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을 읽어야 하는 ‘진짜’ 이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 มิ.ย. 2024
  • 편집 : 장관 (김엽)
    디자인 : 차관 (박혜진)
    [참고 문헌]
    * 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
    * 꺽쇠 괄호 표기X
    강민규. "이월된 ‘불확실성’과 문학 독서 체험의 시간적 형식들 : 문학교육의 사회적 지평 확장을 위한 모색." 독서연구 -.70 (2024): 9-44.
    최미숙. (2024). ‘문학적 지성(Literary intelligence)’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국어교육, 184, 73-105.
    유현주. (2014). 문자와 책의 운명 - 텍스트의 해체 혹은 문자의 코드화 -. 인문과학, 100, 21-43.
    서혁. (2023). 독서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독서 교육 : 독서 환경의 변화와 교육적 대응을 중심으로. 독서연구,(68), 9-33.
    오리사. (2024). 문학교육을 통한 생태전환교육의 방향 탐색 - 아도르노의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문학과환경, 23(1), 57-81.
    박성애. (2022). 과잉되고 우회하는 말하기와 윤리적 듣기 - 송미경의 『광인 수술 보고서』를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30), 41-72, 10.24993/JKLCY.2022.06.30.41
    이인제. (2013). 소통, 화합, 문화 융성의 핵심 역량으로서 독서 능력 향상 정책의 방향. 청람어문교육,(48), 225-288.
    조성면. (2007). 문학의 시정성을 회복하자. 오늘의 문예비평,, 85-101.
    정연희. (2015). 스마트 시대의 대학교양교육에서 독서교육의 의미와 방향. 어문논집,(75), 147-170.
    김선남, 김희주. (2019). 수용자의 독서행태에 관한 연구 :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45(6), 5-24.
    김혜원. (2019). 문학을 활용한 시민교육의 가능성 연구 -이야기그림책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65), 23-49.
    김중신. (1994). 문학작품의 선정과 배열에 관한 고찰 - 문학작품 독서의 범주 -. 국어교육연구, 1, 217-230.
    최명호. (2013). 문학적 독서의 전형, 보르헤스의 『틀뢴, 우크바르, 오르비스 떼르띠우스』. 중남미연구, 32(3), 51-81.
    차호일. (2006). 독서와 문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시 감상 전략. 비평문학,(23), 225-251.
    하은하. (2023). 팬데믹 기간 학교 밖 성인 대상 문학교육 사례와 그 의의. 문학교육학,(80), 147-183.
    김성진. (2022). ‘근대 문학의 종언’과 문학교육 - 읽기 중심주의에 대한 성찰 -. 문학교육학,(76), 87-112.
    유은순, 류선정. (2023).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학 읽기 : 알베르 카뮈(Albert Camus)의 디지털문학관 구축. 인문콘텐츠,(71), 107-135, 10.18658/humancon.2023.12.107
    유은순, 류선정. (2023).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학 읽기 : 알베르 카뮈(Albert Camus)의 디지털문학관 구축. 인문콘텐츠,(71), 107-135, 10.18658/humancon.2023.12.107
    유광수. (2023). 고전문학의 계승과 확장 방안 -블로그, 팟캐스트 연재의 경우-. 열상고전연구,(80), 195-234.
    최인자. (2008). 디지털 시대, 문학 고전 읽기 방식 -고전 변용 텍스트의 상호매체적,상호문화적 읽기를 중심으로. 독서연구,(19), 97-128.
    김민화. (2008). 독자의 내용이해 방식이 독서를 통한 행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9(2), 51-75.
    김혜진. (2021). 독자의 능동성에 대한 문학교육적 고찰 - 카타르시스와 정동 이론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71), 73-106.
    이국환. (2013). 독서, 연민과 자기 이해의 여정. 국제언어문학,(28), 25-51.
    최인자. (2008). 문학독서의 사회문화적 모델과 '맥락'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 문학교육학,(25), 427-450.
    변학수. (2010). 문학 독서와 치유독자. 독서연구,(23), 107-135.
    최인자. (2016). 인성교육을 위한 ‘자기이해와 수용’의 문학 독서: 박경리 소설 '토지'를 중심으로. 독서연구,(41), 93-118.
    이국환. (2019). 미메시스의 재해석을 통한 독서 이론과 환상문학의 가치와 자질 연구. 시민인문학,(37), 175-200.
    김해인. (2020). 성인 애독자와 비독자의 독서 가치와 목적 인식 비교. 독서연구,(56), 97-138.
    최은순. (2021). 공부방법으로서 독서의 잃어버린 차원: ‘렉시오 디비나’의 교육학적 함의. 교육철학연구, 43(4), 213-234.
    홍단비. (2021). 초연결시대 독서의 의미와 치유적 활용 가능성 -초연결시대의 특징과 병리성을 중심으로-. 독서치료연구, 13(1), 73-90.
    이국희. (2022). 생산적 독서 습관과 독서에 대한 해석이 독서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5), 565-575.
    이재기. (2021). 재난의 일상성, 독서를 통한 자기 돌봄의 탐색. 독서연구,(60), 37-61, 10.17095/JRR.2021.60.2
    이덕재. (2022). 디지털 인문학의 독서법 -멀리서 읽기에 관한 성찰-. 인문과학, 126, 175-209.
    백희정. (2022). ‘향유 독자’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소유와 치유, 사유의 의미로서 독서 경험과 성장. 인성교육연구, 7(2), 223-245.
    최진석. (2024). 인공지능과 문학의 가치에 대한 시론 ― 휴머니즘 이후 문학성의 미-래. 비평문학,(91), 263-293, 10.31313/LC.2024.03.91.263
    정은해. (2005). 문학과 독서에 대한 예술이론적 해석-가다머를 중심으로-. 현대유럽철학연구,(11), 107-146.
    이세나. (2023). 독서 능력과 읽기 능력의 연구 동향 비교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4(3), 223-248.
    정보미. (2024). 매체와 문학의 통합 교육을 위한 시론 - 매체 중심 문학사 교육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81, 121-159, 10.20864/skl.2024.1.81.121
    염은열. (2023). 문학하는 시대, 다시 문학 속으로. 문학교육학,(79), 261-291.
    이도흠. (2022). 고전문학에서 소통의 장애와 극복방안. 고전문학연구,(62), 183-215.
    백원근 /Wonkeun Baek. (2014). 하이브리드 독서문화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출판학연구, 40(3), 113-136.
    오문석. (2012). 디지털 시대의 문학교육.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13(2), 35-55.
    박진경. (2015). 고등학생 인성함양을 위한 문학 독서교육. 수사학, 22, 99-139.
    朴寅基. (1994). 문학 독서 방법의 상위적 이해. 국어교육연구, 1, 247-263.
    변학수. (2011). 문학수업과 감성능력. 카프카연구, 26, 331-351.
    김종갑. (2013). 문학 치료와 I. A. 리처즈의 독서이론. 문학치료연구, 27, 225-249.
    원영선. (2013). 문학치료와 영문학 연구 : 독서(행위)의 영향에 관한 소고(小考). 문학치료연구, 29, 265-295.
    김동환. (2020).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문학 독서 교육. 문학교육학,(66), 9-29.
    최인자. (2019). 문학 독자의 내면변화를 촉진하는 마음기제로서의 ‘은유’와 독서 은유 스토리텔링 교육. 문학교육학,(63), 275-303.
    최지현. (2007). 문학독서의 원리와 방법. 독서연구,(17), 63-82.
    김혜정. (2019). 미디어 시대의 책맹(비독서) 현상과 독서 교육의 방향. 독서연구,(52), 9-49.
    김동영. (2024). 겸허함, 현대적 우울을 살아가기 위한 문학적 태도 - 작가와 독자를 잇는 윤리적 독서 시론(試論). 국어교육연구, 84, 231-262.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71

  • @NJT_BOOK
    @NJT_BOOK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89

    그렇다면 같은 맥락에서 웹소설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고전 문학이라 불리는 "오만과 편견"과 "몬테크리스토 백작"은 누가 봐도 웹소식 전개를 쓰지 않나요? 대체 무엇이 다른가요?
    다음 영상을 기대해주세요!!

