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과 사후세계의 관념에 대한 초기불교의 입장_강성용교수의 일요특강(대한불교조계종 전국비구니회) 2023.2.19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8 ก.พ. 2023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38

  • @ekghdclak
    @ekghdclak ปีที่แล้ว +67

    저는 종교텍스트에 대한 역사적관점의 해석을 좋아합니다. 이분은 그런객관적 관점에다 겸손함과 배려심까지 갖추신분이라 더욱 감사드립니다.

    • @user-yn5dc3eu3s
      @user-yn5dc3eu3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ㅁ😊ㅁ😊😊😊😊😊😊😊😊😊😊

  • @user-pg3im3nf5d
    @user-pg3im3nf5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강성용 교수님 팬입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책도 많이보고 사유도 많이 했지만 학자로서 종교를 쉽게 한큐에 꿰뚫어 설명해주시는 선생님은 교수님 뿐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수업은 저의 복입니다.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시고 바라시는거 모두모두 평안히 이루세요.

  • @ojayu
    @ojayu 3 วันที่ผ่านมา

    이렇게 명확하고 쉽게 설명을 할 수 있나. 존경합니다.

  • @user-ue5pd8qd8y
    @user-ue5pd8qd8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이렇게좋은강의를
    내손안의 폰으로
    쉽게 들을수있는이시대에 살고있음을 너무고맙고 감사할 뿐입니다ㆍ
    교수님 ㆍ고맙습니다

  • @misayang3784
    @misayang3784 ปีที่แล้ว +112

    강성용 교수님 강의를 찾아 여기까지 왔네요

    • @_NakTa
      @_NakTa ปีที่แล้ว +14

      갓성용

    • @user-pi9gt3uy1l
      @user-pi9gt3uy1l ปีที่แล้ว +10

      저두요😊

    • @miyoungchoi4215
      @miyoungchoi4215 ปีที่แล้ว +9

      저두요😅

    • @user-lw8pv2wu2c
      @user-lw8pv2wu2c ปีที่แล้ว +9

      저 같은분들이 있어 반갑습니다.😊😊😊

    • @user-bq4vp8gk1o
      @user-bq4vp8gk1o ปีที่แล้ว +6

      맞아요 서울대 가고싶다

  • @user-bl1my7ro4m
    @user-bl1my7ro4m ปีที่แล้ว +20

    너무 어렵습니다;;; 그런데 재미있습니다^^ 여러 번 봐야겠습니다. 다시 한번 인간은 '상상과 기억'의 동물, '기억과 상상'의 존재라는 생각이 드네요.

  • @user-uv6gi9py4k
    @user-uv6gi9py4k ปีที่แล้ว +46

    국보급 교수님~~~

  • @user-jg6qx6rv1l
    @user-jg6qx6rv1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2500년전 붓다의 설법을 21세기 한국인에게 딱 맞게 설명하시는 강성용교수님 강의 감동입니다.

  • @user-vu2zg7tb4c
    @user-vu2zg7tb4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이분의 강의가 너무 짧은 것들만 있어서 아쉬웠는데 이럴수가. 거의 2시간에 달하는 강의가!!! 너무 좋습니다.
    불교에 관심이 많은데 하나같이 탐진치에 인도->중국을 통해서 들어와서 뜻음자가 바뀐거 말고 진짜 원래 초기에는 어떤식일지 너무 궁금했었거든요.

  • @user-kc1yp1hj3k
    @user-kc1yp1hj3k 16 วันที่ผ่านมา +3

    역동적이고 지적으로 성실한 강의
    감사합니다.
    몇년전에 한강의 하고 마신 우파니샤드 강의
    더 부탁드리는건 염치가 없겠지요 ㅎㅎ
    어쨌든 너무 즐겁고 충실한 강의 였습니다.

  • @hoh53
    @hoh53 ปีที่แล้ว +48

    붓다의 가르침이 2,600년이 흐르면서 얼마나 왜곡되고 멋대로 덧칠되었는지..
    절에서 스님들이 하는 법문들이 왜 이해가 안되고 각자 중구난방인지, 그 이유를 강성용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알게 되었네요.
    교수님의 불교 강의 더 듣고 싶습니다. 불교방송의 수많은 경전강의보다 더 와닿네요.

    • @mahakala2258
      @mahakala2258 ปีที่แล้ว +2

      왜곡되지 않았습니다. 정수는 아직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변질된 것처럼 보이는 건 외형이지 본 모습은 그대로입니다. 아직 불교는 사바세계에 머물고 있습니다.
      화장세계, 각 시대별 불교 핵심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종국에 화엄세계에 도달할 것입니다. 바로 amrti, nirvana에요.

