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중급] 아두이노로 고전압의 부품을 사용 할 수 있는 방법! | 트랜지스터(transistor)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 ก.ค. 2019
  • 아두이노를 사용하다 보면 모든 부품들이 5볼트에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아주 많죠?
    그렇다고 아두이노로 컨트롤 하는걸 포기할 수도 없고..이럴 때는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려드릴게요~
    아두이노로 고전압 부품 사용하기 1편! 트랜지스터 사용하는 방법!!
    //전자부품 구매 링크
    1. 아두이노 우노 R3
    mecha.kr/QDahCO
    2. USB 전원,통신 케이블 50cm (아두이노 우노)
    mecha.kr/dzbR1K
    3. 브레드보드
    mecha.kr/R9JD0h
    4. 점퍼선
    mecha.kr/k8XyVc
    5. 5V 네오픽셀 스트립 1M 60개 LED
    mecha.kr/58h4tB
    6. 저항 10k 옴
    mecha.kr/MbS
    7. TIP 120
    mecha.kr/BEBTIF
    8. DC 배럴잭 파워 어댑터 - Female타입
    mecha.kr/wNc5rx
    9. 5V 2A DC 전원 어댑터 (배럴잭 5.5*2.1)
    mecha.kr/tUHBVo
    //러봇랩
    웹사이트: www.lovot.co
    인스타그램: / lovotlab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9

  • @ipc1412
    @ipc1412 3 ปีที่แล้ว

    외부전원을 이용해서 제어하는 방법, 이제서야 확실히 알게 되었습니다!

  • @nomario
    @nomari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초보로써 좋은 정보 얻습니다. 즉, 아두이노에서 고전압을 쓸때에는 1. 외부전압을 이용해야 하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 2. 트랜지스터를 써야 하며, 3. 이런 경우에 저항을 잘 선택해서 써야 한다는 점을 영상을 여러번 돌려보고 정리할수 있었습니다.
    Q. 아쉬운 점은, 저항 계산을 다 해놓고, 계산된 저항을 쓰는 것과 갑자기 낮은 것도 괜찮다며 1k 저항을 쓰는 것에 대한 비교 내용이 없다는 것입니다.

  • @user-hw6iq1bh5f
    @user-hw6iq1bh5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와 정말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briankim2050
    @briankim2050 4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zc1004
    @zc1004 2 ปีที่แล้ว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예고 해주신 모터 사용하는 영상은 어디 있을까요? 보고 있지만 찾기가 어려워서 ㅡㅡ 일단 질문부터 드려봅니다.

  • @aidankang8054
    @aidankang8054 3 ปีที่แล้ว

    궁금한게 있는데 아두이노 r3한개에서 동시에 두가지를 작동시킬수 있나요??
    현재 음주측정코딩을 해서 여기 값으로 자동차의 시동을 제어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이번에 아두이노를 처음 접하는데 대충 보니 아두이노는 Atmega처럼 복잡한 작업은 안되고 단순 on off 기능만 있는거 같아서요.

  • @hyungkookim1576
    @hyungkookim1576 3 ปีที่แล้ว

    외부 전원을 사용해야하는 것은 비슷한거 같은데, 릴레이랑 다른점이 있나요? AC전류를 사용가능 유무가 다른점인가요?

  • @hioh72
    @hioh72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6A 펠티어를 동작 시키기 위해서 "FQP30N06" NPN TR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Base(신호쪽) 저항은 10k옴을 연결하였습니다 그런데 tr에 발열량이 너무 크더라구요. 혹시 이럴땐 어디 부분에 회로수정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chahyekyoung.1624
    @chahyekyoung.1624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12v COB 스트랩 Led를 연결해서 실행한 결과 LED 앞부분만 켜지고 영상처럼 LED 길이만큼 조명이 켜지지 않습니다 ㅠㅠ 혹시 그라운드 설정이 잘못 되어서 그런지 질문드립니다! ㅠㅠㅠㅠ

