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알려줌 시즌2] 세상이 놀랐다! 역대급 발굴 유적 TOP 7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3 มิ.ย. 2021
  • 방송인 성대현! 아나운서 추혜정!
    그리고 이기환 기자와 함께하는 문화유산 토크쇼!
    랭킹쇼로 돌아온 문화유산 알려줌! 시즌2!
    문화유산에 대한 궁금증을 순위로 풀어드립니다.
    ---------------------------------------
    문화유산채널 공식 홈페이지 www.k-heritage.tv
    문화유산채널 공식 블로그 blog.naver.com/k-heritagetv
    문화유산채널 공식 인스타그램 / kheritagetv
    문화유산채널 공식 페이스북 / k.heritage.tv
    #금동대향로 #천마총 #무령왕릉 #이기환 #성대현 #추혜정 #문화유산알려줌 #랭킹쇼 #랭크쇼 #문화유산채널 #Korea #KoreanCulture #KoreanHeritage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29

  • @ChangHyunKim9
    @ChangHyunKim9 2 ปีที่แล้ว +53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하지만 수정해야 할 부분들이 적지 않네요.
    1. 용어 설명 오류
    총(塚)은 “왕과 같이 신분이 높은 사람의 무덤”이 아니라 →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 모르지만, 다른 무덤과 구별되는 특징을 따서 붙이는 이름”
    예) 천마도의 천마총, 무용도의 무용총
    2. 역사적 고유명사와 오자
    김정희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금동대향로 → 백제 금동대향로
    풍납 토성 → 풍납토성
    을총년 홍수 → 을축년 홍수
    3. 설명과 자료 화면이 일치되지 않는 장면
    금관총 부분에 천마총과 황남대총 화면이 등장

    • @user-bk4wp8xn4e
      @user-bk4wp8xn4e 2 ปีที่แล้ว +12

      총은 "주인이 누구인지 모르지만 왕과같이 신분이 높은 사람의 무덤, 각 무덤의 특징을 따서 이름을 지음."
      이래야 가장 정확하겠죠.

    • @ChangHyunKim9
      @ChangHyunKim9 2 ปีที่แล้ว +4

      @@user-bk4wp8xn4e 맞습니다~~

  •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 2 ปีที่แล้ว +16

    감사합니다. 발굴 유적에 대한 유익한 영상 참 좋았어요~

  • @o.o5463
    @o.o5463 2 ปีที่แล้ว +35

    금동대향로에 향을 피우면 향 연기가 뚜껑 여러곳에서 올라와 안개처럼 표현이되며 무릉도원을 연상하게 하는 모습이 된다고 합니다.

  • @user-qo8wd6kr4j
    @user-qo8wd6kr4j 2 ปีที่แล้ว +69

    학생때 부모님이 박물관 진짜 많이 데리고 다니셨었는데 여기나온것들중 반은 가서 본것같네요 ㅋㅋ 살면서 한국 박물관은 전부 가보고싶네요....버킷리스트중 하나인데...

  • @helookscool
    @helookscool 2 ปีที่แล้ว +355

    백제 금동대향로는 진짜 나라의 보배지.......저런 아름다운 걸작이 어딧겠어......중국 동시대 그어떤 유물도차도 대적할수 없는 아름다움이지....

    • @MalangMolang
      @MalangMolang 2 ปีที่แล้ว +2

      고대때{sov동이족}들{몽골어}+{한국어}+{만주어}가
      서로 대화가 통했다는 기록
      이 고대때 기록한{sov동이족}들
      동남아 뿌리이 기록한
      동북아 뿌리{sov동이족}들 기록들
      (후한서 동이열전 고구려)
      동이들이 서로 전하여 오기를
      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까닭으로 언어와 법이 부여와 대부분 같다
      (후한서 동이열전 감)
      예의 노인들은 자신들이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고
      말하는데 언어와 법령과 풍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후한서 동이열전 동옥저)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양서 동이열전 백제)
      지금의 언어와 복장은 고구려와 거의 같지만
      걸을 때 두 팔을 벌리지 않는 것과
      절할 때 한 쪽 다리를 펴지 않는 것은 다르다
      (양서 동이열전 신라)
      그들의 절하는 방법과 걷는 모양은 고구려와 비슷하다
      문자가 없으므로 나무에 금을 새겨 신표로 삼는다
      언어는 백제의 통역이 있어야 소통할 수 있다.
      (신당서 권220 열전 동이)
      달말루(두막루)는 스스로 말하기를 북부여의 후예하고 말한다
      고구려가 그 나라를 멸하자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 그곳에 거주했다
      /부여가 멸망하고 부여의 유민들이 세운 두막루는
      300여년 이후 발해에 병합
      (위서 권100 열전 88 실위)
      실위(몽골)의 언어는 고막해(선비) 거란 두막루(부여)국과 같다
      /두막루는 실위(몽골의 기원)의 동쪽에 있었는데 두막루의
      언어와 선비족의 후예 고막해와 거란의 언어가 같음
      /1300여년 전에는 부여(고조선어)어와 실위(원몽골어)어와
      고막해(선비족 후예)어와 거란(선비족 후예)어가 의사소통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비슷함
      /고조선의 해체기에 고조선에 종속해 있던 유목민족들은
      독립을 하고 그 후예들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흩어지고
      고조선 문명권에 속해있던 민족들의 언어는 고조선어를
      공통 조어로 공유함
      /두막루를 통합한 남북국시대의 발해는 고구려어를 사용함
      /발해가 고구려어를 사용했다는
      (속일본기 권13 천평 12년(740년))
      천황이 대극전에 임하여 신년조회를 받았다
      발해사신과 신라학어 등이 함께 참석했다
      /신라학어는 일본어를 익히기 위해 일본에 파견된 신라인
      일본은 발해 사신과의 통역을 위해 신라학어와 함께 참석
      /부여(한국), 실위(몽골), 고막해(선비족), 거란(선비족),
      옥저,예,맥,한,고구려,백제,신라,두막루,발해의 언어와
      풍습이 비슷했다는 기록들은 고조선에서 갈라져 나온 고조선어 후예!!!!!

