허접해서 화면 끊김이 생기거나 문제가 있을때 제어판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편입니다.
      물론 인풋렉 연구소에서는 제어판 수직동기를 권장하는편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게임안에 있는 수직동기화가 눈에 보이는 수직동기만 켜지는게 아니라 숨겨진 다른기능(삼중버퍼링)같은거까지 같이 켜져버릴수도 있기때문에 제어판껄 권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differwd6190
    @differwd6190 3 ปีที่แล้ว

    와우는 전체화면모드가없고 창모드랑 전체 창모드만 있네요 전체 창모드로하면 될까요?(제어판에선 전체화면만 선택하고)
    겜에서 순간적으로 광을치거나 오브젝트가늘때 최소프레임이 지싱크범위아래로 떨어질때가 있는데 이때 인풋렉이 확 증가하는거맞나요? 느낌상으론 증가하는거같아서ㅠ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느낌이 좋으시네요 프레임이 떨어지면 인풋렉이 살짝 올라가는거 맞습니다. 그리고 창모드에서 지싱크 쓰실려면 꼭 "전체화면 및 창 모드" 로 쓰셔야됩니다.

  • @dkb9117
    @dkb9117 4 ปีที่แล้ว +1

    작업관리자 프로세서 우선순위에 대한 인풋렉도 실험해주세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인풋렉 영향은 없고 우선순위자체가 전체화면 돌릴때 필요없는 기능입니다 ㅡ.ㅡ/

  • @bjho2888
    @bjho2888 3 ปีที่แล้ว

    스톰튜브님 유익한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제가 레안텍 QHD 144hz 모니터 사용중인데 프리싱크 켜고 엔디비아 제어판들어가서 지싱크도 전체화면으로 설정해서 사용해주면 되는간가요??
    (프리싱크는 꼭 켜져있어야하는 상태인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혹시 프리싱크,지싱크가 켜져있다면 프레임이 떨어지는지도 궁금합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넵 모니터에 프리싱크는 무조건 on. 프리싱크 지싱크와 프레임은 연관 없습니다

    • @bjho2888
      @bjho2888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프리싱크 on한 상태로 지싱크 켜니 화면이 깜빡여요..ㅠㅠ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bjho2888 모니터가 지싱크 공식 호환이 아닌 비공식 이신가보네요. 그건 어쩔수가 없습니다. 물론 뭐 찾아보면 어떻게든 쓰는방법이야 있지만

  • @user-xh7gp4ji7l
    @user-xh7gp4ji7l 3 ปีที่แล้ว

    우와 일일히 댓글까지 달아주시고 고생하시네요..엔비디아 제어판 프레임 제한(모니터 hz보다 낮게)라고 적어주셧는데 모니터 hz가 170인 경우에는 얼마나 낮게 제한을 걸어두어야 할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70에 지싱크면 163~165 정도가 적당하겠죠~ 지싱크가 아니라면 당연히 또 달라진다는점

  • @user-cn8mx6op5t
    @user-cn8mx6op5t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스톰님 덕분에 지싱크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하나 있습니다.
    현재 지싱크(전체화면 활성화/찐싱크) 설정 하면 넷플릭스,유튜브,트위치 등 전체화면시에 화면버벅임이 있습니다.
    지싱크를 켜둔 상태에서도 영상 정체화면으로 보려면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전체화면 영상에서 화면 버벅임은. 지싱크의 약간 단점이기도합니다. 게임만이 아닌 모든 프로그램과 영상에서마저 지싱크가 돌아가도록 만들어버리면 그런 부작용이 좀 발생하는편이라 어쩔수가 없습니다. 드라이버로 개선이 되던지 해야됩니다. 그래서 지싱크 호환에서도 지싱크를 쓸때 "전체화면에서만 적용" 이런식으로 적용하라고 제가 추천드리는 이유입니다. "창화면과 전체화면" 이걸 선택하게 되면 게임만이 아닌 다른 응용프로그램에도 적용되서 부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추천되지 않거든요.

    • @user-cn8mx6op5t
      @user-cn8mx6op5t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답변 감사합니다.^^

  • @master9999
    @master9999 3 ปีที่แล้ว

    th-cam.com/video/S3RYA1u_9Zg/w-d-xo.html 스톰님의 과거영상에서 gsync 설정에서 전체화면모드로 활성화를 하라고 하셧는데, 그냥 전체화면+창모드로 체크하면 되는건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창 모드 및 전체화면 활성화 두번째꺼 그거 쓰실려구요? 그거 쓰면 부작용 발생합니다. 게임이 아닌 다른 일반 프로그램에도 그게 돌아갈려고 켜지다가 충돌 일으키기때문에 전체화면으로만 쓰라고 말한겁니다

    • @master9999
      @master9999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아하 감사함다 ㅋㅋ

  • @shootheadbro
    @shootheadbro 4 ปีที่แล้ว +1

    스톰님 지싱크on + 수직동기on+프레임제한 쓰는데 배그 콜옵은 이상이없는데
    다른 특정게임만 하면 화면이 깜빡입니다.
    원인을 보니 엔비디아 수직동기 때문이더군요 수직동기 끄면 괜찮으나 부드럽지 않아 불편해서요
    혹시 엔비디아의 수직동기 on 말고 엔비디아 3d응용 두고 인데임수직동기 on 해두 괜찮을까요??저번에 인게임수직동기는 안좋다는 얘기를들어서요. 인게임 수직동기 on 시 깜빡임 없어집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넵 수직동기는 엔비디아 제어판께 좋을때가 있고 게임안에 내장된게 좋을때가 있습니다. 그 두개의 차이를 느끼는분들이 아주 극히 드물죠 . 본래 게임안에 있는 수직동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때는 엔비디아 제어판에 수직동기를 써야되는데 그 원인을 모르는분들이 많습니다.
      제 채널 개설후에 그 두개의 사용여부를 물어보시는 첫번째분이 되셨군요 ㅋ

    • @shootheadbro
      @shootheadbro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ㅎㅎ네 그리고 궁금한게 수직동기 빠르게 쓰는건 어떤가요?? 인풋렉 괜찮습니까??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shootheadbro 빠르게는 켜기와 끄기 중간입니다. 켜기로 쓸려니 인풋렉이 너무 오르고. 끄기를 쓸려니 티어링(화면짤림)이 생기고. 해서 애매하게 중간쯤을 잡아줄려고 만들었습니다.
      근데 해외에서도 빠르게는 자기 모니터 hz에 두배이상 프레임 나올 성능 아니면 권장하지도 않습니다.

    • @shootheadbro
      @shootheadbro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감사합니다!

  • @youngtoad89
    @youngtoad89 ปีที่แล้ว

    1050ti 로 롤이 끊겼던 증상이 있는데
    이 영상보고 지싱크 키고 수직동기화 켜니까
    버벅이는 증상 없어졌습니다
    이 증상때문에 드라이버도 구버전 깔고 신버전 깔고 포맷도 여러번 하고 별에별짓을 다해봤는데 항상 포멧 후에는 롤 최적화 영상을 따라 수직동기화를 껐었는데
    제 컴퓨터는 수직동기화를 자동으로 키고 지싱크를 켜야
    되는걸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덕분에 그래픽카드 구매 안해도 되겠어요 스트레스받아서 구매까지 생각했었는데

  • @yuraki3726
    @yuraki3726 4 ปีที่แล้ว

    스톰튜브님! 혹 요번 드라이버 업뎃후 이미지샤프닝 충돌 같은건 없으셨나요?이상하게 요번 드라이버 업뎃후에 이미지 샤프닝을 활성화 시키고 옵치하면 에러뜨면서 안되네요...끄면 정상적으로 되구요...

