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칼! 환도의 역사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2 เม.ย. 2022
  • #조선 #일본 #임진왜란 #이순신 #환도 #조선칼 #무기
    우리 조상님들은 왜 그토록 짧고 약한 칼을 썼던 것일까요? 그리고 그런 칼로 대체 임진왜란은 어떻게 막으셨던 것일까요? 그래서 오 늘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칼! 환도의 역사에 대해 한번 알아 볼게요!
  • เกม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K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78

    *본 영상은 시리즈 중 16번째 영상으로 이전 영상들을 먼저 보시면 더욱 좋습니다.
    (본 영상부터 보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
    1. 칼 시리즈 보기: th-cam.com/video/hfEzUsx3gbc/w-d-xo.html
    2. 창 시리즈 보기: th-cam.com/video/KELXTgQmVqI/w-d-xo.html
    3. 활/석궁 시리즈 보기: th-cam.com/video/UipVIHOjxr0/w-d-xo.html

    • @mathamour
      @mathamour 2 ปีที่แล้ว +3

      설명이 이해 안 되네요. 글라디우스 칼 길이 10cm가 적군보다 짧다? 그럼 방패도 방패지만, 칼 길이 15cm 추가하면 될 일인데, 굳이 칼 길이를 극복하려고 방패를 써야만 했다니요. 고대 중세인도 바보는 아니잖아요

    • @nuskinbiz
      @nuskinbiz 2 ปีที่แล้ว +5

      미국에서 한중일 칼을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방법으로 제작해서 강도 테스트 했는데 일본 칼이 제일 무르고 약했어요. 그래서 사무라이들이 칼 2개를 가지고 다닌 것이고 일본 칼은 몇 번 부딪친 후 망가져서 이후 상대방을 눕히고 작은 칼로 쑤시는 싸움을 했어요. 그래서 접근전에 필요한 유도가 발전한 것이구요. 우리나라는 철기문화가 세계에서 가장먼저 발달 된나라인데 왜도가 더 강할리 만무합니다. 국뽕이라고 호도하기 전에 일본의 거짓된 선전에 속지 마시고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 테스트 영상 보고 이런 영상 올리세요. 당신 동영상 보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왜곡된 사실을 진실로 생각하게 될 지 걱정은 해 보셨나요? 고증을 하려면 다양한 문헌을 참고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세계 최고로 알려졌던 일본의 화지도 최근 우리나라 한지보다 품질이 못하다고 밝혀져서 세계 시장을 90% 이상 석권했던 각국의 유물 공예품 복원에 한지가 사용되기 시작했어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nuskinbiz 무기란 단순히 내구성만으로 위력을 따지는 것이 아닙니다. 일차원적으로 생각치 말아 주세요. 그저 내구성만으로 무기의 우월을 가린다면 돌로 싸우지 왜 철로 싸워요? 제발... 다방면적인 생각을...;;;
      제 영상 중 편이 있으니 보고 오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당시 기록들을 살펴 보면 우리 조상님들이 직접 적의 무기인 일본도를 극찬하시고 또 따라도 하시고 가져다 쓰기까지 하셨는데 무슨... 그 시대를 살아본 적도 없는 우리가 백날 내구성 하나 갖고 우겨봤자 아무것도 변하지 않습니다. 역사는 부끄럽고 받아들이기 힘들더라도 있는 그대로를 봐야 합니다.

    • @mathamour
      @mathamour 2 ปีที่แล้ว +6

      @@Orang_Fantasy 일본도를 극찬했는 지 어쩄는 지는 모르겠고,
      적을 알아야 적을 이긴다는 이유로 일본도를 연구했다고 역사 다큐멘터리에 나옵니다.
      극찬을 했다? 활로 말하자면 화살을 쐈는데, 꽂히는 게 아니라 툭하고 부러지면 적이 ㅋㅋㅋ 하고 비웃겠죠?
      일본도도 툭 하고 부러지면...ㅋㅋㅋㅋㅋ 하고 웃을까요, 안 웃을까요? ㅋㅋㅋㅋ
      혹시 일본도 칼 길이나 날이 예리하다거나 그런 거 칭찬했다면 몰라도 잘 부러지는 거라면 비웃음 당했을 거 같네요.
      고구려군이 압도적인 군사력을 가진 이유를 다큐멘터리에서 봤는데, 화살이 안 꽂히는 갑옷을 발명했다고 합니다. ㅎㅎㅎㅎ
      일본도를 뿌러뜨리는 조선검이면 우월한데요. 단 길이가 짧은 걸 그대로 쓴 게 사실이면 뭐..... 설마 일본이 침략할 줄 몰랐어서 그런 거겠죠. 미리 알았으면 바보도 아니고 .... 일본을 미리 연구했겠죠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mathamour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것보다 일본도의 내구성이 나쁘진 않았습니다. 걍 귀찮으니 제 일본도 영상 ㄱㄱ
      선생님이 본건 걍 무식하게 칼에 칼을 내리치는 실험이었겠죠^^
      그리고 말씀하신 게 맞다면 우리 조상님들은 왜 일본도를 수입해서 쓰셨을까~~~요?
      그리고 왜 일본도 장인에게 기술을 배워와 똑같이 만드셨을까~~~요?
      자꾸 내구성 하나 갖고 우기시는데 다각적으로 생각 안 하실거면 더이상 답글 안 달겠습니다^^
      걍 님이 맞는걸로~

  • @user-tb8ke8yt8w
    @user-tb8ke8yt8w 2 ปีที่แล้ว +17

    오랑님 동양 판타지 이야기가 끝나면 중세 나라별 계급과 차이들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오랑님 영상이 정말 많은 부분을 참고할 수 있어서 막힌부분이 많이 뚫렸습니다 그런데 이게 시민으로 시작할땐 좋은데 귀족으로 시작할땐 계급을 정리를 해야해서 머리가 아파오기 시작합니다 영상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음...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 꼭 다뤄 볼게요! 아직은 시리즈 끝내야 하는게 너무 많아서요ㅠ

  • @hsl2667
    @hsl2667 2 ปีที่แล้ว +5

    많은 것을 알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IDA5446
    @IDA5446 2 ปีที่แล้ว +348

    조선 병사의 3분의2가 활을 다뤘다는 건 정말 놀라운 일이네요. 세계적으로 보면 궁병은 정말 육성하기 힘든 전문 병종으로 분류되어 많은 수를 운용하기는 어려웠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말이죠.

    • @gomg4944
      @gomg4944 2 ปีที่แล้ว +58

      조선활도 비싼무긴데도 말이죠

    • @kokekuka24
      @kokekuka24 2 ปีที่แล้ว +86

      당시 조선군이 상정한 전장상황이란게 조선의 지형 특성상 평야지대에서의 백병전보단 산악지형(산성)에서의 수성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조선중기 이후엔 근접병과를 사실상 포기한 대신 활이나 화포 등 원거리 전투에 몰빵한 것임. 조총의 전래 이후엔 이게 활을 대체했고

    • @user-un8xk6mt2x
      @user-un8xk6mt2x 2 ปีที่แล้ว +31

      @@gomg4944 비싼건 합성궁이고 가난한 자는 목궁씀.

    • @user-un8xk6mt2x
      @user-un8xk6mt2x 2 ปีที่แล้ว +8

      @@gomg4944 비싼건 합성궁이고 가난한 자는 목궁씀.

    • @normal77079
      @normal77079 2 ปีที่แล้ว +47

      조선은 활을 심신을 연마하는 도구로 인식하기도 했고 남녀노소를 가리지않고 배울 수 있었으니까요. 사대부의 여성이라해도 활을 다룰 수 있었죠.

  • @anton503hvt
    @anton503hvt 2 ปีที่แล้ว +10

    화약무기 시리즈도 다뤄주세요!
    머스킷부터 최초의 대포에 중국의 주화나 신기전 같은거요

    • @user-hi9ut6wb6i
      @user-hi9ut6wb6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니죠 공성무기 포차가 가장 좋겠음 사람들이 달라붙어 줄을 당겨서 상대에게 묵직한 바위 덩어리를 날려 선물하는 신선 한 무기죠 ㅋ 돌덩이만 아니라 집단에 불을 붙여 불덩이도 날려댑니다 이를 화포라 합니다

  • @WishJMoon
    @WishJMoon ปีที่แล้ว +14

    영상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주관으론 조선시대에는 원딜의 민족이자 농사의 민족이라 할만큼 평소엔 농사를 하다가 전쟁 시 농사짓던 예비군이 자신의 소속 집결지에 모여서 지휘관을 따르는 방식이었기에 (물론 상비군이있긴하지만) 오히려 도검의 무기는 적합하지 않은 무기가 아닐까 생각됩니디. 실제로 편곤이라는 무기가 칼보다도 농사짓던 조선에선 더욱 유용했고 정기룡같은 명장들도 이러한 무기로 놀라운 성과를 갱신한 부분이있죠 거기다 이후 서적에 기록된 진법등을 보더라도 창과 편곤 활이 중심이지 칼은 중심적인 무기가 아니었던걸 보면 주력 냉병기의 차이일뿐 임진왜란 후반부나 정유재란때의 전쟁양상을 보고 감히 추측해보자면 당시 조선엔 굳이 검을 주력으로 사용하고 검을 강하게 만들 필요성이 없던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시 한번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wnsdyd0628
    @wnsdyd0628 ปีที่แล้ว +1

    제가 가장 좋아하는 조선 환도를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혹시 영상에 나온 브금들 알수 있을까요?

  • @kor_nation
    @kor_nation ปีที่แล้ว +1

    역사 공부 배워갑니다. 책 내셔야 할듯 책 내시면 꼭 사볼게요

  •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2 ปีที่แล้ว +131

    조선 조총병에 대한 그림을 보면 환도의 길이뿐만 아니라 패용법에서도 조선군이 원거리 공격을 주로 하는 군대임을 잘 보여주지요.

    • @HotSoil510
      @HotSoil510 2 ปีที่แล้ว

      조선왕국은 중국에 사대하던 제후국이었음....무기는 필요없었음...중국이 지켜줬기 때문임....군대도 없었음.자신을 지키는 한양중심의 소수근위군 뿐이었음...백성들로 부터 자신을 지키는 사병.

