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트럭 왜 우리나라에 없나, 나라별 트럭 디자인 다른 이유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 ส.ค. 2022
  • #미국트럭 #볼보VNL #스카니아 #만트럭 #엑시언트 #벤츠트럭 #볼보트럭
    미국트럭과 한국트럭 유럽트럭의 차이점을 살펴봤습니다.
    그래도 간지는 미국의 트럭들 인듯 실내공간이 상당히 넓네요.
    카링TV 메일 carringtv@bye-car.com
    ■Music
    ------------------------------
    Over You - Atch / atch-music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 3.0 Unported - CC BY 3.0
    Free Download / Stream: bit.ly/_over-you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Over You - Atch (No Co...
    ------------------------------
  • ยานยนต์และพาหนะ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K

  • @user-tt9nt2dt4t
    @user-tt9nt2dt4t ปีที่แล้ว +271

    컨벤셔널 트럭과 캡 오버 트럭을 비교할 때 땅덩이 크기를 많이 놓고 비교하는데.. 그다지 맞는 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야 다들 아시다시피 역사가 오래 되었고 오래 전부터 인구 밀도가 높았고 농사도 지었습니다. 때문에 당시 사람들이 쓰던 농로, 마차길이 그냥 도로가 되었고 당시 폭이 좁은 길 형태 그대로 도로가 되다보니 좁고 회전 반경이 짧은 도로가 되었습니다.
    비단 우리나라 뿐 아닙니다. 땅덩이 크기로는 미국 못지 않다는 중국도 마찬가집니다. 오래 전부터 인구밀도가 높았고 농사도 짓는 등.. 우리랑 다를 바가 없었기에 좁은 농로가 도로로 바뀌었고 회전 반경도 좁은 겁니다. 그래서 도로 사정은 우리랑 다르지 않습니다.
    유럽도 마찬가지죠.. 사실 유럽은 현재도 인구 밀도가 높은 편이 아닙니다. 우리에 비하면... 하지만 유럽도 밀 농사를 지었고 사람들이 광장을 중심으로 모여 살았기 때문에 당시 마차가 다니던 길이 도로로 변했으므로 역시나 도로 폭이 좁고 회전 반경이 작습니다.
    그래서 회전 반경 문제 때문에 트럭의 전체 길이에 제약을 가할 수 밖에 없었고 따라 짐칸을 되도록 크게 가져가려다보니 운전석이 비좁은 캡 오버 형식이 대세인 거죠..
    미국은 전혀 다르죠. 미국은 일단 사람들이 흩어져 살았고 그나마 모여서 살았던 뉴욕 같은 곳은 시간을 들여 천천히 넓히거나 맨하튼처럼 아예 총으로 집주인 몰아내고 불도저로 집을 밀어서 길을 내고 계획 도시로 만든 경우도 있었죠.. 때문에 도로 폭을 넓게 가져가면서 회전 반경도 크게 만들 수 있으니 굳이 캡 오버를 고집하지 않습니다. 미국의 법규는 앞의 트랙터 부분과 뒤의 트레일러 부분을 따로따로 측정하는 것으로 압니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58

      와 또하나 배웠습니다. 그런 비밀이 숨어있었군요 감사합니다. 긴 댓글로 정보주심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ปีที่แล้ว +9

      @@carringtv 현대자동차가 놓친 M&A중 끝판왕은 나비스타라고 생각합니다. 스카우트 브랜드까지 따라오면서 현대의 약점인 상용차를 커버할 수 있는 매물이었는데요.

    • @user-gn2ep3hl8s
      @user-gn2ep3hl8s ปีที่แล้ว +24

      미국트럭커분들은 미국에서 캐나다로
      또 미국에서 멕시코까지 트럭타고 일주일
      폭설오고 태풍오면 근 차안에서 한달정도
      살다시피합니다..거의 차안에서 먹고자고
      하는데 미국 고속도로에있는 휴게소나 모
      텔등이 기본 15만원씩하니 휴게소나 모텔
      에서 지내는건 엄두도 못냅니다..땅의크기
      를 논한게 길이 폭을두고 그런게 아니라
      트럭으로 장기간 운전하고 차안에서 생활
      해야된다는 뜻이 아닐까요??

    • @user-xh8bj1mt5l
      @user-xh8bj1mt5l ปีที่แล้ว

      😅😊😊😊

    • @ChrisLee-th1dg
      @ChrisLee-th1dg ปีที่แล้ว +8

      땅덩이를 언급한건 땅이커서 오래운전해야해서 잘수도 생활해야한다라는것 아닐까요?

  • @TOYEMPEROR
    @TOYEMPEROR ปีที่แล้ว +1110

    옵티머스프라임으로 변신할때 팔이랑 다리를 숨길 공간이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103

      ㅎㅎㅎ 빵 터졌습니다.. 공간부족이

    • @cyber-backpacker
      @cyber-backpacker ปีที่แล้ว +1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2년 최고의 유머

    • @user-zx6jj2ti4c
      @user-zx6jj2ti4c ปีที่แล้ว +5

    • @supersonicy.s324
      @supersonicy.s324 ปีที่แล้ว +21

      하긴 옵티머스가 트럭으로 변신하면 ㅌㅋㅋ 숨길데가 없긴 하지.

    • @user-sm4wk5ui7w
      @user-sm4wk5ui7w ปีที่แล้ว +2

      센스 ㅋㅋㅋㅋ.

  • @Next-Truck
    @Next-Truck ปีที่แล้ว +51

    미국에서 트럭커로 일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땅이 넓고. 도로도 넓고. 회사들의 주차장도 대부분 넓어서 보닛형 트럭이 다니고 주차하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그리고 장거리는 물론이고 로칼 트럭킹의 경우도 이동거리가 머니 침대칸 필수죠. 이층침대에 냉장고가 들어갈 정도의 여유가 있고 저 같은 경우 침대를 접어서 그 공간에서 운동 체조등을 할수 있게 했습니다.
    앞이 툭 튀어 나와도 익숙하면 시야방해도 안됩니다. 단점이라면(?) 사고가 나면 나는 안전한데 상대방 차량이 더 걱정된다는거.
    카링님이 아주 잘 만드신 영상이라 잘 보고 갑니다.

    • @Next-Truck
      @Next-Truck ปีที่แล้ว +5

      @@aaaqwe111 안녕하세요. 사실 미국에서 트럭은 이민자들의 직업으로서 초기 자본과 기술 경력없이도 중산충 혹은 어메리칸 드림으로 갈수 있는 길중의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직업 만족도도 높은 편이고요.
      일단 카고 트럭은 로컬 일로서 수익도 낮고 차도 많지 않습니다. 윙바디는 뭇본것 같습니다.
      영어는 못해도 일이 가능합니다. 하다보면 늘게 되어 있고, 늘 쓰는 말만 하다보니 오히려 영어가 안늡니다.
      한국에서의 면허는 여기서 인정이 안되지만 경력이 있으면 일하는데 쉽게 적응되겠죠
      트럭커가 되려면 class A라는 대형면허가 필요한데 약 2,3개월 교육받아야 하고 교육비는 요즘 5천불 정도.
      중요한건 트럭일을 하려면 체류신분인데요 비자만으로는 안되고, 영주권자부터 가능합니다.
      궁금한거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 @vincentr6567
      @vincentr6567 ปีที่แล้ว +1

      @@aaaqwe111 궁굼x 궁금o

    • @ba4089
      @ba4089 ปีที่แล้ว

      @@Next-Truck 혹시 한국 기준 월에 아주 대략이라도 얼마정도 버나요?