    • @ahorrador640
      @ahorrador640 19 วันที่ผ่านมา +4

      최근 책읽기 시작해서 이번 영상 정말 좋았어요, 감사합니다!

    • @user-pw3mo8je3t
      @user-pw3mo8je3t 19 วันที่ผ่านมา +3

      이거궁금했는데 딱 글올려주시네요 ㅎㅎ 어 그럼 소설은 읽어도 되는거아닌가 싶었거든요!

    • @uk2ya
      @uk2ya 19 วันที่ผ่านมา +4

      안녕하세요, 너진똑님.
      저는 요즘 판타지 무협 장르에 매력을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통의 문학이 좀 더 삶에 도움이 될텐데라는 생각이 들어 한번씩 자괴감에 빠집니다ㅎㅎ,,
      웹소설이 전통 문학보다 더 이득이다! 어떤 부분은 더 플러스 되는 요소가 있다! 라는 생각을 해보신적 있는지 궁금합니다.

    • @userdkssudgktpdy
      @userdkssudgktpdy 19 วันที่ผ่านมา

      다음 영상 기대합니다ㅎㅎ

    • @user-id8wr9bl9e
      @user-id8wr9bl9e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래서 제가 오만과 편견을 안좋아하지요 ㅋㅋ

  • @user-qz7mq8ec7g
    @user-qz7mq8ec7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02

    제발 무언가 얻으려고 책을 읽지 말고 그냥 흥미 본위로 읽고 싶은 책 읽으세요...
    괜히 뭔 책이 좋다더라, 인문학을 읽어야 사람이 달라진다더라 이러면서 시작하려 하는데 그냥 읽고 싶은 재밌는 소설책, 흥미 본위의 과학책 같은 내가 읽고 싶은 책을 읽다 보면 자연스레 읽고 싶은 책의 범위가 넓어지고 결국 생각해볼 거리가 많은 책을 운명처럼 접할거라고 생각해요.
    결론적으로 제 생각은 어려운 책이 좋은 책이 아니라 내가 소화 할수 있는 책이 좋은 책이라는 겁니다. 모두들 행복하세요~

    • @user-hl5eu6sr3w
      @user-hl5eu6sr3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1

      이 말 맞는것 같아요! 저도 첨엔 사람 죽는 추리 소설만 보다가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읽고 나서부터 점점점 범위 넓어지더니 어느순간 보니까 고전 뽀개기 하고있네요 ㅋㅋㅋㅋㅋ

    • @NJT_BOOK
      @NJT_BOOK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97

      다만 가끔은 도전 정신도 중요할 거예요. 무언가를 얻기 위한 독서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재미와 흥미만으로는 파우스트가 원나블을 이길 수 없으니까요!! 그래도 9할은 공감합니다!!

    • @thx2all123
      @thx2all123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6

      이것도 정답은 없답니다~ 그냥 뭐든 손이 가는대로 '읽는 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의미있는 일입니다.
      독서라는 건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되고 오래남을 취미입니다 그만큼 세대를 넘나들어 소통할 수 있는 창구죠^^
      좋은 책, 안 좋은 책도 내가 다 읽어보고 경험해봐야 알 수 있는 거죠.
      남들이 이러쿵저러쿵 하는 얘기에 휘둘리지말고 내 주관으로 내 손이 가는대로 읽는 것.
      인생도 비슷하니까요~

    • @kmondays
      @kmondays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서로 다른 생각이다... 서로 다른 관점이다.. 정답 없는... 인문학 좋아... 맛있다 츄릅..

    • @user-qz7mq8ec7g
      @user-qz7mq8ec7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

      맞는 말씀입니다! 제 주변 사람들 중에서 책좀 읽어야 되는데 좋은 책이 뭐가 있냐 물어보는 사람이 많더라고요...
      경험적으로 그런 사람들 대다수를 보면 책에서 얻고자 하고 내가 변하기를 바라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그것도 좋은 취지긴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독서의 본질은 공부와는 결이 다르고 나를 변하게 하는 경험과도 와닿는게 너무나 다릅니다. 때문에 결국은 책을 읽는 삶이 내게 익숙해지고 쌓여서 내가 읽은 그 책처럼 말하고, 그 책 처럼 생각하고 나아가 나만의 책을 내안에 만들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러한 과정 속에서 나만의 책에 부족한 부분이 눈에 밟히고 이 논리를 채우기 위해서, 혹은 반박하기 위해서 지적 호기심이 생기고 더 많고 어려운 책을 찾고 퍼즐이 맞춰질때 거기서 오는 영감은...감히 지적허영심을 느낄 정도로 카타르시스가 느껴질때가 있고 저는 이러한 감정을 위한 첫걸음을 너무 높은 곳에서 시작하지 않았으면 한다는 뜻이었어요.
      결론은 책을 읽는건 너무 재밌는 일이고 다들 그랬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또 말이 길어졌네요...암튼 모두 행복하세요~

  • @user-uc9tl1ek9i
    @user-uc9tl1ek9i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059

    책 읽는 사람들은 줄어드는데 작가들은 늘어나는 신기한 나라

    • @Latteholikkk
      @Latteholikkk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9

      뭐 전세계적으로 그렇죠

    • @bk4995
      @bk4995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54

      "이상하게도 Listener보다 MC가 많은 K-hiphop Scene에 classic은 소수"

    • @user-tf4uy3by4p
      @user-tf4uy3by4p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8

      징징대지마라

    • @user-nx9bq5zc4n
      @user-nx9bq5zc4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bk4995뭐노 이 힙찔이는

    • @user-tb7ee7dm8o
      @user-tb7ee7dm8o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19

      미달 작가들이 9할 이상임.

  • @kimmu-wl4eq
    @kimmu-wl4eq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76

    책을 잘 안 읽게 되는 이유는 다독의 장점이 잘 와닿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며칠 전 sns에서 보고 엄청 공감한 글이 있습니다 독서의 효과는 가랑비에 옷 젖듯 천천히 나타난다는 글이었어요 독서를 공부 혹은 일이라고 생각하기 시작하면 책을 피기도 전에 지쳐버리고 책 내용에 잘 집중할 수 없겠죠 매일 조금씩 5분이라도 자기가 좋아하는 책 한 권씩 읽어서 습관을 들이는 게 가장 좋을 것 같아요 책을 읽고 재밌다고 느껴도 습관을 들여놓지 않으면 바쁜 매일과 피곤한 현실 때문에 집에 돌아와서 쇼츠만 줄곧 보게 될 테니까요

    • @thx2all123
      @thx2all123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6

      일단 sns부터 끊고 sns했던 시간에 책부터 펴는 습관 들이기 시작하면 책읽는 거 별거없습니다..
      운동도 침대에서 나오는 것부터 시작이듯이 책도 펴는 것부터 시작이에요.
      다독의 장점이 잘 와닿지 않는다? 일단 다독을 해보셨는지부터 생각해볼 필요가 있네요
      다독을 하는 사람들은 독서를 당연하게 추천합니다.
      책 읽는 사람이 가장 좋아하는 사람은 책 읽는 사람이고 동시에 가장 두려워 하는 사람도 책 읽는 사람입니다.
      책을 읽는다는 건 그저 읽고 마는 행위가 아닌, 영상에서 언급한 것처럼 누군가의 인생얘기를 내 속도대로 들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무엇이든 많이 읽어보세요. 쓰레기같은 책이든 클래식한 명서이든 분야를 가리지말고 읽어보세요... 왜 책을 읽으라는지 알게 될겁니다^^

    • @mgk1614
      @mgk161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소용 없다.
      방송을 봐.
      죄다 먹고 마시고 노는 거 뿐이 없다.
      이 나라는 유교 때문에 아무도 공부 안함.

