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행성의 3시간이 지구의 23년이라는게 정말 가능할까?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3 มิ.ย. 2020
  • 영화 뒤풀이 리뷰엉이 구독하기 goo.gl/CuJFLJ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우주 영화 인터스텔라. 쿠퍼의 딸 머피는 아빠보다 훨씬 늙어버린 모습인데요, 이게 그냥 영화적 상상이 아니라 과학이랍니다. 특수상대성 이론으로 서로 시간이 어떻게 다르게 흐를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몇 가지 오류를 바로잡아 재업한다 부엉. 도움 주신 부엉이들 정말 고맙다 부엉!
    참고문헌
    인터스텔라의 과학 - 킵 손
    거의 모든 것의 역사 - 빌 브라이슨
    코스모스 - 칼 세이건
    우주여행과 특수상대성이론: 아는 것과 보이는 것의 차이 - 윤복원
    빛의 물리학 - EBS
    빛보다 느린 세상-최강신
    광속불변의 원리 이해- 곽경도
    아인슈타인과 광속 미스터리 -박성관
  • ภาพยนตร์และแอนิเมชัน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7K

  • @YTNSC
    @YTNSC 3 ปีที่แล้ว +9879

    과학 유튜버로 전향하셨다는 소문 듣고 찾아와봤습니다.

  • @리뷰엉이
    @리뷰엉이  4 ปีที่แล้ว +528

    몇 가지 오류를 바로잡아 재업한다 부엉. 도움 주신 부엉이들 정말 고맙다 부엉!

    • @user-kl6ub5cq1o
      @user-kl6ub5cq1o 4 ปีที่แล้ว +12

      6:25 빛의 속도에 이르게 되면 시간은 거의 멈춘 걸로 보이는 것이 아닌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습니다. 만약, 빛의 속도로 간다면 상대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기준계에서는 물리 법칙이 동일하게 적용이 된다는 논리에 모순이 생겨서 특수상대성 이론을 이 경우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즉, 가설의 조건부터가 맞지 않는 경우가 되어버립니다.

    • @user-kl6ub5cq1o
      @user-kl6ub5cq1o 4 ปีที่แล้ว +1

      만약, 이 글을 적으시고 싶으시다면 빛의 속도에 이르게 되면 이라는 표현 보다는 빛의 속도에 가까워지면 이라는 표현이 맞을 것 같습니다.

    • @user-kl6ub5cq1o
      @user-kl6ub5cq1o 4 ปีที่แล้ว

      다시 오류 잡아버리기.. ㅎㅎㅎㅎ(죄송해요..ㅠㅠ)

    • @cuckoo6854
      @cuckoo6854 4 ปีที่แล้ว

      영화 한편으로 과학 채널 된다부엉!!!

    • @kjh090194
      @kjh090194 4 ปีที่แล้ว +1

      어제밤에 영상보다가 갑자기 삭제되서 놀랫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 다시올라왓네유

  • @user-um8vw7xo5o
    @user-um8vw7xo5o ปีที่แล้ว +25

    아 볼수록 더 심오해지고 이해가 어려운게 한계가 오네요 ㅎㅎ
    이모든걸 이해하고 설명하다니 대단하십니다

  • @pia1010
    @pia1010 ปีที่แล้ว +8

    아하~~~정말 이해가 쏙쏙!
    어렵고 이해하기 힘든 부분을 정말 쉽게 잘 설명해주셨네요.. 추천!!

  • @user-zx4zn1jw2j
    @user-zx4zn1jw2j 3 ปีที่แล้ว +7661

    2014년에 나온 인터스텔라가 나온지 6년이 지났지만, 파도 행성에서는 49분이 지났을 뿐이다.

    • @whale-bp1nw
      @whale-bp1nw 3 ปีที่แล้ว +1507

      그렇게 말하니까 체감 확대네ㄷㄷ

    • @user-ct6vv3jo9l
      @user-ct6vv3jo9l 3 ปีที่แล้ว +119

    • @user-dd6wy2pt6k
      @user-dd6wy2pt6k 3 ปีที่แล้ว +70

      왘ㅋㅋㅋㅋㅋㅋ

    • @user-ht7ct2xv9t
      @user-ht7ct2xv9t 3 ปีที่แล้ว +305

      이제 문열고 나올듯

    • @2vi111
      @2vi111 3 ปีที่แล้ว +219

      체감...좆대네요...

  • @Jiguk-d3y
    @Jiguk-d3y 4 ปีที่แล้ว +5199

    시간을 느리게 가게 하는 방법:
    *플랭크*

    • @user-ch8yw3xf7q
      @user-ch8yw3xf7q 4 ปีที่แล้ว +1610

      플랭크하면 중력도 강해짐

    • @twq4016
      @twq4016 4 ปีที่แล้ว +98

      그렇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ubenano4371
      @tubenano4371 4 ปีที่แล้ว +153

      아침조회....아침 점호. 우엑

    • @cbul6440
      @cbul6440 4 ปีที่แล้ว +108

      ㅋㅋㅋㅋㅋ1분이 2분이 되게 하는 마법ㅋㅋㅋㅋ

    • @user-ww2ot8lo1u
      @user-ww2ot8lo1u 4 ปีที่แล้ว +6

      ㅆ ㅇㅈ

  • @user-kb8fe4vd4j
    @user-kb8fe4vd4j 2 ปีที่แล้ว +1675

    아무리 설명을 들어도 이해가 안가는걸 아인슈타인은 어떻게 저런 이론을 생각해낸거고 또 그걸 입증하게 만들다니,,, 정말 인류역사상 전무후무한 천재가 틀림없네요

    • @Kopro____
      @Kopro____ ปีที่แล้ว +66

      전무후무전현무

    • @user-rb2ze1bq7q
      @user-rb2ze1bq7q ปีที่แล้ว +14

      우주로 나갈수없는이유
      외계인이 찾아와주길 기다리는것이 빠른이유

    • @user-vx2zj8qb2f
      @user-vx2zj8qb2f ปีที่แล้ว +4

      @@Kopro____ 유상무상무

    • @nayanaya
      @nayanaya ปีที่แล้ว +18

      아인슈타인이 외계인이 아닐까?

    • @Lucky-xn9vj
      @Lucky-xn9vj ปีที่แล้ว +53

      저걸 직관적으로 상상해서 생각해냄... 미친천재임

  • @user-lg8zi1sl3o
    @user-lg8zi1sl3o ปีที่แล้ว +7

    특수상대성이론을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는 채널은 처음 봤어요ㅎㅎ
    앞으로도 많이많이 영상 올려주세용

  • @tropicana3641
    @tropicana3641 3 ปีที่แล้ว +3913

    진짜...아인슈타인...대단하다...
    우주가 우주의 열쇠에 대한 힌트를 주기위해 만든사람같다

    • @mlllten6048
      @mlllten6048 3 ปีที่แล้ว +216

      비윾 미쳤노

    • @TifosiCL
      @TifosiCL 3 ปีที่แล้ว +106

      진짜 진짜 대단하다는 말밖에

    • @user-sb4vm7lr4x
      @user-sb4vm7lr4x 3 ปีที่แล้ว +17

      비윾 ㄷㄷ

    • @Gur.er3
      @Gur.er3 3 ปีที่แล้ว +13

      지구가 멸망할때 까지 모름

    • @kimjunsik540
      @kimjunsik540 3 ปีที่แล้ว +245

      아인슈타인 ㄹㅇ ㅈㄴ똑똑하다 진짜 26살에 어떻게 저런생각을

  • @핫도그
    @핫도그 3 ปีที่แล้ว +16

    물리학1 내용을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IJLJGV2021
    @IJLJGV2021 2 ปีที่แล้ว +1

    매번 재밋게 보고 있어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cx6jw8os4l
    @user-cx6jw8os4l 2 ปีที่แล้ว +168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우주 영화, 인터스텔라는 제가 가장 재미있게 보았던 인생영화 중 하나입니다. 시간이 느리게 가는 파도 행성 기억이 나네요. 특수상대성 이론으로 해당 부분을 잘 설명해 주신 것 같습니다

    • @user-on8we6gz8l
      @user-on8we6gz8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파도행성에 살고싶다 ……..

