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Heidegger)의 숨겨진 출처 : 노자(老子)의 철학과 아시아적 사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8 มิ.ย. 2024
  • #하이데거 그리고 #노자 이 두 사상가의 사유 체계 속에서 발견되는 공통점.
    여기에 주목한 현대의 학자들이 펼치는 비교 분석론과, 하이데거가 노자를 활용하여 서양 형이상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던 내용을 가볍게 다루는 강의입니다.
    00:00 인트로
    02:38 노자의 '도', 하이데거의 '존재'
    05:14 언어로 규정할 수 없는 '도'
    08:21 언어로 규정할 수 없는 '존재'
    14:55 하이데거의 아시아적 사유, 그리고 숨겨진 노자
    17:28 노자와 하이데거의 차이점
    20:28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7

  • @philosophy1
    @philosophy1  ปีที่แล้ว +17

    M. Heidegger의 전기 사유를 대표하는 ⟪존재와 시간⟫에 대한 기초 강의는 th-cam.com/video/2DR_vtocbaI/w-d-xo.html를 통해서 만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Cokeflavorgummy
    @Cokeflavorgummy ปีที่แล้ว +33

    도대체가 20분짜리 영상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수고를 들이시는 겁니까... 감사합니다.

    • @Ace-kv3qj
      @Ace-kv3qj ปีที่แล้ว +6

      진짜 강의에 학문에 대한 정성과 구독자를 향한 정성이 보는 내내 느껴집니다 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 @user-cw2ns2ef5j
      @user-cw2ns2ef5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은 외주 아닌가요?

  • @kanghunahn5839
    @kanghunahn5839 ปีที่แล้ว +17

    정말 제대로 공부하시는 분이다
    철학사 전공자로서 이분 영상은 믿고 봄

  • @user-xj6ju8vu6q
    @user-xj6ju8vu6q ปีที่แล้ว +11

    하이데거는 대체 무슨 얘기인지 전혀 이해를 못했었는데,
    노자사상과 비교하니 어렴풋하게 나마 처음으로 이해를 해보네요!
    너무 기쁩니다 ㅎㅎ

  • @klogos2282
    @klogos2282 ปีที่แล้ว +19

    강의 정말 압권입니다!
    있는 것에 집중하느라 없음에 대한 사유가 빈곤했던 서양철학의 전통을 의식한 하이데거가 노자를 비롯한 아시아적 사유를 통해
    그 한계를 극복하려고 했다는 견해가 정말 흥미롭네요.
    라인하르트 메이의 책 제목도 참 인상적입니다.
    숨겨진 근원이라는 거...
    하이데거가 분명 수준 높은 존재론을 펼쳤지만 학자로서 비판받아야 하는 면도 가지고 있었다는 지적에 큰 공감을 가지게 되는데요.
    다음에는 노자 초간본에 대한 강의도 기대하겠습니다. 꼭 심층 강의로 다뤄주세요~!!!
    감사합니다.

  • @superid1205
    @superid1205 ปีที่แล้ว +9

    양자역학에서 양자는 관측되기 전까지 파동의 형태로 존재하고, 관측했을 때는 입자가 되어 물질로 관측되는데, 하이데거의 존재가 양자의 파동 형태로 보이고 존재자가 양자의 입자로 여겨지네요. 노자의 있음과 없음이 함께 존재한다는 말 또한 양자역학에서의 중첩의 현상과 비슷하게 느껴지고요. 재미있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Cosmicsinger
      @Cosmicsinger ปีที่แล้ว

      아니 현대물리학이 우주의 생성근원 원리를 밝히려고 하는데 그 옛날에는 다들 철학자들이 뭐 우주의 생성원리를 얘기를 해놨잖아요 그러니까 어차피 물리학이 발달해온건 서양에서인데 서양철학의 전통에선 자꾸 기독교와 과학이 대립되는 현상이 되다 보니 양자역학에서 발견할 걸 갖고 설명이 안되니 자꾸 옛날의 사상에서 비슷한 걸 찾아서 이게 맞지 않나, 하는 거죠. 그러니까 신이라는 절대존재 말고 자연과 동화되어 있는 인간 우주와 개별인간을 구분하지 않는 이런 그들눈에 '미개하게' 봤던 동양의 사상이 사실은 옳은 거 아니었냐 이런 얘기를 하는 거죠 근데 사실 동양인인 우리는 이미 익숙한 개념이잖아요 양자역학이 뭔얘기를 하던지 간에 그들이 막다른 길에 부딪혀서 자꾸 동양에서 대안을 찾는 그런 트렌드에 우리의 기분까지 붕 뜨는 것은 정말 주객전도라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따지고 보면 이미 몇천년 전에 내놓은 답이고, 그것과 상관없이 과학과 진보를 위해 서양이 길을 내놓은대로 우리는 무력에 의해 따라갈 수밖에 없었고 이제 몇천년만에 그 시대가 막다른 길에 온 것뿐이잖아요.

