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과 S의 차이 (ft. 직업과 진로)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6 ม.ค. 2023
  • MBTI S와 N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그림 instagram twitter @_lamang)
    #N과S
    #S와N
    #MBTI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87

  • @user-tu5dd6ye2o
    @user-tu5dd6ye2o ปีที่แล้ว +364

    주변에 매우 성공한 사업가분이 계신데(entj) N이랑 S가 51%, 49%나오셨어요. 이분은 24/7 내내 쉬지않고 지독하리만큼 계속 큰그림을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 거대한 사업구상을 하시는데 그걸 현실에 실행시킬땐 지독할정도로 현실적이라 관련법전까지 직접 독파하고 엑셀로 정리해서 면전에서 전문가에게 조언을 날릴정도로 꼼꼼하고 정확하시더라고요. 방향을 정하고 큰그림을 그리고 사색하고 아이디어를 구상해내는 창의력 + 실패없고 정확하게 정면돌파로 실행시키는 추진력까지.. N과 S는 뭐가 더 나은게 없습니다 함께여야합니다

    • @duke3024
      @duke3024 ปีที่แล้ว +63

      동의합니다. MBTI의 최종적 목표가 어쩌면 테스트롤 통해 본인 성향이 좌표에서 어디쯤 위치하고 있고 또 어떤 점이 발달해 있고 어떤 점은 부족한 지 파악한 다음 그 좌표를 미래에는 최대한 중간지점으로 이끌어내기 위함은 아닐까 생각해요. 이를테면 결과적으로 모든것을 두루두루 갖춘 총체적인 인간상이 되어서 주변에게 좋은 영향력을 나눠주는거죠

    • @kiyoonj
      @kiyoonj ปีที่แล้ว +24

      와 좋은댓글이네요 mbti로 성향나누기보다 자기가 부족한점을 보완해야겠어요 각자성향마다 배울점은 있는거니까요!

    • @Keyring323
      @Keyring323 ปีที่แล้ว +20

      난 정말 이런 분들 좋아

    • @iwantdonothing
      @iwantdonothing ปีที่แล้ว +2

      이야... 개멋지다

    • @oklu_
      @oklu_ ปีที่แล้ว +5

      길님 영상엔 댓글들도 좋아서 보기 좋아요

  • @LuckeyWP
    @LuckeyWP ปีที่แล้ว +89

    S는 눈에 바로 보이는 것들이고 N은 바로 보이지 않는 것들이라 빨리빨리 눈에 보이는 결과를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N이 인정받기 더 어려운거 같긴 해요;;

    • @dong9053
      @dong9053 ปีที่แล้ว +1

      ㅇㅈ..

    • @dengyulsh3111
      @dengyulsh311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ㅇㅈ..

  • @zhongli7628
    @zhongli7628 ปีที่แล้ว +151

    전S인데 N성향의 후배 2명이 밥 먹을때마다 "만약에 ~면 어떨까?" 라는 주제들로 끊임없이 서로 재밌게 놀더라구요.. 저는 왜 저럴까, 지금 저런 대화가 무슨 의미가 있지?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전략/기획 팀원으로서 저 친구들이 나보다 나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회사에서 높이 올라가려면 N적인 사고들은 필수인 것 같아요, 특히 전략/기획쪽은요

    • @Keyring323
      @Keyring323 ปีที่แล้ว +9

      저희 회사는 N쪽이 높으신분들이 많은거 같은데 수주한 거 보면 금방 대기업으로 성장할거 같이 얘기하다가도 막상 실상을 보면 계획만 거창하지 알맹이는 정말 실속 없었음 소문만 무성하지 실제로 이루워진건 별로 없는거 같음 회사 내부 사정좀 잘 좀 파악하던지 아님 그냥 하던거나 좀 제대로 했으면 좋겠음

    • @courttiko0324
      @courttiko0324 ปีที่แล้ว

      @@Keyring323 222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Keyring323 S 나무 N 숲 이거하나만으론 부족함 N은 무조건 T가 함께해야됨 그래야 존나 이성적인 기준으로 상상을 발휘함 말이되는 상황속에 뷰만 발전시켜나가는거임 N이 F가 되면 우물안 개구리가 됨 남신경쓰는선에서 신경쓰는거지 N은 무조건 T랑 합쳐져야 천재성을 발휘함

  • @sabotrfrgr
    @sabotrfrgr ปีที่แล้ว +73

    Intj-t임.
    다른 부서이긴 한데 enfp-t 사원이랑 자주 만나는데 사적인 대화를 할땐 말 통하는 편임.(내말이 통한다는 느낌보단 enfp말을 내가 이해해주는느낌이 더 강함) 참고로 우리엄마가 enfp라 많이 겹침.
    하지만 주변 동료나 상사, 다른 부서에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S가 많음. (esti, estp, istj, esfj...)
    그 속에서 enfp는 사고뭉치, 시간개념 잘안지키고, 일에 대해 싫어하고 짜증잘내는 사람으로 소문나있음.
    S입장에서만 보면 그 enfp는 일못하는게 맞음. 하지만 사람을 직접 만나서 하는 영업이나 큰 그림 안에서 전체의 흐름을 잡고 옳고그름의 기준으로 잡은(나름의 철학을 토대로) 방향성을 향해서 이끌어가려는 에너지가 있고 보고있으면 대단하다고 생각함. (행정 업무처리에 관해선 정말 파괴적으로 못하긴 함)
    참고로 나도 목적없고 의미없는 프로세스(절차)를 거쳐야하는 이상한 방식을 고집하고 전통화시키려는 회사나 업무는 혐오함. 하지만 일 잘한다는 소리는 잘들음. 윗선의 요구를 잘 들어줄뿐 아니라 손댈수있는 선에서 체계나 프로세스에서 필요없는걸 제거하고 내 방식대로 변형시켜서 그걸 매뉴얼화하고 남들에게도 정착시키는걸 나름 잘함. 하지만 조직생활에 취약함(사람과의 교류 극도로 꺼려함).
    회사생활 하면서 느끼는건 N들은 독립적인 직업을 갖거나 정말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해야한다는걸 뼈저리게 느낌. 주변에 N들이 적은 회사 조직에선, 일을 만에 하나 잘한다고 할지라도 본인이 괴로울 수 있음.

  • @assafunny
    @assafunny ปีที่แล้ว +468

    파워N
    영화봐도 스토리 못 따라가서 옆 사람한테 무슨 내용인지 몇번이나 물어보는데, 영화 끝나고 미장센이랑 의도 파악, 해석은 탁월함.
    공부할때 숙제 뭔지 맨날 모르고 답안 체크할때 잘 못 알아먹어서 채점도 제대로 못하는데 시험동향파악이나 출제자의 의도 파악은 빠름.
    남의 말 맨날 못 알아듣고 뭐라고?를 자주 하는데 화법이나 습관 등의 연속적이고 비언어적인 제스처 등을 통해서 상대방의 가치판단방식이나 불안, 트라우마 등은 굉장히 잘 알아챔.
    서류작업은 아무리 간단한걸 시켜도 스트레스로 하기 전부터 몇번이나 울어재끼지만 기획안 써오라고 하면 신나서 써재낌.
    회원가입이라는 거대한 장벽 때문이 앱쓸때 가족ID 공유를 좀 많이 받는 편. SNS와 게임을 안 하는 이유가 됨.
    싸울때 딱 지금 싸운거만 갖고 말하자 할때 이해 못함. 싸움의 이유를 파악하려면 싸움의 주체인 캐릭터들의 일관성과 축적된 싸움들의 공통성을 체크해서 관계의 전체 맥락을 봐야하는데, 지금 싸운거만 갖고 얘기하라고 하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지가 없는 건가 싶음.
    사건 내용 파악보다 사건의 의미와 영향력 분석에 뛰어남.
    스몰토크 싫어함. 전형적인 소재의 이야기도 노잼이지만 무의미한 tmi 정보전달 수준의 근황토크에 더 기빨려함.
    책 읽을때 다른 책에서 읽은 거 연결시키고 좋아함. 다 읽고 나면 책 내용은 기억에서 사라지고 그 책 읽을때 내가 했던 해석과 아이디어만 기억에 남음.
    현실에 발 붙여야된다고 사람들이 재테크 공부하라 그러면 경제학이랑 수학책 보고 앉았고, 결혼이나 연애하라고 하면 생물학, 뇌인지과학 및 정신분석학 서적 읽고 자빠짐.
    야무진 구석을 1도 찾을 수가 없지만 이상하게 멍청하다고만 하기에는 애매한 똑똑한 부분이 있음.

    • @jjeong6219
      @jjeong6219 ปีที่แล้ว +48

      와...나랑 개똑같네요

    • @realzzzzz
      @realzzzzz ปีที่แล้ว +33

      intp이세요?

    • @dongh.
      @dongh. ปีที่แล้ว +13

      @@realzzzzz INTJ에 한표!

    • @dongh.
      @dongh. ปีที่แล้ว +61

      책읽을때 특히 내용은 다 까먹고 해석이나 아이디어들만 떠오르는거 소름돋네요..

    • @assafunny
      @assafunny ปีที่แล้ว +15

      흥미롭네요. 파워ENFP에 상처받거나 일하면서 예민해질때 가끔 ENTP이 나왔는데... 요즘 또 급 성격이 바껴서 INTP 의심중이긴 합니다. J는 다음 생애에서도 못 꿈꿔볼 성향입니다. 파워NP

  • @olivebae1623
    @olivebae1623 ปีที่แล้ว +36

    S들은 N 을 덤벙대고 이상한 생각만 하는 사람으로 보는 듯 ㅠ
    전 제 4가지 성향 중 N 인것만 너무 좋습니다. 나머지 3개는 바꿔도 좋지만 N만큼은 바꾸고 싶지 않아요. N 들은 한 발은 현실에 한 발은 꿈속에 담그고 있다고 생각해요. 현실과 꿈을 왔다갔다.. 현실만 사는건 매력없어요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평생 남밑에서 일한 사람은 S인 경우가 99%고 평생 남밑에서 일하지 못한 사람들의 99%는 N 성향임

  • @surgeon0813
    @surgeon0813 ปีที่แล้ว +167

    저는 극N인데 친한친구가 극S라 덕분에 현실감각 좀 키웠습니다ㅋㅋㅋㅋ 어떤식이냐면 대화중에 각자 인생계획 얘기 나눌때도 저는 자꾸 5년뒤 10년뒤를 얘기하게 되는데 그게 심해질때마다 친구가 일단 당장 다음달에 일 시작하게될 회사에 어떻게 적응해서 잘 다닐지 얘기해보자 이렇게 말해주면 확 정신이 들더라구요ㅋㅋㅋㅋ

    • @dkssud5955
      @dkssud5955 ปีที่แล้ว +28

      ㅋㅋㅋㅋ 제가 ESFJ 절친이 INTJ인데 제대로 된 연애 한 번 안 해본 친구가 나중에 결혼계획 세우고 있는거보고 답답해서 일단 애인부터 사귀라고 일침 날렸던 기억이 나네요 ㅋㅋㅋㅋ 그 친구 당황한 표정이 볼만했는데ㅋㅋㅋㅋㅋㅋ

    • @bandalee287
      @bandalee287 ปีที่แล้ว +12

      도대체 지긋지긋하고 재미없는 다음달 회사생활 얘기는 왜 진지하게 해야하는지 이해 못하겠는 intj 1인 지나갑니다...

    • @user-dw2kn7zm3x
      @user-dw2kn7zm3x ปีที่แล้ว +5

      저도 intj인데요,, 지나가겠습니다

    • @ipadual3119
      @ipadual3119 ปีที่แล้ว +3

      저도 이래서 젤 친한 친구랑 상호보완돼요 ㅎㅎ 친구(n)가 매번 저보고 대신 세부 계획짜달라고 ㅋㅋㅋ 저는 반대로 아이디어 필요할때 요청하구 ㅋㅋ

  • @lightlyk1891
    @lightlyk1891 ปีที่แล้ว +101

    이 비유가 맞을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느낀 S와 N의 차이는 '근시'와 '원시'의 차이 같음.
    가까이 있는건 선명하게 잘보이지만 멀리 있는건 흐릿한 S, 멀리 있는건 선명하게 잘보이지만 가까이 있는건 흐릿한 N

    • @DD-do1gx
      @DD-do1gx ปีที่แล้ว +12

      비유가 딱 들어맞네요

    • @cjh15tc
      @cjh15tc ปีที่แล้ว +6

      이게.맞네요.... 전 근시안이군요 .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가 F성향 갖고있다면 병신인거고 S가 T성향 갖고있어서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재능이 있다면 돈을 잘벌수있음 물론 의류업계나 요식업계 영화업계 마케팅쪽은 SF도 괜찮음 대중적인 입맛을 맞출수 있기 때문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T 성향은 이 세상을 지배하는 MBTI 유형임 상상력은 풍부하지만 그 근거가 이성적임 말이 되는 상상을 과학자처럼 계속 발전시킴 기존에 있는걸 어떻게하면 더 확장시키고 그 가능성은 어떻게 될까 이 상상의 근거는 매우 이성적이며 합리적임 월급쟁이들은 SF 성향도 많지만 자영업 비중에서 성공한 사람은 NT 성향이 ㅈㄴ게 강함

  • @soyoungna7016
    @soyoungna7016 ปีที่แล้ว +136

    연차가 찰 수록 N이 관리자쪽에 정말 필요한 성향이라는걸 느끼네요. S는 실무자. S는 자기분야에 깊고 꼼꼼하게 보지만 넓게 보질 못하더라고요...