  • @leesmigt
    @leesmigt 3 ปีที่แล้ว +6

    인터스텔라 좋아해서 몇번이나 봤는데
    썸넬 덕에 들어오긴했지만
    이론은 역시 힘들지만 편집 재밌네요ㅋㅋㅋㅋㅋㅋ

  • @user-nj8jl9yp9o
    @user-nj8jl9yp9o 3 ปีที่แล้ว +36

    2:11 마음의 소리 동굴 울림 처리 이런 디테일 좋았어 형~

  • @teammadmax4905
    @teammadmax4905 ปีที่แล้ว +70

    인터스텔라는 영상미도 스토리도 매우매우 좋지만 가장흥미로우며 대중에게 관심을받는 과학 이론중 하나인 아이슈타인 특수 상대성 이론을 메인 테마로 도입함으로써 만들 관객들로 하여금 지적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주었던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리뷰를 너무 잘하십니다

    • @user-yi8mf2vx3k
      @user-yi8mf2vx3k ปีที่แล้ว

      top을 노려라1,2 가 원조입니다

  • @user-dx9do7ii8g
    @user-dx9do7ii8g ปีที่แล้ว +4

    너무 재밌게 잘봤어요
    상대성이론을 백만분의 1일정도는 이해한듯 해요~
    인터스텔라에 대해 묻고 싶어도 모르는걸 몰라서 못 물어요ㅜㅜ

  • @user-yy2xp7dj5o
    @user-yy2xp7dj5o 4 ปีที่แล้ว +28

    자기전에 들으니 잠이 아주 잘옵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junyeol97
    @junyeol97 2 ปีที่แล้ว +1209

    당시 인터스텔라를 보면서 이해가 안가 많은 해석영상을 찾아보기도 했지만 그래도 이해가 어려웠는데 이렇게 보니 이해가 조금 가기도 하네요. 정말 과학의 영역은 정말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아인슈타인의 대단함과 위대함이 새삼스럽게 느껴지네요.

    • @user-gu8oi3jg9s
      @user-gu8oi3jg9s 2 ปีที่แล้ว +24

      아인슈타인은 외계인이기 때문 입니다

    • @user-cc9qe5gu9b
      @user-cc9qe5gu9b 2 ปีที่แล้ว +2

      그쉬운걸 왜몰라

    • @user-we3dy8qn9k
      @user-we3dy8qn9k 2 ปีที่แล้ว

      난 이해 다 가던데 물론 뒷부분 블랙홀속 빠지고 과거 보는건 말도 안되지만 그 장면 속엔 과거로 가도 과거를 바꿔선 안됀다는 메세지였음

    • @user-ox8hw9ik1f
      @user-ox8hw9ik1f 2 ปีที่แล้ว +32

      이해가 가면 과학자를 하고 있어야죠 ㅋㅋㅋㅋㅋ 인터스텔라 쓴 작가도 완전히 이해를 못하고 시나리오 썻다는데 ㅋㅋ

    • @user-cc9qe5gu9b
      @user-cc9qe5gu9b 2 ปีที่แล้ว +2

      @@cozyboyyy1721 머리.나쁜게.죄냐?...머리좋은 애들은.이해하면서 본다..너같은놈만 잇지않아

  • @user-vq5uh5qv5b
    @user-vq5uh5qv5b ปีที่แล้ว +5

    크..어려우면서 재미잇고 이해할거같은데 안가는.. 부엉님이 얼마나 노력하시는지 알거같아요 항상 즐겁게 보는중입니다 감사해용

  • @mihsre
    @mihsre 2 ปีที่แล้ว +189

    이걸 보고 물1 수행평가 범위를 한번에 이해했습니다.
    제대로 이해한지는 모르겠으나
    왜 속도가 빠를수록 시간팽창과 길이수축이 커지는지 대충 알게된것 같아요
    역시 과학유튜버님...

    • @user-bb4ug4rb2t
      @user-bb4ug4rb2t ปีที่แล้ว

      왜 속도가 빠를수록 시간팽창과 길이수축이 커지는데? 설명해봐

    • @aaa-up9oq
      @aaa-up9oq ปีที่แล้ว

      지금 고등학생이신거 같은데 참 부럽네요. 이른나이에 이런 유익한 자료들을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다는 것과 유튜브 또는 각종 SNS 매체를 통해 세상의 다양한 것들을 접할 기회가 많음으로서 세계관 확장의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요. 제 학창시절땐 유튜브같은 매체가 없었거든요. 인터넷시대, 디지털시대가 이제 막 도래하기 시작한 시절이었어요. 제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 영향을 끼친건 부모님,형제,친척,동네 아저씨아줌마,동네 친구, 학교 친구,학교 선생님이 전부였습니다. 제 시야는 항상 그 안에만 있었죠. 그래서 부러워요. 손가락으로 핸드폰스크린 몇번 두드리면 지구 정반대편에 있는 사람의 이야기도 들을 수 있는 시대이니까요.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들의 폭이 매우 넓다는건 크나 큰 행운이라고 생각해요. 마음껏 누리시기 바랍니다.

    • @mihsre
      @mihsre ปีที่แล้ว

      @@user-bb4ug4rb2t 졸업하고 다 까먹어버림....ㅎㅋㅋㅋㅋ

    • @mihsre
      @mihsre ปีที่แล้ว

      @유튜브프리미엄7 물2시간에 물1함

    • @hongjunkim1829
      @hongjunkim1829 ปีที่แล้ว

      이거보고 이해하면 존나 천재인거임

  • @doublej5891
    @doublej5891 3 ปีที่แล้ว +393

    특수 상대성이론
    아침에 더 자는 5분
    칼마감하기위한 퇴근 5분전

    • @user-iz4gx9dx1s
      @user-iz4gx9dx1s 2 ปีที่แล้ว +7

      이거다...

    • @bunny_12bunny
      @bunny_12bunny 2 ปีที่แล้ว +1

      왘ㅋㅋㅋㅋ👍👍

    • @user-vu2rj2qj5f
      @user-vu2rj2qj5f 2 ปีที่แล้ว +1

      ㅌㅋㅋㅋㅋㅋㅋㅋ지렸다

    • @user-ks1eu7of9w
      @user-ks1eu7of9w 2 ปีที่แล้ว +1

      일상에서도 진리를 깨우칠 수 있

    • @user-fv5ly9sg6d
      @user-fv5ly9sg6d 2 ปีที่แล้ว +1

      오!!!!! 아인슈타인설명보다 빠른이해!!!!

  • @user-nv8kf9bj1y
    @user-nv8kf9bj1y 3 ปีที่แล้ว +5

    와 그 어려운 이론을 저도 이해가 되게 설명해주셧네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b8nj2tz5w
      @user-yb8nj2tz5w 2 ปีที่แล้ว

      정말 이해됐어요??

    • @user-nv8kf9bj1y
      @user-nv8kf9bj1y 2 ปีที่แล้ว

      @@user-yb8nj2tz5w 어 바보 빼곤 다 이해할껄? 어떻게 더 설명하니?

    • @yulop7649
      @yulop7649 ปีที่แล้ว

      @@user-nv8kf9bj1y 저는 바보인가봅니다..

  • @ksd9992
    @ksd9992 2 ปีที่แล้ว +2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tubeu5816
    @tubeu5816 2 ปีที่แล้ว

    아우 너무 재밌어요 메모해 가면서 보고 있다능ㅋ
    볼만한게 없어 돌아다니고 있었는데 구독하고 자주 올께요~ 좋은 컨테츠 고마워요^^

  • @user-rp8re8nj8y
    @user-rp8re8nj8y 3 ปีที่แล้ว +118

    놀라운 영상이다. 이 영상을 통해 부엉이가 다양하게 쓰인다는걸 첨 알았다.