    • @Next-Truck
      @Next-Truck ปีที่แล้ว +3

      @@ba4089 회사 트럭 드러이버의 경우는 보통 월6천불 정도. 오너 오퍼레이터의 경우 1만불-만이천불 정도의 수입이 됩니다. 물론 적은 경우엔 8천불일때도 있고요.

    • @Next-Truck
      @Next-Truc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njsidlrjs 못합니다. 경상도식 발음에 하고싶은 말만 겨우 합니다. 직업관련 영어는 매일 하는거니까요.

  • @IlIllIIIillilIlllII
    @IlIllIIIillilIlllII ปีที่แล้ว +14

    3:46 부터의 볼보측 답변이 너무 세련됐네요.. 와 또하나 배우고갑니다

  • @Sinuuk
    @Sinuuk ปีที่แล้ว +278

    우리나라의 도로사정 등으로 캡오버 타입을 선호하지만 보닛형 트럭이 뭔가 더 매력적이고 탑승자를 든든하게 지켜줄 것 같은 안전성이 느껴집니다.

    • @NaBoong
      @NaBoong ปีที่แล้ว +16

      저런게 확실히 예쁘고 안전해보이긴하네요

    • @Dauntless_rokaf
      @Dauntless_rokaf ปีที่แล้ว +19

      실제로 유로 트럭은 앞이 납작해서 사고시 치사율이 더 높습니다 ㅠㅠ

    • @user-dv5gi7hv5f
      @user-dv5gi7hv5f ปีที่แล้ว +2

      도로 사정보단 운송배달을 위해서죠, 5톤 트럭이 들어갈만한 골목안에 트레일러 배달가면 캡오버는 화물하역장에 차를 못대요

    • @K6003_WTEX_youtube
      @K6003_WTEX_youtube ปีที่แล้ว +2

      실제로 보닛형이 캡오버 타입 보다 안전성이 높긴합니다.

    • @user-tn3ru2zo6w
      @user-tn3ru2zo6w ปีที่แล้ว +2

      보닛형 트럭이 안전하고 든든하지만, 우리나라도 유럽처럼 도로가 좁아서 도로기준 때문에 그렇고, 기름도 업는 우리나라는 기름값이,ㅠㅠ그리고 연비도 캡오버형에비해 연비는 좋지 못하므로 ㅠㅠ
      차는 연비도 중요하지만 사람을 위해서라면 안전이 우선 이겠죠. 둘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 @sumin_yoo
    @sumin_yoo ปีที่แล้ว +62

    1년 정도 미국에 살 때 트럭 앞부분이 튀어나온 것을 보고 "트럭이 왜 저래?"라고 했는데 안전 문제를 생각해보니 저렇게 생긴 게 더 낫겠다 고도 생각하게 됐었습니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2

      수민님 안녕하시죠~ 부산은 더 더울듯

    • @sumin_yoo
      @sumin_yoo ปีที่แล้ว +3

      @@carringtv 잘 지내시죠? 요즘은 말할 수 없이 덥네요. 이따금씩 예보에 없던 소나기도 지나고.....

  • @tntmts
    @tntmts ปีที่แล้ว +26

    미국생활 14년째다보니..캡오버 영상을 보니 아...
    한국엔 트레일러 캡이 저렇게 생겼었는데 싶네요 재밌게 봤습니다
    그리고 미국은 트레일러 전용 주유소나 rest area도 있지만 interstate갓길에 세워두고 쉬거나 월마트 주차장 구석에 세워두고 쉬는 분들도있고 대도시만 아니면 흔하게 접하는 차량이죠
    안마의자를 주문했더니 54피트 트레일러가 집앞까지와서 내려주고갔습니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무척 재미난 광경이도 했습니다

  • @user-db7yx7gy4w
    @user-db7yx7gy4w ปีที่แล้ว +15

    미국은 롱홀트럭커가 많아서 차에서 먹고자는 시간이 많아 실내공간을 중요시 여기는 경우가 많은거같음. 그래서 보닛형트럭을 선호하는거 같음..물론 땅도 넓어서 길도 넓은 것도 이유고..

  • @GNG45
    @GNG45 ปีที่แล้ว +20

    한국트럭들은 골목길이나 좁은 시골공장까지 가야하기때문에 미국식 트럭같이 본넷 길면 운송자체가 안되죠.디젤집시님 영상을 보면 미국공장들내 도로를 보면 광활한 대륙입니다.

    • @magickid7028
      @magickid7028 ปีที่แล้ว +1

      우리 법규 개정하지않는한 미국식의 트럭은 들어오기는 쉽지않겠네요.

    • @gnt6321
      @gnt6321 ปีที่แล้ว +2

      @@magickid7028 법규 개정한다고 될 문제는 아닌것같네요. 대륙처럼 평야위주의 도로가 한국에 얼마나 있다고.. 트랙터들이 보세창고같은 대형 물류창고만 가는것은 아니니깐요..
      브랜드는 모르지만 미국 트랙터 한대를 본적있네요 평택에 근무할시 코스트코 보세창고에 한대 본 적이 있었습니다. 멋있긴 진짜 멋있는데 그 넓은 물류창고에서도 다른 트랙터사이로 하역을 해야하니 버거우신것같더라구요

  • @jeonmunga
    @jeonmunga ปีที่แล้ว +29

    군용트럭 K511 K711이 2.5톤 5톤이지만 실제 운전해보면 15톤 덤프보다 운전이 더 어렵습니다.
    안전 생각하면 보닛형이 옳지만
    보닛형이 보급화되면 승용차 운전하는 희생자가 더 많이 나올 것 같아요.
    지금도 덤프 운전하시는 분들이
    자신은 사고나도 비교적 안전하니까
    난폭운전하는 경우가 많은데
    보닛형 트럭이 주류가 되면
    운전을 더 개판으로 할 것 같아요.

    • @user-oz9fp1gl9t
      @user-oz9fp1gl9t ปีที่แล้ว +1

      보닛형트럭 1톤트럭만 적용아님? 츄레라는 도로좁아서 못함 덤프도 그렇고

    • @Choco_brownie
      @Choco_brownie ปีที่แล้ว

      @@user-yk5fv6cb6s 구 신 타보면 거의 비슷해여

    • @jay-124
      @jay-12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보넷트럭은 미국 말고 전세계에서 다 사라지는 중...
      군용트럭도 요즘 나오는거 다 오버트럭이에요...