    • @user-jy5no9ob2w
      @user-jy5no9ob2w ปีที่แล้ว +32

      N이 관리자 S가 실무자 격공입니다!

    • @Hj-bv5ic
      @Hj-bv5ic ปีที่แล้ว +4

      5년차 직장인 S인데 직급먹기 싫습니다.. 지금과정이 만족스러워서..

    • @Keyring323
      @Keyring323 ปีที่แล้ว +9

      우리 회사 상황 보니깐 관리자도 S가 필요하긴 함 N이 많아서 그런지 자꾸 김칫국만 들여 마심ㅋㅋ

    • @user-ug4fs9eg2t
      @user-ug4fs9eg2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Keyring323 ㅋㅋㅋㅋㅋ 맞죠. 찬물 끼얹는 S나 T가 간절해질 때가 있음

  • @yjj4617
    @yjj4617 ปีที่แล้ว +243

    저는 N이고 팀장이라 사안이 들어오면 제가 크게 보고 결정한 뒤 팀원들한테 방향제시하니 S팀원들이 제가 빨리 결정해줘서 좋다고 하더라구요. 그럼 s팀원들은 꼼꼼하게 일처리해서 저도 좋구요. 진짜 N은 큰 그림 보는 자리에 있고 그걸 S가 받쳐주는게 좋네요. 초년생 N들 부족한점 보완하고 노력해서 얼른 승진하시길

    • @baksujing2911
      @baksujing2911 ปีที่แล้ว +16

      저희 직장이 저만S고 나머지 N인데, N들은 완전 바쁘게 일을 찾아서 척척하는데 S인 저는 혼자 덩그러니 구경하고있어요 ㅋㅋㅋㅋㅋ
      확실히 N들이 넓고 빠르게 본다는데 맞는것 같아요. S인저는 그 안에서 마무리 안된거 있으면 찾아서 합니다 ㅋㅋ

    • @u_eeek9077
      @u_eeek9077 ปีที่แล้ว +9

      완전 공감이요, n형인 제가 방향을 정하는 의견을 자주 내고요 s들은 착착 따라오면 정해진 일을 하면되서 너무 편하다고 하더라구요! 확실히 잘하는 분야가 서로 있는거 같아요!

    • @user-ir4uq3kz8w
      @user-ir4uq3kz8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공감이예요. 저도 N인 팀장이고 밑에 직원들은 다 S인데 방향만 잘 제시해주면 S들은 누구보다 일처리가 빠른 거 같아서 좋더라구요.

  • @user-uv7sb3pt5d
    @user-uv7sb3pt5d ปีที่แล้ว +100

    N 유형들은 서구권으로 가면은 행복해질 가능성이 높은 거 같아요!
    미국, 유럽 사회는 자유, 다양성, 개성, 창의성이 중요한 편인 데다가..........세계를 변화시킨 서양 위인들이 대부분 N이 많다는 얘기까지 있으니 말이죠

    • @kangbee_003
      @kangbee_003 ปีที่แล้ว +12

      확실히 호주에서 나고 자란 제 사촌들이 estp istp이거든요 대부분 _s_p인 것 같아요
      생각보다 외국인들은 남에게 관심이 없고 개인 플레이 성향이 꽤나 강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오히려 이런 성향 때문에 n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들의 재능을 더 펼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것 같네요

    • @user-uv7sb3pt5d
      @user-uv7sb3pt5d ปีที่แล้ว +15

      @@kangbee_003 맞는 말이긴 합니다, 그야 남에게 그다지 신경을 안 쓰니 개인주의가 강한 거고, 개인주의가 강할수록 N 유형이 활약할 기회가 많아지는 것이니 말이죠

    • @AxolotlH25
      @AxolotlH25 ปีที่แล้ว +11

      서구의 역사는 로마로 들어가서 로마로 나온다고 하잖아요. 로마가 애초에 종교로 세워진 국가라 형이상학적인 요소 (철학과 예술 포함)가 발달했을 수밖에 없고, 그렇게 천 년 넘게 이어진 역사 정신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의 지성인들이 그들을 선망하는 이유가 있죠. 미국인들이랑 유럽인도 알고 보면 정말 다른데 몇 분만 얘기 나눠봐도 뿌리의 깊이가 다르다는 게 느껴지더라고요. 미국은 다인종 국가라 개방성은 넓어도 깊이는 유럽인들을 절대 못 따라가요. 애초에 유럽인들의 자부심은 역사에서 오고 미국인들의 자부심은 자본(그것도 대부분 유태인들에서 나온 것이지만)에서 오니까요.
      그건 그렇고 말씀하신대로 N기질이 80프로 이상이고 본인이 추구하고자 하는 길이 형이상학 쪽이라면 동양보다는 서방 세계가 맞는 듯합니다. 전 예술 쪽 일을 하고 있고 NF 기질이 매우 강해서 내년엔 결국 공부하러 독일로 떠나게 되었네요. 그런데 해외 나가는 것도 N이면 마냥 다 좋은 게 아니라 가족애가 크면 힘들어져요. 예전에 한 번 엄마한테 ‘엄마는 나의 엄마이기 이전에 한 개인이다’라고 말하니 엄청 서운해하시더라고요. 친구들한테 말하니 거의 한국인 중에 저랑 동의하는 사람은 한 명도 없더라고요. (유일하게 동의해줬던 사람이 저희 아빠랑 영국인 남편입니다 허허)
      암튼 제 생각엔 N성향이 강하고 + 형이상학적 진로를 추구하면서 + 가족보다 개인이 앞서는 사고를 자연스럽게 하는 것 이 삼박자가 맞아 떨어지면 서구 사회가 아주 잘 맞을 것 같아요. 그밖에 경제력이나 적응력 등 부수적인 요소 다 제거하고요.

  • @user-iy3jy9vx1e
    @user-iy3jy9vx1e ปีที่แล้ว +28

    NF들과 일하는 ST로서 NF들은 재밌긴함 어떻게 저런 생각을 하지 싶기도 하고 근데 일할때는 답답한게 자꾸 삼천포로 빠짐 회의주제는 결국 A를 해결하자인데 A얘기하다가 갑자기 저녁메뉴 얘기가 나온다던가 진짜 사담이 너무 많음 생각이 많아서 그런건지 모르겠는데 그럴때는 답답하고 짜증나기도함ㅋㅋ 그래서 항상 너무 빠진다 싶으면 이야기를 돌려놓기도 하고 정리하기도 하고.. 그럴때가 자주 있음..

    • @user-gk7nf9ex5f
      @user-gk7nf9ex5f ปีที่แล้ว +9

      sf인데 공감해요. nf들이 재밌을때도 있지만 자꾸 삼천포로 빠져서 답답해요. 하다못해 다들 배고프다고 빨리 음식 주문하자고 하는 상황에서도 메뉴보고 뭐가 떠올랐는지 딴얘기하고 n끼리 푹 빠져서 주거니 받거니 있지도 않은 상상하면서 키득거리고 말 자르지않으면 끝도 없어요. 당장 해야할 일부터 한다음에 그러면 좋겠는데 할 일은 잊고 엉뚱한 소리하는 게 반복되니까 이젠 '만약에~' 같은 소리만 들어도 짜증나요.

    • @ggul7183
      @ggul718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 극 N인데 사담말고 일할때 삼천포로 빠지는거 극혐합니다 근데 저희 회사에서 일할때나 사담이나 특히 면접보는 자리에서까지 자꾸 삼천포로 아주 심하게 빠지시는분이 계시는데 SF이십니다.ㅋㅋㅋ 그래서 이런걸로는 S/N을 판단할수 없다고 봅니다

  • @likehot
    @likehot ปีที่แล้ว +58

    일하는 곳에서 S들 사이에 N 홀로 일하며 힘들 때마다 스스로 중얼거리고는 합니다..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고 조용히 저만 들리게 말이죠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같은 유형의 사람들 킵하면서 세력을 확장시키세요

  • @Southmango3037
    @Southmango3037 ปีที่แล้ว +69

    확실히 여기는 N들이 억울함을 토로하는 댓글들이 많네요 저는 반대로 S이고 제 친구들이 N인데, 대화하는 걸 들어보면 N들이 너무나 부럽게 느껴진답니다... 나도 무에서 유를 만들 정도로 창의적이고 싶은데 그게 마음처럼 잘 안 되네요

    • @DD-do1gx
      @DD-do1gx ปีที่แล้ว +12

      아무래도 n이 비주류라서 그런가봐요
      저는 사회생활에서 스트레스 받을 때마다 제 성격 때려치우고 s로 갈아끼우고 싶다고 생각해요ㅋㅋㅋ

    • @plaintivesky6967
      @plaintivesky6967 ปีที่แล้ว +13

      저는 N인데 S가 가진 디테일과 현실적인 판단이 부러울 때가 있습니다 ㅋㅋ
      아마 선생님 주변 N 유형 사람들 중에서도 선생님을 부러워 할 사람이 있을 겁니다.
      사람은 자신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갈망이 있기 마련인지라...

  • @user-yu4eu6ez4s
    @user-yu4eu6ez4s ปีที่แล้ว +397

    ㅎㅎ재밋게 봤습니다. ENTP로서 많이 와닿네요. 개인적인 뇌피셜이지만 N들에게 가장 필요한건 '구체화'와 '목록화' 아닐까 합니다. 직관형은 거의 항상 브레인 스토밍 상태이기 때문에, S들보다 더 자주자주 '기록'과 '정리'가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그러면 자신도 모르게 의식의 흐름에 휩쓸리는 경우도 방지하고, 계획성과 체계성이 그나마 조금(?) 높아지는듯 해요~ㅎㅎ

    • @seongwon4437
      @seongwon4437 ปีที่แล้ว +18

      ENTP 짱

    • @user-jy5no9ob2w
      @user-jy5no9ob2w ปีที่แล้ว +43

      항상 브레인스토밍 단계이기때문에 더 자주 기록과 정리가 필요하다.. 너무 공감해요!!!

    • @pja2306
      @pja2306 ปีที่แล้ว +2

      저도 항상 일 시작하기전에 리스트 만들어요 다 끝내지는 못하지만 ㅠ

    • @DD-do1gx
      @DD-do1gx ปีที่แล้ว +18

      intp인데 항상 하던 생각이에요 하지만 실행하지 않죠ㅋㅋㅋㅋㅋㅋ

    • @user-yu4eu6ez4s
      @user-yu4eu6ez4s ปีที่แล้ว +10

      @@DD-do1gx 그거슨 저희가 P로서 아주 훌륭하고 모범적이고 충실하다는 증거이기도 하지요 클클클ㅋㅋㅋㅋㅋㅋ🤣🤣😉

  • @himnaejang
    @himnaejang ปีที่แล้ว +66

    저 n성향90퍼인데 인생이 고독합니다
    행정직 공무원이거든요
    항상 주변에서 가스라이팅 당하고 있다고 생각중입니다….. 아무리 꼼꼼하게 하려고해도 잘안되요…… 이것은 자존감에 큰 영향을 줍니다. 주변에 s가 많으면 절 이해못해서 자괴감의 반복이거든요.
    n성향이시면 공무원 일 웬만하면 비추입니다.
    s성향은 공무원에 많은 isfj랑 그럭저럭 맞긴한데 엄청 통하는건 아니구요…확실히 n성향이랑 저세상 토크가 돼서 재밌긴한데 주변에 n성향이 없어서 많이 고독한 편입니다 참고하세요…

    • @user-gc9wj5mt3k
      @user-gc9wj5mt3k ปีที่แล้ว +15

      현직 공무원입니다... infp,isfp 번갈아가면서 나오는데 (주로 infp긴 합니다) 정말... 힘들어요 지금은 많이 익숙해져서 그나마 낫지만 처음엔 실수 안 하고 넘어가는 날이 없을 정도로 덜렁대니 자존감도 바닥치고 주변 분들한테 민폐만 끼치는 거 같아 괴롭더라고요... 이 조직에서 제가 잘할 수 있는 일은 없는 거 같고 그러다 보니 보람도 안 느껴지고 하루하루 때운다는 느낌으로 다니는데 다른 일 알아볼까 하다가도 현실 생각해서 순응했다가 고민하다 계속 반복이에요.. 주변 분들도 진짜 다 좋은 분들인데 확실히 s밭이다 보니 융화되지 못하고 붕 떠 있는 느낌을 많이 받아서 조금 외롭더라고요... 지나가다 너무 제 얘기같아 그냥 못 지나치고 댓글 달고 가요

    • @aco_roa_coco
      @aco_roa_coc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는 s인데 스스로가 채찍질하여 힘듭니다. n처럼 유해지고 싶어요.

    • @geugeoaniya
      @geugeoaniy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n성향 행정직 공무원입니다. 주변에 isfj 많은 거 극공감합니다. 회사에서 지나가다 아무나 잡고 물어보면 isfj일정도로 정말 많죠. 그리고 대부분 s성향이라서 같은 n성향 찾는거 정말 어렵죠. 일도 안 맞지만 깊이 통하는 사람을 못 찾아서 항상 외로운 것 같아요.ㅠ 그래도 뇌에 힘주고 잘 해왔다고 생각했는데 최근에 힘든 일이 있고나니 정말 행정일에 정 붙이기가 힘드네요ㅎㅎ

  • @user-uv6ie6ki3y
    @user-uv6ie6ki3y ปีที่แล้ว +169

    저는 파워 N 이었는데, S집단인 공무원 업무를 하는 것이 인생에서 가장 괴로웠습니다.
    S는 S끼리, N은 N끼리 동료를 만나는 것도 좋습니다.
    S의 눈에는 N 의 단점만 보이니까요.
    S 와 N이야말로, 직업을 선택하고 배우자를 만나는데 있어서 정말 중요한 지표입니다.
    공감하면서 봤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croquis90
      @croquis90 ปีที่แล้ว +15

      맞아요. 특히 신입 때는 모멸감을 느낄 정도였습니다. 물론 서로 다른 유형끼리는 일하다 보면 상호보완이 되는 면이 있고, (존버하다보면) 극 S인 상사에게 인정을 받는 순간도 종종 있지만, 그래도 늘 N인 상사나 동료들이 고프네요. 최소한 비슷한 비율로 있으면 좋을텐데..라는 생각 많이 듭니다.

