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박사가 알려주는 석사와 박사의 차이 (그리고 통합)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พ.ค. 2021
  • 대학원의 모든 것 시리즈 1-1화
    국내 석사와 박사의 차이 + 통합과정
    과정별 장단점 및 배우는 것과 졸업후 진로
    0:40 석사과정
    3:30 박사과정
    7:00 통합과정
    Instagram
    / podockim
    #대학원진학 #석사 #박사 #입학 #졸업후 #진로 #공대
    #김포닥 #podockim #박사후연구원 #포닥 #한국 #대학원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64

  • @jipyoung
    @jipyoung 2 ปีที่แล้ว +5

    자세한 설명 도움 많이 되었어요 . 유용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Kwonpro_Succulents
    @Kwonpro_Succulents 2 ปีที่แล้ว +20

    박사 가야하나 하는 고민을 많이 하는 육아맘입니다. 가장 궁금한것을다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 잘 하시는거 너무 부럽고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칭찬 감사합니다~!

  • @user-il5bk9pm6f
    @user-il5bk9pm6f 2 ปีที่แล้ว +76

    박사과정 3년차입니다. 확실히 프로젝트(연구과제)를 이끌어가야된다라는 책임감? 짐?을 받게 됩니다. 그 과정 중 따라오지못하는, 따라오지않는 구성원들과 교수의 실적 압박.... 박사과정은 정말 스트레스 싸움입니다...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21

      안녕하세요.
      맞습니다.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이 정말 스트레스 많이 받고 힘든 위치라고 생각해요.
      후배들을 이끌면서 프로젝트를 잘 수행해야 하고 그 와중에 실적도 만들어야 하다 보니 교수님과 석사과정생 사이에 끼일 수밖에 없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이 과정에서 대상포진도 걸리고 두통에 시달리기도 하고 그랬어요. 정말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구성원들에게 업무를 분담할 때는 구체적인 목표와 마감 기한을 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같은 일을 내가 다시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더라고요. 물론 이렇게 하려면 훨씬 더 많이 고민한 후에 업무 분담을 해야 할 거에요.
      제 답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그동안 잘 해왔으니 기운 내시고 파이팅입니다!

  • @sarkpiens
    @sarkpiens 3 ปีที่แล้ว +31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는데 참 도움이 되는 이야기네요. 좋은 대학원 진학 개론인 것 같슴돠.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더 좋은 주제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forpig
    @forpig 2 ปีที่แล้ว +1

    인기랩실 타대학원을 진학하는데에 전적대와 학점이 많이 중요할까요? 대학은 인가경인데 지금부터 어학점수 준비하고 원하는 랩실을 찾아서 내년 1학기에 코스모스 졸업이라 이번 2학기부터 교수님께 인턴이나 학부연구생 컨택을 해볼까 고민중입니다 인턴이나 대학원 진학 성공할 수 있을까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랩실이 있는 대학원의 경우 대학원 입학은 지원 기준만 통과하게 되면 그 이후부터는 전적으로 교수님 재량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수님께서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계신지가 제일 중요해요. 이를 알기 위해서는 일찍 컨택해보는 것이 좋을 거에요. 그렇기 때문에 다른 준비보다 원하는 랩실을 찾아서 빠르게 교수님께 메일을 드려보거나 랩실 대학원생에게 메일을 써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가능하다면 직접 찾아뵙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제일 좋긴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메일을 쓰거나 찾아뵐 때 왜 이 연구실을 가고 싶은지, 교수님의 연구 중에 어떤부분이 흥미로운지, 본인은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지를 구체적으로 정리해서 가세요. 그러면 분명 교수님께서 좋은 평가를 해주실겁니다. 생각보다 이런 생각을 정리해서 컨택을 하는 학생들이 많지 않거든요

  • @user-kt1co9gd4w
    @user-kt1co9gd4w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석박사 통합 과정에 대한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많은 사람의 진로 문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내용입니다.

    • @podockim
      @podocki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sangheekim6136
    @sangheekim6136 2 ปีที่แล้ว +19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내용이 정말 좋네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2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gompark1511
    @gompark1511 ปีที่แล้ว +5

    혹시 박사과정 진학 관련하여 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현재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데 박사과정 진학 준비하려고 합니다. 지금 중상위권 대학에서 대학원 다니고 있고 지도교수님도 너무 좋으십니다. 다니고 있는 학교에서 박사과정 해도 괜찮지만, 혹시 더 높은 학교에도 신청해봐야 되는지 너무 고민입니다. 박사는 학교보다 지도교수님이 중요하다고 하시는 분들도 많고, 또 미국 유럽 유학생들도 많아지고 있는데 박사도 순위가 더 높은 학교를 나오는게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조언 부탁드려도 될까요? 취업하거나 앞으로 쭉 연구를 하거나 박사과정의 학교도 중요한가요?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3

      안녕하세요. 박사과정 진학으로 고민하고 계시군요.
      대학원 졸업시 학교가 중요한가는 굉장히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해요. 답이 딱 있는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아요. 보수적인 집단일수록 학교를 더 중요하게 생각할 수도 있겠고, 다른 곳에서는 지도교수님과의 관계나 연구분야가 더 중요하게 작용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제 개인적으로는 학교도 무시할 수 없지만 전공과 교수님이 조금 더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 @gompark1511
      @gompark1511 ปีที่แล้ว +3

      @@podockim 답변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학교를 가서 좋은 교수님을 만나면 좋겠지만 보장할 수 없는 일이니 아무래도 지금 다니고 있는 학교에 박사과정을 신청할 것 같습니다.답변해 주셔서 너무 감사드리고 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영상을 많이 올리시는 것 같아서 구독하고 갑니다!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댓글과 구독 감사합니다!