  • @S2_milet_S2
    @S2_milet_S2 3 ปีที่แล้ว +942

    예전의 인터스텔라개봉당시 영화관에서 처음봤을때 파도행성에서 당연히 저멀리는것이 산인줄알았는데 파도로 나오는장면에서 스크린이 엄청높게느껴지는데 이장면이 브금과 찰떡이라 소름이 쫙돋앗음 ㄹㅇ

    • @bunny_12bunny
      @bunny_12bunny 2 ปีที่แล้ว +19

      영화관에서 못본거 너무 아숩 ㅠㅠㅠㅠ

    • @user-bs8bw7zb3o
      @user-bs8bw7zb3o 2 ปีที่แล้ว +2

      별이삼샵 인정합니다

    • @MoongTang22
      @MoongTang22 2 ปีที่แล้ว

      보고 다음주에 또가서 혼자봄

    • @atfe4996
      @atfe4996 2 ปีที่แล้ว

      1:43:1비율? 그냥 일반적인 영화관 스크린의 위 아래를 더 확장시킨 정사각형급 용산아맥 스크린으로 인터스텔라 봤음 진짜 대.박.

    • @Angel0989S
      @Angel0989S 2 ปีที่แล้ว +1

      지금 봐도 무서워요 상상력으로도 하

  • @stories9066
    @stories9066 ปีที่แล้ว +41

    물리교과서 10번 읽는 것 보다 이거 한번 보느게 훨씬 효과적인듯..
    설명 진짜 잘하시네

  • @user-uc2jj9ne3s
    @user-uc2jj9ne3s ปีที่แล้ว

    영상 재밌게 봤습니다~

  • @user-xd6ms8mm3j
    @user-xd6ms8mm3j 3 ปีที่แล้ว +229

    진짜 난 쉽게 설명 해줘도 이해가 안 가는데 아인슈타인은 대체 어케 이런 생각을 했을까.... ㄹㅇ 사람이 아닌 거 같음

  • @user-tj3fs3dm8x
    @user-tj3fs3dm8x 3 ปีที่แล้ว +672

    아인슈타인은 신이 힌트준거같다 진짜

    • @user-vw3bq2ob1w
      @user-vw3bq2ob1w 3 ปีที่แล้ว +18

      빅뱅 이후 신이 만들어 질 시간도 없다- 스티븐 호킹.

    • @jin_bro
      @jin_bro 2 ปีที่แล้ว +13

      개소리하지말고 일이나해라 - 취준생

    • @user-vx6he1rc2i
      @user-vx6he1rc2i 2 ปีที่แล้ว

      하하엣날에 극락에몇칠꿈같이 보내고 지상에오니 백년가까이 지났다는 말이이거였네

    • @using_namespace
      @using_namespace 2 ปีที่แล้ว

      @@user-vx6he1rc2i 조이

    • @UCaIeIeu7xK5q7WxHN9eGGyQ
      @UCaIeIeu7xK5q7WxHN9eGGyQ 2 ปีที่แล้ว

      @@using_namespace 고

  • @leesoein9364
    @leesoein9364 ปีที่แล้ว +1

    저같은경우는 상대성이론과 4차원개념을 이해하고 봐서 그런지 시간가는지 모르고 오랜만에 몰입해서 3시간 엄첨재밌게봤네요...

  • @eesb30421able
    @eesb30421able ปีที่แล้ว +2

    중딩때 우주과학에 빠져서 우주관련된 책은 겁나 읽고 읽었는데,,,,,,,,,,,
    나이들면서 잊고 있었는데 인터스텔라를 보면서 다시 중딩때 읽은 우주과학 책들을 다시 보면서 추억여행을 시켜줘서 8번넘게 본거 같내요ㅎㅎㅎ

  • @DH-vi8we
    @DH-vi8we 3 ปีที่แล้ว +136

    2:19 진지하게 보고있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aryngoo
    @maryngoo 3 ปีที่แล้ว +764

    이걸 다보고 내 머릿속에 남는건
    부엉이

    • @tv-ns7le
      @tv-ns7le 3 ปีที่แล้ว +2

      ㄹㅇㅋㅋ

    • @user-hc5ez8kb8q
      @user-hc5ez8kb8q 3 ปีที่แล้ว

      ㅠㅠㅋㅌㅌㅌㅌㅌ

    • @tsk8496
      @tsk8496 3 ปีที่แล้ว +27

      우흥

    • @user-vk3ps6uy5g
      @user-vk3ps6uy5g 3 ปีที่แล้ว +19

      바위

    • @Abcdey9
      @Abcdey9 3 ปีที่แล้ว +7

      부엉이가 살았어요

  • @cycross70
    @cycross70 2 ปีที่แล้ว +201

    시간은 항상 미래로 흐르는가라는 책을 읽을 때 빛과 시간의 관계에 대해서 이해를 못했는데 설명을 잘해주셔서 이제 이해가 되네요^^

    • @user-fx5sw4jy7hYz9Hzi
      @user-fx5sw4jy7hYz9Hzi ปีที่แล้ว +1

      뭐가 어떻게 이해가 됐다는 말인지.. 이걸 이해할수 있는 사람은 없고 증명할수도 없고 실제 인지 조차도 모릅니다.

  • @__OvO___
    @__OvO___ ปีที่แล้ว +1

    알고리즘떠서 우주고양이땜에 알게됬는데 준내잼있네 구독 누르고 떡상기원합니다.

  • @Kikisuajwhhnmd12
    @Kikisuajwhhnmd12 3 ปีที่แล้ว +595

    아인슈타인 ㄹㅇ 천재네.. 어케생각했냐진짜

    • @user-ng9jr8jt7y
      @user-ng9jr8jt7y 3 ปีที่แล้ว +34

      없는 지식을 만듦 난 있는걸 들어도 어려운데

    • @lossantospolicedepartmentl1855
      @lossantospolicedepartmentl1855 3 ปีที่แล้ว +1

      몰랐음? 아인슈타인 사람 아님 저걸 사람 머리로 어케아냐

    • @user-pn1ir5jz8q
      @user-pn1ir5jz8q 3 ปีที่แล้ว +1

      그 아인슈타인도 씹어먹는게 폰노이만임

    • @user-vw3bq2ob1w
      @user-vw3bq2ob1w 3 ปีที่แล้ว +4

      천재는 시대에 따라 다른 모습. 아인슈타인 가정이 클래식 집안이었다면 베토벤, 쇼팽급 작곡자가 됐을지도.

    • @user-pn1ir5jz8q
      @user-pn1ir5jz8q 3 ปีที่แล้ว +5

      @@user-vw3bq2ob1w 너무 빨지마시길.. 님도 아인슈타인처럼 하시면 됩니다. 할수 있어요

  • @kimsunghyeon9825
    @kimsunghyeon9825 3 ปีที่แล้ว +8

    이영상 그냥 특수상대성이론 쉽게풀이해주는 영상인듯ㅋㅋㅋㅋㅋㅋㅋ
    그래도 덕분에쉽게 이해했어요!

  • @min-se1ss
    @min-se1s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BS다큐프라임 빛의물리학편이랑 비슷한 내용인데 그림체도 귀엽고 요약도 잘되있어서 보기 재밌네요

  • @wkdrhsl
    @wkdrhsl ปีที่แล้ว +2

    살면서 한번쯤은 이해해보고 싶은 과학중하나였는데....감격스럽네요!!!

