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궁 국가대표가 뇌 안 쓰는 훈련을 하는 이유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이인아 교수)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ก.พ. 2025
  • 👉언더스탠딩 문의: to.understanding.official@gmail.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
    👉언더스탠딩 멤버십 가입
    / @understanding.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21

  • @wgazz
    @wgazz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이인아 교수님 자주 모셔주세요. 너무 재미있어요.

  • @barunlife
    @barunlif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와....서울대 교수님이 그냥 서울대 교수님이 아니시네요...ㅎㅎㅎ 내용도 전달력도 완벽합니다 ㅎ

  • @jinak3337
    @jinak333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언더스탠딩에서만 들을수있는 내용들. 너무 감사합니다.
    두분 진행자의 예리한 질문과 머리에 쏙쏙들어오는 예들 덕에 재미가 두배가 되었어요. 😊

  • @진-t8u
    @진-t8u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하루중 유일하게 해마를 쓰게 해주는 언더스탠딩. ㅎ

  • @Kim-dk7kv
    @Kim-dk7kv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좋아요 먼저하고 봅니다 지난 시간에도 너무 좋았어요 이인아선생님 뿐만 아니라 두 진행자님의 조합이 최고입니다!

  • @SmartSingleLife
    @SmartSingleLif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

    너무 내용이 좋다

  • @요튼튼이네
    @요튼튼이네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뇌에 대한 이야기 너무 재밌어요. 쉽고 흥미롭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인아 교수님 지적인데다 목소리도 좋으시고 잘생기셨어요. 안 볼 수가 없네 ㅋ

  • @튜울립-l8x
    @튜울립-l8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정말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설명도 잘해주시고요.
    해마는 기억 장소라고 단순히 알고 있었는데
    그 기능이 어마어마하군요.
    우리의 뇌 자체가 신비의 영역이겠지요.
    후속 강의도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서귀포2019
    @서귀포201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간 해마가 즐거운 방송이었습니다 😊

  • @jeheelee7779
    @jeheelee7779 6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저에게는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남자는 본능적으로 이해가 돼야 움직인다고 하는데...지난 몇년간 궁금증에대한 해소가 됐습니다...감사합니다

  • @TaeLi-lz8wz
    @TaeLi-lz8wz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번아웃 39:55
    뇌의 부분들이 골고루 돌아가면서 일해야 하는데, 하나만 계속해서 쓰면 번아웃이 온다. 일 끝나고 (해마_의식, 창작, 새로운 것) 러닝(선조체_무의식, 루틴, 익숙한 것)하면 좋다! 꼭 러닝이 아니더라도 퍼즐, 콩 까기(이프로), 기타 등등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걸 하자.
    열심히 뭔가 하다가 산책하면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것도, 선조체 활용하면서 해마가 잠시 쉬었다가 창의성 발휘하기 때문. 또 해마를 너무 안 써주면 잘 때 과도하게 활동을 해서 상상이 많아짐. 꿈을 많이 꾼다던가. 꿈 꾸는 건 좋은 건 아님.

  • @Kimsophieee
    @Kimsophiee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AI시대에 희망을 알려주시네요...❤ 너무 유익했어요!!

  • @이이이-g4f2y
    @이이이-g4f2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말정말 너무좋다♥♥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sophiewon52
    @sophiewon5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뉴로사이언스 원래 좋아하는데, 이인아 교수님과 두분 너무 재미있게 또 깊이있게 내용 다루어 주셔서 감사해요! 👍👍👍😄

  • @ezlee1071
    @ezlee107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인아 교수님 너무 기다렸는데,다시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엉말 흥미롭고 유익했습니다.감사 많이 드립니다

  • @임채당
    @임채당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

    해마가간섭을 배제할 정도.. 어마 어마한 훈련을 바탕으로 가능하다는 것.. 곧 경지에 이른다는 뜻이네..

    • @고귀한사람83
      @고귀한사람8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몸으로 체화한다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닐지

    • @beautifulourCH
      @beautifulourC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구단 뇌 빼고도 저절로 나오는거라 힘든건 아님. 단순 노동 반복

  • @함복순-o1n
    @함복순-o1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한순간 재밋게 청취했습니다
    정말 좋은방송 언더스탠딩 응원요 !!!!

  • @mimichun8668
    @mimichun866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너무너무 재미있는 정보!
    일하면서 듣다가, 이렇게 끌리는 주제는 다시 듣기 필수.
    덕분에 잡다한 시시껍절한 것들 다 끊었지요.