    • @user-se7tg4jb6t
      @user-se7tg4jb6t 2 ปีที่แล้ว +2

      @@MalangMolang 그래서?

    • @MalangMolang
      @MalangMolang 2 ปีที่แล้ว +3

      @@user-se7tg4jb6t ㅇㅉ????????????????

    • @Black_Dove99
      @Black_Dove99 2 ปีที่แล้ว +12

      발견하게된 사연도 스펙타클해서 그 감동이 더 한듯

    • @Buzhidao12
      @Buzhidao12 2 ปีที่แล้ว +1

      풉 ㅎㅎㅎㅎㅎㅎㅎㅎㅎ 반도족들 미개족들이 중국과 비교하는 자체가 아주 엽기적이고 코미디이다. ㅎㅎㅎㅎㅎㅎㅎㅎ 저기 나오는 문자도 모두 한자이구만 무슨 ㅎㅎㅎㅎㅎㅎㅎ

  • @user-gl7eh4xf1u
    @user-gl7eh4xf1u 2 ปีที่แล้ว +8

    이기환기자님 감사합니다~

  • @user-ly8pi3tz4c
    @user-ly8pi3tz4c 2 ปีที่แล้ว +23

    금동대향로 정말 대박입니다 정말정말.....
    꼭 가셔서 보세요 사람없는 평일 감상하시는게
    좋을꺼에요

  • @Black_Dove99
    @Black_Dove99 2 ปีที่แล้ว +15

    와 우연치않게 봤는데 진짜 재밌다

  • @user-yu9ys4iu9p
    @user-yu9ys4iu9p ปีที่แล้ว +11

    기사로만 만났던 이기환님을 여기서 뵈니 반갑네요.
    짧은 시간이 조금 아쉬웠지만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감독판도 있으면 합니다.

  • @YOGAPILATV
    @YOGAPILATV 3 ปีที่แล้ว +4

    감사해요🎁🎉

  • @chloekim7982
    @chloekim7982 3 ปีที่แล้ว +25

    한때 고고학도를 꿈꿨는데 ㅎㅎ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 @user-hz8pf1rm9l
    @user-hz8pf1rm9l 2 ปีที่แล้ว +14

    만드신 분들 수고하셨는데 중요한 내용중 빠진 내용이 많네요~

  • @ypj5275
    @ypj5275 2 ปีที่แล้ว +18

    와... 이분이 이기환 기자님이시구나... 경향신문에 역사 기사 올리시는데 진짜 재밌던데 ㅎㅎ

  • @happyart.j7994
    @happyart.j7994 2 ปีที่แล้ว +51

    백제 금동대향로 직접보면 정말 아름답습니다 크기도 생각보다 큽니다

  • @3suns922
    @3suns922 2 ปีที่แล้ว +82

    우리나라 역사 대발견 유물은
    전곡리 주먹도끼,금동 대향로,
    무령왕릉,석굴암, 팔만대장경,
    직지,훈민정음 해례본,인사동 갑인자 등등이 역사를 바꾼 위대한 유물인것 같아요.

    • @manggoddang
      @manggoddang 2 ปีที่แล้ว +1

      다뉴세문경이 없네요

    • @rere5861
      @rere5861 2 ปีที่แล้ว

      @@manggoddang 출토품은 없고 다 도굴품임.

    • @user-zp1gb6ps9s
      @user-zp1gb6ps9s ปีที่แล้ว

      훌륭하군요.

    • @user-hw6gc3eh9s
      @user-hw6gc3eh9s ปีที่แล้ว

      도굴해서일본에팔아먹엇죠ㅡ
      우리어려서도엿장수가. 국채팔라고떠들고다녓는데

    • @user-zo8gn4ih2f
      @user-zo8gn4ih2f ปีที่แล้ว +1

      순위에 의미가 전혀 없음..그쵸

  • @user-yd5qm3el1t
    @user-yd5qm3el1t 2 ปีที่แล้ว +16

    유투브 채널의 순기능. 이런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잘 보고 갑니다 👍🏼

    •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2 ปีที่แล้ว +2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니 뿌듯한걸요~😄 앞으로도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 @user-qp8id7cc4p
    @user-qp8id7cc4p ปีที่แล้ว +22

    금동대향로는 그냥 세계 유산 넘버원 넘사벽이다!!!

  • @user-zm6gn1qf3p
    @user-zm6gn1qf3p 2 ปีที่แล้ว +13

    주차장에서 금동대향로
    아무리봐도 감동

  • @user-bi8vi6xj9z
    @user-bi8vi6xj9z 2 ปีที่แล้ว +11

    역사 공부는 참 재밌어요ㅎㅎ

    •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2 ปีที่แล้ว +1

      즐거운 역사공부를 할 수 있는 콘텐츠로 느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GingorangNews
    @GingorangNews 2 ปีที่แล้ว +15

    문화유산채널이 이렇게 재미있었나 인디아나존스 보듯이 가슴이 뛰었다

  • @sangkyu0101
    @sangkyu0101 3 ปีที่แล้ว +10

    8:27 을총년 -> 을축년 대홍수

  • @sarasoliz9902
    @sarasoliz9902 ปีที่แล้ว +3

    Grasias me ase bien escucharlos tanto queria este idioma publicidad ahora se cumple mi sueño

