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월 만에 수학 8등급 → 수능 수학 만점, '독학 천재'의 공부법 | 최하위권에서 상위권 가는 확실한 방법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7 ก.พ. 2024
  • *제작비를 지원 받은 콘텐츠입니다.
    모의고사 8등급을 수능 1등급으로 만든 '각성자 공부법'의 모든 것,
    『처음으로 공부가 재밌어지기 시작했다』를 소개합니다.
    ✔ 참고 도서: 『처음으로 공부가 재밌어지기 시작했다』, 임진강
    ✔ 책 보러 가기: bit.ly/49gyea3
    ✔ 제작: 책식주의(papervore@naver.com)
    ✔ 나레이션: 시호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51

  • @bookvore
    @bookvor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오늘 소개해드린 도서는 『처음으로 공부가 재밌어지기 시작했다』입니다.
    📕 책 보러 가기: bit.ly/49gyea3

  • @user-riizebriize
    @user-riizebriiz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9

    1.공부는 엉덩이 싸움(하루15시간이상)
    3주동안 열심히 해보기(습관만들기)
    2.해설지보기(복습필수,이해확인)
    3.순서대로하지말고 쉬운거부터

    • @user-qk9df8jd6g
      @user-qk9df8jd6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수능같은 암기할게 없는 시험을 15시간 투입을 한다고? 그 시간에 게임을 더 하자
      대한민국 평균 학습 능지가 저열해서 8시간만 빡 집중해도 서울대 경사자 쉽게 뚫음

    • @peanut3214
      @peanut321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qk9df8jd6g“애니 프사는 등신같고 저렴해보여”

    • @user-rt9wv8or1m
      @user-rt9wv8or1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15시간은 재수하는 것도 아니고 현역이 어케함? ㅋㅋ 걍 할때 열심히해라

    • @KWKO1234
      @KWKO123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누가 15시간을 함 그거 99% 개씹허수다 ㅋㅋㅋㅋ

    • @user-vp4dj4xo9m
      @user-vp4dj4xo9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WKO1234안하면 씹허수지 각과목별로 2시간씩만해도 8시간에 수학이나 국어는 시간더 투자해야하는데 15시간은 해야지 개념을 다 외웠다고 가정해도 개념 복습 문풀만 대충해봐도 각과목별로 2시간은 훌쩍지나가는거 누구나 아는데 님모르는거 보면 허수?

  • @zmchaek
    @zmchae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노력도 재능이라고 하는데, 공부를 저렇게 까지 끈기있게 할 수 있는 것도 재능인 것 같네요.
    물론 저자는 머리가 꽤 좋은 사람이었을 가능성이 높겠지만,
    학생 시절에 공부라는 것을 통해 1등급이라는 극적인 결과는 아니더라도 성취라는 자신감을 겪어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것 같습니다.

  • @user-tt4np6tu9v
    @user-tt4np6tu9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가지면 남들이 부러워하거나 누구나 갖고 싶어하는 그런 것이 아니라 내가 그걸 갖지 못하면 혹은 무언가 되지 못하면 미칠 것 같은 상태를 열정 혹은 몰입이라고 한다면 그런 상태가 오면 누구나 기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느냐 안오느냐의 차이일 뿐 내가 못나서도 머리가 나빠서도 아닙니다. 누구나 서울대를 가고 싶지만 못가도 기분만 별로지 그렇게 간절하진 않기에 공부를 열심히 안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내가 진짜 원하는 게 생길 때 영상의 학생처럼15시간 공부가 가능해지는 것이지 열정도 없이 따라하다가는 건강을 해치거나 결과가 안좋으면 자기비하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누구나 때가 있고 나만의 별의 순간이 옵니다. 자신의 때를 기다리며 내 페이스대로 사세요. 혹 안온다고 해도 인생은 그것대로 의미가 있습니다.요즘은 이런 동기부여 영상이 오히려 학생들을 더 힘들게 하는 건 아닐까 안타까운 생각이 듭니다.