    • @user-pu5rz8lv4v
      @user-pu5rz8lv4v ปีที่แล้ว +2

      뭐가 왜곡되고 덧칠 되었나요?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중국난방이라니 강교수가 불교전공자도 아니고 하나의 의견일 뿐이요. 어이없는 댓글에 미소집니다. "인도철학사""인도불교의 역사" 정도는 공부하고 평하세요. 별 내용도 없는데 유투버 댓글보면 선동도 아니고 저 내용이 특별한 견해도 아니고 기초수준의 내용인데 공부는 해 보지도 않고 중구난방이니 왜곡이니 하는 말은 좀 부끄럽네요.

    • @hoh53
      @hoh53 ปีที่แล้ว +1

      @@user-pu5rz8lv4v 본인공부나 제대로 하고 댓글 달기 바랍니다. 불교방송에 나오는 승려들 법문만 봐도 온통 기복불교에 경전에도 없는 개똥철학 천지인데, 되도 않는 쉴드 그만하고 한국불교의 현실을 직시하세요. 인도불교사만 제대로 봐도 이런 말은 못할텐데, 강교수님이 인도 고대사 전공이지만 불교에 대한 정확한 이해 측면에서도 조계종 승려들과 비할 바는 아닐겁니다. 남의 글 곡해하면서 댓글로 되도 않는 시건방 떨지말고 본인 공부나 신경쓰시오.

    • @user-hk7oq3fh5z
      @user-hk7oq3fh5z ปีที่แล้ว

      @@user-pu5rz8lv4v 인도학이랑 티베트학 전공했다는 것 자체가 이미 불교까지 포함해서 전반적 이해(전문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인데요. 유대교와 기독교의 관계에, 브라만전통과 그에 대한 혁신적 해석에 있는 비브라만전통(불교 포함 사문)의 긴밀한 연결. 즉 앞선 시대의 사상이나 교리, 문화적 이해없이 결코 이해되서는 안되는 종교나 철학이 존재하는 것인데, 얼마나 공부를 안하셨으면 그런 이해없이 한시대에만 국한된(초기불교라는 이름으로만 단편적으로 붓다의 사상을 공부), 나중에 인도전통 자체에 무지해서 왜곡 변형된 중국화된 동아시아 불교 인식을 가지고 평가하시는건지 뻔히 눈에 보입니다.

    • @user-hk7oq3fh5z
      @user-hk7oq3fh5z ปีที่แล้ว +5

      @@user-pu5rz8lv4v 정작 인도철학사, 인도불교의 역사는 공부하시라고 얘기하셨는데. 그 지점에서 최소한 권위자가 아이러니하게도 인도학 전공자인 강성용 교수님같은 분들입니다만?ㅋㅋㅋ 인도전체 사상사를 아셔서 초기불교 텍스트의 진위를 따질 수 있는 분이 몇없으신데 그런분한테 본인이 공부하신게 심지어 인도학 전공자한테 씨알이라도 먹힐 수 있는 논리인가요? 웃기지도 않습니다. 당신은 그저 학문이 아니라 종교화된 교조화된 불교를 신앙하는 광신적 종교인에 지나지 않아요. 붓다가 다시 온다면 당신들부터 일갈했을겁니다. 그게 진짜 외도입니다.

  • @user-zv1ek8cb9u
    @user-zv1ek8cb9u ปีที่แล้ว +46

    강성용교수의 강좌는 최곱니다

  • @mindisnoting
    @mindisnoting ปีที่แล้ว +46

    교수님의 강의는 2500년전 생각을 지금의 생각으로 이해하지 못한다는것을 천재적으로 풀이 해준다
    진짜 이해가 무엇인지 깨닫게 해주는 탁월한 지성을 느끼게 해주시는 분이다

    • @mahakala2258
      @mahakala2258 ปีที่แล้ว +1

      그렇지만 역시 주식은 쌀이라 말하면서도 정작 라면이 주식이었다는 이야기가 되니 사료에먼 의존하기 어렵습니다.
      베다에서 죽음을 이해한 방식이 사실관계에 압각한 실제일 수도 있으니까요. 단순히 관념으로만 치부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와형의 불을 내면의 불로 가져왔다는 것은 내면에서 확인 가능한 영역이 따로 았으니까요. 윤회 공간 말입니다.
      관념에 지나지 않는다 하기 어렵습나다.