    • @nk5665
      @nk5665 4 ปีที่แล้ว

      445.75버전이 그러더라구요 445.78핫픽스버전 깔아보세용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445.75에서 이미지샤프닝 오류가 많이 보고 되고 있습니다~ 급하지 않으시면 다음버전 기다려보세요

  • @user-li4rw5co6v
    @user-li4rw5co6v 4 ปีที่แล้ว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이해했는데 제가 하는 게임에서 프레임 리미트가 60, 144 이런식으로밖에 없어서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139로 설정하고 수직동기 켜고 저지연 모드 켜기로 했습니다. 이럴 경우 인게임 설정에서는 수직동기를 on으로 해야하나요 off로 해야하나요? 제가 하는 커뮤니티에서는 엔비디아에선 수직동기 켜고 게임에선 끄라던데 맞나요??
    그리고 유튜브 채널 찾게 된게 그래픽카드 고주파음때문인데.. 그래픽카드 로드율이 80정도밖에 안되는데도 좀 납니다. 접지는 다 돼있는거 같습니다. 2060super에 650w라 파워문제도 아닌거같습니다. 그래픽카드 as도 1회 받았는데 gta5, 포르자호라이즌4 등 고사양 게임에서만 이러네요 ㅠㅠ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지싱크를 잘사용하기 위해선 139-141로 제한을 하신후 하시면 되고 수직동기는 게임내 수직동기와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동기를 도토리키재기이고 게임에 따라서 뭐가 더 좋고 안좋고는 완벽한 테스트를 거치지 않는 이상 아무도 알수가 없습니다. 엔비디아 제어판에껏이 무조건 좋은건 아닙니다. 대체적으로 외계인 사이트에서 추천하는게 엔비디아 제어판껏이긴 합니다만. 그것도 특정게임에서 완벽한 테스트를 거치지 않는 이상 뭐가 더 좋은지는 미지수구요.
      고주파는 집안에 전자장치들에 의해서거나 전기접지로 인해 생기는게 대반수인데. 그게 다되어있는 상황에서도 나는건 그냥 100% 제품 문제입니다. a/s 받아도 그 모델 자체가 고주파에 취약하게 만들어진 제품의 경우는 뽑기로 계속 교체 받으셔야됩니다.
      아니면 정말 그게 제품탓인지 본인집에 탓인지 알고 싶으시면 그 그래픽카드를 다른집에 꽂아보시거나 본체를 그대로 들고 다른집 가서 꽂아보시면 됩니다 ㅡ.ㅡ;
      고주파라는게 본체안에있는 보드와 파워와의 조합때문에도 간혹 재수없게 발생되기도 하기때문에 여러가지 다 테스트 해보셔야됩니다만. 그냥 말로만 들어봐서는 제품 제조공정때문에 생긴 종특 고주파는 뽑기운으로 교체를 계속 해보시는거 말곤 그다지.....
      고주파는 진짜 자기집 탓일수도 있으니 그것도 제가 말한대로 다른집가서 테스트해보시는수밖에 없습니다.

    • @user-li4rw5co6v
      @user-li4rw5co6v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고주파는 정말 답이 없군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user-li4rw5co6v 제가 쓰는 xl2740벤큐도 70만원자리 고주파 똥 모니터입니다. 날고 기어도 못고치고 부품을 3~4번 바꿨는대도 발생합니다 ㅋ 이런건 제품자체의 실패작이죠. 물론 뭐 다른집가서 테스트는 아직은 안해봤습니다만. 접지 콘센트까지 써서 별에별짓 다 해봤지만 종특입니다.

  • @baristaleejh
    @baristaleejh 3 ปีที่แล้ว

    지싱크호환가능한 모니터를 구매하려하는데, 그럼 설정에 프리싱크 설정기능이 무조건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현재모니터엔 없어요.)그리고 지싱크를 켰을 경우에는 수직동기는 따로 켠다거나 설정을 안건드려도되는건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네 지싱크 호환 모니터는 거의 대부분이 메뉴에 프리싱크 항목 있습니다. 지싱크 켯을때 수직동기 켜고 끄고 여부는 더 배우셔야 ㅡ.ㅡ;

    • @baristaleejh
      @baristaleejh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아 일단 엘지모니터로 지싱크되는거 사야할것 같습니다. 수직동기는 끄고 지싱크 켜볼게요!!

  • @zizi3jnkj
    @zizi3jnkj 3 ปีที่แล้ว

    LG48CX (120주사율율) 3080쓰는데요.. 평소에는 지싱크ON 수직동기화 OFF (프레임170~180) 인데.. 지싱크ON 수직동기화ON 하니까 (프레임120전후?고정?) 되거든요..
    근데 프레임이 더 나올때보다 부드러운거 같은데.. 맞는건가요?
    그리고 지싱크적용에 배그에서 수직동기화 하는거랑 엔디비아 제어판가서 수직동기화 키는거랑 차이가 있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네 프레임이 많이 나오는거보다 지싱크 범위안에서 쓰시는게 제일 현명한겁니다. 빡겜 유저가 아닌이상요
      수직동기화는 게임안에서 하시는걸 대체적으로 추천드리고. 게임안에서 없을때나. 정말 특이사항 있지 않는이상 제어판에껀 쓸일 없습니다

  • @user-vq7bz6vb5t
    @user-vq7bz6vb5t 2 ปีที่แล้ว

    24gn600 로아만하는데 프레임은 마을에서 70~140나오고 레이드에서 70까지 내려갑니다 지싱크 키고 수직동기끄고 저지연모드 켜기만해서 쓰는중입니다 혹시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 @antr2484
    @antr2484 4 ปีที่แล้ว

    9400f / 1660s / 16g
    스톰님 이번에 2411z에서 258q로 바꾸게 되서 영상을 좀 봤는데 배그할때 프레임제한을 걸어야하나요?
    2411쓸땐 160? 170? 제한(gpu 99프로 안되는선. 아마도?) 두고 썻는데 그대로 걸고 쓰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물론 제한거셔야죠. 258q란게 vg258q 144hz를 말하시는건 아니겟죠 설마? ㅋ 240hz일꺼라고 믿어봅니다.
      240hz안에서 gpu 사용률 99%안찍게 똑같이 맞춰주시면 됩니다. 똑같은 프레임이라도 240hz가 인풋렉이 더 낮기때문에 예민하시다면 체감하실듯 합니다

    • @antr2484
      @antr2484 4 ปีที่แล้ว

      스톰님~ xg258q로 바꾸고 od기능 5레벨로 사용하면 배그 마우스 휙휙 돌리면 명암부분?이 씨꺼멓게 보이고 화면 선명함이 깨져보인다해야하나.. 그러고 레벨2로 맞추면 그런그런게 없어보이는데 문제가 있는건지 정상인건지요....

  • @JURRARD
    @JURRARD 3 ปีที่แล้ว

    @스톰튜브StormTube 우선 답변달아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추가로 궁금한게 있는데요 ㅠㅠ
    알려주신대로 엔비디아 3d 수직동기는 "응용프로그램제어"로 변경했고
    게임상에서는 수직동기 "켜기" 로 바꿨습니다.
    다만 120hz 모니터면 거기에 통상 -3~-5 정도로 프레임제한을 두고 쓰라는말은 이해가 가는데
    제가 하는 게임은 옵션에 들어가보면
    "재생율" 과 "초당 프레임 수 제한" 이라는 항목으로 2개로 세분화? 되어 존재하는거 같은데
    재생율은 기본이 "50, 60(기본값), 85, 100, 120Hz" 중에서만 고를수있고
    초당 프레임 수 제한은 "끄기, 30, 45, 60, 90 FPS"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는데
    이런경우면 2가지를 어떻게 셋팅하면 될까요? ㅠㅠ 한번만 더 알려주시면 너무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재생률은 120hz으로 선택하시면 되고 초당 프레임수 제한은 90fps만 하시면 됩니다. 90fps까지만 지원되는 게임이라면 프레임 제한도 따로 해줄필요 없습니다

    • @JURRARD
      @JURRARD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진짜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좋은영상 많이많이 부탁드립니다!!

  • @user-pi5ld9pw9v
    @user-pi5ld9pw9v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우연히 유튜브로 접하면서 영상 잘보고 있는 구독자입니다. 저는 GTX 1060에 모니터도 엠텍 165hz 지싱크 호환 모니터인데요. 알려주신대로 지싱크설정에서 전체화면 모드 활성화도 하고 3번 선택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한 설정 활성화 체크한 후에 지싱크 호환표시기를 켰는데요. 지싱크 온이란 문구가 안뜹니다. normal이라고만 우측 상단에 뜨는데 무슨 문제가 있는걸까요? 듀얼모니터는 안된다는 말이 있어서 싱글로도 해봐도 안뜨네요. 제가 하는 게임 최대hz가 100hz게임으로 알고있는데 관련이 있는건가요? 그리고 게임 최대 hz가 100인 게임은 최대 프레임 속도도 100fps으로 맞춰야 인풋렉이 없다는데 맞는말인가 궁금합니다. 현재 저는 최대 프레임 속도 160fps로 해놓았는데 100fps과 차이가 있을까요? 일단 제일 급한건 지싱크 온 표시가 안뜨는겁니다. (엔비디아에서 다운받은 지싱크 펜듈럼 데모 파일에선 지싱크 온이 뜹니다.) 질문이 많아서 죄송해요 ㅜ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2

      그 모니터가 지싱크 호환이라고 해도 정확하게 주파수 범위대가 어느선에서 지싱크가 돌아가는지는 회사밖에 모릅니다. 그 주파수 안에 들어가지 않으면 지싱크는 꺼져버리고. 지싱크 온 이라는 그 엔비디아 기능 역시 완벽하지가 않습니다.
      지싱크 주파수 범위대 설명은 이 영상 말고 10분짜리 인풋렉 영상에 있습니다
      게임 최대 100hz가 최대에서 100fps맞춰야지 인푹렉이 없다는건 개소리고. 그 이상 찍어야 인풋렉이 더 줄어듭니다.

