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중급] 릴레이에 대한 모든 것!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2 ก.พ. 2019
  • 릴레이는 왜 쓰는지, 원리가 뭔지 알고 계신가요? 릴레이 모듈과 아두이노를 연결하는 방법, 그리고 220V AC 전원은 어떻게 연결하는지까지 전부 다 알려드립니다!
    //전자부품 구매 링크
    1. 정품 아두이노 우노 R3 정품 (Arduino UNO R3)
    mecha.kr/QCFrKp
    2. 아두이노 우노 R3
    mecha.kr/QDahCO
    3. USB 전원,통신 케이블 50cm (아두이노 우노)
    mecha.kr/dzbR1K
    4. 소형 릴레이 모듈
    mecha.kr/jKVlM2
    5. 점퍼선
    mecha.kr/k8XyVc
    6. 브레드보드
    mecha.kr/R9JD0h
    *1.정품 아두이노 보드 와 2. 아두이노 보드는 기능적 차이는 없습니다. :)
    //러봇랩
    웹사이트: www.lovot.co
    인스타그램: / lovotlab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4

  • @samagui1
    @samagui1 ปีที่แล้ว +1

    간결하게 잘 설명하십니다

  • @user-oz9ov4ef7k
    @user-oz9ov4ef7k 4 ปีที่แล้ว

    마지막 리듬 타는 그르브 죽이네요 ㅎ

  • @user-ld7gj4lw6t
    @user-ld7gj4lw6t 2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가끔 재미있고 유익하게 청취하고 있습니다. 이번엔 제가 조언드리려고 하는데, 릴레이 용도 설명하실때 전류량이 큰 에어컨 on off 를 예로 들어주셨는데요, 에어컨은 on off 제어하시면 망가지기 쉽습니다. 반드시 리모콘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코드뽑아서 몇번 off 시켜보시면 알겁니다. 콤프레셔가 망가집니다. 서버 shutdown 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순차적인 종료절차가 필요합니다.^^

  • @robbiejo9742
    @robbiejo9742 2 ปีที่แล้ว

    마무리가 완벽해서 좋아요

    • @LOVOTLAB
      @LOVOTLAB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user-tl4qh7sb3r
    @user-tl4qh7sb3r 5 ปีที่แล้ว +1

    멋지네요! 채널응원합니다

    • @LOVOTLAB
      @LOVOTLAB  5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alexseongilpark8995
    @alexseongilpark8995 4 ปีที่แล้ว

    릴레이 사용에 도움이 되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220V AC를 사용해서 릴레이 두개까지는 안전하지만 3개 이상에서는 위험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파워서플라이(12V 혹은 24V)를 통해 릴레이(3개 이상경우)에는 어떻게 연결하는지도 동영상으로 알려주시면 정말 많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 @user-zd9pg3rp9x
    @user-zd9pg3rp9x 5 ปีที่แล้ว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아두이노 없이 단순히 리모컨으로 작동이 되는 모듈(1.5v*4개)에서 릴레이 연결하여 조금 높은 전압으로 모터를 작동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릴레이를 여러개 사용하는 방법도 알고싶읍니다....구독..좋아요.....

    • @LOVOTLAB
      @LOVOTLAB  5 ปีที่แล้ว

      말씀하신 모듈에서 어떤 신호가 출력되는지 알아야 연결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에 아두이노를 통해 리모컨 송신 수신 방법에 대해서도 영상을 제작할 예정입니다.

  • @tkdtn9795
    @tkdtn9795 4 ปีที่แล้ว

    화장실에 T5 간접등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모션센서를 설치해서 어두울때는 T5전등이 켜지게하고 스위치로도 T5간접등을 켜지게하려면
    A접점에 스위치 B접점에 간접등을 연결하면 되나요?