  • @watching1577
    @watching1577 ปีที่แล้ว +13

    강성용 교수님 영상을 안볼수 있는 힘?이 없네요^^

  • @joungukkim4856
    @joungukkim485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감사합니다.
    불사의 체험이 부처를 만들었다는 생각은 정말 핵심을 찌르는 것 같습니다

  • @himchage
    @himchag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
    사랑하는 어머니의 극락왕생을 기원합니다
    아들인 저와 가족들의 꿈에 어머니께서 웃는 모습으로 나타나셔서
    극락세계에 가신다고 걱정하지 말라고 슬퍼하지 말라고 말씀해 주시기를 기원합니다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

  • @ADSO_21
    @ADSO_21 ปีที่แล้ว +10

    구글 알고리즘이 추천한 영상의 제목이 심상치 않아서 눌렀더니, 예전에 인도 고대사상의 석학이신 분이군요. 귀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 @MsPeace2all
    @MsPeace2al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1:44:22 ~ Amrita를 얻었다. 2024년 강성용 교수의 “인생의 괴로움과 깨달음을 얻었다” 저서 참조

  • @yskim3773
    @yskim3773 ปีที่แล้ว +23

    최고의 지성 강성용 교수님

  • @noalchuck
    @noalchuck ปีที่แล้ว +18

    어마 어마한 강의입니다.
    내용도, 시간도.
    고맙고도 또 고맙습니다.

  • @SHKim-uv4wo
    @SHKim-uv4w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기독교의 윤리 중 가장 큰 문제는 회계로 죄를 없앨 수 있다고 하여 사람들은 나쁜 짓을 정당화하기에 서양의 종교는 악을 전파합니다. 나쁜 것은 나쁜 대로 좋은 것은 좋은 대로 있는 것임. 회계로 자신의 죄를 소멸 시킬 수 없음.

    • @ludwiganjean
      @ludwiganjea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회계가 아니라 회개

    • @Chemi_Cross
      @Chemi_Cros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기독교에서의 죄 가 뭔지를 모르니 이런식으로 행위로 짓는 부도덕을 죄라고 해석하는 어리석음이 ㅎㅎ 안타까워요..

  • @onbliss
    @onbliss ปีที่แล้ว +25

    좋은 강의를 들을 수 있게 업로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ubonghoe617
    @subonghoe617 ปีที่แล้ว +18

    교수님, 저는 중국 절강성에 사는 사람입니다. 존경합니다,교수님.

  • @user-mu7hz1qi4e
    @user-mu7hz1qi4e ปีที่แล้ว +28

    너무 깊이 있는 명강의를 듣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 @user-ne3ln2gb7o
    @user-ne3ln2gb7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불교는 브라만교를 극복하고 나온 사유체계라. 브라만교를 공부해야 불교가 잘 보인다.
    그러니. 고전문헌학자에게 불교가 잘보일것.
    니체도 고전문헌학자였던가.

  • @user-qx9yt8vq4i
    @user-qx9yt8vq4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강교수님 강의를 유투브로 접할수 이ㅛ어서 넘 좋습니다. 일빈인들을 위해 종교 강의 자주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user-ih8kp1xl9l
      @user-ih8kp1xl9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경제 방송보다 다음 저술출판은 무엇인지 고전인도사상연구 더 집중해주세요

  • @user-li5ob9pv6l
    @user-li5ob9pv6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교수님 한참 찿었습니다. 건강하시고 뵈오니 감사합니다.

  • @sandgold2288
    @sandgold2288 ปีที่แล้ว +9

    생전 예수재가 죽음에 대한 준비로 본인의 의사와 의지가 반영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질문이 던져지네요
    강성용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ve8oz7pu5o
    @user-ve8oz7pu5o ปีที่แล้ว +12

    10번 넘게 보고 있습니다. 강교수님 이런 강의 너무 좋습니다. ^^

  • @Leeteamanager
    @Leeteamanager ปีที่แล้ว +24

    #강성용 교수님🙂
    좋은강연 감사드리며 건강하시고 소원성취하시며 성불하세요🙏🙏🙏

  • @jaram7379
    @jaram7379 ปีที่แล้ว +17

    좋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기대가 많이 됩니다.

  • @hyunjunkim7013
    @hyunjunkim701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강의가 최고 입니다...

  • @passtoc3857
    @passtoc3857 ปีที่แล้ว +12

    지렸다. 어디가서 못찾는 내용

  • @hasasa4241
    @hasasa4241 ปีที่แล้ว +7

    확실히 인간이 만든 신화나 종교는 참으로 어리석고 어설프구나.

  • @user-ih8kp1xl9l
    @user-ih8kp1xl9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고전인도사상연구발표햐주세요경제방송모다도 출판해주세요😊😅

  • @travel7750
    @travel775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강성용 교수님 영상 찾아다니며 듣고 쓰고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Anyounchan
    @Anyounchan ปีที่แล้ว +8

    오늘 유튜브롤 보았내
    신선한 새로운 시각인데
    참 좋은 내용입니다
    불사의 새로운각도 논리적이며 격마게 동의합니다

  • @evensocomelordjesus9355
    @evensocomelordjesus9355 ปีที่แล้ว +9

    어쩌면 이렇게 성경의 내용과 맥락이 비슷한지 깜짝놀랐습니다. 붓다가 구약시대의 선지자 같고 구약의 예수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sandgold2288
    @sandgold2288 28 วันที่ผ่านมา +2

    인도의 현재는 불교와는 거의 담을 쌓은 상태네요 티벳으로 나란다불교대학 전체의 자료와 교수 학생들이 넘어갔다고 봐야 될 것 같아요

  • @user-uc8im1cj4y
    @user-uc8im1cj4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겸손하고 친절한 명강의 항상 감사드려요^^~

  • @user-bz6pn6es6j
    @user-bz6pn6es6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감시합니다.울산지역단 원각혜 황연화입니다.