  • @semuya_skyblue_dream
    @semuya_skyblue_drea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 @user-nx8vj1yc7y
    @user-nx8vj1yc7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수학은 하는 사람의 역량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수학 등급이 4~5등급이면 답지를 5~10분 정도 생각하고 해설지를 봐도 되는 것은 맞지만 2~3등급은 개인적으로는 개념이 하나 밖에 들어있는 문제면 상관이 없죠 근데 중이나 중상 준킬러 킬러는 개념이 2~3개를 꼬아서 내는 문제들이 많아서 충분한 시간을 갖고 풀어야하는 거 같습니다 정승제쌤 인강과 정승제 쌤 책을 읽은 저로는 무조건 모든 학생들한테 맞는 방법은 아닌거 같고 수상 수하의 개념을 거의 모르는데 수1을 한다고 해서 그것이 이해가 된다는 것은 솔직히 불가능합니다 수학은 쌓아가는 과목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모르는 개념이 있으면 절대로 수1을 공부해도 이해가 안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정승제 쌤이나 스터디코드 분들은 다 지금 배우는 수학 과목과 잘 모르는 개념이 있는 부분을 같이 하는 것이 나중에 고3 수능에 도움이 된다고 하셨고 그렇게 해서 성적이 5등급에서 1등급으로 오른 사람이 많습니다 물론 책에서 오래 앉아 있거나 시간을 공부에 다 쏟는 건 맞지만 휴식시간이 없으면 뇌에 기억을 저장하는 해리가 과부하가 되서 성적이 만약에 안나온다면 슬럼프에 빠질 가능성이 큰거 같아요 그리고 뒷부분 부터는 무조건 따라해야 하는 것은 아닌 거 같습니다 실제로 수학 8등급이 10개월안에 1등급이 된다는 것은 지금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과 미적분이면 더더욱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user-rt2zm5qo7f
    @user-rt2zm5qo7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100000000 프로 공감합니다. 저도 이방법으로 최하위권탈출했어요

  • @eotty5
    @eotty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공부재능(지능) 근성재능(노력) 충분한시간 세개 갖춰지면 가능 문제는 시간은 확보가능해도 재능역영 두개는 어렵지

  • @user-pd2zo3fs8h
    @user-pd2zo3fs8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나에게 가장 알맞은 공부법이 무엇인가
    스스로 찾고 하나씩 적어보자.
    하루에 하나씩 개선해나가자.
    단점은 극복하고 장점은 더욱 활용하자.

  • @user-vn9cs5st5b
    @user-vn9cs5st5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6

    10개월만에 했다는건 인강 한번만 돌려도 다 이해해야하는 머리를 가져야함.

    • @user-bb5ii9eg7y
      @user-bb5ii9eg7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부 잘 못하는 유형.

    • @sexymoonkorita
      @sexymoonkorit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사람 다 천재성이 있음 다들 생각보다 고만고만함. 단지 조금의 차이가 사람들 인식에 의해 크게 보이는거일뿐 뇌 자체는 비슷함

    • @user-pt5eg4hj8h
      @user-pt5eg4hj8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큐79인나도 고교수학정도는 다이해한다 한국의 고교수학은 결코어렵지않다 근디 강의를 들을때만 이해하고 듣고나면 까먹어서

    • @user-pt5eg4hj8h
      @user-pt5eg4hj8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교과목은 79정도 아큐되도 충분함

    • @sexymoonkorita
      @sexymoonkorit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pt5eg4hj8h 맞춤법 보니까 아이큐 79란 말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는군요

  • @mydiary3067
    @mydiary306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희망회로 좋긴하지만
    확률적으로 이런경우 거의 없죠
    하지만, 분명 이런경우 있기는있다는사실
    하지만, 쉽게 체감하려면
    고3 한학교 400명중 한두명 있을까말까 하는 아주드믄 케이스

    • @sexymoonkorita
      @sexymoonkorit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확률이 아닙니다 그 사람 개인의 역량입니다
      니가 공부를 열심히 했을때 성공 확률이 보편적으로 나타내었을때 통계와 같다고 여기면 안 됩니다.

