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40주년 특별기획 - 임을 위한 노래 (Long Ver.) ㅣ KBS방송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1 พ.ค. 2020
  • “기억은 그대로 머물러 있고
    세월만 지나버린 느낌이에요."
    1980년. 광주에서 중학교를 다닌
    작곡가 김형석이 재탄생시킨
    🔊 '임을 위한 행진곡'!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특별기획
    '임을 위한 노래'
    2020년 5월 18일 (월) 저녁 7시 40분 KBS1TV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3

  • @junoya5417
    @junoya5417 4 ปีที่แล้ว +21

    83년 중학교 1학년 광주 출신 제 친구는 5.18 이야기가 나오면 아무말도 못하고 주먹으로 가슴을 내리쳤습니다. 나는 그 친구를 이상 놈이라고 생각했으나 대학에 가서 5.18일 광주를 알게되곤 왜 어린 중학교1학년 학생이 광주의 왜곡된 이야기에 한마디 반론도 못하고 그냥 가슴을 내리쳤는지 조금은 알게 되었습니다. 그 친구의 멍든 가슴이 이제는 조금 위로가 되었으면 합니다.

  • @user-zg6pw5zt8j
    @user-zg6pw5zt8j 4 ปีที่แล้ว +19

    5살.... 불타버린 자동차 부서진 자동차... 동네애들과 그냥 놀았던 그때였고 시간이 지나 카톨릭회관에서 비디오상영회에서 518비디오를 보고 너무나 충격이었고 저게 정말 우리나라에서 일어났었던 일이었는지 알아보고..... 그때 철없던 내가 그날 당신들때문에 이좋은 세상을 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user-ko7sg6li5x
    @user-ko7sg6li5x 3 ปีที่แล้ว +6

    감사합니다 김형석 작곡가님..이렇게라도 다시한번 518이 알려지네요..! 감사합니다 광주 시민분들

  • @user-qh3tg7sj6k
    @user-qh3tg7sj6k 4 ปีที่แล้ว +8

    감사합니다

  • @EugeneBH68
    @EugeneBH68 4 ปีที่แล้ว +51

    김형석님은 자신이 가진 재주로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회에 기여하는 그 모습! 참으로 보기 좋고 너무 부럽습니다.

  • @user-je4jr2gw2c
    @user-je4jr2gw2c 3 ปีที่แล้ว +3

    잘 듣고 갑니다 이때 정말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이 일어났지요 제고향도 남쪽입니다.

  • @kmh123ft
    @kmh123ft 4 ปีที่แล้ว +13

    remember 5.18(ㅠㅠ)

  • @user-zs3ul1cn6w
    @user-zs3ul1cn6w 4 ปีที่แล้ว +6

    당시에 고3이였습니다
    가슴이 너무 미어집니다

  • @user-yy3iy5dx3u
    @user-yy3iy5dx3u 4 ปีที่แล้ว +8

    앞서서 나간 분들은 사라졌지만 깃발은 남으리..........

  • @so-what930
    @so-what930 4 ปีที่แล้ว +6

    너무 피아노를 잘쳐요~

  • @user-ts1qk8jm7w
    @user-ts1qk8jm7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서울의봄 예고편을 보고 왔습니다. 광주의 아들 故정선엽 병장님의 명복을 빕니다.

  • @mayakim2005
    @mayakim2005 4 ปีที่แล้ว +28

    김형석 광주아들답다

  • @user-sn1mr7wb7g
    @user-sn1mr7wb7g 4 ปีที่แล้ว +14

    친척분이 그해...광주길목 다막아놔서...
    아픈아이..데리고...광주병원갈려고...
    목숨걸고 넘어갔다고...하시던데...

  • @user-sm4or3tt9h
    @user-sm4or3tt9h 3 ปีที่แล้ว +1

    무기고 습격도 민주화 냐........

    • @user-cl5mb9rh6e
      @user-cl5mb9rh6e 3 ปีที่แล้ว +3

      그럼 프랑스혁명도 폭동이냐?