    • @user-sg9gx5ei8s
      @user-sg9gx5ei8s 2 ปีที่แล้ว +4

      ㅇㅈ

    • @user-qm4ut2yl8n
      @user-qm4ut2yl8n 2 ปีที่แล้ว +1

      ㅇㅇ 원딜위주로 찍었음

    • @user-fd9pt4jh4z
      @user-fd9pt4jh4z 2 ปีที่แล้ว +20

      지금도 포병전력으로만 조지고 시가전 전술훈련은 안함.. 역사는 반복됨

    • @user-yl7qv1gd8d
      @user-yl7qv1gd8d 2 ปีที่แล้ว +12

      @@user-fd9pt4jh4z 각 군 특성따라 자위방위 틀리고 좁혀서 그안에 기능성맞게 훈련 다 맞춰서 돌아갑니다...시가전을 500만군이 할순 없잖아요 A B C D 상황에서 놓고 시가전을 하다 끝을보면 500만군의 인해전술이지 그게.. 본인이 2년 근무하셨던 하시면서 본 군체계가 다가 아닙니다

  • @Uh_sa_park_91.
    @Uh_sa_park_91. 2 ปีที่แล้ว +103

    조선 후기에 들어 짧은칼을 쓴 이유를 또한번 정리하자면, 조선군의 편제 때문입니다.
    조선의 전/후기 역사는 다들 아시다시피 임진왜란 전/후로 나뉩니다. 조선 전기는 영상에 나온데로, 조선군의 편제는 대부분 활, 창, 그리고 집단으로 운용가능한 무기를 대부분 운용하였는데 이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원앙진에서 알 수 있습니다. 원앙진은 창/대나무가지창(낭선)/장창/당파.... 그리고 방패와 함께쓰이는 환도를 사용하였습니다.
    당시 왜구의 전투력은 생각을 초월하는 용병집단의 전문전투집단(대부분 해적)이였으며, 이를통해 정주문명인 조선, 명, 원 등은 대부분 병력편제를 징병으로 메꾸기에 이러한 전투력에서 극심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1) 이에따라 짧은 훈련기간/강도를 요구하였고, 이는 원앙진이라는 편제를 사용하여 왜구의 전투력을 상쇄하고 격퇴하였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전투력=칼의 길이라고 볼 수도 있으며, 개개인의 전투력이 높아 자유자제로 검술을 사용하던 왜구와 달리, 훈련이 덜 된 조선 등 국가 병력편제는 이러한 무기사용의 제한을 강요하였습니다. 이에따라 방어하기 수월한 방패와 함께 쓰일 수 있으며 휴대성과 운용성이 방패와 사용하기 편한 짧은 칼이 선호된 것입니다.
    2) 또한 조선군의 편제가 수성전을 중심으로 한, 지역방위를 중심으로 한 편제로서 창, 당파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중앙군 및 일부 지방군의 훈련이 잘 된 살수를 중심으로 활이 발전(이는 동북아에서 특이하게 발전된 형태, 활은 다루기 힘드므로 대규모 편제가 쉽지않음)하였고, 특히 15세기 말무렵부터 전파된 화약의 사용으로 총통 및 수포를 사용하는 편제가 더 보급되어 사용되는 시작의 시기였습니다. 한마디로 근접냉병기의 쇠퇴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화약은 보급/사용이 어렵고 관리가 까다로우며, 특히 화약의 주재료인 당시 초석은 생각보다 구하기가 어려워 조선도 대규모로 운용하기가 힘들었습니다.
    임진왜란-조선 후기는 냉병기중 칼의 길이, 즉 환도의 길이가 길어졌다가 짧아진 과도기적 시기입니다. 일본군의 전국시대를 통한 정규집단의 개개인 전투력이 어마무시하다보니... 그리고 일본자체가 전국시대라는 긴 내전을 겪음으로서 여러 무기가 발전하였고, 특히 창의 길이가 가문별로 천차만별이나 조선보다 훨씬 길었고, 칼은 말 할 것도 없었습니다. 또한 타네가시마 뎃포(일명 조총)를 사용하는 왜군의 전술은... 전쟁준비가 전혀 되지않은 조선에게 선택과 집중을 강요하였습니다.
    1) 이에따라 임진왜란에 의한 왜의 조선침략시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무기체계로 왜군을 상대해야했고, 왜란동안 빼앗긴 영토를 회복하기위해 조선또한 공격적 편제를 강요받았고 전쟁을 겪으면 겪을수록 조선군도 단련되어 점차 긴 칼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임진왜란 간 일시적 현상으로 보입니다.
    2) 이후 임진왜란을 겪으며 본격적인 명나라 참전에 의해 화포에 대한 군수보급체계가 확립이 되어가면서 화승총의 사용빈도 증가, 조선군또한 화포 및 수포, 조총편제 적극적인 사용에 의해 칼은 주로 주공격용 수단으로서가 아닌 이 사수들을 위한 사수의 자체 방어수단으로 점차 짧게 변화되어갔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임진왜란 이후 호란에서 본격화 됩니다.
    조선에서의 칼은, 아니 동북아 한반도에서의 칼은 고조선 부터 삼국시대와 고려중기까지가 절정에 이른 시기였고, 그 이후부터는 타국의 침략과 영향에 따라 달라졌다고만 보이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선의 칼은 일본도를 배꼈다는 말이 나와도 과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조선도 분명한 보급체계에 따른 편제가 존재했으며 무조건적으로 그렇게 일본에서 왔다고 하는 말은 단순히 역사드라마만 본 개인의 오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7

      와우... 정말 정확하고 해박하십니다. 대박! 맞습니다. 여기의 내용들 전부 제 다른 영상에 이미 있거나 지금 제가 나중에 영상으로 만들려고 조사해 놓은 자료들입니다. 와... 거를 타선이 없네요!

    • @user-qx7fz5xe5q
      @user-qx7fz5xe5q 2 ปีที่แล้ว +9

      닉값 오지심 조선에서 오셨음?

    • @user-rr4hz9mv8o
      @user-rr4hz9mv8o 2 ปีที่แล้ว +1

      제일큰게 실전유무의 차이, 그로인한 무기의 발전(조총,활등을 이용한 전술전략의 차이점)이 임란초기의 상황을 만든게 아닌가싶어요.

    • @user-ix1hp7cr2v
      @user-ix1hp7cr2v 2 ปีที่แล้ว +3

      @@user-rr4hz9mv8o 그러고 보니 화포를 처음으로 사용한 중국도 화약무기 운용병력 육성의 어려움과. 유지 보수 난점. 초기 화약무기의 더럽게 낮은 신뢰성의 환장의 콜라보에 학을 때고 화약무기 발전에 그렇게 까지 투자를 못한 걸로....
      (서양이야 국가가 전투에서도 많아봐야 몇천명이 깔짝거리는데... 중국은 내전에서 5자리수 이상의 병력이 격돌하는 나라다 보니... 보급 문제가 정말심각...)

    • @user-xr3ro5fv6l
      @user-xr3ro5fv6l 2 ปีที่แล้ว

      핵심은 조선은 돈이 없슴. 이것저것 할려고 해도 돈이 없슴. 오줌물, 빗물 받아서 만드는 초석은 한계가 있고.
      사회 자체가 사농공상 이라 엔지니어를 대우를 안해. 그리고 엔지니어가 다 노비야. 칼 겁나 잘만들어도 돈도 안줘.
      이런저런 이유를 가져다 붙여도 조선이란 나라의 체제가 가진 한계에 다 걸리게 되어있슴. 모든것이.
      그래도 우리는 믿는게 있지. 반도의 지형과 기후는 1592년 한해 겨울 왜놈 8만을 보내 버렸지. 한반도가 만만한 땅이 아니거덩. 예전에 거란이 한번 들왔다가 첩첩산중에 추운겨울에 아작났지. 만주벌판에서 말타다 반도는 처음이지? 625때 중공군. 미군도 아작났지.
      반도 의 천혜? 의 자연이 아니였다면 민족정체성을 아직까지 지키는게 가능했을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 감사해야 하나~?

  • @user-tn8lb8vc5u
    @user-tn8lb8vc5u ปีที่แล้ว +1

    그렇죠 한국은 원딜의 나라죠 ㅋㅋ 목소리가 역시 좋아서 그런지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 @user-iw7zx4lb6w
    @user-iw7zx4lb6w ปีที่แล้ว

    잘보고감니다~

  • @UNKN0OWN
    @UNKN0OWN 2 ปีที่แล้ว +71

    정말 좋은 영상과 예전부터 궁금했던 일본도나 환도의 역사에 대해서도 잘 알게되었습니다
    궁금증을 해소해주는 영상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그리고 오랑님의 무기백과 영상들과 다른 역사무기 유튜버들과의 자료를 보면서 느낀거지만
    거의 대부분 무기들은 전투교리로 인해 무기가 발전하는거 같네요
    무기백과 소재가 어느 정도 끝나시면 각나라나 단체등 전투교리쪽에 대한 소재의 영상도 부탁드리고 싶네요
    무기편제나 병사편제 식량 탄약 보급등 가장 상위에 있는게 전투교리라는게 더 와닿네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6

      와 그것도 정말 좋은 아이디어네요! 감사합니다.

  • @mongmongmong7268
    @mongmongmong7268 2 ปีที่แล้ว +36

    역사를 잊으면 안되는 이유가 이런데에 있는것이죠.
    나라가 평화롭다고 군대를 등한시 한다면 언제든 침략을 당할수 있다.
    국방비를 횡령하지 말고 알차게 썻으면 좋겠다.

    • @user-uw8rf7jl2m
      @user-uw8rf7jl2m 2 ปีที่แล้ว

      횡령.. 전반적인 나는 군대 안가는데 딴 사람들은 국방 열심히 했으면 좋겠다는 당나라 군대가 되가는중인데 노답이죠

    • @Levis502tpd
      @Levis502tpd ปีที่แล้ว +1

      국국통수권자가 군면제인데 뭐

    • @KrMorgan12
      @KrMorgan1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통령 바껴서, 다시 기강잡고 있음.

  • @user-ni9vo7pk1r
    @user-ni9vo7pk1r 2 ปีที่แล้ว +1

    영상 수고하셧습니다 조선편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아직 조선의 칼 시리즈가 많이 남았으니 다음편도 기대해 주세요!

  • @chongaghimsse
    @chongaghimsse 2 ปีที่แล้ว

    이런 채널이 있었구나 재밌네

  • @madkya1335
    @madkya1335 2 ปีที่แล้ว +48

    판타지하면 칼, 활, 창 등 기본적으로 매력적인 무기들이 많은데요.
    혹시 특수한 경우를 대비한 무기들을
    다뤄주실 수 있으신가요? 오랑님.
    예를 들어 소드브레이커 같은 칼입니다.
    아니면 특수한 외형과 그 무기를 쓴 전사들도 다루어 주셨으면 합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2

      오 다뤄보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user-mm2qr4fr9x
      @user-mm2qr4fr9x 2 ปีที่แล้ว

      차~

  • @saemgolbejjang-i
    @saemgolbejjang-i 2 ปีที่แล้ว +4

    와,, 설명대로의 환도의 5~60cm면, 창병들은 당연하고, 일반 인본도와의 전투에서도
    심각한 어려움이 있었겠네요 ㅜ ㅜ 길기로 유명한 노다치 들고 덤비는 왜병과의 근접전이였음
    너무 끔찍했을듯 합니다. 이런사실은 또 처음 알았습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오직 영상에서 말씀하신 칼의 길이에 대한 말입니다.^^;; 태클은 무서워요 ㅜ ㅜ)

    • @rkfjfjdnxnzjajk
      @rkfjfjdnxnzjajk 2 ปีที่แล้ว

      조선군이 원거리 사격,기병 특화 군대라 대규모 백병전에서 진거지
      소규모 백병전에서 이긴 기록도 많음

    • @saemgolbejjang-i
      @saemgolbejjang-i 2 ปีที่แล้ว

      @@rkfjfjdnxnzjajk 모르는건 아닌데.. 이렇게 새로운걸 알게돼니... 놀랍기 그지 없네요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2 ปีที่แล้ว +2

    아. 출근전에 올라오다니. 너무 슬프다.