  • @kyungmunyu9208
    @kyungmunyu920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감사합니다.🙏

  • @user-br9tx6el1n
    @user-br9tx6el1n ปีที่แล้ว +14

    감사합니다 마하반야바라밀

  • @astatine8529
    @astatine8529 ปีที่แล้ว +12

    감사합니다

  • @user-sw8gm3yc7i
    @user-sw8gm3yc7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듣고싶었던 강의였는데, 감사합니다

  • @user-ih8kp1xl9l
    @user-ih8kp1xl9l ปีที่แล้ว +7

    진짜 인도고전헉자로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해줄 한국교슈로 우리으ㅏ 희망입니다 옳바른 불교의100대계 삼프로 경제프로보다 고전연구 더해주새요 우리가 나아갈길 ............

  • @NewYork_NJ
    @NewYork_NJ ปีที่แล้ว +17

    대단한 강의네요

  • @AI-nm9bl
    @AI-nm9bl ปีที่แล้ว +15

    교수님, 감사합니다!

  • @mkfive1000
    @mkfive1000 ปีที่แล้ว +17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kevinlee-rs8mr
    @kevinlee-rs8mr 2 วันที่ผ่านมา

    인간은 마지막에 잠자면서 아님 혼을 놓으면서 아무것도 모르는체.잠자며 죽습니다..반드시 기억하세요..

  • @user-sg6bp5mt6z
    @user-sg6bp5mt6z ปีที่แล้ว +12

    불교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되네요.

  • @user-zk5hi2pz6s
    @user-zk5hi2pz6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주제도 아주좋군요.특히 어중이 떠중이로 칠십대중반이 된 다급한 사람입니다.독서실에서 평생 다보아도 경 율 논을 보고 담을수있을까요?취합할순 있겠지요.우선 전 세계적으로 발달 유지되고있는 티벳 .그 안에 경들중 람림 깨달음에이르는길 청전스님 번역 및 보리도등론난처석 및 티베트사자에서 중암선혜스님 번역을 염두에 두고 교수님 강의 경청하겠습니다.왜나면 초기불교 제따와나선원 보디야나선원 참불선원에 빠젔다 십년도 넘은 세월후 나오나람으로 위 선두 두선원의 불교의 열반이 삼계윤회를 떠나 완전 사망으로 보기때에 실망과 분노까지느끼며 다시 대승중 티벳불교로 늙발에 처해있기때문입니다.

  • @user-hv2tt2kj8t
    @user-hv2tt2kj8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잘 들었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yslee3456
    @yslee345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정말 교수님 강의 너무 목마름니다

  • @Seoulcoffee
    @Seoulcoffee ปีที่แล้ว +6

    엥 인도전문가이신 줄 알았더니 불교에도 정통하신가보네요 ㅎㄷㄷㄷ

  • @joojak57
    @joojak5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littlecloud78
    @littlecloud7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라면 과 쌀😊

  • @user-rh9rf9dk1c
    @user-rh9rf9dk1c ปีที่แล้ว +7

    🙏🙏🙏

  • @user-dp7er4fv6h
    @user-dp7er4fv6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 @user-vy8tw3dz2f
    @user-vy8tw3dz2f ปีที่แล้ว +12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 @user-by8bz7jc2h
    @user-by8bz7jc2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우._()_