  • @GosariMatjip
    @GosariMatjip 3 ปีที่แล้ว

    릴레이가 붙어서 전등이 안꺼지는 현상으로 고생하다가 이곳까지 찾아와서 보고 있습니다. 원리만 이해하고 갑니다. 가끔 전등 안꺼져서 막대로 두들겨서 끄고 있네요 ㅠㅠ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릴레이가 고장 난 것 같네요. 제어방식과 용량 확인하시고 교체하셔야겠네요

  • @cdh3941
    @cdh3941 3 ปีที่แล้ว

    전원이 연결된상태에서 릴레이 모듈만 안만지면 되는건가요?? 아두이노나 아두이노와 컴퓨터와 연결된 포트는 건드려도 상관없죠??

  • @user-ew1gf5pj1d
    @user-ew1gf5pj1d 4 ปีที่แล้ว

    재미있어요

  • @phoenixl5392
    @phoenixl5392 2 ปีที่แล้ว

    질문이요!!
    먼저 220V 전선을 절단해
    콘센트에 꽂을 220V전원선 측과 220V 부하측의 서로 같은 파란색을 각각 릴레이의 com단자와 no단자에 넣었고, 갈색선은 피복을 벗겨 전선을 접속연결해 절연테이프를 감았다는 뜻인가요?
    릴레이 코딩은 어떻게 짜여져 있나요?
    작품에 쓰인 릴레이의 제품명은 무엇인가요?

  • @user-xm1ts5dt9v
    @user-xm1ts5dt9v 2 ปีที่แล้ว

    220V 작업시 가슴 뛰는건 저도 그래요 ㅋㅋㅋㅋ 코드 빠져 있는데, 굳이 한번더 확인하고 ㅋㅋ

  • @gyungun
    @gyungun ปีที่แล้ว +1

    ESP32-CAM보드에서 릴레이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제가 구입한 릴레이는 이 영상의 것이 아니고 모델명이 JQC-3FF-S-Z , 5VDC 이고, 1개당 600원 정도 하는 저가형입니다. 그런데 온오프 신호를 주면 딸깍딸깍 하면서 잘 작동될 때가 처음에 딱 한 번 있었고, 그 다음부터는 특별히 회로를 변화시키지도 않았는데 처음에만 "딸깍" 소리가 나면서 제대로 작동하고 두번째 부터는 작은 "톡" 소리가 나면서 작동하지 않습니다. 원인이나 해결 방법이 궁금합니다.

  • @user-wb4is5ln2u
    @user-wb4is5ln2u 4 ปีที่แล้ว

    그 양쪽에서 묶은 선들이 하나는 조명쪽이고 하나는 전원쪽인가요?
    아니면 원래 하나의 조명선들을 반으로 자른 다음에 갈색선으로 이은건가요? 헷갈리는 이유가 하나는 진한 파랑 하나는 연한 파랑색이기 때문에 별개의 선들처럼 보입니다.

    • @LOVOTLAB
      @LOVOTLAB  4 ปีที่แล้ว

      제가 연결한 방법은 하나는 AC 전원 코드선이고 다른 하나는 조명에 연결된 선이라 색상이 다르네요. 조명선을 끊어서 연결하시는 것과 같습니다.

  • @heric4754
    @heric4754 3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는데 릴레이와 트렌지스터의 차이가 뭔지가 궁금합니다.
    아두이노의 출력 5V DC로 60V AC에 작동하는 부품을 제어 하고 싶은데 릴레이와 트렌지스터 두 차이점을 잘 모르겠어요!
    영상 감사합니다. 많이 배워가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1

      AC를 컨트롤하시고 on/off 만 하셔도 된다면 릴레이를 쓰시구요. 디밍이 필요하다면 조금 복잡해집니다.

  • @ari980316
    @ari980316 3 ปีที่แล้ว +1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 보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여쭤봅니다 혹시 led를 릴레이 모듈로 on/off 조절한다고 할 때 하나의 릴레이 모듈로 여러개의 led on/off 조절이 가능한가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1

      네~~ 여러개를 on off 하기에 적절합니다.