    • @mydiary3067
      @mydiary306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exymoonkorita 10개월만에 수능8등급이 1등급 맞는 학생 어느정도 될까요? 당연 님이말한 개인역량의 말이맞죠
      하지만 그런 개인역량을가지고 있는 사람또한 아주드물죠, 확률적으로 거의 없죠

    • @sexymoonkorita
      @sexymoonkorit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ydiary3067 이 경우엔 올바른 방법과 부단한 노력 그리고 기초 지능 수준이 상당해야합니다
      님 말대로 평범한 사람이 이루기란 거의 불가능인것이 맞죠

    • @mydiary3067
      @mydiary306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exymoonkorita 정말 안타까운 현실입니다만,,저도 한때는 열심히만 하면된다라는 말을 믿었던적이있습니다
      나도 할수있다라고하면서 하루 5시간자는거빼고 공부만하던시절 하진 결과는 처참했지만
      공부는 참 어려운 영역입니다, 님이말한 개인의 역량이 참 중요하고 그런 역량있는 아이들이 올바른 공부법으로 꾸준히 열심히 공부하면 1등급으로 갈수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거기에 머리좋은애가 노력까지 엄청한다면 그야말로 짧은시간내에 올1등급 가능

  • @user-gj3mb3pd8g
    @user-gj3mb3pd8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

  • @user-kv5bc4xh7q
    @user-kv5bc4xh7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8

    노력해서 바로성적이 오른다니..노력뿐만 아닌 머리가 따라줬기 때문입니다

    • @sexymoonkorita
      @sexymoonkorit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부법이 올바르면 노력할 수록 성적 오릅니다

    • @user-fs9bg3nf1u
      @user-fs9bg3nf1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노력해서 잘된거라고 착각하기 쉽지요 저건 타고난 재능을 받은것임
      저렇게 노력 하는 학생들이 의외로 많지만 공부 시간을 쏟아부어도
      현실은 반에서 상위20-30%정도에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

    • @riteyang7550
      @riteyang755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fs9bg3nf1u 네...끝까지 전력을 쏟아부어 노력하지 않고 노력한다 착각만 했던 사람들의 전형적인 변명입니다. 수능이 머리좋은 사람들만을 위한 잔치가 아니란걸 깨달아야 합니다. 아이큐 100 안넘는 사람들 중 의대간 사람들도 수두룩 합니다. 아이큐 100 안넘어도 사시 통과한 사람들도 수두룩 하구요. 물론 인류발전의 최선봉에 서는 진짜 머리 좋은 천재들은 평범한 사람들이 따라갈 수 없을 정도의 비범함을 가졌겠지만 그런 사람들만 수능 만점 받는 것은 아니겠지요. 인류가 발전해 온 것은 평범한 99% 사람들의 집단지성의 힘이 80%, 비범한 1% 사람들의 지성의 힘이 20% 였다고 생각 합니다.

    • @user-be2uv7qp7e
      @user-be2uv7qp7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exymoonkorita아닙니다.
      무지하시면 깝치지 마세요

    • @sexymoonkorita
      @sexymoonkorit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be2uv7qp7e 맞는데요, 수학 공부법으로 1000시간 동안 개념을 그대로 필사하는 사람이랑 개념은 2,3독만 하고 단지 100시간동안 문풀한 사람중에 누가 더 수학 성적이 좋아질거 같음?

  • @myinfinities
    @myinfinitie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구독자로서 이 채널에 처음으로 댓글 남겨봅니다.
    저는 수학, 영어가 중상위권 정도였고 국어가 제일 최악이었습니다. 아무리 모국어여도, 해설을 보아도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지가 않아 이해가 잘 되지 않았거든요.
    3과목 다 학원을 다녀봐서 쌓은 실력이라 해도, 국어가 제일 힘들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좀 이상하게 느끼실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제 주변에서는 국어가 잘 되서 영어가 잘 되는 케이스 혹은 국어가 되지만 영어가 안 되는 케이스가 대다수였지만, 저는 완전 정반대였습니다. 영어가 되는 편이고 국어가 안 되는 케이스. 물론 고2와 고3때 받았던 국어 수업은 정말 재밌었고 질문도 자주 해서 이해를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등급은 제자리걸음이었죠. 그러면서 책이 재미없다고 느껴서 독서에 소홀했던 과거의 저를 탓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자책을 하고 또 자책을 했죠.
    그러다 저희 부모님과 학교, 학원 선생님들께서 "너가 어렸을 때 독서와 스토리텔링을 좋아했는데, 교육이 점점 입시 위주로 가고 있으니 책에 데여서 그런 거 아니냐" 라고 저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당시 거짓말이라고 생각하고 내 노력과 의지 탓이라고 부정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제가 마냥 독서를 싫어하기만 하는 건 아니었던 것 같네요. 시집이나 그림이 많은 책은 많이 좋아했었다는 점은 제 자신도 알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현재는 부모님께 감사하고 결국 수시로 원하는 대학과 학과에 입학해서 졸업한 뒤, 해외에서 직장 다니고 있습니다. 또한 주말마다 소설이나 시집, 만화책 등 다양하게 읽고 있습니다.
    살면서 느낀 점 요약: 결국 환경과 사람과 가정교육, 제 의지 모두 내신과 수능에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고등학생분들 모두 수능과 수시 준비 시 낙담의 늪에 빠지지 마시고 비타민이라도 자주 드시면서 힘내시길 바랍니다.
    지금은 교육과정과 입시 절차 전형 이런게 상당히 바뀌었다고 들었는데, 저의 경우 수능 등급보단 지망하는 학과 관련 교과 및 비교과 수시가 정말 많은 차지를 했던 것 같습니다. 네...생기부.... 학생 선생님 모두 다 진 빠지는 부분...