  • @hiab890
    @hiab890 ปีที่แล้ว +62

    우리나라 산속 공장 창고 진입 난이도가 상상을 초월하는 곳이 많아서
    앞으로 갔다 뒤로나와야 되는 기인열전 수준이라
    진짜 한뼘 차이로 진입이 될까 말까한곳들이 많아서 휠베이스가 넗으면 넓을수록 불리한건 사실입니다
    슬리핑공간 편안한하고 안락한 운전보다
    운행 거래처 진입이 중요한거죠

    • @user-vn9in6yv8l
      @user-vn9in6yv8l ปีที่แล้ว +5

      산속에 만든 시자체가 병신시임ᆢ 도로도없이 무차별 승인 ᆢ 왜? 돈받아쳐먹고ᆢ 자랑이다ᆢ

    • @seonggwankang3197
      @seonggwankang3197 ปีที่แล้ว +1

      개공감... 한뼘 딱! 한뼘때문에 ㅎㅎ

    • @schneeig
      @schneei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vn9in6yv8l 이전에 일하면서 경험한 바로는 간혹 작은 장비 불렀는데 큰거와서 당황시키기도하던데 처음부터 큰차를 부른건가요?

    • @user-yf6uv7kj7e
      @user-yf6uv7kj7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습니다

    • @wpqlwpql
      @wpqlwpq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ㄹㅇ 트럭운송하시는분들 진짜 기인열전수준으로 차 넣는거보면 개신기함

  • @O_OSibalnom
    @O_OSibalnom ปีที่แล้ว +13

    아메리칸 트럭시뮬하다가 알았는데 유럽이나 우리나라는 말씀하신것처럼 차량 총길이에 제한이있는데
    미국은 뒤에 트레일러 길이만 제한이 있어서 앞에 트랙터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 @cospa1
    @cospa1 ปีที่แล้ว +9

    이점이 정말 궁금하였는데 영상으로 다루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1

      아이고 저도 감사합니다. 유익하셨나요~

    • @cospa1
      @cospa1 ปีที่แล้ว +2

      @@carringtv 미국드라마나 영화에서 많이보던 저 트럭을 왜 국내에서 볼수없었는지 궁금했었는데 이렇게 알려주시니 유익하죠.

  • @zerop2806
    @zerop2806 ปีที่แล้ว +53

    개인적으로는 보닛형이 승용차랑 비슷해 운전이 더 잘 되는 것 같습니다 운전병으로 오톤 개조된 좀 더 긴 제독차를 몰았었는데 노브스보다 더 편했습니다
    앞바퀴가 운전석 앞에 있냐 뒤에 있냐가 운전적응에 있어 큰 차이를 가져다 주는것 같네요

    • @han_plant_park
      @han_plant_park ปีที่แล้ว +2

      앞바퀴 위치... 진짜 큰 요소이겠네요!

    • @user-cs9xg1qi6d
      @user-cs9xg1qi6d ปีที่แล้ว +1

      화생방지원대 운전병 출신으로써 공감합니다!

    • @user-vv8td4hi4v
      @user-vv8td4hi4v ปีที่แล้ว +1

      현직 K-10 운전병입니다ㅜ 공감되네요,,

    • @Illyasviel_von-einzbern
      @Illyasviel_von-einzber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앞바퀴가 운전석 뒤에 있으면 앞에 갖다박겠다 싶을정도로 붙여야 돌아나가니 일반 승용차랑은 아예 다르긴 하죠 ㅋㅋㅋ

  • @user-oe5qg1dk5j
    @user-oe5qg1dk5j ปีที่แล้ว +60

    트레일러는 아무래도 존재 자체로 워낙 육중해서 캡오버형이 적합할지도 모르겠지만 봉고나 포터같은 중형 수송차들은 확실히 컨벤셔널 트럭으로 바뀌는 게 좋다고 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안전이죠. 포터나 봉고같은 캡오버형 트럭은 앞이 작은 사고가 나더라도 다리, 척추에 정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실제로 제 주변에도 포터나 봉고 타다가 다리 나가신 분 몇분 봤고요. 물론 편의성 때문에 캡오버형이 선호되긴 하지만 안전이 정말 1순위이기에 앞으로 소~중형 운송차량들은 확실히 컨벤셔널 방식이 우선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Sambi2
      @Sambi2 ปีที่แล้ว +5

      포터 봉고야 말로 좁은 골목사이사이 가야 하는 업종이 많은데요

    • @Equiblue
      @Equiblu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럽이 우리나라보다 골목 좁은곳 많은데 마스터 스프린터같은 차들 잘다님

    • @SUMTAL2023
      @SUMTAL202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컨벤셔널 타입이라 하긴 뭐하지만,
      현대에서 1톤트럭 '리베로'가 나왔었죠, 지금은 단종됬습니다. 단종된 이유는 인기가 없다(=안팔린다).
      인기가 없는 이유는 ᆢᆢᆢ
      같은 1톤이고 길이도 비슷한 봉고나 포터에 비해 화물칸이 많이 작아서였습니다.
      법으로 강제 하지 않는한 컨 보닛형 화물차는 아마도 힘들꺼같네요.

  • @gridatour
    @gridatour ปีที่แล้ว +1

    궁금했던 내용인데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user-ml6ue8gz9h
    @user-ml6ue8gz9h ปีที่แล้ว

    잘 봤습니다.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 이런이유가 있었네요
    제한이 있다는 내용도 처음 알았네요

  • @two-five-one
    @two-five-on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미국에서 사업하고 있습니다. 제조업 비중이 큽니다.
    당연한 얘기이지만 물류 때문에 트럭커들을 자주 접하다 보니 친한 분들이 많아요. 예전에 프랑스에서도 트럭커로 활동하셨던 분도 계신데, 그 분께 똑 같은 질문을 한 적 있습니다.
    운전자 입장에서 보닛형의 가장 큰 장점은 언급해 주셨다 시피 공간, 두 번째가 승차감, 세 번째가 정비용이성, 네 번째가 승하차.. 대충 요 정도?
    아무리 서스펜션과 시트가 좋아졌다고 해도, 서스펜션 바로 위에 시트가 있는 캡오버 타입의 운전 피로도가 높다고 합니다.
    단순히 승차감이 좋다 라기 보다는 피로도가 낮다의 개념이 맞는 듯.
    보닛형이 자가정비시 훨씬 편하답니다. 정비공간도 훨씬 여유롭고요.
    승하차는 아무래도 높이가 낮아 승하차시 편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보닛형이 좀 더 높은 코너진입 속도와 코너탈출 속도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즉, 크루징 시 운전이 좀 더 쉽다는거죠.
    그 분 말씀에 의하면 전 세계 트럭커들은 세상에서 가장 보수적인 집단이라고 말 합니다.
    즉, 익숙함에서 굳이 벗어날 이유가 없기 때문에 북미지역에서 캡오버 트럭을 볼 수 없는 것이라 얘기했습니다.

    • @carringtv
      @carringt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우 좋은정보감사합니다… 긴글에 감동했네요. 먼곳에 고생많으셔요. 늘 건겅핫세요. 즐거운 추석도 보내세요.

