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가옥 1,2부 몰아보기(1988년 귀한 영상)/한옥의 기초에서부터 완성까지/송광사 목우헌을 짓는 전 과정을 담았습니다/1988년 부산mbc 창사 29주년 특집 다큐멘터리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0 ส.ค. 2021
  • 추분에서 춘분사이 춘양목을 벌목한다.
    춘양목(금강송)은 경북 봉화군 춘양면의 춘양역에서 싣고 온 소나무를 일컫는 말로 한옥을 짓는 목재로 알려져 있다.
    집을 앉힐 좌향을 잡고 수평의 기준틀을 잡는다
    그리고 주춧돌을 놓는다
    목수들이 손수 다듬은 춘양목으로 기둥을 세우고 대들보를 올린다.
    어느 것 하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이 없다.
    ==================================
    * 좋아요 와 구독 꼭! 눌러주세요~
    * 우측 상단에 종 그림이 알림버튼 입니다.
    눌러서 켜놓으시면 생방송 알림이 갑니다.
    ==================================
    * 부산MBC 홈페이지
    www.busanmbc.co.kr
    =================================
    #부산MBC다큐 #부산MBC다큐멘터리 #명품다큐멘터리
    #부산MBC #부산문화방송 #문화방송
    =================================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69

  • @user-kh8uq4cm8u
    @user-kh8uq4cm8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근면성 협동심, 강인하면서 정교한 기술들, 정겨운 노동요 등등 세계 유일무이의 최고!!! 정말 멋지고 자랑스러워요! 본받고 배워야 하는데... 자손대대로 이런 귀한 영상을 보게하고, 선조의 피땀어린 얼에 존경심, 민족사랑,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시켜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 자녀들이 세상에 빛이 되는 훌륭한 세대로 자라나는 길일 겁니다.

  • @user-qv1lp6gr4h
    @user-qv1lp6gr4h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한옥은 예술이네요. 이렇게 복잡한 공정을 거치는지 몰랐습니다. 대단합니다.

  • @manggong2943
    @manggong2943 ปีที่แล้ว +10

    조상님들의 한옥에 대한 장인정신과 한국의 얼을 담은 건축이 정말 멋있습니다...

  • @user-de1mu2pd6x
    @user-de1mu2pd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진짜 대단하다는 말 밖에 안나온다

  • @user-kf8ri3wb5l
    @user-kf8ri3wb5l 2 ปีที่แล้ว +19

    진짜 선조들 대단함 한옥은 진짜 한국의 자랑

  • @user-db4ew6ni8d
    @user-db4ew6ni8d ปีที่แล้ว +7

    잘봤습니다 ^ ^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두고 두고 남겨둘 귀중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 구독합니다...

  • @user-ji8mq6ul8w
    @user-ji8mq6ul8w ปีที่แล้ว +10

    진정한 기술자님들 이시다.존경 합니다

  • @kalbee2186
    @kalbee2186 2 ปีที่แล้ว +19

    고맙습니다.
    새삼
    옛 한옥이 존경스럽기까지
    하면서
    더 귀하게 보존 하겠습니다.

  • @ricestrawdiy
    @ricestrawdiy 2 ปีที่แล้ว +15

    정말 귀한 영상입니다. 보는 내내 눈이 떨어지지 않네요. 👍👍👍👍👍👍👍👍👍👍

  • @toolman7654
    @toolman7654 2 ปีที่แล้ว +9

    선조들의 지혜가 느껴지는 한 편의 영화같네요 감동 자체네요

  • @XTOTX
    @XTOT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와~
    도편수들은 천재아니면 못하겠네여 ㅜㅜ
    저런걸 장비없이 전부 계산해서 미리 제작해놓다니요
    정말대단합니다~

  • @michascarberry3435
    @michascarberry3435 ปีที่แล้ว +6

    와우! 어른신들.장인정신으로 고히.간직해.주셔서 후대에게.알러주십에.감사합니다

  • @kaouathou8407
    @kaouathou8407 ปีที่แล้ว +2

    Merci pour documentaire vous etes vraiment tres forts

  • @ferhyunt
    @ferhyunt 2 ปีที่แล้ว +22

    한옥공부를 시작하는 학도로서 아주 귀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 @ddd-wn4ij
    @ddd-wn4ij 2 ปีที่แล้ว +5