  • @X6ix
    @X6ix 3 ปีที่แล้ว +434

    2:20 ㅋㅋㅋㅋㅋ미쳐버린거냐구ㅋㅋㅋ

  • @user-ez9bv2ic6g
    @user-ez9bv2ic6g 4 ปีที่แล้ว +195

    근데 진짜 쉽게 이해 잘가게끔 설명했다..
    진짜 이 영상은 할수있는 최대한 쉽게 설명한거임

    • @user-nx9zu2mq4r
      @user-nx9zu2mq4r 3 ปีที่แล้ว +11

      ㄹㅇㅋㅋ 솔직히 ebs 강의 듣는 것보다 이해하기 쉬웠음

    • @user-eg3zs8lz8g
      @user-eg3zs8lz8g 3 ปีที่แล้ว +7

      태초의우주인간 빛의 속력은 절대적이에요

    • @user-py2ln1zq5v
      @user-py2ln1zq5v 3 ปีที่แล้ว +9

      한군 솔직히 이건 이해할라는게 아니고 모든 자연현상과 계산이 아인슈타인이 말한 저 원리가 맞다는 가정하에만 모든 현상이 설명되기때문에 그냥 아 그런갑다 하고 보는게 젤 편해요 ㅋㅋㅋㅋㅋㅋ

    • @user-py2ln1zq5v
      @user-py2ln1zq5v 3 ปีที่แล้ว +8

      태초의우주인간 빛은 30만km/s에서 우주선이 빛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몇천 몇만 킬로를 초속으로 움직이던간에 초속 30만킬로기 때문에 고려가안되요 광속불변의법칙이라 그러는데 이게 베이스가 되어야 나머지 현상이 다 설명이되요 그래서 그냥 이건 이해라기보다는 그냥 아 그렇구나라고 생각하는게 나아요 절대 이해못합니다 ㅋㅋㅋ그래서 아인슈타인이 천재라는거구요

    • @user-ne6og7xq4b
      @user-ne6og7xq4b 3 ปีที่แล้ว +2

      태초의우주인간 빛의 속도가 불변이라는 요소를 넣으면 네 질문에 답이 나옴

  • @user-cz6dl8jy3g
    @user-cz6dl8jy3g 2 ปีที่แล้ว

    인터스텔라 다시보고싶게하는 영상이네요 추천!

  • @user-gz6vb7ng7h
    @user-gz6vb7ng7h 2 ปีที่แล้ว +2

    1초에 열번찍히는 카메라로 우주선안과 밖 같은거리 고정시켜 찍으면 같을걸요? 물론 우주선은 바깥카메라와 같은거리 유지위해 원을그리듯 움직이고 카메라각도도 같이 움직여야겠만 그래도 변함없이 우주선은 이동중이고 바깥은 한곳 고정이니 시간이 다르게 나오려면 차이가있어야 맞겠지요.

  • @rafaelkim385
    @rafaelkim385 3 ปีที่แล้ว +48

    어제 인터스텔라를 보다가 문득 궁금한게 생겼는데 쿠퍼랑 브랜드 박사가 밀러행성에 갔을때 로밀리 박사가 인듀어런스호의 회전을 좀더 빠르게 설정해 우주선의 중력을 조금 늘렸다면 기다리는 시간이 조금 줄지 않았을까요 ??

    • @ctid2053
      @ctid2053 2 ปีที่แล้ว +6

      밀러행성의 중력은 주위에 있는 블랙홀 가르강튀아의 영향을 받은건데요 우주선의 동력으로 가르강튀아의 중력을 만들기는 어렵죠

    • @user-xi2ky7rq2f
      @user-xi2ky7rq2f 2 ปีที่แล้ว +14

      가속도, 중력 가속도를 이용해서 시간을 느리게 만들수 있는데. 님이 생각 하는 만큼에 시간을 늘리려면, 그 가속도에 사람은 곤죽이 되었을 겁니다.
      우주 밖에 있에서 초당 10km 이상 달리고 있는 인공 위성도, 고작 지구 표면에 시간과, 몇 마이크로 초 정도 느려 지니깐요.
      블랙 홀의 중력 가속도를 이길 만큼에 가속도는 우주선이 못낼 겁니다. 내더라도. 사람이 못 버틸 겁니다.
      물에 행성에서 시간이 느려 진건, 물의 행성 때문이 아니라. 물의 행성이 가르강튀아 블랙 홀에 더 가까이 있어서, 시간이 늦어 진거니깐요.
      애초에 우주 선에서 . 물의 행성으로 갈때. 우주선 시간으로 7 년 정도, 소비 하려고 했습니다. 20년이 아니라.
      다 계산 하고 내려 갔는데. 물의 행성 안에서 사고 나서 저 지경이 된거죠.
      우주선의 시간이 변하면, 지구의 상대적 시간이 소모 된다고, 우주선은 최대한 블랙홀에서 멀리 있자고 한거데.
      물의 행성 탐험대와 우주선 시간을 맞추려고, 우주선을 가속 시켜 버리면. 상대적인 지구의 시간이 소모 되니깐.
      그런 계획은 지구를 구하는 계획이 실패 하게 됩니다.

  • @geneeu6098
    @geneeu6098 3 ปีที่แล้ว +597

    속도가 빠르면 공간이 줄어든다는게 되게 신기한 개념이네요 직관적으로 이해도 잘 안되고... 이 기현상을 논리적으로 설명해내려고 생각한게 중력과 일반 상대성 이론인건가? 진짜 이런걸 어떻게 생각해냈을까요 ㄷㄷ...

    • @frombottom9038
      @frombottom9038 2 ปีที่แล้ว +52

      아이슈타인 후덜덜하네요
      웜홀이 뭐지했었을때 인터스텔라 흑인박사가 종이 접어서 뚫을때 “와!이거구나” 싶었죠 이제 이게 공간이 줄어드는

    • @DanJJSTChoi
      @DanJJSTChoi 2 ปีที่แล้ว

      @알탕 설명 고마워요

    • @user-rr4px2in2m
      @user-rr4px2in2m 2 ปีที่แล้ว

      존나 강한 중력만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시간 왜곡하는거야 존나 쉬운 이론인데

    • @rnasterpiece4284
      @rnasterpiece4284 ปีที่แล้ว +4

      속도가 빨라서 거리가 줄어드는 건 특수 상대성 이론이에요. 일반이 아님

    • @lsi2448
      @lsi2448 ปีที่แล้ว

      @@frombottom9038 그거 다알고 있는거 아닌가요? 한번도 못봤다는게 신기함..

  • @user-pk6vn6bd2j
    @user-pk6vn6bd2j 2 ปีที่แล้ว

    좋은영상 잘보고갑니다.

  • @dbckdwjd
    @dbckdwjd 2 ปีที่แล้ว +1

    브금이 우주랑 잘어울리네욬ㅋㅋㅋ
    👍 👍 👍 👍

  • @drpggs
    @drpggs 3 ปีที่แล้ว +15

    물리학 1타강사 부엉이씨의 피 땀 눈물과 같은 명강의였다..

  • @user-oo5dw9yi5o
    @user-oo5dw9yi5o 3 ปีที่แล้ว +1138

    솔직히 이해 안 가는데 그냥 본 사람

    • @user-bd2kj7er8h
      @user-bd2kj7er8h 3 ปีที่แล้ว +17

    • @user-lv8ow6so3r
      @user-lv8ow6so3r 3 ปีที่แล้ว +33

      우주에대해 이해하기엔 상식이란단어는 인간이만들었지만 인간은 우주가만들었기에
      우주에서 상식은 통하지않음 그냥 그렇구나 하고 보면됨

    • @wnstj207
      @wnstj207 3 ปีที่แล้ว

      @#*#&#&오오ᅩᄋ ㅋㅋㅋ

    • @user-jm2ib6nq8b
      @user-jm2ib6nq8b 3 ปีที่แล้ว +1

      물리학 1 배우는데 다있더라 저기있는 내용

    • @user-cb6tr6wr7h
      @user-cb6tr6wr7h 3 ปีที่แล้ว +2

      @#*#&#&오오ᅩᄋ 저거 고2꺼임

  • @user-sy1gl1ov6k
    @user-sy1gl1ov6k ปีที่แล้ว

    와 이해가 쏙쏙 되네요

  • @user-xd8yx2bj1q
    @user-xd8yx2bj1q 2 ปีที่แล้ว

    멋진 영상입니다

  • @turista3358
    @turista3358 3 ปีที่แล้ว +2084

    말년병장 : "야~ 나 담달에 제대한다~ 2년이 20년 같았다 휴~"
    여사친 : "어머! 벌써 제대해? 군대간지 엊그제 같은데~ 이야~ 시간 진짜 빠르다~"
    특수군대성 이론. 군인의 시간은 민간인의 시간보다 개느리게 간다

    • @HHHHHHHHHHHHHHHH1
      @HHHHHHHHHHHHHHHH1 3 ปีที่แล้ว +30

      깔깔

    • @President-Loon.s.g
      @President-Loon.s.g 3 ปีที่แล้ว +187

      특수중년성 이론.
      시간은 젊은이 보다 빠르게 흐른다.