  • @user-og5lk9vj6i
    @user-og5lk9vj6i ปีที่แล้ว +5

    궁금했던 정보 감사합니다 ㅋ

  • @castorpullux
    @castorpullux ปีที่แล้ว +6

    땅덩어리가 좁은게 가장큰문제고 그에따른 좁은 도로때문에 별거아닌 일미터 차이지만 그 차이로 차가 들어가고 못들어가고 차이가 생기는 어짤수 없죠 그리고 우리나라는 멀어도 12시간이 어디든 갈수있으니 장기운전을 위한 편의시설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을수밖에요

    • @user-dr7xy4gk9j
      @user-dr7xy4gk9j ปีที่แล้ว +2

      덤으로 휴게소 시설이 좋은것과 자주있는것도 한몫하는거 같습니다 어느 휴게소를 가던 밥은팔고 화장실은 깔끔하고 편의점도 거의 계속 열려있으니 굳이 차에 많이 이거저거 싣고다닐 이유가 없겠죠 전자레인지라던가 식탁이라던가

  • @ecopenguin877
    @ecopenguin877 ปีที่แล้ว +17

    컨벤셔널 타입이 솔직히 더 정비성도 좋다 라고 생각합니다 캡오버타입은 캡이 올라가야만이 엔진룸의 정비 및 오일교환이 되고 그놈의 캡틸팅이 여름엔 열을받아 압이차거나 물이 들어가서 안올라간다던지 오래되서 고장이 안다던지 겨울엔 겨울대로 상태가 안좋아서 안올라간다던지 온갖상황이 다생깁니다 무조건 수리를 해야만하는 상황이 오는거죠..하지만 컨벤셔널은 뚜껑만 열면됩니다 이거는 좁은 땅덩어리의 문제죠 뭐…좁아터진땅에서 얼마 이동도 안하니 궃이 장거리 운행에 따른 편의성을 해외와 달리 좀 덜 신경쓰고 대신 시야성이 높은 캡틸팅방식을 선호하는거같습니다 선회성으로도 아마 좀더 나을꺼구요 문제는 캡오버는 무조건 들어가야할 탑실린더나 오르락 내리락할때 계속 사람한테 무리가 오는거나…문제가 많죠

  • @user-gz6qo4cb3u
    @user-gz6qo4cb3u ปีที่แล้ว +8

    보닛형트럭은 스카니아 t캡이 전 맘에 들더군요 그나마 우리나라 도로사정에 그나마 조금더 났겠다 싶구요 지금은 물론 t캡은 스카니아에서 직접 만들지 않고 특장업체에서 튜닝해서 나오긴 하지만요
    1~1.5톤은 이제 포터,봉고 풀체인지할때 이제는 보닛형으로 강제해야 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캡오버소형상용차중 가장 안전하다는 토요타 하이에이스도 풀체인지때는 소형캡오버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은 보닛형으로 바뀐것 보면요

  • @user-tj8hk3gs4m
    @user-tj8hk3gs4m ปีที่แล้ว +34

    어렸을때 실베스터 스탤론이 나온영화 '오버 더 톱'보고 본넷트럭이 너무 멋져 보였는데 왜 우리나라에는 저런차가 없을까 궁금했는데 너무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t6fm2tt1l
      @user-ht6fm2tt1l ปีที่แล้ว +2

      옵티머스트럭과 동일한 모양이죠. 북미에서 peterbuilt 라는 회사에서 나오는 아주 유니크한 세미입니다

    • @user-tj8hk3gs4m
      @user-tj8hk3gs4m ปีที่แล้ว +1

      @@user-ht6fm2tt1l 맞습니다!!!!!! 검색해서 사진보니깐 예전 추억이 떠오릅니다.

    • @skippityskoppetty4568
      @skippityskoppetty456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영화 추천 감사합니다

  • @user-ll1yt1fx7s
    @user-ll1yt1fx7s ปีที่แล้ว +2

    아주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자주 만들어 볼게요

  • @Baek98
    @Baek98 ปีที่แล้ว +58

    보닛형은 진짜 이쁘고 좋은 거 많은데…미국가서 멋진 놈 많이 봤죠. 그때 나비스타 차주님이 as문제 말씀하시던데 향후 테슬라 세미트럭이 들어온다면 좀 다른 상황이 될테니 그때는 보닛형도 인기 있지 않을까 싶네요

  • @twosu1381
    @twosu1381 ปีที่แล้ว +7

    궁금한 대형 트럭 이야기 참 재미 있네요..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jay-124
    @jay-124 ปีที่แล้ว +2

    한마디로 미국에서만 생존가능한 구시대 디자인...
    미국의 의료보험 제도처럼 ....허울좋은......
    멋있다고 해봤자 누가 저런 차를 몰고 다니냐...
    운전 힘들어 적재량 30프로 손해봐...
    캡오버 운전하다가 보넷형 운전하면 정말 불안함...
    국산 1톤 캡오버는 정말 신의 한수...고유모델로 수십년
    가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골목에서 5센티 차이로 차를
    돌릴수 있는 것도 캡오버 운전이기 때문에 가능함...

  • @user-oz7ud5zg3o
    @user-oz7ud5zg3o ปีที่แล้ว

    잘봤습니다 많이 배우고갑니다

  • @K6003_WTEX_youtube
    @K6003_WTEX_youtube ปีที่แล้ว +21

    컨벤셔널 타입 트럭은 프로스타 외에도 국내에 극소수 존재하긴합니다. 켄워스 구형 W900,C500이 극소수 운행중인걸로 알고있긴합니다만 국내 켄워스 차량들은 실내공간은 국내 도로사정상 일반 캡오버 타입형식과 비슷한 형식으로 존재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 @ShadowCitadel2
    @ShadowCitadel2 ปีที่แล้ว +27

    동영상 잘 보았습니다. 확실히 도로와 지리적 환경이 트럭 선택에 대해서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중간에 나왔던 대한민국의 차량 법률적 제원(한도)에 대한 내용과 고정 댓글로 박으신 윤석호님의 댓글도 흥미로웠는데 혹시 여력이 가능하시다면 차량의 법률적 제한이 어떻게 왜 나오게 되었는지도 동영상을 만들어 주실 수 있으실까요?
    정말 잘 봤고 구독 추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ll1yt1fx7s
    @user-ll1yt1fx7s ปีที่แล้ว +1

    이런 영상 너무 좋아요

  • @hyentaek1273
    @hyentaek1273 ปีที่แล้ว +9

    보닛형트럭이 트럭생활 편한데 좁은 골목안 공장들 물건을 실으려면 캡오버 방식이 맞고
    (좁은 골목길 후진으로 들어갈려면 오른쪽 왼쪽 손이 안보일 정도로 돌려야함)
    먹고살려면 어쩔수없이 캡오버를 사야되지만
    캡오버중에서도 실내가 넓은 XXL 사이즈도 좋을것 같네요

  • @user-me4iq7bi6r
    @user-me4iq7bi6r ปีที่แล้ว +3

    안전성은 보닛타입이 좋죠 캡오버타입 사고나면 그냥 운전석이 분리되어 수십미터 굴러가서 운전자가 즉사하는걸 본적이 있어요 어느것이나 사고에 장사가 없지만요 그래도 조금은 안전하겠죠 그리고 공기저항이적어 연비도 괜찮다구 하는것 같더라고요

  • @kaeulii
    @kaeulii ปีที่แล้ว +2

    제목의 내용은 리얼 한번도 의식해 본 적은 없는데 영상 내용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보길 잘했네요.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victolee5043
    @victolee5043 ปีที่แล้ว +2

    높이 와 길이 제한이 있었군요.
    잘 배웠습니다.👍

  • @yeongkim7371
    @yeongkim7371 ปีที่แล้ว +15

    저는 미국에서 운전하고 있는데 항상 궁금했던 사항을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적으로 여기는 보여주신 Volvo VNL 모델과함께 Freightliner Cascadia 모델이 대세입니다. Peterbilt 는 비교적 고급으로 여깁니다.