    • @mgk1614
      @mgk161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유교 계급 사회
      질투 시기 고자질 정치질 허세 때문에
      공부할 여건이 안됨

    • @bigbang7772
      @bigbang7772 21 วันที่ผ่านมา

      ​​​@@thx2all123글을 제대로 읽을줄아는거임?누가봐도 님이 국평오임.
      원댓글의 전체적 맥락과 의도는 개무시하고 다독의장점이 크지 않다는 첫화두만 가지고 풀발 ㄷㄷ
      이런 사람들보면 글을 많이 읽는게 매우 좋은건 아니라는걸 깨달을수있져

    • @beidmoint1370
      @beidmoint137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

      ​@@mgk1614다른 것도 아니고 왜 유교 때문에..?

  • @user-jz4wy5ph5o
    @user-jz4wy5ph5o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02

    "진리란 가르쳐질 수 없다는 것, 이 평생에 걸친 깨달음을 형상화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헤르만헤세가 그의 저작 싯다르타에 관해 남긴말입니다.
    말로 표현될 수 없는것들이 있습니다, 잡히지 않는 것들을 잡으려 애쓰는 것이 예술입니다.

  • @user-fy6dh2cg8x
    @user-fy6dh2cg8x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55

    초,중,고 학생인데 공부 하기 싫은데 폰같은 거 못보는 상황이면 문학책 보는거 강추
    걍 잠자서 시간도 날리도 혼나기보다는 책읽는게 혼도 덜나고 은근히 재미도있고 집중하면 시간도 잘감
    주변 시선도 달라지고 책 한권 다 읽었을 때의 그 성취감? 생각보다 뿌듯하고 기분도 좋아짐😊

    • @junkijang5190
      @junkijang519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나랑 똑같네요. 공부하기 싫어서 책 많이 읽었는데.. 다만 대학가고부터는 거의 안읽었네요^^;

    • @user-thinkingchair
      @user-thinkingchai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

      고등학교 때 면학시간에 공부하기 싫을 때마다 책읽었는데...진짜 차라리 이게 나음

    • @user-ir8yy3mc1z
      @user-ir8yy3mc1z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제가 딱 이랬는데 ㅋㅋㅋㅋㅋㅋㅋ 지금의 저를 만든듯. 벌써 10년도 전이네요

    • @myong916
      @myong916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저도 시험끝난 다음날 야자시간에 책 많이 읽었던것 같아요 ㅋㅋㅋ 할게없기도했고

  • @essence_54
    @essence_5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34

    글의 장점은 몰입하기 좋은 것도 있다고 생각해요! 다른 매체는 보통 집중하지 않아도 이야기가 흘러가지만, 글은 스스로 읽고 생각할 때까지 우리를 기다려주니까요!!

    • @bropy2938
      @bropy293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

      ㄹㅇ 유튭도 어느샌가 멍때리고 보는 순간이 옴

    • @Dan_Gam_Gyul
      @Dan_Gam_Gyul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맞아요 내 머릿속에서 상상하는 거니까 다른 요소 때문에 몰입이 깨질 일도 없죠

    • @YeongHaya
      @YeongHaya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맞아요

    • @tut1350
      @tut135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근데 소설도 읽다보면 생각없이 넘어가는 구간이 있긴 하더라구요..😅 문득 정신차리면 뭔얘기였지? 싶을 때가 있어요

  • @user-pj8hr4xl7f
    @user-pj8hr4xl7f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44

    근데 딴 사람은 몰라도 오타쿠라면 진짜... 문학을 읽어야해요... 정말로 표현의 제약이 없고 변태적으로 기획한 작품을 읽는순간 벅차오름의 강도가 달라요...

    • @arcde_2415
      @arcde_2415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28

      게임이나 애니를 보면...문학 모티브로 나온게 많아서 관련문학 찾아보면 아, 이게 이걸 모티브로 했구나 라는걸 알수있어서 읽어야되긴 해요.
      -네탓이군 이스마엘!-

    • @kirby_say_POYO
      @kirby_say_POYO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06

      진짜 시네필이든 오타쿠든 이 모든 변태적인 스토리는 모두 문학에서 나왔음을…생각해야해요

    • @user-st9oy4pi4v
      @user-st9oy4pi4v 21 วันที่ผ่านมา

      ​@@arcde_2415대.지.훈

    • @jungkid555
      @jungkid555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

      그리고 내가 읽은 라노벨이 애니가 되었을때 애니로 보는 맛도 있죠.

    • @Hotkey713
      @Hotkey713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2

      젠장 또 프문이야..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48

    헐 와 문체부와 협업하는 유튜버가 있다? 정말 축하드려요! 그리고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정보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 @user-ml4mh3dr2r
      @user-ml4mh3dr2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문체부 장관 수준이 벌레라

  • @muzik3026
    @muzik3026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6

    문학이 얼마나 재밌는데 왜 안 읽어? 영화나 뮤지컬이나 연극이 대체할 수 없는 무언가가 책에는 있음.. 아 이걸 이렇게도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구나 라든가 내가 평소에 느껴왔지만 말로는 하기 어려웠던 부분을 작가가 너무 날카롭고 정확하게 표현했을때 그 공감의 카타르시스.. 타인에게 이해받지 못하는 감정들을 책을 통해 위로받았던 적도 참 많음😊

  • @Hamster_Roar
    @Hamster_Roa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3

    책은 시간을 초월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전달법이자 본질을 얻을 수 있는 습득법이다.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 @HHHundai
      @HHHundai 15 วันที่ผ่านมา

      시간을 초월한다 이걸 깨달았을때가 생각나네요 짝사랑에 마음이 너무 아플때 내 자신을 돌아보려고 예브게니 오네긴과 안나카레리나를 봤습니다. 몇백년전이야기인데 짝사랑의 아픔은 현대랑 똑같은것같습니다.

  • @alwaysonthedeck
    @alwaysonthedeck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0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냥 다른걸 다 떠나서 책 읽으면 재미있습니다.
    몰입의 즐거움이 있어요. 인지능력, 대리 만족, 문해력, 상상력도 장점이지만 일단 빠져들면 다른 요소는 눈에 안 들어옵니다. 그냥 그 속에서 나는 주인공과 같은 공간에 사는, 물아일체를 경험하게 됩니다.
    몰입의 즐거움을 느끼시면 정말 재미있게 책을 읽으실 수 있을거예요.

    • @user-dd1jz1hs9n
      @user-dd1jz1hs9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몰입의 즐거움은 책으로만 가능한게 아니죠.

    • @user-rj2tr8eu5i
      @user-rj2tr8eu5i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어떻게 보면 몰입만 보면 7:49
      ​@@user-dd1jz1hs9n

    • @user-hm4vg6hi3b
      @user-hm4vg6hi3b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정말 동의합니다. 소설속 세상에서 제 2의 삶을 살아보는것은 정말 좋은 경험입니다.

    • @user-ul7vv7yr5w
      @user-ul7vv7yr5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

      @@user-dd1jz1hs9n 책좀 읽으셔야 할듯..ㅋㅋ

    • @user-cx5jj3br2c
      @user-cx5jj3br2c 18 วันที่ผ่านมา +6

      @@user-ul7vv7yr5w 다른 문화도 몰입은 가능하죠. 아니 오히려 더 쉽습니다.
      대신 글에서는 뭐든지 상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거죠.

  • @naiza2454
    @naiza245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

    아무리 좋은 문학작품이나 역사기록을 재해석한 영화 있다고 해도 간접적일 수 밖에 없기 없기 때문에 글이 좀 더 직접적으로 본질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그동안 비문학만 읽어온 사람으로써 반성합니다…예전에는 글이 영화나 게임보다 정보의 양이 많고 쉽게(직관적으로) 습득할 수 있어서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지금은 오히려 글이 압축적이고 에너지 소모도 적어서 더 선호하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영상은 시간의 제약이 있으니까 생략된 부분도 많고 배속이나 건너뛰기를 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으니까요. 글을 읽으면 남은 에너지를 생각하는 데 쓸 수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 그동안 막연히 글을 읽는 게 좋다고 느끼기만 했는데 덕분에 생각이 정리된 것 같아요. 영상 잘 봤습니다~!