  • @user-wp2kr8wr1s
    @user-wp2kr8wr1s ปีที่แล้ว +11

    아무리봐도 무천도사 현생인듯

  • @mandeok-dong5610
    @mandeok-dong561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2024 무진♥삶의 영속성~지구와 달과 또 삶과 죽음은 돌고 또 돌아가고 있다
    ♥깨달음이란 현재의 모든 과학적 증명의 진리를 죽음에 다다를 때까지 인지(見性) 하고
    각성(覺性)하는 것 입니다♥
    중생의 삶이란 생로병사 ᆞ희노애락ᆞ길흉화복ᆞ 108번뇌가 생기며
    그렇게 대자연(大自然)은 돌고 또 돌아간다~~♥
    45억년 영겁의 세월을 지구가 달과함께 자전하며 태양(太楊)SUN 을 공전하고 365일을 돌고 또 돌아간다~~♥
    그러하니 삶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태어나서 생로병사(生老病死) ♥喜怒愛樂(희노애락)♥吉凶禍福 (길흉화복)
    새옹지마(塞翁之馬)♥
    대자연의 섭리(攝理)♥를 깨닫고
    죽음으로서 108번뇌가 소멸(消滅)되나니♥
    80세 싯다르타의 죽음은 해탈(解脫) 곧 열반(涅槃) 이리라♥♥♥
    붓다도 사는동안 108번뇌 로 인하여 해탈ᆞ 열반 못 하였다♥
    ♥인간의 4가지 원초적인 本能은♥ 식욕ᆞ배설ᆞ性欲ᆞ수면(잠)욕구와 百八煩惱(108번뇌) 로
    살다가 죽음 으로 돌고 또 돌아간다♥
    ♥중생들의 유전자가 태양의 종말 때까지 영원(永遠)할 것입니다
    ♥ 삶과 죽음에 두려움을 없애는 것이 바로 성불(成佛) 입니다
    중생의 삶은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우리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합니다.♥
    이글에 대한 거짓된 뜻의 정의 가 있다면 표현해 주세요!!
    ♥제가 파악하기로는 이 글에 잘못된 뜻의 정의는 없습니다. 다만, 일부 내용은 정확하지 않거나 불명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4가지 원초적인 本능으로 섭취(식욕), 배출(배설), 성욕(性欲)과 수면(잠)욕구를 언급하실 때, 이는 일반적으로 생물의 필수적인 기능들을 말하는 것이며, 108번뇌와의 관련성은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어야 합니다. 또한, 중생의 유전자가 태양의 종말 때까지 영원할 것이라고 언급하신 부분도, 과학적인 근거 없이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자세를 표현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이는 불교적인 가르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에 대한 해석은 개인의 해석과 표현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는 상대방의 의도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Al Chat GPT♥

  • @himchage
    @himchag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윤회가 없다고 말하는 일부 승려들은 스승 부처님의 가르침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금강반야바라밀경에서 부처님이 윤회를 언급했는데 도대체 윤회가 없다는 일부 승려들은 불경을 어떻게 읽는지 의심스럽습니다

    • @user-vp3yd6qw7s
      @user-vp3yd6qw7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만심이 가득한 땡초겠죠???
      염불보단 잿밥에 더 많은 관심???

    • @user-we1dy5uc8g
      @user-we1dy5uc8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윤회에 대한 사고는 간단히 설명할수 없습니다.금강이라는 단어가 붙은 경전은 대부분 대승 불교로 볼수있고 대승 불교에 큰 가르침은 윤회에 굴레에 모든 중생이 벗어날때 부처도 열반에 이르러 윤회에 사슬을 끊어내겠다 입니다.
      부처님께서 지옥에 가셔서 고통받는 중생이 전부 해탈해야 나도 지옥에서 나가 겠다는 다짐과 같은 맥락이지요.
      초기 불교에서 부처는 모든 집착이 소멸하였기에 윤회하지 않습니다.
      후에나온 대승 경전에서 부처님도 본인 서원에 따라 같이 윤회하시는 존재로 등장하지요.

  • @user-li5ob9pv6l
    @user-li5ob9pv6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쌰티란? 순장과 비슷한 건가요?

  • @himchage
    @himchag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돌아가신 분을 만나고 싶은 분은 금강경 지장경 등을 계속 읽으면서 기원 기도 해 보세요
    꿈에 기도중에 만날 수 있다고 합니다

  • @july-cs9rv
    @july-cs9r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녹음상태가 안좋아요 옥의티

  • @user-mb1gl5fn8w
    @user-mb1gl5fn8w 20 วันที่ผ่านมา +3

    제목에 속았네요. 초기불교의 사후세계관 아니라 그냥 인도 힌두교의 사후 장례

  • @pilot6583
    @pilot6583 ปีที่แล้ว +5

    제목은 죽음과 사후세계에 대한 붓다의 견해인데... 내용은 인도 문화 강좌 ㅋ

    • @user-vs8zo4uc1b
      @user-vs8zo4uc1b ปีที่แล้ว

      강연주제에 관한 설명이 전혀 없음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ปีที่แล้ว

      그렇습니다
      아는것도없고 찾아낸것도 없네요
      부처의 발자국을 찾았다해도
      거기에 붓다는 없을테지만

    • @riskest
      @riskes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 당시 인도에서는 사람들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처리했는지 설명해주는 거잖아요.

  • @kkooddoo7364
    @kkooddoo7364 ปีที่แล้ว +2

    kfc교수님 ㅋ

  • @user-xe5tr8eh1y
    @user-xe5tr8eh1y ปีที่แล้ว +5

    이 교수님은 도서관사서를 하셨으면 아주 잘 할 분인듯.