    • @user-wi8kh5cc4x
      @user-wi8kh5cc4x 3 ปีที่แล้ว +4

      낄낄

    • @horieyui1976
      @horieyui1976 3 ปีที่แล้ว +79

      이승기를 보고 "언제 제대하지?"하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왠지 다른 사람보다 더 오래 있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 @koreasoon
      @koreasoon 3 ปีที่แล้ว +12

      그만큼 군대에서는 빠르게 움직입니다 ㅋㅋ

  • @user-xc2un5ct6q
    @user-xc2un5ct6q 2 ปีที่แล้ว +21

    빛의속도는 절대적이고 시간은 상대적이다. 이걸 밝혀낸 아인슈타인은 진짜 얼마나 똑똑한건지,, 시간은 어쩌면 우리의 의지대로 흐르게 할 수도있다는 대발견의 시작임

  • @tonytony831
    @tonytony831 2 ปีที่แล้ว

    와 완전히 이해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장 와닫는 설명입니다..감사합니다.

  • @ksy9173
    @ksy9173 ปีที่แล้ว +139

    드디어... 드디어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이해가 됐습니다... 문과생이라 24살 먹을때까지 어떻게 그럴수 있는지 이해도 안가고 이해하려는 시도조차 안하며 그저 물리학의 전문적 지식으로 알아왔던 저를 이해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 @ksy9173
      @ksy9173 ปีที่แล้ว +1

      @가나다 저도 그마음 이해합니다. 비록 리뷰엉이님이 정치나 사회와 관련된 영상을 올리신적이 없어 이채널과 관련없는 말이긴 하지만 이과생 여러분들이 정치얘기 사회문제 얘기 하실때 보면 진심으로 "진지하게 이과는 사회학(사회전반에 대한 이해x, 사회과학이라는 학문o)에 대한 이해좀 높이고 댓글답시다" 라는 말이 입천장까지 나왔다가도 또 괜히 분란만 일으키는것 같아 잘 안다는 편인데 마음이 통하시는 분이 이렇게 댓글을 달아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혹시 사회얘기는 평소에 안하시고 사시는 편이시죠? 저도 참을까 말까 하다가 감사한 마음만 댓글로 담아 전했는데 이것마저 제가 실수한것 같네요.

    • @ksy9173
      @ksy9173 ปีที่แล้ว

      @가나다 어떤 이과출신이 정치학, 사회학을 하셨길래 안떨어진다고 생각하신 건가요? 며칠전에 제 이과생 친구가 단톡방에 올린 공부 흔적을 봤는데요. 꽤나 공부를 잘해야 가는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수요공급 곡선의 이동 형태를 x축과의 평행이동으로 표현하지 않고 좌상향과 우상향으로 이동한다 표현해 놨더라구요. 저는 그걸 보고 역시 사람은 공부를 잘하더라도 각자가 선택한 학문 이외의 학문이라면, 또 그 학문이 자신의 전공과목과 멀리 떨어져있는 과목이라면 아무래도 공부할 시간이 부족해 기본적인 실수를 하는구나 싶었습니다. 때문에 문과라도 존중받을점이 있겠구나 싶었는데 이리 오만하시다니요.

    • @ksy9173
      @ksy9173 ปีที่แล้ว +6

      @가나다 네 맞습니다. 저도 첫 댓글이 문이과 학문간의 대결구도가 아닌, 평시 아저씨께서 생각하시던 문과생과 이과생의 역량차이를 표현의 욕구를 절제하지 못하고 기어이 비하하신것을 잘 알고있습니다. 근데 동감합니다. 이미 제가 고등학교를 다닐때 문과생을 깔보는것은(비록 그당시는 지금에 비해 유머가 크게 섞였으나) 문과생도 인정할수밖에 없는 사실이었죠. 하지만 제가 경제학을 하면서 배우는건, 아니 수능 경제를 공부하면서부터 뼈저리게 느끼는건 이겁니다. "무엇을 선택 했나?" 저희 아버지도 좋은 학교 나오셔서 돈을 많이벌기 보단 나름대로 신념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셨고, 그래서 부잣집 딸이셨던 어머니도 시집을 오셔서 고생을 많이하셨죠. 그런데 저도 아버지와 같은길을 걷겠다는 생각을 하고 가까운 미래 학교를 떠난 후에 생계수단을 많이 고민하고 있긴 합니다. 그래서 돈으로 따지자면 아저씨보다 훨씬 못벌겠죠. 제가 아니라도 고등학교, 대학교 친구들 마저 여느 이과생보다 못벌 가능성이 큽니다.
      그런데, 여전히 제가 지적하는 점은 이겁니다. 전공을 무엇을 선택하셨을지 모르겠지만 충분히 사회과학을 알고 사회얘기를 하시나요? 그냥 현재의 정치 구도나 사회 현상에 빠삭하신게 아닐런지요. 아마도 후자일 가능성이 너무나도 높습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이 네이버 뉴스 사회란, 정치란, 경제란 같은곳에 자신의 이해가 높다는 전제로 댓글 다는 꼴의 원인은 그저 사회현상이 재밌어서, 나름대로 흥미가 있으니 사적으로 분석한 지식도 타당할것이라는 오만함에 있습니다. 그런데 현실에서 누가 이런 인식을 갖고있나 했더니 문이과 가릴것 없이 다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 와중에도 사회과학 한다는 친구들은 그나마 저와 생각이 비슷해 뒷받침할 지식이 없으면 직설적으로 주장하지 않고 논의의 뉘앙스로 툭 던집니다.
      제가 아저씨께 묻고싶은 질문이 있습니다. 주변에 위와 같이 생각하는 저같은 친구가 있었습니까? 사회과학에 대한 흥미가 높고 그래서 금융이 아닌 (물론 저도 금융현상이 흥미로워서 문과를 택했지만) 사회과학 전반을 이용하는 진로를 선택한 친구가 있었습니까? 저처럼 계획을 갖고 문과를 선택한 친구가 없으니 수능의 통계와 일반의 생각을 토대로 문과생 전반을 깔보시는 것이시겠죠? 수능의 통계와 일반의 인식을 근거로 하셨으니 그렇게 반응하는 현상도 타당합니다. 그러나 어쩌면 인식도 수능성적도 일반적인 상황에서 다소 벗어나는 사람이 있다 생각해주셨음 합니다. 저도 나름대로 수학 나형에서 단순한 1등급이 아닌 백분위 99를 받았기 때문에 수능 성적은 일반적인 인식에서 조금 벗어난 편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런 인생을 살아온 24살 녀석이 주장하는 것은, 아저씨가 과학영상에 문과생이 단순히 유튜버를 칭찬하는 댓글을 싫어하듯 어디가서 사회얘기는 지양해주십사 하는것입니다. 아저씨는 아마도 반도체를 잘 아시듯, 저나 문과로 살아온 친구나 이과에서 문과로 넘어온 친구가 사회과학을 더 잘 알고있으니 서로의 분야에 선넘지 말고 살아주셨음 합니다. 지금 당장 아저씨가 사회과학은 운운한건 아니시니 예방의 차원에서 말씀드리는 겁니다. 아마도 지금까지 사회얘기는 해오셨을테지만요. 그러나 저는 칭찬의 댓글을 여전히 달것입니다. 제가 잘 알지도 못하는 분야에 견해를 내비치는 것이 아니라 되려 잘 알지도 못하는 분야를 알도록 도와주는 영상에 대한 칭찬일 뿐이니까요. 또 선민의식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물론 아저씨와 제가 이야기하는 분야는 다르겠지만 지금처럼 중우정치가 심해지는 상황에 정치를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을 잘 설득하거나 유인하는 것이 필요하다는걸 저도 느끼고 있습니다. 또 한번 통했네요.
      여하튼 남은 휴가 이렇게 알차게 쓰시구요. 다시한번 말하지만 어디가서 사회얘기 하실땐 전공이 아니시니 침묵하여 주시고, 돌림노래같은 주장이나 평범한 조롱이라면 답글 다시 안달테니(이유는 아시겠죠?) 여기서 마지막 답변권을 넘겨드리고 끝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user-et4dg1uq2h
      @user-et4dg1uq2h ปีที่แล้ว +1

      20년동안 그냥 잡지식만 가르치는 학교에서 배우니 이해가 안되는건 당연하다고 봅니다. 물론 고등학교나 대학교는 잡지식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전문가수준으로 배우는 것도 아니고 그냥 이러한 공식이 있다더라나 이러한 사례가 있었다카더라 식으로 비빔밥비벼 먹는 느낌이라 거의 잡지식수준으로 얕게 배우죠. 그래서 실질적으로 전문가가 될려면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거의 30대후반부터 늦으면 50대가 되야 전문가가 되니 어릴때부터 과학에 미쳐있던 아이슈타인이 대단한거죠

  • @dhyp043
    @dhyp043 4 ปีที่แล้ว +161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솔직히 이번 인터스텔라 설명하는게 후회된다면 다음 영상에서 부엉이를 회전시켜주세요 ㅋㅋㅋ

    • @user-wu5ko3hb8k
      @user-wu5ko3hb8k 4 ปีที่แล้ว +67

      그치만..... 나는 너무 재밌는걸..

