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중 가장 불황? 우정혁신도시의 운명 [김시덕 박사의 도시야사3 #23]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7 มี.ค. 2024
  • #병영성 #한센인마을 #우정혁신도시
    경상북도와 남도 경계선에 있는 특수시설들,
    울산은 공업단지, 경주는 신라유적지, 포항은 포항제철
    우리가 생각하는 지역의 모습이 아닌 시설들이 말해주는 동부권의 역사
    출연자: 김시덕 박사
    촬영 날짜: 24/02/28
    📍책 소개와 미리 보기
    《문헌학자의 현대한국 답사기 1》
    교보문고: lrl.kr/r9YV
    예스24: lrl.kr/AygP
    알라딘: lrl.kr/fzxC
    《문헌학자의 현대한국 답사기 2》
    교보문고: lrl.kr/M8H7
    예스24: lrl.kr/r9YO
    삼프로TV의 교육 브랜드 - 위즈덤 칼리지
    위즈덤 칼리지는 "삼프로TV" 앱과 웹사이트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모바일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TV"를 검색하시어 설치하세요.
    ■ PC : apps.3protv.com/ 로 접속하세요.
    네이버에 "삼프로TV"를 검색하셔도 됩니다.
    📞고객센터 : 02-2118-0707
    ★ 광고문의 : ad@3protv.com
    ★ 광고문의 : 010-2090-6748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1

  • @user-bw7te2py7e
    @user-bw7te2py7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김시덕 박사님 좋은 내용 항상 감사합니다.

  • @user-fp1jx6xc6u
    @user-fp1jx6xc6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나중에 전철화할 생각 염두 안하고 걸리적 거린다고 외곽으로 동해선 이설하는 바람에 호계동 지역 교통불편 초례한 것도 울산시의 자충수죠.

  • @user-vc4du1gm1p
    @user-vc4du1gm1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1. 울산에서 부동산을 하는 30대 울산 시민입니다.
    2. 울산은 과거 화학공단, 조선, 자동차 산업시설이 생기며 배드타운으로 성장한 도시입니다.
    3. 당시 성장한 산업은 항만이 인접한 바다쪽에 있었고, 당시 신도심으로 만들어진 삼산, 신정동은 과거 뻘밭이였습니다.
    4. 도심으로 성장한 삼산 신정동은 과거에는 기술적인 한계, 현재는 비용편익 문제로 지하철 계획이 매번 무산되었습니다.
    5. 화학공단과 인접한 삼산, 신정동은 유동한 매연(실제로 울산 도심에서 암발생율이 타 도시에 비해 높습니다)과 교통확장성의 한계점, 도심 확장성에 명확한 한계점이 있는 도심입니다.
    6. 이번 울산기본계획에서는 부산과 마찬가지로 남구로 대표되는 구도심, 삼남 언양으로 대표되는 신도심으로 지정되어 2도심 체계가 되었습니다.
    7. 삼남 언양을 KTX역을 만들고 부울경 광역철도 계획을 놓은 것은, 그만큼 구도심의 한계점이 명확하다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울산은 광역시지만 역세권이라는 단어가 없는 곳입니다. 부울경 광역철도가 실체화 된다면 역세권이 생기는 게임체인져라고 봅니다.
    8. 우정혁신도시는 이런배경에서 울산내에서 파워게임이 있었습니다. 삼남읍 신화리에 KTX울산역이 생기고 혁신도시가 울산에 생길적에, 울산시의 원안은 지금의 복합특화단지에 혁신도시를 유치하는 계획이였습니다.
    9. 하지만 KTX역 하나를 받았으면, 하나를 내어 줘야한다는 말도 안되는 파워게임에 중구 산자락에 띠와같은 혁신도시가 생겼습니다.
    10. 이번 울산 도심융합특구도 기사를 찾아보시면 알겠지만 울주군과 중구의 파워게임이 재현되었습니다. 대구,광주,대전,부산 모두 특구를지정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나. 울산은 KTX울산역과 장현산단을 함께 도심융합특구로 지정하여, 국토부로 부터 두 구간간의 거리가 있고 구역으로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여러차례 반려당하고 어렵게 지정되었습니다.
    11. 이전 영상에서 군부대 이전으로 기대지역으로 본 옥동은 사실상 과도기에서의 대장지역이라고 보입니다.
    12. 저는 40년간 울산에서 살았는데 과거 옥동은 울산의 외곽이였습니다. 빈땅에 중앙정보부장이 세운 명문고 학성고등학교, 그외 법원, 울산대공원등은 울산 교육중심지로 부상을 하며 대장지역으로 올라섯습니다.
    13. 옥동은 겪으신 것 처럼 교통이 불편하고, 인접한 괜찮은 상업지도 없고 더이상 확장 가능성이 떨어집니다.
    14. 저는 이런 방향성을 볼때는 율리와, 범서읍에 조성되는 선바위지구 주변 구영리, 천상리, 무거동 일대가 신도시 조성으로 미래도시 중심지로 주목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15. 울산의 큰 방향성은 신도심으로 발전을 옴겨가기 위해서 도심간의 물리적인 거리가 있으니, 중간에 미니 신도시를 만들어 개발이 서울주로 보내려는 계획입니다.
    16. 울산시는 이성과 비이성의 중간쯤 있는 도심 입니다. 아직도 정치적목적, 지역유지들의 말빨로 도심계획이 왔다갔다하는 도시입니다.
    17. 김시덕 박사님의 좋은 통찰은 잘 보고 있습니다.