    • @user-uv6ie6ki3y
      @user-uv6ie6ki3y ปีที่แล้ว +28

      @bugatti P는 융통성이 장점이 있지만, 판단을 유보하려는 단점이 있고
      J는 추진력 높다는 장점이지만, 미래를 예측하고 통제하려는 단점이 있습니다.
      N 과 S 는 동일하되, P 와 J 는 다른 관계가
      진짜 찰떡 궁합이라고 봅니다.

    • @lightsummer1204
      @lightsummer1204 ปีที่แล้ว +12

      맞아요 저 엔팁이고 NT가 정말 강한데
      배우자에 있어서 S는 절대 만나지않을거라고
      가슴 깊이 생각하며 살아가는 중입니다 ㅋㅋㅋ
      사실 속으로 주변 친구들도 N과 S 성향 구분지어 보는경향이 있어요 ..

    • @lightsummer1204
      @lightsummer1204 ปีที่แล้ว +2

      @@user-uv6ie6ki3y 이거 정말 공감합니다
      융통성이 부족한 J와 구체적인 계획성이 부족한 P의 상호보완을 위해서요
      추진력의 경우에는 조금 다르지않나 싶습니다
      본인 ENTP인데 추진력 MAX거든요..ㅋㅋ

  • @rosenkoala
    @rosenkoala ปีที่แล้ว +88

    기계 고치는 것에서 S가 숲보단 나무를 본다는걸 이해했어요...
    기계에서의 이상함을 전반적으로 보는거 자체가 시야 넓은거 아냐 했는데
    N은 그 이상이군요.......
    -파워S

    • @user-wn4qu9el7h
      @user-wn4qu9el7h ปีที่แล้ว +50

      파워N은...
      당장 이상함을 눈치채서 하나하나 고친다 해도 만약 기계의 문제가 제조회사의 문제면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이 기계는 내가 고치면 쓸만하게 굴러가겠지만 이후 같은 회사에서 기계를 사면 또 수리가 필요할거고, 그 회사 제품을 내가 다음부터 사지 않는다 해도 내 친구나 가족, 그걸 넘어 내가 모르는 타인이 구매해 피해를 볼 거라 생각하면 고치는 건 둘째 치더라도 제조회사에 항의를 넣는게 우선이라 생각한답니다.
      그리고 전에 다른 기계가 비슷하게 고장났다는 걸 떠올리면 지금 고장난 게 아닌 전에 비슷하게 고장났던 기계를 찾아 그 기계의 근본적인 문제가 뭐였는지 확인하고, 근본적인 문제가 같은 경우 참고하여 이 기계에 맞는 식으로 고장을 고쳐내야한다는 결론에 다다릅니다.

    • @muse_b
      @muse_b ปีที่แล้ว +2

      @@user-wn4qu9el7h 완전 공감이네요 ㅎㅎ

    • @DD-do1gx
      @DD-do1gx ปีที่แล้ว +5

      @@user-wn4qu9el7h 극N이라 이런 접근방식이 정말 이해가 잘 돼요

    • @HMSW
      @HMSW ปีที่แล้ว +4

      @@user-wn4qu9el7h 진짜 맞아요 더 확장해서 생각하고 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죠

    • @user-mk1qp5pr5f
      @user-mk1qp5pr5f ปีที่แล้ว

      n인데 p성향이 너무 강해서 근본적인 문제는 인식하지만 알고도 귀찮아서 일단 괜찮겠지 하면서 넘어갑니다 ㅋㅋㅋ 그러다가 탈나면 후회하긴해요

  • @hlena8537
    @hlena8537 ปีที่แล้ว +16

    N 90정도인 제가 느낀 열려있는 s들은 넌 이런거 어떻게 생각하냐 흥미롭다 재미있다 등등 긍정적인 말을 해주고 저랑 안맞았던 s들은 제가 뭐만하면 꼬투리 잡고 왜 그렇게 사냐 마냐 지적질에 그런 사람들 다 안만나니 좋았습니다. 애초에 회사생활은 맞지않을 거 같다는 판단하에 프리랜서로 일을 하고 있는데 댓글들 보니 맘고생하시는 분들이 꽤 많으시네요 저도 예전에 느꼈던 거라 ㅠㅠ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ปีที่แล้ว +1

      와 제가 지금 겪고 있는 상황
      너무 스트레스 받고 우울증까지 와서 이직 생각하고 있어요

  • @yoyo-uj1un
    @yoyo-uj1un ปีที่แล้ว +7

    전에 s들 사이에서 일한적 있는데 맨날 나만 못 알아 먹고 속도도 제일 느렸음 그전에는 일 잘한다는 소리 듣다가 s팀장님과 팀원들을 만나고서는 기도죽고 자괴감이 느껴지더라고요
    s들은 대충듣고도 크게 생각안하고 바로 딱딱 일처리 하던데 저는 그게 잘 안돼요 그냥 일하나 던져주면 알아서 잘하는데 앞뒤 다 자르고 이거 하라고 딱정해주면 혼란스러움

  • @user-jy5no9ob2w
    @user-jy5no9ob2w ปีที่แล้ว +247

    와 이번거 너무 재밌어요! 엠비티아이가 유행하면서 사실 E랑 I, F와 T, P와 J의 차이는 사람들이 이해도가 높은데에 반해
    N과 S 차이를 주제로는 이야기 나누기 어렵다고 느꼈거든요! 저는 N이 강하다보니 두번째 글자가 뭔가 되게 중요하다고 느낌적으로만 느껴왔었는데.. 이제 잘 설명할 수 있겠네요 😊

    • @dongh.
      @dongh. ปีที่แล้ว +9

      S와N은 달라도 너무 다르죠 ㅋㅋㅋㅋㅋㅋ

  • @user-cu9bd9sc2t
    @user-cu9bd9sc2t ปีที่แล้ว +57

    마녀사냥에서의 희생자가 N이 많았을 것이다란 가설을 듣고 가슴이 뛰었어요!

    • @RealRightTV
      @RealRightTV ปีที่แล้ว +8

      맞는말입니다. 그들의 대다수가 Rh-이고 통계적으로 Rh-중 N이 절반이상이니까요

    • @user-ix2qe6sc6f
      @user-ix2qe6sc6f ปีที่แล้ว +2

      혁명가나 혁신가 들중에서도 n이 많았으니 숙청되는 경우도 많았을듯 하네요. n유형이 숫자가 적은이유가 그래서일까요ㅎㅎㅎㅎ

  • @user-ov8zu1ns7q
    @user-ov8zu1ns7q ปีที่แล้ว +22

    N성향은 진급 할 수록 유리한듯 해요
    경영/관리쪽으로 갈 수록 N성향이 더 요구되죠

  • @user-dn1qj9vi3t
    @user-dn1qj9vi3t ปีที่แล้ว +81

    갠적으로 MBTI가 가장 유용한게 N과S 차이를 알게해준것임. MBTI 접하기전에는 세상에 S같은 인간들이 존재한다는걸 상상도 못했었음. 물론 존재를 알게됐다고 이해가 가는건 또 아니지만ㅋㅋ MBTI만든 마이어스 여사도 N과S 사이는 벽을 쳐둔것처럼 큰 차이가 있다고 했을정도니

    • @huyuu6810
      @huyuu6810 ปีที่แล้ว +14

      ㄹㅇ 친해질 수 없음이 느껴짐 다른 건 극복 가능한데 N S는 상호보완은 될 수 있다곤 하지만 그 전에 대화가 안 통함 ㅋㅋ

    • @user-js8sr9qw3i
      @user-js8sr9qw3i ปีที่แล้ว +7

      난 n이 참 신기해

    • @DD-do1gx
      @DD-do1gx ปีที่แล้ว +26

      저도요 mbti 알기 전까지 s성향인 사람들은 사회생활하느라 자기 생각을 많이 묻어두는가보다하고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s성향인 사람들은 n적인 상상이나 이론에 전혀 관심이 없더라고요.. 충격이었어요

    • @Keyring323
      @Keyring323 ปีที่แล้ว +5

      s와 n거의 중간인데 저도 상상은 자주 하는 편인데 n은 정말 어나더레벨임 상상의 범위를 뛰어넘음 어떻게 이런거 까지 생각할 수 있는지 신기함

  • @DB-ki9uo
    @DB-ki9uo ปีที่แล้ว +55

    지나가는 intj 로봇입니다.
    휴먼을 학습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joohyoii
    @joohyoii ปีที่แล้ว +32

    진로를 한창 고민하고 있는 N유형 20대 초반 학생인데 너무너무 흥미롭고 유익해요 🤩🤩🤩 관련된 다른 영상도 많이 보고 싶습니다!!

  • @kdi4297
    @kdi4297 ปีที่แล้ว +93

    제가 극 N 성향인데 S 들한테 쓸데없는 생각하지 말라는 이야기 듣는거 공감 백배입니다 ㅋㅋㅋ
    비유를 하자면 S들은 열심히는 걷는데 어디로 가는지는 관심없고 너무 자기 발등만 보면서 가는거 같아 보일때가 있어요 ㅋㅋ
    N들은 전체적인 지도를 그리고 지름길을 찾는데 더 관심이 있는 편이구요~ ㅋㅋㅋ

  • @user-sq9ds1lp1c
    @user-sq9ds1lp1c ปีที่แล้ว +39

    와 전에 요청했던 영상이 올라와서 너무 좋네요 고퀄리티 영상 감사히 보겠습니다. infj인데 주변에 s가 많아서 그런지 저 혼자만 동떨어진 곳에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는데 영상 보고 납득했어요

  • @user-lt3ed9kn3r
    @user-lt3ed9kn3r ปีที่แล้ว +7

    mbti를 단순 밈으로만 많이 다루던데 그게아닌 이렇게 세세하게 파고드니까 더 재밌는거같아요 ㅋㅋ 이분 영상이 제일 흥미로워요

  • @k1m_y296
    @k1m_y296 ปีที่แล้ว +22

    저는 ENTJ 인데요,, 뭐랄까 이전에 없던 양식을 새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면 오히려 좋다(필수 내용만 리스트업 할 수 있어서) 입장인데 제 주변 S 분들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엄청 크더라구요. 가이드가 있는 상태에서 디벨롭 하는 것은 너무 좋은데 애초에 가이드 없이 새로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것은 어렵다면서요. 이것도 N과 S의 차이에서 나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Keyring323
      @Keyring323 ปีที่แล้ว +6

      맞는거 같아요 저도 가이드를 제시해야 제대로 일할 수 있음 저는 극S는 아닌데 유에서 무로 창조하는 수준까지는 좀 힘듬 먼가 좀 제대로 된 규격이라던지 이전에는 어떻게 했는지는 제대로 알려줘야 참고라도 할 수 있는데 그게 없으면 그냥 정신이 멍해짐

    • @simzyzone
      @simzyzone ปีที่แล้ว +1

      😂😂 제 팀장님이 entj고 전 esfj 게다가 s가 90이 넘는데요.. 뭐 만들어오라하면 진짜 오지게 스트레스 받습니다..

  • @jinseokpark2097
    @jinseokpark2097 ปีที่แล้ว +8

    와~~~ 완전공감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나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사람과 함께 한다는 것도 완전 공감합니다.

  • @user-we2lk6yn6u
    @user-we2lk6yn6u ปีที่แล้ว +19

    S와 대화 해보았는데, 말이 안 통합니다.
    팁을 드리자면 최대한 말을 단순하게 하세요.
    그러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을 겁니다.

  • @amazingITNJ
    @amazingITNJ ปีที่แล้ว +16

    N 이 교주가 되고 S 가 광신도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말씀 너무 재밌고 공감합니다. ㅎㅎ

  • @user-xz6tn8qw2d
    @user-xz6tn8qw2d ปีที่แล้ว +37

    극 N성향이었던 INFP 였는데요, 최근 몇달, 길게는 몇년동안 시험에 치이는 삶을 살아오다보니 S성향으로 바뀐 제가 느껴져요... 사실 시험공부를 위한 공부를 할려면 N성향의 사고방식은 정말 도움이 안되는 비효율적인 과정이라서 '아 쓸데없는 생각그만해라. 이거부터 외워. 이거부터 노트정리하고 이거부터 공부해.' 를 의식적으로 훈련하다보니 ISFP로 바뀌게되더라구요....확실히 단기적인 시험에는 N성향은 단점이 되더이다.. ㅠㅠㅠ

  • @user-oc2ms2xf2o
    @user-oc2ms2xf2o ปีที่แล้ว +52

    Nt가 가장 힘들었던 건 군대에서 사소 그자체인 걸로 트집잡고 꼽주는 거였습니다 그게 규율이라면 규율이겠지만 절대 내가 있을곳은 아니라 느꼈죠.
    대학원에 왔고 뭘 해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N분들 s보다 현실에 더 자주 치이더라도 화이팅입니다!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ปีที่แล้ว +3

      극공감

    • @Keyring323
      @Keyring323 ปีที่แล้ว +2

      저도 s지만 극s랑은 안맞는듯

    • @yellow-xs5wp
      @yellow-xs5wp ปีที่แล้ว +2

      저도 이게 군생활하면서 힘든 일이었습니다. 꿈이 경찰이었다가 군대랑 뭔가 비슷한 거 같아서 다른 쪽으로 진로를 바꿨어요

  • @catdiary._.
    @catdiary._. ปีที่แล้ว +19

    S 와 N 차이를 알게되니 나와 다른 N 직장동료들이 왜 그런지 이해하게되었네요~~ 그들의 장점을 수용하고 상호보완할 수 있도륙 해야겠네요!!