  • @Drone0
    @Drone0 ปีที่แล้ว +5

    연대 대학원에서 힘들었던점은... 조교일이었던것같아요. 옛날엔 없다가 생긴 송도에 조교일하러 송도 왕복해야해서..... 다행히 저는 연차가 있는편이라 신촌캠에서 재수강반 주로 했는데 신입생 담당이나 교수님들은 힘들어하셨던것같네요. 최근엔 코로나때문에 비대면으로 주로했지만요.
    지금은 졸업하고 백수인데 뭔가 그때 시절들 생각나네요..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맞아요. 예전에 저도 교수님께 송도 캠퍼스 강의가 생기면서 조교 업무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있었어요. 댓글 보니 생각나네요.

  • @poom0503
    @poom0503 2 ปีที่แล้ว +7

    지금 석사 과정중인데 제가 여기서 얻어야하는역량이 무얼까? 고민이많았었습니다 정보수집분석 데이터 수집 분석 가공 능력이라는 말씀이 무슨말인지 공감이갑니다 감사합니다?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영상 내용이 공감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더 공감될 수 있는 영상들을 만들어보겠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beautiful_2ja
    @beautiful_2ja ปีที่แล้ว +2

    너~무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다른거 찾아듣다가 이것저것 듣게 됩니다. 너~ 무 감사합니다.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user-lc8lc8ys7o
    @user-lc8lc8ys7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영상 잘 보았습니다!! 너무 말씀을 조리있게 잘하셔서 부럽습니다,,, 저는 지거국에서 석사 졸업할 예정인데,, 연대 정보대학원에 박사를 지원해볼까 합니다,, 근데 주변에서 의견이 갈려서 그러는데,, 혹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카포아니면 의미 없다는 소리도 들어서요,,

    • @podockim
      @podocki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특히 박사의 경우에는 학교 네임밸류보다는 본인의 진로에 가장 부합하는 대학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교수님이나 학과의 방향성을 보고 대학원을 결정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 @jinassam
    @jinassam ปีที่แล้ว +12

    석사 처음 시작하는 입장에서 설명을 듣고 도움됩니다. 감사합니다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sion5224
    @sion522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일본에서 석사중인 학생입니다. 여긴 4학년때부터 졸업연구라고 해서 사실상 한국 석사1학년이랑 비슷하게 돌아갑니다.. 저같은 경우는 교수님이랑 세부분야가 다르고 해서그런가 스스로 논문찾고 테마정하고 문제찾고 했는데 (교수님은 몇가지 아이디어 듣고 다 괜찮은거 같다하신게 답니다) 박사에서는 어떤게 달라질까요..?

    • @podockim
      @podocki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연구실마다 혹은 연구 특성에 따라 박사과정 학생에게 요구하는 것이 다를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석사과정 학생은 교수님과 박사과정 학생에게 연구주제를 받거나 박사과정 학생의 연구를 돕는 형태로 연구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재 석사과정에서도 스스로 연구주제를 찾고 있다면 박사과정에서도 하는 일이 크게 달라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연구를 혼자서 할 수 없는 경우 (반복적인 실험이 필요할 경우) 석사과정 학생들을 챙기면서 연구를 해나가야 할 수도 있어요.
      박사과정 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논문을 얼마나 많이 쓸 수 있는가 입니다. 그래서 교수님께서 박사과정 학생이 논문을 쓰고 게재를 할 때 얼마나 도움을 주시는지 보시면 박사과정 기간의 난이도를 가늠해볼 수 있을 거예요.

    • @sion5224
      @sion522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podockim 그렇군요.. 박사과정이 없는 랩이라.. 그럼 결국 랩바랩이란거군요 감사합니다!

  • @user-vv6wt5cw6p
    @user-vv6wt5cw6p 2 ปีที่แล้ว +9

    안녕하세요.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지금까지(고작 1학년 1학기)의 학점은 한 3.7정도 되고 계속 열심히 해서 유지할 생각있습니다. 제가 공부에 흥미를 좀 잃어서 박사까지는 못하겠고 석사까지는 할 생각이 있는데 주위 선배님들이나 친구들이 공대에서 석사의 메리트는 없다고 하더라고요. 박사까지 해야 높은 대우를 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학사까지만 하면 또 아는게 없어서 취업이 힘들다고 하고…저는 대학교 졸업하고 칼취업하거나 석사까지만 하고 싶은데 어느 것이 더 나을까요?? 일단 석사, 박사, 통합과정 간의 차이에 대한 설명 정말 잘들었습니다..!!

    • @user-vv6wt5cw6p
      @user-vv6wt5cw6p 2 ปีที่แล้ว +1

      아 그리고 대학원을 만약 간다면 전 서카포 대학원에 갈 것입니다.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7

      안녕하세요. 취업을 목표로 대학원을 고민하시는 것 같아요.
      그렇다면 취업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어디에 취업할지 취업해서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등) 이런 고민을 하다보면 취업 방향이 정해질것이고 그 취업 방향에 대학원이 도움이 될지 살펴봐야해요. 분야나 회사에 따라서 대학원이 취업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거든요.
      그리고 저도 1학년 때에는 공부에 대한 흥미가 많이 떨어졌었습니다. 그러나 2-3학년 때 전공 공부를 하면서 관심이 생겼었어요. 그래서 결국 대학원으로 진학하게 되었죠. 학부 생활을 하면서 자신의 새로운 흥미나 적성을 발견할 수도 있어요. 아직 학부 졸업까지 시간이 많이 남았으니 많은 경험을 하시면서 다양한 생각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user-vv6wt5cw6p
      @user-vv6wt5cw6p 2 ปีที่แล้ว +3