  • @cigocy1146
    @cigocy1146 ปีที่แล้ว +16

    강의를 참 쉽고 잘하는 분이네요
    다른 채널은 주절주절 이해도 못하고 떠들던데,
    이곳은 핵심을 바늘로 찌르는 강의를 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hx2ri9mr4h
    @user-hx2ri9mr4h ปีที่แล้ว +5

    님의 노고 덕분에 이렇듯 다양한 주제를 집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니 정말 고맙습니다.♡☆

  • @user-yn8bv3tq3s
    @user-yn8bv3tq3s ปีที่แล้ว +6

    공들여 많든 영상 잘 봤습니다. 솔직히 이번 편은 쉽지 않네요. 내일 한번 더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user-ky2hm6vo6k
    @user-ky2hm6vo6k ปีที่แล้ว +10

    오늘 강의 잘 들었습니다.
    다음 강의도 기대하면서~~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응원합니다

  • @aphilos262
    @aphilos262 ปีที่แล้ว +5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통해 늘 있을 거라고 여기는 태도 이면에 자리한 존재를 보게되듯이 유무상생의 논리를 전개하는 통행본 노자의 사상을 통해서도 비슷한 경험을 하게 되는군요. 정말 그 유사한 성격에 놀라게됩니다. 동양철학 서양철학 할 것 없이 열린 자세로 공부하고 그 필요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말씀 참 좋은 말씀입니다~

  • @user-ip3kj2wo5u
    @user-ip3kj2wo5u ปีที่แล้ว +12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이보다 더 쉽게 설명하기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wj3ud7lv5n
    @user-wj3ud7lv5n ปีที่แล้ว +5

    하이데거 철학 사상과 나치의 관계성에 대해서도 한 번 짚고 넘어가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양주 위아주의 영상에서 한 번 언급했던 묵자 묵가 사상에 대해서도 제대로 한 번 다뤄주시면 좋겠습니다.

  • @user-yf1md1ih3e
    @user-yf1md1ih3e ปีที่แล้ว +24

    무와 유가 단절된 두 극단이 아니라 서로의 존재 배경이 되어준다는 노자의 철학 정말 인상적입니다. 그리고 한세기 전에 이런 노자철학을 공부하면서 새로운 존재론을 구상하려고 한 하이데거 또한 인상적이네요. 수준 높은 강의 감사합니다.👍

  • @carpediem8193
    @carpediem8193 ปีที่แล้ว +8

    늘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user-if1mn5pi5t
    @user-if1mn5pi5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노자 도덕경 읽느라 엄청 고생했었는데 고품격 강. . 사랑합니다 정말. .

  • @yeonggillkim4427
    @yeonggillkim442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 쉽고 명료하게 노자의 언어로 하이데거의 맥을 집어주는 보기더문 명강입니다. 최고...

  • @yogilmyway
    @yogilmyway ปีที่แล้ว +2

    차이점 보다는 유사점이 너무나 크네요.
    선생님 강의는 참 재밌습니다. 적절한 비유가 있기 때문인 것 같아요. TV를 예로 드니 이해가 쉽더라고요.
    오늘도 잘 듣고 갑니다.

  • @user-zu7nu7ip8e
    @user-zu7nu7ip8e ปีที่แล้ว +6

    이 주제를 기다렸습니다, 고 김형효선생님도 반가워하셨을 겁니다ㅎㅎㅎ

  • @user-mf5zs6tg4q
    @user-mf5zs6tg4q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강의 재미 있게 잘 보았습니다. 어려운 주제를 입문자들을 위해 참 재미 있게 잘 강의하시네요.^^❤❤❤❤❤❤❤

  • @sharonjo8787
    @sharonjo8787 ปีที่แล้ว +10

    하이데거가 자기 연구실에 걸어두었다는 노자 15장의 그 두 구절 저도 노트에 적어놓으려구요.
    정말 인상적입니다!

  • @user-ok7nl2jy2w
    @user-ok7nl2jy2w ปีที่แล้ว +10

    해덕격이! 서양어를 중국식으로 발음하는거 정말 재밌습니다~ 데카르트는 덕하일토 쯤 되려나..ㅋㅋ. 강의 감사합니다. 다시 차분히 다른 부분도 살펴 보겠습니다.