    • @user-pi5ld9pw9v
      @user-pi5ld9pw9v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헉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그러면 165hz 모니터를 쓰고있는 지금 제어판 3d설정에서 최대 프레임속도를 100이 아니라 지금 그대로 160fps로 맞춰놓는게 가장 좋다는 말씀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user-pi5ld9pw9v 인풋렉이 중요한 게임은 자기 컴퓨터에서 낼수 있는 최대프레임으로 제한을 하고 gpu 사용율을 95%이하로만 쓰시면됩니다.
      지싱크를 활용해야된다면 제한하는게 다른것이죠. 제 채널에서 더 배워보세요

    • @user-pi5ld9pw9v
      @user-pi5ld9pw9v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아 그러면 최대프레임설정이 1000?까지 있던데 gpu사용률 95%까지만 나오면 1000이 가장 밀림현상없이 반응속도나 게임 인풋렉으로나 가장 좋은 건가요? (지싱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전제하게 ) 그리고 10분짜리 인풋렉 영상을 보고 왔는데 만약 제 모니터 가 165hz지원 모니터여도 지싱크 주파수 범위대가 40~144라면 해상도 자체를 144로 내린다음에 141프레임 제한을 걸어야 지싱크가 돌아가는 건지 아니면 165hz를 사용하되 프레임 제한만 141로 맞추면 지싱크 이용에 문제가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제가 하고 있는 게임이 최대 프레임이100hz 제한된 게임이라던데 (수직동기화를 끄고 전체화면 체적화 중지설정을 해도 프레임 표시엔100fps가 안넘어 가더라구요) 이런 경우에도 지싱크가 왜 안켜지는지 의문입니다. 물어볼 곳이 여기밖에 없어서 답답한 마음에 너무 많은 질문 죄송합니다ㅜㅜ

  • @PorkKimchiSoup
    @PorkKimchiSoup 3 ปีที่แล้ว

    스톰님 저번에 라이브에서 g싱크 비공식 지원 모니터에서 발생하는 밝기 변화 증상 문의드렸었는데 해결방법이 없다고 해서 안쓰려다가 혹시 몰라서 다시 찾아봤는데 cru라는 프로그램으로 쉽게 고칠 수 있더라구요! 참고하세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cru로 쓰는방식은 모니터 성능ㄹ 조금 더 포기하고 억지로 쓰는 수준이라... 그럴바에 끄고 쓰시는게.. 그건 지싱크에 목말라계신분들이 억지로라도 쓰는법인.. 물론 본인이 만족하신다면야 ㅡ.ㅡ;

  • @wingsplay
    @wingsplay 4 ปีที่แล้ว +1

    스톰형 혹시 fr33thy 님이 요새 올리는 저해상도 커스텀 display scaling 설정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답변해주시면 감사해요 ㅠ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CRU는 이미 인증된 프로그램입니다. 모니터에 따라서 맞춰서 잘 사용하시면 괜찮긴한데. 굳이 저런짓까지 할필요는 없습니다.

  • @user-vc6ve7re2y
    @user-vc6ve7re2y ปีที่แล้ว

    인게임 수직동기화는 안쓰는게 좋나요? 저지연도 요새 겜들은 NVIDIA Reflex Low Latency 라고 항목이 인겜내에 따로잇더라구요ㄷㄷ

  • @scaro397
    @scaro397 4 ปีที่แล้ว

    덕분에 비싼모니터 올바르게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자기가 가진 장비를 최대한 활용해서 잘쓰는게 최고의 사용법이죠 ㅡ.ㅡ/

  • @rainyp2496
    @rainyp249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3년전 게시글이지만 질문을 꼭 드리고 싶습니다.
    원신 (인게임 내 프레임레이트 60, 수직동기 ON), 사용모니터 : 오디세이 G8 OLED
    하는게임이 원신인데 지싱크를 켜면 오히려 게임화면이 끊기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지싱크를 끄고 하고있습니다..
    딱히 FPS게임을 하는건 없는데 지싱크는 그냥 끄고 쓰는게 좋을까요??
    모니터는 프리싱크를 지원해서 짭싱크로 쓰는 형태인데, 그냥 기능이 있는데 안쓰면 아까워서 이번에 이 영상보고 셋팅을 했던 것인데
    화면이 더 끊기게 보이니 이상해서..

    • @stormtube82
      @stormtube8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끔 지싱크 호환 모니터들중에 주파수 범위가 애매한 애들이 좀 있습니다. 그 모델이 175hz 긴 하지만 48-175 일수도 있고 68-175 뭐 이런식일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상황이 벌어질수도 있구요. 그 외는 높은 hz 모니터에서 60프레임 정도의 화면으로 보면 60hz에 60fps 모니터를 볼때보다 뭔가 좀 불안정해보이는 현상들은 간혹있습니다. 그래서 60fps 원신은 끄고 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다른 모든 게임들도 60프레임으로 설정해서 화면이 똑같은지 한번 비교해보셔도 좋죠

    • @rainyp2496
      @rainyp249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왠지 말씀주신 그런 현상들 같습니다. 다른 콘솔 게임들도 지싱크를 끄는게 훨씬 더 화면이 부드럽습니다.. 저는 그냥 끄고 해야겠네요 ㅎㅎ @@stormtube82

  • @gorokedat2248
    @gorokedat2248 2 ปีที่แล้ว

    선생님 멍청한 질문인데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디아블로2 를 하는데요. 모니터는 165hz 입니다. 그런데 지싱크 설정을 하고 게임내 프레임 제한을 160 정도주면
    그래픽 카드가 미친듯이 돌아가는데 게임 내 프레임 제한을 60으로 걸고 해도 지싱크가 작동을 하는건가요?
    아니면 그냥 지싱크 끄고 60hz 제한 걸고 쓰는게 올바른건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1

      hz는 절대로 건드리지 마시고 프레임 제한만 해서 쓰시면 됩니다. 80-120 정도 내려서 쓰시면서 팬돌아가는 소리에 적응해보세요. 60으로 쓰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 @gorokedat2248
      @gorokedat2248 2 ปีที่แล้ว

      @@stormtube82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 @user-zq4cw3jl8g
    @user-zq4cw3jl8g 4 ปีที่แล้ว

    지싱크모니터사용중이고 겜은 배그를하고있고 165헤르치모니터이용중입니다 평균프레임이 160-140정도나오고 사람많은곳에선 90-110까지 떨어집니다 수직동기를켜는게좋을까요?끄는게좋을까요? 수직동기를켜면 마우스돌릴때 확실히 움직임이 부르러운게 느껴집니다 수직동기를끄는게 낫나요? 켜는게 낫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65밑으로 나오신다면 수직동기 필요 없습니다

  • @creo485
    @creo485 3 ปีที่แล้ว

    질문있습니다~초보라서 이해가 잘 안되서요 ㅠㅠ..
    지싱크 호환되는 모니터 144Hz 모니터의 경우 게임 안에서 설정하는 주사율을 144보다 낮게 설정하라는 뜻이시죠? 그리고 수직동기화는 굳이 끌필요는 없다는 말씀이신거죠..? 수직동기를 켜기로 해야 하나요 3D 응용 프로그램 설정 사용으로 해야 하나요..? 그리고 인게임에서 주사율 설정이 없을경우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프레임 제한을 하라고 하셨는데요.. 엔비디아 제어판 해상도 설정 항목에서 주사율을 모니터 사양보다 낮게 설정하란 말씀이신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루 지싱크 호환이 되는 모니터면 지싱크를 사용하는게 만족도가 큰가요...? 사용을 해야할지 그냥 끄고 할지 선택장애가...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지싱크 144hz 모니터면 게임안에 인게임 프레임제한이 있을 경우 139-141 정도 제한을 해주시면 됩니다. 지싱크 한번 써보면 없는 모니터 못씁니다.
      수직동기는 온라인 대전형 게임할때는 꺼주시고 혼자 즐겜하실떄는 켜는게 낫습니다.
      나머지 지식은 채널 다른 영상에서 ㅡ.ㅡ/

    • @creo485
      @creo485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아 지싱크가 그정도로 좋은가 보군요 써봐야겠습니다 ㅎㅎ 자꾸 질문만 올려드리고 죄송하네요...
      저는 롤을 하고 있는데 롤은 144 보다 낮은 설정이 120 이더라구요 그럼 120으로 설정해야겠네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creo485 롤 최적화 영상은 제가 따로 만들어둔게 있습니다. 144라면 120 쓰셔도 되긴 됩니다