      @@podockim 아 그렇군요. 제 적성에 맞는 곳에 취업을 하는데 그곳이 대학원 진학을 필요로 하는지 안하는지, 대학원으로 인한 이득이 있는지 없는지를 살펴봐야한다는 뜻이군요. 이해됐습니다. 말씀대로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으니 일단 학점에 신경 더 쓰겠습니다. 좋은 영상, 좋은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juneh6066
      @juneh6066 ปีที่แล้ว +5

      지나가다 댓글보고 적어봅니다. 취업을 생각하신다면 오히려 석사추천드립니다. 박사는 기간도 길어질 위험이 있을뿐더러 분야가 좁아 취업도 더 어렵습니다ㅠ

    • @soyoungyoon397
      @soyoungyoon397 ปีที่แล้ว +1

      @@user-vv6wt5cw6p 적성

  • @trendanalyst7253
    @trendanalyst7253 ปีที่แล้ว +5

    말씀너무잘해주심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ib6ps1ek4v
    @user-ib6ps1ek4v ปีที่แล้ว +2

    선생님, 반도체 물질의 경우 전자공학부터 신소재공학, 물리학, 화학과 등의 교수님들이 연구를 하시는데 연구 주제는 비슷하지만 주관 학과가 다른 경우 현저한 차이점이 있을까요? 이를테면 코스웍에사의 강의 과목이라던가 기업에서의 인식이요.
    또한 제가 평균의 학생이라 가정했을 때
    대학원의 레벨을 좀 높이는 것이 훗날 취업에 있어 장점일까요? 자대 시설이 그닥 좋지않아서요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비슷한 분야를 다루더라도 학과마다 접근하는 관점이 다를거에요. 그렇기 때문에 강의 과목도 당연히 차이가 있을 겁니다. 어떤 관점이 자신에게 맞는지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개인적으로 대학원을 취업 목적으로 가는 것을 추천하지 않아요. 더 알고 싶은 분야가 있거나 취업을 해서도 연구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면 대학원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또한 저는 대학원을 선택할 때는 학교 시설보다 지도교수님의 연구 분야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user-ib6ps1ek4v
      @user-ib6ps1ek4v ปีที่แล้ว +1

      @@podockim 의견 감사합니다! 김박사님. 좋은 하루 되세요^^

    • @user-ib6ps1ek4v
      @user-ib6ps1ek4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안녕하세요. 연박사님.
      알고리즘으로 우연히 다시 뵙게됩니다. 이번에 연대 지원하여 최종합되었습니다. 유튜브 적잖은 자료로 도움을 주셨는데 당시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대학원 수업의 경우 보통 어느정도의 에너지를 투입하는 게 좋을까요? 뭔가 하고 싶은 게 있어도 학부 과목에 시달리면 번아웃이 오는 걸 졸업 막바지에 깨닫게 되어서요 😅
      그저 학점 3점~3.5정도를 목표로 하면서 연구에 몰두하는 것이 좋을까요? 그리고 대학원 과목들에 큰 에너지를 쏟을 필요는 없을까요? 그리고 대학원의 학점 비중이 궁금합니다!

    • @podockim
      @podocki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ib6ps1ek4v 안녕하세요 대댓글은 알림에 잘 뜨지 않아서 질문을 이제야 발견했네요ㅠㅠ 늦은 답변 죄송합니다. 대학원 학점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너무 낮아도 좋지 않습니다. 보통 대학원에서는 학부보다 학점을 더 잘챙길 수 있기 때문에 3.5 이상으로 챙기면 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나머지 시간에는 연구에 더 몰두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연구와 학점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면 연구가 더 중요하긴 합니다. 결국, 대학원 성과는 학점보다 논문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수업도 논문과 연관이 될 수 있는 수업을 듣는 것이 도움이 될겁니다.

    • @user-ib6ps1ek4v
      @user-ib6ps1ek4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podockim 답변 감사합니다. 연박사님.
      혹시 추가 질문 드려도 괜찮을까요?
      두달간 랩 생활을 했는데 연구 주제가 저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경우, 석사까지만 마무리하고 박사는 제가 학부 때 좋아한 분야로 바꾸어도 괜찮을까요? 지금 분야랑 학부 때 좋아한 분야가 상관 관계가 있긴 합니다.

  • @sosohan7988
    @sosohan7988 3 ปีที่แล้ว +47

    박사님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잘이해가되네요. 저희아들은 포항공대를나와서 서울대에서 통합과정 시스템합성생물학을하는데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것 같아요. 엄마로 어떻게 옆에서 힘을줄수있을지 조언을 구할수 있을까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28

      안녕하세요. 댓글 감사드립니다. 확실히 박사과정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이 미래의 불확실성이라고 생각해요. 대학동기나 친구들이 취업하고 돈을 벌고 결혼을 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자신이 뒤처진다고 생각하기 쉽거든요. 저도 20대 후반에 돈을 벌어야 하고 30대 초반에 결혼을 해야하고 30대 중반에 아이를 낳아야 하고 등등 특정 나이에 해야하는 것들에 대해 압박을 많이 받았어요. 이럴 때일 수록 '늦지 않았다.' '나이에 대해 부담갖지 않아도 된다.' 와 같은 조언이 힘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또한, 박사를 받게 되면 어디서든 어떻게든 돈을 벌 방법이 생길 수 있으니 미래의 걱정보다 현재에 얻을 수 있는 것들에 집중해도 괜찮다고 말해줘도 좋을 것 같네요. 어머님께서 이러한 생각을 하고 계신다는 것만으로 아드님에게 이미 힘이 될 것 같아요.