  • @ays2693
    @ays2693 ปีที่แล้ว +6

    노자와 하이데거의 관련성에 대한 강의 감사합니다.
    '도'를 실체화 하지 않은 노자는 비실체적 전통이 강한 중국철학적 문화에서 태어났기에 그리 큰 특징은 아닐 수 있지만
    실체화를 잘하는 서양철학에서 하이데거가 비실체적 논의를 펼쳤다는 점은 분명 주목해볼만한 요소가 되네요.
    존재자의 근원으로 놓여 있는 존재를 언어로 규정할 수 없다는 것과 그렇게 개념 규정이 불가하므로 설명이 쉽지 않다는 점은
    노자의 도가도비상도, 선불교의 불립문자 등등과 상통하는 듯보입니다.
    하이데거가 영향 받은 숨겨진 출처로서의 노자 외데도 분명 불교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음에 기회가 될 때는 하이데거와 불교에 대한 강의도 꼭 부탁드리겠습니다.
    덕분에 서양철학과 동양철학 어느 쪽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하게 배울 수 있어서 참 좋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vivianakwon4205
    @vivianakwon4205 ปีที่แล้ว +2

    정말 멋진 강의입니다. 👍
    관념과 사고에 갇혀있지 않도록 잘 배우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 @Garden577
    @Garden577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일목요연. 강의마다 팍팍 정리가 되네요. 제공하시는 그 큰 틀속 에서 내 나름의 세부적 지식 추가하는 과정 즐겁습니다.

  • @TheGoodlebang
    @TheGoodlebang ปีที่แล้ว +7

    이런 강의를 처음으로 듣게 되다니....

  • @user-hl5il8ul9t
    @user-hl5il8ul9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균열, 죽음, 무에 대한 자각이 진정 중요한 것 같아요.

  • @schadencrow5488
    @schadencrow5488 ปีที่แล้ว +4

    오 최고다. 잘봤습니다.

  • @minsokmu
    @minsokmu ปีที่แล้ว +3

    학문을 하는데 요긴한 것을 잘 정리해서 알려주시니 매우 좋습니다. 철학을 전공하지 않는 학문에서 철학적 개념을 잘 알고 연구와 사색에 응용한다면 우리나라 학문도 업그레이드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user-pc7cp9vr4f
    @user-pc7cp9vr4f 12 วันที่ผ่านมา

    존재와 도의 차이점과 같은 점을 쉽게 설명해 주어서 감사합니다.

  • @monokura77
    @monokura77 ปีที่แล้ว +2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 @user-hl5il8ul9t
    @user-hl5il8ul9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선생님 강의를 통해 철학에 입문합니다!

  • @user-ie4vt8xz5q
    @user-ie4vt8xz5q ปีที่แล้ว +3

    С удовольствием послушала 👍

  • @user-ab5cd6ef5g
    @user-ab5cd6ef5g ปีที่แล้ว +3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v-py119
    @tv-py119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예쁜 인연 맺고 싶어서 멋진 채널 다녀갑니다 ❤

  • @pbsanhang
    @pbsanha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익한 강의 감사해요 !

  • @user-nf6vk3hz7z
    @user-nf6vk3hz7z ปีที่แล้ว

    정말 설명 잘해주신다ㄷㄷ 이해가 쏙쏙되네요. 많은도움 감사합니다

  • @not_doing_but_being
    @not_doing_but_being ปีที่แล้ว +4

    하이데거보다 700여년 전에 무를 논한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사상이 더 궁금하네요.

  • @ubermensch1004
    @ubermensch1004 ปีที่แล้ว +5

    감사합니다!! 선생님!! 건강하세요!!

  • @ddiraiaiai
    @ddiraiaiai ปีที่แล้ว

    20:42 무위자연에 대한 일반적 해석의 오류에 대해서 잘말해주셔서 감사합니당

  • @Cosmicsinger
    @Cosmicsinger ปีที่แล้ว +2

    사람이 지금 하는일에 너무 몰두해서 그 본질을 잊어버리고 자기자신도 잊어버리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서술하며 본질을 잊어서는 안된다 라고 하는 부분이, 불교의 부처님의 가르침 중에 그 오감에서 오는 욕망에서 자유로워져야한다는 가르침하고 거의 똑같네요. 그 생년을 다시 찾아보니 노자 BC 571 -> 부처님 BC 564 -> 공자 BC 561 로 나오는데 뭐 얼마나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완전 동시대 사람들.....

