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투스, 와이파이, 에어드롭은 어떻게 다른 걸까?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ก.พ. 2025
  • Bluetooth, WiFi, AirDrop은 어떻게 다른 걸까?
    그 원리에 대해 아는 척 해보자!
    #블루투스 #wifi #airdrop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1

  • @MaplestoryKR_Official
    @MaplestoryKR_Officia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편집자가 문과생임?
    메가헤르즈 단위가 어떻게 MGHz인거지?
    채널주인의 검수도 못잡아냈나??

    • @KoreaScienceTechnology
      @KoreaScienceTechnolog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확인을 제대로 못 했네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다른 분들도 확인하실 수 있게 고정댓글로 해두겠습니다.

    • @허난설현-c2d
      @허난설현-c2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다 좋은데 문과생이 왜 나오냐.

    • @LSH_2379
      @LSH_2379 15 วันที่ผ่านมา +1

      문과 무시하시는지?
      나도 문과생이지만 메가헤르츠가 MHz인건 안다
      이건 초딩이여도 라디오같은거 많이들으면 저절로 알게됨

  • @yuwon1213
    @yuwon1213 ปีที่แล้ว +8

    와우 질문보다 더 많은 궁금증을 해결해 주셨네요! 내 세금 더 가져가요❤❤❤

  • @라마헬기
    @라마헬기 22 วันที่ผ่านมา +2

    공부 합니다
    강의 감사 드립니다

  • @junghyunlim21
    @junghyunlim2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4:35 경에 사용 주파수 범위에 대해 크게 잘못된 내용이 있습니다. Wi-Fi나 Bluetooth나 둘 다 ISM Band라고 불리는 2.4GHz (2400~2483.5 MHz) 대역을 씁니다. 둘 다 라이선스가 필요없는 저출력으로 라이선스가 필요없는 이 ISM 밴드에 할당되어 있는 겁니다. 2.5GHz는 WiFi에 쓰는 밴드가 아니라 무선통신(휴대전화)에 할당된 대역으로 Band1에 해당합니다. 수정 바랍니다.

    • @KoreaScienceTechnology
      @KoreaScienceTechnolog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오류가 있었네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댓글을 상단에 고정시켜놓도록 하겠습니다.

  • @cys1974
    @cys197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원리를 알려다가 더 미궁으로...좀 더 쉽게 알려주는 채널 추천해 주세용 !
    원리를 알려준다면서 단순 정보의 나열....예를 들면, 장파장=채널간 간섭이 상대적으로 많다라는데 그게 왜 그런 지는 얘기 안 함. 그런 거를 얘기해 줘야 그 근본원리가 설명되는 거 아님 ?

  • @djfjdjfix9368
    @djfjdjfix936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5:40에 22GHz 대역의 5G 밀리미터파에서 '오기가'가 아니고 '파이브지' 아닌가요?

    • @KoreaScienceTechnology
      @KoreaScienceTechnolog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네요. 제가 잘못 읽었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 @houseofgodnm
    @houseofgodnm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요즘 한국방송보면 어른이나 청년들이 버릇없이존칭어 안쓰던데 ,어른에게 예쁘게 존칭어 쓰는 젊은이는 처음 봅니다. 미국에서 축복해요

  • @yuwon1213
    @yuwon1213 ปีที่แล้ว +3

    물은 하수처리장에서 재활용되는데 산업 현장에서 생기는 수많은 폐기름과 식당에서 남는 식용유는 어떻게 재처리되는지 궁금헙니다

  • @검정고무신-t2z
    @검정고무신-t2z ปีที่แล้ว +3

    주파수 호핑...주파수 도약 인가요?

    • @KoreaScienceTechnology
      @KoreaScienceTechnology  ปีที่แล้ว +2

      주파수 도약을 영어로 하면 frequency hopping이라 같은 말이라 할 수 있겠네요
      word.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subject=%EC%A3%BC%ED%8C%8C%EC%88%98+%EB%8F%84%EC%95%BD

  • @이재영-e7w
    @이재영-e7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람인데 한가지 질문 하겠습니;다
    컴퓨터 본체 바로뒤에 벽에 부착된 동그라미처럼 생긴 것에서
    선을 꽂아서 컴퓨터에 연결된 것이 보이든데 그게 뭡니까?
    혹시 외부에서 인터넷을 우리집에 보내주는 그런 잭입니까?
    두번째 질문올립니다
    컴퓨터와 멀리 떨어진 TV 화면 뒤에서도 벽에서 뭘 따와서 짐승
    뿔 처럼 생긴 두개의 안테나가 달린 사각형모양의 것이 있든데
    또 그건 무슨 역할을 하는가요? 누구 말로는 공유기라고도 한것
    같든데 / 그렇다면 이 두개가 다 있어야만 우리집 컴퓨터기 정상으로
    인터넷도 작동하고 컴푸터도 사용할수 있는가요? 이거 둘중에 한개만
    없어도 컴퓨터는 동작 못한가요?가요? 잘 좀 알려 주신다면 감사하겟습니다/

