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우리나라 배전전압(전봇대)은 왜 22.9kv일까? (20도 아니고 22도 아니고 23도 아니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3 ม.ค.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5

  • @서동춘-v5c
    @서동춘-v5c 5 ปีที่แล้ว +40

    이번 동영상은 관점을 잘못 잡은것같습니다.
    그렇게 복잡하게 보실게아니라 초기에 3.3으로 배전선로가 되어있다가 여러개의 전기회사가 한전으로 통합되고 전기사용량이 늘어나면서 y결선 5.7 그리고 6.6으로 추진하고 용역보고서에서 22.9 다중접지가 경제적이라고 나와서 추진했다고 보는게 맞을겁니다.
    6.6이후로는 이중비용이 드므로 11.4는 추진을 거의 안했다는 얘기도 있더군요.
    즉 전기회사가 한전으로 통합되고 산업화로 전기 사용량이 늘어나고 배전선로를 통일하면서 전압이 낮으면 손실이 더 많이 발생하고 전압이 높으면 절연비용이 늘어나기때문에 가장 경제적인 값으로 22.9를 선정했고 배전값을 통일함으로서 부품의 규격을 맞춰 대량생산등을 고려하여 나온 전압값이라 보면 되는것 같네요.
    그리고 22.9로 올리면서 절연때문에 전선등 선로 재활용은 불가능하고요 주상변압기도 22.9/220으로 탭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하는게 아니라 전체를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걸린거고요.
    그리고 계산값이 다 맞아 떨어지는것은 220에서 배수를 하면서 상전압 선간전압을 계산하니까 당연히 맞아 떨어지는것 같은데요.
    실제로 비용도 많이들고 복잡하기때문에 배전선로 정격전압을 맞추는 작업을 성공한 나라가 얼마 없다고 하더군요.
    다른 나라는 민간이 전력회사를 운영하고 우리는 한전이 전력시장 전체를 통제하는 특수성 때문인것 같습니다.

    • @티비마이
      @티비마이  5 ปีที่แล้ว +10

      실제로 승압과정에서 케이블이나 변압기는 재사용이 안 되었나 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 댓글을 고정하겠습니다.

    • @인대파열-o9s
      @인대파열-o9s 4 ปีที่แล้ว

      1년이나 지난 글이지만 그러면 220에서 어떻게 22.9kv까지 숫자로 나오게 되는걸까요?

    • @skc1592
      @skc1592 4 ปีที่แล้ว +1

      질문이 있습니다.
      그럼 초기에 경성전기가 3.3kV를 채택한 이유는 미국이나 일본 등 발전사의 발전전압에 근거한 것이 시초인가요?
      어느 자료에서 보기로는 수력발전의 발전전압중에 3.3kV가 있다고 하던데...현재도 3.3kV로 발전을 하나요?아니면 1900년대 초반에 3.3kV 발전이 일반적이어서 그랬던 것인지...ㅎㅎ궁금한게 투성이네요ㅠ
      이것이 접지방식과 승압 변경 과정을 거치면서 결국 다중접지방식의 22.9kV로 단일화가된 것이고요.
      결국 22.9의 시초는 3.3에서 시작한건가보네요ㅎㅎ

    • @김성훈-i7t6r
      @김성훈-i7t6r 3 ปีที่แล้ว +2

      동의합니다. 단순히 전압을 상에서 선전압으로 또는 2배의 전압으로 올리는것만의 문제가 아니라 선로의 절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배전계통의 설계및 부속절연 제품의 교체또한 같이 이루어저야만 합니다. 산업의 관점에서 본다면 배전 계통에 고압의 다양한 전압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전압에 맞는 차단기 절연애자 등 제품이 수도없이 많아지게되고 그로인한 제품을 가격 상승을 동반하게 됩니다. 배전 전압을 동일하게 한다는것은 선로전체의 절연물 차단기 등을 단일화 함으로 배전에 사용하는 제품을 최소한의 제품군으로 규격화 할 수 있고 그로 인한 제품의 가격 상승을 최소화 함으로 설치비 및 유지비 절감으로도 이어지게 됩니다.

    • @내일도업자
      @내일도업자 2 ปีที่แล้ว +1

      11,400전압도 10년 정도 운용되어습니다.