    정교함 예술입니다
    이집트 피라미드 못지않은 건축기술이네요 ㅋㅋ

  • @toystory79
    @toystory79 ปีที่แล้ว +2

    bgm오지네요 ^^ 와 옜날 모습 참,,대다나다

  • @seomelong
    @seomelong ปีที่แล้ว +5

    부산 MBC에서 귀한 영상들 많이 올려주셨었네요 와

  • @BhangRonBooks
    @BhangRonBooks ปีที่แล้ว +6

    07:53 달구질 [달구질] (명사) 달구로 집터나 땅을 단단히 다지는 일.
    10:16 주춧돌 [주춛똘/주추똘] (명사) (건설) 기둥 밑에 기초로 받쳐 놓은 돌.
    14:23 자귀 (명사) 나무를 깎아 다듬는 연장의 하나. 나무 줏대 아래에 넓적한 날이 있는 투겁을 박고, 줏대 중간에 구멍을 내어 자루를 가로 박아 만든다.
    15:00 목도 [목또]
    1. (명사) 두 사람 이상이 짝이 되어, 무거운 물건이나 돌덩이를 얽어맨 밧줄에 몽둥이를 꿰어 어깨에 메고 나르는 일.
    2. (명사) 목도를 할 때 짐을 걸어서 어깨에 메는 굵은 막대기.
    15:50 흘림기둥 [흘림끼둥] (명사) (건설) 기둥몸이 기둥뿌리나 기둥머리보다 배가 부른 기둥. 민흘림기둥, 배흘림기둥 따위가 있다.
    19:41 그랭이 [그랭이] (명사) (건설) 나무 기둥, 돌 따위가 울퉁불퉁한 주춧돌의 모양에 맞게 다듬어져 기둥과 주춧돌이 톱니처럼 맞물린 듯 밀착되는 일.
    20:17 다림 (명사) 수평이나 수직을 헤아려 보는 일.
    23:10 보아지 (명사) (건설) 기둥머리에 끼워 보의 짜임새를 보강하는 짧은 부재(部材).
    24:08 창방 (명사) (건설) 한식 나무 구조 건물의 기둥 위에 건너질러 장여나 소로, 화반을 받는 가로재. 오량(五樑) 집에 모양을 내기 위하여 단다. 한자를 빌려 ‘昌枋’, ‘昌防’으로 적기도 한다.

  • @user-jv3jv9ot7p
    @user-jv3jv9ot7p 2 ปีที่แล้ว +5

    멋진영상 감사합니다.

  • @roypaulcarter4654
    @roypaulcarter4654 2 ปีที่แล้ว +2

    Very interesting so hard to pull my eyes away from this video. God bless.

  • @ceoman8
    @ceoman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세금으로 뻘짓말고
    이런분들 보전해라

  • @user-qb6ds1db8j
    @user-qb6ds1db8j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서양의 집 만드는거 보다 한옥 짓는거 보니까 정말 대단하다. 진짜 존경스럽고 기계보다 더 정교한거 같다

  • @user-vp2fr6zt6x
    @user-vp2fr6zt6x 2 ปีที่แล้ว +6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user-tc7it7ps4f
    @user-tc7it7ps4f ปีที่แล้ว +2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이토록 과학적인 건축물은 없다
    우리나라 옛 사람들의 뛰어난
    건축 기술의 Dna 가 오늘날 건축과
    과학 학도들에게
    옛 사람들의 정신이 고고하게 흐르고 있다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 아미타불 관세음 보살

  • @artembelozerov8320
    @artembelozerov8320 2 ปีที่แล้ว +6

    Отличный фильм, всё наглядно, спасибо!

    • @melodia5605
      @melodia5605 2 ปีที่แล้ว +1

      вот ещё бы русские субтитры добавили бы!

  • @user-ov7it6hd6v
    @user-ov7it6hd6v 2 ปีที่แล้ว +6

    예술...