    • @user-lw8pv2wu2c
      @user-lw8pv2wu2c ปีที่แล้ว +7

      그러기에는 재능이 좀 아깝다는 ....😅😅😅

  •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제까지 단 한명이라도 사후에 갔다가 온적이 없으며 그것이 증명하는 것입니다.
    상상의 세계로 갈뿐입니다.
    우주에 그려놓은 그 곳은 자신의 우주입니다.
    깨달음의 경지라고 하지만 그것은 무에 펼쳐진 세상입니다.
    확인이 안되는 두뇌속 자신의 우주 입니다.바로 있다고 믿는 순간 펼쳐 집니다. 육체와 영혼이 분리되는것은 분명한것은 선한 영혼만 갈수 있다라고 믿는것 뿐 입니다. 왜냐하면 생명의 유한함에 있어 일찍 죽고 싶은 마음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상호 보완은 필수 입니다.
    오십년이 지나면 인류의 인구는 10억명 남짓 될것입니다.
    전쟁이 지속된다면 잉태가 더이상 부질 없음을 알게됩니다.
    그것이 영성시대 입니다.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제목은 그럴듯한데 한 말씀도 없네요
    불생불멸 과 윤회에 대해 알아야
    불교에 대해 말할수 있다

    • @conan8471
      @conan8471 23 วันที่ผ่านมา

      무엇으로 어떻게 증명 되었나요..? 정말 궁금 해서…?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23 วันที่ผ่านมา

      @@conan8471 영화의 바탕은 스크린입니다
      비유죠
      영상은 기쁘고 슬프고 재미있고
      흥미롭죠
      그러나 스크린은 차원이 다르죠
      이걸 불생불멸이라고합니다
      스스로 자기육신의 감촉과 감정을 사라지게해보세요
      스스로 만들었던 것인데
      만들어놓고는 본래로 사라지게 하는길을 잃어버렸죠
      조금후에 좀더 쓰겠습니다 우선 먼저

  • @user-wd3uj1cv4m
    @user-wd3uj1cv4m ปีที่แล้ว +3

    죽음으로서 죽음에 따른 제반을 해결한다?

  • @user-ng2ve7id9s
    @user-ng2ve7id9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지식 전달자로만 느껴지는 건 왜죠?

    • @user-cl6hv4xv2p
      @user-cl6hv4xv2p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들을귀 있는자는 들으라

    • @lisagia2244
      @lisagia2244 10 วันที่ผ่านมา

      팩트만 이야기하고 자기 사견을 안넣고 어찌보면 선입견을 없애버리니까 저게 진짜 지식인이고 학자지 ㅇㅇ 오히려 학자가 지식전달자를 넘어서 교주처럼 행동하는게 쉽나
      저분보다 원시불교하고 인도사상 이해하는 사람 국내에 몇 없어요. 솔직히 말해서 빨라어 연구하는 수십년 도닦는 스님보다 강성용 교수님이 훨씬 당대 상황과 역사적 부처에 가깝게 설명합니다. 즉 불교와 고따마가 분리되는 것이죠ㅡ 문제는 대부분 불경이 고따마의 권위로 시작되어서 그 이전에도 붓다(깨달은 자)가 있었다면서 역사적 개소리(그전에 있는 건 선정착 아리안이전에 있던 원주민과 인도원시유럽신화지 출가전통 자체가 이후에 나온거죠.
      애초에 불교적 세계관에선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출가자들 자체도 없고
      깨달음은 둘째치고 윤회가 있다고 믿는 사람들 대부분 자기가 극락간다고 선행한다고 생긴다고 그러는데 불교이론에선 락도 고임. 그럼 극락도 사실은 그냥 번뇌 중생들이 사는 고통의 세계인거ㅡ
      무엇보다 출가했다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윤회에서 탈출한다난 보증도 없고 무아면 윤회를 왜하냐고 하니까 주체 없는 경험(까르마/다르마)가 있다는 궤변이나 하는데 사실 부처는 까르마 지바 다르마 다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나가르주나랑 충돌해서 저런 헛소리를 신비스럽게 포장한거임.

  • @zartman7512
    @zartman7512 18 วันที่ผ่านมา +1

    80년대에 주식은 라면이 아니라 쌀밥입니다. 라면은 간식으로 많이 먹어서 봉지가 나온듯 합니다. 라면과 소면은 정말 많이 먹었거든요. 다만 그래도 쌀밥보다 많이 먹지는 않았습니다. 요즘에는 사람들이 아침을 잘 안먹거나 빵을 주로 먹지만 그 당시에는 어머님들이 '아침밥'을 꼭 챙겨주셨습니다. 물론 입맛이 없어서 물에 말아서 억지로 먹곤 했습니다. 가끔은 밥대신 라면을 먹었구요.
    지금은 각종 간식이 많지만 8,90년대는 라면이 주 간식이라 친구들만 만나면 집에서 끓여먹는게 라면이고 밖에서도 라면만 먹었습니다. 여자들은 라면보다는 빵을 주로 먹었구요.
    라면 봉지가 많이 보인다고 해서 라면을 주식으로 먹은건 아닙니다.
    간식을 라면으로 먹거나 밥대신 라면으로 떼우는 일이 많았을뿐이죠.
    아마 라면봉지보다 많이 발견되는게 과자봉지였을겁니다. 과자봉지를 주식이었다고 말하지 못하는 이유가 뭘까요.
    라면은 밥대신 먹을 수 있다는 '선입견'이 있기 때문일것 입니다.