  • @bukug269
    @bukug26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3번 반복청취했어요. 정말 좋은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

  • @junisung8607
    @junisung860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우아 재밌습니다.지금 교수님의 강의에 제 해마가 반응하고 있어요 ㅎㅎ

  • @moshing75
    @moshing7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재밌게 들었습니다. 해마가 쉴새 없는 컨텐츠

  • @왜-u7g
    @왜-u7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너무너무 재밌어요 또 또 듣고싶어요

  • @zerostar200
    @zerostar20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언더스탠딩도 ebs 지식채널e처럼 예전동영상들 잘편집해서 책같은걸로 펀딩해보면 좋을거같아요 언더스탠딩 텍스트도있지만 아날로그적인 책에서 오는걸 선호하는 사람도 있을거 같아서요

  • @carrie7665
    @carrie766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우 언더스탠디 너무 좋아요 ❤ 이프로님 안대표님 두분 다 ❤

  • @KritikaZero
    @KritikaZer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새로운 게임을 하면서 익숙해지는 과정을 떠올리면서 보니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 @rf42ful
    @rf42fu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최근에 들어본 뇌과학 내용중에 가장 재미있는듯

  • @suhunt6654
    @suhunt665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수고하셨어요 감사합니다 ❤❤

  • @정오-n6b
    @정오-n6b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말 설명을 잘해주십니다~♡♡♡

  • @user-Boston-Choi
    @user-Boston-Cho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이인아 교수님 너무 멋있다,,,, 잘생긴 뇌섹남 ,,,어쩜 동네 아저씨 마냥 학술적 내용을 저렇게 쉽게 술술 풀어서 얘기하시네 ㅎㅎ an another level man!

  • @이지영-j8y1t
    @이지영-j8y1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설명도 정말 재밌고 감사합니다^^

  • @닥터후-k6p
    @닥터후-k6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난번 강의 재밌어서 바로 들어왔어요

  • @욜로쫑아
    @욜로쫑아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밌습니다~~감사합니다^^!!

  • @SimpleLifeHighThoughts
    @SimpleLifeHighThought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재미있는 강의였어요. 감사합니다.

  • @jooheeyang5505
    @jooheeyang550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뇌를 보다 많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감사해요.

  • @승원-p7u
    @승원-p7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절차적 학습하면
    절대 없어지지않는다
    어릴때 잘못배우면 습관되
    안고쳐진다

  • @nervyboy
    @nervybo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귀가 남다르시네요ㅎㄷㄷㄷ

  • @천왕봉-j2l
    @천왕봉-j2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시리우스대왕고래
    @시리우스대왕고래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정말 좋은 프로입니다.
    계속 반복해 듣고 싶은 강의들이 많이 있는데,
    교수님들 설명 한창 하실 때, 제발 여자친구나 아내이야기 좀 하지 말아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dondraper7631
      @dondraper763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 재미로 보는데요?

  • @이걸몰랐네-d1h
    @이걸몰랐네-d1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분은 발음도 좋고 말씀도 참 잘하시네요.

  • @민수쓰-n5j
    @민수쓰-n5j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끝까지 재밌게 들었습니다

  • @댕댕-i4j
    @댕댕-i4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타이틀 흥미롭네요
    우리 실장 보여줘야 할 것 같은데

  • @Kim-t4w
    @Kim-t4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언더스탠딘 오프라인 청강 자리도 만들면 좋을거같아요 약간 특강 듣는느낌으로다가
    다각적으로 연계할수도있을거같아요

  • @SimpleLifeHighThoughts
    @SimpleLifeHighThought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즘엔 뭐든 시큰둥한데 언더스탠딩이 저의 해마를 깨워주네요.

  • @vv3389
    @vv338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20 이대표님 안녕하세요~😊

  • @niney1778
    @niney177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뇌이야기 자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09sos
    @209so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잼나네요

  • @김운석-d7j
    @김운석-d7j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감사합니다

  • @MexInCore
    @MexInCor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해마편보다 더 귀한 영상이다

  • @juokhan6
    @juokhan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해마는 의식과 매우 많이 관련이 되어 있는 것이고, 그래서 지식과 같은 것을 기억하는데 관여를 많이하고(그래서 공부 잘 하고)…선조체(기저핵)의 활동은 기계시스템화 하는 거네요. 그러니 제 학번시대(86)서울대 갔던 학생들도 공부를 가지고 선조체 훈련을 많은 시간 한 것이군요. 저같은 사람이 “방학이다, 주말이다!” 하면서 시내 나가 놀고, 소설 읽고 하는 시간에… 꼴찌와 1등이 다르게 활동하고 뇌 훈련을 다르게 했는지까지는 모르겠지만, 중고등학교 중상층 정도는 지금 설명해주시는 맥락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클래식틀고 수술하는 외국 의사선생님은 아마 클래식이 본인한테 수술 이전에 좋은 영향을 미쳤고, 어쩌면 선조체에 편안히 앉아 있는지도 모르죠.