    • @sosohan7988
      @sosohan7988 2 ปีที่แล้ว +15

      @@podockim바쁘실텐데 시간내서 답글 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20

      아닙니다 제가 더 감사드려요
      제 답변이 조금이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user-ie6ou9xv9o
      @user-ie6ou9xv9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podockim등록금도 해결방법과 함께 다뤄주세요...느와악...

    • @Snowflake_tv
      @Snowflake_t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합성생물학? 우와...

  • @user-ke2rg1cg9b
    @user-ke2rg1cg9b ปีที่แล้ว +1

    석박통합인데 석사과정 자격요건 맞추면 중간에 그만둬도 석사학위를 주는 경우는 애매해지는 단점이 사라지는 경우인가요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그런 경우라면 통합의 단점이 보완됐다고 할 수 있겠네요. 다만, 너무 늦지 않은 학기에서 결정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user-sk4zw4lg6u
    @user-sk4zw4lg6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아... 내가 박사과정 서치를 했더니.... 알고리즘에 박사선생님들의 영상이 뜨는구나..
    다들 힘내세요.
    ㅠ 저도 곧 컨택 메일 돌리려구요..

    • @podockim
      @podocki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화이팅입니다~!!

  • @user-rq5wh8jd4y
    @user-rq5wh8jd4y 2 ปีที่แล้ว +8

    저는 지금 학생이고 곧 대학교 진학하거든여 물리학과 가서 석사까지 하고싶은데 물리학과는 좀 전망이 어두운가요...? 아직은 물1 수준밖에 안 배우긴했는데 성적도 제일 괜찮고 흥미도 있어서요 학사때 물리 배우고 석사를 반도체쪽으로 트는건 힘든가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3

      안녕하세요. 저는 공학을 전공해서 이학분야를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제가 아는 선에서 말씀드릴게요
      기본적으로 물리학은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결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진로 선택이 가능해요. 그래서 어떤 분야로 뻗어나가느냐에 따라 전망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요즘에 물리학은 컴퓨터 분야, 기계 분야, 전자 분야, 재료 분야 등과 많이 연계되기 때문에 대학에서 공부를 하면서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여기에 컴퓨터 코딩을 할 줄 알면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저는 대학원 분야가 학부 전공과 일치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 학사 때 물리학을 배우고 석사로 반도체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다양한 분야로도 충분히 진학이 가능하답니다.

    • @user-py8qf5fc7h
      @user-py8qf5fc7h 2 ปีที่แล้ว +5

      요새 물리학과는 오히려 응집물질분야 고체물리라 하는 반도체가 주류를 이룹니다. 걱정 안하시고 진학하셔도 될거같아요.

    • @loganlee7510
      @loganlee7510 2 ปีที่แล้ว +6

      물리학과 나와도 정말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수 있어요. 반도체를 하실수도 있고 플라즈마 전공하고 핵융합 연구소로 갈수도 ITER에 취업할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컴퓨터 그래픽의 물리 시뮬레이션에도 물리학 전공자들이 진출하기도 한답니다. 만약 남들 다 가는 회사로 갈거다라면 어느 과를 가든 경쟁이 심할거에요. 하지만 자기가 하고 싶은 공부를 한다면 어느 과를 가든 경쟁률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거에요.

    • @user-rq5wh8jd4y
      @user-rq5wh8jd4y 2 ปีที่แล้ว +3

      헐 다들 댓글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ㅠㅠ

    • @kksa9494
      @kksa9494 2 ปีที่แล้ว +2

      반도체에서도 공정쪽은 포토공정에서 광학, 에치나 스퍼터에서 플라즈마 등등 물리학과 많이필요해요. 실제로 그쪽 전공자들 많이보이고요. 소자쪽은 고체물리나 전자물리등등 역시 필요하네요.
      걱정마시고 물리학4년 교육 잘받으시고 반도체관련 랩실 진학하셔서 원하는 진로로 잘 가시면 좋겠네요.

  • @user-xo2ui8ss6c
    @user-xo2ui8ss6c 2 ปีที่แล้ว +6

    재미있게 봤습니다. 저는 인문학 계열이라 비슷한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네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2

      댓글 감사합니다. 인문쪽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네요.

    • @junyounglee7603
      @junyounglee7603 2 ปีที่แล้ว +2

      인문학은 절대 대학원 가면 안 됩니다. 갈려면 로스쿨을 가고, 아니면 그냥 공무원 시험 치는게 답입니다. 오죽하면 학생 하나가 아쉬워야하는 교수님도 허심탄회하게 그 말씀을 하셨어요.

    • @user-uh5im5vd9o
      @user-uh5im5vd9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인문학 박사는요, 변명하는 능력만 늘어서 졸업하죠 ㅋㅋㅋㅋ