  • @user-ye5cg9nl2g
    @user-ye5cg9nl2g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아두이노 관련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pv 패널에서 mppt 추종을 하고싶은데요 아두이노가 5볼트 이상값을 못받는다고 하셨는데 저희가 사용하려고 하는 pv패널은 5볼트 이상 값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
    pv패널을 통해 전압 값을 입력받아서 아두이노에서 mpp 점을 찾아주고 그 값을 컨버터에 입력하여 배터리에 저장하고 싶습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점이 아두이노에서 계산된 mpp 값을 컨버터 트랜지스터에 어떻게 값을 입력해줄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nabasi
    @nabasi 3 ปีที่แล้ว +2

    상세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설명해 주신대로 따라해서 LED 켜는데 까지는 성공했습니다.
    그련데 스마트폰으로 블루투스 연결해서 켜고싶어서
    블루투스칩의 VCC 는 아두이노의 5v 에 꽃고
    그라운드도 아두이노의 그라운드에 꽃았습니다
    그런데 작동을 해보면 LED 빛이 아주 약하게 들어옵니다
    블루투스를 제거하면 아주 밝은데
    블루투스칩만 꽃아서 테스트 하면 약한 불이 켜집니다
    그라운드 설정을 잘못한게 아닌가 싶은데요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꾸벅....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1

      답변이 늦었네요. 대부분의 블루투스 모듈은 3.3V 를 사용합니다. 아두이노의 3.3V 핀과 연결 해보세요.

  • @phoenixl5392
    @phoenixl5392 2 ปีที่แล้ว

    12V 외부전원 파워서플라이는 다른데 검색해 알아봐야 하는 아쉬움이 있는 동영상이군요
    "저건 뭐지~ 하며 계속 돌려 봤는데 ㅜ.ㅜ 함께 나오는 재료에 대한 설명이 부족합니다.

  • @hmnyari
    @hmnyari 3 ปีที่แล้ว +2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그런데 일부러 계산보다 10배나 작은 저항을 연결하신 이유가 있는건가요?

    • @jjlee9894
      @jjlee9894 3 ปีที่แล้ว

      저도 궁금요 누가 답변 좀...

    • @yakkook
      @yakkook ปีที่แล้ว

      저항이 높을수록 전류의 제한이 생기니 기준 저항보다 저항을 낮게 설치해서 원활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 @kton09
    @kton09 2 ปีที่แล้ว

    트랜지스터를 2개 사용해서 증폭을 키울수 있나요 만약그러다면 어떻게 연결하나요

  • @user-rn1ol4ux4f
    @user-rn1ol4ux4f 4 ปีที่แล้ว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LED를 외부전원 12V 에 연결하시고 콜렉터에 연결하셨는데 그럼 Vcc가 12V이어야 되는 것 아닌가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5V 를 아두이노 사용하는 아두이노로 더 높은 전압을 사용하기 위해서 트렌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 @user-re2np1jl1m
    @user-re2np1jl1m 3 ปีที่แล้ว

    12v 모터 전기를 사용할려고 합니다
    코딩 없이 모터 컨트롤러 로 가능한가요

  • @JSP-ur3mi
    @JSP-ur3m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두이노에서 12v~서보모터를 작동 시키려면?

  • @user-iu1gw1ns3s
    @user-iu1gw1ns3s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dc12~24v로 가변저항(포텐서메터)로서보모터 혹은스템모터를 -0~60+0~60도로가변저항 움직이는데 로 위치제어하는방법좀 알려주세요 모터소비전력은100w입니다

  • @warpirecords3767
    @warpirecords3767 4 ปีที่แล้ว +1

    영상 잘 봤어요 근데 트랜지스터 자세히 설명해주신 영상은 없나요??

    • @LOVOTLAB
      @LOVOTLAB  4 ปีที่แล้ว +1

      추후 준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be4bw9my1s
    @user-be4bw9my1s 4 ปีที่แล้ว

    네오픽셀은 어디서 구입 하나요

  • @user-zc2rz5ly4w
    @user-zc2rz5ly4w 4 ปีที่แล้ว +2

    1k옴은 어떻게 설치하나요?