  • @user-fn1op7rj7g
    @user-fn1op7rj7g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영상잘보고있습니다!
    궁금한게있어서 쫌길게 질문드립니다 각종커뮤니티 사이트에서도 참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내용이고 아직까지도 저도 도저히 해답을모르겠어서요 최대한줄여서 질문하겠습니다
    1. 프리싱크쓰고있는데 엔비디아설정에서 페스트싱크도 같이켜주는게 더좋다던데 맞는건가요?(144hz기준)
    2.지싱크나 프리싱크 가없다면 페스트싱크라도 켜줘야하는건가요?
    (144hz기준)
    3. 너무 저사양게임의경우
    (예: 3060으로 스타를하는경우)
    아무것도 걸지않은 순정상태에서는
    프레임이 과도하게나오게되고
    그로인해 스터터링 , 티어링 , 알수없는오류(끊김같은) 가 발생될수도있다는걸 어디서본적이있는데 그럴경우는
    프레임제한 + 패스트싱크 를 적용해야하는건가요? (144hz기준)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뭐식이 포털에서 보셨나보군요. 틀렸습니다.
      2. 패스트싱크는 자기 모니터 hz보다 두배이상씩 프레임이 나올때나 써먹기 좋은것입니다. 비추천입니다. 차라리 프레임제한(hz보다 -1)하고 수직동기 켜는게 낫습니다.
      3. 프레임이 과도하게 나와서 화면이 끊겨나가는 현상 -> (제가 올린 피파영상 참조)
      프레임제한만 걸어주시면 되고 수직동기는 켜기와 끄기만 쓰시면 됩니다. 물론 지싱크가 없는 모니터는 수직동기 없이 프레임제한을 해도 화면이 짤리는건 어쩔수 없습니다.
      다만 144hz 기준 288프레임 이상이 나온다면 프레임제한을 걸고 패스트 싱크를써보는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패스트싱크라는 기능이 한국에서 유독 과장되서 알려지고 있는기능이고. b급 젼문가들이 잘 퍼트리고 있는 기능입니다.
      대체적으로 우리가 쓰는 티비(60hz)에 과도한 사양의 그래픽카드를 꽂아서 쓸때 프레임이 180fps도 넘게 나오기때문에 그럴땐 패스트싱크를 한번 써보는것도 나쁘지 않은것입니다.
      지싱크가 나온한은 패스트싱크 같은거 필요없습니다

    • @user-fn1op7rj7g
      @user-fn1op7rj7g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그럼 결론적으로
      1.프리싱크쓰는 모니터는 프레임제한 만 139로 걸고 사용하면되나요?
      2.지싱크도 프리싱크도없는모델은
      프레임제한 139에 수직동기를키고하라는 말씀이신건가요?
      3. 지싱크 하위호환버전이 프리싱크말고 또있는걸로아는데
      (가짜지싱크) 저희집모니터는 amd프리싱크 지원모델입니다
      그럴경우도 엔비제어판에서 지싱크설정 키고 사용되나요? 그래픽이 amd가아닌데 지원이되는건지궁금해서요
      그리고 굳이성능을비교한다면
      지싱크 > 프리싱크 > 가짜지싱크
      가맞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user-fn1op7rj7g 1. 프리싱크(지싱크호환) 144HZ 기준 139-141 프레임제한 걸고 지싱크ON+수직동기 ON/OFF 선택사항.
      2. 지싱크 프리싱크도 없는 모델은 144HZ기준 143프레임제한 수직동기 ON
      (화면 안짤리고 부드럽게 쓰기 위한 조건)
      3. 지싱크 하위호환버전이 프리싱크라는 소리는 어디서 나온소리이며 그 밑버전이 있다는소리는 또 어디서 나온소리입니까?
      지싱크 리얼 -> 프리싱크 = 지싱크호환 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3개다 똑같은 기술인데 소프트웨어냐 하드웨어냐의 차이이고 관리범위가 조금씩 다르고 약간의 기술이 다를뿐이지 다 한통속입니다

    • @user-fn1op7rj7g
      @user-fn1op7rj7g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감사합니다
      근데 2번은 좀의아하네요 수직동기화는 144가정말완벽하게 방어되지않으면 스터터링은 어쩔수없는데 2번설정은좀 의아했네용 143제한에 수직동기는 끄라고하실줄알았습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user-fn1op7rj7g 2번은 수직동기화라는 기술을 이해하셔야 왜 저렇게 설정하는지를 아시게 되는겁니다.
      60HZ는 59제한걸고 수직동기를 켜는것이고 144HZ는 143 제한을 걸고 수직동기를 켜는것입니다. 물론 화면이 안짤리게 하고 60/144HZ에 도달을 하지 못하고 프레임이 떨어졌을때 폭증하는 인풋렉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수직동기화를 이해하지못하시면 왜 이렇게 쓰라는지 이해불가능하게됩니다.
      수직동기를 끄라고 할꺼면 144FPS제한을 걸고 수직동기를 끄라고 하겠죠. 그리고 온라인게임 기준이면 일반모니터라도 144HZ면 280FPS이고 380FPS이고 더 높은 프레임으로 나오게 하고 수직동기를 끄라고 합니다.

  • @user-rv2pk7gr9n
    @user-rv2pk7gr9n 4 ปีที่แล้ว

    혹시... 이거 답해주실수있을련지요...
    지금 1650슈퍼랑 1660슈퍼 고민하고있는데
    가격 성능 둘다 따진다면 뭐가 더 이득인가요?
    (배그나 워존할때 프레임)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당연히 배그랑 워존하실려면 프레임이 어느정도 유지가 되어야되니 가격이고 뭐고를 떠나서 1660 슈퍼를 고르셔야죠 ㅡ.ㅡ; 현재 중급 사양중에 대표 권장 그래픽카드죠

  • @user-yu5eg3gt9r
    @user-yu5eg3gt9r 3 ปีที่แล้ว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없는 경우에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프레임 제한을 걸어주라고 하셨는데 말씀하신게 3D설정관리 에 있는 최대 프레임 속도 말씀 하신 거 맞나요?? 다른 영상에서는 이거 키면 인풋렉 증가한다고 키지마라고 하셨는데...어떻게 해야 할까요ㅜ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제어판에 있는 프레임제한 쓰셔도 되고 외부 애프터버너 같은거 써도 됩니다. 인게임에 프레임제한이 없는 게임은 어쩔수 없이 외부에서 해주셔야되요.
      물론 자기 컴퓨터에서 제한을 안해도 프레임이 미친듯이 솟아 오르고 그래픽 로드율이 99%까지 걸리지 않는다면 밖에서 안해주셔도 상관 없는데
      다만 인풋렉이 지 멋대로 되는 상태로 게임을 하시게될껍니다

  • @yannickcho2487
    @yannickcho2487 4 ปีที่แล้ว

    스톰튜브님 그래픽설정도 다보고 인터넷 리서치도 해봤지만 해답을 못찾아 질문 하나만 하겠습니다. 벤큐 xl2730 모니터를 사용하며 freesync 모니터입니다. 모니터 옵션에서 freesync 켜기버튼이 없습니다. 자동으로 켜져있는것인지 궁금하구요. 그리고 엔비디아 설정창에서 gsync 셋팅을 하면 컴퓨터 부팅후 화면이 2분정도 꺼졌다가 켜집니다. 중간에 깜빡임 증상도 있구요. 이 경우 모니터 주사율을 수동으로 143hz 이렇게 낮춰줘야하나요?

    • @yannickcho2487
      @yannickcho2487 4 ปีที่แล้ว

      그래픽 카드는 1080ti 엔비디아 최신버전 항시 유지중입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__________^;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프리싱크 켜기 버튼이 없는거 정상입니다. 제 XL2740역시 프리싱크 켜고 끄기가 안됩니다. 자동으로 항상 켜져있구요. 그리고 XL2730은 구형 프리싱크 보드가 들어간 모델이라 지싱크호환 제대로 지원안됩니다. . 안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ㅡ.ㅡ;

    • @yannickcho2487
      @yannickcho2487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stevenan
    @stevenan 4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영상 열심히 보며 정확한 최적화 및 설정 방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이 잇는데요.
    실행 - msconfig - BOOT - Advance optaion - Number of processors 를 최대치로 올리는것이 좋다고 하는데...
    이와 관련된 영상은 없는거 같아 질문 올립니다.