  • @user-ze9lm5le8i
    @user-ze9lm5le8i ปีที่แล้ว +8

    제가 N인데요 S인분께 인간의 존재 이유에대해 생각해본적 있냐고 했을때 그런생각을 할수 있냐고 신기해 하셔서 오히려 신기했어요 어떻게 그걸 생각 안 해보시지

  • @user-hp3uf3mx7q
    @user-hp3uf3mx7q ปีที่แล้ว +8

    진짜 mbti영상중에 최고

  • @user-vk3vv3kw5u
    @user-vk3vv3kw5u ปีที่แล้ว +49

    N은 능력키워서 전문직이
    나 밑이 아닌 어느정도 중간부터 올라와서 시작하란 말 적극공감해요..👍
    제가 딱 그 성향이라 지금 그러고 있거든요 열심히 노력중입니다 ㅋㅋ

  • @janey9205
    @janey9205 ปีที่แล้ว +23

    저는 Entj -a 유형입니다. 오늘도 정말 재밌는 영상 감사드려요!
    N중에 가장 S성향의 엔티제라 그런지몰라도 저는 N성향이 강해도 S팀원들과 일하는거 좋아합니다(물론 저의 상사로는 싫지만,,) 팀원이나 동료일 경우 저의 덤벙거리는 실수를 늘 잡아줘서 업무를 완벽하게 만들어줍니다. 전 항상 숏컷,최고효율만을 생각하는데 이 친구들은 항상 저의 일을 최고로 만들어 주거든요. 그래서 사랑할수 밖에 없어요ㅎㅎㅎ
    다양한 사람들과 이야기하다보면 늘 새롭습니다. 제가 없는, 제가 못하는 것을 보는 눈을 얻는 기분이라..
    망원경으로 보는 세상도 재밌지만
    현미경으로 보눈 세상도 너무 궁금하니까! ㅋㅋㅋㅋ 단점보다는 장점으로 보면 더 재밌고 흥미로운 N/S 차이 같습니다 😆😆😆

    • @Keyring323
      @Keyring323 ปีที่แล้ว +1

      맞아요 유독 N과S만 보면 유독 대립각을 세우는 분들이 많은데 서로 싸우기보다는 이해하고 공존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 @user-lq9ew3vc3j
    @user-lq9ew3vc3j ปีที่แล้ว +15

    엠비티아이에 이렇게 빠싹하게 알려줄 수 있는 사람은 ㄹㅇ 흔치않는데 그런체널을 찾아서 항상 재밌게 보고 있는중 시간 살살 녹는아앙아아아아아앙아~~~~~

  • @mint___mint
    @mint___mint ปีที่แล้ว +117

    다들 N분들이 많으시길래 S입장에서 남겨봅니다 ㅎㅎ
    전 극S인데 대학원 때 저 빼고 전부 N인 환경이었습니다. 다들 어떻게 그렇게 참신하고 넓은 시야의 아이디어를 잘 생각해내시는지..
    문제는 저는 아무리 노력해도 기존 연구를 더 좋게 만드는 정도밖에 못하겠더라고요. 다들 "너무 식상한데? 왜 생각을 못해? 제대로 고민한 거 맞아? 하고 싶은 연구가 없어?" 같은 반응이었고요. 체계가 잘 잡혀있어 보이는 연구실이라 선택했는데, 저와는 너무 다른 방향으로 체계가 잡혀있었더라고요 ㅋㅋ
    회사도..개발자라 그런지 N분들이 더 많으신데, 제가 보지 못하는 무언가를 잘 보시고, 새로운 기술도 어디서 자꾸 알아오셔선 적용하고 싶어하시고, 스타트업도 관심 많으시고..제가 생각보다도 더 일에 있어서 체계적인 걸 좋아한다는 걸 느끼고 있습니다. 그냥 무슨 일 어떻게 하라고 던져주시면 실수 없이 잘 해낼 수 있는데...너무 자유로워서 오히려 힘드네요 ㅋㅋ ㅠㅠ
    그나마 가족들이 전부 N인 환경에서 자라서 그런지 너무 돈얘기만 하는 현실적인 주제보다는(그건 제가 혼자 고민하면 됨) 철학적인 얘기나 그런 신박한 생각들을 듣는 걸 좋아하긴 하는데..그래도 SN의 차이는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라 더 어렵네요 ㅎㅎ 결국 중요한 건 서로 존중하는 태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 @staranie23
      @staranie23 ปีที่แล้ว +10

      S가 N을 무시하는데서 당하기만 한 경우가 더 많으니 이런 영상도 나오는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솔직히 S 싫습니다. 😂

    • @mint___mint
      @mint___mint ปีที่แล้ว +47

      @@staranie23 그렇게 말씀하시면 제가 어떻게 더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 어쨌든 서로가 못 보는 무언가를 볼 수 있는 거잖아요?
      성격이 안 맞을 수 있고 더 신경써야 할 필요가 있겠지만 뭉뚱그려 s가 싫다고 하시면 한국사람 6~70%를 싫다고 하시는 건데요😢
      이 영상도 n에 마냥 편향적인 것도 아니고요 😅

    • @geumgyuljuseyo
      @geumgyuljuseyo ปีที่แล้ว +13

      저랑 비슷하시네요
      저 isfj 인데 컴공 전공하고 스타트업 백앤드개발자 갔다가
      스트레스 받고 오래못버티다 퇴사했어요
      자유로운 환경이 더 안맞더라구요

    • @mint___mint
      @mint___mint ปีที่แล้ว +2

      @@geumgyuljuseyo 헐 저두 isfj에요 ㅋㅋ 아이고 고생하셨겠어요..더 좋은 곳 가셨기를 ㅜㅜ

    • @user-ji8kv6dh2h
      @user-ji8kv6dh2h ปีที่แล้ว +9

      n과 s가 별로 차이나지 않는 엔팁인데요~ ㅎㅎ 참 공감하고 글 잘 봤습니다 저는 최근에 s가 너무 심한 남자분을 알게됐는데 말마다 돈이야기를 하셔서(여기는 음료수가 무슨 이렇게 비싸 이돈이면 뭐 먹겠네, 데이트 비용이 요즘 여자 남자 어쩌고 저쩌고, 부동산 어쩌고...) 물론 그 분이 '센스 없는' 느낌이긴 한데 너무 돈돈 거리고 현실적인 이야기만 하는게 너무 듣기가 싫고 가까운 지인으로 두기 싫었어요... 이 글 보니깐 생각나네요 ^^

  • @user-sg4ir9ql6g
    @user-sg4ir9ql6g ปีที่แล้ว +29

    현직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작년 저희 반 아이들은 N 성향인 아이들이 많았습니다. 저희 학교 선생님들은 SJ성향이시구요. 그리고 저는 ISFP입니다.
    정말 힘들었습니다. 너무나 고통스러운, 스트레스로 가득한 1년이었네요.
    왜 작년에 그렇게 스트레스를 받았는지 이 영상을 보니 이해가 되네요. 이 영상을 보니 저는 역시 관리자와는 맞지 않다는 생각도 들구요.
    선생님 덕분에 진로와 관련하여 많은 생각들을 하고 갑니다. 영상 감사드리고,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 @user-ongsim
      @user-ongsim ปีที่แล้ว +1

      잇프피인데 강사 했던 사람으로서 정말 많고 치열한 고민들을 했어서 공감되네요... 물론 전 지금은 그만뒀지만 가끔 그때가 떠오르곤 합니다.. 이랬으면 어땠을까? 같은 것들이요. 글쓴이분께서도 많은 생각들을 하시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강점이 들어나는 곳이나 때가 분명히 있을테니 힘내시길 바랍니다!!

  • @user-qg7xm3tg1z
    @user-qg7xm3tg1z ปีที่แล้ว +62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당~ 세세히 유형별로 직업 추천 영상도 혹시 고려해보실 생각은 없으신가요? infp특히 궁금합니당ㅠㅠ 강사나 작가가(이건 이전 영상에서 괜찮다 해주신 것 같구!)잘 맞을지도 궁금하네용ㅋㅋ

    • @user-gy3vt4nz5v
      @user-gy3vt4nz5v ปีที่แล้ว +12

      둘 다 잘 맞아요~ 강사로 간다면 여러 타입 중에서도 학생을 지지해주는 스타일의 섬세한 강사가 될 것 같네요 :) 그래서 그런지 infp 중에 특히 초등교사인 분들을 많이 봤어요

    • @user-iz1qw1en5e
      @user-iz1qw1en5e ปีที่แล้ว +16

      저 infp 초등교사로 3년이상 근무했어요! 잘 맞을 줄 알았는데 교실 내 체계를 잡는 게 굉장히 중요해서 s성향이 생각보다 많이 필요해요ㅠㅠ (주변에 꼼꼼하신 sj성향 선생님들 진짜 많습니다) 생각보다 관리, 감독이 생명인 일입니다. 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절차, 규칙들을 조직화시켜 일 년 동안 일관성을 가지고 운영해야 질서 있게 반이 돌아가거든요.(아이들은 빠져나갈 틈을 귀신같이 찾아냅니다ㅎㅎ) 이므님 말씀대로 학생들을 정서적으로 지지해주거나 세심한 부분까지 캐치하는 건 잘합니다.

    • @user-qg7xm3tg1z
      @user-qg7xm3tg1z ปีที่แล้ว +2

      @@user-gy3vt4nz5v 제가 생각한 건 학원강사이긴 하지만 조언 감사드립니다♡ 너무 따뜻하게 말해주시네요ㅠㅠ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qg7xm3tg1z
      @user-qg7xm3tg1z ปีที่แล้ว +2

      @@user-iz1qw1en5e 체계잡는 게 진짜 중요할 듯 하긴 해요ㅜㅜ 균형잡는 게 쉬운일이 아니죠~ 어쨌든 아이들을 통제해야되는 일이니깐요~ 그래도 따뜻하게 잘 이끄셨을 것 같아요:) 답글 감사드립니다!

    • @assafunny
      @assafunny ปีที่แล้ว +13

      글쓰는 파워 N인데 글도 S성향 꽤 필요해요! 글의 소재 주제 등 큰 아이디어를 생산해내는거 외에도 실제 조사와 꼼꼼한 구조 등의 디테일이 있어야 완성도가 생겨서요. S들은 뭘 쓸지를 고민한다면 N들은 어떻게 디테일을 구현해낼지가 문제입니다.

  • @syoon466
    @syoon466 ปีที่แล้ว +14

    INTP인 제 입장에서는 S 유형들 보면 이런 재미있는 상상을 안 한다고? 와 인생 재미없겠다.. 생각하고, S 유형들이 저를 볼 때는 이 친구 할 일은 안 하고 뭐 하는거냐 비효율적이게 이런 얘기 매번 들어요.
    친동생이 S유형이고 20여년 살아와서 그런지 S유형이 뜬구름잡는 소리가 무엇일지 대충 학습해서 S유형이랑 어떤 식으로 의사소통해야할지 서로 맞춰나가는 것 같아요. 어쩔 수 없이 계속 만나고 부딪쳐야 하는 상황이라면요.

  • @user-pb7vh2im6c
    @user-pb7vh2im6c ปีที่แล้ว +44

    참 이런것도 mbti로 설명이 된다는게 신기하면서 재밌네요-ㅎㅎ
    저는 infj-t 유형인데-
    이제 10년정도 사회생활하면서 행정도 해보고 실험도 해보면서 스스로에게 느낀점이
    전체적인 진행 같은 건 큰 틀에서 잘 해내는데-
    늘 디테일한거 하나, 둘 정도를 꼭 놓치게 되더라구요...ㅠㅠ
    물론 전체적으로 결과는 잘 처리했어서 일 못한다는 소리는 들은적은 없지만서도 늘 자신을 못 믿겠더라구요...^^;
    그래서 일을 하면 꼭 한번 더 검토하고 하는데도 가끔 가다 꼭 하나씩 틀려있어요-ㅠㅋㅋㅋㅋ
    참 이건 고칠 수 없는 고질병이다 라고 생각은 하고 받아드리기는 했는데 참...ㅠㅋㅋ

    • @user-cs8ey2kd1i
      @user-cs8ey2kd1i ปีที่แล้ว +2

      저도 똑같아요 ㅎㅎ꼭 하나씩놓쳐서ㅜㅜㅜ 나름 완벽주의자인데 이래서 힘들어요 ㅋㅋㅋ

    • @slee8601
      @slee8601 ปีที่แล้ว +1

      두번 볼 것 세번 다섯번 보면 고쳐집니다. 효율이 떨어져서 그렇지.