  • @user-ft2yc1ev9y
    @user-ft2yc1ev9y 2 ปีที่แล้ว +2

    제나이 한국나이 스물아홉이고 졸업 후 중소기업 영상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자로 들어갔습니다.
    근데 개발이라는게 하는건 쉬워도 잘하는건 너무 어렵더라구요. 학사 무경력으로 입사해서 회사에서 제가 하는일도 비전이 크게 없어보이구요.
    그러다 보니 요새 다시 학위와 공부에 대한 갈망이 생겼습니다. 영상처리쪽은 최소 석사이상을 요구하는곳이 많아서요.
    하지만 지금 나이도 나이고 너무 늦은 도전아닌가 싶어 고민이 많이 됩니다.
    말씀처럼 석박통합으로 들어간다면 일반적으로 서른다섯쯤에 졸업 가능할거같은데 너무 늦지 않은 걸까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진로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으신 것 같아요.
      확실히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일은 학사 무경력으로는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일단 영상처리 분야로 일을 계속 하는 것이 맞을지 생각해보세요. 생각해봤는데 자신에게 잘 맞는다고 생각이 들면 대학원 진학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여기서 석사 or 통합을 선택해야겠죠.
      서른다섯쯤에 졸업을 할 수 있다면 저는 개인적으로 늦은 나이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2-3년 더 밀려버리게 된다면 늦은 나이가 될 수도 있어요. 그래서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신다면 석사를 먼저 해보시고 대학원 생활이 자신에게 맞는지 박사까지 하는 게 맞을지 고민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해요. 석사 2년 기간 동안에도 열심히 한다면 연구나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해요.

    • @user-ft2yc1ev9y
      @user-ft2yc1ev9y 2 ปีที่แล้ว +1

      @@podockim 조언 감사합니다.
      회사를 좀 더 다녀보고 제가 하고 싶은게 영상처리인지 영상처리에서도 어느쪽을 하고 싶은건지 더 생각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1

      맞습니다. 하고 싶은 분야를 먼저 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화이팅입니다!

  • @user-lq7zd1qu2z
    @user-lq7zd1qu2z 2 ปีที่แล้ว +3

    석사를 나와도 자기연구를 할수있을 정도의 연구역량,지식은 배우고 나올수있나요? 꼭 박사를 해야되는것일까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자기연구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다를 수 있을 것 같지만,
      일반적으로 국제(SCI)논문이나 국가 및 기업 과제를 만들 수 있는 연구방향을 잡기 위해서는 석사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해요

    • @user-lq7zd1qu2z
      @user-lq7zd1qu2z 2 ปีที่แล้ว +1

      잘 몰라서 그렇지만.. 큰 프로젝트를 진행해본사람, 안해본 사람 차이일까요? 연구하는데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있나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3

      연구라는 것은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문제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다음으로 그에 맞는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해요
      일반적으로 석사과정에서는 교수님이 제시한 문제와 접근방법을 바탕으로 연구를 하게 됩니다. 그래서 특정 문제와 그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전문가가 된다고 할 수 있겠죠. 하지만 분야가 조금만 넓어지고 문제가 달라지면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문제를 찾아내고 새로운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다양한 연구적 경험이나 논문에 기반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만의 새로운 연구를 하기에는 석사의 2년이 부족하다고 하는 것이죠

    • @user-lq7zd1qu2z
      @user-lq7zd1qu2z 2 ปีที่แล้ว +1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Djejsksocowkw
    @Djejsksocowkw 2 ปีที่แล้ว +1

    감사해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저도 감사해요~!

  • @engineeringmaker8235
    @engineeringmaker823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안녕하세요. 협동과정 박사학위의 경우 교수임용에 결격사유가 될까요? 제가 전공하고자 하는게 협동과정 일반대학원 박사학위입니다.

    • @podockim
      @podocki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죄송하게도 제가 협동과정에 대한 내용은 잘 모르겠습니다. 해당 학과에 문의해보시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아요.

  • @CYPark-sm4gt
    @CYPark-sm4gt 2 ปีที่แล้ว +15

    학부제외 대학원생활만 10년하신건가요오... ㄷㄷ..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10

      네, 이것저것 하다보니 그렇게 됐네요ㅎㅎ

  • @mimikim615
    @mimikim61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학원생 남친과 사귀는데 4월 되더니 연락이 거의 안되고있어요.. 올해 입학해서 바쁠거라는건 예상은 했다만 이정도로 바쁜게 정말일까..
    직장인은 저로써는 이해가 안가네요
    넘 답답해서 대학원생활 유툽까지 찾아보다 여기까지왔네요
    제가 연락문제로 뭐라했더니 자기가 여유가 되면 연락한다는데 그정도로 여유가 없나요? 제가 진짜 뭘 모르고 그러는건지 걔 맘이 바뀐건지 너무 혼란스러워요ㅠㅠ

    • @user-dh4ud1dr8u
      @user-dh4ud1dr8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뭘모르네 대학원석사는시간많다~

    • @mimikim615
      @mimikim61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dh4ud1dr8u 그렇군요ㅠㅠ

    • @user-fe3ky3bu8u
      @user-fe3ky3bu8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학원 석사 신입생인데 1달간 매 평일 12시 넘어 퇴근하고 잠도 못 잡니다….😥😥

    • @user-fe3ky3bu8u
      @user-fe3ky3bu8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였어도 하루에 연락 몇 통 겨우 주고 받고 주말에 1일 겨우 만날 것 같아요..