  • @hooniyaaa
    @hooniyaaa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랑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만 오늘 내용에서 말씀하신거 중에 한 가지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칼이 무기 중에 제일 비싸서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고 하셨는데 전량 수입해서 제작하는 물소 뿔이 들어가는 각궁 보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환도가 비쌌을까요? 그냥 칼의 사용 빈도가 줄어든 것은 평화가 지속된 것도 있지만 고려 시절에 각 지열에 존재했던 전문 무사집단이 없어지면서 훈련이 많이 필요한 칼보다 창이나 다른 무기로 대체되어 칼의 사용 빈도가 줄어든게 아닐까 합니다.

  • @user-vq4vf1uh8z
    @user-vq4vf1uh8z 2 ปีที่แล้ว +6

    개인적으로 환두대도 디자인을 너무 좋아합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저도 은근 환두대도 디자인 맘이 가더라구요 ㅋㅋㅋ

  • @wjwnqkedmfwldjek
    @wjwnqkedmfwldjek 2 ปีที่แล้ว +27

    보조무기라 패용 방식도 달랐을뿐더러 가격이 비싸 일반평민이 지닐수가 없는 무기였습니다
    길이도 소태도 정도의 길이에 단병전을 하기에 애매했습니다
    그리고 전술상 원거리 공격후 잔당을 처리하는 방식이었기에 검술자체가 별로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즉 쓰임새가 그리 크지 못했죠
    이러한데 칼 또한 편수검의 형태에 일면평조형 도신이라 공격력 또한 극대화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계륵같은 무기여서 효율성이 너무 떨어진것도 있고요

    • @wjwnqkedmfwldjek
      @wjwnqkedmfwldjek ปีที่แล้ว

      @@user-kd9zz2yp6f 무슨 개소리고?
      영락제가 조선세법을 칭찬했다는 소리는 있으나 립서비스고 숙종이 임진왜란 당시 단병전에서 썰린게 근접병기 교본이 너무 허접해서 그런건데 그거 보완 시켜보자고 군관 김체건 시켜서 일본 신검술 배워오라고 해서 숨어서 훔쳐배워서 왕앞애서 시전해보인게 8대 유파 검술이었다
      화약무기 발달로 의미가 없어지는 냉병기 기술이라 그냥 흐지부지 됐고 환도의 개량화도 물건너 가서 그냥 왜도술이라는 이름으로 무예도보통지에 실린거다
      천유류, 류피류, 토유류 등 4개만 남아서 기록된 거라고...이 나라에서 제대로 기록된건 본국검이랑 조선세법 딱 두개가 끝이다
      그 중에서 조선세법은 24수에서 대부분 실전돼서 8수만 전해지다가 24기 같은 고전 무예 연구자들에 의해 12수까지 복원시킨게 다다
      그것들이 예도라는 이름으로 실렸고 이 반도 역사상 검술로 이름을 날린적도 없고 경단이나 뫄한머루, 기천검 등등 예전에 내려오던 무예들은 전부 춤사위에 가까워서 실용성 떨어지는 사이비 무술이라고 욕처먹은게 언제적부턴데...역사를 아무리 파봐도 이런 계통은 기록이 거의.전무하다
      일본도가 뛰어나단게 아니라 사실을 전달하는건데도 이상한 티비 프로에 나오는 패널들 말만 믿고 국뽕 한사발 들이키면 너도나도 재야사학이 돼서 찬양만 하니 역사자체가 왜곡이 돼지 쯧쯧

  • @user-km3yh3kn3q
    @user-km3yh3kn3q ปีที่แล้ว

    본 영상에서 자료화면으로 나오는 영화 어떤영화인가요 ?일본군이랑 육상전하고 있는 장면나오는.. 그리고 조총쓰고있는 조선군 나오는 장면은 남한산성인가요?

  • @ahn4773
    @ahn4773 2 ปีที่แล้ว

    썸네일 일러 너무 이쁜데 어디서 구했음...?

  • @maverick3399
    @maverick3399 ปีที่แล้ว +3

    와~ 국뽕이 아닌 객관적이고 냉철한 설명과 방대한 자료까지!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또 국뽕이겠지 생각하고 보다가 퀄리티에 놀라 구독하고 갑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 @sunghyunlee3540
    @sunghyunlee3540 2 ปีที่แล้ว +3

    너무 평화롭다기보단 왠만한 전투는 활로 다 이기다보니 근접도 근접이지만 근접은 최소로하고 원거리에 집중했었다네요. 괜히 활의 민족이 아니죠.

  • @user-ux3oh5cy8b
    @user-ux3oh5cy8b 2 ปีที่แล้ว

    영상에서 말하는 칼의 길이는 칼날의 길이만을 말하나요?
    아님 손잡이를 포함한 길이를 말하나요?

  • @enduranceoh9343
    @enduranceoh9343 ปีที่แล้ว +1

    25년전 M60사수였습니다. 포반 아닌 걸 정말 다행으로 생각했지요. 고생하셨습니다.

  • @orchidviolin
    @orchidviolin 2 ปีที่แล้ว +6

    임진왜란 이후에 일본도를 사용한적이 있긴 했죠 그런데 오히려 임진왜란 이후에 조선에서는 화승총이 더 많이 쓰이긴했다네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네. 그래서 조선 후기에 오히려 환도가 다시 후퇴했죠ㅠ

  • @rupael1
    @rupael1 2 ปีที่แล้ว +3

    기록 사실과 다른 내용이 많네요

  • @jeank2461
    @jeank246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랑의 무기 사전 플레이 리스트를 쭉~ 보고 있는데 중간에 간다효님 영상이 하나 껴 있네요 ㅋㅋ 뭐죠 이건ㅋㅋ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헐!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확인 후 지워야겠네요!

  • @사적돌
    @사적돌 ปีที่แล้ว +1

    조선말 환도길이 처음 사진으로 접했을때 충격이었지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ปีที่แล้ว +1

      제가 처음 본 것도 46cm짜리였나 그래서 진짜 놀랐었죠. 애들 장난감 같더군요.

  • @User-qwerasdf123
    @User-qwerasdf123 2 ปีที่แล้ว +42

    오랜 평화때문에 오죽했으면 류성룡이 징비록에서 그냥 대충 활만 쏠줄 알면 군관, 즉 장교로 채용했다고 할 정도였으니 말 다했죠. 게다가 침입에 대비한답시고 축성을 하긴 했는데 방어에 비효율적으로 규모만 크게 쌓은데다 그마저도 노역에 동원된 백성들의 반발로 무산되었죠. 그리고 아무리 수성전과 방어전이 주라지만 원거리는 잘싸우는데 근접만 붙었다 하면 깨졌다는 기록도 종종 나왔구요. 그래서 근접전이 딸리는데 근접전이 잦은 일본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명나라에서 척계광이 고안하여 훈련시킨 절강성 군사들의 전술인 기효신서를 도입하여 훈련도감을 통해 삼수병 제도를 육성했을까요.

    • @nickn1991
      @nickn1991 2 ปีที่แล้ว +1

      평화고 나발이고 발전 가능성 자체가 없는 국가임. 일본 왜성을 한번도 점령하지 못한 경험을 삼아서 왜성처럼 벤치마킹을 했더라면 병자호란 때 그렇게 병신같이 망하진 않았을거임. 평화는 핑계지.

    • @user-nh5mv6tn8k
      @user-nh5mv6tn8k 2 ปีที่แล้ว +9

      방어전을 잘 해도 결국 내쫗으려면 야전에서 백병전 해야했으니까
      화기가 발달하고서도 백병전의 전통은 1차 세계대전까지 갔는데 임진왜란 같은 시절에서야 결국 어떤 식으로든 백병전에서 끝내야 했지

    • @user-ln7nx1qx4n
      @user-ln7nx1qx4n 2 ปีที่แล้ว +7

      원거리전에 강한데도 공격도 아니고 수비전에서 자기가 익숙한 땅에서 당할정도면 그냥 훈련, 지휘 차이가 7할 이상은 치는 거 같음

    • @user-vj3qz4ez9v
      @user-vj3qz4ez9v 2 ปีที่แล้ว +7

      우리역사를 보면 오히려 삼국시대가 제일 군력이 강해던 것 같음 그이후로 계속 쇠퇴하고

    • @user-nw2gf9dn3t
      @user-nw2gf9dn3t 2 ปีที่แล้ว +15

      200년 동안 자잘한 전투만 존재했지 전쟁이 없었다면, 세계 어느 나라나 조선과 마찬가지 였을 겁니다.. 당시 평균 수명으로 치면 고조 할아버지도 전쟁을 겪지 않은 사람들이 조선 사람들 이니까요..

  • @user-nw2gf9dn3t
    @user-nw2gf9dn3t 2 ปีที่แล้ว +147

    200 년 동안 전면전 자체가 없었으니.. 세계 어느 나라도 200년 동안 전쟁이 없다면, 조선처럼 될 겁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42

      평화는 군인을 살찌게 만든다죠

    • @icyvo3593
      @icyvo3593 2 ปีที่แล้ว +30

      동의합니다. 한국이 아직도 70-80년인데 200년이면 고조부를 넘어 몇 대에 걸쳐 전쟁이란 기억이 없었을 테니

    • @Winterer78
      @Winterer78 2 ปีที่แล้ว +63

      이런 상황에서도 일본수군 쌈싸먹은 이순신 장군은 그저 빛..

    • @pillseung1804
      @pillseung1804 2 ปีที่แล้ว +2

    •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2 ปีที่แล้ว +22

      200년은 무슨ㅋㅋㅋㅋ
      남북전쟁 휴전된지 얼마나 됐다고
      군인 상태부터 군인 취급까지
      나라가 안망하는게 신기함.

  • @user-nh5mv6tn8k
    @user-nh5mv6tn8k 2 ปีที่แล้ว +1

    혹시 썸네일 그림을 그린 작가님의 이름과 작품을 볼 수 있는 인터넷 주소를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 @user-ke9lk3vu4c
    @user-ke9lk3vu4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검업체에서 파는 조선세법도는 뭔가요?

  • @tskk614
    @tskk614 ปีที่แล้ว +4

    조선은 세계 문명국 역사에서도 보기드믈 정도로 전쟁이 극히 적었던 평화로운 지역이었음.
    더구나 일본, 청과 전쟁을 한번 하고나면,
    그나라들과 다시없을 우방국이 되어,
    수천년간 민족을 괴롭혔던,
    해양과 북방으로부터의 침략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음.
    조선이 인구에서도 세게 상위권이었음에도 전쟁한번없이 망하게 된것도 이런 오랜 평화로 인해 안보관념이 희박해지고 국민들의 투지도 약화된 탓.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그래서 명나라도 조선 보고 고구려 후예 맞냐고 개탄해 했죠.