  • @povtwist
    @povtwist ปีที่แล้ว +54

    INFP이고 친한 친구 중에 N 성향이 있는 듯한 S가 있는데 얘랑 얘기하면 진짜 재밌어요. 제가 상상한 이야기의 윤곽이나 밑그림을 얘기해주면 나름 진지하게 듣고 세부적이고 현실적인 내용을 질문해주거든요. 그럼 저는 엇 거기까진 생각 못했는데... 하고 다시 열심히 상상을 한답니다ㅋㅋㅋㅋㅋ 저보다 식견이 넓어서 그런 것도 있지만 서로 보는 게 다른 것도 확실히 한 몫 하는 것 같아요.

    • @yuji4518
      @yuji4518 ปีที่แล้ว +6

      서로 인정하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 같아요.

  • @storage4242
    @storage4242 ปีที่แล้ว +12

    사회초년생 N에게 맞는 환경이란게 과연 있는걸까요 한국사회에....? 말씀주신 공부쪽으로는 학사 이후 엄두를 못내는 상황이라 차치하면...ㅠ 직장 2년반정도 옮겨다니며 맞지 않는 옷을 입은듯한 느낌, 자신을 지우고 살아야 하는 느낌을 벗을 수 없습니다... N에게 맞는 환경을 찾고 싶은데 힌트라도 주실 수 없으실까요...

  • @yellow-xs5wp
    @yellow-xs5wp ปีที่แล้ว +85

    entj-t
    n중에 가장s축에 속하는 유형입니다.
    많은 부분이 공감되네요 꼼꼼하려고 노력하는 편인데 어릴적 부터 덤벙된다는 말을 자주 들었습니다.
    꼼꼼한 부분에서 놓치는 부분이 많았어요 하지만 기획하는 팀플 같은 거 하면 성적이 좋게 나오고 결과도 확실히 나오는 편입니다. s유형과 같이 일을하면 항상 주어진 상황만 보고 "하기 싫다" 이러던데 그럴 때 마다 멱살잡고 A나오게 해줬습니다. 싸울 때도 항상 '현재만 가지고 얘기하자라는 말' 제일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저는 항상 그 사람의 행동 하나하나가 쌓이고 쌓여 여기 까지 와서 싸웠다 생각하거든요.
    가족들이 다 s성향이라 항상 싸우면 저보고 너는 왜 옛날 얘기까지 꺼내? 라는 말을 많이 들었어요

    • @accountbackup298
      @accountbackup298 ปีที่แล้ว +19

      저도 s형인 엄마랑 싸울 때 왜 과거 얘기를 계속 하냐고 들었어요 ㅋㅋ 제 입장에서는 원인과 결과를 얘기해야 해결의 실마리를 풀 수 있는데 말이죠 ㅋㅋㅋ 어휴

    • @sellerdog
      @sellerdog ปีที่แล้ว +4

      ns 을 떠나서 틀리지 않은 말 같습니다. 현재만 보고 얘기하는것도 필요하겠지만 과거를 되돌아보는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과거가 모여 현재가 되니까요.

    • @Keyring323
      @Keyring323 ปีที่แล้ว +4

      S입장에서는 과거까지 가게 되면 자기가 기억이 안나는 과거가 있을 수도 있으니깐 그게 싫어서 그런거 일 수도 있어요 정말 꼰대같은 s는 과거일도 정확하게 잘 기억해내서 바로 지적하고 반격 들어가죠

    • @kretos2025
      @kretos202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가 st sf가 아닌
      Sj Sp로 극명히 나뉘는 이유가 있네요
      Sj-과거부터 현재, 가까운 미래(nj와 달리 현실적으로 대비 가능한 미래까지만 봄)다 신경 씀
      Sp-당장 당장의 상황에만 집중
      오히려 적응력 임기응변이 sj보다 뛰어날 수도 있음

  • @dydryd.i
    @dydryd.i ปีที่แล้ว +1

    전 n, s가 크게 차이는 안나는 infj/intj입니다!
    극 n,s의 성향이 아니어서 저를 잘 모르겠긴해요… ㅋㅋㅋ 이거 같기도 하고 저거 같기도하고 ㅋㅋㅋ
    보고서를 쓸 때는 좀 힘들어했던 거 같긴해요. 그래서 최대한 어떤 일이든 목적을 중요시했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해야 세세하게 들어갈 수가 있더라구요.
    목적에 맞는 목차나 구성을 짜고, 다시 세부 내용 작성했던 것 같습니다(그런데 다들 이렇게 일하시지 않나요??? ㅎ)
    이건 무슨 성향인가요? s가 섞인 n 맞나요? 허허

  • @JayJay-fz3hy
    @JayJay-fz3hy ปีที่แล้ว +5

    안녕하세요 길 인간학연구소의 팬입니다:)
    저도 mbti에 관심이 많아서 깊게 공부 중인데요
    영상에서도 말씀해 주셨던 칼 융이 말한 인생 후반전에 관련한
    도서나 이론들이 있다면 여쭈어볼 수 있을까요?ㅎ

    • @user-tx1kl1pr4h
      @user-tx1kl1pr4h ปีที่แล้ว

      많은 영상들에서 언급하였으니 지난 영상들을 찾아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 @yjh4723
    @yjh4723 ปีที่แล้ว +5

    S는 기술자.. 라고 생각함. 정확한 퍼포먼스가 생명

  • @joyj5447
    @joyj5447 ปีที่แล้ว +38

    intj-a로서 그동안 사회 생활 하면서 느꼈던 부분을 정확히 짚어 주셨어요.
    특히 나의 주된 강점들이 관리자 급에게 필요한 강점들인데,
    조직에서 신입 사원에게 시키는 대로 빠릿빠릿하게 하는 능력을 기대 하더라구요.
    막대한 에너지를 쓰며 회사 생활 했는데,
    참...힘들었습니다.

  • @user-gp7mj5ek7x
    @user-gp7mj5ek7x ปีที่แล้ว +19

    제가 N 76%인데 혼자 머릿속으로 상상, 망상, 공상 골고루 하고있으면 다들 화났냐, 왜 멍때리냐, 눈앞에 손 휘적거리고(?) 이상하게 쳐다보는데요. 중세기준으로는 악마와 교신하는것처럼 보였을수도 있겠군이라는 생각을했습니다. 21세기에 태어난게 다행...

    • @dongh.
      @dongh. ปีที่แล้ว

      화났냐라는 말을 들으시는거 보니까 혹시 인티제,인팁 아니신가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aruae01
      @haruae01 ปีที่แล้ว +3

      아 너무 웃기네요 ㅋㅋㅋㅋㅋㅋ 저도 생각을 멈추는게 힘듭니다

    • @user-tl6cu4ul8y
      @user-tl6cu4ul8y ปีที่แล้ว +1

      악마와 교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eddyBear-dk7tk
      @TeddyBear-dk7tk ปีที่แล้ว

      😂😂😂😂😂 악마와 교신 😅 찔린다. 상상이 많고 그걸 랩가사 쓰던가 그림으로 그려야하고 이걸 안하면 왜 사는 걸까 인간은 왜 여기에 있는걸까 이런 철학으로 빠짐

  • @yeniming1
    @yeniming1 ปีที่แล้ว +22

    진심으로 동의하며 재미있게 들었어요. E-I, T-F, J-P는 서로 맞춰가며 사이좋게 지낼 수 있고 심지어 서로를 재미있는 인간이라고 생각하며 잘 어울리는데, N-S는 서로 너무 안 맞더라구요. 대화가 안통한다, 살고있는 세계가 다르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저는 INTP인데 다른 모든 유형은 그럭저럭 잘 지내지만 S가 강한 사람과는 도무지 깊게 친해지기가 어렵더군요.

  • @hembbok
    @hembbok ปีที่แล้ว +37

    저는 MBTI 모든 비율이 거의 반반인 사람인데요..(거의 51대 49, 많으면 60대40) 그래서 가끔 저를 어느 유형에 맞춰 봐야할지 잘 모르겠어요.. S성향이기도 한데 N성향이기도 한 것 같고...ㅠㅠ 오히려 반반이라 둘의 안좋은 점은 몽땅 가지고, 좋은 점들은 애매하게만 갖고있는 것 같아서 고민이에요.. 다음에 괜찮으시면 저같은 반반유형에 대해서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 @user-qb5qg3be5j
      @user-qb5qg3be5j ปีที่แล้ว +3

      저도 S, N 다 갖고 있어서 헛갈려요 ;;

    • @user-kr9yh3dg8r
      @user-kr9yh3dg8r ปีที่แล้ว +3

      저도 반반인데ㅠㅠ 참 모호하네요..

    • @jeonghakmin4352
      @jeonghakmin4352 ปีที่แล้ว +3

      저도 N:S가 52:48 로 차이가 크지않고 T:F 도 비슷한 비율. 양쪽 성향을 다 가진듯

    • @user-gd9eu9jj5e
      @user-gd9eu9jj5e ปีที่แล้ว +1

      조금이라도 더 많이 나오는 쪽이 성향에 더 가깝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저도 N제외하고 거의 반반유형인데 그럼에도 항상 더 많이 나오는 쪽이 있고, 성향이 그 쪽에 더 가깝긴 한 것 같더라구용! 물론 양쪽 다 균형있게? 가진 것도 맞는 것 같아요

    • @slee8601
      @slee8601 ปีที่แล้ว +3

      두루두루 이해의 폭이 요구되는 직업이 좋지 않을까요? 진로 설계, HR, 교육업, 유치원 선생님 등등. 하지만, 그런 업계에서 윗선으로 가는 게 중요한 듯. 안그러면 다른 사람 좋은 일만 해주고 소모되는 거 같음. 조화와 균형을 필요로 하는 일도 잘 맞지 않을까 싶네요. 협상하는 일이라든지 그런거요. 외교 부문이나 m&a분야, deal making해야하는 분야도 괜찮을 듯.
      하지만, 대학원을 간다든지 해서 한가지 분야를 오랫동안 파다보면 어느 한쪽 성향이 도드라지게 변하기도 하더군요.

  • @user-fr8tt4kt8t
    @user-fr8tt4kt8t ปีที่แล้ว +14

    극s성향인 선임 밑에서 일하는 신입(n)인데요 영상 진짜 공감됩니다.
    전 엠비티아이 성향중에 ei ft보다 더 극명하게 갈리는게 sn같아요. ㅋㅋ
    제 선임은 말그대로 ‘시키는대로 한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시키는대로만 한다’식의 fm스타일인데요..저는 인수인계받을 때부터 ‘왜’ 이 업무에 있어 이 과정이 필요한지에대한 설명은 싹 생략당하고, ‘ 나도 처음에 이 업무는 이렇게 하라고 배웠다. 그니까 너도 이렇게만 하면된다.’라고 방법과 결과만 말하는 선임때문에 속터지고 답답해 죽을 거 같았어요. 물론 선임도 시키는대로만 하지않고 자꾸 필요하지 않은 질문을 해대는 제가 엄청나게 답답했겠지만요..저는 당연히 항상 해결되지않은 궁금증을 갖고 일하니까 처리속도도 느렸었고요..뭣도모르던 쌩신입일땐 그저 선임이 하라는대로만 했는데, 업무가 익은 요즘엔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는 업무방식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나중에 선임 퇴사하고 저한테 후임생기면 저는 꼭 어떤 성향인지 물어보고 인수인계해줄 생각입니다

  • @playjane6240
    @playjane6240 ปีที่แล้ว +9

    극 S인데 주면 찐친 다 N임! 나는 그친구들 이야기 듣고있는게 뭔가 흥미롭고 신기해서 좋고 그친구들은 괜시리 심각하게 생각하는 상황을 나랑 얘기하면 별일 아닌 일이었다고 생각하게되서 좋다고 하더라구요!

  • @minpaper
    @minpaper ปีที่แล้ว +624

    극N으로서 극S의 이야기는 재미가 없어요 ㅠ 항상 남의 얘기만 하는 기분..

    • @user-yz1co2pt2b
      @user-yz1co2pt2b ปีที่แล้ว +275

      오 난 극s인데 n이야기들 너무 이상적이고 뭔가 뜬구름..도대체 뭘 얘기하고싶은거야? 이런 느낌이요

    • @user-lz9dn6iz7d
      @user-lz9dn6iz7d ปีที่แล้ว +97

      맞아요 궁금하지도 않은데 남 얘기만 하면 쉽게 질리죠

    • @user-vv4qp5vm6h
      @user-vv4qp5vm6h ปีที่แล้ว +129

      극 s는 극 N얘기 들으면 "그게 무슨의미가 있다고 저런 말하는거지?" 생각듬 ㅋㅋㅋ
      나도 극 s지만 얘기하면서도 재미없다는 생각 들때 있긴함 ㅋㅋㅋ

    • @Sad-qu6ju
      @Sad-qu6ju ปีที่แล้ว +10

      S측은 N이야기의 노잼인 면을 이렇게 생각했구나!