    • @podockim
      @podocki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답이 늦었네요.
      대학원은 연구실마다 분위기가 매우 다릅니다. 바쁜 곳은 바쁘고 아닌 곳도 있고 그래요. 저는 보통 10시 출근해서 10시 퇴근하곤 했었습니다. 1주일에 1~2일 정도는 12시 퇴근할 때도 있었고요.
      하지만 대학원 생활하면서 연락이 잘 안되는 이유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일수도 있을 것 같아요. 대학원 생활이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스트레스 관리를 잘하지 못하면 많이 힘들 수도 있습니다. 특히 남자들은 힘든 일이 생기게 되면 내색을 하지 않고 숨어버리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만나게 되면 현재 대학원 생활에 대해서 힘든 일이 없는지 잘 들어주고 공감해주고 응원을 해준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lemon275
    @lemon275 2 ปีที่แล้ว +8

    전기전자 부분으로 일본대학원을 희망하고있는데 괜찮은 선택이겠죠?..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제가 일본대학원의 분위기가 어떤지 몰라서 자세히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ㅠㅠ
      다만 대학원 졸업 후의 진로에 따라 장단점이 달라 질 것 같아요. 일본대학원의 장점을 살릴려면 졸업 후에 일본에서 취업을 하거나 박사까지 한 후에 국내로 돌아오거나 해야하지 않나 싶어요.
      전기전자 분야 중에서도 다양한 세부분야가 있기 때문에 희망하시는 대학원의 연구분야가 어떤지 잘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특별하게 일본대학원을 선택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상황을 좀 알려주시면 더 많은 이야기를 해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 @JShin-iu5pg
      @JShin-iu5pg 2 ปีที่แล้ว +1

      일본은 여러가지 이유로 안 가는 게 낫지 않나요?

    • @woongsill4129
      @woongsill4129 2 ปีที่แล้ว +4

      안녕하세요 저는 일본대학에서 유학중이고, 내년부터도 일본대학원으로 진학하는 학생입니다.
      전공은 경제학 이므로 저도 제 전공관련 대학원 들만 찾아보았기에, 전기전자는 잘 모릅니다만, 일반적인 것만 말씀 드리지자면, 일본대학원의 경우는 전공을 불문하고 연구에 집중할수 있는 환경과 특히 유학생 같은 경우는 장학금제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종합적인 면에서 추천드릴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나중에 가보시면 아시겠지만, 대학원의 이과 같은 경우는 '제국대학교(도쿄대, 쿄토대,나고야대, 큐슈대, 토호쿠대, 홋카이도대, 오사카대 ) ' 에서 노벨상 이라던지 세계적으로 유명한 교수들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반면 교수성격이 좋지않다는 얘기도...) 그래서 희망하신다면, '일반적' 으로는 일본학생들도 이 제국대학교들에 희망을 많이 하더라고요.
      또한, 제국대학교가 아니어도, 일본 전국 국공립 대학원 이라면 어디든지 상관없을것 같습니다. 국공립대학교만 200곳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연구환경은 잘 갖추어져 있다고 들었습니다. 아니면, 와세다대,메이지대, 게이오대등등 유명사립대학교도 환경적인 면에서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일본국내에서도 전기전자분야는 이미 자리잡은 레드오션 이기 때문에,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심지어 경제학 에서도 전기전자분야랑 연관지어서 연구를 할정도 이더라고요...) .
      무엇보다 이과 이던 문과 이던 본인이 하고싶은 연구에 관한 문제의식과, 논문을 찾아보면서 교수와 학교를 찾는것이 좋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 @Yssc125
      @Yssc125 2 ปีที่แล้ว +1

      @@woongsill4129 대단하시네요.. 혹시 외국인 연구생으로 가시나요? 바로 석사 합격하셨나요?

    • @woongsill4129
      @woongsill4129 2 ปีที่แล้ว +1

      @@Yssc125 저는 일본에서 학부를 졸업하기 때문에 석사로 바로 가게 되었습니다!

  • @ilillliillliillliliiililiili
    @ilillliillliillliliiililiil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눈에서 생명이 안느껴지는데 ㄷㄷ

  • @user-ju6ky2tf8y
    @user-ju6ky2tf8y 2 ปีที่แล้ว +6

    다음편 없는데여 ㅠㅠㅠㅠㅠ필요해여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2

      업데이트 너무 오래 걸려서 죄송해요. 그동안 정신이 없었는데 댓글이 정말 힘이 되네요.
      다음편은 오늘 업로드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mh2ip4qh4q
    @user-mh2ip4qh4q 2 ปีที่แล้ว +1

    박사님 혹시 석사만 따고선 공기업 연구원에 들어갈수는 없나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석사 후 공기업 연구원으로 들어갈 수 있어요
      박사와 석사에게 요구하는 업무가 다르기 때문에 따로 뽑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뽑는 인원으로 보면 박사보다 석사가 더 많을 거에요

  • @user-ci9ou8xu4j
    @user-ci9ou8xu4j 2 ปีที่แล้ว +3

    교수님이 석박통합하다 그만둬도 된다고 석사졸업 가능하시다고 해 석박통합으로 지원하라하시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교수님 말씀처럼 통합에서 석사로 전환이 가능 하긴 합니다. 석사 졸업 전 학기 즉 3학기에 전환을 하면 석사로 졸업을 할 수 있어요
      하지만 대학원을 어떠한 목표로 입학하는지에 따라서 입학 과정을 신중하게 선택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교수님의 의견보다 본인의 결정을 중요하게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 @user-ci9ou8xu4j
      @user-ci9ou8xu4j 2 ปีที่แล้ว +1

      @@podockim 궁금증이 해결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redgentle
    @redgentl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코스웍이 듣는 수업을 코스웍이라고 하나요?