  • @신동준-u6i
    @신동준-u6i 5 ปีที่แล้ว +3

    꾸벅~~~~
    매번 감사히 배워가고 있습니다.

  • @김홍열-b5x
    @김홍열-b5x 2 ปีที่แล้ว +2

    개인 생각이라는 전제를 깔고 설명을 했다는 점 감안해야 하겠고요.
    여하튼 내용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 이와 같은 생각을 해 본다는 것은 대단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사고가 있어야 개인의 발전이 있습니다.
    동영상은 매우 흥미롭게 잘 보았습니다.

  • @asomine
    @asomine 5 ปีที่แล้ว +3

    0:17 쩜~!!구 대해서 그냥 당연히 받아들였는데 이런 계산법이 있었네요.

  • @김정훈-z9d3e
    @김정훈-z9d3e 5 ปีที่แล้ว +1

    넘 감사합니다

  • @전기통
    @전기통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보았습니다. 많은 도움 됩니다.
    전기현장실무정보 배달통 "전기통" 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ksun-21
    @ksun-21 5 ปีที่แล้ว +1

    좋은 내용, 잘보고 갑니다

  • @등주폭
    @등주폭 4 ปีที่แล้ว

    정말 감사합니다

  • @hjpapa4377
    @hjpapa4377 5 ปีที่แล้ว +1

    22.9kV로 통일한것은 스토리 말씀하신게 얼추 맞을거고(전에 들은게 있는데 기억이 잘 안나네요.)
    변압기와 선로는 재사용이 안됩니다.(상황에 따라서는 전주도 재사용 불가)
    변압기는 제작할때 1차, 2차 전압이 고정이고 단지 탭조정으로 2차 전압를 +5~-5%까지 조정가능하게 만듭니다.
    중간에 탭을 따로 내서 2차 전압를 2가지로 사용하는 경우는 본적이 없네요.
    많이들 아시는(?) 삼권선 변압기는 2차권선이 2개로 되있는거지 2차측 전압이 2가지는 아닙니다.(3상*2=6상으로 만들목적으로 사용)
    (변압기 외부에서 보면 중간에 탭을 낸것처럼 보이지만 실재로는 2차권선을 두개로 구분해서 만든겁니다.)
    중간에 전주에 위.아래 선로가 있는것은 2중선로일 겁니다. OO T/L, XX T/L 이런 식으로요.

    • @티비마이
      @티비마이  5 ปีที่แล้ว

      재사용이 안 되는 군요.
      근데, 6.6을 와이로 해서 11.4로 승압한 경우 중성선을 하나만 끌면 변압기는 사용이 가능할 것 같아요. 영상에서도 나왔듯이 하트-하트를 하트-중성선으로 결선해서요.
      그리고 중간에 탭 내는 건 단상3선식 변압기가 이런 방식 아닌가요? 요즘엔 거의 없지만 중간을 따서 2가지 전압을 쓸 수 있다고 보입니다. 실제로 사용을 본 적은 없어 자신은 없지만요.

    • @hjpapa4377
      @hjpapa4377 5 ปีที่แล้ว +2

      @@티비마이 단상3선식은 2차측 중간에 탭을 내는건데 표준사양은 아닙니다.
      아마 그 방식은 110v 220v 가 섞여있던 시절에 는 많이 사용했을거에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탭은 1차권선 엔드부분에서 분기해서 만듭니다.
      따라서 특주형태로 만들지 않는이상 마이님이 생각하시는 그런변압기는 현재는 없습니다.
      델타를 와이로 바꿔서 쓰는 경우는... 1상 3대를 이용할 경우는 가능하지만 3상 변압기는 불가능 하다고
      보셔야 합니다. 1차측은 권선은 각동선 리드 부분은 동봉을 사용하고, 2차측은 알루미늄 판재에다 알루미늄 부스바를
      사용하는데 전부 용접입니다. 이것을 다시 용접으로 변경하는게 어려울 뿐더러 전기에서는 전압외에
      위상차, 임피던스, 용량 이런게 같이 변합니다.
      위와 같은 리스크를 안고서 굳이 사용할 필요도 없을 뿐더러 그렇게 하더라도 비용이 크게 절감되지는 않을거에요.
      무엇보다 한전하고 전기안전공사에서 승인 안해줄겁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델타결선을 와이결선으로 변경해서 사용하는것은 사실상 불가능한겁니다.
      Ps: 권선중간에 탭내는것은 2차측은 가능하지만(사이즈와 비용이 증가하는것은 감수하면.) 1차측은 거의 불가능 하다고
      보셔야 합니다. 구조상 너무너무 힘든일이고 리스크가 크거든요.
      오래전이지만 3년정도 배전용 변압기 설계, 공사감독 했던 사람말이니까 믿으셔도 됩니다.