  • @user-bf8lx9nn7m
    @user-bf8lx9nn7m 2 ปีที่แล้ว +8

    조선군 근접약세는, 세조때 이후로 창기병 비율도 줄이고 근접보다 원거리 위주로 군제개편한것도 큰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 조선 초기에 있던 창 제작법도 소실된거같고. 주적이 북로남왜로 바뀌고 군대도 주적에 맞춰 남북 이원화되면서, 북육군 남수군으로 편제가 고정된것도 원인이 아닐지. 북육군 기마위주 편제라지만 세조 이후로는 궁기 위주였다고하고, 남수군은 당연히 해상요격이 주목표니까 화포, 활 위주 원거리고. 육군도 적이 중장갑을 둘러야 근접 비율도 늘렸을텐데, 왜란 이전에는 활로도 충분히 대적 가능했으니.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2

      맞습니다. 근데 뭐든 적당히란 게 있는데 활 잘 쏜다고 활만 뽑아댔으니... 뭐든 균형 잡힌 것이 좋은데 말이죠ㅠ

    • @user-bf8lx9nn7m
      @user-bf8lx9nn7m 2 ปีที่แล้ว +3

      @@Orang_Fantasy 세조가 욕먹는 여러 이유중에 하나가 군제개편이죠. 원래 조선 근접 중장기병도 있었고, 밸런스있었는데 궁기위주로 대거 개편해서..

    • @user-bf8lx9nn7m
      @user-bf8lx9nn7m 2 ปีที่แล้ว +1

      @@Orang_Fantasy 근데 또 안그래도 기병이 돈먹는 하마인데, 중장기병 육성은 장비+인건하면 조선 경제구조상 너무 많은 돈이 들어가기도하고… 경제구조를 개편해야하는데 그러면 또 유학자들이 거북해하는 상업이 발달해야하니까 딜레마인듯요.

  • @groovEdison
    @groovEdison ปีที่แล้ว

    고구려에 군사에 대해 좀 다뤄주세요
    그들이 쓰던 칼이랑 차는 방식이 되게 특이하다고 들었습니다
    양쪽 겨드랑이 밑에 쌍으로 칼을 차고 다녔다던데

  • @user-ui2ou5ih3d
    @user-ui2ou5ih3d 2 ปีที่แล้ว +2

    판타지에서 필수인 기마병에 대해서 해주실수 있나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다다음 무기쯤으로 나올거 같네요. 기대해 주세요

    • @twosometime2692
      @twosometime2692 ปีที่แล้ว

      역사채널인데 판타지라니...

  • @j8663
    @j8663 2 ปีที่แล้ว +13

    근데 활 보다는 총통을 더 선호 했었던걸로 압니다.
    조선군은 근거리에서 활을 쏘기 보다는 삼총통.사전총통.승자총통으로 쏘고 난후
    뒤로 빠져서 재장전을 하고 그시간 동안
    궁병이 재장전 시간을 벌어주는식으로 싸웠을거라고 봅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2

      네. 맞습니다. 근데 이 영상은 칼이 주제라서요 ㅎㅎ 이해해 주세요.

    • @bubu-ww3wm
      @bubu-ww3wm 2 ปีที่แล้ว

      세종대왕때 많은 총통의 개발이 이루어 졌고 실로 위력이 아주아주아주 뛰어났지만, 영상에서 설명했듯 왜놈들의 100년전쟁동안 조선은 너무나도 평화에 젖어 무능했습니다. 임진왜란 이후 부산성 동래성 등등 내륙에 들어와 전쟁할때만해도 그당시 총통의 사용은 거의 없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용법도 잘 몰랐거나 보급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거 같습니다. 이순신장군의 포를 이용한 전략이 왜놈들을 남해에서 숨도 못쉬게 할정도였는데, 그당시 지상에서 이순신장군처럼 포를 잘 사용 했다면 어쨌을지.. 안타깝습니다. 아 물론 무능한 장군들도 많았던것도 큰 변수였죠.. 오랜 평화의 조선...

    • @dolgum826
      @dolgum826 2 ปีที่แล้ว

      제장전--->재장전

    • @drlee-ww7wy
      @drlee-ww7wy 2 ปีที่แล้ว

      와 진짜 비겁하네

    •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2 ปีที่แล้ว +2

      @@drlee-ww7wy 생존방식인거지 뭐가 비겁해
      그럼 거미줄이라는 함정을 파서
      사냥하는 거미는 존재자체가 비겁한 생물임?

  • @user-ys4ig9mb5x
    @user-ys4ig9mb5x 2 ปีที่แล้ว +3

    우리 조상들 환도 에만 있는 한쪽면만 갈아버린 일면편조 해서 단단한거랑 부드러운것도 잘베어지는 하이브리드 만들었죠 지금도 주방에 많이 있음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글쎄요... 전문가들은 실전에선 별 효용이 없었을 거라고 하더라구요.

  • @mookiss
    @mookiss 2 ปีที่แล้ว +1

    재밌다ㅋ

  • @BUDDYBIN
    @BUDDYBIN ปีที่แล้ว

    혹시 4.2 똥포 쓰셨습니까? 그거 아직도 쓰고 있습니다..ㅠ

  • @freakinchicken
    @freakinchicken 2 ปีที่แล้ว +57

    훈련도감도 임진왜란때 생겼을정도로 그 전에는 직업군인이라는 개념이 영 허접했던거로 알고있습니다 임진왜란 초반에 좍 밀린 이유가 한두가지가 아님 버틴게 용함

    • @user-jjy1015
      @user-jjy1015 2 ปีที่แล้ว

      일단 성종때부터 문관등용에 힘쓰는것때문에 문약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이게 200년동안 지속되다보니 아예 방진 자체를 만드는 장수도 없었다고 했고
      또 임진왜란전 양민보다 노비가 많았으며 그나마 대비를 위해 성벽증축하는것도 백성들과 관리들 불만 폭주로 하다 만것처럼 됐으니....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9

      ㄹㅇ 킹순신 장군님 아니었으면 우리 일본어 썼을뻔;;;

    • @inx2853
      @inx2853 2 ปีที่แล้ว +2

      @@Orang_Fantasy 위로 올라가봐~ 보급 끊으면 그만이야~

    • @user-sl6yv2uh2v
      @user-sl6yv2uh2v 2 ปีที่แล้ว +3

      @@Orang_Fantasy 이순신 영향력이 임란때 크긴 했어도 결정적인건 아니죠. 특히 노량전에서 일본이 명나라랑 평화조약 맺고 후퇴중인걸 공격한건 전쟁범죄임

    • @user-pn4sj2bu5l
      @user-pn4sj2bu5l 2 ปีที่แล้ว

      @@user-sl6yv2uh2v 일본군의 민간인학살 강탈도 전쟁범죄임

  • @user-hd4xu3rq9l
    @user-hd4xu3rq9l 2 ปีที่แล้ว +3

    조선 후기 사진은 포도대장이라서 겨드랑이 패용하는 환도를 쓴 것입니다 장군들이 K1도 아닌 리벌버 차고 다니는거랑 같습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저건 지휘관용이었죠.

  • @user-ov4oz8pz7t
    @user-ov4oz8pz7t 2 ปีที่แล้ว

    잘보고갑니다 ^^

  • @user-hi5gu9hg9t
    @user-hi5gu9hg9t ปีที่แล้ว

    중요한건 꺾이지않는 마음..

  • @GoodBoy-wd9iy
    @GoodBoy-wd9iy 2 ปีที่แล้ว +8

    전투를 하다보면 근거리 전투를 피하지 못할 상황이 생길텐데,, 조선군이 대규모 회전이나 야전에서 약했던 이유가 있었군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그래서 임란 중후반만 되도 거의 수성전만 하죠. 그리고 임란 3대 대첩도 전부 수성전 수상전…

    • @inx2853
      @inx2853 2 ปีที่แล้ว

      @@Orang_Fantasy 황진장군님이나 다른분들 야전에서 승리한것도 생각보다 많아요 유명하지않을뿐....

  • @user-yr4kq1rd7d
    @user-yr4kq1rd7d 2 ปีที่แล้ว +3

    조선의 주무기는 의외로 열병기..
    국립진주박물관, 화력조선을 보고 오시면 생각이 많이 바뀔겁니다
    활보다는 열병기의 발전이 칼을 더욱 짧게 만듦
    이는 금속활자급 빠른 변화였으나
    문제는 전쟁이 없어 발전하다 말아버렸다는거..
    서양처럼 열병기가 지속 발달하고 칼이 없어지는 방향으로 추세전환에 실패..

    • @user-yr4kq1rd7d
      @user-yr4kq1rd7d 2 ปีที่แล้ว +1

      이게 맞는것 같습니다
      세계최초로 열병기 전쟁을 한 나라지만...
      적성'국'이 없어.. 전투는 있되 전쟁이 없는 평화시기를 구가하면서.. 이꼴이 난거죠
      천하의 서양도 총기가 주력으로 쓰이자 칼과 기병이 몰락했는데.. 조선은 딱 그 가운데서 정체..

    • @baraj4734
      @baraj4734 ปีที่แล้ว

      조선도 침략을 했어야했는데
      대가리만 숙이는 사대부들이 나라망침.

  • @user-xs6vv6jq9j
    @user-xs6vv6jq9j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혹시 11분 15초경 배경의 영상 원본이 뭔지 알수 있을까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유튜브에 무예도보통지 라고 치시면 나옵니다 :)

    • @user-xs6vv6jq9j
      @user-xs6vv6jq9j 2 ปีที่แล้ว

      @@Orang_Fantasy 감사합니다!

  • @R.O.K.SimGameEnjoyer
    @R.O.K.SimGameEnjoyer ปีที่แล้ว +1

    참고로 환도가 임진왜란때 찬밥신세였던 가장 큰 이유는 방어전 위주로 수행한 것이나 활 위주의 전투방식만 있는게 아니라, 성 밖에서의 게릴라 전투에선 포와 지뢰(사용 전적 있음) 등의 화기나 생화학 무기(보통 유황, 심하면 인분)로 사전 탐지된 적들을 엿먹이는 화력덕후+몰양심 플레이를 원체 좋아했던 것도 있죠ㅋㅋㅋ

  • @user-tz4fd2ic2y
    @user-tz4fd2ic2y 2 ปีที่แล้ว +5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그리고 또하나 마상도에 영향도 있었 다네요. 말위에서 내려치는 칼은 길이가 좀 짧더라도 더강력하며 당시 일본에 카타나는 모래의 사철에서 재료를 취하여 날카로웠으나 우리에 환도와 부닦치면 깨저 버리는 일이 많았다네요.재질이 더 뛰어났죠 그래서 일본에 검술은 검끼리 부닦치는걸 피하고 검을 흘려보내고 싸우는걸 선호 했으며 창또한 너무긴 일본에 창은 찌르기 용이 아니라 후두려 패기용이란 말도 있네요.
    그리고 기마용 검은 동서양을 막나하고 얇아지고 짧아지는 공통점을 가진 만큼 여진정벌의 여파로 환도가 짭아진것도 여러 이유중 한가지 이며 후기 다시 짧아진것은 병자호란 이후 더이상 국가간에 전투가 없었기 때문이라 보여 지네요....^^

    • @gurehdtks1
      @gurehdtks1 ปีที่แล้ว +1

      ???혹시 국뽕 꼰대세요????칼의 역사 미국 다큐멘터리 영상 좀 보고 오세요....일본 칼이 당시 세계적으로 내구성은 유명했어요...무슨 칼끼리 부딪히면 깨져요??흠...생각하시는게 중국인 같네요...혹시 부모가 그쪽?