    • @podockim
      @podocki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네 수업을 듣는 것을 코스웍이라고 합니다

  • @builmoon
    @builmoo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박사과정 대학원 MBTI는 INTP,INTJ,ENTJ,ENTP 거의 차지합니다

  • @user-jm7dm4vc8q
    @user-jm7dm4vc8q ปีที่แล้ว

    10년 ㄷㄷㄷㄷ

  • @ryanscube4091
    @ryanscube4091 2 ปีที่แล้ว +1

    박사과정에서 수료만해도 학교 학적에 남나요? 아니면 재적으로 되나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수료를 하면 수료증을 발급 받을 수는 있지만 휴학 및 재학 기간이 기준을 넘어가면 재적이 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학과사무실에 문의해보시는 것이 더 정확할거에요

    • @ryanscube4091
      @ryanscube4091 2 ปีที่แล้ว +1

      @@podockim 감사합니다

  • @psycho3756
    @psycho375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멋지십니다 박사라는 타이틀이 주는 아우라가느껴지네요

    • @psycho3756
      @psycho375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굉장히 좋은의미로써요

    • @podockim
      @podocki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user-skyline722
    @user-skyline72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혹시 코스웍이라는게 무엇인가요?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코스웍(course work)은 대학원에서 수업을 듣는 것을 의미해요.
      그래서 코스웍 기간은 수업을 듣는 기간을 말합니다. 이 기간이 끝나야 졸업 논문 심사를 볼 수 있어요.

    • @user-skyline722
      @user-skyline722 ปีที่แล้ว +1

      @@podockim 그럼 석사 기간동안에도 간단히 듣고 전공관련 석사논문 쓴다는 말씀 이신가요?

    • @user-skyline722
      @user-skyline722 ปีที่แล้ว +1

      어떤 대학원이 좋은가요? 개인적인 의견 부탁드립니다.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네 맞아요. 보통 석사 기간동안 30학점의 수업을 듣고 나면 석사 논문을 쓰게 돼요. 박사는 30학점을 더 들어야 하죠.
      그리고 절대적으로 좋은 대학원은 없다고 생각해요. 자신에게 맞는지가 중요한 것 같아요.
      제 영상 중에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th-cam.com/video/MkhLmqVWWXI/w-d-xo.html

  • @user-ot7ip4ls3u
    @user-ot7ip4ls3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석박사 통합과정의 워라밸은 어떤가요?

    • @podockim
      @podocki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및 연구실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저는 워라밸이 좋지 않았어요.

    • @user-ot7ip4ls3u
      @user-ot7ip4ls3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podockim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gtmc1248
    @gtmc1248 2 ปีที่แล้ว +1

    김포에 사시나봐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지금은 진주에 있습니다ㅎㅎ

  • @user-bananawow
    @user-bananawow ปีที่แล้ว +1

    혹시 그냥 대학원 말구 사이버 대학원을 졸업해도 최종학력은 석사가 맞나요??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1

      네 맞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버 대학원에 문의하면 더 자세하게 알려줄 거예요.

  • @shee_eesh
    @shee_eesh 2 ปีที่แล้ว +5

    얼굴이 피폐해진 것을 보니 대학원 절대 가지 말아야겠습니다^^
    어라? 왜 내일 랩실 가야하지.. 하..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ㅎㅎ
      랩실 생활 힘내십시오~!

  • @hsj3718
    @hsj3718 2 ปีที่แล้ว +9

    통합하게되면 평균적으로 몇년인가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4

      이상적인 통합 기간은 5년이라고 생각합니다.
      4년 반에 졸업하시는 분도 본적 있습니다. 다만 연구실 사정에 따라 늘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 @hsj3718
      @hsj3718 2 ปีที่แล้ว +4

      @@podockim 답변 감사합니다 유튜브 대박나실것같네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3

      더 열심히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redgentle
    @redgentl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학사는 석사보다 등록금이 비싸나요?

    • @podockim
      @podocki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반적으로 석사 등록금이 학사 등록금보다 비싸요

  • @salcazoid
    @salcazoid ปีที่แล้ว +2

    늦었지만 다음달부터 석사 과정을 시작합니다. 전 논문에 자신이 없고, 돈 많이 벌려고 석사 합니다. 지금 박사는 자신 없습니다.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대학원 생활에서 배우는 것이 있을 거예요. 응원하겠습니다!

  • @Keitostar7
    @Keitostar7 ปีที่แล้ว +1

    아니 근데 이렇게 이야기하시면 후배들이 오해하죠... 석사가 몇년이면 끝나고 박사가 몇년이면 끝난다 하실꺼면 애초 스타트를 본인이 무슨과에 어떤 전공과정으로 어떤 논문을 썻나 이야길 해야죠. 이거 쓰다 보니깐 무슨 석사가 논문을 많이 안 쓴다고 이야기 하는데. 누가 그래요? 밑도 끝도 없이 석사는 논문 안나오고. 또 쓰면서 듵다 보니깐 박사는 뭔 기한이 없어요? 그거 한국만 그래요. 애초에 기한이 없는것도 아니고 최소 졸업년 더하기 2년 3년 이후엔 불이익 있을거고. 북미쪽 대학원이면 한국 대학원생 기겁하는 디펜스 1학년 부터 매년 해야해요. 커미티 미팅 이라고도 하고 퀄리파잉 테스트라고도 하고 뭐든 간에 느긋하게 안해요. 패스 못하면 마스터건 닥터건 그 다음 학년으로 넘어가는게 애초에 안되요. 북미 석박사는 한해 한학기가 학년이 바뀌나 못바뀌나 목 매다는더 밑도 끝도 없이 석사는 논문 안나오는게 당연하고 박사는 끝나는 연도가 없는게 당연하다고요?ㅋㅋㅋ 진짜 이건 후배들 호도 하는거죠. 한국 대학원 처럼 느긋하게 시간 보내고 적당히 놀면서 학위 나오는 곳. 아무데도 없어요. 무슨관지는 모르겠다만 진짜 후배들 생각하는거면- 도움도 안되는, 의미 없는 희망 심어주지 않으셨음 좋겠습니다.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댓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우선, 저는 국내 대학원만 경험했기 때문에 영상에서는 국내 대학원을 기준으로 말씀을 드렸습니다. 댓글을 보고 더 정확한 정보를 드리기 위해서 영상 설명에 국내라는 단어를 추가했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그러나 '한국 대학원 처럼 느긋하게 시간 보내고 적당히 놀면서 학위 나오는 곳' 이 말씀은 좀 지나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국 대학원에서도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대학원 학생들이 많습니다. 국내나 국외나 어디가 더 열심히하고 안하고가 아니라 학교 및 학과의 방침, 교수님의 의지, 연구실 분위기 등에 따라서 하는 공부나 일들이 다른 것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영상에서 당연하다는 말을 사용한 적이 없습니다. 국내에서도 당연한 건 없습니다. 석사가 해외 논문을 작성할 수도 있고 박사가 빠른 기간에 졸업할 수도 있겠죠. 전체적으로 국내 대학원은 그러한 경향이있다라는 것입니다. 국내에서도 박사 과정의 최대 학기가 정해져있긴 하나 휴학이나 사유서를 통해 연장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대학원에서 10년이 넘는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생들이 적지 않습니다.