    • @stevenan
      @stevenan 4 ปีที่แล้ว

      수직동기화에서 FAST 라는 항목이 잇는데 이것은 무엇인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부트쪽 최대쪽 올리는건 부팅속도에 연관된것인데 실험해봐야 됩니다. 예전엔 1개로만 맞춰놓는게 권장이였는데 요즘은 또 어떻게 시대가 변한건지 팩트로 입증해야됩니다.
      수직동기화는 에 켜기 끄기 빠르게는 조만간 영상 올려드릴껍니다

    • @stevenan
      @stevenan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답변 감사합니다 :)

  • @user-qu1be6cg8r
    @user-qu1be6cg8r ปีที่แล้ว +1

    지싱크 얼티메이트 Lg34gp950g (찐싱크 최신버전?) 모니터 사용중인데 인게임 프레임 제한은 엔비디아 수직동기화 키면 안해도 된다는 글을 봐서 뭐가 맞나요 다들 의견이 달라서 너무 헷갈리네요 ㅠㅠ

  • @21trg69
    @21trg69 2 ปีที่แล้ว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문의 드립니다.
    (배그기준)
    현재 셋팅 지싱크on+제어판 수직동기off+인게임 수직동기off 입니다.
    화면 부드러우며, 맵에따라 프레임차이 있습니다. 현재 인풋렉을 줄이고 싶으며, 화면은 부드럽고 빠릿했으면 합니다.
    인풋렉이 심할경우 지싱크만off 합니다.(부드러움 지싱크on덜함+화면은 지싱크on보다 빠릿빠릿 인풋렉 없음)
    지싱크 사용시...
    1. 지싱크on +제어판 수직동기on+인게임 수직동기on 해야하나요? 아니면 인게임 수직동기off해야하나요?
    2. 지싱크off시에는 제어판 수직동기off해야하는게 맞는건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1

      1. 제어판 수직동기는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곤 건드리는게 아닙니다.
      2. 지싱크 off는 제어판 수직동기 off/on과 관계 없습니다

    • @21trg69
      @21trg69 2 ปีที่แล้ว

      아~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ul9511
    @ul9511 4 ปีที่แล้ว

    눈이 정말 예민해서 피시방 .친구집 컴 . 저희집 컴 번갈아 쓸때마다 정말 적응이 안됬습니다. 프리싱크 인풋랙 응답속도 등 많은 공부하고있는데 정말 도움많이 됬습니다.
    궁금한게있는데.. 프리싱크와 지싱크중 어떤게 인풋랙을 덜 올리는 건가요?
    만약 좀더 칼같이 제 마우스에 감기는 걸 원한다면 둘다 끄고 게임을 해도 좋을까요? 알아보고있는 모니터가 인풋랙이 5ms인데 이정도면 칼같은 화면 기대해도 되는걸까요?(응답속도는 1ms gtg 입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지싱크 모니터라면 프리싱크를 켜야지만 그게 지싱크로 작동됩니다.
      물론 지싱크가 인풋렉이 좋냐 프리싱크가 좋냐? 라고 물어보신다면 프리싱크가 인풋렉이 대체적으로 좀 더 낮은 결과들이 나와있습니다. 프리싱크+amd 그래픽카드를 쓰셔야되는것이죠
      그외 엔비디아를 쓰신다면 프리싱크를 켜도 어차피 g싱크로 돌아갑니다. 똑같은 원리의 기능이라 그렇습니다. 칼같은 반응을 좋아하신다면 지싱크도 끄셔야됩니다.
      인풋렉이 요즘 모니터치고 평균이 5ms면 조금 높은편이네요. 디스플레이리뷰에서 보셨는건가? 대체적으로 요즘 모니터들은 2~5ms 3-5ms 요런식입니다만. 최저가 2~3이라면 괜찮습니다. 평균이 5ms라면 찔금 말이 다르구요.
      그리고 마우스에 깔끔한 반응을 원하신다면 응답속도보다는 HZ를 높은걸 사셔야됩니다 240hz에 마우스도 2000hz이상 쓰시는게 낫습니다

    • @ul9511
      @ul9511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240hz에 인풋랙이 낮은걸 가려면 비용이 너무 세서 어쩔 수 없을 것 같네요 ㅜㅜ . 답변 감사드립니다!

  • @user-pu8rf8oh1g
    @user-pu8rf8oh1g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좋은 지식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 엘지모니터 g sync호환되는 주사율165짜리 쓰고있는데요.
    알려주신데로 지싱크 키고 수직동기화 빠르게 하고 프레임제한거는거를 못찾아서 저지연모드 해놓으면 자동으로 맞쳐친다 하시길래 울트라로 맞쳐놓고 쓰고있는데
    원래 인게임 들어가면 주사율이 오르락 내리락하는게 정상인가요?165도됬다가 90도됬다가 114도 됬다가 그렇게 오르락내리락 하는데 맞는건가용?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수직동기화 빠르게는 어디서 배우신건가요? 제 채널 오신이상 빠르게는 무시하시면 될꺼같습니다. 원래 지싱크를 쓰면 모니터상에서는 주사율이 오르락 내리락하는것처럼 보입니다

    • @user-pu8rf8oh1g
      @user-pu8rf8oh1g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아..감사합니다.
      주사율 표기를 켜놓고 이곳 저곳 인게임에서 돌아다니다보면 주사율이 오르락내리락했거든요 그래서 잘못설정한건가해서요ㅎ
      올리신영상 GSYNC 지싱크 설정 사용법
      여기보니 엔비디아제어판 수직동기화 on
      으로 해놓으셨든데 그럼 빠르게가 아니라 그냥 수직 동기화켜기로 해놓으면되는거군요.감사합니다 알려주셔서~^^

  • @user-pp3nd1hz9p
    @user-pp3nd1hz9p 2 ปีที่แล้ว

    답글이 엄청 빠르시네영..ㄷ 주연테크 x25f 240hz gtx1080ti hdmi 연결입니당!!

  • @user-se7mr8le1p
    @user-se7mr8le1p 4 ปีที่แล้ว

    선생님 겜방유저인데 초반렉이랑 가끔 렉이 심해지는데 180hz모니터를 144로 낮추고 프레임제한을139로 맞춰도 괜찮을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아뇨 모니터 HZ를 절대로 내리시면 안됩니다. 무조건 손해봅니다

  • @user-vr8zd5sg6w
    @user-vr8zd5sg6w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스톰님~ 질문이있어 적어봅니다
    모니터는 좋은모니터가아니라 165hz 어댑티브싱크 지원 모니터입니다 프리싱크라고 적혀있던데 자세히는 어댑티브싱크 인듯싶습니다
    현재하는게임은 스타랑 스팀싱글게임들 위주입니다
    지싱크on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수직동기on 인게임에선 수직동기off 이렇게 사용해도 문제없을까요?
    아그리고 모니터가 165hz인데 프레임제한을 144로 걸어놔도 될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동기는 건드리지마시고요. 한군대만 쓰시면 됩니다. 165라도 144 걸어도 됩니다

    • @user-vr8zd5sg6w
      @user-vr8zd5sg6w 2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지싱크키고 수직동기는 인게임 제어판둘다 꺼도될까요그럼? 아침부터 답변감사합니다♡

  • @LAGO7210
    @LAGO7210 4 ปีที่แล้ว +1

    지싱크, 수직, 저지연 울트라로 배그 해봤는데요 모니터가 100짜린데 97로 잘 유지되다가 부캠같이 로드걸리는 상황에 상관없이 한적한 곳에서도 이따금씩 60으로 고정되서 1~2분 정도 유지되다가 다시 97로 돌아오는 현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저지연 있음인가 높음으로 하고 그냥 인게임 프레임제한으로 쓰는거로 바꿔서 쓰고 있어요 이렇게 쓰니까 그 문제 현상은 없구요 참고로 사양은 3600 + 2070s, 모니터는 삼성34인치 WQHD 해상도에요. 아직 엔비디아 드라이버에서 지싱크, 수직, 저지연울트라 기능이 완벽한게 아닌건가요? 원인을 모르겠네 ㅠ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그게 모니터 기능때문에 꼬여서 그럴수도 있고 드라이버때문에 그럴수도 있고. 오류범위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프레임 제한거는 기능이나 저지연모드 울트라로 거는거나 똑같은 기능이거든요. 근데 저거는 되고 이거는 잘 안된다고 하시니 약간 뭔가 미스테리하긴 합니다. 둘다 똑같은 프레임제한 기능이라... ㅡ.ㅡ; 아 그리고 당연히 아직 제어판에 기능들이 다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 @LAGO7210
      @LAGO7210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답변 감사합니다!! 인게임 프레임제한은 드라이버 설정에서가 아니고 배그게임 내에서 설정했습니다. 제가 설정해본 두가지가 똑같다고 하셨는데 제한된 프레임 수 만보면 그렇겠지만 지난번 영상에서 말씀하신거에 저지연 울트라는 CPU인가? 를 거치지 않고 글카에서 모니터로 바로 뭐 이러한 차이점이 있잖습니까? 어쨋든 저지연 울트라의 이러한 점으로 불안정함이 있을수도 있고 이게 드라이버에서 커버쳐주지 못하는걸수도 있고 단순히 제 모니터가 지싱크 호환이기때문에 생기는 문제일 수도 있고 그렇겠네요 저지연울트라 쓰고 싶은데 아쉽습니다. 다음 드라이버 업뎃되면 다시 시도해봐야겠어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LAGO7210 아아 인게임이라고 써놓으셨구나 못봤네요 ㅋㅋ 요즘 눈이 맛이갓나.
      지싱크on+수직동기on+저지연모드 울트라 사용시 자기모니터 hz에 맞춰진 자동 프레임제한이 걸립니다.
      그거때문에 인게임에서 제한한거랑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그래서 인게임제한이 있는 게임은
      저지연모드 울트라를 쓰실꺼면 수직동기는 off 해주셔야됩니다