    • @ari980316
      @ari980316 3 ปีที่แล้ว

      @@LOVOTLAB 감사합니다! 그럼 릴레이모듈의 common에 led 여러개를 병렬로 연결하면 되나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1

      네네 맞습니다!!

    • @ari980316
      @ari980316 3 ปีที่แล้ว

      @@LOVOTLAB 감사합니다!! 릴레이 모듈 사용해서 해봤는데 성공했어요!!ㅎㅎㅎ

  • @user-gm7ey7jo7p
    @user-gm7ey7jo7p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남겨요!
    연결할때 레귤레이터는 따로 필요없나요??
    또 하나의 릴레이 모듈을 이용해서 여러 솔밸브중 하나만 열리도록 할 수 있나요..? 아니면 이경우 릴레이모듈 여러개를 써야 할까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컨트롤하고 싶은 솔레노이드 수량만큼 릴레이가 필요하구요. 레귤레이터는 릴레이 전압과 사용 전류에 따라 필요할 수도 없을 수도 있겠네요.

  • @user-be8hd7jv6r
    @user-be8hd7jv6r 5 ปีที่แล้ว

    혹시나 햇갈릴까봐 좀더 자세하게 적을려고 합니다^^ . 쓰리디 프린터는 사용 하셔도 되고요(도면을 올리면 감사하겠습니다),블루투스 Hc-06모듈 사용 하셔도 됨니다,아니면 마음대로 하셔도 되요. 전 댓글에서 고민 많이하셨을 까봐 걱정되서 드리는 댓글이니 어려울것 갔으면 다 하실필요는 없어요>

  • @user-is7mb9kn4t
    @user-is7mb9kn4t ปีที่แล้ว

    릴레이 모듈이 트랜지스터 작용도 하는건가요???

  • @youngbumheo9842
    @youngbumheo984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vcc는 동작할때 지속적으로 5V를 유지 하나요?

  • @porysmail
    @porysmail 3 ปีที่แล้ว

    릴레이 외에 아두이노로 ac가 아니라 11.1v 리포 베터리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할수 있는 작은 제어 스위치 같은것이 있을까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1

      3셀 배터리는 트랜지스터로 스위칭 해줘도 충분 할 것 같습니다.

  • @siyeolchoi7469
    @siyeolchoi7469 4 ปีที่แล้ว

    황+녹 선이 있는 3가닥 전원선을 사용 할 경우에는 어떻게 연결해야 하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ㅠㅠ

    • @sucuhebebdhcujwna
      @sucuhebebdhcujwna 4 ปีที่แล้ว +1

      파란선이나 갈색선 둘중에 하나 연결하시고 나머지는 그대로 이어주시면 됩니당
      접지라서 안쓰면 찌릿찌릿!

  • @user-zl5hx9wm5u
    @user-zl5hx9wm5u ปีที่แล้ว

    12v 구동 릴레이를 외부전원으로 연결하고 신호핀만 아두이노와 직접연결해도 되는 건지,,,,, jd-vcc는 뭔지 ?

  • @kton09
    @kton09 2 ปีที่แล้ว

    궁금한게 있어서 써봅니다.
    트랜지스터만을 이용해서 릴레이랑 동일한 동작하는 회로를 만들수 있나요 있으면 방법좀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 @LOVOTLAB
      @LOVOTLAB  2 ปีที่แล้ว

      SSR를 사용해보세요~^^

  • @user-by9ne4tx2p
    @user-by9ne4tx2p 2 ปีที่แล้ว +1

    전압 5v에 전류 최대 1.5A까지 나오는 발열필름에도 릴레이를 사용하면 작동하는데 문제가없을까요?