    • @user-dr7xy4gk9j
      @user-dr7xy4gk9j ปีที่แล้ว +2

      MACK은 볼보산하고 웨스턴도 다임러 산하라 크게 인기없는건 아는데 켄워스는 어떤가요? 켄워스도 피터빌트랑 같은 PACCAR INC 산하인거로 알고있습니다

    • @lifeoftrucker7715
      @lifeoftrucker7715 ปีที่แล้ว +1

      @@user-dr7xy4gk9j 맞습니다, 우리로 치면 기아와 현대 같은 관계입니다. 켄월스나 피터빌트가 좀더 인정받는 이유는 한번더 생각하고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자면 수리시 손이 닿기 좀 더 좋도록 부품배열이 되있고, 같은 부품 설치도 보면 꼭 한공정 더 들여서 정성껏 만들었습니다.

    • @KoreanBeautyOwner
      @KoreanBeautyOwne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ifeoftrucker7715 문짝도 피아노 힌지를 써서 훨씬 튼튼합니다..

  • @user-rg3nx1ii7z
    @user-rg3nx1ii7z ปีที่แล้ว +3

    3년전부터영상보있서 요 ㅋ. 좋은정보감사합니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쭈욱 봐주세요

  • @plazmatv4421
    @plazmatv4421 ปีที่แล้ว +1

    참 차분하고 목소리 좋네요 오늘도 재밌게 보고 갑니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힘나는
      댓글입니다

  • @skykid4881
    @skykid4881 ปีที่แล้ว

    트럭 운전자인데 유익한 정보 재밌게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s2xy4uq1d
    @user-ts2xy4uq1d ปีที่แล้ว +31

    안전과 실내공간의 편의성은 당연히 보닛형이지만 결국 국내의 도로사정이 현재의 캡오버를 주류로 만든거죠. 거기다가 우리나라 특유의 과적문화와 어떻게든 하나라도 조금이라도 더 실어야 하는 물류업계의 현실도 있겠죠. 개인적으로 포터 봉고는 그랜드스타렉스 정도의 보닛 사이즈면 그래도 5m정도 길이로 적재함 2.5m 이상은 뽑을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법규 좀 바꿔서 차량 등록증 이상으로 적재하면 과적으로 판정하게 전부 준비좀 했으면 좋겠네요.

    • @DiGIMon74
      @DiGIMon74 ปีที่แล้ว +4

      포터의 과적을 잡아버리면 그쪽시장 망합니다. 경찰들이 포터과적을 보고도 안잡는 이유랑 같아요. 각파이프 4만원짜리 하나 운반하려고 2.5톤 20만원짜리 써야한다는거예요. 대기업이야 타격이 적겠지만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 다 죽어라는 말과 같습니다

    • @user-mg6uz4mn2t
      @user-mg6uz4mn2t ปีที่แล้ว +5

      @@DiGIMon74 불법과적을 옹호하시네요? 마약 단속하면 마약 운반책들 굴어죽어요 그럼 마약도 단속하면 안됨?

  • @user-db7nd3my7y
    @user-db7nd3my7y ปีที่แล้ว +3

    그 강원도에서 풍력발전기 날개옮기는 트레일러봤는데 컨보이차량도 보이고 엄청길더라고요 그런건 문제없나용?

  • @user-db9xf4mq1k
    @user-db9xf4mq1k ปีที่แล้ว +1

    유익한 정보네요 ㄱㅅ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byjun8946
    @byjun8946 ปีที่แล้ว +1

    이런 영상보면 디젤집시님이 생각나는군요
    영상 즐감입니다

  • @hgl4944
    @hgl4944 ปีที่แล้ว +3

    추레라 트럭으로 자주 다니는곳이 공장입니다 우리나라의 공장 밀집지역인 공단만 가더라도 골목길이 어마어마하게 많으며 공장도 크기가 협소한곳이 많습니다
    앞 보닛이 길게 나와있다면 진입각도가 잘 안나와서 운전하기가 많이 힘듭니다
    항만대 항만으로 고속도로와 대형 길로만 운송위주라면 괜찮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추레라를 운용하게된다면 모든 화물을 운송하게되기에 보닛이 긴타입은
    기피할수밖에 없지요

  • @user-dr1tl6nm8c
    @user-dr1tl6nm8c ปีที่แล้ว +12

    비단 캡오버형이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유럽, 중국에도 많은 건 법규상 제원, 적재문제라든지 골목 문제 등 지형 때문에 그런 거 아닌가 싶습니다. 같은 전장이라면 차라리 앞을 더 늘릴 바에야 뒤를 더 늘려서 화물공간을 넓히는 게 낫다라는 것일지두요.

  • @osp6999
    @osp6999 ปีที่แล้ว +27

    확실히 캡오버보단 보닛형이 승차감면에서는 압도적이긴 하죠 북미에선 장거리 뛸때 기본적으로 2000km이상 뛰니까 승차감을 무시 못해서 보닛형을 선호한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호주에서도 보닛형이 많이 다니죠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3

      승차감도 더 좋군요.. 타본 경험이 많이 없어서

  • @user-fn4im6rl1v
    @user-fn4im6rl1v ปีที่แล้ว +3

    미국 캡오버 사용하다가 안전상이유로 보닛형으로. 갔다고 할수 있죠. 간지는 보닛형이 좋아 보이죠.

  • @chanhoonpark7883
    @chanhoonpark7883 ปีที่แล้ว +6

    저런차 헤드만 운행해도 괜찮다면 캐빈을 확장개조해서 차박용으로도 사용해보고 싶네요...미국에선 헤드를 축 늘리고 완전 거주형태로 개조된 차량도 많던데...우리 나라는 안되는게 많으니...힘들것죠잉~??

  • @user-io2yr6gn7v
    @user-io2yr6gn7v ปีที่แล้ว +4

    항상 큰차 이야기 큰차뉴스 대형차문화에 힘써주는 카링티비 늘 응원합니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un3pb6id2e
    @user-un3pb6id2e ปีที่แล้ว +2

    그 캡오버 트럭도 마개조해서 엄청늘리지많나요?
    그 약간 엑시언트 북미형 비슷 하게요.

  • @user-bb9ly4bv3l
    @user-bb9ly4bv3l ปีที่แล้ว

    그렇군요
    잘보고 갑니다.