  • @user-nx8vj1yc7y
    @user-nx8vj1yc7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솔직히 말하면 이 책보다 안소린님이 쓴 서울대생의 비밀과외가 머리좋은 사람 안좋은 사람들한테 다 맞는 책인 거 같고 하나 더 현실성 있는 책은 정승제 쌤의 정승제 선생님이야 책이 더 수학에 효과적인 책인거 같습니다

  • @user-cg9ru4pg1z
    @user-cg9ru4pg1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앉아서 공부만 하면 병걸립니다 면역도 떨어지고요. 장기적으로 공부할거면 운동은 필수입니다. 무조건 앉아서 공부만 하라는 사회 분위기가 오히려 독이 되는 거 같습니다. 쉬는시간에라도 꼭 걷거나 뛰는 시간을 가져야해요

  • @user-vn9cs5st5b
    @user-vn9cs5st5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6

    머리가 최상위권인데 공부 안해서 등급 안나온 케이스만 가능함

    • @user-pf5we9tp2l
      @user-pf5we9tp2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같은 색히들 때문에 시작하기도 전에 포기하는 애들이 많은거야

    • @CAS_NO
      @CAS_N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사람마다 역량이 다르고 타입들이 많음ㄹㅇ
      방심하다가 큰코 다치는 사람도 많이봄ㅋㅋ

    • @user-fs9bg3nf1u
      @user-fs9bg3nf1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이게 진실입니다 머리도 타고나는 것이구

    • @gtmklaser
      @gtmklase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넌 뭘해도 불가능😊

    • @hmk3801
      @hmk380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근데 솔직히 자신이 바끠어야 된다고 생각하면서 자기가 생각하는 좋은 방향으로 바뀌기 위해 끊임없어 노력할 수 있을 사람이라면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 @user-lf9zp5bf7u
    @user-lf9zp5bf7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수1을 먼저하고 수 상하같은 개념들은 여름방학에 공주하는 것이 좋을까요?

    • @user-jm1ox1xh1z
      @user-jm1ox1xh1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하를 먼저하는데 무조건 무조건 좋습니다 간단한 인강 보세요 로그 함수 풀다가 내분점 맞추라 하는데 모르면 기분 안좋잖아요

  • @na_zarus8803
    @na_zarus880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구독좋아요

  • @zcw1258
    @zcw125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저사람은 존나 천재 인것도 있는데 나형/사탐임 지금보다 훨씬 쉬운 범위임
    존나 쉬운 범위 + 존나 천재라서 가능한거임...

    • @user-tv6um8ze5q
      @user-tv6um8ze5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 뭐야 개짜치네

    • @user-chanwoo158
      @user-chanwoo15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 나형…

    • @user-vp4dj4xo9m
      @user-vp4dj4xo9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아니 저사람이 개천재인게 애초에 공부도 안하고 놀았는데 공부시작할때부터 미친듯이 공부를할수있었다는거임 고등학교때 공부를 해왔던 애들도 각잡고 공부를 할려해도 어떻게 수능에 접근해야하는지 이게 과연 올바른 공부법인지 몰라서 시간을 어영부영보내는데

  • @justice_stone
    @justice_ston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엉덩이 힘 진짜 중요한 듯...