    • @user-kb6nn1rl3l
      @user-kb6nn1rl3l 3 ปีที่แล้ว

      @@user-cl5mb9rh6e '혁명' 은 애초에 폭력 행위가 내포되었을 수 있다는 의미고...5.18은 목적은 민주화였지만 과정은 결코 평화적이지 않았으니 '운동' 보다는 '투쟁', '봉기' 등의 용어가 적합하다고 봄

    • @user-tx2mv8tm2g
      @user-tx2mv8tm2g 3 ปีที่แล้ว +2

      좆까네

    • @3000Sync
      @3000Sync 2 ปีที่แล้ว

      @@user-kb6nn1rl3l 현재의 명칭인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민주화 직후인 1988년 3월 24일 노태우 정부 산하 민주화합추진위원회가 사건을 민주화운동으로 규정하면서 나왔다.[13] 이후 국회 진상조사특위가 구성될 당시 통일민주당, 평화민주당 측에서는 "민주화투쟁"이라는 명칭을 주장했으나, 노태우가 총재, 전두환이 명예 총재를 맡고 있던 집권여당 민주정의당은 '투쟁'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경우 투쟁의 대상인 신군부의 책임이 불거질 것을 우려하여 민주화운동"이라는 명칭을 고집하였다.[14] 결국 이에 통일민주당 측이 타협하면서 "민주화운동"으로 합의되었다. 이후 문민정부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계승"을 자처하고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정부에서 "민주화운동"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함에 따라 공식 명칭으로 자리잡았다.
      한편, 신군부의 군사독재와 폭력에 맞선 민중항쟁을 광주 민중들이 주도했다는 사실을 강조한 '광주민중항쟁' 또는 '광주항쟁'도 지역 사회와 5월 단체 등이 중심으로서 1980년대부터 사용됐다. 사건이 일어난 날짜를 딴 '5·18'도 널리 통용되는 명칭이다.

    • @mementomori1575
      @mementomori1575 2 ปีที่แล้ว

      미얀마보고도 그런 잡소리가 나오냐? 그들이 흘린피로 이룬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혜택은 너같은 버러지들이 보는구나.

  • @user-zp3uw3tt9g
    @user-zp3uw3tt9g 4 ปีที่แล้ว +3

    왜 518 폭동이 왜 일어난지는 모르겠찌만
    확실한건 저렇게 무기들고 돌아다니면 제압해야 됨
    폭동은 단어인데 사전적 정의가 틀렸다하면 내가 머라해야되냐??
    민주화를 위한 폭동이라곤 최소한 해야되는 거 아님??

    • @user-eu1sp5nx9w
      @user-eu1sp5nx9w 4 ปีที่แล้ว +14

      폭동이래~ ㅉㅉㅉ 무식한건 도저히 해결이 안되지

    • @user-fe8xs7if1y
      @user-fe8xs7if1y 4 ปีที่แล้ว +9

      생각하고 말하기 생각하고 말하기 으휴으휴 인간아 으휴으휴 인간아 으휴으휴 으휴 인간아 잠깐! 말하기 전에 생각하셨나요??잠깐! 말하기 전에 생각하셨나요?? 으휴으휴 인간아 생각좀 으휴으휴

    • @user-em8pp8ft5y
      @user-em8pp8ft5y 4 ปีที่แล้ว +7

      존마니새끼. 그러다 뒤진다.

    • @user-wu1tb3qt2b
      @user-wu1tb3qt2b 4 ปีที่แล้ว +6

      공부좀 하고와라 아가야 ㅡㅡ 왜사냐 역사공부좀하고 댓글달자. ㅁㅈㄹ

    • @ysyu1470
      @ysyu1470 4 ปีที่แล้ว +6

      총들고 무장하면 다 폭동인가요?
      '내란에까지 이르지 아니하였으나 집단적 폭력 행위를 일으켜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어지럽게 하는 일.' 이게 사전적의미인데
      80년 당시에 저렇게 얘기 했었지만 실상은 그게 아니었다니까요?
      광주시민이 무장한것은 먼저 자신들에게 해를 가하는 계엄군을 향한것이고 자기 보호를 위함이었습니다.
      아시다시피 계엄군이 시외곽으로 철수한 이후 광주에서는 폭동이라고 불릴 만한 일이 단 한건도 신고가 되지 않았습니다.
      무장한 시민군의 총이 향한곳은 오직 광주에 내려와서 무자비하게 시민들을 공격하는 계엄군 이었고 그 끝에서는 전두환이 있었다구요..
      즉, 그 방향이 명분이 없는 비상계엄령은 해제하고 하루빨리 직선제로 대통령을 뽑게 해달라는 요구였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이게 민주화로 가기위한 저항운동 = 민주화운동이 맞는거잖아요..
      제발 쫌 다른 시각에서도 봐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