    • @hermodKIMShiduck
      @hermodKIMShiduc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뜻깊은 말씀들이십니다. 감사합니다 🙏🏻

    • @user-ho2hz1xj9o
      @user-ho2hz1xj9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울산 사는게 맞나요?구영리에 아파트 들어선게 35년전이고 그때는 아파트 꼴랑 몇개 있었져?지금은 많이 발전했던데 구영리 천상리가 더 이상 발전 못하는 이유는 외곽이라 출퇴근이 불편해서 한계가 있는데?불편함 감수하고 거기 사는 사람들이 왜 살겠어요?울주군 시골이라 지원금이 타구보다 높고 결정적으로 농어촌전형 때문에 사는건데..

    • @user-vc4du1gm1p
      @user-vc4du1gm1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ho2hz1xj9o 비오는 날이면 매쾌한 매연냄새나고 도시철도하나 없는 도심이 매리트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신정도 옥동 재개발은 힘들예정이고. 구도심은 더욱 방치 된다면 그림은 정해져 있다고 봅니다.

    • @user-ho2hz1xj9o
      @user-ho2hz1xj9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user-vc4du1gm1p 어디쯤 사시는데?구도심이 매연에 쾌쾌한 냄새 난다고 하세요?울산 대기질은 대도시중 TOP으로 좋다고 나온 팩트가 있는데요?서울 같은데 가보세요.미세먼지요?순화 했지만 옛날 스모그현상이져?대기질 자체가 비교가 안되요?중국발이라고요?다 떠나서 울산 시내는 주요도시중 대기질 정말 좋아요.공업도시 이미지가 있어서 그렇지 공단 조금만 벗어나도 좋은데,무슨 공기로 도심을 개발하면 안된다고 하세요?지금 시대에 인구도 줄어드는데 개발하는거 자체가 낭비인데요.뭔 시외를 개발해요?살 사람 어딨다고요?부동산 하신다고요?직장생활 안해보셨져?집은 회사하고 가까운게 최고인데 누가 들어가서 살까요?개발이 한계에 부딪치고 개발 안하는것은 이유가 있어요.

    • @user-pp6pt8yh4w
      @user-pp6pt8yh4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말만 길게 적었지 울산 사람들은 공감하나도 안가는 글이네요.