  • @user-pl4er3zo8s
    @user-pl4er3zo8s 2 ปีที่แล้ว +49

    우물정자 # 하늘의 우물 이라는뜻이고
    하늘의 태왕 이라는뜻 이라고 합니다
    즉 왕의 표시 이라고 합니다

    • @MalangMolang
      @MalangMolang 2 ปีที่แล้ว +1

      고대때{sov동이족}들{몽골어}+{한국어}+{만주어}가
      서로 대화가 통했다는 기록
      이 고대때 기록한{sov동이족}들
      동남아 뿌리이 기록한
      동북아 뿌리{sov동이족}들 기록들
      (후한서 동이열전 고구려)
      동이들이 서로 전하여 오기를
      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까닭으로 언어와 법이 부여와 대부분 같다
      (후한서 동이열전 감)
      예의 노인들은 자신들이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고
      말하는데 언어와 법령과 풍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후한서 동이열전 동옥저)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양서 동이열전 백제)
      지금의 언어와 복장은 고구려와 거의 같지만
      걸을 때 두 팔을 벌리지 않는 것과
      절할 때 한 쪽 다리를 펴지 않는 것은 다르다
      (양서 동이열전 신라)
      그들의 절하는 방법과 걷는 모양은 고구려와 비슷하다
      문자가 없으므로 나무에 금을 새겨 신표로 삼는다
      언어는 백제의 통역이 있어야 소통할 수 있다.
      (신당서 권220 열전 동이)
      달말루(두막루)는 스스로 말하기를 북부여의 후예하고 말한다
      고구려가 그 나라를 멸하자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 그곳에 거주했다
      /부여가 멸망하고 부여의 유민들이 세운 두막루는
      300여년 이후 발해에 병합
      (위서 권100 열전 88 실위)
      실위(몽골)의 언어는 고막해(선비) 거란 두막루(부여)국과 같다
      /두막루는 실위(몽골의 기원)의 동쪽에 있었는데 두막루의
      언어와 선비족의 후예 고막해와 거란의 언어가 같음
      /1300여년 전에는 부여(고조선어)어와 실위(원몽골어)어와
      고막해(선비족 후예)어와 거란(선비족 후예)어가 의사소통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비슷함
      /고조선의 해체기에 고조선에 종속해 있던 유목민족들은
      독립을 하고 그 후예들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흩어지고
      고조선 문명권에 속해있던 민족들의 언어는 고조선어를
      공통 조어로 공유함
      /두막루를 통합한 남북국시대의 발해는 고구려어를 사용함
      /발해가 고구려어를 사용했다는
      (속일본기 권13 천평 12년(740년))
      천황이 대극전에 임하여 신년조회를 받았다
      발해사신과 신라학어 등이 함께 참석했다
      /신라학어는 일본어를 익히기 위해 일본에 파견된 신라인
      일본은 발해 사신과의 통역을 위해 신라학어와 함께 참석
      /부여(한국), 실위(몽골), 고막해(선비족), 거란(선비족),
      옥저,예,맥,한,고구려,백제,신라,두막루,발해의 언어와
      풍습이 비슷했다는 기록들은 고조선에서 갈라져 나온 고조선어 후예!!!!!!!!!!!!!!!!!!!!!!!

    • @tonsk2k322
      @tonsk2k322 2 ปีที่แล้ว

      태왕이 아니고 호태왕임. 호는 강조의 뜻을 태왕 위의 호태왕 즉 황제급

  • @robertgarcia1371
    @robertgarcia1371 2 ปีที่แล้ว +11

    어렷을땐 이런거 진심 지루했는데 왜 이젠 재미있지 ㅋㅋ

    • @user-lm5fj6tc4e
      @user-lm5fj6tc4e 2 ปีที่แล้ว

      그때는 개세끼여서, 지금은 소세끼라서

    • @menssanaincorporesano2633
      @menssanaincorporesano2633 2 ปีที่แล้ว +3

      어린 시절 한옥에 살 때 뭔가 격이 떨어지는 느낌으로 양옥이나 아파트 사는 사람 보며 부러워하고 선망하다가 기둥마다 주련이 부착되어 있던 수려한 한옥이 철거되고 난 그 자리에 대형 식료품상이 들어 있는 것을 보는 중년이 아련히 옛 추억을 더듬으며 새삼스럽게 한옥에 대한 애착을 느끼는 마음과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user-tt2yw6th7p
    @user-tt2yw6th7p ปีที่แล้ว +2

    너무 감사합니다

    •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ปีที่แล้ว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

  • @alanshore8440
    @alanshore8440 2 ปีที่แล้ว +15

    최인호 선생은 저 해쉬 태그를 '하늘 우물' 즉 백두산 천지라고 보고 '호태왕의 싸인' 으로 보셨죠 ... 저는 '고구려 국기' 정도로 생각 합니다.

    • @daug_jang
      @daug_jang ปีที่แล้ว +1

      저도 故최인호선생님의 "왕도의 비밀", 전권을 다 읽었습니다. 저 당시에는 국기가 존재하지 않았죠. 공식적으로 알려진 국기의 시초는 13세기 네덜란드의 단네브로(Dannebrog)입니다. 아마도 고구려에서 비공식적으로 사용했던 문장(紋帳)같네요. 그러나 이런 것이 동아시아에 유래가 없기에 신기할 따름이죠.

  • @user-rt5kg6uo5m
    @user-rt5kg6uo5m ปีที่แล้ว +9

    부여출신이라 백제 금동대향로 진짜 많이 보고 많이 그렸는데 괜히 뿌듯하네요.(?

  • @user-vj4py8uq4h
    @user-vj4py8uq4h 2 ปีที่แล้ว +5

    참조은 공부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THANKCUE
    @THANKCUE ปีที่แล้ว +2

    #은 우물 정자입니다. 우물은 우주생성의 원리인 태극(불과 물)에서 물을 상징하죠. 또한 우물 井자는 열 십자 두개를 겹쳐 놓은 겁니다. 신을 상징하는 숫자가 10입니다.

  • @user-go5bs9vp9n
    @user-go5bs9vp9n ปีที่แล้ว +7

    대향로는 부여 국립 박물관에 진품이 전시되어 있어요. 꼭 보세요. 몇번 보세요...
    문화재에 대해 아무것도 몰라도 그냥 보자마자 와...소리가 나옵니다.

  • @user-tn6cl9dt3j
    @user-tn6cl9dt3j 3 ปีที่แล้ว +18

    #은 광개토대제의 문장이라고 배운 기억이 나네요

    • @user-rk4bh5yh2w
      @user-rk4bh5yh2w 2 ปีที่แล้ว +1

      태왕을 대왕으로 읽습니다

  • @KiKi-zo9fc
    @KiKi-zo9fc 2 ปีที่แล้ว +22

    예전 TV에서 고구려의 모든 자기에는 바닥에 우물정자 #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백두산 천지를 의미하는 것 같다고 했습니다. 고구려는 백두산 천지를 신성시 여겼고, 고구려의 상징으로 생각했었다네요.. 광개토대왕 비석돌도 백두산에서 채취했고요..