  • @you-love-me.10
    @you-love-me.1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보았습니다 ~

  • @thetreeonthefield
    @thetreeonthefield 21 วันที่ผ่านมา

    훌륭하십니다 혜능선사가 일찍이 말했죠 본래무일믈이다 즉 본래 하나의 물건도 없다 공이라고도 하고 허라고도 하며 무라고도 할 수 있겠죠

  • @syrdaum
    @syrdaum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angel9526
    @angel9526 ปีที่แล้ว +1

    결국 현대 철학이나 사상 또 과학은 하나의 진실로 수렴하는데 그게 노자사상과 불교라는 생각이 든다. 대단하다. 2500년전 고따마 싯다르타...

  • @lhi2745
    @lhi2745 ปีที่แล้ว

    당장 눈에보이는 확실한 결과 에만 집착 하는것이 얼마나 교묘하고 황홀한듯 인간의 시야를 가리게하는지, 마치 손바닦으로 해를가린다는 말의 근원 인것 처럼 느껴질정도의 이치네요

  • @user-yn8bv3tq3s
    @user-yn8bv3tq3s ปีที่แล้ว +1

    두번 보니까 내용이 조금 들어오네요. 무, 존재, 도, 이러한 개념이 어렵긴 하지만 자신의 삶에 너무 몰입 돼서 힘든 시기에, 주의 환기를 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thetreeonthefield
    @thetreeonthefield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제법실상이든 물자체든 아니면 실재든 아니면 존재든 그걸 인식하는건 너무도 어려운 일이겠죠 평범한 사람들한테는

  • @ahyoungchung6868
    @ahyoungchung6868 ปีที่แล้ว +1

    시간과 공간은 서양철학에서 매우 중요하고 시공간을 초월한 절대적 진리가 뭔가를 탐구하는 것이 서양철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노자는 시간과 공간은 변화로 보고 거기에는 절대적인 것이 있을 수 없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도가도비상도, 명가명비상명이다. 하이데거의 존재는 결국 서양철학에서 보이는 매우 다양한 절대적 진리의 한 가지 표현이 아닐까.... 두사상의 공통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하이데거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노자를 좀 이상하게 인용한 것이 아닌가 한다.
    도는 허무한 것이 아니라 자연의 법칙이고 유는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다. 유는 인간의 욕심이 만들어 낸 작품 (유위) 이니 뭘 하던 항상 자연의 원리(도, 무위)기준돼어야 한다고 한다. 즉 노자 사상은 노자사상대로, 서양사상대로 존재하는 것이 무위이고 이를 억지로 연관시키는 것이 유위가 아닐까한다.
    노자 사상은 동서고금을 초월한 가장 심오한 철학이다. 처세론과는 거리가 멀다. 장자가 노자 사항을 처세론으로 발전시켰다고 보면 무난 할 것 같아.

    • @klogos2282
      @klogos2282 ปีที่แล้ว +3

      서양철학에서도 헤라클레이토스를 비롯한 변화와 생성에 대한 사유를 추구했던 사상가들이 있었지만 비주류에 속했고, 파르메니데스의 존재론을 계승한 플라톤이 주류가 되면서 서양철학은 절대자에 대한 사유나 초월론으로 급격히 기울어졌다고 봅니다. 이 강의에서도 지빛님이 예시로 든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와 같은 사상가는 비주류였다고 하셨으니까요.
      하이데거는 이러한 비주류 라인에 주목했고 사실 이는 현대철학에서 질 들뢰즈와 같은 인물들에게서도 비슷하게 보여지는 현상이기도 하죠. 아웃사이더였던 니체에 주목했던 것도 하이데거, 푸코, 들뢰즈 등등이었으니까요.
      이렇게 하이데거는 플라톤 전통의 형이상학의 한계를 깨기 위해 고대 그리스의 시원적 사유에 주목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아시아의 여러 사상들, 대표적으노 노장과 불교에 주목했던 것인데 이 강의에 나오는 내용처럼 그 출처를 너무 안 밝혔다는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노자가 동서고금을 초월한 가장 심오한 철학이라는 말씀에는 반론의 여지도 많고, 다르게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거예요. 다만 노자의 사유 속에는 분명 서양의 형이상학이 부딪혔던 있음에 대한 사유를 극복하게 해줄 순환론적 사유가 들어있다는 점에서 시대를 앞서간 사상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 @davidlee3368
    @davidlee3368 ปีที่แล้ว +1

    모아서 책 내주세요

  • @angel9526
    @angel952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불교적 세계관은 알수록 놀랍군요...