    • @juneh6066
      @juneh6066 ปีที่แล้ว +1

      한국대학원이 느긋한게아니라 교수가 학생의 졸업관련 권한을 100%갖고있어서 그래요ㅠ
      1학년때 디펜스하면뭐합니까 한국은 교수가 졸업안시켜주면 나가리인겁니다

  • @jermy5849
    @jermy5849 2 ปีที่แล้ว +2

    눈꺼풀이 원래 내려앉은신건지.. 아니면 하시면서 스트레스로 초췌해지신건지.. 후자시겠죠..?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제가 원래 눈꺼풀이 뚱뚱합니다ㅎㅎ
      이 영상을 찍을 때 피곤한 상태여서 더 그래보이는 것 같네요ㅠㅠ

  • @deachuita7093
    @deachuita7093 2 ปีที่แล้ว +7

    정답이 없는 문제를 만났을때 해결할수 있는 능력. 박사 석사 학사는 중요치 않다.ㅋㅋㅋ 결국 교육은 그것을 가르치지 않는다. 학력에 치우침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잃어 버린다.누가 얼마나 학문에 갈증을 느끼는 가에서 결정된다. 결국 학문의 갈증은 높은 학력에 많은 분포를 가질뿐 학문의 갈증을 해결을 요소가 박사학위가 해결하지 못한다.교육이 아닌 창조이기 때문이다. 결국 정점에대한 한계는 교육이 해결하기에는 벅차기 때문이다. 석박사 또한 그릇의 노예일뿐이다.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10

      안녕하세요 댓글 감사합니다.
      현 교육 시스템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르치지 못한다는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그러나 대학원은 누가 공부를 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공부를 해야는 기간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개인적으로 깨우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저도 우리나라가 너무 학력 중심이라 그로 인해 놓치는 것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전문지식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사람의 능력을 판가름하는 지표로 석박사가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너무 학위로 모든 것이 판가름 나서는 안되겠지요.

  • @vucebitch3758
    @vucebitch3758 ปีที่แล้ว

    국립생태원도 국가가 관리하는 연구소인가요?

    • @podockim
      @podockim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국립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국가에서 관리하는 연구소일 것 같아요.

  • @kskim1125
    @kskim112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교수와 사이가 안좋아 졸업 안됨 ㅠㅠㅠ

    • @podockim
      @podocki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힘내세요.

  • @mcs4239
    @mcs4239 ปีที่แล้ว

    0:41 2년걸리는데 그걸 안시켜주는 교수들도 잇다는...ㅋㅋㅋ 할'수'잇다 임...ㅋㅋㅋㅋ

  • @kihoonkim3823
    @kihoonkim3823 2 ปีที่แล้ว +3

    이게 갑자기 추천에 뜨네??ㅋㅋㅋ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1

      어서오세요~

    • @kihoonkim3823
      @kihoonkim3823 2 ปีที่แล้ว +1

      나 기훈이야 ㅋㅋ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kihoonkim3823 오~!!

  • @llysho1201
    @llysho1201 2 ปีที่แล้ว +19

    삶에 찌들어보여요...

    • @podockim
      @podockim  2 ปีที่แล้ว +9

      한참 바쁠때 영상을 찍어서 그렇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ㅠㅠ
      앞으로는 좋은 모습으로 영상을 만들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 @user-uh5im5vd9o
    @user-uh5im5vd9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실 사회나올 자신없는 겁쟁이들이나 하는 과정이죠.

    • @user-bl1op8jg6x
      @user-bl1op8jg6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런 공학 석,박사 분들이 있어 새로운 부품개블이나 산업 발전을 이끕니다 당신이 쓰는 휴대폰 컴퓨터 자동차 보통 거진 공학 석,박분들이 개발하여 양산하는겁니다. 한심해서 더 말도 안나오네요

    • @user-gq8nt5hz6l
      @user-gq8nt5hz6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못배운 티가 팍팍

    • @user-nq2oi1vj4q
      @user-nq2oi1vj4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진짜 못배운티 ㅈㄴ나는 댓글이네 ㅋㅋㅋㅋㅋㅋㅋ

  • @ymanyman486
    @ymanyman48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국내에는 물박사, 라면박사가 워낙 많아서 머 ㅋ......랩에서야 마음은 이미 교수지. 후배들 앞에서 교수놀이 너무 많이 하지 마세요. 졸업후에 사회생활에 부적응 생겨요 ㅋㅋ 졸업해보면 머 현실을 알게 되지. 자기가 x도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지 ㅋㅋ