    • @LAGO7210
      @LAGO7210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아 그럼! 지싱크 on + 수직 off + 인게임제한 + 저지연 울트라 라는 새로운 선택지가 생겼네요 한번 시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LAGO7210 넵 그게 제가 늘 권해드리는 방식입니다. 그 상태에서 저지연모드만 켜기나 울트라로 써보라고 하죠~

  • @user-fl1wy4ud8h
    @user-fl1wy4ud8h ปีที่แล้ว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질문하나가 있는데
    제 모니터가 지싱크 호환 240hz 모니터 인데
    엔비디아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니 가변 주사율이 48 - 120 hz 였습니다.
    이런 경우는 그냥 지싱크 끄고 플레이 하는게 맞을까요?
    240hz 의 부드러움을 느낄려고 샀는데 117 fps 제한을 거는게 맞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주로 하는게임은 fps 인데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ㅠㅠ!

    • @stormtube82
      @stormtube82  ปีที่แล้ว

      헐 240인데 48-120이라니.... 근데 어차피 어떤 게임인지 모르겠으나 대략 180프레임 이상만 나오셔도 충분히 부드럽게 보이실껍니다.

  • @vhzkfl200
    @vhzkfl200 4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스톰형님 또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165hz(인게임 제한 162) G싱크 ON 수직동기화(끄기) 저지연 모두(켜기)
    이래 사용 중인데요 (배그 기준 프레임은 140~162 왔다갔다 하는 상황) -평균 159 정도
    근데 G 싱크 OFF 수직동기 OFF 저지연모드(켜기) 할때보다 부드러움은 좋은데 중간중간 렉이 발생하더라구요..
    저는 인풋렉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1인으로써 어느 설정이 맞는지 아직도 고민입니다.
    긴글 읽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모두 끄기하면 140~280 배그기준 사람에 따라 달라지긴 합니다. 다 끄면 보통 180정도 평균으로 프레임나오는 상황인거같아요.
    (아 추가로 ELMB 기능이 있는데 이걸 키는게 좋을까요 G 싱크를 키는게 좋을까요..)
    배그만 하는사람으로써 좀더 빠르게 반응하고 싶은 맘이 있습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인풋렉이 중요하다 -> 모든 기능 OFF
      ELMB는 잔상 관련 기능이라 눈으로 화면을 봐서 미세한 잔상이 눈에 거슬리지 않으신다면 필요없습니다. 그리고 모든 기능 OFF 하고 빡겜 하실려면 GPU 사용률만 99%안찍도록 잘 맞춰주시면 됩니다.
      제가 항상 강조하는 95% 이하

  • @user-hf8ud8mf6z
    @user-hf8ud8mf6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 엔비디아 제어판에 G-SYNC 설정 메뉴가 없는데요. 뭐 갈아야하나요?
    그리고 FreeSync 이거 한번도 사용한적 없는데요.
    FreeSync 이거 나오는 창 어떻게 뛰우나요?
    컴퓨터는 22년도에 새로 구매했습니다. 이엠텍 지포스 RTX 3060 STORM × DUAL OC D6 12GB 제가 쓰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제 모니터가 2016년도 삼성 LS24E393 모니터라서 "G-SYNC" 안 깔리는건가요?

  • @user-wh8dp3sv8y
    @user-wh8dp3sv8y 2 ปีที่แล้ว

    60fps고정겜이고 모니터 지싱크호환 범위가 60~144면 항상 60fps가 아니라 59fps로 떨어질 때도 있으니까 이를 생각해서 48hz부터 지싱크호환 되는 모니터 써야 하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꼭 그렇진 않습니다. 지싱크 모니터들중에 정말 하위급만 아니면 LFC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최저프레임이 떨어져도 끌어올려서 지싱크 범위안에 있는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능입니다. 그거부터 되는지 살펴보시면 됩니다

  • @Kim_Chucky
    @Kim_Chucky 2 ปีที่แล้ว

    창모드 및 전체 화면 모드 활성화하면요 전체화면에서도 짭싱크가 불안정해지나요? 아니면 창모드에서만 불안정한건가요?
    제가 요즘 세키로에 빠져서 모드로 프레임제한 풀다보니 강제로 창모드로 하게 되는데 딴게임들은 전체화면이거덩요 매번 바꿔주는것도 귀찮아서;;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1

      아니요 창모드일때만 그렇습니다

    • @Kim_Chucky
      @Kim_Chucky 2 ปีที่แล้ว

      @@stormtube82 감사합니다
      다행히 잘되네요!

  • @user-sz1lf2zv4k
    @user-sz1lf2zv4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최근 한성컴퓨터 울트론2760g 모델을 구매했는데요(180hz) 배그를 할 때 최적화 설정을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이전에 75hz짜리 모니터를 사용했어서 어떻게 설정을 하던 바꾼 모니터가 더 좋겠지만...
    1. 지싱크를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2. 지싱크를 사용한다면 지싱크 on / 인게임 수직동기 on / 인게임 프레임제한 175 정도면 될까요? (gpu는 rtx4060입니다.)
    3. 인게임 프레임제한을 걸면 저지연모드는 끄기로 하면 될까요?
    많은 유튜버중 스톰튜브님이 제일 전문적이신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 @도완득
      @도완득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싱크on +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동기 on + 낮은지연시간 울트라 + 인게임 수직동기 off + 프레임 제한 175 하세요! 많이 찾아보고 테스트해본 최적의 설정이에요! 참고로 저도 4060 입니다

  • @Junkorea
    @Junkorea 4 ปีที่แล้ว +1

    프리싱크만 지원하는 모니터인데
    지싱크 옵션있길래 1번 3번 다체크하고 마지막에 지싱크 호환표시기 까지 인게임 141 fps 맞추고 게임했는데
    게임화면에 G-SYNC ON 표시가 안보이네요..
    게임은 카스글옵입니다. 그리고 깜빡임과 알트탭딜레이등 부작용이 다생기네요 ㅋㅋ
    저같은경우는 이옵션을 사용하지않는게 좋은건가요? 1번만킬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네 어차피 3번 체크 안하면 지싱크 작동도 안됩니다. 1번 체크해놔봐야 의미 없기때문에 제어판에 모니터기술에 가신다음 고정재생빈도로 바꿔서 쓰시면 지싱크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 @Junkorea
      @Junkorea 4 ปีที่แล้ว +1

      @@stormtube82
      혹시 부작용감안하고도 지싱크기술을 쓰게되면 부작용외에는 지싱크가 프리싱크인 제모니터에 정상작용을할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Junkorea 물론이죠 약간 어두워지는거나 몇가지 게임에서 플리커프리보호기능 꺼지는거 별 신경안쓰시면 그냥 쓰셔도 됩니다

    • @Junkorea
      @Junkorea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역시 빠르고 이해하기쉬운 답변 감사합니다 이런유튜버 해외도 몇없는데 얼른 올라가세요!