  • @BHuuom
    @BHuuom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4

    업로드 기다렸어요😊

  • @tv-bn8yf
    @tv-bn8yf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

    너진똑님 영상 너무너무 기다렷어요 !!! 사랑합니다 ㅠㅜ❤❤

  • @gichae
    @gichae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6

    왜 아무도 파랑 후드 새로 맞춘 거 언급을 안하지
    잘 어울리십니다! ㅋㅋ

    • @happy_beeee
      @happy_beeee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오잉 진짜네

  • @user-hd7fv5ru6m
    @user-hd7fv5ru6m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6

    형 드디어 왔구나!!!!!!!!!!!!!!!!!! 기다렸어 자주 와줘요

  • @rokicat7391
    @rokicat7391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

    저는 원래부터 소설책을 통해 인생에 대해 많이 배웠다고 느꼈어요! 그래서 옛날에 NJT님의 책을 읽어야하는 이유에 관한 영상을 봤을 때, 동의하면서도 약간 찜찜했던 기분이 기억나요. 이번 영상 보면서 속시원한 느낌이 드네요 ^-^
    제가 영화나 애니 이런 이야기 매체를 전부 좋아하는데요. 얘네랑 차별되는 문학책의 장점이 또 하나 있다고 생각해요. 책에선 순식간에 지나갈 수도 있는 짧은 장면을 묘사할 때, 주인공 안에서 일어나는 감정과 생각을 다 알려주고 그것도 꾸준히 매 사건마다 나열해주잖아요. 소설책을 많이 읽으면 이게 무의식적으로 학습되서 사람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 능력을 키워준다는 게 최고에요!! >-

  • @HeyweHeywe
    @HeyweHeywe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

    게임을 애니를 영화를 유튜브를 책을 볼 수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다! 오늘 영상도 감사해용! 너진똑 ㅎㅇㅌ!!

  • @parkyoung8179
    @parkyoung8179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책 읽는게 쾌락의 순간에 이른정도까지 가본적도 있었는데…
    이잰 앍어본지 20년이 되어가요 중간에 몇번 시도해봤었는데 몇페아지를 못넘기네요
    심지어 과거에 전률까지 느꼈건 책을 다시 읽어도 마찬가지에요
    60을 바라보며 다시 읽어볼까 싶은 마음이 들게 해주시네요
    다시 시도해보고 조만간 감사 인사 드릴수 있길…..

  • @SlavaRus1922
    @SlavaRus1922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2

    독서에는 확실히 동기가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작년까지만 해도 독서와 벽을 치고 살았는데, 어느날 한 게임을 접하고 나서부터 다시 책을 피는 날이 왔어요.
    그 게임의 특징이 캐릭터들이 대부분 소설 원작이라는 점이 가장 컸던 거 같네요. 그래서 제가 좋아하는 캐릭터들을 조금이라도 더 탐구해 보고자 책을 읽게 되었는데, 이게 은근 재미가 있더라구요.
    덕분에 독서가 취미가 되고, 문해력도 점점 오른다는 것이 느껴져서 정말 좋았던 것 같네요.(근데 입문작이 데미안, 날개라서 초반에 많은 난관이 있었다는 점...)

    • @dart-king
      @dart-kin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혹시 그거 림버스컴퍼니...?

    • @elem0212
      @elem0212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런건 이상적이오.

  • @dear_selene
    @dear_selene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

    4~5살 아주 어린시절부터 엄마 손에 책이 들려 있던 기억이 있어요. 엄마가 책 읽는 걸 좋아하셔서 그런지 집은 가난했지만 책은 항상 풍족하게 사주셨어요. 초등학생 때는 ‘이동도서관’이라고 작은 버스에 책 싣고 오는게 있었는데 엄마 손잡고 매주 가서 책을 빌려서 보기도 했었네요. 워낙 책 읽는게 습관이 되다 보니 책에 대한 거부감이 없고 학교 다닐때 언어 성적에도 알게 모르게 많은 도움을 받은 것 같아요. 요즘은 많이 읽지 못하지만 책에 대한 갈망은 항상 있어요. 최근에 이북리더기를 구매했는데 다시 열심히 많이 읽어보려구요. 저는 주로 소설을 많이 읽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헛짓(?)한거 같지 않아 안심이 됩니다 ㅎㅎ

  • @user-rs9ul7zr8r
    @user-rs9ul7zr8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

    와 정말 예상반박도 논리적으로 설명해주시고 결국 납득이가게되는 내용이네요 혹시 너진똑님의 문학추천도 몇개 가능하실까요?😊

  • @user-nr5gg9wn2b
    @user-nr5gg9wn2b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읽다보면 사람들을 만나고 그 속에서 친구를 발견하게 되요, 일상에서는 하기 어려운 이야기, 애써 감춘 마음들을 알아주는 특별한 친구.. 그 설레임과 감동이란 ㅠㅠ... 문장의 아름다움은 덤이고요, 읽어야 하는 책말고 읽고 싶은 책 읽으시라는 댓글에 저도 한표요 !

  • @user-ri6cb3yc1q
    @user-ri6cb3yc1q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

    감사합니다..드디어 숨을 쉴수 있게 되었습니다..

  • @imqqqqq
    @imqqqqq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

    늘 멋진 채널

  • @user-pl6lw3nb3r
    @user-pl6lw3nb3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10:00 바로 직전까지 2~3번 멈춤하고 메모하며 이 영상을 소비하고 있던 구독자로서...^^ 정말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 @user-zq4jc1bo2o
    @user-zq4jc1bo2o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

    너진똑님 저는 문학을 안읽었는데 인생의 다양한 걍험을 할수있는 문학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도 역시나 찰떡같은 비유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hehdh4253
    @hehdh4253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

    살다 보니까 문학은 안 읽는 사람과 읽는 사람으로 구분되는게 아니라 읽을 수 있는 사람이랑 없는 사람으로 나뉘더라구요. 우선 문자를 읽으면 이해를 해야하는데… 여러가지 이유로 그걸 하고싶어도 못 하는 사람이 더 많은 것 같아요. 참 안타까워요

  • @user-HalaMadrid1002
    @user-HalaMadrid1002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7

    너진똑님 덕분에
    평소엔 처다도 안보던
    고전소설들과 여러 책들을읽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문해력도 높아지고
    지식도 늘어가더라고요
    감사합니다

    • @Mr.palestine357
      @Mr.palestine357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너'진똑입니다

  • @overdoser6053
    @overdoser6053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0

    너진똑님 영상 보고 문학 작품에 흥미가 생겨서 느리지만 천천히 읽어나가고 있습니다. 책을 읽는 재미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m9ip2rt1j
    @user-xm9ip2rt1j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왠지 스티븐 킹이 영상은 종종 너무 많은 것을 보여줘서, 괴수 옷을 입은 사람 등의 지퍼까지 보여주게 되는 법이라 창작자 입장에선 글이 좋을 때도 있다고 했던게 생각나네요!

  • @Mangchinagashinda
    @Mangchinagashinda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너진똑님 덕분에 지금은 책을 계속 읽어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들 계속 봤으면 좋겠습니당!

  • @user-hu7pj2sc9h
    @user-hu7pj2sc9h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전혀 다른 상황과 인물들 속에서 보이는 나와 비슷한 부분들을 통해서 나 자신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 문학의 매력인 것 같아요

  • @kouro3210
    @kouro321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

    문학은 작가가 가진 역량에 따라 언어의 아름다움을 느낄수 있음. 또 같은 글을 읽더라도 사람마다 상상하고 느끼는게 모두 다르다는게 진짜 문학의 찐 매력이라고 생각함.