  • @tomeproperties7500
    @tomeproperties7500 ปีที่แล้ว +1

    Thank you

  • @daehokim307
    @daehokim307 2 ปีที่แล้ว +3

    귀한자료네

  • @user-py2kp5bx1e
    @user-py2kp5bx1e ปีที่แล้ว +2

    이분들이 진정한 목수 이십니다.
    내장목수 인 저는 부끄럽내요

  • @user-wu4es7wt4e
    @user-wu4es7wt4e ปีที่แล้ว +4

    또다시 34년후 더 중요한 자료가되겠내요

  • @user-yx7fj4hx3x
    @user-yx7fj4hx3x 2 ปีที่แล้ว +3

    이야 지금은 웬만하면 기계 공구와 장비로 다하는데 대단 하다.

  • @user-dg8nn6bm4w
    @user-dg8nn6bm4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언제나 잘보고갑니다
    2023.12.27

  • @user-er9zr6gh6b
    @user-er9zr6gh6b 2 ปีที่แล้ว +6

    이 도편수 어른신분들 생존하고 계실지 궁굼하고 한옥은 이렇게 짓는게 제일 좋은데...!!!

  • @beumchoi5187
    @beumchoi5187 2 ปีที่แล้ว +7

    미국의 주택 문화가 견고하지 못해서 허리케인 반복되는 지역에서 미국식 건축물은 바람의 양력을 받아서 집이 통째로 부양력을 받아서 날가서 수10m 공중부양 했다 중력으로 추락해서
    인명피해와 주택이 완파되는 사고가 반복되는 현상이 계절풍같은 허리케인으로 미국의 주택이
    각구목으로 못으로 손가락 크기의 볼트나트로 고정되어서 형태를 유지하다 강력한 시속 300km
    돌풍에 날아가서 부서지고 마는 현상을 반복합니다.
    정방향 사각형으로 집을 지어서 비행기 날개처럼 양력을 받지않는 구조로 아취형 집붕을 만들고 아취사이공간을 스라브를 만들어서-1층 1층 2층 3층으로 건설한다면 양력을 만들지 않아서
    허리케인에 대항하는 주택이 될 것입니다.

    • @user-ux9hz2vy6d
      @user-ux9hz2vy6d 2 ปีที่แล้ว +4

      한옥은 기와지붕+흙으로 그 무게로 눌러서 견고함을 유지하는겁니다
      미국 목조주택은 전체적으로 가볍고 지붕도 가볍습니다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ปีที่แล้ว +4

      허리케인에 날라가는 경우는 별로 없고, 토네이도 에 날라가죠.
      그런데 토네이도 정도면 전통 한옥도 별수 없죠.

  • @melodia5605
    @melodia5605 2 ปีที่แล้ว +7

    Please, make russian subtitles !
    Пожалуйста, включите русские субтитры! Очень интересно послушать объяснения о том, как строят ханок!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ปีที่แล้ว

      what you see should be enough, if you want to learn the technique.
      narration is mostly naming the tools and name of techniques and processes.

  • @olalla8398
    @olalla8398 ปีที่แล้ว +2

    귀기둥 오금법이 자동차의 캠버와 토우인 원리네요

  • @user-tk7tz8lr2u
    @user-tk7tz8lr2u 2 ปีที่แล้ว +1

    재미있어요 제가 목수할때랑 다 똑같은데 대들보 올리는 방틀(방송에서는 물레) 쓰는건 말로만 들었지 첨 보는거구요 자귀나 도끼도 쓰기는 해도 저만큼 많이 쓰지는 않았네요 목수일 관둔지 10년 넘었는데 기계 쓰는거 빼고는 화면이랑 많이 다르지는 않아요^^
    목도 하는거 선자 거는거 지금이랑 똑같다 보시면 됩니다.

  •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2 ปีที่แล้ว +12

    둥근 기둥은 왕실에서 사용했으며 양반들과 평민들의 집에 사용하는 기둥은 사각형으로 만들었죠.