  • @bostonchoir
    @bostonchoi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DHD 의 16%가 미국에서 convergence insufficient 였다고해요. 즉 책을 읽을때는 먼것을 볼때보다 두 눈이 가까와져야 하는데 그게 안됨으로써 이미지가 두개로 맺히기 때문에 책을 읽기 싫어하고 그러면 집중력부족으로 잘못 진단한다는 것입니다. CI 는 연습으로 좀 나아질 수도 있고 프리즘달린 안경으로 도움 받을 수도 있습니다.

  • @paul25450
    @paul2545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또 나오셨으면 좋겠다

  • @MrPersonabon
    @MrPersonabo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밌어요 ㅎㅎ

  • @eileencho
    @eileench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악기할 때 머리써요…:;

  • @kjane6053
    @kjane605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툽에서 듣는 비슷한 내용이 아니라 제 해마가 초집중 되서 기억됨요.

  • @tazo812
    @tazo81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천개의 뇌,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된다 교수님 말씀중에나오는 재밌는 뇌과학서

  • @Nevermore-w8x
    @Nevermore-w8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스포츠 훈련에 뇌과학이 활용된다는건 처음 알았습니다.

  • @UserYDSXFYYUJVE
    @UserYDSXFYYUJV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하락장도 기계처럼 원칙대로!
    아주 자연스럽게 일상처럼! 당연한 일처럼ㅎ
    해마가 반응하지 않게ㅎ

  • @user-nonamebutexist
    @user-nonamebutexis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결국 지독한 반복과 연습이 핵심... 어떤 상황에서도 우수한 퍼포먼스가 나오도록 보장하는 것은 반복과 연습을 통한 해마의 간섭 최소화, 선조체의 기능 발현! 그리고 이는 어떤 분야이건, 프로의 세계에서라면 적용되는 보편적인 원리인 것 같습니다.

  • @G168-y7d
    @G168-y7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 @Putputputgim
    @Putputputgi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잘 봤습니다. 혹시 운동선수는 마치 매크로 처럼 반복훈련을 하면 뉴런이 길을 짜고, 딱 버튼 누르면 그냥 매크로 같이 움직이는게 아닌가요? ㅎ

  • @mapx2100
    @mapx210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항상 느끼는건데 안대표님은 질문을 정말 잘하시네요.
    그리고, 이프로님은 답변을 잘 주워서 마무리를 하시고요.
    그게 stroy 로 이어지니 보면서 계속 제 해마가 즐겁습니다.
    이인아교수님 책도 볼 준비는 됐는데 펴보지를 못하고 있었는데 얼른 봐야겠습니다.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승원-p7u
    @승원-p7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부잘하게됩니다 노인이

  • @스위치오카
    @스위치오카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얼마나 웃었는지요^^
    악기 배우는 것도 머리를 많이 쓴답니다~

  • @hakunamatata898
    @hakunamatata89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난 왜 해마를 안쓸려고 몸이 반응하는지 이런건 좀 바꿀수 없는가요 ?

  • @eofnelkim1508
    @eofnelkim150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최고가 되려면 한석봉 훈련을 해야지. 뇌를 안쓸정도로 훈련량이 많다는것임

  • @진동이-b4w
    @진동이-b4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말 그대로 무의식의 극의가 실존하는거였네요 ㄷㄷ

  • @614pinetree
    @614pinetre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뇌안에 1000 개의 작은뇌들이 있다 그들은 각기 자기영역을 넓히려고 싸우고있다! 인간사만 치열하게 경쟁하는것이 아니라 나의 뇌속에도 이렇게 경쟁하는 녀석들이 있다니 …ㅋㅋㅋ

  • @ljs2358
    @ljs235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7:05 탈맥락화의 중요성
    52:33 스토리텔링이 해마의 핵심

  • @가을에폭풍
    @가을에폭풍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몸이 기억한다는 말인가 보군요. ..

  • @WithCryptoInvest
    @WithCryptoInves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디자이너였다가 미국와서 간호사가 된 제가 번아웃 할수 없던 이유인가보네요.

  • @juokhan6
    @juokhan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어릴때, 대학까지도, 선생님과 공무원을 가장 따분한 직업이라 생각했습니다.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지만.

  • @h_1111
    @h_111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뇌는 정말 신기하네요

  • @thankfulthankful284
    @thankfulthankful28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제가 아는사람도 HSAM 였는데 이십전일 내가 입던 옷 날짜까지 다 기억할정도고 본인도 자기는 다 기억난다 전화번호부도 보면 다기억나서 그렇다 했는데 그친구는 직업이 단순직이었고 운전도 못하고 좀 달랐읍니다.

  • @전충남
    @전충남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파킨슨병인 친구가 당구는 잘 치더군요. 원래 300치던 친구거든요. 그 이유가 그렇군요.

  • @지현명-m2c
    @지현명-m2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도 해마가 간섭하지 않고 악플(?)을 달게 되었다.