  • @Hangra0227
    @Hangra0227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9

    문학은 오로지 욕구에 기인하여 존재한다. 작가의 사상이나 신념 따위가 덧칠 돼 교훈이 배기도 하지만, 근원에는 오로지 창작의 욕구, 미의 객관화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문학의 본질이라 함은 예술의 본질이며, 감상자에게 예술의 본질이란 미적 체험이다. 문체부에게 돈을 받았으니 교훈이니 뭐니 인문학 장사치처럼 굴어대며 그럴 듯한 이유를 들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불만이 없다. 그러나 영상을 본 시청자가 문학의 본질이 고작 교훈 몇 줄 안에 들어있다고 낭설하며 돌아다니지는 않을까 걱정은 조금 든다. 문학을 문학으로 읽고 싶거든 우선 책장을 넘겨라. 지루함에 신음을 하든, 몰입하여 즐기든, 감상이 주가 됐다면 문학을 올바르게 읽어낸 것이다. 결코 교훈 찾기 따위가 주가 되어서는 안된다. 교훈은 책장을 덮었을 때 끌려 나오는 것이지 텍스트 마다에서 끄집어내는 것이 아니다. 설령 그렇게 얻어낸 교훈이 삼라만상을 꿰뚫는 듯이 보인다 한들 그것에 의미는 없다. 대게 그런 교훈은 허상이며, 사실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바위가 부서지면 자갈이 된다 따위와 같은 따분한 명제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그러한 명제는 인터넷에 널렸다. 각설하고, 문학을 읽고 싶다면 그냥 즐기면 된다. 테마파크라도 간 듯이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다 보면 종장이다. 덧붙여, 독서의 목적에 평론 따위가 붙어있지 않은 사람이라면 더욱 완연히 휩쓸려도 좋다. 문학은 글이기 이전에 예술이기 때문이다.

    • @Jmsae
      @Jmsae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바로 이거거든요. 문학은 예술이기에 그 목적엔 즐거움이 첫번째로 온다고

    • @user-hm4vg6hi3b
      @user-hm4vg6hi3b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동의합니다. 문학은 목적으로 읽는것이 아닌, 그 안의 세계를 직접 경험하기 위해 읽는 것이지요. 직접 주인공이 되고 때론 전지적으로 모든것을 내려보면서, 제 2의 삶을 체험하는 것. 그것만으로도 문학은 충분히 가치 있습니다.

    • @ahorrador640
      @ahorrador64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봇치더락 또한 ‘성장’ 이라는 교훈을 담고 있지 않던가, 진짜 멋진 문학임

    • @user-jn6wm9oc7k
      @user-jn6wm9oc7k 18 วันที่ผ่านมา

      역시 료맘은 필력부터 다르네요... 존경합니다

    • @user-bz9ih9ef4l
      @user-bz9ih9ef4l 17 วันที่ผ่านมา

      내용을 깊이있게 심도있게 다룰수 있는 컨텐츠란 뜻이네요. 너진똑 같은 유튜브 찾기가 어려워서 아쉬웠는데 대신 책을 읽어야 겠어요😂

  • @dankim4874
    @dankim487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

    개인적으로 사람들이 책을 안 읽는 이유가
    학교의 공교육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의 재미를 느껴야 평생 습관이 될수있는데,
    책이란 독후감 숙제 같이 하기싫은 행위라는 걸 먼저 학습해버리는게 문제인것 같습니다
    차라리 판타지소설이든 인터넷 소설이든 심지어 야설이라도
    활자를 읽는 재미를 깨우칠수 있도록 도와주는게,
    글을 읽을 준비가 안된 어린 학생들에게 강제로 좋은 작품을 주입시키는것보다
    훨씬 유익한 교육이 아닐까 싶어요

  • @yunchoa
    @yunchoa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너진똑님 영상덕에 현대문학을 이해하는데 정말 많이 도움 받았어요. 감사합니다

  • @nakng17
    @nakng17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너진똑 고마워요 독서의 동기부여 영상으로 소중하고 가치있는 영상 👍👍

  • @Mandurangsiche
    @Mandurangsiche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퍼즐을 맞출때 제자리에 딱 찾아 넣으면 기분이 좋고 글을 읽을땐 글을 읽는 시간동안 헤매이다가 딱 깨달아질때 느껴지는 글읽기만에 맛이 있는것 같아요 독서의 필요성을 찾았는데 사실 읽는 이유는 아는데 미루고 있던게 문제였던거 같아요 매력적인 책읽는 이유를 자주 접해서 열번중 한번이라도 책을 찾아 읽어가야겠습니다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user-ee9gc1mb9w
    @user-ee9gc1mb9w 15 วันที่ผ่านมา +2

    책좋아하는 입장에서 좋은영상이지만
    만약 자기가 책을 잘 못읽는다고 해도 자책할 필요는 없습니다. 요즘같은 도파민 폭발 시대에 책읽는게 절대 쉬운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안읽던사람이 갑자기 읽으려하면 엄청 힘들고 어려울 겁니다. 그래서 저는 추천하는게 절대 고전같은걸로 입문하지 마시고 쉽고 재밌는 웹소설, 그것도 안되면 만화책부터라도 보기 시작하시면 됩니다. 고전같은건 나중에 경험치 쌓고 읽으셔도 됩니다❤ 그러니 독서에 너무 부담가지지 마시고 내킬때마다 읽다보면 언젠가는 고전들도 정복 하실 수 있을겁니다❤

  • @user-gg5vf5ty2c
    @user-gg5vf5ty2c 19 วันที่ผ่านมา +3

    지금껏 책에 대한 맹신이 깊었던 사람인데요. 개인적으로 지식과 정보의 습득만을 위해서라면 책은 어쩌면 비효율적이지 않나 라는 생각을 종종합니다. 원래 책은 끝까지 읽어야 한다는 주의였는데 언제부터인가 필요한 부분만 읽게 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검색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동영상 같은 매체가 더 직관적이고 습득도 빠른 것 같습니다.
    책이 철저히 배제된 세상은 잘못되었지만 다른 매체에 비해서 경쟁력이 밀릴 수 밖에 없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인것 같습니다.

  • @address22
    @address22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

    나도 새로운 거 좋아해서 과학 수학 철학 종교 영화 음악 등 이것저것 많은 분야 파 봤지만, 독서만큼 재밌는 게 없다. 돌고 돌아 독서. 아무것도 안 하고 세상에 모든 책만 읽으면서 지내고 싶다.

  • @hhoo06
    @hhoo06 18 วันที่ผ่านมา

    한동안 너진똑 영상과 책을 볼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미뤄뒀는데 오랜만에 와도 어떤 영상을 보아도 여전히 유익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금 책을 읽고 싶어지게 만드는 영상이기도 하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xy8dh8jn1q
    @user-xy8dh8jn1q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도서 정가제가 사라졌으면 그나마 좋았을텐데...
    어차피 출판업계도 독자 늘릴생각은 포기하고 독점으로 수익 더 뽑으려 하고, 쓰레기책 양산하는걸로 테크 돌렸고
    정책결정 하시는 분들도 하겠다고 표팔이는 해도 실제 상황오면 업계인들의 성의와 의견을 존중하며 따라가는데
    업계인이든 정책결정자들이든 정말 독서인구를 늘릴 실질적인 생각은 없는게 아이러니죠...
    읽으면 좋은데... 개인으로썬 읽으면 좋은건 맞긴한데, 그런말을 들어도 속빈 강정으로 들리죠...
    통계 비틀어서 자기들 입맛좋게 언플하는데 하나하나 파해쳐보면 너무 정이 떨어져서
    그냥 원서랑 논문이랑 논문이나 책 정리해서 말해주는 사람들 찾아보게 되더라고요.
    책도 보려해도 넘 쓰레기 책이 넘쳐나서 내용을 아는 책 사는거 아니면 바보짓 됐고

  • @ihcoyf5677
    @ihcoyf5677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참고문헌 ㅎㄷㄷ 이렇게나 많은 책을 읽어야 이런 영상이 나오는군요!존경합니다!