  • @user-vt9sh5fg7k
    @user-vt9sh5fg7k 4 ปีที่แล้ว

    QHD사용중이구요!! 지싱크.프리싱크호환모델은 아닙니다.FPS할때 부드러울때가 더 샷이잘나온다면 엔디비아설정에서 수직동기 ON.배그인게임 ON하고 인게임 139걸고 하는게 베스트인가요? 아님 브이싱크는 프레임제한이 자동으로 걸리나요? 수직동기키면 인풋렉수치가 많이높게나올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음. 지싱크 프리싱크가 아닌상황에서 화면이 부드러울려면 수직동기ON. 배그인게임 139 걸고 하시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문제는 139프레임이 무조건 고정이 되셔야 반응속도에는 차질이 안생깁니다. 반응속도보다는 부드러운 화면을 중요시 여기신다면 신경 안쓰셔도되구요.
      60HZ쓰는사람들보다는 144HZ에서 수직동기를 거는거기때문에 인풋렉 증가는 60HZ모니터분들보다는 낮기때문에 엄청나게 예민하실정도는 아니고 직접 켜고 끄고를 해보고 결정하시는게 좋습니다
      144에서 수직동기 켜실꺼면 진짜 프레임 139쯤 고정되시는 상황에서 켜는게 낫습니다.
      브이싱크(수직동기화)라는건 자기 모니터 HZ에 맞춰서 강제로 제한을 걸어버리는는 기능이쥬

    • @user-vt9sh5fg7k
      @user-vt9sh5fg7k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고정이라는게 아애 139밑으론 떨어지면 안된다는가요ㅜㅜ 평프는 170~ 180정도나오구요
      제한걸면 139거의 계속유지하나 배그가 워낙 뭣망이라 낙하빼고는 거의유지합니다 그러면되지요? 그리고 스톰님 영상처럼 저지연모드도 끄기하면 더부드러워지는거지요?

  • @yjm7750
    @yjm7750 3 ปีที่แล้ว +2

    인풋렉 상관없는 aaa게임은 지싱크 on 수직동기 on 저지연 울트라 해서 쓰고 인풋렉 반속 중요한 fps는 지싱크 on 수직동기 off 저지연 울트라 해서 쓰면 되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예스 잘 이해하셨습니다. 아 근데 뒤에 fps게임에 지싱크 on. 수직동기 off. 저지연 울트라는. 일단 울트라는 작동 안됩니다만. 쓰셔도 상관없습니다.
      지싱크 on + 수직동 off + 저지연 울트라로 쓰게되면
      저지연모드가 "켜기"로 돌아갑니다. 여튼 약간 설명하면 복잡해지지만
      물어보신대로 쓰셔도 됩니다.

  • @esbae6230
    @esbae6230 4 ปีที่แล้ว

    배그 지싱크 관련해서 찾아봤는데 지싱크 설정시 인게임 설정영상 만들어주신다고 해서 찾아봤는데 없어서(못찾은걸 수도) 질문 드립니다..
    수직동기 관련인데 nvidia 에서 수직동기를 응용프로그램 설정으로하고 나서 인게임 수직동기를 on or off중에 뭐해야하나요?? 그리고 제가 LG 27gn750 (240hz) 인데 240에서 수직동기 온 오프 차이가 미미하다고 해서.. 선택장애가 왔습니다 ㅠㅠ
    영상대로 프레임 제한은 225로 했습니다.(237도 사실상 방어가 안되는데 뭐,,,)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2

      엔비디아 수직동기는 "응용프로그램 설정"이 맞고 게임안에서는 on/off를 하는 기준이 좀 있습니다.
      240hz에서 온오프 차이가 미미한게 아니구요 ㅋ 240hz이라도 225프레임 정도는 유지가 되는 상황에서 수직동기를 on/off해야 차이가 있는겁니다.
      물론 똑같은 60프레임을 찍어도 144보다 240hz에서 수직동기가 더 인풋렉이 낮은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지싱크가 있으시기때문에 굳이 수직동기는 안키셔도 됩니다.
      (이걸 설명해주는 영상은 아직 제가 영상을 만들지 않았습니다)
      "지싱크가 메인 수직동기 입니다[?]- 그리고 기존 수직동기는 보조입니다"
      225 정도 걸고 계신거라면 잘쓰시고 계신거에요. 그게 엔비디아가 권장하는 수치입니다.
      물론 gpu 사용률이 99%를 찍는다면 그거보다 더 내리셔야된다는점.
      수직동기는 온라인게임하실때는 끄는게 확실하게 더 낫습니다.
      패키지 게임같은거 하실때는 켜보시는걸 추천합니다.
      물론 수직동기를 끄고 지싱크를 켯는대 화면이 부드럽지 못한거 같고 화면이 하단이 짤려나가는게 거슬린다면
      지싱크 on +수직동기 on 으로 쓰시는게 맞습니다.

    • @esbae6230
      @esbae6230 4 ปีที่แล้ว +1

      @@stormtube82 빠른답변 감사합니다. 어차피 제 사양이 초울트라사양도아니라.. 모니터는 240이지만 어차피 배그들어가면 실제 교전일어날때 120~190 왔다갔따합니다.사실상 225도 방어가 절대 안됩니다.. 갓겜이라 ㅎㅎ(더 낮을때도.. 사람없이 땅보면 270나올때도..) 스톰님 영상보고 프레임제한 225로 걸고 수직동기 끄고 / 지싱크 키고 "인게임 수직동기 off" 인거죠?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esbae6230 넵 온라인게임은 이래나 저래나 무조건
      지싱크 on + 인게임 수직동기 off + 인게임 프레임 제한 + 저지연모드 켜기/울트라
      +gpu 사용률 99%는 절대 쓰지말껏
      이 최적 인풋렉의 표준입니다.

    • @esbae6230
      @esbae6230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네 감사합니다 저는 외계인급도 아니고 반응속도도 느려서... 지연속도 전혀 못느끼겠더라구요.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esbae6230 인풋렉에 너무 민감하지 않으시다면
      지싱크 on + 게임 수직동기 on + 저지연모드 울트라로 쓰세요.
      그게 가장 현명합니다 ㅋ
      알아서 프레임제한 걸립니다.
      물론 게임내에 인게임제한이 있는 게임만 제외.
      나머지는 다 저렇게 쓰세요 ㅡ.ㅡ/

  • @user-hu1nv6dd8r
    @user-hu1nv6dd8r ปีที่แล้ว

    대표님 자문을 구하고자 질문드립니다 ㅜ
    엔비디아 지싱크 설정에 들어가면 3번 특정 디스플레이를 설정합니다 라는게 아예 없어서 찝찝하네요..Ddu로 밀고 재설치해도 똑같고 dp케이블도 제대로 연결돼있는 상태이고요..
    또 제가하는 게임은 이상하게
    1번 항목인 전체화면 모드로 활성화를 하면 지싱크가 안켜지고
    그 아래에있는 창모드 및 전체화면모드로 활성화를 해야 지싱크가 켜집니다. 아래껄로 체크해야 인게임 전체화면을하던 창모드를 하던 지싱크가 제대로 작동하고요.. 이거는 제가 하는 게임문제겠지요??

    • @stormtube82
      @stormtube82  ปีที่แล้ว

      리얼 지싱크 모니터면 3번은 원래 안뜨구요. 창화면과 전체화면에서 그게 돌아간다면 그 게임이 리얼 전체화면이 아닌 다른종류의 전체화면일수도 있습니다. 어떤게임인지 안적어주셧으니...

    • @user-hu1nv6dd8r
      @user-hu1nv6dd8r ปีที่แล้ว

      @@stormtube82 배그 레이싱게임 철권 겟앰프드 이렇게 하는데 겟앰프드만 그렇습니다 ㅎㅎ

  • @jinyoungbae3652
    @jinyoungbae3652 4 ปีที่แล้ว

    엇 이미 저번영상으로 다아는내용이였는데 저지연모드 울트라로하면 알아서 모니터주사율에맞게되는건가요? 저지연모드 켜키인사람도 상관없는지랑 수직동기화 on off차이는 없다는거죠? 전 수직동기화 응용프로그램설정 인게임 끄기 프리싱크온 저지연모드 켜키로햇거든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지싱크 + 수직동기 + 저지연모드 울트라로 쓰게되면 주사율에 맞춰서 알아서 제한이 걸려버립니다. 저지연모드가 앞에 상황에서 울트라만 아니시면 되요~ 그리고 어차피 엔비디아 자체에서 걸리는거라 따로 프레임제한 걸어도 상관없긴합니다

    • @jinyoungbae3652
      @jinyoungbae3652 4 ปีที่แล้ว

      지싱크온 브이싱크온 저지연울트라 +인게임제한주사율-5 하는게나을까요 동일조건에 저지연을켜기하는게나을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jinyoungbae3652 울트라 조합은 프레임이 완벽하게 고정이 되어야지만 해놓은 의미가 있기때문에 그게 안되실때는 켜기 쓰고 제한하시는게 낫습니다

    • @jinyoungbae3652
      @jinyoungbae3652 4 ปีที่แล้ว

      수직동기도 전 외계인이아니니 프리싱크온 프레임제한 브이싱크 오프였는데 브이싱크 온까지하는게좋겟죠?