  • @user-wq5if6nx3t
    @user-wq5if6nx3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경주 ㅡ 포항 간에 있던 기차역들은 60년대까지도 정차하였습니다.
    경주역과 포항역 사이에 있던 금장역(현 서경주역), 사방역, 양동(간이)역, 부조역 등은 1966년에도 운영되었죠.
    1965년 제가 서울로 상경할 때, 이른 아침 부조역에서 기차를 타고, 경주역에서 울산에서 올라오는 객차와 연결하여, 중앙선을 이용하면 저녁이나 되야 청량리역에 도착했드랬죠.
    영상 중간에 보여주신 열차시간표는 아마도 지면관계상 큰 역들만 발착시간을 명기해놓은 것이 아닌가싶습니다.

  • @user-zr8uw3bm3l
    @user-zr8uw3bm3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역시 전문가이십니다

  • @user-dn9sr5gj5v
    @user-dn9sr5gj5v 9 วันที่ผ่านมา

    저 사는데 차소리 새소리 다 들리고 무잇보다 살기가 편해요 뒷산 운동하기도 좋고, 여기 혁신도시는 이름은 새롭는데 너무 조용히 좋아요 , 햐 집값 생각하면 옮겨야 하나싶어도 남편이 넘 좋대유~~^

  • @watcher_123
    @watcher_12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경부고속도로 및 고속철도 경부선 인접, 대기질 양호 등 공업탑 서쪽 지역이 가진 장점이 많지요. 그리고 언양쪽이 제2도심으로 지정된 만큼 도시계획 차원에서도 앞으로 이 지역이나 인근으로 개발을 통해 지역의 인프라와 인구를 옮기려는 움직임은 계속될 것 같습니다. 사실 지금도 울산 시내에서는 말씀하신 지역 옥동(+신정동일부)이 아파트값이 가장 비싼 동네긴 합니다.

  • @MrFuturebank
    @MrFutureban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40년전 국민학교 시절 학산동 구도심에 살았는데 공항옆 동천에 물고기 잡으러 갔던 기억이 나네요. 한참을 걸었던 기억이

  • @user-zv3pq8mo5p
    @user-zv3pq8mo5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부자도시 울산 대중교통 망해서 청소년도 택시탄다는ㅠㅠ

    • @user-ft3qg6nq6u
      @user-ft3qg6nq6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학원하는데 20살된 제자들 다 차끌고 인사하러 옴 특히 여자애는 더 위험하다고 작은 차한대씩 다 뽑아주심

  • @user-pp3wd5lw8e
    @user-pp3wd5lw8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원 울산역은 지금의 역전시장(역 앞에 있는 시장)앞에 있었죠..

  • @Gomdong
    @Gomdo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울산은 내년 태화강역 ktx 이음이 생길때 다시 방문하시면 좋을거같네요😊

    • @user-dn9sr5gj5v
      @user-dn9sr5gj5v 9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렇게 한가 하실까용? ㅎ

  • @sucaba7409
    @sucaba740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지방자치를 하면 안된다는걸 제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사례가 울산 아닌가싶다

  • @user-dn9sr5gj5v
    @user-dn9sr5gj5v 9 วันที่ผ่านมา

    죄송합니다 울산사람들이 무뚝뚝해요~~

  • @user-jz8gt2yn2h
    @user-jz8gt2yn2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우정동을 팔게 아니라, 혁신도시를 처음부터, 선바위지구 부터 반천 unist ktx역, 서울산 개발까지 연계하는 방식으로 했더라면, 울산이 이렇게 망하기 않았을텐데 ㅋㅋ

    • @user-ft3qg6nq6u
      @user-ft3qg6nq6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확합니다. 선바위부터 KTX역까지를 혁신도시와 산업단지 그리고 국내탑공과대학인 유니스트와 연계해서 개발했음 교통,인재조달,평지에 자연경관까지 어느혁신도시보다 뛰어났을거임

    • @a01046596920
      @a0104659692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김키현 본가 때문에 그렇게 만들었어요 & 외곽 순환도로까지 포함 ㅎ

  • @user-gj7ml7wn3i
    @user-gj7ml7wn3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두리뭉실 대충 보시고 이야기 하시는데..
    정확히 짚지는 않았으나.. 포인트는 맞는 듯 합니다.
    울산 대중 교통 미 빌 달 된건 승용차 보급 때문 입니다.
    인그 100만 조금 넘지만...차량은 타 도시 보다 월등히 높은 보급 율이죠..
    그리고 툴 퇴근시간이 달라서 혼잡 시간때도 타 도시보다 짧아 대부분 차량으로 출퇴근 합니다.