  • @bottleacademy
    @bottleacademy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5

    오늘 영상도 있는 그대로 사랑해용

  • @LY-dz1st
    @LY-dz1st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문학을 읽는 것은 단 하나의 키워드나 문장을 경험하는 것이란 것에 정말 큰 공감을 합니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서사로 풀어내어지며 내게 스며드는 것은 단순 지식을 쌓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경험을 선사합니다.
    비문학과 문학 가릴 것 없이 책을 읽으며 이 책이 나에게 무엇을 알려주러고 하는걸까 사색하면서 독서하는 맛이 참 좋아요.
    이번에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with_qnx
    @with_qnx 16 วันที่ผ่านมา

    영상 절반 넘어서까지, 대체 글이 왜 더 좋다는 건지 이해하지 못했는데 바로 전복되어버렸다. 최고의 영상이다

  • @user-xu8cp9my2x
    @user-xu8cp9my2x 19 วันที่ผ่านมา

    스스로 뭔가를 이해하고 깨닫는다는 건 진짜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하는데, 방구석에 누워있다가도 그 어려운 걸 해낼 수 있게 해주는 채널.
    원숭이만도 못하게 침흘리면서 영상 내리다가 이 채널 영상만 보면 갑자기 사람되는 기분까지 듬
    뭔가 이 채널 영상들이 진짜 책을 읽을 때 처럼 뭔가 처음에 보기 망설여지는?
    하지만 막상 보면 너무 만족스러운..
    그런.. 다른 채널에는 없는 게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 영상을 보니까 왜 그랬는지 알것같음..
    생각을 하고 싶게 만듬
    난 머리 비우려고 생각없이 유튜브 들어왔는데 갑자기 인생 교훈을 얻게돼서 강제로 성숙해지니까 처음엔 그런 생각이 들었을 만도..
    영상들 하나하나의 의미가 워낙 깊어서 한 번 보고 나면 살아가면서 한 번쯤 ‘아 너진똑 채널에서 봤던 것중에 이런 게 있었는데’ 하면서 생각날 때가 있음
    편집 방식이 재밌기도 하고 깔끔해서 물 흐르듯 대충 생각하고 따라가면 영상이 진행되면서 하고싶은 말이 뭔지 점점 이해가 가는게 신기하기도 함
    와닿는 주제가 있으면 머리가 팽팽 회전하고, 감탄사가 연발하고, 마지막 대사가 나올 때 어쩔땐 소름까지 돋음..ㄷㄷ
    주구장창 문학만 읽던 내 집의 책장에 행복의 조건이라는 책이 꽂혀있게 만든 사람이 당신이야..
    다른 영상들로도 내 뇌가 아주 영양가 높은 식사를 했지만 그중에서도 ‘게으름 부수기’ 영상만큼 내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영상이 또 있을까 싶음
    게으름 하면 국가대표급인 내가 영상 보고나서
    ‘퇴근하고 링피트 켜서 워밍업 스트레칭 하기’ 목표를 세운 뒤로 재미붙여서 헬스장까지 등록하고 마음까지도 너무 건강해졌었음
    문학만 보는 방구석 오타쿠로써 이번 영상은 너무 고맙다 형ㅠ
    요즘 현생에 좀 소홀하긴 했는데 너진똑 영상보면서 다시 초심 찾아야겠다
    건강하게 영상 오래 만들어줘

  • @minhsm
    @minhsm 19 วันที่ผ่านมา

    너진똑님!
    덕분에 책을 좋아하게 됐어요.
    이전에 비해서 책을 선호하게 된 이유는 점점 이해하는 속도가 빨라져서. 이 부분이 제일 좋아요!
    영상은 모두가 같은 속도로 정보를 받아들이지만, 책은 읽을수록 점점 이해야는 속도가 빨라지더라고요 ㅋㅋ
    그래서 요즘은 뭔가 궁금한 게 있을 때, 영상 자료보다 글로 된 자료를 더 찾아보게 돼요!
    치트키 감사합니다!

  • @hill7920
    @hill7920 2 วันที่ผ่านมา

    보던중간에 그럼 영화만 봐도 비슷한거 아닌가? 했는데 정확히 집어주셨네요. 가끔 들리지만 들릴때마다 언제나 감탄하며 봅니다..

  • @YeongHaya
    @YeongHaya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책을 읽어야 이런 훌륭한 영상을 만들어 수많은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거죠... 댓글을 안달수가 없네요..ㅠㅠ 항상 감사합니다..! 빛과 소금같은 이 채널이 있어 참 다행이에요 늘 고뇌하고 설득하고따스함이 녹아있는 영상 잘 보고있어요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누군가는 너진똑님 영상 보고 삶이 달라질거에요 저는 이미 한 부분에서는 채워졌구요 ㅎㅎ ❤

  • @_AloneST_
    @_AloneST_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캐릭터 디자인이 조금 달라졌다 싶었더니 복장이 기존 녹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뀌었네요.
    그럼에도 너진똑님이 영상에서 말씀해 주셨다시피 본질을 알리기에 최적의 그릇인 '글'을 먼저 작성하시고 영상이라는 또 다른 그릇으로 옮긴 것에 불과하니.
    너진똑님의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예전 영상의 견해와 함께 이번 영상으로 예전 견해를 강화시킨 말씀의 본질은 디자인이 바뀌어도 변함없다고 생각합니다.
    책을 읽을 수 있게 도와줌과 동시에 책을 읽지 않더라도 깊은 사색을 할 수 있는 좋은 영상을 해석과 각색을 포함하여 다채롭게 만들어 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 @user-zl2cq1tc7c
    @user-zl2cq1tc7c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아악 업로드 기다리고있었어요!!!!

  • @back-hean
    @back-hean 19 วันที่ผ่านมา

    딱 1만명때의 독서 취미 영상으로 유입되어 100만명의 구독자가 있는 채널로 성장한 후 다시 보게되는 독서의 필요성에 관한 영상은 정말 감회가 깊네요. 항상 응원합니다

  • @user-in5hr5mi4m
    @user-in5hr5mi4m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

    저도 예전부터 독서를 취미로 만들고 싶고 종종 시도해왔는데요.
    저 같은 경우는 아무 내용의 책이나 읽으면 또 안 될 거 같아서 무슨 책을 읽어야 할지 엄청나게 고민만 하다가 막상 힘겹게 골라도 힘 다 빠져서 제대로 읽지도 못 한 채로 끝나더라고요
    그래서 각종 정부기관이나 단체들의 인증도서 수상도서 목록도 찾아보곤했는데 이것도 찾기만 하다가 거기서 끝났네요..
    게임마냥 길이 정해져있으면 차라리 접근성이 더 좋을텐데 독서를 시작한다는 건 자유도가 max에 가까우니 모든 선택지를 고려해보고 싶은 사람에겐 방황하기 딱 좋은 것 같아요.
    너진똑님 채널에 책 고르는 법 영상도 3년전이라 지금도 유효한 건 지 잘 모르겠어요.
    뭔가 제가 처음부터 쉽고 재밌고 잘 읽히고 유익하고 내용이 검증되어있고 ~~ 조건을 마구 따지니까 끝이 없네요.
    결국 독서를 취미로 만드는 건 사람마다 다 다른 방법이 있겠지만 저같이 처음부터 완벽하게 하려다가 책 한 권조차 끝을 못 보는 사람은 어떤 해결법이 있을 지 궁금하네요.
    뭐 비단 독서 뿐만이 아니라 무엇을 하든 간에 이런 식이다 보니 이게 제대로 살고있는건가 싶기도 하더라고요....
    무슨 이유든간에 책을 읽긴 읽어야겠는데 손에는 안 잡히고 ㅎㅎㅎ.. 첫술에 배부르려다가 아무것도 못 하는 케이스..
    어떻게든 읽어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다보면 시간이 흐르면서 어떻게든 굴러갈 수도 있겠는데 혹시 모를 작은 위협에 모든 가능성을 내팽겨치는 느낌이네요..
    한줄요약 : 인생 날먹하고싶다

    • @dart-king
      @dart-kin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고점 중독입니다. 인생도 TCG처럼 덱 맞추고 빌드 짜고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으니... 뭐 어느정도 인기 있는 책들은 뭘 읽든지 상관 없으니까 정말로 "아무거나"고르셔도 되고 정 결정을 못하겠으면 차라리 사다리타기로 정하는 것도 괜찮아요. 결국 좋은 책을 많이 읽으실거면 처음에 뭘 읽느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한 줄 요약:다이스 갓께 맡겨라.