    • @user-tz4fd2ic2y
      @user-tz4fd2ic2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본도는 임진왜란때 가장 황당했던게 조선에 칼과 부닦치면 부러지거나 휘여저 버리는경우가 많았습니다 그 이유는 품질이 떨어지는철에 문제와 강철과 연철에 접쇠로 그겄을 만회하고자 하였으나 그 방법이란게 두두려서 깨보는 방법아라 정확하지 않으며 지금 명검아라는 것들은 전쟁을 치르는 도중 수백개중에 안부러지는놈 1가 일본도에 전부인듯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본도에 최고는 수십년간 기차에 무개를 견뎌온 레일로 만든 만철도이며 장군끼리 붙으면 일본도는 부러지고 일본군 장군은 패하는 경우가 많아쌌답니다 그래서 일본검에 무서움은 카타나가 아니라 장검 오타치 이며 그중 명검은 몇 안돼었으며 19세기 말 독일이 전수하기전 까지 제철수준은 처참 했으며 일본에 검술에서 서로에 칼날을 부딪치는 검술은 죽도로나 하는 방법이고 실제로는 검을 흘리며 적은 잡고 뒹굴 다가 짤은 칼로 갑옷 사이를 찔러 넣는 방법으로 전투를 했습니다 카타나에 위대함읃 애니메이션 이랍니다^^

    • @user-uo1lp1zb7w
      @user-uo1lp1zb7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gurehdtks1 ; 그쪽이야말로 일본인 일뽕 이신것 같은데 미국 다큐 운운하는 것을 보면 역사를 건성으로 배운 분 같네요 역사가 무엇인가요 당시의 자료로 사실 증명하는게 역사 아닙니까? 일본도의 내구성은 현대에 와서 고열의 제철 기술 떄문에 향상된 것이지 전근대 일본도의 내구성은 최악 그 자체였지요 그래서 사무라이들은 칼 하나만 갖고 다니지 않고 여러 개의 갖고 다니는게 아닙니까?

    • @user-tz4fd2ic2y
      @user-tz4fd2ic2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gurehdtks1내 깨저요 재료상에 문제로 잘 부러졌다네요 무예를 하는 장수끼리 싸우면 카나나가 부러져 이기는경우가 많았다네요 그리고 일본도중 가장 겅한것은 전통 도검이 아니라 철도청에서 오래된 철로 레일로 만든 만철도 였답니다 그리고 임진왜란때 일본구에 무기중 제일은 창과 2m게 달하는 장도 였습니다 그리고 카타나는 여러번 실전을 거친 오래된물건을 선호 했는데 이는 비로서 내 구성이 검증된것이였기에 그런것 이였으나 그마저도 환도와 부닦치면 부러져 버렸습니다😊😊😊

    • @user-tz4fd2ic2y
      @user-tz4fd2ic2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본도에 정점은 카타나가 아니라 장검인 노타치 였습니다.

  • @user-zx8ck3uu7t
    @user-zx8ck3uu7t 2 ปีที่แล้ว +3

    우리는 고조선의 후예이며 단군 고조선 8 연방의 후예이기도 하고 거의 동양의 엘프족이네요. 몽골하고 겨룰만큼 활의 민족 원딜을 사랑한 민족
    몽골은 곡도를 잘쓰고 근접에도 강해서 몽골칼은 한방에 소의 등뼈를 부술만큼 타격이 탁월했고 베기용 맞아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역시 멋진 우리 역사!

  • @toto__1926
    @toto__1926 ปีที่แล้ว

    12:28 여기 영화 제목이 궁금합니다 ~!

  • @user-kd9lm6kh5c
    @user-kd9lm6kh5c 2 ปีที่แล้ว

    참조된 영상의 출처좀 써주세요

  • @doroshi99
    @doroshi99 2 ปีที่แล้ว +53

    조선도 북방영토를 확보하기 위해 여진군이랑 뒹굴때는 아직 두만강 압록강 경계를 확보하기 전이었고 물론 이후로도 여진족이 끊임없이 돌려줘를 시전했기에 기마전이 어려운 산악에서 백병전을 많이 했다고 하더라구요. 그때가 조선군의 검술실력이 가장 월등했던 시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고려시절에는 술내기 밥내기도 칼,활로 놀이를 할만큼 헬반도였는데 비해서 많이 사람냄새가 나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user-df8zt1hh4f
      @user-df8zt1hh4f 2 ปีที่แล้ว +7

      그러고 보니 그 유명한 척경준도 고려인 이네여

    • @namchangp.1721
      @namchangp.1721 2 ปีที่แล้ว +15

      고려가 ㄹㅇ 헬반도.. 강하지 않으면 살아남지못했을듯

    • @rkfjfjdnxnzjajk
      @rkfjfjdnxnzjajk 2 ปีที่แล้ว

      와 진짜 약한 사람은 살아남지를 못하겠노

    • @dartboard20
      @dartboard20 ปีที่แล้ว +3

      @@user-df8zt1hh4f 척준경

    • @dartboard20
      @dartboard20 ปีที่แล้ว

      @@user-df8zt1hh4f 척준경

  • @javaxerjack
    @javaxerjack 2 ปีที่แล้ว +18

    1. 조선의 경우 칼잡이들이 없는건 아니었습니다. 구름을 벋어난 달처럼에서 나오는 대동회 같이 조선에서도 칼잡이 집단이 있기는 했는데, 조선은 이미 군대 체제가 활과 화약으로 변화해 가던 체제였습니다.(현대에 와서는 대검 외에는 칼날이 남지 않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칼잡이라고 하면 조선 사회에서는 십중 팔구 둘중 하나로 취급되었는데, 돈만 주면 누구든 죽여주는 킬러 혹은 반란을 꾸미는 수상한 무리 둘 중 하나였죠.
    2. 철이 양산 되기 이전이라 칼이 비싼 무기인게 사실이지만, 사실 합성궁의 경우도 만만치 않게 비싼 무기였던게 재료부터 물소 뿔(당연히 동남아시아 국가로 부터 수입해야 합니다) 접착제로는 아교등등을 써야 했고 거기에 온도나 습도에 큰 영향을 받는 무기였죠. 그리고 화약의 경우도 초석을 생산해야 하는데, 고전적인 방법으론 화장실이나 처마 등등 같은 장소의 흙에서만 생산 가능했고 당연히 그 양도 그렇게 많지 않았습니다.
    3. 조선의 가장 큰 문제는, 작은 전투는 그럴저럭 해내지만 국가 역량이 총 동원되어야 하는 대규모 전투에 대한 노하우나 역량이 없었다는 점이 가장 크다고 봅니다. 즉, 소규모 왜구나 북방 오랑캐들의 침략은 그럴저럭 잘 대처합니다만 이상할 정도로 이게 중앙 정부의 판단이 들어가야 하면 일이 늘어지거나 판단이 꼬이기 시작하죠. 당초부터 어디서 어디까지가 현장 판단 사항이고 어디서 부터가 중앙정부 사항인가 하는 사항도 없다보니 현장만 골탕 먹는 이상한 지령이 내려오는 경우도 흔하고, 거기에 방구석 제갈 공명은 왜 그리 많았던지.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2

      오 맞습니다. 잘 알고 계시네요. 해박한 지식 대단합니다.

    • @user-nh5mv6tn8k
      @user-nh5mv6tn8k 2 ปีที่แล้ว +2

      나폴레옹이 말했죠
      뛰어난 사령관 2명의 지휘를 받을바에야 멍청한 지휘관 1명의 지휘를 받는게 낫다
      지휘체계 혼선 - ㅈ까고 진행하면 너 역모 ㅇㅈㄹ로 숙청
      이러니까 망하는거지...
      무기보다 중요한게 이런 소프트웨어 문제이덤

    • @javaxerjack
      @javaxerjack 2 ปีที่แล้ว +6

      @@user-nh5mv6tn8k 사실 조선 왕조 내내 전면전을 각오해야 할 수준의 전쟁은 두번 뿐이었던데 반해서 지역의 반란은 상당히 자주 있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어느쪽을 더 중시할까요? 몇백년에 한번 일어나는 큰일, 아니면 몇십년 주기로 일어나는 작은 일? 정답만 이야기하자면 둘다 준비를 해야 한다지만, 막상 내가 조선의 왕이 된다 해도 조선이라는 시스템 하에서는 그게 한계입니다.

    • @inx2853
      @inx2853 2 ปีที่แล้ว +1

      @@user-nh5mv6tn8k 이순신2명vs원균?
      전 이순신장군님 두분이 좋을거 같은데 ㅋㅋㅋㅋ

    • @user-nc2be2eg9d
      @user-nc2be2eg9d 2 ปีที่แล้ว +3

      @@inx2853 그건 같은 사람이 두명이라 그렇죠. 여기서는 똑똑한데 생각이 정반대인 사람 둘을 생각하는게 제일 이해하기 쉬움.

  • @user-nw5fc5lm2h
    @user-nw5fc5lm2h 2 ปีที่แล้ว

    아 형님
    다음편

  • @user-di4ki4fp7b
    @user-di4ki4fp7b 2 ปีที่แล้ว

    2:27 에 나오는 영화? 드라마? 제목이 뭐죠?

  • @user-fy6fj5zk6v
    @user-fy6fj5zk6v ปีที่แล้ว +4

    그냥 조선은 이순신장군 한명때문에 명줄연명한 나라임
    진작에 없어졌어야할 나라인데
    단 한명에의해 살아남

  • @SamuelSmith1221
    @SamuelSmith1221 2 ปีที่แล้ว +8

    전쟁에서 활과 창이 주류고.. 칼은 사실 장교급들 무기였으니.. 다른 댓글에서 나왔듯.. 방패를 안 쓴게 더 큰 약점이었던 듯..

    • @seok720429
      @seok720429 2 ปีที่แล้ว

      조선 무과 시험에 기마술과 창술,궁술은 있어도 검술은 없었죠
      그리고 조선의 검은 지금 장교들의 휴대용 권총 정도의 보호용 이라고 보는게 맞을듯

  • @user-dp3mj9tw6x
    @user-dp3mj9tw6x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혹시 이런 자료들은 어디서 어떤식으로 구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저도 무기, 갑옷, 방패등의 알고 싶은 자료가 있는데 잘 나오지 않아 막막하여 질문 드립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ปีที่แล้ว +1

      국내에 관련 도서는 전부 다 봤어요. 다큐는 굵직한 방송사 다큐들 다 봤고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ปีที่แล้ว +1

      조선의 무기와 갑옷이라는 책 추천드려요.

    • @user-dp3mj9tw6x
      @user-dp3mj9tw6x ปีที่แล้ว +1

      @@Orang_Fantasy 감사합니다!

  • @PC_OverClock
    @PC_OverCloc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평화가 길어질수록 전쟁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하는 법

  • @kam5551
    @kam5551 2 ปีที่แล้ว +6

    궁금한데요 소문에 임진왜란때 얻은 왜군의 칼을 녹여서 대포 알 만들때 사용하고, 비록 조선군 칼이 의장용이라지만 카타나보다 튼튼해서 두 칼이 부딪치면 카타나가 부서졌다는 말을 들었는데 맞는 말인가요?