    • @user-cs8ey2kd1i
      @user-cs8ey2kd1i ปีที่แล้ว +89

      헐 남의얘기 공감ㅋㅋㅋ 연예인 남의 얘기 어떤 프로에 나온 일반인얘기 누가어쨋다저쨋다 ㅋㅋㅋㅋ

  • @user-no4so8hu8i
    @user-no4so8hu8i ปีที่แล้ว +19

    이번 영상 항상 머릿속으로만 생각하고 있던 내용의 정리본이네요! Intj 인데 어떤 일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면 계속 곱씹으면서 저 멀리 안드로메다에서 결론을 내리는데 그게 깊은 통찰일 때도 있지만 현실에서 많이 동떨어진 곳일 때도 있어서 저 나름대로 생각을 많이 한 후에 s 들에게 검증 차원으로 한번 물어봐요 제 생각이 혹시 현실세계에서 너무 벗어나있진 않은지...ㅎㅎ
    예전에는 눈 앞의 것만 보는 것 같은 s 가 잘 이해되지 않았는데 이제는 그렇게 생각하는 내가 더 아는 게 부족한 상태였구나 라는 생각을 합니다

  • @user-uq8te2yc6l
    @user-uq8te2yc6l ปีที่แล้ว +8

    와 이거 너무 공감해요!
    제 주변도 S가 많은데 저 혼자만 파워 N이거든요
    그래서 시야가 좁다는 둥 시야를 넓히라는 둥 이런 소리 자주 들었어요
    디테일을 잘 못보기도 하지만 그닥 관심이 없다는게 더 맞아요;;;
    근데 예전보다는 볼려고 하지만 파워 N으로써 그게 쉽지가 않네요
    그리고 제가 N이라서 그런지 N들을 보면 장점이 먼저 떠오르고 S들은 단점부터 먼저 떠올라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지금 생각해보니까 진짜 영상에서 말한 것처럼 저도 그렇네요
    저는 저와 같은 N한테는 관대하고 잘해주고 싶은게 있지만 반대인 S한테는 많이 야박하고 무시할려는 성향이 있는 것도 나름 공감합니다...😅
    그렇게 생각 안할려고 해도 생각자체가 달라서 충돌이 잦아지니까 S들은 유독 장점보단 단점이 더 많이 보여지게 돼요;;
    그래서 그럴때 N들이랑 얘기하면 일단 마음이 편하고 부담스럽지 않게 얘기할 수 있어서 좋아요
    (이래서 같은 N들은 사랑입니다🥺❤️)
    근데 보완이 되는 것도 맞말인게 제가 감각으로 쓰는 일을 못하고 직관으로 하는 것에 대한건 능숙한데요
    제 주변 S들은 사이트 인증서나 키오스크로 주문하고 포인트 적립이랑 할인? 그걸 되게 힘들어할때가 있거든요
    그럴때 N인 제가 하는 방법을 차근차근히 알려줬더니 "얘가 이럴때 도움이 되는구나" 하고 좋아해줘요ㅋㅋㅋㅋ
    저또한 감각으로 힘 쓰는 일을 못하면 그런것도 S들이 할려고 해요
    저도 "니들이 있어서 다행이다..." 라고🤣
    그래서 이런 것들은 서로 보완이 될때가 많이 있어서 그런건 좋다고 생각합니다

  • @user-ou4yq1fq6z
    @user-ou4yq1fq6z ปีที่แล้ว +7

    직업 진로에 관한 영상 더 깊게 만들어주셨으면 하네요 흥미로워요 영상

  • @user-fz1sh7mt3m
    @user-fz1sh7mt3m ปีที่แล้ว +8

    저는 s인데 친한 친구들이 다 s였어요! 근데 최근에 n성향 친구들이랑 지내다보니 만약에~ 이런 대화.. 특히 밸런스게임도 엄청 하게 되고ㅋㅋㅋㅋ 의식의 흐름대로 재미있는 상상도 하게 되더라고요!! 그러니까 n친구들이 어 완전 n며든 거 같다면서 뿌듯해하더라구요ㅎㅎ n 친구들은 항상 제가 못 보는 것들을 볼 수 있어서 정말 부러워요! 그리고 n 성향 친구들과 대화하면 지루하다기 보다는 흥미로워서 너무 좋습니다 ㅎㅎ

  • @user-xq1tw9su6h
    @user-xq1tw9su6h ปีที่แล้ว +227

    N 성향이 매우 높고, 부기능으로 사용하는 ENFJ인데.. 생명과학 분야 대학원 재학 중입니다. 논문 읽고 새로운 아이디어 떠올리는 건 너무나 즐겁고 잘 할 수 있는데 실험을 기능적으로 익히는 게 너무너무 어렵네요.. 학위과정 중에는 S가 참 유리한 것 같아요. 지금 연구실 멤버들 중에도 S가 대부분인데 저의 단점이 부각되는 환경이라 힘들 때가 많아요. 훈련의 장이라고 생각하고 버티고 있습니다.

    • @int4734
      @int4734 ปีที่แล้ว +25

      이건 학위과정이 다 그렇다기 보단 분야랑 교수님 성향을 많이 따라갈 것 같아요. 발견을 해야하는 분야보단 발명이나 방안을 찾는 분야로 간다면 더 편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 @user-xq1tw9su6h
      @user-xq1tw9su6h ปีที่แล้ว +7

      @@int4734 맞습니다 ㅎㅎ 분야가 중요한 것 같아요. 제가 하고 있는.. 동물과 세포를 다루는 실험이 많은 의생명과학 분야는.. 저의 강점이 드러나는 곳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박사과정은 다른 분야로 옮기려고 계획 중이에요.

    • @user-cw3vi9yy7p
      @user-cw3vi9yy7p ปีที่แล้ว +47

      저는 말씀하신 것의 딱 반대 상황입니다. S 성향이 강한데, 어쩌다 문학 공부하겠다고 인문대 대학원에 왔더니 주변 사람들이 다 N이더라고요. 다들 신나서 철학, 사상 이야기들 막 하는데 저만 도저히 못 따라가겠어서 좌절했던 경험이 많았어요. 예전에는 그게 저의 부족함이라고만 생각하고 힘들어했는데 그게 성향이 달라서 일어나는 일임을 알게 되었죠. 그리고 한 선배가 조언해주기를, 모두가 N이어서 큰 그림이나 이상을 논할 때 S같은 사람이 꼭 필요하다고요. 그래서 지금은 제 성향을 인정하고 제 장점을 살리는 방향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여전히 파워N들 사이에서는 허덕이지만요^^;). 반대로 또 S가 많은 분야에서도 N이 꼭 필요한 상황이 있지 않을까요. 성향을 파악하고 장점을 살리는 게 어렵지만 중요한 일인 것 같습니다.

    • @king1mode89
      @king1mode89 ปีที่แล้ว +29

      조던 피터슨도 개방성(즉N)이 높은사람들이 오히려 정해진 커리큘럼 이나 학교성적에서 낮은결과가 나온다고 하더라고요
      여러방면에서 보려고 해서일까요 ㅋㅋ

    • @user-dg4pc2sf9c
      @user-dg4pc2sf9c ปีที่แล้ว +2

      화이팅입니다! 저도 N성향으로 대학원다니느라 주눅들때가 많았어서 공감이 좀 가네요ㅜ그래도 견디고 나면 다 별거 아닙니다! 힘내세요

  • @iliilllliIilllliii
    @iliilllliIilllliii ปีที่แล้ว +18

    ㅋㅋㅋ사회화 되기전이 이 성향이 찐으로 티나는데 고딩때 친구가 너 진로 결정했어? 어떻게 할거야? 했을때 저는 가고자하는 진로와 그에 대한 직업관을 고민하고 대답했는데 그 친구가 아니, 대학교 학과 어떻게 지원할거냐구 라고 해서 뭔가 시야가 다르다고 확 느낀 사건이 생각나요 ㅋㅋ
    S 성향이 강한 분들은 당장 눈 앞의 현실적인 사건들에 더 관심을 많이 집중하고 있고, N 특유의 본질적이거나 너무 스케일 크고 두루뭉술한 철학적인 고민을 들으면 사차원이다, 왜 그런생각을 하지 라는 반응을 보이더라구요.
    근데 쓸모 없는 성향은 없고 결국 다 써먹을 데가 있어요.
    목표의 방향성과 그를 왜 해야하는가 라는 자아실현의 큰그림, 혹은 발상의 전환을 요하는 기획 쪽엔 n의 시야가, 그를 현실로 이루어내기 위한 수단적 방법과 성취, 제작과 생산에는 s의 접근이 도움 되는 것 같아요.

  • @user-ls5gf8lc1f
    @user-ls5gf8lc1f ปีที่แล้ว +4

    저는 N,S가 비슷하고.. N이 조금 높기도하지만 나이들고 사회생활에 맞추다보니 S가 강해져있는데요...N인 더더 넓은시야를 갖고싶은 욕망이 더 많은데..N을 개발할지 S를 개발할지.. 제 강점을 어디서 어떻게 찾아야하는걸까요?ㅠ

  • @user-jt1pw1qt6l
    @user-jt1pw1qt6l ปีที่แล้ว +166

    맞아요. 저는 N성향인데, 사회 초년생일 때... 사무실에 오전에 팀원 전부 외근나가고, 인수인계 거의 없이 혼자 일했는데 일 잘한다고 칭찬받았어요. 근데, 오히려 20대 후반에 단순 경리 업무할때는 드럽게 못했어요. 30대부터는 쭉 전문직으로 팀장급 역할을 했는데, 일잘한다는 평가를 많이 받았습니다. 제가 은행이나 행정업무를 했다면 아마 열등생 취급받았을거예요. 그리고, 가까이 있는것도 잘 안보여요. 왜냐하면 딴 생각하거든요. Enfp~ㅋㅋㅋ

    • @user-jc8lp4bz9o
      @user-jc8lp4bz9o ปีที่แล้ว +2

      ㅋㅋㅋㅋㅋㅋㅋ

    • @mmmjj7703
      @mmmjj7703 ปีที่แล้ว +27

      너무 공감됩니다 공공기관에서 단순 행정 업무 볼 때 스트레스는 스트레스대로 받고 일도 남들만큼 꼼꼼하게 잘하지 못했어요 그래서 결국 사기업 쪽 기획 업무로 틀었는데 여기 일 하는게 더 편해요 일 많고 어쩌고 해도 성향에 맞으니 스트레스도 덜 받고 성과도 나오구요 행정 업무 볼 땐 왜 난 틀대로 하는게 어렵고 틀린 게 안보이지? 하는 생각 엄청 했었어요ㅋㅋ다 자기 성향에 맞는 자리로 가야 그만큼 성과도 낼 수 있는 것 같아요

    • @sykim9984
      @sykim9984 ปีที่แล้ว +1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jh3qv2pc8g
      @user-jh3qv2pc8g ปีที่แล้ว +9

      실례가 안된다면 어느 직무인지 알 수 있을까요? 저도 같은 엔프피라 반갑네요 😆 공직사회에 있는데 n성향이 강해서 이 길이 나와 맞는지 늘 고민됩니다..

    • @user-jt1pw1qt6l
      @user-jt1pw1qt6l ปีที่แล้ว +6

      @@user-jh3qv2pc8g 저도 공직인데, 일은 부서장급이고...업무는 상사가 전문가가 아닌 제가 전문가이기때문에 그들의 신뢰만 얻으면 업무추진이 수월합니다. 지금 상사는 제가 생각하기에는 istj성향인데, 처음 같이 근무할때는 진짜 상극이었어요. 근데, 지금은 신뢰를 얻어서 서로 맞추어나갑니다. 이제 나이먹고 보니, 저는 계획적인 부분이 많이 부족한 사람이었습니다. 이제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계획을 세워하려구요.ㅋㅋ 그리고, 저는 팀원에게는 enfp임을 드러내지만, 팀원이 아닌 외부적인 관계에서는 차도녀,차도남처럼 행동하는거 같아요. 이건 제가 사회적으로 쓰는 가면인거 같아요. 가장 중요한건 enfp는 단순업무나 흥미가 없는 분야는 관심이 없다는거예요. 오히려 권한은 누리되 책임지는 자리가 더 적성에 맞으실거예요.

  • @Babo39
    @Babo39 ปีที่แล้ว +1

    재밌네요 다른분들처럼 나머지 MBTI는 이해도가 높은데 N S는 애매했었어가지고 궁금했는데.. 정보를 더 얻어갑니다

  • @user-ji8kv6dh2h
    @user-ji8kv6dh2h ปีที่แล้ว +135

    n이 높은데 s가 많은 공뭔 집단에서 일하다가 나왔습니다....ㅎ 진짜 탈모왔어요 그리고 직장 동료분들도 저를 못하는 사람으로 바라보고요
    그러고 이직했는데 날라다녀요 아이디어 기반으로 일하는 자유로운 회사로 왔는데 저한테 너무 똑똑하다고 합니다
    이렇게 성향, 직업 중요합니다
    길인간학연구소님 너무 감사합니다 항상 스스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

    • @user-lz8ue7sz9h
      @user-lz8ue7sz9h ปีที่แล้ว +19

      어떤 아이디어 기반으로 어떻게 일하는 환경이세요? n이 인정받기 좋은 업무나 환경이 실제 회사로 치면 어떤 곳인지 궁금해요

    •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ปีที่แล้ว +10

      어떤 업계의 어떤 업무인지 궁금하네요

    • @user-yeouguseul
      @user-yeouguseul ปีที่แล้ว +2

      기획이나 마케팅쪽 이신가요

    • @buenos2682
      @buenos2682 ปีที่แล้ว +1

      혹시 어디로 이직하셨나요

    • @Dkddf563
      @Dkddf563 ปีที่แล้ว +1

      저도 넘 궁금합니다ㅠ

  • @user-sh3ie9pi6d
    @user-sh3ie9pi6d ปีที่แล้ว +160

    저는 극N이고 오랜 친구가 극S인데 진짜 MBTI를 알기 전부터 느끼던 것들이예요ㅋㅋㅋ서로 시야가 좁다든가 철이 없다든가 멍청하다고 생각함ㅋㅋㅋ

    • @user-gi5yu8yo3b
      @user-gi5yu8yo3b ปีที่แล้ว +24

      ㅋㅋㅋ 서로 멍청하다고 생각함,
      단 둘다 클래스 있는 경우 서로 감탄함

    • @24947
      @24947 ปีที่แล้ว +18

      S가 어떤 이유로 n을 멍청하다고 생각하지? S야말로 완전 우물안 개구리들인데 ㅎㄷ

    • @owl0492
      @owl0492 ปีที่แล้ว +38

      @@24947 S입장에선 N은 허황된 말을 자주 하는 느낌이니까요? 물론 N입장에서는 S가 창의력 응용력 1도 없는 느낌이겠죠ㅋㅋ 서로 뭐를 더 중시하냐의 차이지 열등하거나 우등하다의 차이는 아닌 듯요^^

    • @user-lq3tu9xg5g
      @user-lq3tu9xg5g ปีที่แล้ว

      @@24947 영상에도 나왔듯이
      S가 보는 것들을 N은 못보니까요.
      눈 앞에 당장 해결해야할것은 안 하고
      그것의 원인이나 미래따위의 딴 생각하고 있고,
      감각적인 정보(소리나 시각)를 파악 못하고,
      책이나 영화 보고나서 구체적인 스토리는 잘 기억 못하면서 뇌피셜로 보이는 의미만 줄줄 늘어놓고(=S들에겐 전혀 알수도 없고 공감도 안되는 얘기)
      회사초년생으로 얘기하자면 그냥 주어진거만 기계적으로 하면 되는데 그걸 안하거나 못하고 있고,
      S입장에선 답답하죠. 멍청해보이고.