  • @nyangnayngYUME
    @nyangnayngYUME 18 วันที่ผ่านมา

    너진똑님이랑 같은 시대에 태어나서 진짜 행복하다 ㅋㅋㅋㅋㅋ 매번 보는 내내 너무 재밌고 행복해요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bw4tv6ey1d
    @user-bw4tv6ey1d 21 วันที่ผ่านมา

    넙진똑 감탄하네 그동안 북튜버 중에 책그림 다으으로 두번째로 인정하는 채널인데 오늘 부터 너가 1등이다, 앞으로 힘내라

  • @user-xr3xp7qm1l
    @user-xr3xp7qm1l 11 วันที่ผ่านมา +1

    게임 스토리가 작위적인 클리셰에서 벗어난 참신한 경험을 제공해줘서 개인적으로 선호하는편입니다

  • @user-op9gg4tj8l
    @user-op9gg4tj8l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문학을 읽으면 읽을수록 그만큼 다른 작품도 더 쉽게 더 편하게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을 테니까!'
    '계속 계속 읽다 보면 언젠가 영화나 만화만큼 편하게 읽히는 순간이 옵니다'
    이 말 진짜 맞는 말임 문학은 한 번 보게 되면 자신도 모르게 빠져들게 하는 힘이 있어요

  • @Iapp-rg5oh
    @Iapp-rg5oh 16 วันที่ผ่านมา

    무심코 하나씩보는 영상들이 머리를 강타하는 느낌을 받게하네요 얼마전에 다시 바뀐 결혼관처럼 책에대한 마음가짐도 달리하게되었습니다.

  • @Hwangcity1894
    @Hwangcity189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오늘도 영상 넘 감사합니당
    혹시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제 인생작인데 소개해주실 생각 있나용?

  • @jhl5087
    @jhl5087 19 วันที่ผ่านมา

    주말마다 책을 읽는데 너진똑 영상이 도움된다는 말을 정말 맞는 말입니다. 영상을 본다고 책을 대체하진 못합니다. 다만 엄청 도움됩니다.

  • @user-hu4um9jq6r
    @user-hu4um9jq6r 16 วันที่ผ่านมา +1

    책읽는거 진짜 너무 힘듬..
    장점 많은거 알겠는데 나같은 경우는 결국 재밌어서가 아니라 장점얻으려 접근하다보니 2번째 공부같은 느낌을 받더라... 그것도 성과나 스펙이 눈에 띄지도 않는 공부
    농담안치고 문장 어렵게 꼬아놓은 책은 전공서적보다 재미없다고 느껴짐.
    독서가 고인물들의 취미가 되가는건 시간문제인거 같음
    장점같은거 어필 안해도 흥미느낄 취미나 컨텐츠들이 널리고 널려서..

  • @u-u6219
    @u-u6219 1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저는 교훈도 중요하지만 표현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문학도 나름의 예술로 보거든요. 영화든 애니든 문학이든 표현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과 쾌감이 있는거 같아요!

  • @user-zw3nj9eg9j
    @user-zw3nj9eg9j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

    항상 진짜 감사합니다

  • @freedomday7232
    @freedomday7232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lilyj2548
    @lilyj254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저희 어머니도 말을 논리적으로 잘하시고 특히 스토리텔링을 기가막히게 하세요 그리고 대학생때 글을 잘써서 교수님한테 칭찬도 받앗다고 하시는데 어렷을때 문학전집을 반복해서 읽으셧다고 합니다

  • @user-pc8yn5cm9o
    @user-pc8yn5cm9o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책 읽는거 또 이야기를 주고 받는게 가성비가 증말 좋은거같아요 인생 향유하는데
    아직 책읽으면서 변주가 어렵네요, 아직 그래픽카드가 힘겨운가봐여
    요즘 유투버 분들이 한국문학소설도 여럿 추천해주시더라고요 덕분에 찍먹해볼 생각이 들었어용 😊

  • @Violet-sl9ox
    @Violet-sl9ox 16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냥 전 책 읽으면서 '재밌다, 흥미롭다'까지만 생각하며 흥미때문에 읽던게 끝인줄 알았어요.
    근데 타인의 경험을 책이라는 매개체로 겪는다는 생각을 하니까 뭔가 느낌이 색다르네요.
    말로 표현하기는 제 어휘력이 부족하지만 책이란거에 더 관심이 가요
    영상을 보니 책이 더 읽고 싶어지네요! 저는 문학읽으러 갈게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wy5mx1so4h
    @user-wy5mx1so4h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너진똑님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알고리즘 뜨지 못해서 보지 못했다면 전 더 이상 문학의 가치에 데해 모를 번 했어요 감사합니다

  • @user-jh2id9bi1b
    @user-jh2id9bi1b 17 วันที่ผ่านมา

    너진똑님 우선 감사합니다!
    사실 너진똑님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간간히 보면서
    한편으로는 책을 읽으면 좋구나라고 생각하면서도 귀찮았어요.
    부끄럽지만 2년 정도는 쭉 너진똑님 영상과 더불어
    알고리즘을 통해 비슷한 영상을 보며
    모든 걸 깨달은 것 마냥 떠든 적도 있었습니다!
    그 뒤로 이런저런 일들을 겪은 후
    잡생각이 많아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너진똑님 영상 중
    가장 재밌게 봤던 사랑의 기술이란 책을 사봤고
    퇴근길 40분을 이용해 간간히 읽었습니다
    처음엔 집중이 전혀 되지 않아서 힘들었어요
    그래서 몇 자 읽다 포기한 날들도 있었고
    퇴근길이 40분인데도 불구하고 2장 정도만 읽은 적도 있었지만 완전히 그 내용을 이해하려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작가의 의도와 내용을 이해하면 이해할수록
    집중력이 높아지면서 너무 재밌고
    마음에 생기가 불어나는 느낌이 들었어요
    예전엔 너진똑님 영상만 보고 모든 걸 알게 된 느낌이었는데요..
    지금 책을 읽게 된 후에는 아직 내가 알지 못한 것들이 무궁무진하게 많구나 느끼고 앞으로 알게 될 이야기, 지식들에 너무 설레어요.
    지금은 책을 읽는 것이 취미가 되었습니다.
    퇴근길은 물론 휴무에도 취침 전에도 시간 날 때마다 읽고요ㅎㅎ
    이 영상을 보니 모두 너진똑님 덕분이었네요!
    다시 한번 정말 감사합니다
    은혜를 입은 구독자로서 앞으로도 쭉 너진똑님의 행보를 응원하고
    구독자님들이 문학을 즐길 수 있는 날이 올 때까지 저도 응원할게요
    파이릥🩷

  • @ahnhongseok
    @ahnhongseok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와..... 참고문헌 수..... 대박입니다.

  • @younmiii
    @younmiii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형 기다렷자나.. 🥹💕🥹💕

  • @carpromotion_
    @carpromotion_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글은 항상 본질을 챙길 수 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helter_Hisung
    @Shelter_Hisun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

    17:30 '본질'이 중요하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책을 구입해서 읽는 부담감도 정비례한다고 생각합니다.
    '책을 사서 읽는다'란 행위는 어찌보면 자기 자신에게 하는 일종의 '투자' 행위이므로
    그 끝이 허무함과 실망으로 끝나진 않을까 하는 공포를 사람들은 겪고 싶지 않은 거죠.
    문학과는 관련이 적은 내용이지만... '불쏘시개'라는 비유가 괜히 생긴 게 아니잖아요.
    16:30 영상에서 말씀하셨다시피 글은 누구나 쓸 수 있는 것이라서
    범죄자든, 정치인이든, 사기꾼이든 누구나 책을 써서 팔 수 있죠.
    그게 좋은 책인지 아닌지 '본질'을 판단하려면 책을 사서 읽어야 알 수 있는데
    그런 반감들이 점점 쌓이다보니 0:00 책을 사서 읽기 더 꺼려지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 @7hilly
    @7hilly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

    한달 기다렸어요..❤❤

  • @user-kx3vl4gx2c
    @user-kx3vl4gx2c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정리 끝판왕이네요 진짜

  • @duncedunce
    @duncedunce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요즘 책 읽기 좀 쉬고 있었는데... 다시 책 읽고 싶게 만드시네요