    • @American-drone
      @American-drone ปีที่แล้ว +1

      고구려 첫 도읍지 오녀산성 정상부의 연못도 천지라고 하더군요

  • @Kevin-br6wd
    @Kevin-br6wd 2 ปีที่แล้ว +3

    꿀잼~

  • @shinkunil6247
    @shinkunil6247 2 ปีที่แล้ว +4

    부여박물관에 가서 한가지만 봐야 한다면 '백제금동대향로'를 보시면 될듯
    느낌은?
    경이롭다. 끝!!

  • @gjochoi3650
    @gjochoi3650 2 ปีที่แล้ว +33

    호우총 발굴 그릇의 명문 상단에 그려진 "샆" 표시는 광개토왕의 문장입니다.
    최인호 작가님의 추리소설 "잃어버린 왕국을 찾아서" 보시면 그 문장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있습니다.

    • @myrmoi
      @myrmoi ปีที่แล้ว +5

      그건 최인호 작가의 상상이고.... 상상과 현실을 구분 못하시면 안됩니다.

    • @user-tk5hj8gh1g
      @user-tk5hj8gh1g ปีที่แล้ว

      흰소리... 을묘년애 재위한 고구리 제왕은 시호가 "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인 고국원왕이지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이 아닌 것을 어찌 알랴...
      고구리 번국인 부상국의 인접 속국 녀국의 사신이 부상국 사신을 따라서 고국원왕을 알현한 때에 선물로 하사한 요강일 것이다.
      공주 사마의 릉이 무녕왕릉이라면 아들 명농 즉 성왕에게 독살되고 명농이 사람을 시켜 사후귀양지에 땅을 사서 묻힌 것이겠다. 무녕이 신하의 처를 배앗아서 명농을 낳았다고 한다.
      명농의 생모는 옛 지아비와의 정을 잊지 못하고 사마 즉 무녕을 독살한 것이다. 기록? 고구리사락!!

    • @user-qe5ho2ns8h
      @user-qe5ho2ns8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도 최인호작가님이 나오는 다큐를 본 적 있는데 거기에서 #을 우물정자로 보고 한민족의 성지 백두산 천지를 성징하는 것으로 풀이한 기억이 납니다.

  • @user-ko1ni5md6b
    @user-ko1ni5md6b 2 ปีที่แล้ว +6

    백제나 신라가 금 유물이 많은 이유는
    해상무역으로 비단을 수출했습니다.
    유대인들과 거래를 하며 비단이 로마에도 수출됐다고 합니다.
    유대인 경제사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 @JuveSup
      @JuveSu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냥 그 시대엔 기술만 있으면 강에서도 쉽게 금을 캘 정도로 흔했던거 아닌가요 지금은 당연히 그때 다 캐버리고 없으니 귀한 취급이지만

  • @naramansin
    @naramansin 2 ปีที่แล้ว +34

    금동대향로는 직접보면 멍~~~~때리거될거임

    • @MalangMolang
      @MalangMolang 2 ปีที่แล้ว

      고대때{sov동이족}들{몽골어}+{한국어}+{만주어}가
      서로 대화가 통했다는 기록
      이 고대때 기록한{sov동이족}들
      동남아 뿌리이 기록한
      동북아 뿌리{sov동이족}들 기록들
      (후한서 동이열전 고구려)
      동이들이 서로 전하여 오기를
      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까닭으로 언어와 법이 부여와 대부분 같다
      (후한서 동이열전 감)
      예의 노인들은 자신들이 고구려와 같은 종족이라고
      말하는데 언어와 법령과 풍속이 대체로 비슷하다
      (후한서 동이열전 동옥저)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양서 동이열전 백제)
      지금의 언어와 복장은 고구려와 거의 같지만
      걸을 때 두 팔을 벌리지 않는 것과
      절할 때 한 쪽 다리를 펴지 않는 것은 다르다
      (양서 동이열전 신라)
      그들의 절하는 방법과 걷는 모양은 고구려와 비슷하다
      문자가 없으므로 나무에 금을 새겨 신표로 삼는다
      언어는 백제의 통역이 있어야 소통할 수 있다.
      (신당서 권220 열전 동이)
      달말루(두막루)는 스스로 말하기를 북부여의 후예하고 말한다
      고구려가 그 나라를 멸하자 유민들이 나하를 건너 그곳에 거주했다
      /부여가 멸망하고 부여의 유민들이 세운 두막루는
      300여년 이후 발해에 병합
      (위서 권100 열전 88 실위)
      실위(몽골)의 언어는 고막해(선비) 거란 두막루(부여)국과 같다
      /두막루는 실위(몽골의 기원)의 동쪽에 있었는데 두막루의
      언어와 선비족의 후예 고막해와 거란의 언어가 같음
      /1300여년 전에는 부여(고조선어)어와 실위(원몽골어)어와
      고막해(선비족 후예)어와 거란(선비족 후예)어가 의사소통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비슷함
      /고조선의 해체기에 고조선에 종속해 있던 유목민족들은
      독립을 하고 그 후예들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흩어지고
      고조선 문명권에 속해있던 민족들의 언어는 고조선어를
      공통 조어로 공유함
      /두막루를 통합한 남북국시대의 발해는 고구려어를 사용함
      /발해가 고구려어를 사용했다는
      (속일본기 권13 천평 12년(740년))
      천황이 대극전에 임하여 신년조회를 받았다
      발해사신과 신라학어 등이 함께 참석했다
      /신라학어는 일본어를 익히기 위해 일본에 파견된 신라인
      일본은 발해 사신과의 통역을 위해 신라학어와 함께 참석
      /부여(한국), 실위(몽골), 고막해(선비족), 거란(선비족),
      옥저,예,맥,한,고구려,백제,신라,두막루,발해의 언어와
      풍습이 비슷했다는 기록들은 고조선에서 갈라져 나온 고조선어 후예!!!!!!!!!!!!!!!!