  • @ink____
    @ink____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하루종일 공부할 수 있는 체력은 대체 어디서 나온 거임;;;

  • @user-zh5zq2cx4f
    @user-zh5zq2cx4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부가 제일 쉬웠어요 요즘 버전..? 그냥 머리가 좋았던것임.

  • @noin_out
    @noin_ou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고등학생 10년넘게 수학 가르치면서 저런건 머리좋은애들만 가능하다는걸 항상 느끼고 멍청한 부모들이 이영상보고
    본인자식도 할수있다는 셀프 희망고문 하면 답답할거 같아요... ㅜㅠ

    • @g.o.a.t5351
      @g.o.a.t535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진짜 자기객관화 안된 학부모들 보면 답답해 미쳐버릴거 같죠…

  • @TV-jz1zc
    @TV-jz1z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함부로 따라하면 망함 참고만하시고 다들 자신만의 공부법을 찾아야함~

  • @user-oo9sc5ss9m
    @user-oo9sc5ss9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50분 앉았다가ㅡㅡ10분마다 10분씩 서 서 움직여야 허리디스코가 안옴🎉 7시간 수면😮😮😮 1%의 육체만 엉덩이공부를 할 수있다!

    • @user-ig2ln7hk7l
      @user-ig2ln7hk7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꿀팁 감사합니다

  • @user-yw2kq7kz4j
    @user-yw2kq7kz4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솔직히 수학은 노력의 영역임 국어가 어렸을 때 책 많이 읽은 얘들이 잘하고 넘사벽임

    • @user-qx6yu5wh7o
      @user-qx6yu5wh7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책이 진짜 무섭긴 함 어렸을때 책을 거의 안읽어서 난독이 정말 심했음. 그래서 고1때 국어모의고사 항상 3 턱걸이였음. 근데 고1여름방학 고2 여름방학동안 하루 30분씩 책 읽었더니 본인 예비 고2인데 학원에서 모의고사 할 때 마다 1, 2등급 나옴

    • @njin6909
      @njin690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수학이 노력이라면서 국어는 어렸을때부터 책읽은 애들이 잘한다는건 무슨말이죠?

    • @seven77750
      @seven7775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qx6yu5wh7o 개학하고는 읽을거임?

    • @udkrk
      @udkr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jin6909수학이 정직한 과목이라고 ㅋㅋ 국어가 어릴때 글 많이 읽던애들이 잘할 확률 높은 과목이고 ㅎ

    • @njin6909
      @njin690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dkrk 그러니까 어릴때부터 책읽는게 노력이지 뭐임 그럼 ㅋㅋ 말 뜻이 이해가 안돼?

  • @bookman19
    @bookman1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못된 교육이 낳은, 잘된 공부법 ㅜㅜ

  • @smithjohn2387
    @smithjohn238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요즘 올1등급 받아서 스카이 문과가는사람보다 일어잘해서 일본여친 사귀는 사람이더부럽다..

  • @sarang_00
    @sarang_0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나랑 똑같은 케이스던데.
    오늘 영상보고 서점가서 이 책 사옴
    그저 그런 공부법 책이겠다 싶었는데
    특별하지 않은 일반적인 공부법임.
    저자가 천재도 아니었고, 이 방식이면
    몸에 문제있는거 아닌 이상 충분히
    가능함. 저자가 문제집 풀고 EBS 보라고
    한건 천재여서가 아님. 돈이 없어서였음.
    20년전에 내가 그랬고. 교사용 문제집
    받아서 답 공책에 적은 다음 문제집에
    있는 답 화이트로 다 지웠음.
    모나미 볼펜 한묶음 사서 풀고 또 풀었음.
    전교 430등에서 100등 안팎으로 치고나감. 결국에는 인서울했음.
    나는 빡대가리에 가까움.
    이 저자는 모르고 했겠지만 뇌과학에 기반한 선진국형 공부방식임.
    머리가 좋았다기보단 운이 좋았음.