    • @24947
      @24947 ปีที่แล้ว +5

      @@user-lq3tu9xg5g 영상에 감각적인 소리나 시각 부분은 별로 공감 못했습니다. 그건 신체기관의 민감도 차이지, 직관에 의해 달라진다고 생각하진 않거든요.
      예로 소리 잘 듣는 n, s가 있으면 s는 하던대로만 하고, 안되면 왜 안되지 하면서 계속 하던대로만 해서 해결을 못합니다. N은 왜 안되지 하면 이 방법 저 방법을 시도해서 결국 해결하는 경우도 있어요.

  • @MandarinKAMO
    @MandarinKAMO ปีที่แล้ว +170

    항상 높은 수준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Rhu_Vaeruxia
    @Rhu_Vaeruxia ปีที่แล้ว +8

    잘 보았씁니다. 음... 마녀사냥 어쩌면 그럴 수 있긴 하겠네요. 원래 하던일 그만두고 새로운 업종으로 이동중입니다. 처음에 S성향에 일에 많이 부딪히다가... 경력이 쌓이니깐 전략이라는게 보이기 시작하고.... 그걸로 N성향으로 적절하게 사용했지만 제 직무가 이 회사 미래가 보이지 않아서 그만두게 되었는데 다시 S 성향 써야할 시기가 찾아오는걸 잊고 있던걸 알게되었어요.

  • @user-ys1ub1fc8x
    @user-ys1ub1fc8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런 사람들의 보이지않는 내면세계에 대한 깊은 고찰도 N유형이 더 흥미롭게 잘 보고 이해하는거같아요 가까운 주변에 S성향이 많아서 제가 정말 하고싶은 이야기나 생각이 닿지 못할때가 많다고 느끼는데 이영상을 보여줘도 이해받을수있을까 싶네요ㅜㅋㅋ

  • @user-ux9ll2yq9h
    @user-ux9ll2yq9h ปีที่แล้ว +43

    저도 intp인데 세세한건 잘 못봅니다. 이상하게 보려고하지도 않고 좀더 거시적이고 근원적인 주제에 관심이 자꾸 생깁니다. 한국사회에서는 es성향이 대부분 직장에서는 유리합니다. 단순반복적이고 세밀한 업무를 잘하고 외향적이니까요. 반면 in 성향은 굉장히 공부를 많이해서 전문직을 하거나 학자 교수 작가등의 창의적이고 발산적업무를 해야 맞습니다.

    • @shjj339
      @shjj339 ปีที่แล้ว +2

      Es가 주도적인 회사에서 어떻게해야 인팁이 살아남을수 있을까요? 일하면 할수록 내가 못하는 일만 한다는느낌입니다 ㅠ

    • @user-lt8ov3ov2t
      @user-lt8ov3ov2t ปีที่แล้ว +1

      intp로 한국에서 며느리 노릇 정말 괴로웠어요 인사전화 싫어하고 생일 제사 챙기는 거 스트레스.....

    • @user-lt8ov3ov2t
      @user-lt8ov3ov2t ปีที่แล้ว

      @@shjj339 그래도 아이디어뱅크

  • @user-wj6sw9bt3b
    @user-wj6sw9bt3b ปีที่แล้ว +11

    직업 뿐만 아니라, 물건을 사는 것도 영향이 있을까요?
    예를 들면 S 성향은 장기간 검증된 브랜드, 대중적이고 점유율이 높은 브랜드를 선호하고
    N 성향은 뜨는 브랜드, 대중성 보다는 내 취향에 맞는 브랜드를 선호하고
    이렇게요.
    저는 S가 강한 사람으로서 일단은 점유율 높고 사람들이 많이 사는 브랜드를 선호하긴 합니다.

    • @user-ps2cy3qo4l
      @user-ps2cy3qo4l ปีที่แล้ว +2

      그럴거 같네요. 인구비가 높은 s가 대중의 흐름이고 s 본인의 취향에 적합할 획률이 높죠. 반면 소수인 n은 대중의 취향에 맞지않는 일이 발생하고 그런일이 반복되면 나만의 취향을 찾는 습관이 생기는거죠. 그리고 이건 물건을 살때 뿐 아니라 n의 전체 삶에 적용될 거 같습니다

    • @user-yy8cx8ld6i
      @user-yy8cx8ld6i ปีที่แล้ว +2

      진짜 제 주변에 브랜드옷 입는 사람들은 다 s입니다 특히나 대중적으로 옷잘입는다 싶으면 다 s 더라구요

    • @user-jp2ky2bq1u
      @user-jp2ky2bq1u ปีที่แล้ว

      S 80퍼넘게나오는데 내취항 맞는 브핸드선호

    • @dongh.
      @dongh. ปีที่แล้ว +8

      전 극N인데 일부러 남들이 안사는 브랜드 선호합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신기하네요

    • @gilcs2200
      @gilcs2200 ปีที่แล้ว +5

      NP로 갈수록 취향파, SJ로 갈수록 장기간 검증되고 점유율이 높은 브랜드를 선호합니다. NJ의 경우는 둘 다 고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취향이 확고하지만 동시에 사회적인 합리성도 고려하기 때문이죠

  • @Lassum
    @Lassum ปีที่แล้ว +14

    참.. 어릴적 N 성향이 너무 강한 나머지 모든 것을 곱씹고 이해할수 있을 때 까지 생각하고 또 결국 답을 못찾으면 기억해뒀다가 생각정리할 시간 갖고 그랬는데 주변에 반 이상 되는 S들이 하도 저를 이상하게 보고 괴롭게 해서 이젠 N 60% S 40% 나오네요.. 아마 옛날엔 극 N이었을거에요.. 이게 좋은건지 나쁜건진 모르겠지만.. 옛날보다 한 3배는 멍청해진 느낌은 지울 수 없네요;

  • @croquis90
    @croquis90 ปีที่แล้ว +20

    아빠가 극 S고 저와 형제는 둘 다 N인데 차이는 늘 느끼지만 마지막에 언급하신 '신앙'이나 '종교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는 것을 많이 체감하는 것 같아요. 아빠는 '신앙인이라면...응당...ㅇㅇ해야하고... 무릇 ㅇㅇ해야지' 의무에 대해 말씀을 하고 본인도 그렇게 사시는 반면, 저희 형제 두 명은 '신앙이란게 무엇일까, 꼭 ㅇㅇ하는 것이 맞는 것일까?' 의문이 많고 신중하다 보니 확실히 소극적으로 보여집니다. 그래서 같은 종교를 갖고 있어도 대화가 썩 통하지는 않아요.ㅎㅎ 큰 줄기에서 가치관이 비슷하니 서로 존중할 뿐이죠.

    • @user-kr9yh3dg8r
      @user-kr9yh3dg8r ปีที่แล้ว +6

      전 오히려 N인데 그러한 물음들이 채워지면서 더 깊은 신앙심이 생기는 것 같아요

  • @sykim9984
    @sykim9984 ปีที่แล้ว +3

    진짜요.. 가끔 윗사람들 일잘하는 사람들 보면 가끔은 답답하다가도 또 언제는 오 이걸 이렇게 생각한다고? 라고 놀랄때가 있어요 ㅎㅎ

  • @idow4934
    @idow4934 ปีที่แล้ว +6

    N과 S가 같이 이야기를 하면 재미 있는게 많은거 같아요

  • @Jupiter_Bo
    @Jupiter_Bo ปีที่แล้ว +7

    전 infj인데요. 구체적으로 따지자면 N 54% S 46% 나오는 거의 반반인 사람으로서 제가 생각했을 때 필요한 상황마다 각 성향을 잘 뽑아쓰는 것 같아요. 그래도 N에 가깝다 보니 남 얘기 보단 철학적인 얘기하는 거 좋아하고 뭔가 직관적으로 느껴지는 것에 더 생각을 집중하고 그러는 면은 있는 것 같네요. 다만 영상에서도 말씀하셨다시피 N S 둘다 그럭저럭인 느낌이라 막 특출나다..! 하는 게 없는 것 같아서 아쉽습니다ㅠㅜ

  • @user-tl1xx9zm2z
    @user-tl1xx9zm2z ปีที่แล้ว +6

    종교를 대하는 방식에서 정말 근원적인 벽이 있다고 느껴질 때가 많은데 그게 N과 S의 차이일 수 있겠네요

  • @rhea_Lir
    @rhea_Lir ปีที่แล้ว +9

    ENFP + ISTJ 부부 입니다. 언제 한번, 집에 있는 컴퓨터를 청소 한다고, 부품을 하나하나 다 분해해서, 다시 조립하는데, 신랑은 작은 것 먼저 하고, 저는 큰 것부터 조립 했어요. 이것도 N과 S의 차이 인가봐요. ㅎㅎ

  • @sseongrish
    @sseongrish ปีที่แล้ว +7

    우리나라는 좀 S가 살기 좋은 환경인 것 같아요. 극 N 이라서 어려서부터 엉뚱한 생각을 한다느니 헛소리를 한다느니 하는 핀잔을 많이 들었어요. 그러다보니 내 생각을 겉으로 표현하길 좀 꺼리고 많이 친해진 뒤에야 이야기하는 내성적인 성격이 된 것 같아요. N인 주변 친구들이랑 이야기하다보면 '나도 그런 생각 했는데 뜬구름 잡는다고 할까봐 혼자 생각만 했어!' 이런 반응 많이 하더라구요ㅎㅎ극 N인데 인문학 전공하면서 N 성향이 더 강해져서 큰일입니다.

  • @joonjessy
    @joonjessy ปีที่แล้ว +96

    와 제가 답답했던 부분이 이제야 이해됐어요 저는 정말 강한 NT기질인데 생산,품질관리 쪽에서 일하면서 성과를 잘 내고 큰 문제도 없는데 매일 발생하는 사소한 걸로 혼내거나 꼽주는게 너무 스트레스였거든요... 정말 제 한계의 180%를 써도 욕먹는 상황이 너무 힘들었습니다
    그러다가 너무 저랑 안맞는다는 막연한 생각에 대학원 진학을 결심했고, 지금 대학원에서는 계속 칭찬만 받으면서 우수한 학생 취급을 받고 있습니다ㅋㅋㅋ
    결과 잘 내고 성적 잘 받고 발표 잘하니까 문제가 없더라구요 매일 발생하는 작은 실수는 그냥 시행착오라고 생각하고 research가 그래서 re-search다 라고 말해줄 때 너무 좋았습니다ㅋㅋㅋㅋ
    전 회사다닐때 노력의 70%도 안쓰고 있는데 칭찬받으니까 정말 말씀하신 것처럼 분야를 잘 선택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환경으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듭니다
    여태까지는 내가 왜 거기서 그렇게 힘들었고 지금과 인정받는 정도의 차이가 큰지 이해가 안됐는데 명확하게 이해했습니다 속이 시원하네요

    • @Blue_Mints
      @Blue_Mints ปีที่แล้ว +4

      와.. 저랑 일하시는 부서나 대학원 진학하기까지의 과정이 너무 비슷하네요... 대학원에 뛰어난 사람들도 많고 초기라 부족한 부분이 너무 많아서 이길이 맞나 많이 초조하고 불안하지만 이글보고 힘얻고갑니다..! 저도 NT거든요..!

    • @joonjessy
      @joonjessy ปีที่แล้ว +2

      @@Blue_Mints 저도 처음엔 잘 할 수 있을까 싶었는데 그냥 하나하나 해나가다보니 칭찬받고 있더라구요...? 확실한 건 이전 부서에서보다 작은 노력을 들여도 더 큰 성과를 얻게 되실거라는거예요 같이 화이팅입니다!!