  • @cinemool72
    @cinemool72 2 ปีที่แล้ว +5

    08:28 을총년 -> 을축년 육십갑자는 좀 알고 자막 다셔야죠 문화유산 채널인디

  • @decipherQ
    @decipherQ ปีที่แล้ว +3

    井, 十, △, ▽,│, ─, □, ○...
    우리 유물에 나타나는 도형(?)은 문자의 초기 상형문자들입니다.
    약 4,500년 경부터 나타나는 글자들이죠.
    즉, 당시의 문자로 기록해서 특정인물을 나타내는 '씨칭'입니다.

  • @JustRandomWonderer
    @JustRandomWonderer 3 ปีที่แล้ว +5

    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 @mincris7060
    @mincris7060 2 ปีที่แล้ว +12

    井자문양은 고구려를 상징하는 표식입니다. 최인호의 소설 [왕도의 비밀]에 나오는 내용인데 하늘의 우물을 뜻하는 말이며 고구려 건국신화에 나오는 해모수설화에서 기인했습니다.

  • @user-rn3xg7cg1v
    @user-rn3xg7cg1v 2 ปีที่แล้ว +6

    백제는 백제 금동대향로 아버지 그리움과 효심 입니다 (성왕과 위덕왕(창왕))
    신라에는 감은사지 아버지 그리움과 효심 입니다(문무왕과 신문왕)

  • @inthenameoffatherholyspiri9301
    @inthenameoffatherholyspiri9301 ปีที่แล้ว +3

    전 부여 갈떄마다 항상 보고옵니다.

    •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ปีที่แล้ว

      우와 부럽습니다~! 저도 부여 넘 가고 싶어요>.

  • @sarasoliz9902
    @sarasoliz9902 ปีที่แล้ว

    Quisiera saber quien es que manda esta publicidad si yo rogaba tantos años que me gustaba esto quue estoy viendo resien me mandan eso estoy confundida quien esta interesado saber lo que pasa aqui me asombro como saben que me gusta esvucharlos su idia eso no lo se como fue que esta susefiendo lo que mas me gusta nobelas publicidafes peliculas todo con este idipma me encanta🤞👌👩❤

  • @bgkhan4475
    @bgkhan4475 2 ปีที่แล้ว +8

    레고랜드 밑에 다시 매몰되버린 한반도 유일 최대 환호유적지도 있습니다...

  • @user-bn5lg1wl8k
    @user-bn5lg1wl8k 2 ปีที่แล้ว +9

    호우총을 열개를 제작해서 네번째 호우를 신라에서 확보한 것으로 고구려가 통치 하던 지역에 즉.총독이 주재하던 곳에 광개토 대왕을 제사용도로 썼던 그릇으로서,신라도 신묘년 광개토 대왕의 원정으로 당시 왜를 물리치고 신라를 구하여 신라는 고구려의 보호국
    되었다.
    따라서 신라로서는 광개토왕의 죽을 후 정기적으로 제사를 드리는 제기로서의 용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 @user-un5ke7vz4o
    @user-un5ke7vz4o 2 ปีที่แล้ว +1

    소개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서 올립니다.손오공과삼장 저팔계.이야기가 중국의이야기인가 라는 궁금증이 있었는데 우연히 어느산에 바위로 자신의모습을 정확하게 드러나서 개인적으로 나의궁금증이 풀려서 적어봅니다. 손오공이야기가 우리정신세계이야기이며 시대는 아주오래된 이야기였다 라고합니다. 삼장과손오공이야기 바위로 정확하가 모습이 있습니다.

  • @lpc_mirror
    @lpc_mirror 2 ปีที่แล้ว +6

    땅속에 저런 말도안되는 향로가 파묻혀있었다는것도 놀랍고... 그걸 땅파다가 우연히 발견한것도 놀랍고... 계속 묻혀있었다던가... 아니면 땅팔때 흙이랑 같이 퍼져서 어디 버려지거나 했다면,.... ㅜㅜ

  • @user-hv4zr9qk7q
    @user-hv4zr9qk7q ปีที่แล้ว +3

    천마총이 아니고 대릉원이라 부릅니다 최악의 발굴은 무령왕릉 빗자루 삽으로 유물을 쓸어담는 무지 취재경쟁

  • @user-kh5rj2id5d
    @user-kh5rj2id5d 2 ปีที่แล้ว +21

    무녕왕릉의 발견으로 삼국사기에 기록된 왕의 사망.날짜까지 정확한것을 확인함.
    삼국사기의 신뢰성이 만천하에 드러남.

  • @user-yu6im2mj3m
    @user-yu6im2mj3m 2 ปีที่แล้ว +1

    그래도 좋아요 눌렀고 순위에도 동의합니다.

  • @tv-rv2fy
    @tv-rv2fy 2 ปีที่แล้ว +1

    #표시는 우물정자로
    생존시는 정안수용 물그릇이나
    사후는 제기용 물그릇 아닐까요?

  • @tothehappiness4469
    @tothehappiness4469 2 ปีที่แล้ว +4

    8:28 을총년-> 을축년 으로 수정해야 할듯요

  • @user-bu4nz8wb9l
    @user-bu4nz8wb9l 2 ปีที่แล้ว +9

    무령왕능 발굴은 , 하루만에 유물들을 수습한 졸작이었어요
    추사 김정희는 금석학의 학자이고 그가 순수왕 진흥비를 발견한것은 우연이 아니었습니다

    • @yunheechoi2113
      @yunheechoi2113 2 ปีที่แล้ว +1

      진흥왕 순수비입니다..^^;;오타시겠죵

  • @gotrade21
    @gotrade21 2 ปีที่แล้ว +2

    샵 문양은 고구려의 문양의 하나로 군대의 깃발에 사용되었음. 다른 문양 하나는 원과 그 원을 통과하는 선이 있는 모양이 있음

  • @user-hk3fx8nr3q
    @user-hk3fx8nr3q 2 ปีที่แล้ว +1

    성대현은 가수 입니다

  • @NaN_OTL
    @NaN_OTL 2 ปีที่แล้ว +4

    금동대향로는 발굴당시 사자보는데 눈물이났어요.

