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트커피 로스팅 강의] 7강:신맛을 강조하는 프로파일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ก.พ. 2025
  • 로스팅강의 신맛을 강조하는 프로파일 작성방법
    구독료 : 204402 04 068129 국민은행 위철원
    원두납품문의 010 3471 0182
    로스팅교육,개인 그룹강의,출장교육(본인로스터로)
    로스팅컨설팅,제품개발
    로스팅교육,1:1개인교습,출장교육
    www.tentcoffee.kr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9

  • @rinny_tv
    @rinny_tv 2 ปีที่แล้ว

    너무 좋은 정보 교육 감사합니다

  • @cram4668
    @cram4668 6 ปีที่แล้ว +2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역시 궁금증은 배출 온도와 배출 포인트가 궁금합니다~ 10분 배출때의 온도와 포인트 궁금합니당~~

  • @oooooooooooooooo-g7r
    @oooooooooooooooo-g7r 4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대표님 또 궁금한게 생겨서요.. 영상에 말씀하신대로 6분대 1팝이오고 10분에배출할때 1차이후 화력끄고(고정배기5) 10분까지 있어도 될까요? 두번째질문) 영상보고 따라해보려고 1.5kg로스터기로 1.2kg 코케허니 185도 투입후 화력끄고 85도 1:15초 터닝포인트에 화력 80프로주고 했습니다.(배기는 5로 고정했습니다)10분25초에 1차시작 11분44초에 일차끝내고 12분06초 배출했는데 여기서 궁금한점은 화력 80프로도 1차가 10분25초였는데 100프로 화력을줘도 9분대~8분대중반일꺼 같아서요.. 투입온도를 200도정도로 올려야지 6분대 일차가 올까요?

    • @tentcoffee
      @tentcoffee  4 ปีที่แล้ว +1

      1. 용량을 줄이거나
      2. 투입온도를 높이거나
      3. 화력을 100프로로
      4. 중간에 배기를 열어 ror을 높이거나
      소용량이니까 다양하게 시도해보세요~

    • @oooooooooooooooo-g7r
      @oooooooooooooooo-g7r 4 ปีที่แล้ว

      @@tentcoffee 답변감사합니다~!

  • @yeouncheolkim6242
    @yeouncheolkim6242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로스팅할때 산미를 최대한 없애는 로스팅을하고 싶습니다 1팝후 길게 로스팅하면 당연히ㅁ산미는 없어지겠지만 커피가 많이 탁해지는데.. 산미를 최대한 없애는 방법에는 어딴것들이 있을까요

    • @tentcoffee
      @tentcoffee  2 ปีที่แล้ว

      1팝 이후보다는 1차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늘려보세요

  • @dongmyungshin2061
    @dongmyungshin2061 3 ปีที่แล้ว

    구독자 수가 많아져서 영상도 많이 올리시고 로스팅 커피문화를 변화시키고 주도하시는 정도가 되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바리스타유
    @바리스타유 5 ปีที่แล้ว

    질문있습니다..터닝포인트가30초대로오는데 1분30초로 늘릴려면 어떻게하나요;;?

  • @밥그릇-h2d
    @밥그릇-h2d 3 ปีที่แล้ว

    3:23

  • @따비-n4g
    @따비-n4g 5 ปีที่แล้ว

    안뇽하세요~^^
    로스팅하다가 궁금점이 생겨 영상을 되돌려보다 질문드립니다
    현재 에티오피아 모모라 내츄럴(gsc 스페셜티)을 볶아보고 있는데 초반부터 치고오는 산미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ㅜㅜ
    8분에 1차크랙시작 9분(1팝 절정, 1차시작 +10도)에 배출하는 프로파일 입니다
    어찌저찌 정보들을 찾아보니 단맛을 올리면 산미가 중화될 수 있다고 하는데
    단맛을 강조하는 프로파일 즉 마이야르를 끌어주면 내츄럴의 플로럴함은 살리면서 산미를 낮출 수 있을까요? 배출포인트를 휴지기까지 늘어트리고 싶지않아서요(향미가 손실되지않을까 싶어서요)
    아니면 약배전을 하기엔 생두의 포텐셜이 낮은걸까요?(초보가 연장탓 해봅니다~^^)
    한 주의 시작 힘차게 하시길 바랍니다 :)

  • @user-ub2-1971
    @user-ub2-1971 5 ปีที่แล้ว

    블루마운틴 뭐를 강조를 해야 하나요?

  • @jeonbob
    @jeonbob 6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저는 통돌이 로스팅을 하고 있는데요 1차 크랙 이후 휴지기를 가지려면 불을 꺼야 하는 건가요? 아니면 약불로 해야 되는 걸까요?

    • @tentcoffee
      @tentcoffee  6 ปีที่แล้ว

      일단은 꺼보세요~
      통돌이는.즉각적인 반응이 오기때문에 껏다가 켜도 열만 지속적으러 주도록 해보세요~

    • @jeonbob
      @jeonbob 6 ปีที่แล้ว

      네네 감사합니다 !!

  • @김현우-q5o
    @김현우-q5o 6 ปีที่แล้ว +1

    질문있습니다. 제가 초보라서. 1차는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tentcoffee
      @tentcoffee  6 ปีที่แล้ว +1

      김현우 1차 크랙을 의미합니다. 생두가 열을 받다가 깨지는 현상입니다. 열과 함께 수분과 가스를 배출합니다. 로스팅 전과정에서 외관상으로 제일 큰변화를 보이는 부분입니다.

  • @hees1986
    @hees1986 6 ปีที่แล้ว

    시간이 많이 지나 확인하실수있을진 모르지만요
    1차까지 6분이면 자칫 설익는상황이 되진안을까요?

    • @tentcoffee
      @tentcoffee  6 ปีที่แล้ว

      네 맞아요. 자칫 설익을 수 있어서 주의해야해요. 그래서 화력이 좋고 수분배출이 잘되는 로스터는 6분에 일차가 가도 떫어지거나 설익을 염려가 없는데 그래도 역시 주의하시긴 해야합니다. 신맛을 강조하는 스페셜한 콩을 볶을때 양을 줄이시고 한번 시도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