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S] 전파를 이용한 무선통신기술의 탄생 / YTN 사이언스

แชร์
ฝั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5

  • @10309-yf
    @10309-y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유이합니다 덕분에 수행평가 만점 예정~~

  • @skykim6918
    @skykim6918 4 ปีที่แล้ว +2

    대단하시네요! 잘보고갑니다😀

  • @까까-p9l
    @까까-p9l 4 ปีที่แล้ว +10

    설명 진짜 쉽게 잘하시네 역시 짬밥을 무시할수가 없네

  • @procyonq
    @procyonq 5 ปีที่แล้ว +8

    ㅋㅋㅋ형이 여기서 왜나와??
    암튼 잘 배웠습니다!

  • @litecoin1324
    @litecoin1324 5 ปีที่แล้ว +3

    대단한 설명입니다

  • @므두셀라-w3x
    @므두셀라-w3x 2 ปีที่แล้ว +1

    과학쿠키 영상보고 이해 안되서 다른영상 보는데 왜 여기서도 나옴..?

  • @appleseeds5603
    @appleseeds560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통신에 사용하는 라디오파가 1mm~ 100km(100,000,000mm) 라고 하셨는데 그럼 만들 수 있는 신호의 갯수는 몇가지가 될까요? 현재 기술력으로 나노단위까지 파장의 신호를 쪼갤 수 있는지 모르겠내요.

  • @이름-s2t2b
    @이름-s2t2b 4 ปีที่แล้ว +2

    우리가 통신수단으로서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이유는 매질이 필요 없는 파동이라 공간상에서 마음껏 흩뿌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전자기파는 빛의 속도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 @Jiminlee0312
    @Jiminlee0312 4 ปีที่แล้ว +6

    엄준식

  • @-MrSnail
    @-MrSnail 3 ปีที่แล้ว

    설명은 잘 되있는 거 같은데 배경 지식이 좀 많이 필요하네

  • @krpeace
    @krpeace 4 ปีที่แล้ว +2

    오우오우

  • @Cantel-jiph
    @Cantel-jip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라 공간상에서 마음

  • @가르강튀아-u8h
    @가르강튀아-u8h 3 ปีที่แล้ว +2

    아이고 누추한 곳에 귀하신 분이 ㄷ

  • @isaaclee6719
    @isaaclee6719 3 ปีที่แล้ว

    1. 특정한 진동에서만 코일과 콘덴서의 울림이 같이 공명한단거다. 즉 서로의 리액턴스가 같아지는 지점이 있다는거다. 그런 특정 진동수만 받는다는거다.

  • @웅키키-d8q
    @웅키키-d8q 5 ปีที่แล้ว +8

    과학쿠키다

  • @존만이-r9v
    @존만이-r9v 4 ปีที่แล้ว +5

    쿠키쿠키~~

  • @1726서주영-t5b
    @1726서주영-t5b 3 ปีที่แล้ว +1

    👻👻☠☠👻👻☠☠👻👻

  • @김명환-d9m
    @김명환-d9m ปีที่แล้ว

    Cw

  • @기다림-r5r
    @기다림-r5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뭔 개소리인지 하나도 모르겠다

  • @김선미-d3m
    @김선미-d3m 2 ปีที่แล้ว

    통신과 통오징어로 돈벌이들을 허벌나게 했다는거!

  • @hhoon8792
    @hhoon8792 3 ปีที่แล้ว +5

    과학쿠키 얘는 뭐 엄청 있어보이게 얘기하지만 항상 내용은 아무것도 없는.. ㅎㅎ 걍 공학코너 보는게 훨 낫더라 중고등 교사라 그런지 깊이가 너무 얕어

    • @hyeonsoo
      @hyeonsoo 3 ปีที่แล้ว +23

      전자기학 전공자입니다
      저설명은 대학교1,2학년 과정이고요
      흐름이해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런데 이 동영상을 보면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있을 것 같네요
      잘 만든 것 같아요
      물론 중간중간 용어 부가설명있었으면 하는 부분은 있지만,그거까지 바란다면 욕심이죠. 그리고 그런 지식을 원한다면 1시간짜리 강의영상보러가세요
      님이 1년동안 외워도 못외우는 수식들 ㅈㄴ 나올테니까 ㅋㅋㅋ
      어디서 알지도못하면서 꼰대질이여

    • @최해수-b2f
      @최해수-b2f ปีที่แล้ว

      깊이가 얕다기 보다는 너무 전문 용어만 사용하다보니 일반인들은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못 알아 듣는다는 단점이 아닐까요? 난 첫번째로 궁금한게 음파입니다. 즉, 목소리는 어떻게 전달되는지? 입니다. 목소리는 성대가 진동을 해서 소리가 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진동하는 성대의 움직임을 어떻게 주파수로 표현을 하며, 진동에는 진폭이 있고 파장이 있으며 주파수가 있는데 그 각각이 어디에 해당되는지는 언급이 없고 오로지 고주파 저주파만 이야기 하고 음성 주파수는 300~3400Hz이다? 정도로만, 마치 책에 쓰여있는 것만 말로 해주는 기본 중의 기본은 언급이 없고 암기하라는 식의 설명만 해주니 답답합니다. 지금 그런 동영상이 거의 답니다.

    • @appleseeds5603
      @appleseeds560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님 댓글수준이 깊이가 얕은거같은데요? 문과인 저도 큰틀은 이해할 수 있을정도로 설명 잘해주셨는데.. 내용이 아무것도없는건 본인의 지식수준이 얕아서 그런거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