    •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2 ปีที่แล้ว +1

      금동대향로 발굴을 그야말로 '기적'이라 할 수 있죠..💫 따뜻한 댓글을 보니 저도 뭉클해지네요😢

  • @user-et3jr5yv7l
    @user-et3jr5yv7l 2 ปีที่แล้ว +1

    7:30 초 가지들이 > 기자들이 자막수정 필요해보입니다

  • @cyoomail
    @cyoomail 2 ปีที่แล้ว +1

    좋네요 역사를 재미있었어 읍니다. 이른프로가 절실팔요합나다

  • @oz1h3
    @oz1h3 2 ปีที่แล้ว +38

    무령왕릉은 발굴 전 입구의 훼손이 있어서 유물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지요. 백제지역에 희귀한 벽돌무덤양식임에도 저런식으로 발굴된 것은 정말 처참합니다.

    • @user-vu1fi7xd7v
      @user-vu1fi7xd7v 2 ปีที่แล้ว

      지석부터 첨단과학적 검증을거쳐야함 , 내용자체도 매우 이래적임 출신내용 한줄 업적한줄 없고 생전이름이 적혀있고, 글씨는 고서예전문가 판단 졸작,
      무덤입구는 훼손후 마무리,
      왕무덤에 붙여조성한 곁 무덤이 존재하고,
      아무튼 의심투성이임

    • @Hyuchan1002
      @Hyuchan100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벽돌은 이미 개로왕 시절에도 구웠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 @user-ve6yh9mw6w
      @user-ve6yh9mw6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당시 국립박물관장이던 김원룡 박사 일생의 오점으로 남았죠. 고고학자로서 치명적인 실수를 했으니까요.

  • @user-vd4ct2hh3t
    @user-vd4ct2hh3t 2 ปีที่แล้ว +5

    역사 소식 감사합니다~^^ 역사를모르면 나라가망한다!!??

  • @user-tm1ir3qj3j
    @user-tm1ir3qj3j 2 ปีที่แล้ว +12

    향로는 불교제사에도쓰이지만 대대손손이어간다는의미도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황제의향로가꺼지다는 자손이없다는의미도있어요 즉망한다는뜻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ปีที่แล้ว +1

      중국인은 아직도 대다수가 조상들 위패놓고 아침마다 향불 올리며 절 하잔아요,,명절 제삿날만 조상 찾는 우리보다 훨 나은듯,,,

  • @michaelhong5774
    @michaelhong5774 2 ปีที่แล้ว +1

    위대한 유산들의 행진. 기리기리 그 유업 보전 합시다. 스스로.....

  • @fiatmihi2453
    @fiatmihi2453 2 ปีที่แล้ว +2

    무엇보다 성대현씨 올만에 봐서 반갑네요

  • @_Tidian
    @_Tidian 3 ปีที่แล้ว +15

    ㅋㅋㅋ 동공지진웃겨 저 분도 다 알면서 대본대로 하신거겠지만. 최태성쌤은 자연스럽게이해하면서 설명하셨을텐데

  • @bill---gates
    @bill---gates 2 ปีที่แล้ว +5

    무령왕릉 발굴은 차라리 하지 말았어야 후대에 제대로 발굴 되었을 텐데 아쉽습니다

  • @juokhan6
    @juokhan6 ปีที่แล้ว +1

    해시테그라고 얘기하시는 것은 가야의 도기에 표시된 것과 혹시 연관 있지는 않나요? 무슨 이유로 도기를 대량 생산해야하면서 그들의 기호도 단순화된…

  • @jambread848
    @jambread848 2 ปีที่แล้ว +16

    백제는 일본말에서도 '대단하다, 훌륭하다'라는 뜻으로 아직도 남아 있는 대단한 나라.... '쿠다라'가 백제인데, 쿠다라나이 하면 그저 그런, 변변찮은 이지요 그럼 '쿠다라'는? 쿠다라는 대단한, 변변한 것이란 말이지요.

    • @Black_Dove99
      @Black_Dove99 2 ปีที่แล้ว +1

      그런 백제를 지들이 지배했다는 말도안되는 소리를 하기도 했죠..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ปีที่แล้ว

      @@Black_Dove99 / 대체 역사를 어디서 배운건지,,,, 당시 일본은 마한,변한,진한의 삼한처럼 수많은 토호세력으로 분열된 상태엿으며
      일본의 서남해안, 한국의 서남해안+남해안 일부에서 해적질하면서 살던 집단들을 왜라고 불럿으며,,,
      가야지역에서는 왜에게 돈을주고 용병으로 쓰고 부족전쟁+신라의 공격을 막아내었기에 그게 빌미가되어 일본놈들이 왜 라는 이름으로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거죠,, 천황도 백제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데 일본 극우들이 주장하는것만 기억 하나보넹 ㅋㅋ
      또한 백제가 일본의 역사라고 하는건
      무령왕의 출신 성분이 불분명해서 그게 빌미가되어 백제가 일본 역사라고 우기는건데,,,, 아니 1명이 특정지역 출신이라면 그게 그나라 역사가 되나?
      그러면 중국의 청나라,금나라,제나라는 한국 역사게?

    • @user-zn7wl5cv3k
      @user-zn7wl5cv3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백제와 일본은 한나라 였다

  • @dreamfreeker
    @dreamfreeker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다뉴세문경이 없어서 의외네요;;;
    한반도에선 '괴베클리 테페'급 발견인데..