    • @LOVOTLAB
      @LOVOTLAB  2 ปีที่แล้ว

      네 문제 없습니다~~

  • @user-uh3yb3nj9d
    @user-uh3yb3nj9d 5 ปีที่แล้ว

    음.. 영상보고 궁금한점 문의드려요!~
    1. 조명에 연결된 전원은 220v를 직접 꼽으신거죠? 화면엔 아두이노의 usb전원만 나와서.. 당연한거겠지만 워낙 초보라 문의드립니다.
    2. 릴레이에 연결시에
    조명의 녹색+노란선은 COM에 연결
    조명의 파란선은 NO에 연결
    조명의 갈색선은 끊어졌기에 다시 연결하신건가요?
    3. 일반적인 +, - 선을 가진 led라고 가정을 해보면
    - 는 COM
    +는 NO에 연결
    이렇게 하면 되나요? ㅎ

    • @LOVOTLAB
      @LOVOTLAB  5 ปีที่แล้ว

      1. 조명전원은 220VAC에 연결했습니다.

    • @LOVOTLAB
      @LOVOTLAB  5 ปีที่แล้ว

      2. 황+녹 선은 없는 2C(2가닥짜리) 전원선입니다. 파란선은 잘라서 한쪽은 COM에 다른한쪽은 NO 연결하고 갈색선은 다시 연결해줬습니다. 자르지 않을 수 있다면 자르지 않는 것이 더 편하겠죠?

    • @LOVOTLAB
      @LOVOTLAB  5 ปีที่แล้ว

      3. LED를 릴레이로 컨트롤 할 일은 없겠지만, (5V) - (릴레이NO) (릴레이COM) - (LED+극) (LED-극) - (저항) - (GND) 과 같이 연결하시면 됩니다.

  • @kwanghaegun
    @kwanghaegun 3 ปีที่แล้ว

    일반 가정의 전등 스위치는 220볼트에 바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지요? 분전반의 리레이를 통해서 나오는 건가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1

      전등 스위치는 뉴트럴라인을 끊었다 연결하게 되어 있습니다.

    • @kwanghaegun
      @kwanghaegun 3 ปีที่แล้ว

      @@LOVOTLAB 그래서 안전한 거군요..굳이 릴레이를 쓸 필요는 없군요.

  • @user-ge4bs9jr7r
    @user-ge4bs9jr7r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영상보고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합니다. 아두이노를 활용해 스마트팜을 구성하려고 하는데도 현재 유동펜을 30a 누전차단기에 물려서 수동으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영상에서 본것처럼 아두이노+30a릴레이 모듈을 활용하면 될것같은데요 예를 들어 am 9~11시는 30분간격 pm 12~6시는 1시간 간격 이렇게 코딩을 일반인이 구현 할 수 있나요?
    릴레이 모듈은 이걸 사려고 합니다. 인터넷에 30a는 잘 안나오더라구오 ㅠㅠ
    m.vctec.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13683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유동펜의 전류량을 확인해보세요. 30A 까진 필요 없을 것 같구요. 코딩 난이도는 간단하지는 않지만 초심자도 도전할만한 정도입니다. 조금 어려운 부분은 RTC(RealTimeClock) 모듈 사용법인데 자료는 많이 있습니다.

  • @user-he7vc5gg8v
    @user-he7vc5gg8v 2 ปีที่แล้ว +1

    아두이노용 릴레이는 5v구동용 12v구동용 두종류가 있든데 아두이노의 출력전압이 5v인데 12v구동용 릴레이 모델을 어떻게 구동시킬 수 있는지....

    • @LOVOTLAB
      @LOVOTLAB  2 ปีที่แล้ว

      트랜지스터로 구동하시면 가능합니다. 예제 찾아보시면 TIP120이라는 트랜지스터 많이 사용합니다.