    • @LOVOTLAB
      @LOVOTLAB  4 ปีที่แล้ว +1

      트렌지스터의 베이스 핀과 아두이노 디지털 핀을 1k옴 저항을 통해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 @user-si5lf5zn9s
    @user-si5lf5zn9s 4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트렌지스터를 이용해도 led 의 pwm 기능은 여전히 사용할 수 있나요? dc 5v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려고 합니다:)

    • @LOVOTLAB
      @LOVOTLAB  4 ปีที่แล้ว +1

      네, 대부분 가능합니다.

    • @user-si5lf5zn9s
      @user-si5lf5zn9s 4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kp7dq8km9q
    @user-kp7dq8km9q 3 ปีที่แล้ว +1

    선생님 반대로 아날로그핀에 5V 넘는 값을 받아오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1

      5V 보다 넘는 전압을 아날로그 신호로 받고싶으시면 전압분배기 회로를 쓰시면 됩니다. 말이 거창하지만 그냥 저항 두개입니다. en.wikipedia.org/wiki/Voltage_divider 회로 이미지 보시고 해보세요. 예를들어 최고 10V 가 들어오는 신호라면 절반으로 나누기 위해서 위키링크에 있는 회로에 Vin 에 센서 출력을 연결하고 Vout에 아날로그인풋핀, 저항은 적당히 큰 저항 (10K) 두개를 쓰시면 됩니다. 100V 라서 1/20로 줄여야한다면? Z1 을 19Kohm Z2를 1Kohm 이런식으로 비율을 만들어주세요.

    • @sjk7033
      @sjk7033 2 ปีที่แล้ว

      @@LOVOTLAB 예를들어 3.3v 회로와 5v회로 사이의 신호를 주고 받을때 3.3v 회로 보호를 위해 보통 로직 레벨컨버터(쉬프터)를 사용해서 신호처리를 하는걸로 아는데
      그걸 대신해서 Voltage_divider 저항을 이용해도 괜찮을런지요? 혹 안된다면 저항 오차때문인지 궁금합니다

  • @user-gx2ow9sj1g
    @user-gx2ow9sj1g 3 ปีที่แล้ว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혹시 아두이노 우노에 모터쉴드를 장착해서 DC모터를 연결해서 사용하려고하는데 모터실드의 5V와 GND에 DC모터를 연결하는게 아니라 채널에다가 연결해서 사용하려고 하는데 여기서 트렌지스터로 전류량을 증폭시킬때는 어떻게 연결하면 될까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쉴드의 종류에 따라 연결방법이 다를 수 있어서 정확한 제품명이나 설명을 더 해주셔야 도움을 드릴 수 있어요.

    • @user-gx2ow9sj1g
      @user-gx2ow9sj1g 3 ปีที่แล้ว

      @@LOVOTLAB L298P 모터드라이버 쉴드 [SZH-EK103] 이 제품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VIN 와 GND 에 파워 연결하시고 원하는 체널 + - 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 @user-gx2ow9sj1g
      @user-gx2ow9sj1g 3 ปีที่แล้ว

      @@LOVOTLAB 답변감사합니다! 그런데 실드 사용법은 알겠는데 중간에 트렌지스터를 연결할때는 트렌지스터의 base부분을 디지털핀에 연결하고 Corrector 와 Emitter 부분을 모터와 채널 +-사이에 연결하면 될까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모터 드라이버가 트렌지스터 역할을 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쉴드를 쓰시면 트렌지스터를 사용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혹시 모터 드라이버로 전류가 부족하면 다른 드라이버로 바꿔사용하세요.

  • @user-kj5gv1ld4s
    @user-kj5gv1ld4s 4 ปีที่แล้ว

    혹시 mosfet 사용 설명도 해주실수 있나요?

  • @NMIXX_Fancam_Account
    @NMIXX_Fancam_Account 3 ปีที่แล้ว

    저항 다는곳에 10K옴 포텐쇼미터 가변저항 모듈을 달아도 될까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가변저항도 저항이니 가능하긴합니다.

  • @TheAwaofficial
    @TheAwaofficial 3 ปีที่แล้ว

    엥 머독님인줄알고 눌렀는데 목소리가 다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