  • @shootheadbro
    @shootheadbro 4 ปีที่แล้ว

    안녕하십니까 스톰님 모니터 벤큐 2411z 144hz 노지싱크 모니터 /그래픽 1070ti 정도구요
    저사양 fps하는데 평균 프레임 150~400 왓다갓다합니다. gpu로드율 30~50프로구요.지싱크 없이 수직동기만 '빠르게' 로 설정해서 해봣는데 부드러움이 너무 좋더군요 저지연은' 켜기' 입니다.
    프레임제한 139로 두고 수직동기' 빠르게' 햇을때 보다 그냥 무제한 풀어놓고하는게 게임이 정말 부드럽고 좋더라구요 .
    지금 이렇게 수직동기 빠르게 해놓고 프레임제한 없이 써두괜찮을까요?
    지금현재로썬 인풋렉응 크게 못느끼겟더라구요
    또 수직동기 켜기 와 빠르게는 인풋렉 차이가 어느정도 날까요???수직켜니깐 프레임이 모니터주사율에 맞춰져서 생각보다 별로더군요 빠르게는 프레임이 400까진 나옵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1

      수직동기화 영상 올리기도전에 빠르기를 이미 어느정도 알고 쓰셨군요. 빠르게가
      끄기 - (빠르게) - 켜기 입니다. 딱 중간 정도의? 반응력과 화면찢김 방지라고 보시면됩니다.
      그리고 프레임제한 없이 쓰셔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gpu 사용률 99%는 끄기로 쓰던 빠르게로 쓰던 도달하지 못하도록
      막아줘야됩니다.
      인풋렉 차이라~ 아마 다음 영상 올라올때 설명을 어느정도 추가할꺼 같기한데.
      일단 빠르게를 쓰실꺼면 자기 모니터 주사율 보다 무조건 높에 나오는 게임들에서만 쓰시는게 효율이 좋습니다.
      그이하 프레임이 나오는경우에 써보셔야 크게 의미 없구요.
      인풋렉은 지싱크+수직동기on+자기 모니터 hz보다 -3정도 낮게 맞춘 상태보다
      빠르게가 인풋렉이 살짝 더 구립니다.
      빠르게는 프레임 터져나가는 게임말고는 안쓰시는걸 권장해드립니다.
      해외에서도 빠르게는 자기 모니터의 2~3배 이상 프레임이 나오는게 아니면 별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 @shootheadbro
      @shootheadbro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감사합니다!!늘 응원합니다!!

  • @GanDaDragonball
    @GanDaDragonball 4 ปีที่แล้ว

    지싱크온 수직오프로 썼는데 수직동기화 키고 써봐야겠네요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지싱크 on + 수직동기 on 하면 하단에 짤려나가는거까지 막을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간의 인풋렉 증가가 있다는점. 그 하단 짤려나가는거 보기 싫으시면 on

  • @jinhyuk89
    @jinhyuk89 3 ปีที่แล้ว

    이 내용과는 상관이 없는 질문이긴 합니다만 제가 2080ti를 사용중인데요 그래픽카드가
    고주파가 너무 심합니다 제모니터는 165인데 인게임에서 프레임을 180으로 제한해놓았고 180프레임 고정인데 고주파랑 발열이 너무 심해 144로 제한을 했더니 고주파도 없어지고 발열도 엄청 줄어들더라구요 그래서 프리싱크로 아에 컴퓨터 자체에서 무슨작업을 하든지 165를 넘지 못하게 제한을 걸어두면 고주파에서 좀 벗어날수있을까 해서 영상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제가 똑바로 사용하는게 맞는걸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고주파는 원인이 좀 여러가지입니다. 자기 집 환경도 조금 관련 있구요. 제품 자체가 애초에 고주파가 있는 모델. 인 경우도 좀 많습니다.
      대체적으로 프레임이 많이 솟구칠때 그 고주파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니터가 165라면 162 이하로 지싱크 범위안에서 노시는게 가장 좋죠.
      더 좋은건 수직동기도 활용을 잘해보시라는점. 2080TI니까 최근에 신제품을 구매하신거 같진 않고. 초반에 구매해서 그 문제가 발견되었다면 제품을 교환하거나 아예 다른회사 제품으로 갈아타는 방법도 있었긴 합니다

    • @jinhyuk89
      @jinhyuk89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얼마전 as기간도 다되가고 팬소음도 나서 수리를 보냈더니 리퍼상품이 왔는데 유달리 고주파 소리가 심하네요 ㅠ 이건 따져도 교환 안해줄것같아서 그냥쓰고 있습니다 msi rtx2080ti 트라이프로저에요 답변 감사합니다~
      팔고 rtx3070사야겠어요 ㅋㅋㅋ

  • @Andy-ur4gr
    @Andy-ur4g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스톰튜브님
    투컴으로 하면 지싱크가 꺼지는데 원래 이런건가요? 쳇gpt 기타 등등 검색해봐도 원론적인 말만 나오고 정확한 답을 못찾겠네요

  • @ft928
    @ft928 2 ปีที่แล้ว

    짭싱크사용중입니다 게임프레임이120-160정도나오는데 지싱크키고 수직키는게 확실히 부드럽긴한대 가끔 120대로 순간폭락하는구간에 화면떨림? (스터터링느낌)같은게생겨서 지싱크키고 수직동기끄면 부드러움은 덜하지만 스터터링은 안생기더라구요 후자대로 설정해서 써도되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네 지싱크고 뭐고 본인이 편한게 우선입니다

  • @Evgeneia999
    @Evgeneia999 3 ปีที่แล้ว

    1. 지싱크, 프리싱크 둘 중 지싱크가 더 좋은건가요?? 2. 둘다가능하면 지싱크를 키는게 낫겟죠???
    3. 프리싱크를 키는건 모니터 자체설정에서 프리싱크켜기만 하면되는건가요??완전컴맹입니다ㅠㅠㅠ존경스러워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1. 지싱크 프리싱크 둘다 같은 기술입니다.
      프리싱크 켜면 지싱크 호환 켜집니다.
      3. 지싱크 호환을 쓸려면 모니터 자체 메뉴에서 프리싱크 관련 옵션은 항상 켜두시라는점

    • @Evgeneia999
      @Evgeneia999 3 ปีที่แล้ว

      @@stormtube82 감사합니다ㅠㅠ

  • @hjuun537
    @hjuun537 3 ปีที่แล้ว

    스톰님 지금 지싱크 컴패티블 모니터 144에 9900k 52배수 2080ti 쓰는데요 벤큐 쓰다 어지러워서 지싱크 144로왔습니다 배그유저고요 인게임 138제한에 지싱크on 수직동기 제어판 인게임 둘다 off 저지연 울트라로 쓰는데 맞게쓰고있는건가요 ? 수직동기랑 저지연 뭘로 설정해야하는지 헷갈려서요 스톰님 영상은 다봤어요

    • @stormtube82
      @stormtube82  3 ปีที่แล้ว

      인게임은 139-141 정도 쓰시면 되고 138도 상관없습니다. 제어판 지싱크 on 수직동기 (응용프로그렘제어). 게임안 수직동기 off. 저지연모드 켜기(또는 울트라)로 쓰시면 됩니다. 그 상황에선 저지연모드를 켜기로 두나 울트라로 두나 똑같으니 둘중 아무거나 하셔도 됩니다

  • @user-bg9wt5ik7t
    @user-bg9wt5ik7t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배그유저인데요 제모니터가 지싱크를 지원하는데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에서해상도는 144hz를 쓰고있는데 배그 프로그램 설정에서 모니터 기술에서 지싱크호환이라고해놓으면 수직동기화 옵션도 켜야 지싱크가 효과를 발휘하나요?

    • @stormtube82
      @stormtube82  2 ปีที่แล้ว

      아니요 수직동기는 켜든 끄던 지싱크 호환으로 떠있고 잘 켜놨으면 지싱크의 90%가 이미 돌아가고 있습니다

  • @user-xi8cz7jr7p
    @user-xi8cz7jr7p วันที่ผ่านมา

    제가하는게임은 최대200프레임 제한걸려있고
    게임내 옵션에 수직동기 기능이있습니다 게임내 수직동기 on하고 엔비디아에서 프레임설정하는걸로 200프레임을 넘길수있더라구요 약간 리미트해제하는 느낌으로 그래서 이번에240헤르츠 모니터를구매했는데 게임내수직동기 on하고 지싱크on
    엔비디아 프레임설정 237로설정하면 될까요???

  • @RoseWoo
    @RoseWoo 4 ปีที่แล้ว

    스톰님 445.78 버전 써보셨나요?대체적으로 평이 마이크로스터링이 많이 줄었다고 하는데 후기가 궁금합니다!

    • @stormtube82
      @stormtube82  4 ปีที่แล้ว

      아뇨 저는 핫픽스 드라이버는 안씁니다. ㅋ 그리급할필요가 없어서 ㅡ.ㅡ;

    • @RoseWoo
      @RoseWoo 4 ปีที่แล้ว

      @@stormtube82 앗 까비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