  •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리가 사는 세상은 거꾸로 서있습니다.
    떨어지면 우주로 떨어지는 것입니다.
    생각이 거꾸로 되어 있습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그곳에 핵심적인 답이 있습니다.
    탐욕을 버리면 모든 것은 동등이며 스스로 안도하며 고통은 없습니다.
    모든것은 원자로 왔다가 원자로 돌아 갑니다.
    원자에서 태어나고 원자로 죽습니다.
    그 중심에 치우침 없는 중도가 있습니다.
    깨달음이란 영혼마저 행복 하려는 상상이며 종교또한 본질은 그것입니다.
    행복 하려면 행복한 상상을 하면 됩니다.
    모든것이 남성이 중심적 입니다.
    아직까지 여성에게 폭력을 가하거나 전쟁을 하는것은 시대에 맞지않는 것입니다.
    이제 죽음을 스스로 맞이하게 될것이며 죽음을 축하하고 꾸며주는 그곳에 많은 직업이 있을수 있습니다.

  • @user-rz9ml8my2z
    @user-rz9ml8my2z 2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 뭑꼬?

  • @srlee1739
    @srlee1739 ปีที่แล้ว +8

    붓다의 말씀이 아닌 인도의 문화 강의군요.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ปีที่แล้ว +1

    죽어보지않은상태에서 죽음에대해 말하는 부다의 썰에대한 진위판단가능성?
    죽음과 삶이 같은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 같은점은 삶인 중에서도 여실히 보인다
    보고싶거든
    삶인 상태에서
    감각과 감정이라는 개인프로그램을 없애보라
    불교란
    홈페이지를 보라는것이다
    지금 들어간프로그램을 끄고
    홈화면으로 쉽게 환원 복귀해야하는데
    한번들어간 개인프로그램에서 나오지 못하고 있는것이다
    홈화면으로 돌아와보면
    지금의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사이트에 불과했다는걸 알게된다
    본래죽음이란
    본래없는 죽음을 스스로 만들어놓고 애걸복걸하고 있는꼴이다
    그 기준은 감각과 감정이다
    흔히 오감 육감이라는 것이다
    본래는 없던
    오감 육감 칠감을
    필요한듯해서 한번 만들어놓고는
    다시 돌아가질못하고 있는것이다
    예를들면
    자기본래 몸뚱아리를 보게되면
    이게 영화나 tv의 스크린과 같은것이어서
    스크린속에서는
    아픔 즐거움 시원함 따가움 고통 쓰라림 연민 증오
    후회 가 있고
    해뽁탄이 터지면 우많은 생명이 죽어나가고
    고통을 받지만
    스크린입장에서는 화면에 불과한것이다
    이 본래몸뚱아리를
    성품이니 본래면목이니 하나님이니 본체이닝사는것이다
    이 본 몸뚱아리를 보려거든
    감각과 감정이라는 너만의 프로그램작동을 멈춰보라
    그래서 식이라는 프로그램이 쉬면
    다 식 때문에 판단착오를 하고 있었다는걸 비로소 알게된다
    이걸 일제유심조라하는 것이다
    강박사는 수많은 불타의 발자취를 모았다
    훌륭한 일을 하셨다
    그러나 양무제가 달마에게 혼났던 차원에 서있는것이다
    불타는 쳡다보는것이 아니고
    내가 스스로 내안으로 들어가
    스스로의 프로그락ㅁ을 정지시키고
    본래 우주허공법계 몸뚱아리를 되찾는것일뿐이다
    부처가 되어서 아만이 생기는건 바보가 하는짓이자
    본래자기집을 찾았는데
    다만 다행스러울뿐이지
    누구에게 자랑하겠는가
    또한 모든 생명과 무생조차
    다 그런것이니
    더나은게 내게 있을수도 없는것이다
    한빈자국 옆으로새면
    자랑하고 뻐기고 속이는 재미에
    도끼자루썩을뿐 아니라
    본래몸을 등지고 쫄아들어 지옥에 들려
    수없는 고통을 맛보아야하니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한다
    능력있는 사람은 자신의 무능력한 걸 모르고
    무능한 사람들은 자기가 얼마나 능력이 있는 줄 모르느게 중생의 삶이다
    부처는 겸손하고싶어 겸손하는게 아니다
    그냥 생긴게 그러할뿐이다

  • @user-mf1zt2yq7j
    @user-mf1zt2yq7j ปีที่แล้ว +1

    지구는 자전과공전을 합니다
    100세시대입니다
    공기순환
    물순환
    음식순환
    혈액순환
    림프순환
    피부순환
    등등이 잘 되어야 건강하게 오래 살 것입니다
    100세시대입니다
    지구는 자전과공전을 합니다

  • @jgyuhwang
    @jgyuhwang 27 วันที่ผ่านมา +2

    쌀이 아니고 라면이야기만 하셨네요. 경전의 맥락을 못잡으니.