    • @jingyu_park
      @jingyu_par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답변을 드리고 싶은데 정보가 명확하지 않네요.
      우선 두번째는 공유기가 맞는 것 같고, 그게 있어야 인터넷이 가능해요.
      컴퓨터 자체를 사용하는 것은 별개로, 공유기가 없어도 작동 합니다.
      첫번째 경우 동그라미라고 말씀 하시면, 3.5 파이 잭으로 오디오 단자를 말하는건지,
      옛날 마우스 키보드 잭을 말하는건지 알기 어렵네요.
      컴퓨터에 인터넷을 연결하는데 유선과 무선 방법이 있어서 정확히 어떤걸 말하는지 알아야 답변이 가능합니다.
      무선의 경우 안테나가 보일 수도 있고 안 보일 수도 있습니다. 만약 외부 안테나가 있다면 동그라미 처럼 생기긴 했어요.
      근데 유선의 경우엔 잭이 사각형입니다.

  • @BanGoo-sk4gk
    @BanGoo-sk4g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 어디가서 잘난척 할수 있을거 같아요.

  • @강모경
    @강모경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안녕하세요. 간결하고 짜임새있는 설명 감사합니다. 스마트폰 속의 수학을 주제로 교육용 학습 영상을 제작하려 합니다.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에어드롭의 원리 자료를 참고해도 될까요? 정확한 출처 기록 후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KoreaScienceTechnology
      @KoreaScienceTechnolog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네네 좋은 수업에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___^

  • @changryu8128
    @changryu812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i have PhD of chemistry. I also studied physics very much. In this video, I cannot understand what you are talking about.

  • @oxylite
    @oxylite ปีที่แล้ว +6

    와이파이에 블랙홀이라니 세상에나?!?!?!

  • @sungjun9049
    @sungjun9049 ปีที่แล้ว +4

    기기간 페어링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 @test-driver
    @test-drive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혹시 이런 전자공학 내용이 일반인도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과 함께 정리된 교양 서적이 있을까요?

  • @멸공특공701-88
    @멸공특공701-8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G에서 5M간격이라는것은 2.405G , 2.410G , 2.415G... 등등의 5M Hz 차이나는 전파 13개 (채널)(2.400G - 2.475G) 전파에 데이타를 실어 보낸다는 뜻인가요?

  • @hamlee280
    @hamlee28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나도 이과 인데 어렵습니다.

  • @람람이네
    @람람이네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에어드롭이 왜 여길 껴?

  • @timlee7995
    @timlee799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유기(NAT Router)와 AP(Access Point)는 완전히 다른 개념의 기기 입니다
    NAT Router와 AP가 합쳐진 기기를 "무선 공유기" 라고 부르는데 이건 굳이 번역하자면 AP-NAT router가 되는 것이지 AP와 router가 같은 기기는 아닙니다.
    마치 휴대폰과 카메라가 결합된 스마트폰을 가르키면서
    "휴대폰은 카메라 입니다" 라고 설명하는 것과 같은것입니다

  • @SilverLake.
    @SilverLak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음질 순위 balanced wire > WiFi > Bluetooth 음악은 블루투스로 듣는거 아님

  • @MaplestoryKR_Official
    @MaplestoryKR_Officia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편집자 뿐만아니라 진행자 역시 전문성이 떨어지시네
    5:37 22GHz의 5G 밀리미터파 설명을 5기가 밀리미터파라고 언급하는데
    여기서 5G는 5기가가 아닌 5th Generation, 5세대 통신기술을 의미합니다
    이동통신기술의 3G, 4GLTE와 결이 같죠
    편집도그렇고 내레이션도 이정도면 정보전달채널에서 가장 중요한 전문성,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 @KoreaScienceTechnology
      @KoreaScienceTechnolog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확한 정보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MaplestoryKR_Official
      @MaplestoryKR_Officia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oreaScienceTechnology 예 부탁드립니다
      며칠전에 구독해서 잘 보다가 아쉽네요
      오래전 영상이라 오지랖일수도 있겠습니다

    • @KoreaScienceTechnology
      @KoreaScienceTechnolog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MaplestoryKR_Official 앞으로도 보시다가 잘못된 부분 있을 때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ddingles2916
      @ddingles291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늘 고민해주시고 어떻게든 쉽게 설명해주시려 애써 주셔서 고맙습니다~~ 예민한 피드백도 부드럽게 수용하는 태도에 제작진들이 더 신뢰가 가네요.

  • @멍멍이-i3n
    @멍멍이-i3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오메가 헤르즈 쓰는거 보고 신뢰도 확떨어지네

  • @margo2jp
    @margo2j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처음이햬됨

  • @breathe478
    @breathe47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학기술이 바꾼거는 맞는데 세상을 좋게 만든다는거에는 글쎄요 부작용 반작용도 분명히 있을테니까요

  • @별빛나그네-c3u
    @별빛나그네-c3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버섯뚜껑 헬멧 머리 ㅋㅋㄱ

    • @KoreaScienceTechnology
      @KoreaScienceTechnolog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외국여행 나가니 머리보고 한국인인 거 알아봤다고 하더라고요

  • @나의나
    @나의나 21 วันที่ผ่านมา

    한마디로 무식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