  • @dannysuh1199
    @dannysuh119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박사님 말씀중에 울산 시내서 울산역까지는 고속도로가 아니라 일반 자동차전용도로로 갑니다. 고속도로를 이용하면 서울산 IC에서 나와서 가야해서 더 오래걸립니다. 대중교통은 정말 최악입니다. 말씀처럼 울산역까지 다니는 버스들이 정말 30~40분 어떤 버스들은 70분에 한대 옵니다. 그나마 이것도 태화강역에 KTX가 다니면 분산될 것으로 여러 보도가 나오더라고요. 우정혁신도시 또한 대중교통 최악입니다. 울산이 대중교통 변화가 거의 없는 도시인데 혁신도시 만들고나서 북부순환도로 6차선 도로에 노선버스 60~80분에 한대 다니고 그럽니다. 그러니 혁신도시가 썰렁하고 다 차로만 출퇴근하고 말지요.

  • @sysong4594
    @sysong459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혁신도시 주변 구도심은 재개발 이슈나 희망으로 20년이상 신축이나 재건축이 전혀없는 낙후되어가고 있습니다

  • @user-md9pr2vb3s
    @user-md9pr2vb3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울산역 하~왕복 2시간 그래서 대전권정도는 자차가 편합니다

  • @user-kk5ue9my2v
    @user-kk5ue9my2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차 있으면 편한 동네이긴 함. 극과 극 없으면 갸 불편 있으면 갸 편함

  • @user-qh4cs5vh5g
    @user-qh4cs5vh5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태화강역에 ktx이음 유치 해야됨

  • @user-hv8ld6fw9w
    @user-hv8ld6fw9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몇가지 자료, 이야기로 영상을 만들다 보니 많은부분이 어설푸게 설명 됩니다. 이주민들이 도시 하층민으로 전략 했다는 말은
    정말 잘못된 설명 입니다. 시각이 약간 편향적이네요.

    • @lionoosupa2081
      @lionoosupa208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김시덕 전마는 울산 경주 토백이가 에이라
      오작된 설명이 꽤 있지만 나름 지역 특색을 알고 시부리니깐
      참고만 해라 정확하지가 않다
      기술직 관련일을 오랫동안 하고 잇지만 경주 철도 관해 다른 견해가 보여

  • @user-vr5gg5mp2g
    @user-vr5gg5mp2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울산 토박이로써 전혀 전문적이지도 않고 누구나 생각하고 할수 있는 내용 아닌가요 정책의 실패나 개선점은 없고 현상황에 대한 내용은 일기장에 쓰셔야죠

    • @japanioi7242
      @japanioi724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보는 시야가 일반인과 다를바 없지만 이런 소재를 토론하는 맛이지
      울산의 각지역특색을 모르는게 많지만
      세계에서 해가 가장 먼전 뜨는 국가는 뉴질랜드지만 대륙판으로 보면 포항 울산 부산
      울산 해가 가자 먼저 뜨는 잇점과 날씨의 큰 장점을 지녔지 물뿐만 아니라

  • @japanioi7242
    @japanioi724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성예원과 지적한곳은 문디촌 현재는 얄팍한 가공단지 조성 땅값이 그나마 저렴
    경주는 문화도시 때려치우고 공단을 조성해야되 경주시내 주위 공단조성하기 매우 좋은 지역을 끼고잇다

    • @japanioi7242
      @japanioi724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경주천북지역이 문디 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