    • @user-sx5jm8dndm2
      @user-sx5jm8dndm2 2 ปีที่แล้ว +1

      유언비어 입니다
      "우리 나라 공인(工人)이 제조한 칼은 저들의 잘 단련(鍛鍊)된 것과 같지 못하니, 저들로 하여금 시험적으로 주조(鑄造)하게 하여 만약 보통 기구(器具)보다 특이하게 된다면 작은 관직을 제수하고 그들이 잇달아 왕래하도록 허가하여 우리 공인(工人)들로 하여금 전습(傳習)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였다. 또 예조(禮曹)에 물으니, 예조에서 말하기를, "시험하여 만들도록 하는 것은 해로울 것이 없습니다." 하자, 전교(傳敎)하기를, "갑오년의 예(例)에 의거하여 그들로 하여금 칼을 만들게 하라."
      『성종실록』 1482년 9월 24일 왜인 두로가문(豆老可文)에게 관직을 주고 기술을 전습받자는내용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일단 일본 칼이 약했던 이유는 불순물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근데 이게 뽑기 운이라 일본군도 운 좋게 불순물이 적어 강도가 높게 만들어진 칼을 주로 썼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최근에 만들어진 칼들은 충분한 실전을 거친 뒤에야 썼고요. 그래서 오래된 칼일 수록 비쌌다고 합니다. 이런 점을 미뤄보면 하급 병졸이 쓴 칼은 부러질 수 있었겠지만 계급이 조금만 높은 병사의 칼이었다면 꼭 그랬다고 보긴 힘들거 같아요.

    • @user-sx5jm8dndm2
      @user-sx5jm8dndm2 2 ปีที่แล้ว +1

      @w hw 카타나는 두들겨서 단단하게만드는겁니다 그시대당시 시대의 철은 거기서 거기입니다 일본철이 약하던강하던 약한철을 강철로만드는 기술도대단한거죠

    • @kam5551
      @kam5551 ปีที่แล้ว

      @@user-sx5jm8dndm2 약한철을 강철로 만들었다 보기보다는 그냥 약한철로 일본 대장장이가 만들었고 비록 약한철이지만 그걸 쓰는 검객이 실력이 있어서 강해보이는게 아닐까요?
      제가 용접학교에 있을때 잡철로 용접하고 공부했는데 잡철도 의외로 단단하고 잘못 맞았다간 죽을수 있다고 느낄정도로 무거웠어요 그걸 보고 과연 공장에서 사용하는 순도 높은 철은 얼마나 무겁고 더 단단할지 궁금하더라구요

    • @user-sx5jm8dndm2
      @user-sx5jm8dndm2 ปีที่แล้ว

      @@kam5551 그때 당시 철이 거기서 거기라는건 조선환도또한 왜란이후 일본식으로 사철로 만들었습니다 카타나가 쉽게 부러진다는데 애초에 철과 철이 맞대고 치면 이나가고 부러지는건 상식입니다 또한 카타나가 약하다는 소문은 왜란이후 조선에서 화로기술의도입으로 칼을도장찍듯이 만들어내니 품질을 신경쓰지못한탓이고 검객의 실력을떠나서 칼을맞대고 싸우는건 칼과칼끼리 붇이칠수밖에 없습니다 일본의 고류검술또한 카타나날로 막고 반격하는 기술들이 있는데 내구성이 떨어지면 그럴이유가없죠

  • @user-oh8rx3ct5q
    @user-oh8rx3ct5q 2 ปีที่แล้ว +13

    조선의 주력무기활도 문제인게 뭐냐면 활재료인 물소뿔이 몽고.여진 지역의 수입품이라는게 문제.. 자체생산도 안되고 조선이 냉병기중 활로 올인한다는게 한계가 극명함... 수성전에 화포무기 효율이 좋기도 한데 그래서 병자호란때 이런 조선의 강점을 알고 조선의 수도로 바로 급속 직행한 전술을 채택... 결국 고두레의 비참한 항복을...

    • @User-qwerasdf123
      @User-qwerasdf123 2 ปีที่แล้ว +4

      그렇다고 무조건 각궁만 추구한 것도 아니었어요. 목궁도 상상 이상으로 많이 보급했구요. 아니 각궁 자체가 값도 비싼데 대량생산도 힘들었을 것이고 주력은 목궁이었다는게 맞을겁니다.
      정정합니다. 각궁이 조선군의 주력이었으며 각궁의 보조수단으로 다양한 활을 휴대하였습니다

    • @Theslaveoflogic
      @Theslaveoflogic 2 ปีที่แล้ว +1

      물소뿔이 남방산물인데 몽골과 여진에게 수입했다고요? 일본에서 수입한다는 얘기는 들어봤어도...

    • @Theslaveoflogic
      @Theslaveoflogic 2 ปีที่แล้ว +2

      @@User-qwerasdf123 조선시대 군기목록을 보면 각궁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목궁은 보조수단입니다.

    • @user-mh7wd7lg5c
      @user-mh7wd7lg5c 2 ปีที่แล้ว +2

      석궁도 꽤 썼다고 하던데
      조선이 원거리에 집착하게 된 이유는 북방민족 때문이 아닐지... 걔들 말타고 다니니

    • @Theslaveoflogic
      @Theslaveoflogic 2 ปีที่แล้ว +3

      @@User-qwerasdf123 또한 조선은 각궁을 남방의 물소뿔로만 만들지 않았습니다. 토종소의 뿔로도 대량 만들었습니다.

  • @ultrakwh
    @ultrakwh 2 ปีที่แล้ว +1

    근접전을 선호하지 않는 방식은 국토의 생산량과 관련있다는걸 신문기사에서 봤었습니다. 중국이나 일본의 인구수와 쌀 생산량 대비 한반도의 생산량이 차이가 심해서 전쟁으로 인구가 줄면 그걸 다시 복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었고, 연달아 일어나는 전쟁에선 이건 복구하기 힘든 국력상실이라 수성전을 통해 최대한 전투할 수 있는 인원을 확보해야만했다 합니다. 전쟁 끝나면 또 농사지어야 하니까.. 고구려가 수나라에 이기고 그 전쟁피해를 복구 못한채로 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최대 국력을 회복한 당과 싸웠으니 연개소문 아들들 아니라도 졌다는 평도 있더라구요. 조선이라도 그때와 별 차이가 있을까 싶습니다.

  • @dalbitcloud
    @dalbitcloud 2 ปีที่แล้ว

    08:32 k1 k2 떠 올리니 확 와 닿네요

  • @user-rm1uo5wk2w
    @user-rm1uo5wk2w 2 ปีที่แล้ว +59

    대규모 전투가 없다뿐이지 북방에서는 여진족과 자주 충돌이 있긴 했었죠. 이 경우 여진족은 주로 기마 부대다 보니 치고 빠지는 걸 막는 전술이 발달하게 되었지만, 임진왜란 같은 전면전의 주로 밀고 들어오는 대 보병에 대해서는 전술이 미흡했던 것이 흠이었죠. 이전 전투방식이 대기병 전술이니 그냥 말이 못 다니게 하면 쉽게 막히는 것과 달리 일본군 보병들이 성벽을 기어올라오니 당황할 만하죠. 대보병 전술도 남부 명군을 통해서 도입되게 되죠.

    • @blackcow_two_plus
      @blackcow_two_plus 2 ปีที่แล้ว +28

      근데 되게 재밌는게 정작 가토군이었나? 한반도 동북면으로 치고 올라간 왜군이 여진족을 만나 겁나 시달렸다는데 정작 일본군에게 전면전에서 밀리던 조선군은 여진족의 카운터 역활을 하고 있었다는게 참 아이러니지요..전술의 차이

    • @user-bn6kn2vy8q
      @user-bn6kn2vy8q 2 ปีที่แล้ว +18

      @@blackcow_two_plus 마치 가위바위보 같네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1

      ㄹㅇㅋㅋㅋ

    • @3en6ql2h5j
      @3en6ql2h5j 2 ปีที่แล้ว +21

      가위바위보 개념이라기보다는, 임란이 경과되며 조선 북방군이 가세한 이후로는 지상에서도 대등하거나 우위에서 전투할수 있었습니다. 전면에서 총력전으로 털렸다기보다는 빈집털이 당한것에 가깝습니다.. 충분한 화약이 있던 젘투에서는 압도적인 불리함에서도 승리한 전투가 많구요. 결론은? 더 많은 화력이 필요하다...더 많은 화력....

    • @user-rm1uo5wk2w
      @user-rm1uo5wk2w 2 ปีที่แล้ว +16

      @@3en6ql2h5j 울산성 전투 경우 일본군이 열심히 성을 쌓았는데, 조선군이 성벽을 안기어올라오고 멀리서 화포로 성벽 부수는 걸 보고 일본군이 많이 당황했다죠.

  • @kmyung
    @kmyung 2 ปีที่แล้ว +3

    드라마와 영화에서 대부분 칼을 들고 나오는 장면은 어불성설이죠 ㅋㅋㅋ
    그 비싸고 다루기 어려운 칼을 전부 들고 나오고 실제 싸움에 쓴다니 ㅋㅋ
    제가 조선 중후기 병사라면 조총이나 활을 기본으로 하고 근접전은 편곤 장창 철퇴 도끼 순서로 무기를 골랐을 겁니다.

  • @HS_IGUANA
    @HS_IGUANA 2 ปีที่แล้ว +2

    이런 수준높은 역사채널,깔끔한 편집 이 채널이 7만명 대란건 우리나라가 얼마나 역사에 관심이 없는지 보여주는 거울임

  • @noohij
    @noohij 2 ปีที่แล้ว

    k1는 모르겠지만 m60들어봐서 딱 와닿습니다 ㅎ... 암요. 행군에 겁나 힘들지

  • @user-xh8gz5rm7s
    @user-xh8gz5rm7s 2 ปีที่แล้ว +3

    솔직히 저는 칼 보다는 몇 주면 금방 배울 수 있는 폴암 이나 플레일 같은 무기를 더 선호하게 되더군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오 제 창 영상에도 잘 나오죠! 그래서 창이 최고의 무기라고 생각해요.