  • @user-uv2sp5gx5l
    @user-uv2sp5gx5l 1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xjtmqn
    @xjtmq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책만큼 깊게 몰입할 수 있는 매체가 없는 것 같아요
    같은 작품을 영화, 책 두 갈래로 봐도 결국 책으로 본 게 가장 기억에 남더라구요
    물론 게임이나 애니 영화 좋은 작품들 정말 많지만 간접 경험으로써 책만큼 좋은 매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user-fy6gc8kt4x
    @user-fy6gc8kt4x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안녕하십니까 너진똑 선생님.
    이번에 선생님께서 올려주신
    '문학을 읽어야 하는 '진짜' 이유'
    라는 영상을 보았습니다.
    정말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이렇게 좋고 귀한 영상 올려주셔서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특히 '문학(글)의 장점' 을 설명해주시는
    대목에서는 정말 멋졌습니다.
    그 이유 하나하나가 정말 타당하고 진실되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그리고
    '결국 중요한 것은 본질이다' 라고 말해주셨을 때는 정말 감사한 마음도 들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게임, 만화' 같은 상에 치우쳐 소중한 교훈들을 등지는 것을 적지 않게 보며 아쉽다는 생각이 자주 들었는데 너진똑 선생님이 '본질' 에 대해 이야기 해주셔서 정말 감사한 마음입니다.
    그런데 염치불구하고 한 가지 의문점이 들어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너진똑 선생님께서 12:06
    '좋은 게임, 좋은 애니를 보면 된다' 고 하신 말씀에 대한 것입니다.
    '좋은 게임, 좋은 애니' 란 정해져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더 나아가서 '좋은 게임, 좋은 애니' 가 그 작품에 제작자가 의도하여 담아둔 교훈, 의미에만 따라 정해지는 것인지
    독자(시청자, 유저, 이용자 등등 소비자)가 어떤 작품을 보고 교훈을 얻었다면 그것은 '좋은 작품' 이 될 수 있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조금 다듬어 보자면
    1. '좋은 작품' 이란 '만드는 자(작가, 유튜버 등)'만에 의해 정해지는지 아니라면 '보는 자(독자, 시청자 등)'가 느끼고 얻은 바에 따라서도 정해질 수 있는지
    2. 작품의 '본질'은 이용자가 느낀 바와 무관하게 변화하지 않는 고정된 것인지
    3. 시청자A가 작품B를 보고 교훈을 얻었고 시청자C는 얻지 못했다면 작품B는 '의미, 교훈, 문학적 가치' 를 가지는지 (단, 작품B는 유희를 위해 만들어진 게임 또는 소설.). 일반적으로 작품B가 그 가치를 가지지 못한다면 시청자A에 한해서 '가치'를 가지는 것인지
    ..가 궁금하여 너진똑님께 실례를 무릅쓰고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문장이 좀 지저분한 것 같아 죄송합니다.
    다시 한번 정말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기고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user-sb5iy9hw4c
    @user-sb5iy9hw4c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앞에서 솔직하게 말하고 뒤에서 진정한 독서의 장점들을 쉽게 설명하시는거 보고 감명 깊었습니다.

  • @MarangJo
    @MarangJo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

    책을 사서 읽게하려면 책통법.. 아니 도서정가제 부터 폐지해야죠.. 저도 책 비용 부담이 늘어난 이후엔 밀리의 서재나 도서관으로 때우게 되어서 아무래도 그 이전보단 훨씬 덜 읽게 되더라구요. 독서가 가난한 사람들이 접하기엔 사치스러운 취미가 되어버린 느낌

  • @prontoperthought5312
    @prontoperthought5312 3 วันที่ผ่านมา

    영화와 게임(너진똑 포함!)등은 창작에 들어가는 시간이 많은 대신 창작자가 생각하는 바를 정확히 직관적으로 받아드리기 쉽다.
    단점으로는 무수히 이해할 수 있는 본질의 넓은 범위를 제한 할 수 있다.
    문학은 글로써 본질을 표현하여 독자로 하여금 여러 생각과 이해를 가능케하지만, 그만큼 뇌를 많이쓰는 생각을 해야한다! 라고 이해할 수도 있겠네요!!
    너진똑님 오늘도 영상 잘 보았습니다! 올 여름 덥던데 무탈하시길 바라요! 감사합니다~

  • @user-ns2ll2id1q
    @user-ns2ll2id1q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기다렸다우....

  • @user-rn7dp6ek1b
    @user-rn7dp6ek1b 11 วันที่ผ่านมา

    형님 요즘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 +시간 나실 때 칸트도 다루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 @user-kr3uq6yi8w
    @user-kr3uq6yi8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문학은 성인이 되고나서 멀리하던 저인데 너진똑 영상들을 계기로 지금은 여러 고전들을 츄라이하고 있습니다! 안읽었으면 인생이 너무 아까울뻔 했어요 감사합니다 너진똑 📚❤️

    • @NJT_BOOK
      @NJT_BOOK  20 วันที่ผ่านมา

      헉 감사드립니다!!!!

  • @lovebolte6
    @lovebolte6 19 วันที่ผ่านมา

    우리집아이들에게 공유합니다!!! 책을 읽어야하는 이유를 정말 잘 설명해주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gerong._.
    @gerong._. 17 วันที่ผ่านมา

    아니 마침 국어 주제로 주장하는 글쓰기 주제인데 이런 너무 짱 최고 영상이 올라오다니?!

  • @user-qo8xz4qq3w
    @user-qo8xz4qq3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전 주변에 문학읽는사람이 없어서 혼자 외롭게(?)읽는데 너진똑님 영상보면서 같이 책읽는 친구가 생긴것같아서 좋아용

  • @back_roomcat
    @back_roomcat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저도 어릴땐 책을 나름 읽었던 거 같은데 나이를 먹어가며 멀리하게 된거 같아요 그러다 장애가 생기고 삶이 바뀌면서 조금씩 조금씩 다시 도전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제 이야기로 유튜브를 하면서 요즘 언어적 감각이 부족함을 느껴 독서의 중요함을 새삼 다시 느끼고 있습니다.

  • @user-xw9sp8ql1v
    @user-xw9sp8ql1v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애정합니다 진똑행님🤩

  • @etebookstory
    @etebookstory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이렇게 와닿게 잘 설명하신 분은 처음 봅니다. 거의 논문급 훌륭한 설명입니다. 글 쓰는 사람으로서 사명감을 더욱 크게 느낍니다. 글 쓰기 싫어서 유튜브 들어왔다가, 듣다보니 시간 순삭 스틸당했네요. 이제 글 쓰러 가야 겠습니다. ㅎㅎ(아 쓰기 싫다.. ㅋㅋ)

  • @OIziOIzi
    @OIziOIzi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요즘 책에 재미를 조금씩 붙이고 시간 날때마다 독서하고 있습니다 너진똑님 덕분에 이렇게 독서의 참맛을 알 수 있어서 기쁩니다
    감사합니닷!!

  • @hanchan_818
    @hanchan_81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그림이 너무 귀여워요~

  • @dot.g
    @dot.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

    요즘같은 도파민 시대에 블로그 리뷰도 읽기 귀찮아져서 글 자체가 눈에 안들어오기도하는데
    사람들이 교보문고 의자에 앉아 소설이든 시집이든 고전문학이든 골라
    여유를 즐겨보는 행복을 많이 느껴보셨으면하는 바램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소설 람세스 좋아합니다

    • @moones2012
      @moones2012 17 วันที่ผ่านมา

      헐 저도 람세스 좋아해요... 신비한 묘사가 맘에 들어요

  • @jacksonlee1181
    @jacksonlee1181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뭐여 5만때 구독했는데 영상보다 100만 넘는다 해서 깜짝 놀라서 구독자 수 봤네 ㄷㄷ 성공하셨네요

  • @titacan3237
    @titacan3237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정보전달 책은 ’물이 끓는 주전자에 손을 대면 뜨겁다‘ 와 같은 정보를 주지만 문학은 정말 손을 댄 것 같은 깊은 간접 경험을 이끌어내어 생각에 더 깊은 뿌리를 내리는 것 같아요. 깊게 느낀 정보는 일상생활에서 더 쉽게 그 기억을 이끌어내죠.
    물론 영상매체도 간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문자를 직접 시각화하는 과정이 더 깊은 몰입을 이끌어낸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