    • @티비마이
      @티비마이  5 ปีที่แล้ว

      @@hjpapa4377 설명 감사합니다.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 @전기왕
      @전기왕 5 ปีที่แล้ว +1

      hj papa 배전선로는 d/L 송전선로는 t/L

  • @kwanghaegun
    @kwanghaegun 2 ปีที่แล้ว

    발전소에서부터 만들어 지는 전류는 몇 A인지 궁금합니다. 이것이 전압을 1차 변전소에서 올리고 2차부터 내려서 가장집에는 220V로 공급하는데 여기에 따른 발전소에서으 전류값과 1차 변전소에서의 전류값 765K, 2차변전 22.9K의 전류값 마지막으,로 220V상의 전류값이 굼금합니다. 전압에 대한정보는 많은데 전류는 없어 질문합니다.

  • @BS-yz8mu
    @BS-yz8mu 3 ปีที่แล้ว

    22.9 kv 그렇게 되었군요 감사

  • @myeonggyukim9378
    @myeonggyukim9378 5 ปีที่แล้ว +1

    저도 궁금했는데 그것이 맞는것 같네요

  • @meklaudwony
    @meklaudwony 5 ปีที่แล้ว +1

    정말 유익하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질문으로 외국의 경우 중동지역은 150kV를 송전 수전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국내는 154kV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서동춘-v5c
      @서동춘-v5c 5 ปีที่แล้ว +2

      우리나라 발전소의 정격전압이 다양한데 11kv도 있습니다. 그래서 7배하고 77kv를 2배한겁니다. 그냥 발전소의 정격용량에서 승압한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154kv8
    @154kv8 5 ปีที่แล้ว +3

    흥미로운 영상입니다~~

  • @minoh_h926
    @minoh_h926 5 ปีที่แล้ว +1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광고도 꼬박 잘 보고있으니, 더 유익한 동영상 부탁드리겠습니다 :)

    • @티비마이
      @티비마이  5 ปีที่แล้ว +1

      광고까지 신경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 @wellnam119
    @wellnam119 ปีที่แล้ว

    풍력발전소에서 한전으로 보내는 전기 22.9kv 변압기 쓰지않고 흘러보내면 그 주변이 몇 m까지 해로울까요?

  • @미드나잇콜드브루
    @미드나잇콜드브루 5 ปีที่แล้ว +2

    좋은 내용 잘배웠습니다. 3.3kv를 승압하려고 Y결선쓰고 x2하고 하다보니 22.9이 되었다는건 이해되는데, 처음 배전전압인 3.3kv는 어떻게 나온 전압일까요?

    • @서동춘-v5c
      @서동춘-v5c 5 ปีที่แล้ว +1

      초기 배전선로 정격전압이 비접지방식 3
      3kv로 만들어 졌습니다.

    • @티비마이
      @티비마이  5 ปีที่แล้ว

      옛날에 110v를 사용했잖아요. 거기서 30배를 하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 @서동춘-v5c
      @서동춘-v5c 5 ปีที่แล้ว +2

      @@티비마이 일제시대였으니 그냥 일본에서 만들어주는데로 썼을것 같습니다.
      또 그당시에는 그정도 전압이 기술의 최대치일 확률이 높고요.
      그리고 일본에 맞췄을테니 110v에 배수를 한것은 맞는것같습니다.

    • @박서윤-u1j
      @박서윤-u1j 2 ปีที่แล้ว

      @@티비마이 구글링을 해보니 초기 에디슨 전기회사에서 상용화한 필라멘트 전구가 100V 정격이었고 수용가까지
      전압강하 고려해서 110V로 발전/송전을 시작한 후 시간이지나며 배수로 승압되어서 그렇다고 하는 글을 보았습니다

  • @김자이언츠
    @김자이언츠 5 ปีที่แล้ว +1

    실례지만 마이님은 어떤일을 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같은 전기인으로써 너무 지식이 풍부하셔서 궁금하네요

    • @티비마이
      @티비마이  5 ปีที่แล้ว +1

      저는 지금 전기안전관리(시설 유지관리 포함)와 소방안전관리를 하고 있어요. 자미님은 어떤 전기일을 하시나요?