  • @user-zp5up4jp6t
    @user-zp5up4jp6t ปีที่แล้ว +25

    캡오버든 보닛형이든 상관없이 우리나라 공장,현장들 개선 좀 해야됩니다. 25톤 카고 차주인데 진짜 답 안나오는 곳 너무 많아요. 진입하다 열받아서 회차한적 몇번 있는데 진입로 좁은 곳들 넓게 개선 무조건 해야됩니다. 큰차들 진입이 필요한 공장과 현장들은 진입로가 충분하지 않을 시에는 절대로 지자체에서 허가를 내주면 안됩니다.

    • @user-zp5up4jp6t
      @user-zp5up4jp6t ปีที่แล้ว +8

      @@user-jb1gb9po1m 업체 잘못도 맞는데 공사 허가를 내줄 때 부터 진입로 확보를 지자체에서 부터 무조건 확인을 하면 누구의 잘못도 없어지지 않습니까? 결국 공사 허가는 지자체에서 해주는 거니까요

    • @n.w_t3797
      @n.w_t3797 ปีที่แล้ว +2

      @@user-jb1gb9po1m …

    • @n.w_t3797
      @n.w_t3797 ปีที่แล้ว +4

      진입로가 공공이 아닌 개인 사유지인 경우가 의외로 많아요…

    • @madbear2206
      @madbear2206 ปีที่แล้ว +2

      @@user-zp5up4jp6t 지자체가 전문가임? 노량진서 법규 행정 책만 딸딸 외워서 왔는데 25톤. 15톤 트럭 회전반경을 알까? 저기 저 언덕 난 suv타고 올라왔는데 못 올라오네 같은 트럭인데 왜 다르지 이럴거 같은데

    • @xienjin7975
      @xienjin7975 ปีที่แล้ว +3

      동감합니다ㆍ 앞으론 골목에 있는 공장들 대형 아파트형공장 이든 산단이든 다 보내야 됩니다ㆍ 화장품 원료사 대표 하고있지만 운전하시는분들 생각이 들더라고요

  • @saelee3666
    @saelee3666 ปีที่แล้ว +3

    국내에도 극소수로 보닛형도 있긴있다더군요 예전에 미국트럭 봤다고 찍은 사진봤는데 한국표지판 보이더군요 ㅋㅋ

  • @user-in9ol6wc9s
    @user-in9ol6wc9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의외로 높이 제한하는 곳이 많아요. 다리밑으로 들어가는 길이라든지, 터널, 교량하단부 지나가는 구간이 생각보다 많음. 도로 설계할때 대부분 4.5M이상 높이도로 설계를 하지만 간혹 철길밑이나 오래된 교량등 대형트럭이 지나가면 안되는 그런 길이 있는데 그런거 때문에 최고 높이 4M를 고정 시킨겁니다. 그래서 교량밑으로 통행하는 일반도로 구간은 들어가기전에 높이 제한 철봉을 설치해서 그 철봉을 통과하면 지나가되 통과 못하면 후진해서 다시 돌아가야 됩니다.

  • @wjwnqkedmfwldjek
    @wjwnqkedmfwldjek ปีที่แล้ว +2

    이 나라는 아무리 달려봐야 하루면 부산에서 최북단까지 가는게 가능한데 일끝나고 집까지 그냥 가시는 분들도 많더군요
    근데 미국은 50개주나 되고 주 하나의 크기도 한국보다 큰 경우가 많으니 운송시간이 길어져서 저런 타입의 트럭이 먹히는거겠지요

  • @hg8777
    @hg8777 ปีที่แล้ว +41

    현재 보급형 캡오버타입에서 탑뒤로 50센치는 여유있게 공간활용이 가능한 탑 설계가 가능하다봅니다 그만큼 운행에 간섭없이 실내가 넓어질수 있죠

    • @user-hg6up4zs3b
      @user-hg6up4zs3b ปีที่แล้ว +2

      그건 아닙니다

    • @user-ki7ne4ws2f
      @user-ki7ne4ws2f ปีที่แล้ว

      @@user-hg6up4zs3b 왜요

    • @jay-124
      @jay-124 ปีที่แล้ว +1

      당연하지요...미국모델은 미국에서만 생존가능한 구시대 디자인...운전도 훨씬 어렵지요...

    • @user-th6zz5ee9i
      @user-th6zz5ee9i ปีที่แล้ว +2

      @@user-ki7ne4ws2f 캡오버형식과 보닛형의
      차이라면 추돌사고시 보닛형이
      훨신 유리합니다…게다가
      엔진도 더 큰것을 올릴수가있죠…
      엔진이 크다면 그만큼 더 무거운 화물을
      싣는게 가능하죠…그래서 우리나라
      주요항구들 보면 간선화물트럭들중에
      저런 보닛형트럭들이 자주보입니다…
      제가 전 직장에서 초대형 프레스들어올때
      기계가 워낙 무거워서
      저런트럭으로 들어왔었습니다…

    • @user-ki7ne4ws2f
      @user-ki7ne4ws2f ปีที่แล้ว +1

      @@user-th6zz5ee9i 다른얘길하시는거같은데요?

  • @user-zb9pd5vb2r
    @user-zb9pd5vb2r ปีที่แล้ว +3

    트럭사고 영상을보면 캡오버형과보닛형 차이가 많이 나오더라고요...솔직히 안전상 보닛형이 좋은것같아요. 그저 국내도로 안맞아서 그럴뿐...
    적재물 사고에도 보닛형이 더 안전하던데요...운전석을 적재물이 뒤를 타격했을시 캡오버형은 아주 심각..

  • @primeseatingtutorialvideoa7327
    @primeseatingtutorialvideoa7327 ปีที่แล้ว +1

    미국에서 트럭관련 업무를 보고있는 사람으로서 매우 궁금한 내용 설명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저도 감사드려요. 트럭관련 업무가 궁금하네요~^^*

    • @primeseatingtutorialvideoa7327
      @primeseatingtutorialvideoa7327 ปีที่แล้ว

      @@carringtv 미국에서 트럭의자 및 부품관련 업무를 하고있읍니다.

  • @user-ht6fm2tt1l
    @user-ht6fm2tt1l ปีที่แล้ว +1

    캐나다에서 세미트럭을 하다가 대형버스를 운전하는 한인입니다.캐나다도 미국에서 사용하는 세미트럭과 거의 동일하며 여기서는 주로 브랜드 별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아주 무거운 중량을 실어야 하는 일은 피터빌트, 캔월스 그밑으로는 볼보,플라이트라이너 그리고 마크,인터내셔널 요렇게 사용하는거 같네요. 기회가 되시다면 브랜드별로 비교해서 방송해주시면 좋겠네요. 그리고 지금 대형버스를 운전하는데 북미에서는 Prevost 버스가 압도적으로 시장 점유율 1위입니다. 참고로 차량길이 세계에서 제일길고 56인승 버스입니다.차값도 50만불부터 시작이구요. 한국도 현대에서 버스를 잘만든다고 들었는데 여기서는 사용하지 않는데 이유를 모르겠네요. 혹자는 엔진사이즈가 작아서라는데...요런것도 방송으로 해주세요.