  • @chankyokim3517
    @chankyokim3517 2 ปีที่แล้ว +6

    오늘날 여러 국가들의 군대들도 자국의 정세와 상황, 그리고 경제와 자원사정으로 인한 영향을 강하게 받는데 당시에는 오죽했을까 싶습니다.
    당시 조선 역시도 자원사정과 정세로 인해서 군대의 양상역시 그렇게 발전했다고 느낍니다. 마냥 조선에 대해 비방하는것 또한 객관적으로 보는게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애초에 임진왜란 당시의 히데요시 휘하 일본군들은 무려 거의 1세기 동안 전쟁으로 잔뼈가 굵은 전사들이었는데 조선이 이정도 버틴것도 용하다 싶습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맞습니다. 정확하세요. 다만 이 영상은 칼에만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는 점 이해해 주세요 ㅎㅎ

    • @chankyokim3517
      @chankyokim3517 2 ปีที่แล้ว +2

      @@Orang_Fantasy 천만에요ㅎㅎ 저는 그저 여기 댓글란에 조선 하면 너무 부정적으로만 보는 사람들이 많아서 어쩌다가 한 말이었을 뿐이니까요. 일본이든 조선이든 둘다 좋아하고 흥미롭게 보는 입장상 쌍방에서 일방적인 우열을 가리기는 힘들다고 느끼거든요. 각자 장단점이 있는거죠. 거기에 당시 일본은 거슬러올라가면 무려 남북조시대때부터 계속 전쟁했었으니 노하우가 차이가 날 수밖에 없었죠...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chankyokim3517 맞습니다. 사실 전쟁사만 보면 일본이 잘 한 것처럼 보이는데 오히려 민중사를 고려하면 태평성대였던 조선이 훨씬 낫죠. 다만 뭐든 지나치면 안되듯이 평화가 지나쳐버린 조선...

  • @PXGKOREA
    @PXGKOREA 2 ปีที่แล้ว +2

    역사를 공부하는 학도입니다. 한국 주류 사학계의 논문이나 여러 사학자들의 다큐, 강의에서 본 내용과 사뭇 다르네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어느 부분이 틀렸나요?

    • @sunkim3999
      @sunkim3999 2 ปีที่แล้ว

      주류사학계의 정보를 받더라도 꼭 다른 나라의 기록과도 교차점검 하는 걸 추천 드려요. 우리의 주류 사학계는 아직 이병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 @22ssddd
    @22ssddd ปีที่แล้ว +2

    사실 고구려나 고려 시대에는 엄청난 전투력과 무기기술 제철 기술 도자기 기술등이 뛰어났지만 조선시대이후 그런것들을 천시 하면서 점점 쇠퇴되었던 것도 한몫 할듯 그리고 너무 명나라에 의존하던것도 아쉬운 부분이 있음

  • @Rocklee0917
    @Rocklee0917 2 ปีที่แล้ว +15

    항상 좋은지식 감사드립니다.
    일본도는 초기에 직도형태였습니다. 고려와 몽고 연합의 공격이후 일본도의 형태가 곡도로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8

      쉿! 그건 일본의 칼 편에서 나올 내용이에요 ㅎㅎ

    • @Rocklee0917
      @Rocklee0917 2 ปีที่แล้ว

      @@Orang_Fantasy 앗! 넹...
      항상 기대합니다^^

    • @jinshoujeong1070
      @jinshoujeong1070 2 ปีที่แล้ว

      @@Orang_Fantasy ㅋㅋㅋ 천기누설은 목숨으로 값아야죠

    • @kryptoman_gaksital
      @kryptoman_gaksital ปีที่แล้ว

      여몽연합군이 일본을 침략했을때 주로 쓰던 칼은 타치였어요. 그러다가 보병 위주의 집단전으로 진화하면서 길이가 더 짧으면서 덜 휘어진 카타나로 바뀌기 시작한거래요.

  • @user-ze5hn7yx5s
    @user-ze5hn7yx5s 2 ปีที่แล้ว +8

    환도와 일본도경우 단순 날의 모양이라든지 길이가 아니라,
    패용방법. 그니까 칼을 신체 어디에 어떻게 차는지. 에서 큰 차이가 나죠.
    애초에 오른쪽에차나 왼쪽에 차냐부터 다른걸로 압니다.
    칼의 모양에선 임진왜란이후 일본도의 영향을 꾀 받긴 했을꺼라 봅니다만, 패용방법이나 쥐는 방법의 차이는 다른만큼 특히 손잡이부분에 구멍은 다를수밖에 없죠.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앗! 다음편 내용인데! ㅋㅋㅋ

  • @user-rw7km2xw4j
    @user-rw7km2xw4j ปีที่แล้ว +1

    환도가 짧은 이유로는 수성전 및 게릴라 백병전에서도 짧은 길이가 장애물에 대비해서도 찌르기와 베기에 용이했을거로 생각듭니다ㅎㅎ

  • @user-dx9uj9gf2l
    @user-dx9uj9gf2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검의 길이도 길이지만 검술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어요 조선의 검술은 동작이 크고 주로 베기 위주였는데 일본 검술은 주로 손목 팔을 최대한 빠르게 공격하는 위주로 발전 했기때문에 근접전투에서는 일본이 이길수 밖에 없는것이죠.검도 시합에서만 봐도 주로 손목 머리를 빠르고 간결하게 치고 빠지는 것과 찌르기가 많이 보이는거죠

  • @user-xu2mp1wv8z
    @user-xu2mp1wv8z 2 ปีที่แล้ว +7

    우리나라의 주적은 전통적으로 북방의 기마민족이었기 때문에 기병과의 근접전으로 가면 보병 위주의 우리나라가 불리했습니다
    그래서 화포와 활로 원거리 전투를 선호했다고 합니다

    • @jacobji753
      @jacobji753 2 ปีที่แล้ว +4

      더군다나 지형도 거지발싸개 같아서 밀집대형을 갖추기도 힘들었기에 그냥 거지발싸개 같은 지형지물을 극복하기보다 의존해서 원거리타격하는게 훨씬 효율적이였죠.

    • @tridish7383
      @tridish7383 2 ปีที่แล้ว +1

      @@jacobji753 온대우림+산악 ㅗㅜㅑ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jacobji753 원정 경기 안 뛰고 홈 경기만 뛴 결과 ㅠㅠ

    • @Theslaveoflogic
      @Theslaveoflogic 2 ปีที่แล้ว

      기병은 기병으로 상대합니다.

    • @user-xu2mp1wv8z
      @user-xu2mp1wv8z 2 ปีที่แล้ว

      @@Theslaveoflogic 원칙적으론 그게 맞긴한데 말을 타고 게릴라 약탈전을 펼치는 북방 기마민족을 항상 기병대로 상대할 수 없었습니다
      상황을 알리고 기병이 올때까지 시간이 걸리니까요
      그래서 성벽이나 목책을 쌓고 화포로 방어하면서 기병을 기다렸다고 하더라구요

  • @user-yv7jc8wf8v
    @user-yv7jc8wf8v 2 ปีที่แล้ว +35

    영상에서 소개된 환도의 길이는 전부 건물의 길이를 재던 영조척이나 일본의 척관법을 기준으로 한 것들입니다.
    일반적인 길이를 재는 주척으로 하면 보병용의 칼날 길이는 35.638cm, 기병용의 칼날 길이는 32.96cm입니다.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4

      오 대박. 이걸 아시는 분이 있다니! 제가 참고한 책에도 그 내용이 나옵니다. 다만 그 책에선 칼이라 부르기엔 너무 짧아 영조척이 맞을거라고 하더라구요.

    • @user-yv7jc8wf8v
      @user-yv7jc8wf8v 2 ปีที่แล้ว +9

      @@Orang_Fantasy 저는 그 책에서 제시한 의견에는 동감하지는 않습니다. 일단 조선은 어떻게든 도량형을 엄격하게 관리하려 했던 국가였습니다.
      그런데 유독 환도의 길이만큼 일반적인 길이를 재던 주척이 아닌 건물에 사용되던 영조척을 사용한 것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문종 때 환도의 길이를 규격할 당시 이미 조선군 내에서 환도가 긴 것 자체가 거추장스럽다는 풍조가 만연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함길도의 도절제사로 있던 이징옥이 환도는 짧을 수록 좋다는 장계를 올린 것만 봐도 길다고 생각하는 환도가 병사들에게 외면받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 @user-tj4vz7gg8m
      @user-tj4vz7gg8m 2 ปีที่แล้ว +1

      30센티 자 들고 싸우는거넼ㅋ 📏

    • @sejinJ
      @sejinJ 2 ปีที่แล้ว +2

      30센치는 아무리봐도 실용성이 떨어질거 같은데... 하긴 실전이 없던 군대니 그럴지도 ㅋㅋ
      현재 보존됀 이순신장군 보검은 거의 2미터더라구요 (의전용이라 추정)
      영상에 나온대로 일본도 영향을 받은건지 모르게지만요

    • @user-yv7jc8wf8v
      @user-yv7jc8wf8v 2 ปีที่แล้ว

      @@sejinJ 주척 기준으로 한 길이를 감안하면 길이를 규정할 당시 백병전의 비중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없어지고 있던 상황임을 감안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영상에서도 수성전의 비중이 높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이순신 장군의 보검은 태구련과 이무생이란 검장들이 만든 것으로 일설에 의히면 임진왜란이 일어나기전 남해안을 노략질하던 왜구들에게 잡힌 후 일본도를 납품한 경력이 있다고하니 일본도의 영향을 받았을 것입니다.

  • @user-kh4ns2ly6y
    @user-kh4ns2ly6y 2 ปีที่แล้ว

    철퇴에 관해서도 가능한가요

  • @jsbong94
    @jsbong94 2 ปีที่แล้ว +1

    조상님들도 그래왔든 원딜의 민족은 어디 안가네요👍

  • @user-xn4jg8vd2e
    @user-xn4jg8vd2e 2 ปีที่แล้ว +5

    칼이 길면 단병접전에서의 이점이 좋죠 그런데 무게중심이 잘 안잡혀 있다면 휘두르기 힘들기도 하다는점이 있죠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정확하십니다~!

    •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2 ปีที่แล้ว

      그건 어떻게든 물타기 할려는걸로 밖에
      안보이는 발언이죠.
      그래서 일본도가 무게중심이 안잡혀 있었나요?

  • @lucasromi83
    @lucasromi83 2 ปีที่แล้ว +36

    한명련 같은 무장이 진짜 대단한것 같음
    임란 이전에도 일본도 쓰는 조선 무관이 있었지만 한명련은 천민 출신인지라 순전히 전공으로 출세한건데 훗날 노획한 일본도를 썼을수도 있겠지만 초반에는 짧은 환도를 썼을건데 참 대단한 거 같습니다.
    일본은 기후가 고온다습해서 좋은 활을 만들기 어려워 백병전이 발달했고 이게 조총 등장 이전에는 조선군이 원거리에서 활과 화포로 박살 냈을 정도로 조선군의 원거리 공격이 효과를 봤다고 합니다.
    사실 사극과는 달리 임란 이전에도 조선군의 화약병기 운용도가 높아서 이시애의 난때조차도 화약병기 vs 화약병기의 대결이었죠.
    옛날 사극보면 벙거지에 당파창 들고 싸우는걸로 나오지만...
    그러다가 임진왜란때 왜군이 원거리에서 조총으로 엄호해주면서 돌격해버리니깐 농민군 위주의 조선군은 와해되고 말죠.
    게다가 조선은 일본과 비교해도 기후에서조차 농업에 크게 불리해서 경제력 엉망에 상업도 발달하지 못해서 직업군인 키우기도 어렵고 그 이전에 세조 시절 창기병 총통위 팽배수 다 와해시켜놔서 궁병 위주의 편제인데 그 궁병마저 왜군 조총병에게 견제당한채 접근한 왜병에게 근접전에서 당하니 ㄷㄷ
    임진왜란때 후반부로 가면 백병전에서 안밀렸다고 하더군요.