    • @Sa-er4no
      @Sa-er4n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방법인듯 각자 상황마다 거기서 더 효율적이고 정교한 방법은 있을수있지만 가장 기본에 충실한 방법인듯

  • @user-jl4bj4su4p
    @user-jl4bj4su4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이건 20년 전 수능
    지금은 절대 불가

  • @user-il8rw7fn5z
    @user-il8rw7fn5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주아시
    고마워요~^^

  • @cosmic_shingle
    @cosmic_shingl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습관이 전부다. 열심히 하려하지말고 의무적으로 해내라. 열심히 한다는거 석달이면 다 죽는다

  • @user-qv2pf3ro2y
    @user-qv2pf3ro2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게 말이 됩니까?

  • @user-ds3nm2wr1q
    @user-ds3nm2wr1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론 : 3수하면 가요~

  • @user-id1ng1zo6f
    @user-id1ng1zo6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난 되겠다

  • @user-tj1xh5de2s
    @user-tj1xh5de2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이큐 150이면 1년 정도면 가능 머리진짜 좋은 거임

  • @Iwanttodosomethingmeaningful
    @Iwanttodosomethingmeaningfu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안될 놈들 특. 잘된 사례를 안 믿고 지가 망한 기준으로만 세상을 해석함. 그래서 니가 안되는 거다. 아직도 모르겠냐?

    • @zcw1258
      @zcw125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된 사례가 많겠냐 아님 망한 사례가 많겠냐...
      빨리 포기하고 다른 시험을 찾던가 다른 길을 찾아야지

  • @user-tt2fp5he5m
    @user-tt2fp5he5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전교꼴지가 수능 1등급 나오는 경우 많습니다. 예 민사고 꼴지요

  • @user-oo9sc5ss9m
    @user-oo9sc5ss9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언제?? 80년대?

  • @user-uh1hk1ti1k
    @user-uh1hk1ti1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책은 강의 없이 수학 8개월 만에 1등급 달성 한건가?

  • @shimba9614
    @shimba961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베8급이 1년만에 1등급을 어케찍어~

  • @user-qr9vw8hc1y
    @user-qr9vw8hc1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거 실제 사례맞죠?ㅋㅋ

  • @user-ie2ze2yz3r
    @user-ie2ze2yz3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이 사람 대학교 어디 갔나요

  • @user-lp8ov9re9d
    @user-lp8ov9re9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하루15시간 이미 보통 인간이 아님 ,그런데도 에스대 못간 모양

  • @Hatsune__Miku
    @Hatsune__Mik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말로만 하지말고 인증좀해라

  • @star72977
    @star7297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거보고 따라하면 99.9퍼의 사람들은 망한다.

    • @sexymoonkorita
      @sexymoonkorit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망하진 않음 이대로 공부 열심히만 해도 선방함 근데 방법면에선 좀 틀린게 없지 않아 있음

  • @nativefakers2494
    @nativefakers249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공부를 잘해도 인생은 안바뀐다. 무대부터 바꿔라.

    • @SIN-FMS
      @SIN-FM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다

    • @user-lp8ov9re9d
      @user-lp8ov9re9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글은 어찌 배워서 이런데서 이렇게 주절거림

  • @nativefakers2494
    @nativefakers249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부를 잘하게 되어도. 인생은 바뀌지 않아.

    • @seven77750
      @seven7775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ㅋㅋㅋ

    • @sarang_00
      @sarang_0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공부를 못하면 인생이 바뀌더라.

    • @sever0013
      @sever00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잡대가느냐 서울대가느냐 진짜 안바뀌냐?

    • @sexymoonkorita
      @sexymoonkorit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부 잘하면 머리 좋아져서 인생 바뀜

  • @jeonggonkim3774
    @jeonggonkim377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여기에 특별한 케이스라고 하는 사람들 한마디 해준다 그러니 너다 그냥 하워권이나 그저 그런 인생으로 살길

    • @user-ol8cp4zp9f
      @user-ol8cp4zp9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맞는 말씀
      아무것도하지않으니 변하는게 없는거죠

    • @Sa-er4no
      @Sa-er4n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ㅇㅇ 걔들은 그러니까 딱 그정도로 환경탓하고 있는거임

  • @user-mx1ze4gk9n
    @user-mx1ze4gk9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ㅋ 완전히 우영우구만 한번 보면 안 까먹는...저런거 믿고 나도 될 수 있다는 희망회로 돌리면 자기만 힘들어...
    저건 특수한 케이스란다.아무나 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