  • @봄소식-f8i
    @봄소식-f8i 4 ปีที่แล้ว

    전주꼭지에있는 노출된전선과 고입선과의전입은 몇볼트인가요 22.9인가요

    • @티비마이
      @티비마이  4 ปีที่แล้ว

      전주꼭지는 낙뇌방지 도선이라 접지가 되어 있어 한 선과 대지는 선전압의 1/루트3이니까 13200V가 나옵니다.

  • @뭐임마-l9b
    @뭐임마-l9b 5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_ _)^*

  • @Jin-ip1hs
    @Jin-ip1hs 5 ปีที่แล้ว

    동영상 프로그램이 뭔가요??
    선그릴때 편한것같은데

    • @티비마이
      @티비마이  5 ปีที่แล้ว +1

      ppt예요.

    • @Jin-ip1hs
      @Jin-ip1hs 5 ปีที่แล้ว

      @@티비마이 감사합니다 미리 다 준비하시고 영상 퀄 준비가 대단하네요

    • @티비마이
      @티비마이  5 ปีที่แล้ว

      @@Jin-ip1hs 이 영상을 봐 주세요. th-cam.com/video/lXeUPEsypZ0/w-d-xo.html

  • @jingyuku271
    @jingyuku271 5 ปีที่แล้ว +1

    기존변압기전압은 그대로인데
    왜 승압하는 건가요??

    • @sarang4014
      @sarang4014 5 ปีที่แล้ว +1

      전압이 높으면 높을수록 송전효율이 상승합니다.

    • @서동춘-v5c
      @서동춘-v5c 5 ปีที่แล้ว +1

      전압이 높을수록 효율이 높고 대신 재료비용도 많이 듭니다.
      가장 경제적인 전압으로 승압을 한겁니다.

    • @lubwiz
      @lubwiz 5 ปีที่แล้ว +2

      전선저항이 송전손실에 가장 큰 원인인데 전선저항 공식은 간단하게 R=L/S 입니다. 길이에 비례. 단면적(굵기)에 반비례죠. 전선이 길면 길수록 저항이 커지는데 만약 우리가 아직도 송전이나 배전 접압을 승압하지 않았다면 건축할때 내부 전선 기본은 아마 4sqmm 이상이였을겁니다. 재료비도 많이들고 전기화재도 더 빈번하게 발생했을겁니다. 대신 감전사고의 위험이 더 커졌지만 eld, elcb등으로 극복하고 있는거죠.

    • @jingyuku271
      @jingyuku271 5 ปีที่แล้ว

      @@lubwiz 감사합니다

    • @jingyuku271
      @jingyuku271 5 ปีที่แล้ว

      @@서동춘-v5c 감사합니다

  • @Yu-v3k
    @Yu-v3k 5 ปีที่แล้ว

    대한 민국은 전붓대 공화국

  • @soonjakim384
    @soonjakim384 3 ปีที่แล้ว

    내 생각 이라구요, 정확하지 않고 라고요 이런 영상은 올리지 마세요

    • @oh38
      @oh38 3 ปีที่แล้ว

      그건니생각이고

    • @김형준-u3z
      @김형준-u3z 2 ปีที่แล้ว +1

      팩트라는듯이 선동하는 타 유튜버보다는 다르죠. 정확하지않다 미리 말을 하였고 자기생각을 공유함으로써 댓글을 이용해 아닌부분을 같이 공유하는게 집단지성 아닐까요?
      무엇보다 님도 궁금했으니 이영상을 보았고 조금이라도 스스로 생각할 정보를 얻었다고 생각합니다만. 아니꼬와서야 어떡합니까

    • @user-99hgcx457hg
      @user-99hgcx457hg ปีที่แล้ว

      한국에서 절대 노벨상이 나올 수 없는 이유를 보는 거 같네유
      확실한 정답만을 얘기해야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