    • @user-nh5mv6tn8k
      @user-nh5mv6tn8k 2 ปีที่แล้ว +22

      칼 못 쓰는 사람들은 초기에 다 죽어서...

    • @lucasromi83
      @lucasromi83 2 ปีที่แล้ว +2

      @@user-nh5mv6tn8k ㅠㅠ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2

      앜ㅋㅋㅋㅋ ㅇㄱㄹㅇ

    • @lucasromi83
      @lucasromi83 2 ปีที่แล้ว +4

      @@Orang_Fantasy 아 그리고 진짜 문제는 궁병의 환도 길이보단 근접 병과가 거의 사라진게 아닐까요?
      궁병은 키우기도 힘든데 그 궁병이 근접전에서 환도들고 백병전 하는건 비효율적이라서 그건 최후의 수단일테고 애초에 근접 병과가 거의 없어진게 더 큰 문제 같습니다.
      백병전 전문 부대가 대량 존재했다면 궁병이 보유하는 짧은 환도는 오히려 효율성 있는 무기일텐데 말이죠.
      제가 알기론 세조때 반란 억제 차원에서 날려버린걸로 압니다 ㅜㅜ

    • @user-nh5mv6tn8k
      @user-nh5mv6tn8k 2 ปีที่แล้ว +8

      @@lucasromi83 근접병과가 약해진 건 조선왕조의 의도였습니다
      역모를 방지한다구요
      한양같은 도시 골목에서 빠르게 치려면 장창같은 야전용 무기보다는 검이 더 좋으니 이런 검사들에 대한 투자를 사실상 심영이로 만들었다죠
      정작 세조, 중종, 인조 등등 일어날 역모는 일어났다는 게 함정
      애매하게 못 만든 조선의 도로같은...

  • @user-qm6uz3fk8c
    @user-qm6uz3fk8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3:25에 나오는 애니메이션은 어떤 상황에 나오는 건지 알 수 있을까요? 쇼군2 800시간인데도 저런 컷씬은 못봤었는데…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거 트레일러 중 한 장면이에요. 쵸소카베 같던데…

    • @user-qm6uz3fk8c
      @user-qm6uz3fk8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Orang_Fantasy엥 초소카베는 검정이랑 살짝 푸른색이고 빨간색인거 보니까 다케다 가문 아니에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qm6uz3fk8c 오래 되서 저도 잘 기억 안 나는데 저 장면 전인가 후에 초소카베 나왔던 것 같아요.

  • @user-lj6py8kk1o
    @user-lj6py8kk1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환도에 대해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

  • @user-rp8mp5st5i
    @user-rp8mp5st5i 2 ปีที่แล้ว +3

    칼을 쓸 일이 생기면 실패한 전략이다 라는 말이 떠오르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1

      와씨... 레알 명언...

    • @user-rp8mp5st5i
      @user-rp8mp5st5i 2 ปีที่แล้ว

      @@Orang_Fantasy 듣고보니 맞는 말인거같아요 저도 어디선가 들었었는데 공감을 좀 많이 했어요 ㅎㅎㅎ

  • @user-g7u8i6g5f4
    @user-g7u8i6g5f4 2 ปีที่แล้ว +10

    조선이 근접전이 취약했어서 약했었다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원거리 능력이 월등했기에 이순신의 수상전 전략이 빛을 발할수 있었습니다 원거리 능력은 상당히 숙련된 기술이 바탕으로 깔려 있어야 가능합니다 즉 조선의 원거리 위주의 병사운용이 잘못된것은 아니였다는거죠 그 덕분에 우리의 이순신 활약에 바탕이 되어줄수 있었습니다 수상전에서 빛을 발했죠 일본은 배위에서도 원거리 능력이 취약하여 어떻게서든 붙으려 하였고 조선군은 붙어주지 않고 약올리며 화포전만하면서 늘 일본을 대파하곤 했습니다 조총은 평지에서도 명중률이 떨어졌기에 그들은 조총을 배위에서도 잘 운용하지 못한것으로 압니다 그러니 이순신의 화포와 활들에게 늘 개박살나기 딱 좋았죠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4

      맞습니다. ㄹㅇ 중세 테란 조선 ㄷㄷ

  • @user-pv3kp7gn2r
    @user-pv3kp7gn2r 2 ปีที่แล้ว

    마침 목이 "칼칼" 했는데 "칼" 관련된 영상이 올라오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wi4tc9oi4f
    @user-wi4tc9oi4f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si1rh1pj8c
    @user-si1rh1pj8c 2 ปีที่แล้ว +28

    에초에 조선이라는 나라가 이미 고전적인 전투방식에서 현대와 비슷한 화력원거리전으로 바꿨다는걸 해당됩니다.
    다만, 서양식 총을 빨리 도입하면 그만큼 빨랐겠죠. 임진왜란 이후 전장식소총의 퀼이 일본과 중국대비 미쳤다고 하니깐요.
    그리고, 조선초기때만해도 여럿 총통들이 있어 그럴수도 있고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7

      맞습니다. 조선 스스로도 그 점을 인지했고 왜란 이후엔 근접 보병들도 많이 양성했으나… 다시 후퇴했다죠 ㅎㅎ 아이러니한 역사의 흐름

    • @inx2853
      @inx2853 2 ปีที่แล้ว +3

      평화롭지 않았다면 서양 총기들보다 우수했을지도

    • @TheMngl2005
      @TheMngl2005 2 ปีที่แล้ว +6

      서양식 총을 도입하려고는 했죠. 문제는 그걸 제작하고 만들어 낼 만큼 조선이라는 사회가 가지는 경제적인 역량 턱없이 부족했었다는 거죠. 그때나 지금이나 군사력은 경제력이 뒷 받침 되어야 하는데 조선은 이게 안되었죠.

    • @user-ny6tr4nc1k
      @user-ny6tr4nc1k 2 ปีที่แล้ว +10

      @@TheMngl2005 그렇게볼수도있지만 그럴필요가없었던것에 더큰요인이 있습니다. 양난이후엔 동북아 자체가 쇄국 기조로 접어들기에 한중일모두 19세기 후반 전까지는 조총과 홍이포에 만족하는 경향이 만연했습니다.
      냉전 종식 후 불과 30년만에 서유럽국가들의 군사력이 얼마나 약체화됬는지 보면 됩니다. 군사력도 근방에 위협이 있고 필요해야 강화됩니다.

    • @user-bo4qq8tr8h
      @user-bo4qq8tr8h 2 ปีที่แล้ว +4

      @@user-ny6tr4nc1k 조선이 약해진 이유는 두 가지죠. 첫번째 병자호란 이래 적대국가가 없어짐. 놀랍게도 청-조선-도쿠가와막부 모두 열성적인 적대국이 사라짐.
      두번째. 누가 군비를 책임질것인가? 이게 제일 큰 이유죠. 특히 조선... 임란 이후로 양반계층이 막 나가서 부패 와 내로남불 책임전가 엄청 났죠. 특히 땅문제. 너무 얽혀있어서 망할때까지 해결이 안 되었다는 게 크

  • @leeston7874
    @leeston7874 2 ปีที่แล้ว +3

    어차피 칼은 쇄퇴기였음... 총이 대세가 되어가는 시점에서 활에서 총으로 넘어가는게 맞음..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다만 조선의 경우 지나치게 원거리 무기 위주로 가다 당한거죠 ㅋㅋㅋ 뭐든 적당히...

  • @onlydoingjk
    @onlydoingjk 2 ปีที่แล้ว +1

    현대 부엌칼하고 과거 명검하고
    뭐가 더 좋은지 궁금하네요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닥 현대 기술이죠 ㅋㅋㅋ

  • @user-kt8bj1vz7k
    @user-kt8bj1vz7k 2 ปีที่แล้ว +2

    5:07 짧은 길이를 극복하기 위해 방해를 사용한게 아니라, 방패밀집전술을 더 유기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글라디우스를 사용한 것 아님?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제 영상 편에도 잘 나오죠.

  • @lkc4808
    @lkc4808 ปีที่แล้ว +4

    내가본 역사서와는 내용이 다르네...
    한국이 임진왜란 이전에는 검을 주로 사용했는데, 이후부터는 검을 버리고 도로 바뀌었고, 난중일기에도 일본도는 가늘고 날카롭지만, 탄소강도 조절이 잘안되어서
    조선칼과 싸우다보면 카타나가 파괴된 적을 여럿 보았다. 그래서 일본군은 카타나를 2개를 가지고 댕긴다더라... 함.
    참고로 일본도가 한국도보다 강도가 낮을수 밖에 없는 이유가... 일본내에서 생산되는 철이 그리좋은 철이 아닌걸로 알고 있음.
    일본에 무라마사 장인도 자국내 생산되는 철성분이 너무 안좋아서, 이것을 무른강과 강한 강을 어떻게 섞는지 ㄷ 자 구조로 하여 가운데엔 무른철을 넣는다던지, 여러가지
    연구를 해서 명검을 만들었다고는 하였지만, 실상은 몇번 전쟁터를 나갔다가 쓰다보면, 무조건 검이 두동강이 났음... 이건 일본도 인정하는 사실임.
    재련기술은 확실히 일본보다 한국이 앞섰음. 일본 유명 장인도 백제 시대때 준 칠지도를 모방하려고 하였으나, 감히 따라하지 못했다라는 얘기도 있다...
    어찌되었거나 팩트는 철다루는 기술은 한국이 일본보다 앞섰고, 철의 불순물 빼는 수준과 질좋은 철을 보유한것은 한국이 더 좋았음...
    문제는 한국에 기술장인들이 일본 전국시대 만큼 많이는 없었다는 것이 차이나는 정도임...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ปีที่แล้ว

      아 말씀해주신 거 맞아요. 다만 이 영상은 시리즈 물이라 이전 영상과 다음 영상들도 봐주셔야 합니다ㅜㅜ 거기에 이미 다 나와요.

  • @akitorang5202
    @akitorang5202 2 ปีที่แล้ว +3

    칼이 다시 짧아진 계기가 조총때문인건 알겠는데 왜 총검이 만들어지지 않은거지?

    • @didgcys682
      @didgcys682 2 ปีที่แล้ว +1

      연필에 지우개 달고 돈 엄청 벌어들인 사람도 있는데 당시에는 그런 아이디어를 떠올리지 못 한 게 하닐까요?

    • @akitorang5202
      @akitorang5202 2 ปีที่แล้ว +1

      조총에 개머리판이 없는거랑 같은 이치인가?

    • @Orang_Fantasy
      @Orang_Fantasy  2 ปีที่แล้ว

      총검은 17세기에 처음 등장해서리ㅠ

  • @scft5323
    @scft5323 ปีที่แล้ว

    날길이가 글라디우스나 와키자시,1차대전시기 총검정도 길이네요

  • @user-md9mk3mh2r
    @user-md9mk3mh2r 2 ปีที่แล้ว

    양날이 들어간게 칼검으로 알고있고 한쪽날은 칼도로 알고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도만 사용한건지요? 찌르기용은 칼검이 아닌가요? 환도만 얘기하시는것 같아서요 몰라서 물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