    • @user-mm5bp7dn6r
      @user-mm5bp7dn6r 4 ปีที่แล้ว +12

      ㅋㅋ이왕이면 손에 당근도..ㅋㅋ

    • @dhyp043
      @dhyp043 4 ปีที่แล้ว +8

      @@user-wu5ko3hb8k ㅋㅋㅋㅋㅋㅋㅋ 사실 저도.. 보는사람 입장에선 꿀잼 ㅋㅋㅋ

    • @user-ge5yh8kn1u
      @user-ge5yh8kn1u 4 ปีที่แล้ว +5

      부엉이가 시공의 폭풍이 되기 까지...

    • @fvgwev
      @fvgwev 4 ปีที่แล้ว +19

      부엉위바위로가자 ~

  • @user-dl1rh9il4t
    @user-dl1rh9il4t 3 ปีที่แล้ว +52

    그니까 이거임 영상을 0.25배속하면 영상시간은 느리게 가지만 실제시간은 빠르게 가잖아

    • @user-si7ie4wi6o
      @user-si7ie4wi6o 3 ปีที่แล้ว +3

      어우야

    • @namheechoi6271
      @namheechoi6271 2 ปีที่แล้ว

      뭔소리임 실제 시간이 빠르게 간다는게

    • @unchichiunchichi
      @unchichiunchich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 바로 이해된다 ㅋㅋㅋ

  • @user-mj2yo7fc1q
    @user-mj2yo7fc1q 2 ปีที่แล้ว +11

    얼마 전 ‘어쩌다 어른’시즌2에 물리학 김상욱 교수님이 나오신 걸 보고 다시 이 영상을 봤는데
    이제서야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부분적으로 아주 쬐끔이요 그래도 머리가 환해지는 느낌이었으니까요.
    앞으로 더 많은 영상을 찾아 보겠습니다.

  • @user-eg5uy6zi8t
    @user-eg5uy6zi8t 2 ปีที่แล้ว +5

    2:59: 훌륭한 판단의 표본이로군

  • @xdyd5442
    @xdyd5442 4 ปีที่แล้ว +6

    길이수축 대충 이해하자면 우주선 안의 S'이 광속에 가까운 일정한 속도 v로 움직이는 우주선을 타고 지구에서 목성까지 가고 있을때 지구와 목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한 달에 있는 S가 관찰하고 있으면 우주선 안에 있는 S'의 관전에서 고유시간은 T' 그리고 우주선은 지구와 목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므로 고유길이가 아니므로 L' = vT' 라는 식이 성립되고 우주선 밖에 정지해 있는 S가 보았을때 고유시간이 아니므로 T로 시간을 두고 S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해 있는 지구와 목성 사이의 거리로 고유길이 이므로 L=vT라는 식이 성립되고 이때 T>T' 이므로 L'

    • @user-lf4zs6ue7e
      @user-lf4zs6ue7e 4 ปีที่แล้ว

      츙츙마루 물리 1을 수강하신 상태라면 모두 압니다 그러니 물리하세요 ^^

  • @user-ti3ni2ow5l
    @user-ti3ni2ow5l 3 ปีที่แล้ว +21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다시한번 영화보는중에 궁금한게
    생겨서 늦게나마 글 남겨봐요ㅋㅋ 혹시 인터스텔라에서 거대파도행성으로 출발하려는 장면중에 가르강튀아에서 중력때문에 시간에 영향을 받아서 도착하는 시간마저도 엄청난 시간이 걸릴건데 그렇다면, 레인저호가 출발하는걸 계속 보고있다는 가정하에 점점 천천히 움직일까요? 계속 블랙홀에 가까워질건데 궁금하네요 ㅋㅋㅋ

    • @user-xi2ky7rq2f
      @user-xi2ky7rq2f 2 ปีที่แล้ว +3

      의미 가 없지요? 일반 비행기의 고도가 10km 인데 그정도만 올라가고. 지상에 있는 차들이 작아저서 보이지도 않습니다.
      레인저호 가 커 봤자. 미니 버스 수준인데. 남아 있는 사람의 시야에서 . 그 레인저 호가 사라지는 시점 가지. 거리 고작 몇 km 가지고.
      시간의 변화가 보이기나 할가요? 어짜피 멀어 질수록, 날아 가는 속도 자체가 천천히 보입니다.
      하늘위로 지나가는 비행기의 속도는 시속 700 km 입니다. 그런데 내 눈앞에 자전거 보다. 움직임이 느려 보이죠.
      즉 관찰자가. 레인저 호의 시간 변화를 보기 전에. 레이저 호 자체가 시야에서 사라질 겁니다. 그리고 멀어 질수록 배행기 속도 자체가 늦어져 보입니다.

  • @user-fg2uj6kr2f
    @user-fg2uj6kr2f 2 ปีที่แล้ว +375

    진짜 제작자분이 엄~청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데도 이해하기 어렵고 아인슈타인은 저걸 26살에 발견했다는게 소름끼치네

    • @-3-827
      @-3-827 ปีที่แล้ว +5

      수학변태 ㄷㄷ

    • @sinsok7471
      @sinsok7471 ปีที่แล้ว +13

      심지어 무지의 상태에서 알아냄

    • @h.p.5099
      @h.p.5099 ปีที่แล้ว

      @@-3-827 아이슈타인은 수학을 그렇게 잘하지 못했음

    • @-3-827
      @-3-827 ปีที่แล้ว

      @@h.p.5099 얼굴변태 ㄷㄷ

    • @TV-rt5jm
      @TV-rt5jm ปีที่แล้ว

      ​@user-zb6bl7xx1n재ㅁ 민?

  • @rainbowbridge4978
    @rainbowbridge4978 2 ปีที่แล้ว

    1. 팽창하고 있는 우주의 최외곽은 빛보다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데 그곳은 그럼 시간이 멈춰있거나 역행하나요?
    2. 팽창하고 있는 우주의 최외곽에서 지구를 바라본다면 영원히 지구를 볼 수 없나요?
    3. 팽창하고 있는 우주의 최와곽의 한 지점x에서 최외곽의 한 지점 y로 이동을 한다면 시간이 아주 느리게 가는 상태이므로 순간이동을 하게 된건가요?

  • @kqewee
    @kqewee 3 ปีที่แล้ว +36

    참고로 파도행성에 아주 높은 파도가 생기는 이유는 그 행성 가까이에 있는 거대 블랙홀의 인력 때문에

    • @pony-123
      @pony-123 2 ปีที่แล้ว +1

      @북쪽 그정도의 힘은 부족해서 그래요
      약한 버전인 지구와 달의 인력으로 인해 생기는
      밀물 썰물 생각 하시면 될듯

  • @ainnyon36
    @ainnyon36 4 ปีที่แล้ว +28

    저의 뇌로썬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이네요 ㅋㅋ큐ㅠㅠㅠㅠ

    • @ainnyon36
      @ainnyon36 2 ปีที่แล้ว +6

      뭐야 ㅋㅋ 다시보러왔는데 이때도 이해 못했네

    • @user-vv7zj3nm9f
      @user-vv7zj3nm9f 2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onghokkang
    @donghokkang ปีที่แล้ว +4

    시간은 상대적이다라는 전제가 맞다고 하더라도 다시 조우하게 되는 시점에서의 시간은 같은것이기에 영화상 다시만나는 시점에는 같은 시간대여야 하지 않을까요 ㅇㅅㅇ / 그리고 저런 여러가지 아이러니가 성립되는게 빛의 속도는 절대불변이라는 전제가 있어서 인데 그 전제가 어떻게 성립되는지는 모르겠네요...아인슈타인이 말했다라는거 이외의 물리적 실험을 통한 증명이 있을까요?