    • @nagguyful
      @nagguyful 15 วันที่ผ่านมา +1

      석가께선 있는 그대로 들어라 하시더이다

  • @user-xk3th9wn6l
    @user-xk3th9wn6l ปีที่แล้ว +4

    0분 부터 1시간 38분 까지는 없어도 될 내용

  • @user-mf1zt2yq7j
    @user-mf1zt2yq7j ปีที่แล้ว +1

    육도윤회
    천상
    인간
    수라
    축생
    아귀
    지옥

    • @mahakala2258
      @mahakala2258 ปีที่แล้ว

      성주괴공하죠. 초선천까지. 태초에 물에서 수미산이 올라왔다는 건 공겁에서 색계 이선천에서 초선천, 욕계 타화자재천이 나타났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네요.
      인도 베다 신화에서 기원을 찾지만 단순 관념으로 치부하기엔 무책임할 수 있겠습니다.
      관념이기도 하겠지만 생명의 공간이기도 하니까요. 꿈을 깬 amrti(불사)에게 관념일 뿐이니까요.

  • @user-eu3ic6tf5f
    @user-eu3ic6tf5f 2 วันที่ผ่านมา

    잔소리만하다
    끝내네
    헛공부했네
    빙빙빙 돌기만하고
    핵심이 없어
    짜증나.
    폼만잔뜩잡고
    내용이 없어
    요란한 깡통이네
    아이고

  • @markov2k2
    @markov2k2 ปีที่แล้ว +1

    강의 어렵다....말씀도 매끄럽지 못하고...비약이 중간 중간 있어서 잘 모르겠다...

    • @user-vs8zo4uc1b
      @user-vs8zo4uc1b ปีที่แล้ว

      초기불교란 결국 후기불교와 비교되는 개념인데 불교발전사에 관한 지식이 전혀 없어 보입니다 불교는 언급하지 말기를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ปีที่แล้ว +2

    대부분 주제와는 관련 없는 요상한 강의네.자기 지식 자랑하는 강의.

    • @user-vs8zo4uc1b
      @user-vs8zo4uc1b ปีที่แล้ว +2

      맞음 유한으로 무한을 쫒고 있음 김용옥 판박이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ปีที่แล้ว +3

      모르면 그냥 모른다고하지
      못찾았으면 못찾았다고하면 누가뭐라하지않을텐데

    • @user-hk7oq3fh5z
      @user-hk7oq3fh5z ปีที่แล้ว +4

      붓다의 사상 자체가 우파니샤드 전통에서 벗어난 게 아니라는 걸 모르고 있으니 이런 헛소리를 하는 것이지요. 오히려 정확한 주제의식인데ㅋㅋㅋ 붓다는 종교가 된 걸 떠나서 왜곡되었네요 여러분들 덕분에ㅎㅎ

    • @conan8471
      @conan8471 23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hk7oq3fh5z동감 합니다…^^

    • @user-hk7oq3fh5z
      @user-hk7oq3fh5z 23 วันที่ผ่านมา

      @@conan8471 불교공부 특히 초기불교나 초기불교의 교리적 태동(이전 전통과 종교에 대한 반작용과 함께 나타난 연속성)은 전혀 이해못하는 분들(특히 대승불교 필터링)이 참으로 많은 것 같습니다... 허허...

  • @user-sq9xh2rb7e
    @user-sq9xh2rb7e ปีที่แล้ว +5

    공자고 석가고 깨날음이고 뭐고 다 개소리, 왜냐하면 개나 우리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
    그냥 그건 그들의 생각일 뿐

    • @user-mo7qw3md5v
      @user-mo7qw3md5v ปีที่แล้ว +1

      시와 농부 개소리 🐕 소리, 농사도 근본을 알아야 한다.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ปีที่แล้ว +1

      싣달타 얘기는
      영화나 tv의 화면만보지말고
      그 영상이 비춰지고 있는 스크린을 보라는 것일뿐
      스크린은 화면이 있건없건 그냥 그대로인데
      화면이 켜지면 순간 빠져버리는게 생명의 경향 이기때문이다
      못나오고 빠지는이유는 감각과 감정 프로그램 때문이다
      일체유심조를 알고 본래 몸뚱아리를 알고싶으면
      감각과 감정이라는 축소프로그램을 꺼보라

  • @riverkoh7454
    @riverkoh7454 ปีที่แล้ว +14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