  • @user-cg9it6im2m
    @user-cg9it6im2m ปีที่แล้ว +5

    전직 트레일러기사 였습니다
    포항 현대제철서 셔틀운행했었는데 계량기에 차를올리면 1축에 감지센서가 있어요 보통트럭은 차에탄채로 계량전표를 뽑을수있지만 나비스타와 같은차량은 내려서받아야되더라구요ㅎ

  • @user-rr8ke2zz5g
    @user-rr8ke2zz5g ปีที่แล้ว +5

    유익합니다!! 6년차 트럭커지만 정말 알고싶었던 내용을 잘 이해시켜주는 영상이네요~^^

  • @tuiop390
    @tuiop390 ปีที่แล้ว

    2:05 이야 깔끔한 검정도색에 크롬 세로형 그릴달고 노란 번호판까지다니 뭔가 모범택시스러운 느낌도 있네요 ㅋㅋㅋ

  • @user-qm9ol7ct7i
    @user-qm9ol7ct7i ปีที่แล้ว +1

    예전에 지금은 작고한 디젤집시님이 미국과 캐나다에서 운전하는 53피트 트레일러를 우리나라에서는 고속도로를 운전할 곳이 없다고 하더군요.
    땅이 넓은 미주가 트럭운전하기에는 정말 좋을 것 같네요.

  • @EnrEkr7075
    @EnrEkr7075 ปีที่แล้ว +17

    군대에서 711 몰아본 사람이라면..
    안그래도 큰차에 본넷까지 있으면 운전하기 힘들다는걸 알 수 있지요.
    본넷이 진짜 태평양이라.. 좁은곳에서 운전하기 진짜 힘들었어요

    • @user-wj4ki6vx3v
      @user-wj4ki6vx3v ปีที่แล้ว

      울나라 여건상 저차 못탐
      돌리다 벽 다 뽀개먹든 차 아작내든 둘중 하나 일듯

    • @user-hw2uf6km5r
      @user-hw2uf6km5r ปีที่แล้ว

      711은 말할것도 없고,
      511 만 몰아봐도 보닛형트럭은 상당히 운전하기 힘들다는 느낌이 들죠 ㅋㅋ
      뒷바퀴는 2축인데다 보닛까지있으니 진입로좁은 탄약고나 갱도 꺾어들어갈때 회전반경도 안나오고.. 특히... 짬밥안되던시절에 무파워핸들차량 배정받아서 좁아터진길 가게되면 진짜 속터지죠 ㅎㅎ

  • @ginmax96
    @ginmax96 ปีที่แล้ว +19

    보닛형은 아무래도 사고시 조금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됩니다.
    항상 사고가 나면 캡오버타입이 크게 파손이 되는것 같더라구요..
    또한 국내에선 캡오버타입이 인기인것은.. 아무래도 회전반경이라고 생각합니다.
    피지컬의 장단점이 있는것 같네요.

  • @wkim3114
    @wkim3114 ปีที่แล้ว +1

    참 영상 좋네요

  • @user-xh2vb5cl6m
    @user-xh2vb5cl6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예전에 2004년정도인가 분당에 건설현장에 저런트럭이 철근을 실고왔네요.
    진짜 웅장했던기억이 차 양쪽에 크롬도금된 드럼통같은 연료탱크

  • @twilight_garden
    @twilight_garden ปีที่แล้ว +47

    컨벤셔널 트럭이 안전성이라던가 엔진발열에 대한 배출 부분이나 수리 관련도 더 수월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던적이 있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캡오버 형식의 트럭이 많은 이유도 아무래도 길에서 코너 들어서는 부분이라던가 이런게 문제겠다 싶네요... 개인적으로는 지형적인 문제나 코너들어서기 힘든거만 아니라면 전 컨벤셔널이 더 맘에듭니다... 일단 캡오버보다 더 포스있다 느껴지기도 합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지만요....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3

      맞아요 정비도 훨씬 수월합니다. 영상에 그부분이 빠졌네요 큰 장점인데요~ ^^+ 감사합니다.

  • @user-eb7ht2zu5b
    @user-eb7ht2zu5b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정보감사합니다

    • @carringtv
      @carringt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abril_vamos
    @abril_vamos ปีที่แล้ว +9

    한국은 현장가면 10cm만
    보닛이 더길다거나 폭이 오버해도 진입 못하는곳이 있어요 ㅜㅜ 하이탑은 엔진톱 들고다니며 나무가지도 자르며 진입할때도.있구요 ㅎ
    높다고 좋아하다 부산
    지하도 초긴장하며 지나보면
    아 2억이 넘는다고 다존건 아니거든요 다 그나라 환경에
    비슷하게 제원 가지고 나온차가 최고지요

  • @lifeoftrucker7715
    @lifeoftrucker7715 ปีที่แล้ว +1

    북미에서 트럭운전 하는 사람입니다. 캡오버트럭과 에어로 다이나믹과 클라식 트럭을 다 몰아본 경험에서 말씀드리면 연비는 캡오버, 클라식, 에어로 다이나믹 순으로 차이납니다 같은 엔진이라면 대충5에서 3퍼센트 정도? 연비차이가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는 사고시 안전상의 이유로 새로나오는 트럭은 캡오버 생산금지 됬습니다, 작은 트럭도 마찬가지. 말씀하신것 처럼 좁은데 다녀야 하는 트럭들(영화촬영 소품실은 트럭 이삿짐 트럭)은 그나마 남아있는 오래된 캡오버 트럭을 수리해서들 씁니다.

  • @Imjinyeong1234
    @Imjinyeong1234 ปีที่แล้ว

    Good 잘보고가요

  • @user-xn9kl8tv4b
    @user-xn9kl8tv4b ปีที่แล้ว +3

    군더더기 업는 깔끔한 설명 카링 응원 합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일감이 업어 물질적인 감사인사는 못해습니다 구독 좋아요는 눌르고 갈께요 정옥진피디님 100만 갑시다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탄탄님 감사합니다~ ^^+ 힘이나네요

  • @user-lg5yf4mg8n
    @user-lg5yf4mg8n ปีที่แล้ว +19

    차량기술은 갈수록 좋아지는데 화물운송시장도 거기 맞게 선진국화로 진입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user-dv5gi7hv5f
      @user-dv5gi7hv5f ปีที่แล้ว +1

      그럼 공무원들이 일 제대로 해야 하고 이 전재가 되야 화주와 화물자 직거래 튀워야 하고 운임 기준과 과적은 상차단계에서 차단등과 안전규정 준수한 상차인지 확인후 운행 허가가 되야겠죠.
      현장확인 자주 나가고 과적회주를 제재해서 원천 봉쇄하고 주선사무실 재하청 부분제한으로 과도한 수수로금지등을 하면...제가 원 화주 단가 200만원을 차가 20만원에 전문 고박(전용 고정장치)이 필요한 곳에 전혀 쓸모없고 경험도없는 차량배차 된 걸 본적 있습니다 화물주선 하나에 180만원을 떼고 배차하곤 수수료 받아먹은 거죠 이런 거 비일비재합니다 그냥 톤수만 맞으면 배차함

  • @user-us3hn5et2c
    @user-us3hn5et2c ปีที่แล้ว +2

    일단 땅덩어리 .도로 ,인구 등이 작기 때문 입니다 저런 큰차 우리나라 골목 못들어 갑니다 그리고 미국은 일 시작 하면 일주일 한달 동안 달립니다 그래서생활공간이 커야 합니다집에 못가니까요 우리나라는 길어봐야 5시간6시간 입니다

  • @kiss1290i
    @kiss1290i ปีที่แล้ว +2

    저희 회사라는게 이질감이 드네요.
    볼보 회사에 관심이 많으시네요.
    해도 될텐데 머 생각하기 나름이죠.