  • @TheBackHug
    @TheBackHug ปีที่แล้ว +1

    도를 아십니까

  • @user-pq2jv8vz1n
    @user-pq2jv8vz1n ปีที่แล้ว

    존재는 존재자들을 보는 관점입니까?

  • @easycoaching
    @easycoaching ปีที่แล้ว +1

    어려운 내용을 너무 빨리 주셔서 이해가 어렵습니다. 좀 느리게 한번 더 자세하게 강의 부탁드립니다

    • @Ace-kv3qj
      @Ace-kv3qj ปีที่แล้ว +3

      저는 세번 보니 놓치고 지나간부분 이해가 더 잘되는듯요 철학강의는 볼때마다 다른것들이 보이네요~

  • @dschai0220
    @dschai022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노자 도덕경은 음양입니다. 도는 양의 대표 개념이고 명은 음의 대표 개념입니다. 도나 명은 문장 안에 있는 것이지 멀리 있지 않습니다.

    • @KK-mx3iz
      @KK-mx3i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여기서는 좀 다른 똥을 싸고 갔네..그래도 똥은 똥이다.

    • @dschai0220
      @dschai022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K-mx3iz 도나 명은 다 수학으로 증명돼. 수학으로 거짓말 가능하나?

    • @KK-mx3iz
      @KK-mx3iz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schai0220 수학의 뜻은 알어?
      ''똥식이는 절대 접근할 수 없는 전우주적 영역'' 이란 뜻이야..

    • @dschai0220
      @dschai022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K-mx3iz 수학은 연산이야.ㅉ 도덕경이 연산으로 쓰여진 거라고.

    • @dorianfa4209
      @dorianfa420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dschai0220도덕경은 연산이 아니라 자응하면서 쓰여진거야.
      그래서 도덕경 = 현자타임경이라고 불리는거다. 공부좀 더 해라.

  • @Pocari413
    @Pocari41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 식으로면 하이데거가 뭔들 출처로 안 삼았겠냐..그냥 대애충 논문 몇 편 줍줍해서 대충 이어주면 출처 완성 ㅋㅋ..영상들 보니까 대충 사람들 관심을 끌 만한 '서양과 동양' 컨셉에 맞게 영상 제작하던데 양심껏 합시다

    • @pomni8696
      @pomni869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거짓말이 있기나 하나 각자의 관점이지 ㅋㅋ 본인 인생이나 보세요 똥이나 싸지르고 다니지말고~

  • @framedriven2123
    @framedriven212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를 잘못 해석하시네요.
    도는 모습없는 것을 불교의 공을 가르키는 것으로 압니다.
    금강경 사구게 모습을 모습 아닌 것으로 보면 여래를 본가에서 모습 아닌 것을 도라고 생각합니다.

  • @geunhongkim6971
    @geunhongkim6971 ปีที่แล้ว +1

    선생님의 훌륭한 강의에 감사합니다만 독일의 최남선, 하이데거. 히틀러의 군국주의에 글로 끊임없이 딸랑거린 것을 아산다면...절대 선생님의 훌륭한 강의에 딴지거는 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 @klogos2282
      @klogos2282 ปีที่แล้ว +5

      이 강의 마지막에서 지혜의 빛님도 하이데거의 친나치 행적에 대해 특별히 따로 강의를 해주실 거라고 하셨죠.
      하이데거가 인성까지 좋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그의 철학을 접할 때마다 늘 생각나더라구요.

  • @byoroo
    @byoroo ปีที่แล้ว

    응? 본래무일물?

  • @shin7370
    @shin7370 ปีที่แล้ว +1

    하이데거 재섭서 저거는 노자꺼 베낀거 틀림 없다. 스승인 후설도 배신하더니...역시 생긴게 뚱뚱한 히틀러넹. 야스퍼스 왕따시키고...생각하는 능력은 좋을지 몰라도 인성은 영...근데, 인성 안좋은데 철학적 업적이 타당할까?

    • @pomni8696
      @pomni869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해나 하고 말하는건지;

    • @Wewewer
      @Wewewer 16 วันที่ผ่านมา

      @@pomni8696 후설을 배신한 것은 사실입니다. 후설은 유태인이었고 하이데거는 나치 당원이었기 때문입니다. 한때는 하이데거가 소극적으로 나치에 가담했다고 알고 있으나 현재는 꽤 적극적이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 @chanyoungpark6991
    @chanyoungpark6991 ปีที่แล้ว +3

    실존 = 도, 라고도 할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