  • @승원-p7u
    @승원-p7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의식을개입되면 잘 안된다
    무의적으로 해내는
    그게 최고경지이루는ㆍ

  • @미미르-o2d
    @미미르-o2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몸만 기억하게 하고 잡생각의 간섭은 거부한다

  • @parosevic
    @parosevi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일 끝나고 산책하면서 무의식적으로 계획은 안세우지만 주위 환경을 보며 상상은 하는데... 일단 산책때 상상하니까 푹 자는데 신기하네요^^

  • @juokhan6
    @juokhan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런데, 인간의 집단이 중요하죠. 중학교 뺑뺑이 돌릴때도 상위 1/3정도에게 인문계 시험을 본 아이들이 고등학교 가지만, 그 애들도 결국 층위가 나뉘고, 저같은 사람은 중학교에도 중상, 고등학교도 중상, 국회의원들도 모아 놓으면 층위가 나뉠테고…

  • @iych2082
    @iych208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악기 할때 머리 많이 씁니다
    익보보고 손으로 움직여야하는 건데 ㅡ ㅡ
    모르는 소리를 하네요

  • @이문주-k4o
    @이문주-k4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 분의 해마 강의를 듣고 제 자신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고등까지는 아인슈타인같은 물리학자가 되고 싶었는데 약대 석사 과정 실험을 해보니 전 반복적인 실험에 맞는 사람이 아니더라고요.

    • @Megaburned
      @Megaburne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물리학은 유기화학 기반인 약학 같이 반복 실험이 중요시되는 분야는 아닙니다.

  • @카인드-z1o
    @카인드-z1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 @enidjinhee
    @enidjinhe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뇌인지 란게 항상 사짜느낌이었는데
    정말 재밋게 들었어요

  • @세기-w6q
    @세기-w6q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래서 술취해도 집에는 가는군요

  • @redfrost6354
    @redfrost635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양궁이나 사격은 그렇다 쳐도 복잡한 팀게임이나 대전은 상대 움직임에 따라 매번 다른상황을 맞이하는데
    그게 선조체만으로 가능한가요?

  • @jhjeon-l8l
    @jhjeon-l8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교수님 말씀중 하나반박할것은 adhd때 사용도는 약물은 말씀처럼 캄다운시켜서 과잉행동을 줄이는 약리작용이 아니라 주의력을 강화시키는 약들이 주로 쓰입니다. 예전에 공부잘하는 약으로 오용되었던것이 괜한 이유가 아닙니다.

  • @MatinNewter
    @MatinNewter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이기자님 색시해 수트입은 모습 😊

  • @namahn6622
    @namahn662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2:48 평생 다람쥐 챗바퀴 돌 듯 살다보니 맨날 기분나쁜 개꿈을 많이 꾸나봐요.

  • @alpakasynergy
    @alpakasynerg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ㅋㅋㅋ 삼프로가 이름바뀐거임??

  • @ひまわり-e6c4i
    @ひまわり-e6c4i 25 วันที่ผ่านมา

    대학안간 사람은 대상에도 없네 32:50

  • @hebe-jrbe-udbe-2jdns
    @hebe-jrbe-udbe-2jdn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어우 이프로 잘생겼어

  • @TheYoko8992
    @TheYoko899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SAM은 자폐친구들이 있는 경우가 많아요~~

  • @jhy6007
    @jhy600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로봇을 만드는 사람들은 뇌의 기능과 전기신호에 따른 동작을 주로 연구하는 것 같은데, 뇌하수체의 역할은 간과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인간의 liquid 측면을 빼고 어찌 인간을 설명할 수 있겠어요.담번엔 유전자와 뇌하수체에 따른 뇌기능에 대해서도 얘기해주세요!!!

  • @momsartroom
    @momsartroo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40 전두엽??? ^^;;

  • @jinshiksung
    @jinshiksun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ransitional

  • @Ninefortyeight
    @Ninefortyeigh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론머스크가 동물실험 잔인하게 하기로 유명하죠…동물말고 인간으로 실험해야 합니다.

  • @cini1650
    @cini165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각 영역을 훈련하는 방법까지 강의해 주셔야죠~

  • @roughinvestment
    @roughinvestmen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직안봄(아직안봄)

  • @user-jihan175
    @user-jihan17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래틀어도 노래안들릴거 아니면 뭐..그러니까 가사들리거나 한국말 아닌거를 들으라는거임 가사은근 귀에 거슬림

  • @JUNGSUKKIM-o4u
    @JUNGSUKKIM-o4u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질문있습니다. 선조체 와 해마에 좋은 음식이나 영양분이 어떤게있을까요?
    그리고 선조체 학습을 위해서 도파민분비를 위해 대마나 같은 종인 CBD 같은걸 이용한뒤 선조체 반복학습을 하면 학습에 도움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