    • @user-ih5ij4ox3b
      @user-ih5ij4ox3b 2 ปีที่แล้ว

      근거는요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ปีที่แล้ว +3

      꼭 그런건 아니고.
      궁궐 에서도 중요 전각은 둥근기둥, 좀 덜 중요한 건물은 사각 기둥을 쓴건 사실인데,
      어떤 경우엔 회랑 기둥도 둥근 기둥을 사용 했죠.
      평민들은 거의 껍질 벗긴 나무를 별로 다듬지 않고 썼기 때문에, 나무 자체의 둥근 모습의 기둥을 쓴 경우도 많고.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2 ปีที่แล้ว +1

      조선시대는 계급사회 시대라, 평민은 한옥에서 아예 못 살앗는데 ㅋㅋㅋ,,, 서민들은 조선 초기만해도 초가집은 커녕 움막에서 살앗는뎅

    • @jeong1498
      @jeong149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분말 맞는데 딴지들을..

  • @yuhyunbyul
    @yuhyunbyul 2 ปีที่แล้ว +7

    무형문화재네

  • @aassddqq9563
    @aassddqq956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앞으론 실가네란말 안쓰고 그랭이라 써야겠네요

  • @user-xl2wx9vt4t
    @user-xl2wx9vt4t 2 ปีที่แล้ว +3

    이런 옛날공법으로 집을 만들면 공사비가 얼마나 할까 궁금하네요

    • @avan3771
      @avan3771 ปีที่แล้ว +1

      현대공법 평1천만원 정통3배이상

  • @sgoon21
    @sgoon21 ปีที่แล้ว

    와 부산도 한옥 만드네…

  • @danhwina9012
    @danhwina9012 2 ปีที่แล้ว

    앞에 나래이션에서 “우리가 저 끝없는 저 00의 끝없는 세월동안” 할때 00이 무어라 하는건가요?

    • @user-eb1mp9io6j
      @user-eb1mp9io6j ปีที่แล้ว +3

      '시원' 입니다. 한자로 始原 이며 어떤 사물이나 상황이 시작되는 처음을 나타냅니다. 우주에서 빅뱅이 일어난 이후 무언가 생명체가 생기기까지 수십억년의 세월이 흘렀듯이 처음 무언가가 태동하여 형태를 갖추기 까지 엄청난 시간이 흘렀을 거란 것이겠죠?

  • @murizori
    @murizor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27

  • @user-gi9gr5xv3z
    @user-gi9gr5xv3z ปีที่แล้ว

    49:32

  • @hiyo456876
    @hiyo45687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ㅇㅏ주 옛날도 아닌거 같은데 도끼로 나무를 베네요

  • @user-eb1mp9io6j
    @user-eb1mp9io6j ปีที่แล้ว +1

    도대체 누가 자막 처리를 했는지. 외국인에게 부탁한 건지 아니면 초등생에게 나래이션을 듣고 자판을 쳐넣으라 한 건지... 이 좋은 화면을 이토록 엉망으로 ...쯧쯧쯧

  • @nodu5250
    @nodu5250 ปีที่แล้ว +2

    난 초가집에서 태어났다. 지금은 집으로 대접해주지도 않는 그런 집이다. 그런데 감히 선진국 대한민국의 전통 가옥이라 나설 수 있겠는가? 하지만 내 어릴 때 마을에 한 두 집이 기와집이었고 나머진 죄 초가집이었다.

    • @user-dg8nn6bm4w
      @user-dg8nn6bm4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러게요.
      사실 한옥이라하면 기와집보다 초가집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을텐데...
      기와집만 조명받는 현실이 이상한..
      나중에 한국이 망하면 그당시 집이라고 소개하는게 네모반듯한 아파트가 아닌
      시그니엘만 소개하는꼴..😅

  • @saejongdaewang
    @saejongdaewang ปีที่แล้ว +1

    조선시대 사람들도 저렇게 했을텐데 저런걸 어찌 다 알아 냈을까....ㅋ

  • @beeisun93
    @beeisun93 2 ปีที่แล้ว +1

    전통한옥이
    궁궐같은 대궐기와집만 있냐?

  • @user-ch9ns7jz7v
    @user-ch9ns7jz7v 28 วันที่ผ่านมา

    으아 전기 대패 안쓰고 그냥 대패로 다 하네

  • @userJames-Miner
    @userJames-Miner ปีที่แล้ว +5

    저방식대로 지금 지을라면 평당 얼마나 줘야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