  • @user-my8rx6bz7p
    @user-my8rx6bz7p ปีที่แล้ว +3

    우리나라에서 1톤 트럭이 베스트를 넘은 셀링카지만 수출을 할수없는 이유... 엔진룸이 없는 차량이기때문. 정면충돌시 운전자 보호 절대안됨

  •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ปีที่แล้ว +10

    작년 6월 중순에 인천항트럭주차장에서 볼보트럭코리아행사스텝으로 일했는데 트럭커들은 트럭성능이나 안전성도 중요하지만 제일 중요하게 보는 것은 사후서비스대처응대를 어떻게 하냐라고 우연히 들은 기억이 납니다.그리고 디젤집시님도 많이 생각이 났어요! 대한민국 북미에서 수송업무를 해주시는 트럭커에게 북미처럼 사의(謝意)를 느끼며 살아갔으면 좋겠습니다

    • @xxxyyx666
      @xxxyyx666 ปีที่แล้ว +3

      디젤짚시 숨은 사연 아신다면 진짜 가슴아프죠...

    • @han_plant_park
      @han_plant_park ปีที่แล้ว

      RIP...

  • @user-zx8wt3sv4b
    @user-zx8wt3sv4b ปีที่แล้ว +1

    국보트럭 아직 운행중입니다!! 인천에서 마주쳤었어요!

  • @user-jh3up1kz6w
    @user-jh3up1kz6w ปีที่แล้ว +1

    운행거리에 따른 휴게소 위치등을 고려해서 그 목적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지요. 한국은 길어야 1박2일 거리, 미국은 뉴욬에서 로스엔젤레스까지 시차차이도 몇시간에 비행기로도 몇시간,
    주행거리도 자동차로 수천키로 이상이니 장거리 목적에 일주일 이상 운전해야 하는데에 넓은 공간이 필요한게 유리할 수도 있겠지요.도로교통 규정도 있구요. 미국은 안전규정에 우선을 두고 있읍죠. 아마 스쿨버스가 제일 안전하게 만들어야 하는 규정이라고 들었습니다.

  • @sanddalgy
    @sanddalgy ปีที่แล้ว +3

    미국은 총길이 75피트,트레일러 53피트,높이 13피트 6인치, 넓이 102인치, 무게 8만 파운드 입니다.

  • @remc4262
    @remc4262 ปีที่แล้ว +5

    엔진룸 정비를 할때 캡오버는 캡을 뒤집어야 하지만, 보닛형타입은 본넷을 열어 정비할수 있어서 좀더 쿼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수 있을것 같은데.

  • @lonleycougar
    @lonleycougar ปีที่แล้ว

    항상 궁금했었는데 감솨.

  • @user-yl9xi4xb8h
    @user-yl9xi4xb8h ปีที่แล้ว

    재밌네요. 트럭의 경우 앞 튀어나온 트럭 정말 힘들어요

  • @-rtn0001
    @-rtn0001 ปีที่แล้ว +4

    리베로......솔직히 용달보단 견인차로 많이 돌아다녔죠.

  • @suy4075
    @suy4075 ปีที่แล้ว +3

    의왕사람인데.저거 국보라고 써져있는 트럭 가끔 보입니다 ㅋㅌㅌ

  • @user-xl9qe6ed6z
    @user-xl9qe6ed6z ปีที่แล้ว +1

    탱크로리 봤는데..와....소리부터...지리더라구요

  • @user-ov8ck9yq9w
    @user-ov8ck9yq9w ปีที่แล้ว +2

    4.5톤~5.5톤의 중형트럭중 실내공간이 가장넓은차는 어떤차종일까요?

  • @user-ne4tx2ll4z
    @user-ne4tx2ll4z ปีที่แล้ว +5

    아....후드형 아메리칸트럭 넘나 간지나는것....
    오래된 피터벌트 트럭 하나 사보는게 내 꿈ㅠㅠ

  • @user-om4dx9jf1m
    @user-om4dx9jf1m ปีที่แล้ว +3

    최근에 도로에 보닛형트럭 많이 보입니다. 어린이집차량도 운전하다 몇번 봤어요

  • @jo4714
    @jo4714 ปีที่แล้ว +1

    미국은 도로교통안전상
    엔진룸이 있어야 되어서
    보닛형을 만들어야 되더라구요.
    운전자 보호를 위해서요.

  • @kimmyoungsoung
    @kimmyoungsoung ปีที่แล้ว +1

    유로트럭하면서 항상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user-gx6ol5ip3w
    @user-gx6ol5ip3w ปีที่แล้ว +3

    트럭관련 차튜버는 많이 본못거같은데
    구독 박고 갑니다~! 괴물같은 트럭들 많이 보여주세여ㅎㅎ

    • @carringtv
      @carringtv  ปีที่แล้ว

      고맙습니다~~^^*

  • @user-df2mj7ok7z
    @user-df2mj7ok7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합니다.

  • @user-sv9hw4wc8s
    @user-sv9hw4wc8s 1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제라도 소형 트럭의 안전 기준이 강화 된다고 하니 반갑네요, 컨벤셔널 타입에 카고 형 적재함이 붙은 형태로 제작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길에 적재물이 떨어져 있어 아찔한 순간이 있습니다.

  • @user-qr4eu8zo1i
    @user-qr4eu8zo1i ปีที่แล้ว +3

    군대에있을때 두돈반, 5돈 몰다가 노부스, 메가트럭 몰아보니 너무 편했던 기억이 있어서 공감가는 영상이였어요 잘봤습니다

  • @Red_tobe
    @Red_tobe ปีที่แล้ว +4

    마지막 영상 ㄷㄷㄷㄷ 하네요

  • @user-lk6wv4il4n
    @user-lk6wv4il4n ปีที่แล้ว +2

    미국 트럭들은 앤진 열이 운전석에 많은 영향을 주고
    조수석 밑에 배기관이 지나가서 여름에 조수석 발밑은 뜨거워요

  • @user-nz7tz6sj3n
    @user-nz7tz6sj3n ปีที่แล้ว

    재밋네요..

  • @paarthurnax4561
    @paarthurnax4561 ปีที่แล้ว +3

    상주-영덕 고속도로에 종종 미국식 트럭 지나다님.. 첨 봤을 때 ㄹㅇ 멋있어서 한참을 쳐다봤던 기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