    • @gracesihyeon
      @gracesihyeon ปีที่แล้ว

      저도 빛의 속도는 불변한다는 전제가 성립된다는 것이 조금 이해가 안됩니다. 아인슈타인의 사고 실험은 빛의 속도가 불변한다는 전제에 이루어진 것인데, 사실 이러한 전제가 인간의 과학기술로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그냥 '빛의 속도는 불변한다'라고 하는 것 같아서 솔직히 아인슈타인의 사고실험 자체가 의심이 듭니다. 물론 제가 아인슈타인보다 똑똑한건 아니지만 전제조건이 증명이 안되는데, 그걸 가지고 실험한다면 과학이 성립할 수 없잖아요.

    • @user-zd1cu7pn4v
      @user-zd1cu7pn4v 1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조우하는 시점에서는 같은 시간대이다
      -시간대라는 개념을 잘못 받아들이신 것 같습니다. 시간대는 차원같은 개념이 아닙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시계, 조금 느리게 작동하는 시계가 있다고 쳐보죠
      처음에는 두시계가 같은 속도로 흘러가다가 후자의 시계가 고장이 나서 느리게 작동했습니다. 일정 시간이 흐른 뒤에 두 시계를 같은 시간에 비교해봤다고 둘이 딱 맞춰지지는 않죠. 그냥 주인공이 잠시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곳에 있다가 돌아온거라고 받아들이면 됩니다.
      2. 빛의 속도는 절대 불변이라는 전제에 근거가 있느냐
      -사실 빛의 속도가 절대불변이 전제인게 아니고 사고실험을 진행하다보니 빛의 속도가 절대불변이어야 말이 된다. 라고 하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수학 공식을 통해( 공식은 여기 설명하기엔 좀 많이 복잡) 가설을 보충할 근거를 설명했습니다.
      그렇기에 아직은 특수 상대성 ‘이론‘이지 법칙이 아닙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이것을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최근들어 중력장 실험등을 통해서 아인슈타인이 옳았다. 라고 증명이 되어가는 중입니다.
      그때 당시에 그저 남들과는 다른 직관, 상상력을 통해 사고실험을 진행한 아인슈타인이 인류 역사에 남을 천재라는
      증거지요

  • @user-ts4cx7dg8r
    @user-ts4cx7dg8r 2 ปีที่แล้ว

    와 정말 재밌네요

  • @FC-ot7bo
    @FC-ot7bo 4 ปีที่แล้ว +42

    아아아~ 몰겠다~
    부엉이가 왜 우주선에서 나와~~
    니가 왜 거기서 니와 ~ @@

  • @KimHJ0118
    @KimHJ0118 3 ปีที่แล้ว +20

    이번 영상을 통해 깨달은 거 한가지.
    생각보다 부엉이가 귀엽다.

  • @o_dodo8959
    @o_dodo8959 ปีที่แล้ว

    01:41 이 자료화면에 사용되는 게임 이름 뭔지 알 수 없을까요? ㅋㅋ 영상 잘봤습니다♡

  • @user-jo8wk5hu2t
    @user-jo8wk5hu2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진짜 아인슈타인의 사고실험은 들을때마다
    아니...저런 생각을 한다는게 가능한가 싶다 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jq9kd7rv4r
    @user-jq9kd7rv4r 3 ปีที่แล้ว +35

    이 영상을 보고 난독증이 있었다는걸 깨달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hjk2218
    @hjk2218 3 ปีที่แล้ว +5

    ㅈㄴ 재밌어 ㄹㅇ 이런거 너무 좋아...♡♡

  • @uwaang_0
    @uwaang_0 2 ปีที่แล้ว +9

    진짜 쉽게 설명해주시는 거 같은데도 어렵다.......

  • @Alskeredqw
    @Alskeredqw 2 ปีที่แล้ว

    20년전 지구과학2 시간이 떠오르며 잠이 잘드네요...

  • @YKDDS91
    @YKDDS91 4 ปีที่แล้ว +294

    미국 사는데... 고등학교 때 생물이랑 화학을 들어서 물리는 기초 밖에 안들은 상태에서 대학가서 전공 때문에 물리 1년 들었는데 뇌가 터졌죠..
    분명 교수님이랑 조교가 설명해 줄 때는 이해 가는 것 같았는데 강의실 나오면서 리셋.

    • @user-hf5xg5ld9s
      @user-hf5xg5ld9s 4 ปีที่แล้ว +51

      그리고 외치는 오쉣

    • @user-ip7rl5ef5r
      @user-ip7rl5ef5r 4 ปีที่แล้ว +27

      @@user-hf5xg5ld9s (대충 합격목걸이)

    • @user-hf5xg5ld9s
      @user-hf5xg5ld9s 4 ปีที่แล้ว +1

      @@user-ip7rl5ef5r 감사여

    • @E2AST___LUCKY
      @E2AST___LUCKY 4 ปีที่แล้ว +1

      @@user-hf5xg5ld9s (받으면서 목걸이 짤랑짤랑)

    • @user-hf5xg5ld9s
      @user-hf5xg5ld9s 4 ปีที่แล้ว +2

      @@E2AST___LUCKY (뭐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다)

  • @stylishsunny0402
    @stylishsunny0402 3 ปีที่แล้ว +78

    이때부터였어요 우리 부엉이가 점차 과학 부엉이로 변해가는 시점이...ㅠ

  • @user-kw7ty5so5g
    @user-kw7ty5so5g 2 ปีที่แล้ว +3

    블랙홀은 매우 많은 변화를 하지만 사실 시간이 너무느리게 흘러 우리입장에선 영원히 어두울거처럼 생긴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드네여

  • @Bbuyop
    @Bbuyop ปีที่แล้ว +1

    와.. 세번째 사고실험에서 소름 돋음 아인슈타인 ㅆ천재네 그걸 쉽게 알려주시는 이 분도 천재 😮

  • @nashira.y
    @nashira.y 4 ปีที่แล้ว +32

    재업인가.... 그렇담 재시청이 인지상정!

  • @user-xl3ii8hd2b
    @user-xl3ii8hd2b 4 ปีที่แล้ว +40

    본격 과학 유튜버로의 전향 축하드립니다

  • @na0572
    @na0572 ปีที่แล้ว +10

    전 '빛의 속도는 절대 불변한다'는 부분부터 이미 이해불가의 영역으로 빠져버렸네요

    • @gracesihyeon
      @gracesihyeon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인간의 사고 영역에서 빛의 속도는 불변한다고 정의 했지만, 사실 인간보다 훨신 과학이 발달한 외계 미지의 존재가 있다면 빛의 속도는 변한다고 말할 수도 있을 듯합니다.

  • @lkc4808
    @lkc4808 ปีที่แล้ว +6

    나사가 실제 우주에서 찾은 슈퍼 지구를 발견했는데... 실제 공기나 바닷물 육지와 날씨 영향등 다 있다고 결론 지었음. 문제는 지구에서 어마어마하게 멀었는데... 그 슈퍼지구에서 충격 먹은게... 일반 지구는 암만 멀어도 비행기로 24시간 안에 다 도착하게 되어있는데, 슈퍼지구는 지구에서 운행하는 비행기의 평균 속도로 해서 한바뀌 돌아서 원위치하는데 700년이 걸린다고 함...ㅎㄷㄷ
    거기서 몇시간이 지구에 몇년에 맞먹겠지요.