    • @welljune
      @welljune ปีที่แล้ว +7

      제가 쓴 줄... 회사 다니면서 초년생 때부터 리더십, 창의성 이런 건 높게 평가 받는데 디테일에 매우 약해서(세부 매뉴얼 숙지해야 하는 부분 등) 비슷한 일 하는 동료들이랑 같은 일을 해도 시간이 배로 걸리고 한심하게 느껴지고... 내심 나한테 중간 관리직 같은 거 시켜주면 진짜 잘 할 자신 있는데... 라는 현실 불가능한 생각만 하다 결국 회사 그만두고 대학원 왔는데 진짜 설렁설렁 한 저도 제 능력의 70%만 하고 있는데도 완전 날라다니고 천재급으로 등극하고 있네요 근데 여기서도 여전히 연구하는 분야 외적으로 필요한 것들(요령 익혀서 점수 내야하는 상황 등)은 취약해요 이렇게 제가 부족한 부분이 뭔지 알게되어 후련합니다.

    • @user-cl5cv4ep4r
      @user-cl5cv4ep4r ปีที่แล้ว +1

      와 신기하네요

    • @oklu_
      @oklu_ ปีที่แล้ว +2

      오오 지도교수님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디스커션을 잘 해주시는 시야가 넓은 분이신가 보네요 좋은 연구실 만난거 축하드리고 앞으로 승승장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BurntPuff
    @BurntPuff ปีที่แล้ว +3

    아.. 저는 직장에서 모든 것을 완벽히 잘 하고 이해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걸 다른 사람들이 못 보는 것 같다고 느껴요.. 제 팀장은 S지만 상사는 N이라서 인정은 받는데 그래도 완벽히 이해 받고 있다고 느끼지는 못 해요. 아무리 위험성과 제 생각을 설명해도 못 알아 먹는게 태반이거든요. 아직도 제 장점이 빛을 볼 수 있는 직업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네요... 같은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일하는게 제 꿈이네요..

  • @user-sn6hl7mf7y
    @user-sn6hl7mf7y ปีที่แล้ว +18

    현실에서 s들한테 이상한 상상하지말라고 뒤지게 욕먹던 사람들이 여기서 괜히 s 패고 있음 ㅋㅋ 현실은 걍 똑똑한 사람이 인정 받음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환경이 좋으면 S가 유리하고 환경이 안좋으면 N이 유리함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좆소기업에서 S인들 월 500따리 되는거고 좆소기업에서 N이면 그 회사의 문제를 느끼고 본인이 창업해서 한강 뛰어내리거나 월 몇천버는 사업자가 되는거임

    • @MBBanirago
      @MBBanirag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욕 처먹으니까 패지 ㅅㅂ

  • @user-ol2wo9ot1w
    @user-ol2wo9ot1w ปีที่แล้ว +8

    어릴 적에 책에서 이런 글귀를 읽었습니다.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 하지만, 자세히 보지는 못한다."

  • @coast6275
    @coast6275 ปีที่แล้ว +3

    저는 infj인데 s/n 40:60정도 나와서 s그룹에도 섞이기 쉽고 n 그룹에도 섞이기 쉬운 편인 것 같아요 극s 극n 보단 약간 뭔가 모자란듯한 느낌이긴하지만요…

  • @gguk2ne
    @gguk2ne ปีที่แล้ว +16

    INFP인데요.. 이거 보면서도 수십가지 생각이 나서 몇번을 돌려봤는지ㅎㅎ

    • @dongh.
      @dongh. ปีที่แล้ว +1

      저도 보다가 자꾸 딴생각나서 10초 되돌리기 많이 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uy5nt6zt9s
    @user-uy5nt6zt9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는 N인데 판타지스러운 상상보다는 ‘삶의 의미‘나 ’존재한다라는게 무엇일까‘에 대해서 주로 상상하고 생각하더라고요. N이어도 자기의 주된 관심사에 따라 자주하게 되는 상상과 별로 안하는 상상이 있는 거 같습니다.

  • @user-cj9ow7fn4z
    @user-cj9ow7fn4z ปีที่แล้ว +277

    진짜 일하면 매일 느끼는거지만, S들은 상사가 무언가 과제를 제시했을때 그 과제해결에만 집중하는데 N인 나만 그 과제의 최종목표가 무엇인지 먼저 생각해서 굳이 안해도 될 과제라는 것을 상사에게 설명하려고 함. S들은 그냥 닥치고 하라는거 하면 되는데 왜 사서 고생하냐는 식으로 한심해하다가 그 상사가 안해될 과제였다는걸 깨닫고 없애면 좋아함ㅋ....

    • @user-no4so8hu8i
      @user-no4so8hu8i ปีที่แล้ว +90

      와 맞아요 그래서 경직되고 비효율적인 조직일수록 n들은 버티기 힘들어하는듯.. s들한테 이런말을 하면 그걸 네가 왜 신경써?? 이런 반응이었던듯

    • @MaYa-_-INFP
      @MaYa-_-INFP ปีที่แล้ว +36

      맞앜ㅋㅋㅋㅋ최종목표를 꼭 알아야 방향이 확실해져서 좋아요ㅠㅠ

    • @user-yj4de4jm8n
      @user-yj4de4jm8n ปีที่แล้ว +26

      와 이거 진짜 공감이예요ㅋㅋㅋㅋㅋㅋ저도 비효율적으로 일하는거 너무 싫어하고 납득이 가지 않으면 몸이 안따라줘서 왜? 라는 질문을 달고 살아요ㅠㅠㅋㅋㅋ상사는 싫을 수도 있겠지만..ㅠㅠ 대신 이해가 되면 누구보다 열심히 한답니다!!

    • @user-ws7rf4zr8i
      @user-ws7rf4zr8i ปีที่แล้ว +1

      와 이거 ㄹㅇ

    • @nagi2833
      @nagi2833 ปีที่แล้ว +1

      이건 ns 차이도 있겠지만 pj차이도 있을 것 같아요. 본인이 n-j시고 주변이 s-p이신가요?

  • @모디
    @모디 ปีที่แล้ว

    장래에 대해 고민이 많은데 좋은 영상같아요 감사하비낟

  • @hahahahaheheheff
    @hahahahaheheheff ปีที่แล้ว +8

    8년된 n 친구가 있는데 아직도 다 이해못하겠어요.ㅋㅋㅋㅋ그래도 소중한 놈이죠 ㅋㅋㅋ

  • @okgarackzy
    @okgarackzy ปีที่แล้ว +14

    말 안통하고 너무 가까운 것만 보려고 해서 답답한 사람들 있는데, 까고 보면 다 S 더라..
    그래도 S만의 장점은 있음. 더럽게 꼼꼼함. 특히 SJ면 ㄹㅇ 토나올정도로 디테일에 집착하고 꼼꼼함.
    경우1.
    나(NP): 대충 무슨 느낌인지 알았으니 일단 박죠?
    SJ: 안돼요. 계획한대로 가지 않으면 문제가 생겼을 때 대처하기 힘듭니다.
    경우2.
    나(NP): 애초에 상품을 만들려는 목적이 뭔데요. 힘들어도 상품의 질을 높이는 게 장기적으로 봤을 때 더욱 이득입니다.
    SJ: 완성 못하면 안하느니만 못합니다. 현실과 타협 할 줄도 알아야해요.
    서로 뒷목 잡고 답답해 죽으려함 ㅋㅋㅋㅋ
    내 경험 상 길게 가면 결국 내가 중요시 하던 부분 (근본적인 물음)에 도달하게 됨.
    SJ들은 그제야 그 물음에 답하려고 하는데, 그래봐야 이미 일이 한참 진행되고 난 뒤라 끼워맞추기일 뿐임.
    특히 SJ들은 의미부여를 잘 못하는 경향이 있어서 그 단계를 굉장히 어려워 함.

  • @user_5435
    @user_5435 ปีที่แล้ว +15

    궁금한게 서구권이 아시안보다 더 이상적이고 창의성 있는 사람들이 많아 보이는데 그건 그냥 교육이나 문화가 다양성을 존중하고 개방적이라서 그런건가요?

    • @eugene2463
      @eugene2463 ปีที่แล้ว +9

      저는 동양권이 이상적이고 창의성 있는 사람들이 더 많은데 서로 맞춰사는 문화 안에서 드러내지 않을 뿐이라고 봅니다. 서구권이 많아 보이는 것은 드러내기 쉽고 비율이 적어서 튀니까 그런거구요. 그냥 제 의견입니다.

    • @user-uv7sb3pt5d
      @user-uv7sb3pt5d ปีที่แล้ว +2

      아마 르네상스 시대랑 대항해시대를 거치면서 유럽 사회가 창의성을 중시하는 게 강해진 거 같아요! 이런 게 절정에 이른 게 산업 혁명 이후부터이지만요!

    • @user-gy3vt4nz5v
      @user-gy3vt4nz5v ปีที่แล้ว +13

      서구권에 오래 거주했는데 서구권이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우리와 다르기 때문입니다. 색다르다=더 넓은 것을 다룬다라고 받아들이는 거죠. 하지만 동서양을 막론하고 어느 지역에서나 틀은 존재합니다. 오히려 '다양성을 존중한다'라기보단 특정한 느낌의 다양성만을 좋아한다는 느낌을 저는 살면서 더 강하게 받았어요.

    • @helloareyouthere
      @helloareyouthere ปีที่แล้ว

      아마도요 음... 그 건 제 추측에 개척 즉, 점령기질 아니 문화하고 좀 더 깊은 관련이 있는 것 같아요. 서양 저쪽은 주로 유목민 영향을 아니 그들 선조들이 유목민들이라 가축들 먹이려고 점령하고 빼앗고 그 걸 자신들 것으로 누리죠. 그러기 위해 필요한 기질, 성향들이 진취적이고, 계획적이고, 철저해야 하고, 도전, 모험, 개방, 다양함에 촛점을 둡니다. 상상력을 총동원하거든요. 반면에 이 쪽은... 이 쪽도 선조들이 원래는 유목민인데 농경사회가 주류가 되어 버렸죠. 농경사회는 어떨까요... 식량을 자급자족하게 되니 안정되고 고착화됩니다. 문화도 성향도... 그리고 농경 풍작을 위해 토템 즉, 영적인 것들에 관심을 두기도 합니다. 또한 식량생산을 하려면 조직도 필요하죠. 영역 안에서 효율적으로 식량을 관리하려면.. 물론 유목민도 양이나 염소의 장기 등으로 점을 치거나 합니다만 농경 사회만큼은 아니라 봅니다. 고대 수메르 영향을 받아서 점성학 별자리 연구에 상당합니다. 그래서 시간관념도 뛰어나고 정확한 관측을 위한 계측기 등등이 발전해 과학적 마인드 또한 상당하죠 거기에 상상력과 이상까지 더해집니다. 그래서 그들이 지금의 세상을 다스리고 있다 봐야겠죠...물론 동양도 천문을 많이 보지만 서양만큼은 아니라 봅니다.

  • @lani2747
    @lani2747 ปีที่แล้ว +4

    제 상사가 찐S이고 전 찐N인데 영상 보면서 너무 공감했어요 ㅋㅋ 저는 그 분 보면서 "시야가 너무 좁네..(속으로)"하고 있고 그 분은 "쓸데없는 것까지 생각 하는군(물론 겉으로 말하진 않지만 티가 확 납니다.ㅎㅎ)"하거든요ㅋㅋㅋㅋㅋㅋ 서로 이해하고 보완하면 시너지가 확 날텐데, 그게 쉽지 않아서 발전이 더딘 것 같아요.

  • @fiveneckeyetooth
    @fiveneckeyetooth ปีที่แล้ว +2

    전 I 부분을 제외하면 거의 반반 나오는 ISFP이고 특히 S랑 N 비율이 53/47 일 정도로 중립적인데 그럼 강점이 약한 편인걸까요.. 나름 이쪽도 이해하고 저쪽도 이해하려고 노력한 편인데..... mbti는 살다 보면 바뀌는 게 맞는거겠죠?

    • @user-oo7qp1uq6w
      @user-oo7qp1uq6w ปีที่แล้ว +4

      서로 다른 사람을 연결하는 재주가 있는거 아닌가요? 그게 강점인거지 강점이 없는건 아닐걸요

    • @fiveneckeyetooth
      @fiveneckeyetooth ปีที่แล้ว

      다들 좋은 말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 더 열심히 살아봐야겠네요

  • @annakim2596
    @annakim2596 ปีที่แล้ว +7

    일하다 보면 꼭 이렇게 해야 해? 이렇게 하면 안돼? 하며 기존의 길과 다른 길을 제시하는 저는 N.

  • @ashjeon3726
    @ashjeon3726 ปีที่แล้ว +9

    선좋아요 후감상이 국룰이죠👍🏼
    N/S가 반반 비율로 잇는데 계획을 다소 흐름에 맡겨서 하는 경우는 뭐고, 그런 사람들이 보편적인가요?

  • @aesrtu9386
    @aesrtu9386 ปีที่แล้ว +10

    ♡N의 장점은 N이 잘본다.
    S의 장점은 S가 잘본다.
    직업선택시 강점을 극대화할수
    있는 것을 선택하는것이 좋다.
    자신의 장점을 알아봐줄수 있는
    사람들과 일해야한다.
    ♡한국에서는 S성향이 유리하다.
    N성향이 강한 사회초년생은
    처음부터 전문직이나 학위취득을
    하거나 /
    본인의 강점을 발휘할수있는 환경을
    찾아가는 것이 좋다.
    ♡딱 하나만 끝내주게 잘하는게
    인생직업 가성비가 좋다.
    ♡인생전체를 놓고봤을때는
    두루두루잘하는게 좋다.
    칼융/정신분석.
    인생 전반기에는 직업 선택 시
    강점 극대화를 하는 게 좋다.
    ♡S는 광신도 되기 좋다.
    S는 시키는대로 하는게 편함.
    깊게 안따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