    • @user-fv9zf7nk3z
      @user-fv9zf7nk3z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방송 기획자의 수준 차이 이겠지요

  • @user-nu4rx2mf5h
    @user-nu4rx2mf5h 2 ปีที่แล้ว +2

    min cris
    1개월 전(수정됨)
    井자문양은 한민족의 성지 백두산의 천지를 의미한다고 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 @user-mc1ew8ov8x
    @user-mc1ew8ov8x 2 ปีที่แล้ว +3

    제가살던 동네에 초등학교가있는데 이곳이 개발되기전에는 왕릉들과 비석등등 어마어마하게 많았는데 개발되면서 동네유지들이 하나씩 들고가고 타 지역으로 옮겨가서 개판된곳이죠. 어릴때 친구집마당에 높이3미터쯤되면 비석이 있어서 놀랏던 기억이납니다

  • @user-ls7zz2tn7w
    @user-ls7zz2tn7w 2 ปีที่แล้ว +3

    무령왕릉 순위는 더 높여야 됨. 신라왕릉은 도굴 불가능한데 무령왕릉은 도굴되기 쉬운 무덤인데도 완전한 모습으로 발굴됐으니까 더 높아야

    •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2 ปีที่แล้ว

      심심풀이님의 마음 속 1위...💗

  • @user-qe2ek5op9j
    @user-qe2ek5op9j 2 ปีที่แล้ว +6

    나도 금동대향로...가 1픽...
    정말 놀랍긴 하지...

  • @andrewcho5981
    @andrewcho5981 2 ปีที่แล้ว +6

    #물결모양. 하백을 의미. 태조의 어머니. 하백의 딸. 고구려의 국기.상징

  • @nythomaskwon
    @nythomaskwon 2 ปีที่แล้ว +8

    그때나 지금이나 기자들은 특종만 하면 된다. 문화재 파괴, 질서파괴는 생각하지 않는다. 국민의 알권리를 앞세워 온갖 불법을 저질러도 건드리지 못하는 것이 언론이다. 권력자도 언론을 이길 수 없다. 언론이 바로서면 나라가 바로 선다.

  • @user-lg8xl4zz4b
    @user-lg8xl4zz4b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부여가서 보고 왔음. 너무 아름답고 정교해서 놀랐음

  • @jaeokpark9696
    @jaeokpark9696 2 ปีที่แล้ว +9

    고구려가 북쪽지역을 기반을 둔 나라여서 남쪽에
    너무 기록이 없다는게 한이네요
    아 그리고 석기시대 유물중에 주먹도끼 역시
    엄청난 발견인데,,, 세계사를 다시쓸 만큼,,,
    그게 안나오네요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ปีที่แล้ว

      단군,고구려,부여,발해,옥저,동예 등은 한강이남과 별 상관 없는 역사죠,,,,삼국시대에 고구려,백제 지배층만 연관있구요
      마한지역이 경기도,충청도,전라도에 걸쳐잇엇는데 기원후 500년까지는 호남지역 마한이 백제와 피터지게 싸웟다가 정복 당했고
      경남지역 변한은 신라와 600년 가까이 피터지게 싸웟다가 김해김씨 김수로 후손이 가야지역 주민들 뒷통수 치고 신분보장 조건으로
      진한 지역 경주김씨 김알지후손인 진흥왕에게 세금걷은것 몽땅 신라에 바치고 항복해서 진흥왕 왕비로 들어가고
      가야는 신라에 정복당했죠,,, 그 후손이 가야지역 김해김씨 김수로 후손 김춘추 잔아요,,,
      김춘추가 처음부터 왕족 대접 못받은이유가 그 조상이 가야국 지역사람들 뒷통수 쳐서 그런것임
      그리고 진흥왕+왕비의 후손이 남북극 통일신라 + 고려시대에도 계속 왕족집안으로 대접받고 살았슴,,왕건이 장가를 26번이나 갔잔아요
      그 대접받던 경주 김씨 김알지의 사촌인 김알평 후손이 경주이씨며,,김해김씨 김수로의 후손이 전주이씨임
      또한 전세계에 고인돌이 6만개가량 있는데,고조선 지역포함인 만주에는 1만개, 한반도에 3만개중 호남 지역에만 2만개가 있슴
      변한지역 여러개의 가야가, 통합 되지 못한이유중 한가지가,,,
      고구려,백제,신라는 철기 문화를 도입하고 도입되지 못해서 주변에 상대적으로 좀 약한 부족들을, 주변1개 점령하고 > 2개 점령하고 3개 점령해서 키웟는데,,,
      가야지역은 철기제조술이 뛰어낫기에 주변모두가 동급의 무기를 가지고 있어서,, 소수부족들을 통합을 못함,,강자가 주변에 널렷었다는거죠
      호남 마한은 여러 부족이 단합+ 통합 못해서 백제 무녕왕에게 정복 당햇고,,,
      김해지역 가야 변한은 단합+통일도 안되었고 + 왜를 용병으로쓰다가 김수로 후손이 전재산 들고 항복해서 진흥왕에게 정복 당한거죠
      또 왕건이 죽으면서 훈요10조 말하면서,,호남사람을 인재로 등용말라고 한것은 거짓말이죠,,,,전라도 까기위한것임
      왜그러냐면 왕겅의 뒤를 이은 혜종이,,나주부인 오씨 아들이거든요,,,왕위를 호남출신 아들에게 물려 줫는데,,,호남 사람을 멀리하라는게 유언? ㅎㅎㅎ

    • @American-drone
      @American-drone ปีที่แล้ว +1

      파주 호로고루성 양주 불곡산보루 포천 반월성 서울/구리 용마산보루군 이천/음성 망이산성 안성 도기동산성 청원 부강면 남성골산성 대전 월평동산성 등이 고구려가 처음 쌓았거나 고쳐쌓거나 점령해서 사용했던 군사시설들 입니다.

  • @keithcho4535
    @keithcho4535 ปีที่แล้ว +2

    우물 정(#)은 고구려 유물들에서 꾸준히 발견되는 문양 아닌가?
    최인호의 역사소설에서
    #을 따라서 중국 땅에 들어가 확인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중국공안이 훼방을 놓고, 역사당국이 폐쇄한 고구려 유물장면이 나오던데...
    하백의 딸 유화와 해모수가 만났고
    고구려는 그들의 자랑스런 후손이란 의미라던데...
    해시태그라니.

  • @celsius200do
    @celsius200do 2 ปีที่แล้ว +20

    성대현은 아직도 방송 잘하는데 왜 공중파에 안나오는지 미스테리네..