  •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5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qm1iz4fm7p
    @user-qm1iz4fm7p 3 ปีที่แล้ว

    릴레이를 최대한 딜레이 시킬 수 있는 시간은 몇 분 정도 인가요?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아두이노에서 delay 명령어의 변수는 unsigned long 형의 변수를 사용합니다.
      즉,, delay 는 50일정도 가능합니다....
      레퍼런스 참고하세요.
      www.arduino.cc/reference/en/language/functions/time/delay/
      www.arduino.cc/reference/en/language/functions/time/millis/

  • @user-sq3zm1fm2y
    @user-sq3zm1fm2y 3 ปีที่แล้ว +1

    ATmega128에서도 릴레이를 활용하여도 문제가 없겠죠??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1

      네 사용법은 같습니다~^^

    • @user-sq3zm1fm2y
      @user-sq3zm1fm2y 3 ปีที่แล้ว

      @@LOVOTLAB 현재 128로 릴레이를 제어하여 블루투스 멀티탭을 제작중에 있는데 4채널 릴레이중에 하나가 off시킬 때 딸깍소리가 뭔가 멕아리가 없다고 해야하나... 그러면서 전원이 제대로 차단이 안되는데 릴레이 내부가 고장난 것인가요??

  • @user-dq5pv6rf6o
    @user-dq5pv6rf6o ปีที่แล้ว

    자동차에 릴레이쓰는이유가 뭔가요??

  • @user-nf4ye2uk7s
    @user-nf4ye2uk7s 4 ปีที่แล้ว

    릴레이의 signal에 아두이노의 vin이나 5v를 연결해도 제대로 작동하나요?

    • @sanghyun1991
      @sanghyun1991 3 ปีที่แล้ว

      연결이야 되겠지만, 릴레이를 쓰는 이유가 없을 것 같네요. 신호에 따라서 NO 라인과 NC 라인을 택1하는 게 릴레이인데, 신호 라인에 항상 HIGH 를 주면 NO 라인에 붙어있을 뿐이겠죠.

  • @user-ee8jw8nr6s
    @user-ee8jw8nr6s 4 ปีที่แล้ว +1

    혹시 relay 접점으로 xor 기능구현이 가능한가요?

    • @LOVOTLAB
      @LOVOTLAB  4 ปีที่แล้ว

      릴레이 게이트로 검색해보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 @user-ec4dk6iy8i
    @user-ec4dk6iy8i 4 ปีที่แล้ว +7

    zzzz 마지막에 리듬때문에 뜬금ㅋㅋ피식

  • @user-ew1gf5pj1d
    @user-ew1gf5pj1d 4 ปีที่แล้ว

    시골 하우스 모터에 적용 해도 돼나요?

    • @LOVOTLAB
      @LOVOTLAB  4 ปีที่แล้ว

      제가,, 하우스 모터가 뭔지 모르겠네요.. 릴레이는 DC모터 AC모터 전부 제어가능하니 될것 같습니다.

  • @user-nw3ph3yq1r
    @user-nw3ph3yq1r 4 ปีที่แล้ว

    혹시 AC모터를 쓸려고하는데 아두이노 코드 Blink로 해도되나요

    • @LOVOTLAB
      @LOVOTLAB  4 ปีที่แล้ว

      블링크 코드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깜빡깜빡~ 하면서 모터가 꺼졌다 켜졌다 하며 회전하겠죠.

  • @hr7573
    @hr7573 3 ปีที่แล้ว

    릴레이로 모터의 속도제어는 못하겠죠?

    • @LOVOTLAB
      @LOVOTLAB  3 ปีที่แล้ว +1

      네네 릴레이로는 어렵습니다.

  • @meeeee000
    @meeeee000 2 ปีที่แล้ว

    688

  • @user-zp3ww2le8y
    @user-zp3ww2le8y 3 ปีที่แล้ว

    릴레이를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네.. 그것은 자동제어 임. 자동으로 스위치를 켜고 끄는 것을 할 때 릴레이가 필요한 것임...

  • @user-ic9rt2fl7v
    @user-ic9rt2fl7v ปีที่แล้ว

    릴레이 삼상도 가지고 계시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