  • @user-vp5ib8ck4z
    @user-vp5ib8ck4z 3 ปีที่แล้ว +4

    이런 콘텐츠를 만들어낼수있는 힘이 부럽네요

  • @user-pw4dt2tq7o
    @user-pw4dt2tq7o 4 ปีที่แล้ว +16

    EBS 다큐 프라임 보고도 이해 안 됐던 걸 영화 유투버 영상보고 이해하네요. 감사합니다

    • @kssxssk
      @kssxssk 4 ปีที่แล้ว

      거짓말 치면 혼나요~~!

    • @jinsupark8216
      @jinsupark8216 3 ปีที่แล้ว

      정말?

    • @ys-cp9vj
      @ys-cp9vj 3 ปีที่แล้ว +1

      ?다큐보고 이해안됐던게 이거보고 됐다고? 영상 설명 존나 못하는데 어느포인트에서 이해한거냐

    • @DwarfRacoon
      @DwarfRacoon 3 ปีที่แล้ว

      th-cam.com/video/9iQtSD9oZd8/w-d-xo.html
      이거보신건가 보네요

  • @younghojung7344
    @younghojung7344 2 ปีที่แล้ว

    과학잡지 "뉴턴"에서 유심히 읽었던 내용이네요 기억이 새록새록

  • @youdonghyeok
    @youdonghyeok 2 ปีที่แล้ว +2

    5:30 물리를 잘 몰라서 그런데 막대의 이동 변화량만 따져야 하는것 아닌가요 저건 우주선의 이동변화량까지 더해진것같은데

  • @user-bt8oc3it5h
    @user-bt8oc3it5h 3 ปีที่แล้ว +7

    시간이 많이 지나서 이 글을 보실지 모르겠네요. 인터 스텔라를 보고 궁금 했던점. 지구에서 우주로 나갈때는 어마 어마한 추진력이 필요한데 자구보다 몇배나 중력이 쎈 물의 행성에서는 작은 비행체로 우주로 나오던데 가능한 얘긴가요?

    • @user-lt8ks3sg9f
      @user-lt8ks3sg9f 3 ปีที่แล้ว

      중력은 물체의 질량에 비례한다고 보면 됩니다. 작은 비행체일수록 질량이 적게 나가겠죠? 작은 비행체에 충분한 동력만 담을수있다면 탈출속도에 도달하는건 가능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당. 틀릴수도 있어요~ 너무 예전에 배운거라,, 물리도 안좋아했어서 ㅎㅎ,,

    • @bennykim6573
      @bennykim6573 3 ปีที่แล้ว +1

      물의 행성 중력이 지구 보다 높다는 설정은 없었습니다. 그 물의 행성이 위치한곳이 블랙홀의 강한 중력권내에 위치해 있었을 뿐입니다.

    • @ulkunni
      @ulkunni 3 ปีที่แล้ว

      스윙바이.

  • @user-hl7nr3nv1n
    @user-hl7nr3nv1n 4 ปีที่แล้ว +55

    영화리뷰가 아닌 과학리뷰가 된듯한 채널....

    • @dhan5863
      @dhan5863 3 ปีที่แล้ว +4

      뭐야 님때문에 알고리즘으로 과학유튜버인줄 알았는데 영화리뷰유튜버인줄 첨알았어요

  • @user-ju6xo4fc3g
    @user-ju6xo4fc3g ปีที่แล้ว

    오늘 이거보고 이해가 되네요

  • @user-cw6iw2fj1x
    @user-cw6iw2fj1x ปีที่แล้ว

    3:56 저 신호기를 시계로 바꾸고, 부엉이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차단막으로 빛을 막는다고 가정해봅시다.
    영상대로라면 외부 관측자의 입장에서는 왼쪽의 시계가 먼저 작동하고, 수직으로 꽂히는 차단막에 의해 동시에 시계가 정지했으므로 왼쪽 시계가 상대적으로 이후의 시간을 가리키고 있겠죠?
    그렇다면 이후 두 관측자가 만났을때 같은 시계를 두고 다른 시간을 보는 마법이 일어날 수 있겠군요ㅋㅋ

  • @user-wy3ke4kq8v
    @user-wy3ke4kq8v 3 ปีที่แล้ว +53

    나이를 먹을수록 시간은 빠르게 흐른다 ㄷㄷ

    • @MissMilaGong
      @MissMilaGong ปีที่แล้ว +1

      정말 시간이 점점 빠르게 흐르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함..

  • @user-ok5ke3yb4o
    @user-ok5ke3yb4o 3 ปีที่แล้ว +64

    그럼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지구상 모든 인간은 서로 다른시간에 살고있는거야?

    • @user-pe7gf2pk5w
      @user-pe7gf2pk5w 3 ปีที่แล้ว +18

      인간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비해 한없이 작기 때문에 의미있는 수치가 되지 못했을 뿐이죠

    • @user-ij5yy8nh4o
      @user-ij5yy8nh4o 3 ปีที่แล้ว +16

      시차를 생각해봐도 되게 묘하지 않나요? 개념이 좀 다를 순 있지만... 우리는 12일에 살고 있는데 반대편에선 아직 11일을 살고 있다는 것만 생각해도 시간이란 엄청나게 상대적이란 게 느껴져서 기분이 되게 묘해집니다

    • @pgi5124913
      @pgi5124913 2 ปีที่แล้ว +1

      @@user-ij5yy8nh4o 그건.. 그리니치 천문대 기준으로 표준시를 정해놨기 표기상 날짜는 다른거죠..

    • @user-ij5yy8nh4o
      @user-ij5yy8nh4o 2 ปีที่แล้ว +5

      @@pgi5124913 더 빠른 날짜를 사는 쪽이 해 뜨는 걸 반대편보다 일찍 본다는 거니까 신기하지 않나요?

    • @user-jf9hy1ls8d
      @user-jf9hy1ls8d 2 ปีที่แล้ว +6

      그냥 우리가 이렇게 살아가고 있을때 지구 반대편이 동시에 누구는 죽고 누구는 태어나고 무엇을 하고 사고가 나고 이러는게 신기함 내가 공부하거나 게임을 할 때 누구는 끔찍하게 죽었었다는게 참 기분이 묘함

  • @user-vb1bw4ig5l
    @user-vb1bw4ig5l 2 ปีที่แล้ว

    천제인데??근데 이거 배경음악 뭐에요??? 이 음악 중독성에 영상 계속보게됨

  • @쌈뽕스무디킹
    @쌈뽕스무디킹 ปีที่แล้ว +1

    인터스텔라 영화리뷰 재밌네요

  • @birdfp8300
    @birdfp8300 3 ปีที่แล้ว +13

    책이 이렇게 영상처럼 쉽게 볼 수 있고, 심지어 재밌으며 훨씬 생생하다면 책을 열심히 읽었을텐데...
    영상의 단점은 아무래도 믿을 수 있냐는 것이겠지요... 정말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덕분에 지식을 알고갑니다.

    • @wasd7777
      @wasd7777 ปีที่แล้ว

      책도 100퍼 객관성을 지닌건아님..

  • @user-py1ov5ev7h
    @user-py1ov5ev7h 2 ปีที่แล้ว +14

    7:39 아인슈타인의 26년은 저희의 26년과 다르게 흘렀던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는 0.8c정도의 속력으로 달리고 있었던 것 아닐까요?

  • @user-uj8wf7tg3u
    @user-uj8wf7tg3u ปีที่แล้ว +10

    아인슈타인도 천재지만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시는 부엉이님도 천재임

  • @NOGAMENOLlFE
    @NOGAMENOLlFE 3 ปีที่แล้ว +3

    어릴때 아인슈타인 자서전보면서 봤던 생각실험이 생각나네요. 아인슈타인은 가끔 생각으로 “빛이달리고 있다 나도 함께 달리고있다 마침내 나는 빛보다 빠르게 달리고 있다 무엇이 보이는가?” 초등학생때 읽었어도 참 많은 생각이 들었던거 같네요

    • @yhking2683
      @yhking2683 3 ปีที่แล้ว

      이게 무슨말임??

    • @NOGAMENOLlFE
      @NOGAMENOLlFE 3 ปีที่แล้ว

      @@yhking2683 아인슈타인은 어릴때부터 빛보다 빠르면 어떨지에 대해서 상상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