    • @DanJJSTChoi
      @DanJJSTChoi 2 ปีที่แล้ว +2

      사고 한번쳤지 기억도 안나지만요

    • @user-dg3mu4sh1d
      @user-dg3mu4sh1d 2 ปีที่แล้ว +4

      솔직히 공중파급은아니죠ㅡ

  • @user-do4pj3cs2h
    @user-do4pj3cs2h 2 ปีที่แล้ว +6

    무령왕릉을 발굴하신분이 말하셨는데 평생한이 무령왕릉이라고 하셨습니다,,,안타깝네요,,,

    •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ปีที่แล้ว +1

      금동대향로를 발굴 당시, 그전까지의 모든 유물과 바꾸지 않을 정도였다고...

  • @user-es7xc8is2q
    @user-es7xc8is2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십여년전 부여박물관에서 일본인인듯한 남자분께서 한참동안 향로를 보고계시던게 기억나네요.

  • @phkair
    @phkair 2 ปีที่แล้ว +9

    금동대향로 하나로 부여박물관의 품격이 몇 단계 올라갔지....ㅎ 원래 국박에 넣으려고 했다가 부여로 갔다는....

  • @J.H.K
    @J.H.K 2 ปีที่แล้ว

    ㅎㅎㅎ 누구네 집 ?빵 터짐 요세분 귀를 귀울이게 하는 매력 있으시네

  • @user-yd1vz3in4h
    @user-yd1vz3in4h ปีที่แล้ว

    8:28 을총년? 자막 오타
    을축년(1925년) 대홍수~

  • @user-zp9sk9wn5r
    @user-zp9sk9wn5r 2 ปีที่แล้ว +2

    경매시장에 나오면 최고가는 뭐니해도 훈민정음 이다

  • @user-mj3it9rc4d
    @user-mj3it9rc4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금동대향로의 모습도 현재 대전연고지 대전시티즌 엠블럼에도있죠 그만큼 충청도의자랑중하나임 세기의발견bb 솔직히 대향로처럼 은닉해서 다숨겨놨다면 많은유물들이 약탈당하치않고 온전히우리가보존했을듯..

  • @user-ko1ni5md6b
    @user-ko1ni5md6b 2 ปีที่แล้ว +4

    로마 귀족들이 비단을 너무 좋아해서
    금 유출이 많아서 황제가 비단을 금지시키기도 했을 정도로 유행했다고 합니다.

  • @user-psychefilm
    @user-psychefilm 2 ปีที่แล้ว +3

    금동대향로 보려고 일부러 부여를 갈 정도니..

  • @user-hg8et1co6g
    @user-hg8et1co6g 2 ปีที่แล้ว +1

    07:27 가지 ㅡ> 기자 ㅋㅋㅋㅋㅋ

  • @user-gq9tk6od3x
    @user-gq9tk6od3x 2 ปีที่แล้ว +8

    세종대왕이 집현전을 만들듯이 정부는 "바른 역사 쓰기 청"이라도 만들어 우리의 올바른 역사를 다시 써 정립을 해야 한다.

  • @youngkimkim8433
    @youngkimkim843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큰 그림을 작게 만드는 방법이 있을 거 같은데 그런 금속제작법이 있었지 않을까

  • @mansujang3029
    @mansujang3029 2 ปีที่แล้ว +1

    실물보면 진짜 장난아님

  • @user-bn8jo1vg4d
    @user-bn8jo1vg4d ปีที่แล้ว +1

    그릇 기호는 당시 그릇제작 주물공업사 메이커 표시입니다. 믿거나 말거나

  • @user-fi9ie8ub9v
    @user-fi9ie8ub9v 23 วันที่ผ่านมา

    해시태그 문양은 고조선 시기의 우물 정자나 고구려 고분의 천장의 사각형,
    즉 우주나 천문학과 관련된 상징의 문양이 아닐까 싶어요

  • @BrendanYoo00
    @BrendanYoo00 ปีที่แล้ว +1

    고구려의 # 표기는 호우총 유물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고구려토기에도 자주 등장합니다.
    고구려의 문장이었을 가능성이 큼니다.

  • @user-zc9fj5kk6b
    @user-zc9fj5kk6b 2 ปีที่แล้ว +1

    요강 같습니다~
    예전 놋 요강 하고 비슷하네요 ㅎㅎ

  • @SeongKKIM
    @SeongKKI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國罡上廣開土地好太王"은 高國原王(斯由)의 諡號이고 廣開土王(談德)의 諡號는 "國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일 것입니다.
    藩國王(女國女王 尒斯智王)에게 하사하는 선물(壺杅塚 壺杅는 尿釭?)에 이미 죽은 왕의 이름이 들어갈 수 있었겠나요? 살아있는 왕이 있는데도?
    藩國인 扶桑國이 자기 나라도 高勾麗가 上國이라는 뜻으로 소위 한반도(外東夷) 충주 중원 高勾麗碑를 세웠겠지요.

  • @user-pi1sj7rf6h
    @user-pi1sj7rf6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향로는 발견 당시 1면에 사진이 떡!
    1도 모르는 내가 봐도 감탄이 나오더라.

  • @user-ex1zh1ex3b
    @user-ex1zh1ex3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금동대향로 처음 봤을때 정말 입이 딱 벌어졌었는데

  • @wincup
    @wincup 2 ปีที่แล้ว +13

    저 # 무늬 90년대말인가에 방영되었던 고 최인호작가의 고구려관련 다큐에서 다뤘던 기억이 납니다. 다른 내용은 약간 너무 상상이 가미된 대담한 가설이라 반감도 있었지만, 적어도 저 마크가 '광개토대왕'의 (혹은 특정시대 고구려의) 특유 마크였다는 내용은 꽤 신빙성이 갔었는데, 그 이유가 호우총 청동기만이 아니라 옛 고구려 고토지역(만주근방)에 직접 최 작가가 가서 발굴하던 고구려 토기등에서 저 마크가 나오더군요. 당대 백제나 신라 토기에선 전혀 없었구요. 하여간 신기했습니다. (관련 영상- th-cam.com/video/ZCDv81x--_I/w-d-xo.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